KR20220037279A -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279A
KR20220037279A KR1020200120036A KR20200120036A KR20220037279A KR 20220037279 A KR20220037279 A KR 20220037279A KR 1020200120036 A KR1020200120036 A KR 1020200120036A KR 20200120036 A KR20200120036 A KR 20200120036A KR 20220037279 A KR20220037279 A KR 2022003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electronic device
base station
commun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승범
유승진
장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279A/en
Priority to PCT/KR2021/009395 priority patent/WO2022059902A1/en
Publication of KR2022003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2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owing an electronic devic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b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a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of the drone based on determination that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Description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디바이스가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using a drone.

5세대 이동통신의 등장으로 인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의 비약적인 증가는 기존 6GHz 이하 대역의 스펙트럼 효율성과 용량 증대 만으로는 이를 만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특히, 5G 요구사항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eMMB), 매우 낮은 지연(URLLC), 많은 수의 디바이스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eMTC), 초 고신뢰도 및 에너지 효율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mmWave 기반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을 적용한 5G RAN(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The rapid increase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due to the advent of 5G mobile communication has limitations in satisfying it only by increasing the spectrum efficiency and capacity of the existing sub-6GHz band. In particular, 5G requirements include high data rates (eMMB), very low latency (URLLC), the ability to handle a large number of devices (eMTC), ultra-high reli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In order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research on a 5G radio access network (RAN) system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based on mmWave is applied is being actively conducted.

mmWave 주파수 대역은 6~100GHz로 6GHz 이하의 기존 대역에 비해 이용할 수 있는 연속적인 넓은 대역폭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요구 사항에 적합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의 적용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짧은 전파 도달 거리로 인한 좁은 서비스 영역, 장애물에 의한 전파장애/차단, 이동성 지원 및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등 극복해야 하는 많은 기술적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mmWave frequency band is 6 to 100 GHz, and there is a continuous wide bandwidth that can be used compared to the existing band below 6 GHz. Therefore, it may be easy to apply vari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suitable for service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many technical factors that need to be overcome, such as narrow service area due to short radio wave reach, radio wave interference/blocking due to obstacles, mobility support, and reliable data transmission, are needed.

한편, 5세대 무선 통신 기술의 대용량 저지연 통신 기술은 V2X 통신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V2X 통신 기술은, 자동차가 유선/무선망을 통해 다른 자동차, 모바일 기기, 도로 등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capacity, low-latency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5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V2X communication. V2X communication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a vehicle exchanges information with other vehicles, mobile devices, roads, etc. through wired/wireless networks.

V2X는 Vehicle to Everything의 약자로, 자동차가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 또는 그 기술을 말한다. V2X 통신 기술은, 자동차와 네트워크 망 간의 무선 통신(V2N: Vehicle to Network), 자동차와 인프라 간의 무선 통신(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자동차와 자동차 간의 무선 통신(V2V: Vehicle to Vehicle), 자동차와 보행자 간의 무선 통신(V2P: Vehicle to Pedestri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V2X is an abbreviation of Vehicle to Everything, and refers to the technology or technology in which a vehicle exchanges information with objects. V2X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network (V2N: Vehicle to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frastructur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vehicle (V2V: Vehicle to Vehicle), a vehicle and It may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edestrians (V2P: Vehicle to Pedestrian).

mmwave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의 경우, 고주파수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LOS(Line of Sight) 가 보장되지 않으면 안테나 게인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LOS의 유지는 mmwave 구현의 중요 요소이다.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mmwave frequency b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frequency signal, if the Line of Sight (LOS) is not guaranteed, the antenna gain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LOS is an important factor in mmwave implementation.

하지만, 도로 상에는 자동차, 보행자 및 구조물 등의 많은 장애물 등이 존재하고, 자동차는 계속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탑재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LOS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many obstacles such as automobiles, pedestrians, and structures on the road, and since the automobile continues to m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automobi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o maintain the LOS.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ing of the drone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may include a 3D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e operating method may be provid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계속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경우,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ing of the dron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rone available in the vehicle based on a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re is no drone available; and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when there is the availabl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드론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and the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device uses the drone as a relay node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operating method can do.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이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includes: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one so that the drone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performing a discovery process for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establishing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RS-SINR(Reference Signal-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ing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and 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wherein the measurement report includes: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nd Reference Signal-Signal to RS-SINR Interference Noise Ratio), including at least one of, may provide an operating metho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 이외의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상기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determining to perform hand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performing handover through the drone when it is determined to continue using the drone;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use a drone other than the drone, transmitt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other dron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other base stations through the other drone. there is.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드론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n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drone using a millimeter wave (mmWave).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지국 및 드론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고,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 base station and a dron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ccessing the base st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control the drone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o th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계속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경우,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drone availabl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if there is no drone avail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controls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when there is the availabl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드론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and the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device uses the drone as a relay node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can do.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론이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one so that the drone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and a discovery process for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 establishes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and transmits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RS-SINR(Reference Signal-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es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and determines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and the measurement report includes: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nd Reference Signal-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NR) may be provid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드론 이외의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상기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based on determining to perform handover, and when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In the case of performing a handover through a handover and determining to use a drone other than the drone,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drone, and communication between other base stations is performed through the other drone.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드론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drone using a millimeter wave (mmWave).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 which a program mounted on a vehicle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is stored,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accessing;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도 1은 빔포밍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을 위한 LOS(Line of Sight)가 유지될 수 없는 자동차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구체화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구체화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론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체화된 블록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블록도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구체화된 블록도이다.
도 11은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및 서버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forming techniqu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bile environment in which a line of sight (LO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annot be maintained.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base station through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A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A is a block diagram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disclosed embodim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server.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FIG. 12 in detail.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learn and recognize data by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by circuit configurations for a given function. Also,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prior art for electronic configuration,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and the like.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only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a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빔포밍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forming technique.

빔포밍이란, 안테나에서 전파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방사 및 수신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또는,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에 의해 전파 빔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포함되는 안테나는, 안테나의 전파 방사 방향이 항상 단말이 위치한 방향이 되도록 배열 안테나의 위상을 제어하는 스마트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극대화하기 위하여, 공간적인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Beamforming is a technique of generating a radio wave beam by means of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or array antenna) to have directivity of radia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in a desired specific direction at a desired time from an antenna. For example, the antenna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may be a smart antenna that controls the phase of the array antenna so that the radio wave radiation direction of the antenna is alw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In order to maximize the amount of radio wave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 a desired direction, spatial filtering may be performed.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빔포밍 기술은, 송신 포트 별로 정밀한 위상 제어(phase calibration)가 필요할 수 있다. 안테나의 송신 포트들이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제작되더라도, 송신 포트까지의 케이블 길이에 1cm만 오차가 있어도 빔포밍에 큰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빔포밍 안테나가 설치된 후에도, 주기적으로 안테나 포트들 간에 얼마의 위상 오차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Beamforming technology implemented using an antenna may require precise phase calibration for each transmission port. This is because, even if the transmit ports of the antenna are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phase, even if there is an error of only 1 cm in the length of the cable to the transmit port, a large error occurs in beamforming. Therefore, even after the beamforming antenna is installed, a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phase error by periodically checking how much phase error occurs between the antenna ports may be necessar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은, 안테나의 빔이 하나의 단말에게만 국한하여 비추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5G에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과 같은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셀 커버리지가 기존의 저주파 대역을 사용할 때보다 훨씬 작아진다. 반면에 전파의 파장은 작아져 안테나 크기와 안테나 간의 이격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동일한 면적에 많은 안테나를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안테나를 2차원 배열로 만들어 빔형성 기술을 적용하면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전송 속도를 나아지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base sta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beamforming so that the beam of the antenna is limited to only one terminal. When 5G uses a frequency in a high-frequency band such as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the cell coverage becomes much smaller than when using the existing low-frequency band. On the other hand, the wavelength of radio waves is reduced, so that the size of the antenna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tennas can be reduced, so that many antennas can be arranged at high density in the same area. Therefore, if many antennas are made into a two-dimensional array and beamforming technology is applied, coverage can be expanded and transmission speed can be improved.

