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826A -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 Google Patents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826A
KR20220036826A KR1020210000213A KR20210000213A KR20220036826A KR 20220036826 A KR20220036826 A KR 20220036826A KR 1020210000213 A KR1020210000213 A KR 1020210000213A KR 20210000213 A KR20210000213 A KR 20210000213A KR 20220036826 A KR20220036826 A KR 2022003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financial transaction
usb
finger vein
virtual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904B1 (ko
Inventor
최성호
송청자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Priority to KR102021000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9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인식을 연계한 금융거래의 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원가입단계(S1001)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1002);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에서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Method for dealing a finance and a digital currency matching the biometric identification with advertisement in USB}
본 발명은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융은 물론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에 보안 및 해킹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문/지정맥의 인식센서에 의한 생체수단을 USB에 탑재시켜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특허출원의 요지로 적용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10-2016-46122호에 의하여 지문 및 지정맥의 인증장치로서 3D입체촬영장치에 대하여 특허출원하였고, 또한 국내 특허출원 제10-2016-0153836호, 제10-2016-0157310호, 제10-2016-0157311호에 의하여 지문과 지문, 지문과 지정맥, 지정맥과 지정맥에 대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특허출원된 바 있다.
이를 적용하는 배경기술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도 특허등록 제10-1673073호 및 제10-1628007호로 특허획득 된 바 있다.
즉,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BTC, Bitcoin) 시스템은 나카모토 사토시(Nakamoto Satoshi)라는 가명을 쓰는 프로그래머 개인, 혹은 집단에 의하여 2009년 개발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특정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는 P2P(pear to pear)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마디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프로그램이 설치된 개별 컴퓨터 혹은 서버들이 모두 모여 전체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시스템을 만든다는 뜻이다.
이 시스템 안에서 Mining(원래는 Data Mining, 즉 정보가공을 뜻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채굴’이라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다.)이란 행위를 통하여 우리가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이라 부르는 것이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코인을 자신의 개인지갑에 보관하고 거래할 수 있다. 이러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은 현재 1,380만개 정도가 채굴되어 유통되고 있고 2140년까지 모두 2,100만개가 순차적으로 채굴되도록 예정되어 있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설명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단어가 있다면 바로 Mining(채굴)이다.
채굴은 보통 새로운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얻는 방식이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단말)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산 값을 찾아내기 위해 경쟁하는 것을 통하여 이를 가장 먼저 찾아내는 컴퓨터에게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이 제공되는 과정을 채굴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채굴은 단순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획득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를 인증해주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현재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으로 결제를 받는 세계적인 회사로는 DELL(컴퓨터), MicroSoft(소프트웨어), Expedia(세계 최대 온라인 여행사), PayPal(결제)의 자회사인 브레인트리 등이 있으며, 그 수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중이다. 대략적인 가맹점 현황은 http://coinmap.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의 구조이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들은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공통된 형태의 거래 장부를 가진다.
그 개요로서, 일반 사용자는 암호화화폐의 지갑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로드받는다. 그리고 그것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그러면 그 프로그램은 실행되면서 자신과 네트워크상에 기록되어있는 블록체인과 동기화(일치)시키는 작업을 우선 시작한다. 그 데이터가 수십 기가바이트에 이르기 때문에 보통 3~7일 정도 시간이 걸린다. 그 동기화가 끝나면 자신의 지갑에서 자신의 주소(은행에서 계좌의 개념)를 생성하고 그 주소를 통하여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전송받거나 전송할 수 있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경우 주소는 1로 시작하는 34자리의 영어(대소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조합이다(ex, 1MowqQrQJL5AeaDMpX35B6EiJ4qnXPJnFp).
여기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포함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모든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들은 사용자단이‘개인키-공개키(주소)’의 형식으로 한 쌍의 키로 되어 있다. 공개키는 은행의 계좌번호에 개인키는 비밀번호에 해당하는데, 이는 서로간에만 들어맞는 한 쌍이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QT 프로그램(사용자 개인지갑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사용자암호를 이용해 개인키를 암호화해서 회원 컴퓨터에 저장한다.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소 웹지갑의 경우에는 사용자 암호 또는 서버의 소트(SALT)를 이용해 개인키를 암호화해서 서버에 저장한다.
여하한 간에 기존의 방식은 개인키를 서버에 저장 또는 회원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식인 것이다.
이는 다르게 표현하면 암호화하는 방식을 아는 거래소 보안 관련 내부관계자는 서버에 저장된 해당 암호화된 개인키를 복호화하여 몰래 사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회원이 거래소 서버를 통해서 자신의 계정을 조회하면 서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 저장된 잔고가 보이게 된다. 주소에 존재하는 실제잔고는 회원에게 의미가 없다. 통상의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실제 전송에는 6컨펌을 해야하는데 1시간 가량 걸리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는 짧은 시간 안에 자주 샀다가 팔았다가 하는 거래행위가 불가능하다.
이를 살펴보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은 다수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 증여자 단말기(300) 및 수증자 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다수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 시 그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부재로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시 그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에 대한 인증 및 기록을 통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수행하는 동등 계층간 통신망(P2P : peer-topeer network)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 즉,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들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를 이루는 구성에는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소측이 운영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가 하나의 구성원으로 소속되어진다.
또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의 전파는 통신규약(protocol)에 의해 약속된 것으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의 발생 시 1개의 노드(여기서는 블록체인 보유서버를 칭함)가 지정된 다음의 8개의 노드로 전파시키며, 그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전송받은 8개의 노드마다 각각 지정된 그 다음의 8개의 노드로 반복 전파하는 피라미드식 전파를 통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체인이 탑재된 모든 블록체인 보유서버(100)에 게 전파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들에는 블록체인이 탑재된 것으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너가 운영하는 서버(또는 단말) 또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사용자단말(일예로, PC나 스마트폰)도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지갑이 탑재된 경우 하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래특성을 갖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종류에는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가 전자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의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키는 거래내역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들에게 전파되도록 제어하는 부재로서, 증여자 및 수증자인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 시 32바이트(byte)로 이루어진 퍼블릭 어드레스를 인지하지 않고서도 앞에서 언급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통해 간편하게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를 위해 이용자가 회원 가입 시 등록한 정보로, 회원의 ID, 패스워드, 이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주소지를 포함하는 회원신상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회원목록정보 DB(211) 및 회원으로 가입한 이용자가 개설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의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 프라이빗 키(Private key) 및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갑이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를 갖는 DB부(210)가 탑재되어진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후술되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그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생성하여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후술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가 전송되면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들에게 전파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후술되는 증여자 단말기(300) 및 수증자 단말기(400)를 소유하는 증여자 및 수증자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전자지갑이 관리되는 회원으로 가입된 상태이다.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및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해주고자 하는 수증자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게 안내하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증여자 단말기(300)를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받거나 앞에서 언급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여자 단말기(300)에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 입력 및 인스턴트 메신저의 선택 등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이 저장되어진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은 증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를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이 표시되는 금액 표시난(511), 증여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인스턴트 메신저들이 표시되고, 그 표시된 인스턴트 메신저들 중에서 증여자가 가입되어 있는 해당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를 선택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선택난(512), 수증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난(513) 및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메뉴(514)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의 전송메뉴(514)가 클릭되면, 금액 표시난(511)을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512)을 통해 선택된 선택 IM 식별정보 및 저장관리되고 있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래밍화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여자는 증여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하면,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증여자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난(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512) 및 텍스트 입력난(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b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도 3c 참조)를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d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도 3e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도 3f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에는 각각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분실될 경우에는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보안 및 해킹에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실제 전송에는 6컨펌을 해야하는