한편,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대용량 저지연 기술은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의 경우, 고주파수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LOS(Line of Sight) 가 보장되지 않으면 안테나 게인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LOS의 유지는 mmwave 구현의 중요 요소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capacity low-latency technology using millimeter wave can also be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automobiles. However,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millimeter wave frequency b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if the Line of Sight (LOS) is not guaranteed, the antenna gain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LOS is an important factor in mmwave implementation.

도 2는 무선 통신을 위한 LOS(Line of Sight)가 유지될 수 없는 자동차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omobile environment in which a line of sight (LO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annot be maintain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에는 자동차, 보행자 및 구조물 등의 많은 장애물 등이 존재할 수 있고, 자동차는 계속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탑재되어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LOS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자동차(21)는, 기지국(23) 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방의 자동차(22)로 인해 LOS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As shown in FIG. 2 , many obstacles such as automobiles, pedestrians, and structures may exist on the road, and since the automobile continues to move, it is difficult for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automobi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o maintain the LOS. has a problem. For example, the vehicle 21 of FIG. 2 cannot maintain the LOS due to the vehicle 22 in front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3 .

따라서,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method of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using a dron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의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31)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싣고 운행하다가, 장애물(예를 들어, 자동차(32))로 인해 LOS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35)을 핫스팟(hot spot)으로 이용하여 기지국(33)과의 LOS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5)은, mmWave 안테나를 탑재하여 자동차(32)과 기지국(33) 간의 릴레이 노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33)의 커버리지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vehicle 31 cannot maintain the LOS due to an obstacle (eg, the vehicle 32) while carrying at least one drone, the drone 35 may be used as a hot spot to maintain LOS with the base station 33 . The drone 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equipped with an mmWave antenna to serve as a relay node between the vehicle 32 and the base station 33 , thereby helping to increase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33 .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4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드론(300)은,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 디바이스(100)과 코어 네트워크(500) 사이의 기지국(200)의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one 300 operates as a relay node of the base station 200 between the vehicle-mounted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ore network 500 . can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에 탑재되어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와 구별되는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자동차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자동차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vehicl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or may be at least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the vehicl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계 S5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에 액세스함으로써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5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200 .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탑재된 자동차가 시동을 켜고 운행을 함에 따라, 자동차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액세스 시도가 성공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ttempt to access a network using an antenna of the vehicle as the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starts and drives. If the access attempt is successfu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exchanging data with the base station 200 .

단계 S5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52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to control the drone 300 . can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RS-SINR(Reference Signal-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측정 지표가 소정 값 이하가 되면,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200 .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a predetermined gain measurement index of at least one of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nd Reference Signal-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NR). When the value is less than th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 과의 LOS가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하고 드론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Wh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LOS with the base station 2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has deteriorated and consider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drone.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없는 경우, 기지국(200)과 계속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있는 경우,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드론(300)에게 전송하여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rone 300 usabl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When there is no drone 300 availab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When there is an available drone 3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to the drone 300 .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드론(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to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may include a 3D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에 대해서, 신호 이득이 높은 드론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 드론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relative position of a drone having a high signal gain with respect to a vehicle and control the drone to move to the determined position.

단계 S5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53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 및 드론(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use a millimeter wave (mmWave)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drone 300 .

드론(300)과 전자 디바이스(100)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2D 통신이란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지리적으로 근접한 전자 디바이스들이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drone 3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the drone 300 as a relay node. D2D communication refers to a method in which geographically close electronic devices communicate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an infrastructure such as a base station.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드론(300)이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establish)하도록 드론(300)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드론(300)이 기지국(200)과 연결을 수립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의 탐색 과정이 완료되면, 드론(300)과 D2D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D2D 연결을 통해 드론(3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드론(300)을 통해 기지국(200)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so that the drone 300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200 .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rone 300 . When the drone 30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discovery process for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300 . When the discovery process with the drone 300 is comple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3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data to the drone 300 through the D2D connection, and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를 탑재한 자동차가 이동함에 따라 드론(300)도 함께 이동하면서, 드론(300)이 기지국(200)이 서비스 중인 영역을 벗어나 인접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드론(300)이 기지국(20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통신 품질이 나빠지게 되면,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moves, the drone 300 also moves along with it, and the drone 300 may move out of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200 is being serviced and move to a service area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As the drone 300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200 , if the strength and communication quality of a transmitted/received signal deteriorates, a handover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may be required.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중계함에 있어서, 신호의 세기 및 통신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측정 리포트를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In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ransmits a measurement report indicating a communication stat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signal strength and communication quality are not good. ) can be sent to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리포트는, RSRP, RSRQ, 및 RS-SINR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측정 리포트에 포함되는 값이 임계 값 이하일 경우,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3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For example, the measurement re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value of RSRP, RSRQ, and RS-SINR. When the valu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report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handover is necessary.

전자 디바이스(100)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드론(300)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중인 드론(300)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드론(300)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중인 드론(300)을 대체하여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과의 통신을 위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o perform the handov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handover through the drone 300 when it is determined to continue using the drone 300 in use. Howev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o use another drone by replacing the drone 300 in use, the electronic device 100 transmits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other drone, and a hand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other drone. Over can be done.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현재 서비스 중인 홈 셀(home cell)의 RSRP와 이웃 셀(neighbor cell)의 RSRP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웃 셀의 RSRP가 홈 셀의 RSRP 보다 임계 수준 이상 높은 경우, 이용 중인 드론(300)을 계속 이용하여 핸드 오버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드론(300)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가 가능한 이웃 셀(즉, 홈 셀의 RSRP 보다 임계 수준 이상의 RSRP를 갖는 이웃 셀)을 찾지 못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드론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드론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 내의 다른 드론을 띄우거나 주변의 다른 드론을 탐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pare RSRP of a home cell currently being serviced with RSRP of a neighbor cell. When the RSRP of the neighboring cell is higher than the RSRP of the home cell by more than a threshold level,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handover is possible by continuing to use the drone 300 in use. However, if a neighbor cell capable of handover using the drone 300 (ie, a neighbor cell having an RSRP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level than the RSRP of the home cell) is not f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handover using another drone. can decide to do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handover using another dron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launch another drone in the vehicle or search for another drone in the vicinity.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구체화된 흐름도이다.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계 S6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에 액세스함으로써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6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200 .

단계 S6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탑재한 자동차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으면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이득(gain) 측정 지표(index) 값이 감소하게 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이득 측정 지표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2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iodically check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 As the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moves, if a line of sight (LO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is not secured, a gain for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measurement index value will decre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when the gain measurement index value for the transmitted/received sig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단계 S6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3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vailable drones in or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 계속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4G 무선 통신, 또는 3G 무선 통신 등으로 폴백(fallback)하여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re are no drones available in or around the vehic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Alternatively, when there is no drone availab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allback to 4G wireless communication or 3G wireless communication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한편,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있는 경우, 단계 S640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 기지국(200) 간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이 최적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하고, 드론(30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is an available drone 300 , in step S64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he drone 300 to an optimal position,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탑재한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위치의 3차원 좌표값을 드론(300)에게 전송함으로써, 드론(300)이 결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드론(300)이 결정된 위치로 비행하는 도중에 장애물이 발견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위치를 결정하여 드론(300)이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transmits to the drone 300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a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thereby moving the drone 300 to the determined position. You can control it to move. In this case, if an obstacle is found while the drone 300 is flying to the determined loca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different location and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o another location.

단계 S65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 D2D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통해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650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300 . In step S66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구체화된 흐름도이다.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n operating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계 S701에서 자동차의 시동이 켜진 뒤,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의 도움 없이 자동차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액세스 시도가 성공하면, 단계 S703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vehicle is turned on in step S701, the electronic device 100 mounted in the vehicle may attempt to access the network using the vehicle's antenna without the aid of a drone. If the access attempt is successful, in step S703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

단계 S705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NLOS(Non-Line of Sight)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이 mmWave 기반 무선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동차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RSRP 등의 이득 측정 지표 값이 감소할 수 있다. 이득 측정 지표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NLOS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operation S70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NLOS (Non-Line of Sight) is pres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perform mmWav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LOS (Line of Sight)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is not secured as the vehicle moves, RSRP, etc. may decrease the value of the gain metric. When the gain measurement index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it is an NLOS situation.

단계 S709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현재 자동차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다면, 단계 S707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존의 방식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4G 무선통신 또는 3G 무선 통신 등으로 폴백(fallback) 하여 통신을 이어 나갈 수 있다.In step S709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drone currently available in the vehicle. If there is no drone available, in step S707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handover in the conventional manner or may fallback to 4G wireless communication or 3G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inue communication.

그러나,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경우, 단계 S711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 기지국(200) 간의 어태치(attach)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re is an available drone, in step S71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perform an attach process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

전자 디바이스(100)는, 통신을 위한 소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 드론(300)이 이동하는 위치는, 자동차 개발 시 자동차 안테나와 드론 간의 mmWave 통신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위치일 수 있다. 드론(300)이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인공 지능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o a predetermined location for communication. The position to which the drone 300 moves may be a position determined in advance by performing a simulation related to mmWav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tenna and the drone during vehicle develop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used to determine a location to which the drone 300 will m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반원 또는 가상의 반구면을 따라 드론이 이동할 때, 드론의 위치들에 따라 달라지는 통신 신호의 이득 값들을 측정하는 시뮬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자동차를 중심으로 5m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반원을 따라 소정 각도(e.g. 15도, 30도 45도 등) 간격으로 결정된 복수의 후보 위치들로 이동하면서 신호의 이득을 측정할 수 있다. 드론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인공 지능 모델은, 각 후보 위치와 해당 후보 위치에서 측정된 이득을 학습할 수 있다. 이득이 높은 순서대로 후보 위치들에게 우선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rone moves along a virtual semicircle or a virtual hemispherical surface having a radiu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centered on the vehicle, a simulation of measuring gain values of a communication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drone is performed. can For example, a drone measures a signal gain while moving to a plurality of candidate positions determin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angle (eg 15 degrees, 30 degrees, 45 degrees, etc.) along an imaginary semicircle with a radius of 5 m centered on the vehicle. can d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determin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drone may learn each candidate position and a gain measured at the candidate position. Priority may be assigned to candidate positions in an order of increasing gain.

후보 위치들은 자동차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좌표 값들로 표현될 수 있다. 드론(300)은, 학습된 상대 좌표 값들에 기초하여, 후보 위치들 중에서 선택된 소정 위치를 향해 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후보 위치들에게 할당된 우선 순위에 따라서, 후보 위치들 중에서 드론(300)이 이동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후보 위치들 중에서 시뮬레이션 시 이득이 가장 높게 측정된 후보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미리 학습된 인공 지능 모델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드론(300)이 이동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Candidate positions may be expressed as relative coordinate value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he drone 300 may fly toward a predetermined location selected from among candidate locations based on the learned relative coordinate value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a location to which the drone 300 will move from among the candidate locations according to the priority assigned to the candidate location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a candidate position having the highest gain measured during simul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positions.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lect a location to which the drone 300 will move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드론(300)은, 소정 위치에 대한 상대 좌표값에 기초하여 비행하는 도중 장애물이 발견 되었을 때, 다른 후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드론(300)은, mmWave를 이용하여 기지국(200)과 일반적인 액세스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후보 위치로 이동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하고, 장애물이 발견되면 다음 우선 순위의 후보 위치로 이동하도록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one 300 may move to another candidate position when an obstacle is found while flying based on the relative coordinates for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drone 300 may access the network by performing a general access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mmWav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o a candidate location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nd if an obstacle is f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o a candidate location of the next priority. there is.

단계 S713에서 드론(300)은,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 디바이스(100)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713 , the drone 300 may perform D2D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mounted in the vehicle.

단계 S715에서 드론(300)과 전자 디바이스(100) 간의 연결이 완료 되고, 드론(300)이 릴레이 역할임을 드론(300)에게 인지시켜 주면, 전자 디바이스(100), 드론(300) 및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200)) 간의 통신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드론(300)-기지국(200) 간의 통신 연결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mpleted in step S715 and the drone 300 is notified that the drone 300 is in a relay role,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drone 300 and the network (eg For example,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200 may be completed. Hereinaft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rone 300 - the base station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론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8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base station through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단계 S801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과 기지국(200) 간의 연결 절차를 시작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드론(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First, in step S80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to start a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to the drone 300 .

단계 S803에서 드론(300)과 기지국(20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수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RC 연결 수립 절차는, 드론(300)이 기지국(200)에게 RRC 셋업을 요청하는 단계, 기지국(200)으로부터 RRC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드론(300)이 기지국(200)에게 RRC 셋업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803, the dron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may perform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In the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the drone 300 requests an RRC setup from the base station 200 , receiving an RRC setup respons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200 , and the drone 300 asks the base station 200 for RRC setup It may include sending a completion message.

단계 S805에서 드론(300)은 기지국(200)에게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는, 기지국(200)에게 전자 디바이스(100)와 드론(300) 간의 사이드링크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드론(300)은,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를 통해,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In step S805 , the drone 300 may transmit sidelink U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200 . The sidelink terminal information is a message used to inform the base station 200 of information on the sidelink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drone 300 . The drone 300 may be allocated a transmission resource from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sidelink terminal information.

단계 S807에서 기지국(200)은 드론(300)에게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9에서 드론(300)은 기지국(200)에게 RRC 연결 재설정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07 , the base station 200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to the drone 300 . In step S809 , the drone 300 may transmit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200 .

RRC 연결 재설정이 완료되면, 단계 S811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에게 D2D 탐색 권유(D2D discovery solicit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13에서 드론(300)은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D2D 탐색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탐색이 완료되면, 단계 S815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D2D 통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17에서 드론(300)으로부터 D2D 통신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계 S819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is completed, in step S81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a D2D discovery solicitation to the drone 300 . In step S813 , the drone 300 may transmit a D2D discovery respon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When the discovery is comple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a D2D communication request in step S815. When the D2D communication acceptanc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drone 300 in step S817,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data in step S819.

단계 S821에서 드론(300)은 기지국(200)에게 데이터 및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21 , the drone 300 may transmit data and network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200 .

도 7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단계 S717에서 드론(300)은,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측정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9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7 , in step S717 , the drone 300 may transmit a measurement repor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the strength and quality of a transmitted or received signal is not good. In step S719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handover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received from the drone 300 .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721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현재 이용 중인 드론(300)을 이용하여 다른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이용 중인 드론(300)을 이용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 단계 S723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드론(300)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handover is necessary, in step S72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handover to another cell using the currently used drone 300 . If handover using the currently used drone 300 is possible, in step S723 ,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handover using the drone 300 and communicates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300 . can do.

현재 이용 중인 드론(300)을 이용한 핸드오버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단계 S725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 내에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추가 드론이 있는 경우, 추가 드론을 띄워 해당 드론을 통한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드론에 대해서, 단계 S711 내지 단계 S715가 다시 수행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00), 추가 드론 및 기지국(200) 간의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If handover using the currently used drone 300 is not possible, in step S725,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dditionally available drones in or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additional drone additionally available in the vehic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launch the additional drone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For the additional drone, steps S711 to S715 are performed again, so that a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additional drone, and the base station 200 may be established.

만약,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단계 S707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존의 방식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4G 무선통신 또는 3G 무선 통신 등으로 폴백(fallback) 하여 통신을 이어 나갈 수 있다.If there is no additional drone available in or around the vehicle, in step S707,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handover in the conventional manner, or falls back to 4G wireless communication or 3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n contin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에 장애물이 많아 LOS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론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mWave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자동차의 네트워크 성능(performance)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 및 드론(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blem that the LOS cannot be maintained due to many obstacle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can be solved using a drone.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range in which mmWave can be used is widened and network performance of a vehicle can be improved. 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drone 300 will be described.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9A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a에 도시된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차에 탑재되거나, 자동차에 연결되거나, 자동차에 포함되거나, 자동차를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9A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connected to, included in, or controlling a vehicle.

도 9a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The electronic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9A may perform the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descriptions of FIGS. 3 to 8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will be omitted.

도 9a를 참고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A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 memory 120 , and a processor 130 .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1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1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func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a physical layer standard of the system.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data, the communication unit 110 generates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bit stream. In addition, when data is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stores the received bit stream by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baseband signal.

또한, 통신부(1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into an RF band signal,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RF 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transmit filter, a receive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1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기지국(200) 및 드론(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paths.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use a millimeter wave (mmWave)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drone 300 .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110)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예를 들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In terms of hardwa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digital unit and an analog unit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Here, the digital circuit and the analog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one package.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F chains.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beamforming.

통신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1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ll or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or a 'transceiver'.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channel are used to mean that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메모리(2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memory 20 stores data such as a basic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memory 120 may be configured as a volatile memory, a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a volatile memory and a non-volatile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120 provides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ocessor 130 .

프로세서(13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의 일부 및 프로세서(2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writes data to and reads data from the memory 12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rotocol stack required by the communication standard. To this end,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r microprocessor, or may be a part of the microprocessor. Also, a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processor 230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9a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서술되는 프로세서(130)의 동작 및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one processor in FIG. 9A ,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processor 130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ocessors.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에 액세스함으로써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200 .

프로세서(130)는, 자동차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액세스 시도가 성공하면,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과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attempt to access the network using an antenna of the vehicle. If the access attempt is successful,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perform communication by exchanging data with the base station 200 .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300)을 이용하여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계속 유지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드론(300)에게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드론(3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RSRP, RSRQ, 및 RS-SINR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측정 지표가 소정 값 이하가 되면,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to continu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drone 300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to the drone 300 .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200 . For example, when the gain measurement index of at least one of RSRP, RSRQ, and RS-SIN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없는 경우, 기지국(200)과 계속 통신을 유지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4G 무선 통신, 또는 3G 무선 통신 등으로 폴백(fallback)하여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유지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용 가능한 드론(300)이 있는 경우,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드론(300)에게 전송하여 드론(300)이 통신을 위해 적합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rone 300 usabl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When there is no drone 300 available,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tinuously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by falling back to 4G wireless communication or 3G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re is no drone available. there is. When there is an available drone 300, the processor 13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to the drone 300 to control the drone 300 to move to a location suitable for communication. .

프로세서(13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드론(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30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to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has deteriorat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may include a 3D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드론(30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론(300)과 전자 디바이스(100)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드론(300)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The drone 3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the drone 300 as a relay node.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드론(30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드론(300)이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establish)하도록 드론(300)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드론(300)이 기지국(200)과 연결을 수립하면, 프로세서(130)는, 드론(300)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드론(300)과의 탐색 과정이 완료되면, 드론(300)과 D2D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D2D 연결을 통해 드론(3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드론(300)을 통해 기지국(200)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rone 300 to establish. When the drone 30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a discovery process for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300 . When the discovery process with the drone 300 is completed, the processor 130 may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300 . The processor 130 may transmit data to the drone 300 through the D2D connection,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drone 300 .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를 탑재한 자동차가 이동함에 따라 드론(300)도 함께 이동하면서, 드론(300)이 기지국(200)이 서비스 중인 영역을 벗어나 인접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드론(300)이 기지국(20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통신 품질이 나빠지게 되면,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vehic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moves, the drone 300 also moves along with it, and the drone 300 may move out of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200 is being serviced and move to a service area of a neighboring base station. As the drone 300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200 , if the strength and communication quality of a transmitted/received signal deteriorates, a handover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may be required.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중계함에 있어서, 신호의 세기 및 통신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이러한 측정 리포트를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In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ransmits such a measurement repor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signal strength and communication quality are not good. can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드론(300)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SRP 등과 같이 측정 리포트에 포함되는 값이 임계 값 이하일 경우,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handover is necessary when a valu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report, such as RSRP,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프로세서(130)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드론(300)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용 중인 드론(300)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드론(300)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30)는, 이용 중인 드론(300)을 대체하여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과의 통신을 위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o perform the handover.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handover through the drone 300 when it is determined to continue using the drone 300 in use. However, when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o use another drone to replace the drone 300 in use, the processor 130 transmits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other drone, and a handover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other drone can be performed.

한편, 도 9a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9a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입력부(950), 센싱부(940), A/V 입력부(970), 및 출력부(9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eanwhile, not all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9A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illustrated in FIG. 9A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B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n input unit 950 , a sensing unit 940 , an A/V input unit 970 , and an output unit 960 .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체화된 블록도이다.9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b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및 기능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던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9B may perform all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Accordingly,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so far will be described below.

입력부(95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95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950)는, 자동차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950 means a means for a user to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950 includes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contact capacitive method, pressure resistance film method, infrared sensing method,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method, integral type). There may be a tension measurement method, a piezo effect method, et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put unit 950 may receive a user input necessary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출력부(9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96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96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and the output unit 96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vibration motor.

센싱부(9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940 may detect a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a state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and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30 .

센싱부(9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unit 940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 gyroscope sensor, a location sensor (eg, GPS),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RGB sensor. (illuminance senso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V(Audio/Video) 입력부(97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V (Audio/Video) input unit 97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도 9b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는, 안테나부(914)에서 전파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향으로 방사 및 수신하기 위한(즉,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제어부(91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안테나부(914)를 통해 위상 제어된 전파를 방사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91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B ,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unit 914 in a desired direction at a desired time (ie, a beam). It may include a phase control unit 911 (for performing form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transceiver 913 for radiating and receiving phase-controlled radio waves through the antenna unit 914 .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블록도이다.10A is a block diagram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a에 도시된 구성은 드론(30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드론(300)은,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드론(300)은, 비행을 위한 프로펠러, 자세 또는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비행 구동부 본체와 구별되는 별도의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드론(300)은, 드론 상에 탑재되거나, 드론에 연결되거나, 드론에 포함되거나, 드론을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300)은, 드론 제어 시스템, 드론에 탑재된 통신 단말, 또는 드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A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of the drone 300 .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300 may mean the entire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300 may refer to a separate electronic device distinguished from the flight driving unit main body including a propeller for flight, a sensor module for sensing an attitude or state,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he drone 300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drone, connected to the drone, included in the drone, or controlling the drone. For example, the drone 300 may refer to a drone control system, a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drone, or a drone communication system.

도 10a에 도시된 드론(3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드론(300)의 동작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The drone 300 illustrated in FIG. 10A may perform an operating method of the drone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descriptions of FIGS. 3 to 8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will be omitted.

도 10a를 참고하면, 드론(300)은, 통신부(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the drone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 a memory 320 , and a processor 330 .

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3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performs func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between a baseband signal and a bit stream according to a physical layer standard of the system.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data, the communication unit 310 generates complex symbols by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bit stream. In addition, when receiving data,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stores the received bit stream by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baseband signal.

또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into an RF band signal,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RF ba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transmit filter, a receive filter, an amplifier, a mixer, an oscillator,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3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paths.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310)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예를 들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In terms of hardwar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digital unit and an analog unit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Here, the digital circuit and the analog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one package. Also,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F chains.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perform beamforming.

통신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ll or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or a 'transceiver'.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channel are used in the meaning of including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by the communication unit 310 .

메모리(320)는 드론(3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memory 320 stores data such as a basic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drone 300 . The memory 320 may be configured as a volatile memory, a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a volatile memory and a non-volatile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320 provides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ocessor 330 .

프로세서(330)는 드론(3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의 일부 및 프로세서(3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330)는 드론(300)가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drone 3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writes data to and reads data from the memory 320 .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rotocol stack required by the communication standard. To this end, the processor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r microprocessor, or may be a part of the microprocessor. Also, a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processor 330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drone 300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10a에서는 드론(300)이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드론(300)은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서술되는 프로세서(330)의 동작 및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the drone 3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one processor in FIG. 10A ,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on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processor 330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ocessors.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드론(300)의 초기 위치와 관련된 제어 정보, 및 전자 디바이스(100) 및/또는 기지국과의 연관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one 300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or the base st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초기 위치와 관련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와 기지국(200)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와 관련된 제어 정보는, 드론(300)이 배치될 위치의 3차원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move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an initial location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 For example, the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itial location may include a 3D coordinate value of a location where the drone 300 is to be placed.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mmWave를 이용하여 기지국(200)과 일반적인 액세스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 디바이스(100)와 D2D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ccess the network by performing a general access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mmWave.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perform D2D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mounted in the vehicle.

드론(300)과 전자 디바이스(100) 간의 연결이 완료 되면, 드론(300)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00)-드론(300)-기지국(200) 간의 통신 연결이 완성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3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mpleted, the drone 300 performs a relay role, so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rone 300 - the base station 200 can be completed. .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드론(300)이 기지국(20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및 통신 품질이 나빠지게 되면, 통신 품질과 관련된 측정 리포트를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된 측정 리포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330)는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the drone 300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200, when the strength and communication quality of a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 deteriorates, a measurement report related to communication quality is provided.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In response to the measurement report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handover to another base station.

한편, 도 10a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드론(3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0a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드론(3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드론(300)은, 입력부(1050), 센싱부(1040), A/V 입력부(370), 출력부(360), 및 구동부(10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eanwhile, not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A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drone 300 . The drone 3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0A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B , the drone 3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n input unit 1050 , a sensing unit 1040 , an A/V input unit 370 , an output unit 360 , and a driving unit. At least one of (108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구체화된 블록도이다.10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b에 도시된 드론(300)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드론(300)의 동작 및 기능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던 드론(3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drone 300 shown in FIG. 10B may perform all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drone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Accordingly, the components of the drone 300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so far will be described below.

입력부(1050)는, 사용자가 드론(30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출력부(3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36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50 means a means for a user to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drone 300 . The output unit 36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and the output unit 36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vibration motor.

센싱부(1040)는, 드론(300)의 자세, 상태 또는 드론(3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3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0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unit 1040 may detect the posture, state, or surrounding state of the drone 300 , and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330 . The sensing unit 1040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 gyroscope sensor, a location sensor (eg, GPS),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RGB sensor. (illuminance senso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V(Audio/Video) 입력부(37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V (Audio/Video) input unit 37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구동부(1080)는, 비행을 위한 프로펠러, 모터, 및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080 may include a propeller for flight, a motor,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도 10b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의 통신부(310)는, 안테나부(1014, 1018)에서 전파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향으로 방사 및 수신하기 위한(즉,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제어부(1011, 10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안테나부(1014, 1018)를 통해 위상 제어된 전파를 방사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1013, 1017)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B , the communication unit 310 of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units 1014 and 1018 in a desired direction at a desired time (that is, and phase controllers 1011 and 1015 (for performing beamforming).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transceivers 1013 and 1017 for radiating and receiving phase-controlled radio waves through the antenna units 1014 and 1018 .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mmWave를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을 하나만 포함하고,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드론(300) 또는 기지국(200)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B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only one antenna module supporting mmWave, and one selected from the drone 300 or the base station 200 using one antenna module. can communicate

반면에,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론(300)은 두개 이상의 안테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300)은, 기지국(200)과 통신할 드론-기지국 안테나부(1014) 및 전자 디바이스(100)와 D2D 통신을 수행할 드론-디바이스 안테나부(1018)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안테나 모듈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B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300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 modules. As shown in FIG. 10B , the drone 300 performing the relay r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D2D communication with the drone-base station antenna unit 1014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200 . Two or more antenna modules including the drone-device antenna unit 1018 may be required.

만약, 드론이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안테나 모듈만으로도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은, mmWave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둘 이상의 안테나 모듈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은 기기들 간의 지향성이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둘 이상의 안테나 모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300)은, 자동차와 드론(300)의 안테나 간의 통신 상황에 맞추어 이득이 높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안테나 모듈을 자동차와의 통신에 이용하고, 기지국(200)과 드론(300)의 안테나 간의 통신 상황에 맞추어 이득이 높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안테나 모듈을 기지국(200)과의 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0)은 기기들 간의 지향성이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둘 이상의 안테나 모듈들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legacy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f the drone performs a relay role using a low frequency band, only one antenna module may perform a relay role. However, since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uses the mmWave communication method, two or more antenna modules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use two or more antenna modules preset so that directivity between devices corresponds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drone 300 uses a first antenna module preset to have a high gai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ntenna of the drone 300 for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nd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drone 300 ) may b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a second antenna module preset to have a high gai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the antennas. That is, the dro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btain a higher gain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existing legacy technology by using two or more antenna modules preset to correspond to directivity between devices.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300)은, 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통신 품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드론(300)의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드론(300)의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인공 지능을 이용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00), 및 드론(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NLOS 여부를 판단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인공 지능이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ne 300 may be controlled to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may be disposed in an optimal position to maintain high communication quality. In this case, 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300 , artificial intelligence (AI)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an embodi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300 . In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operation among operation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drone 300 may be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example,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used in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NLOS or whether to perform handover.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

도 11은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human-level intelligence, and unlike the existing rule-based smart system, it is a system in which a machine learns, judges, and becomes smarter by itself. As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re used, the recognition rate improves and users can understand user preferences more accurately.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예를 들어, 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s of machine learning (eg, deep learning) and elemental technologies using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n algorithm technology that categorizes/learns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by itself, and element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use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ep learning, such as language understanding, visual understanding, reasoning/prediction, knowledge expression, motion control, etc It consists of the technical fields of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에서 수행되는 i) NLOS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ii) 드론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및 iii) 핸드오버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신경망(neural network)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ii) '드론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드론의 위치들 및 해당 위치의 드론에서 신호 이득을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미리 학습된 기준에 따라,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드론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i) determining whether NLOS is performed in the processor 130, ii)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iii)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handover, It may be perform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performs calculations through a neural network.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ii)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drone and the drone for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criterion learned in advanc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ignal gain from the drone at the position. It can be an operation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인공 지능 기술(이하, 'AI 기술')은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 및/또는 분류 등과 같은 처리를 하여 목적하는 결과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ereinafter, 'AI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performs calculations through a neural network and processes input data such as analysis and/or classification to obtain a desired result.

이러한 AI 기술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AI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의 집합을 신경망이라 한다.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술한 분석 및/또는 분류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신경망이 입력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 데이터를 정확하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신경망을 학습(training) 시킬 필요가 있다. Such AI technology can be implemented using algorithms. Here, an algorithm or a set of algorithms for implementing AI technology is called a neural network. The neural network may receive input data,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analysis and/or classification, and output result data. In this way, in order for the neural network to accurately output the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it is necessary to train the neural network.

'학습(training)'은 신경망으로 다양한 데이터들을 입력시키고,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방법,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들에서 결과 데이터 생성에 필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 등을 신경망이 스스로 발견 또는 터득할 수 있도록 신경망을 훈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과정을 통하여, 신경망은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를 학습(training)하여 신경망 내부의 가중치 값들을 최적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화된 가중치 값을 가지는 신경망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learning)함으로써, 목적하는 결과를 출력한다.'Training' refers to a method of inputting various data into a neural network, analyzing the input data, a method of classifying the input data, and/or a method of extracting features necessary for generating result data from the input data, etc. may mean training the neural network so that the neural network can discover or learn on its own. Specificall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e neural network may be set by optimizing the weight values inside the neural network by training the learning data (eg, a plurality of different images). Then, by learning the input data by itself through a neural network having an optimized weight value, a desired result is output.

구체적으로, 신경망은 연산을 수행하는 내부의 레이어(layer)인 은닉 레이어(hidden layer)의 개수가 복수일 경우, 즉 연산을 수행하는 신경망의 심도(depth)가 증가하는 경우, 심층 신경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신경망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신경망은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NN 신경망은 DCNN(Deep Convolution Neural Network) 또는 캡스넷(Capsnet) 신경망(미도시)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neural network is classified as a deep neural network when the number of hidden layers that are internal layers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is plural, that is, when the depth of the neural network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increases. can Examples of neural networks includ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ep Neural Network (D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eep Belief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and deep Q-networks (Deep Q-Networks),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lso, the neural network can be subdivided. For example, the CNN neural network may be subdivided into a Deep Convolution Neural Network (DCNN) or a Capsnet neural network (not shown).

개시된 실시예에서, 'AI 모델'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I 모델'은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목적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알고리즘 또는 복수의 알고리즘의 집합, 이러한 알고리즘 또는 그의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processor), 이러한 알고리즘 또는 그의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이러한 알고리즘 또는 그의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AI model' may refer to a neural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layer that receives input data and operates to output a desired result. In addition, an 'AI model' is an algorithm or a set of a plurality of algorithms that outputs a desired result by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a neural network, a processor for executing such an algorithm or a set thereof, executing this algorithm or a set thereof It may mean software for, or hardware for executing such an algorithm or a set thereof.

도 11을 참조하면, 신경망(1010)은 학습 데이터(training data)를 입력받아 트레이닝(training)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된 신경망(1110)은, 입력단(1120)에서 입력 데이터(1111)를 입력받고, 입력 데이터(1111)를 분석하여 목적하는 결과인 출력 데이터(1115)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을 출력단(114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신경망을 통한 연산은 은닉 레이어(hidden layer)(113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편의상 은닉 레이어(1130)가 1단의 계층으로 형성되도록 간략화하여 도시하였으나, 은닉 레이어(1130)는 복수개의 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neural network 1010 may be trained by receiving training data. Then, the learned neural network 1110 receives the input data 1111 from the input terminal 1120, analyzes the input data 1111, and performs an operation to output the output data 1115, which is a desired result, the output terminal 1140 ) can be done in An operation through the neural network may be performed through a hidden layer 1130 . 11 , the hidden layer 1130 is simplified to be formed as a single layer for convenience, but the hidden layer 113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ayers.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서, 신경망(1110)은 자동차의 안테나에 대한 드론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의 이득 값들을 학습할 수 있다.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1110)은,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고, 통신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드론의 위치에 대한 상대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neural network 1110 may learn gain values of a signal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rone with respect to the antenna of the vehicle. The learned neural network 1110 may receiv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 relative coordinates for the optimal drone location that guarantees communication quality.

개시된 실시예에서, 전술한 드론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신경망은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의 13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neural network for outputt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 may be implemented in a processor (eg, 130 in FIGS. 9A and 9B ).

또는, 전술한 드론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신경망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구별되는 자동차용 안테나 장치, 자동차 내에 위치하는 별도의 전자 장치(미도시), 또는 프로세서(미도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neural network for outputt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 may be implemented in an antenna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a separat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located in the vehicle, or a processor (not shown). can

또한, 전술한 신경망을 통한 연산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서버(미도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서버(미도시) 간의 통신은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rough the neural network may be performed in a server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erver (not show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도 12는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disclosed embodim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server.

도 12는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12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서버 시스템, 서버 기반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disclosed embodim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server. The server 1210 may include a server, a server system, a server-based device, etc.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cess data.

구체적으로,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자동차(1200)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가 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is an electronic device located in the vehicle 1200 and may be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또는,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자동차(1200) 내에 위치하며 전자 디바이스(100)와 유무선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어레이 안테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안테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 신호의 위상 값들을 조절함으로써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may be a separate electronic device located in the vehicle 1200 and capable of perform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may perform beamforming by adjusting phase values of at least one radio signal output from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included in the array antenna.

개시된 실시예에서, 서버(1210)는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server 12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at least one instruction.

서버(1210)의 프로세서는,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드론을 통해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and the base station deteriorates, the processor of the server 12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개시된 실시예에서, 서버(121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드론을 제어하고, 드론 및 기지국과 차량용 전자 장치(1250) 간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210)는 AI 모델을 훈련시키고, 훈련된 AI 모델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10)는 훈련된 AI 모델을 이용하여 전술한 위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server 1210 may control the drone by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the neural networ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and may control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 Specifically, the server 1210 may train an AI model and store the trained AI model. And, the server 1210 may acquire the above-described phase information using the trained AI model.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메모리 저장 용량, 연산의 처리 속도, 학습 데이터 셋의 수집 능력 등이 서버(1210)에 비하여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 및 대용량의 연산량이 필요한 동작은 서버(1210)에서 수행한 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이용되는 AI 모델을 차량용 전자 장치(125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대용량의 메모리 및 빠른 연산 능력을 갖는 프로세서 없이도, 서버를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AI 모델을 수신하여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용이하게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may have more limited memory storage capacity, computational processing speed, and collection capability of the learning data set compared to the server 1210 . Accordingly, after storage of large data and operations requiring large amounts of computation are performed by the server 1210 , necessary data and/or a used AI mode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may receive and use necessary data and/or an AI model through a server, without a processor having a large amount of memory and a fast computing power, to quickly and easily perform a necessary operation.

개시된 실시예에서, 서버(1210)는 도 11에서 설명한 신경망(11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210)에 포함되는 신경망(1110)은 i) NLOS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ii) 드론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및 iii) 핸드오버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server 1210 may include the neural network 1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Specifically, the neural network 1110 included in the server 1210 performs at least one of i) determining whether NLOS is present, ii)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iii)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handover. One action can be performed.

도 13은 도 1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2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13의 구성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술한 설명들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한다. 1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FIG. 12 in detail. In FIG. 13 ,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S. 13 and 12 are illustr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ccording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FIG. 13 ,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통신부(134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201)를 통해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미도시)는 차량용 전자 장치(1250)에서 수행되는 연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차량용 전자 장치(1250)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 할 수 있는 서버(예를 들어, 1210) 등이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4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server) through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01 . Here, the external device (not shown) includes a server (eg, 1210) that can perform at least one of operations performed i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or transmit/receive data required for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etc. can be

또한, 통신부(134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방송 수신을 수행하는 튜너,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인터넷, 3G, 4G, 및/또는 5G,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340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Here,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is a tuner that performs broadcast reception, Bluetooth,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Internet, 3G , 4G, and/or 5G,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network conform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millimeter wave (mmWAVE).

예를 들어, 통신부(1340)가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면,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수신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자율 주행에 필요한 데이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 사용자 이용 컨텐츠(예를 들어, 영화, 음악 등)을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 및/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340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millimeter wave (mmWAVE),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quickly transmitted and received. Specifically, by rapidly receiving large amounts of data in the vehicle, data necessary for vehicle safety (eg, data necessary for autonomous driving, data necessary for navigation service, etc.), user-use content (eg, movies, music, etc.) etc.),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구체적으로, 통신부(1340)에 포함되는 이동 통신 모듈은 3G, 4G, 및/또는 5G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통신부(1340)와 어레이 안테나(131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부(1340)는 어레이 안테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레이 안테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340 communicates with another device (eg, a server (not shown))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form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3G, 4G, and/or 5G.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lso, al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40 and the array antenna 1310 are illustrated as separate components in FIG. 13 , the communication unit 1340 may include the array antenna 1310 . Specifically,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340 may include an array antenna 13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1210)는, 통신부(1330), 및 프로세서(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10)는 DB(1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server 12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30 and a processor 1350 . In addition, the server 1210 may further include a DB 1360 .

통신부(1330)는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통신부(1340)의 구성과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3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30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unit 134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예를 들어, 통신부(1330)는 인터넷, 3G, 4G, 및/또는 5G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차량용 전자 장치(125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330 communicates with another device (eg,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form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the Internet, 3G, 4G, and/or 5G.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the

프로세서(1350)는 서버(1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50)는, 서버(1210)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및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함으로써, 요구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121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50 may perform at least one instruction of the server 1210 and at least one of programs to perform required operations.

또한, DB(136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미도시) 내에 서버(1210)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1360)는 서버(1210)가 신경망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B 136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and can stor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instruction, program, and data necessary for the server 121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the memory (not shown). there is. Also, the DB 136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the server 1210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neural network.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서버(1210)는 도 11에서 설명한 신경망(1110)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신경망(1110)은 프로세서(1350) 및 DB(136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1210)가 포함하는 신경망(1110)은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이 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server 1210 may store the neural network 1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The neural network 1110 may be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processor 1350 and the DB 1360 . The neural network 1110 included in the server 1210 may be a neural network that has been trained.

개시된 실시예에서, 서버(1210)는 내부적으로 포함하는 신경망을 이용하여 드론을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server 1210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drone using an internally included neural network.

또한, 서버(1210)는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을 통신부(1330)를 통하여 차량용 전자 장치(1250)의 통신부(13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을 획득 및 저장하고, 신경망을 통하여 목적하는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1210 may transmit the learned neural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unit 1340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30 . The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may acquire and store the neural network on which learning has been completed, and may acquire target output data through the neural network.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및 서버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earning and recognizing data by interwork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서버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earning and recognizing data by interwork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는,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무선 이동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전자 장치는,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거나 드론을 제어하거나 통신 상태를 변경함에 있어서 인공 지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1210)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으며, 차량용 전자 장치(1250)는 서버(1210)에 의한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uppor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terworking with a serv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ma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analyz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ntrolling a drone, 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Referring to FIG. 14 , the server 1210 may learn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ituation, controlling the drone, and/or changing the communication state, and the electronic device 1250 for the vehicle is a situatio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by the server 1210 . can be judge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210)에 포함되는 데이터 학습부(1450)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450)는 어떠한 결정을 하기 위하여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 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떻게 판단할 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450)는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인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The data learning unit 1450 included in the serv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learn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situation, controlling a drone, and/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The data learning unit 1450 may learn a criterion regarding which data to use to make a decision and how to make a decision using the data. The data learning unit 1450 may learn criteria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by acquiring data to be used for learning and applying the acquired data to a data recognition mode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1250)에 포함되는 데이터 인식부(1420)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황을 판단하거나 드론을 제어하거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1420)는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부터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1420)는 학습에 의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데이터에 기초한 소정의 상황을 판단하거나 드론을 제어하거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데이터 인식 모델에 의해 출력된 결과 값은, 데이터 인식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1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a situation based on data, control a drone, or change a communication state.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may recognize a situation from predetermined data by using the learned data recognition model.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acquires predetermin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by learning and uses the data recognition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as an input valu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data or to operate the drone. You can control or change the communication status. In addition, a result value output by the data recognition model using the obtained data as an input value may be used to update the data recognition model.

데이터 학습부(1450) 및 데이터 인식부(14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차량용 전자 장치(1250) 또는 서버(1210) 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450) 및 데이터 인식부(14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45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hardware chip and mounted o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or the server 1210 .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45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hardware chip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r an existing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or graphics. It may be manufactured as a part of a dedicated processor (eg, GPU) and mounted on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above.

데이터 학습부(1450) 및 데이터 인식부(14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45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4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4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450)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data learner 1450 and the data recognizer 1420 may provide model information built by the data learner 1450 to the data recognizer 14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or the data recognizer 1420 . Data input as , may be provided to the data learning unit 1450 as additional learning data.

한편, 데이터 학습부(1450) 및 데이터 인식부(142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450) 및 데이터 인식부(14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45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When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45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is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or a program module including instructions), the software module i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adable It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lso, in this cas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r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lternatively, a part of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nd the other part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1450)는 데이터 획득부(1450-1), 전처리부(1450-2),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 모델 학습부(1450-4) 및 모델 평가부(1450-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learning unit 14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ring unit 1450-1, a preprocessing unit 1450-2, a training data selection unit 1450-3, a model learning unit 1450-4, and a model evaluation. part 1450-5 may be included.

데이터 획득부(1450-1)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450-1 may acquire data necessary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us change.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450-1)는 통신 품질과 관련된 측정 값,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지 여부, 드론의 위치 정보, 자동차의 위치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data acquisition unit 1450-1 may receive a measurement value related to communication quality, whether there are available drones in or arou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전처리부(1450-2)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한 학습에 획득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1450-2)는 후술할 모델 학습부(1450-4)가 학습을 위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The preprocessor 1450 - 2 may preprocess the acquired data so that the acquired data can be used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learning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The preprocessor 1450-2 may process the acquired data into a preset format so that the model learning part 145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es the acquired data for learning.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모델 학습부(1450-4)에 제공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는 후술할 모델 학습부(1450-4)에 의한 학습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data selection unit 1450 - 3 may select data necessary for learning from among the preprocessed data. The select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model learning unit 1450 - 4 . The learning data selection unit 1450 - 3 may select data required for learning from among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Also, the training data selection unit 1450-3 may select data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by learning by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모델 학습부(1450-4)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황을 어떻게 판단할 지, 드론을 어떻게 제어할 지 또는 통신 상태를 어떻게 변경할 지(예를 들어, 드론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할 지,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지 등) 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450-4)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하여 어떤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준을 학습할 수도 있다.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determines how to determine the situation, how to control the drone, or how to change the communication state (eg, whether to use the drone as a relay node, or the hand It is possible to learn the criteria for whether to perform over or not). Also, the model learning unit 1450 - 4 may learn a criterion for which learning data to use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일 예로서, 모델 학습부(1450-4)는 자동차에 대한 드론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및 이득 측정 지표를 학습함으로써 드론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model learning unit 1450 - 4 may learn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drone by learning a gain measurement index and a relative position of the dron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또한, 모델 학습부(1450-4)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에 이용되는 데이터 인식 모델을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인식 모델은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인식 모델은 기본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자동차 안테나와 드론 간의 mmWave 통신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등)을 입력 받아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Also, the model learning unit 1450 - 4 may learn a data recognition model used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by using the learning data. In this cas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a pre-built model. For exampl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a model built in advance by receiving basic training data (eg, simulation results related to mmWave communication between a car antenna and a drone).

데이터 인식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데이터 인식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recognition model, the purpose of learning, or the computer performance of the devic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for example, a model based on a neural network. For example, a model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Deep Neural Network (D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r a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may be used as the data recognition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모델 평가부(1450-5)는 데이터 인식 모델에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평가 데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인식 결과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델 학습부(1450-4)로 하여금 다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데이터는 데이터 인식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The model evaluation unit 1450-5 inputs evaluation data to the data recognition model, and when the recognition result output from the evaluation data does not satisfy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can learn again. there i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data may be preset data for evaluating the data recognition model.

예를 들어, 모델 평가부(1450-5)는 평가 데이터에 대한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의 인식 결과 중에서, 인식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평가 데이터의 개수 또는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del evaluator 1450-5 sets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the number or ratio of the evaluation data for which the recognition result is not accurate among the recognition results of the learned data recognition model for the evaluation data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can be evaluated as unsatisfactory.

한편, 데이터 획득부(1450-1), 전처리부(1450-2),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 모델 학습부(1450-4) 및 모델 평가부(1450-5)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450-1), 전처리부(1450-2), 학습 데이터 선택부(1450-3), 모델 학습부(1450-4) 및 모델 평가부(1450-5)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450-1, the preprocessor 1450-2, the training data selection unit 1450-3,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and the model evaluation unit 1450-5 is It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At least one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450-1, the preprocessor 1450-2, the training data selection unit 1450-3,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and the model evaluation unit 1450-5 is a software module When implemented as (or, a program module including instructions), the software modul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lso, in this cas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r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lternatively, a part of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nd the other part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식부(1420)는 데이터 획득부(1420-1), 전처리부(1420-2),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 인식 결과 제공부(1420-4) 및 모델 갱신부(1420-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420-1, a preprocessor 1420-2, a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and a recognition result It may include a study 1420-4 and a model updater 1420-5.

데이터 획득부(1420-1)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처리부(1420-2)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해 획득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1420-2)는 후술할 인식 결과 제공부(1420-4)가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1420-1 may acquire data necessary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us change. The preprocessor 1420 - 2 may preprocess the acquired data so that the acquired data can be used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The preprocessor 1420-2 may process the acquired data into a preset format so that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es the acquired data.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인식 결과 제공부(1420-4)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는 상황 판단, 드론 제어 및/또는 통신 상태 변경을 위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는 전술할 모델 학습부(1450-4)에 의한 학습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may select data necessary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from among the pre-processed data. The select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 - 4 .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may select some or all of the pre-processed data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for situation determination, drone control, and/or communication state change. Also,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may select data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by learning by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to be described above.

차량용 전자 장치(1250)의 인식 결과 제공부(1420-4)는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서버(121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인식 모델에 적용하여 상황을 판단하거나 드론을 제어하거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1420-4)는 데이터의 인식 목적에 따른 인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1420-4)는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이용함으로써, 선택된 데이터를 데이터 인식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식 결과는 데이터 인식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1250 applies the data selected by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to the data recognition model generated by the server 1210 to determine the situation or use the drone. control or change the communication status.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 - 4 may provide a recognition resul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recognition.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 - 4 may apply the selected data to the data recognition model by using the data selected by the recognition data selecting unit 1420 - 3 as an input value. Also, the recognition result may be determined by a data recognition model.

일 예로, 인식 결과 제공부(1420-4)는 통신 품질과 관련된 측정 값,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 주변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지 여부, 드론의 위치 정보, 자동차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식 결과를 제공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provides a recognition result including a measurement value related to communication quality, whether there are drones available in or arou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etc. can provide

모델 갱신부(1420-5)는 인식 결과 제공부(1420-4)에 의해 제공되는 인식 결과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데이터 인식 모델이 갱신되도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 갱신부(1420-5)는 인식 결과 제공부(1420-4)에 의해 제공되는 인식 결과를 모델 학습부(1450-4)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델 학습부(1450-4)가 데이터 인식 모델을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del updating unit 1420 - 5 may update the data recognition model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ed by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 - 4 . For example, the model updating unit 1420-5 provides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ed by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to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so that the model learning unit 1450-4 is The data recognition model can be updated.

한편, 데이터 인식부(1420) 내의 데이터 획득부(1420-1), 전처리부(1420-2),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 인식 결과 제공부(1420-4) 및 모델 갱신부(1420-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420-1), 전처리부(1420-2),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 인식 결과 제공부(1420-4) 및 모델 갱신부(1420-5)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data recognition unit 1420 , a data acquisition unit 1420-1, a preprocessor 1420-2, a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a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and a model update unit ( 1420-5)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hardware chip and mounte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mong the data acquisition unit 1420-1, the preprocessor 1420-2,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and the model update unit 1420-5 At least on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hardware chip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or may be manufactured as part of an existing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or graphics-only processor (eg, GPU). It may be mounted on one various electronic devices.

또한, 데이터 획득부(1420-1), 전처리부(1420-2),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 인식 결과 제공부(1420-4) 및 모델 갱신부(1420-5)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420-1), 전처리부(1420-2), 인식 데이터 선택부(1420-3), 인식 결과 제공부(1420-4) 및 모델 갱신부(1420-5)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개시된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420-1, the preprocessor 1420-2,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the recognition result provision unit 1420-4, and the model update unit 1420-5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At least one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420-1, the preprocessor 1420-2, the recognition data selection unit 1420-3, the recognition result providing unit 1420-4, and the model update unit 1420-5 is software. When implemented as a module (or a program module including instructions), the software modul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lso, in this cas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r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lternatively, a part of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nd the other part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provid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 can be implemented as a S/W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stored in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computer is an apparatus capable of calling a stored instruction from a storage medium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all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may include the termina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 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 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include a signal and is tangible, and does not distinguish that data is semi-permanently or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또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or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provided.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자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include a S/W program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S/W program is stored. For example,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include products (eg, downloadable apps) in the form of S/W programs distributed electronically through manufacturers of electronic devices or electronic markets (eg, Google Play Store, App Store). there is. For electronic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W program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or may be temporarily generated. In this case, the storage medium may be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electronic market, or a storage medium of a relay server temporarily storing a SW program.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단말(예로, 전자 디바이스 또는 차량용 전자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 매체 또는 단말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 연결되는 제3 장치(예, 스마트 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 장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단말 또는 제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3 장치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 server or a storage medium of a terminal in a system including a server and a terminal (eg, an electronic device or an electronic device for a vehicle).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third device (eg, a smart phon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er or terminal,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the third device. Alternatively,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include the S/W program itself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terminal or the third device, or transmitted from the third device to the terminal.

이 경우, 서버, 단말 및 제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단말 및 제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one of the server, the terminal, and the third device may execute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ternatively, two or more of the server, the terminal, and the third device may execute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to distribut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단말이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단말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 server (eg, a cloud server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etc.) may execute a computer program product stored in the server, and may control a terminal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server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device may execute a computer program product to control the terminal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제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3 장치는 프리로드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third device execut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third device may download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from the server and execute the downloaded computer program product. Alternatively, the third device may execute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ed in a preloaded state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Claims (19)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one,
determining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based on a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계속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경우,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one,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drones available in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re is no drone available; and
and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when there is the availabl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드론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and the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The method of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drone as a relay n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이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one so that the drone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performing a discovery process for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establishing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and
Including transmitting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RS-SINR(Reference Signal-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The measurement re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nd Reference Signal-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RS-SINR).
제7 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 이외의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상기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based on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handover;
performing handover through the drone when it is determined to continue using the drone;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use a drone other than the dron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other dron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other base stations through the other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드론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is
Method of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drone using a millimeter wave (mmWave).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지국 및 드론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고,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vehic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dron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control the dron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3차원 좌표값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 내에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계속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이용 가능한 드론이 있는 경우, 상기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드론에게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drones available in the vehicle,
If there is no drone available,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re is the available drone,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one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to the dro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D2D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드론을 릴레이 노드로서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one and the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in a D2D communication method,
The electron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drone as a relay nod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론이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위한 탐색(discovery)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드론과 D2D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t least one processor,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one so that the drone establishes a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performing a discovery process for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dron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는, RSRP, RSRQ, 및 RS-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ing a measurement report from the drone,
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based on the measurement report,
The measurement re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RSRP, RSRQ, and RS-SINR.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드론을 계속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드론 이외의 다른 드론을 이용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다른 드론에게 전송하고, 상기 다른 드론을 통해 다른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t least one processor,
Based on the decision to perform handover,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using the drone,
When it is decided to continue using the drone, a handover is performed through the drone,
When it is determined to use a drone other than the drone,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drone, and communication between other base stations is performed through the other dro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드론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nic device i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drone using a millimeter wave (mmWave).
자동차에 탑재되어 상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기지국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나빠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드론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 which a program mounted on a vehicle to perform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vehicle is stored,
The method of operation is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dron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has deteriorate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KR1020200120036A 2020-09-17 2020-09-17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22003727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36A KR20220037279A (en) 2020-09-17 2020-09-17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PCT/KR2021/009395 WO2022059902A1 (en) 2020-09-17 2021-07-21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utomobile, and method performed by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36A KR20220037279A (en) 2020-09-17 2020-09-17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79A true KR20220037279A (en) 2022-03-24

Family

ID=8077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36A KR20220037279A (en) 2020-09-17 2020-09-17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7279A (en)
WO (1) WO2022059902A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106A (en) * 2019-08-09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9902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n antenna beam based on a lo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US20170194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n Antenna Beam based on Mo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KR102622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receive beam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11751076B2 (en) Operation of sectorized communications from aerospace platform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Mizmizi et al. Fastening the initial access in 5G NR sidelink for 6G V2X networks
EP3900267B1 (en) Parameter selection for network communication link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JP2016170030A (en) Tracking antenna system, flying object, and tracking antenna device
KR202200081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user equipment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516768B2 (en) User equipment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different coverage types
KR20220037279A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N113543017B (en) Wave beam switching method of millimeter wave internet of vehicles and related equipment
JP7156464B2 (en) Vehicles and Programs
Singh et al. Rotational motion-aware beam refinement for high-throughput mmWave communications
Li et al. Reliable transmissions in AWSNs by using O-BESPAR hybrid antenna
US20230319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027293B2 (en)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methods, and programs
JP7027294B2 (en)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methods, and programs
KR20230127818A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47340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64848A1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quality prediction method
CN118057856A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20230089740A (en) Method for determining link of hub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WO2024099553A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a robotic swarm
JP2021177612A (en) Termina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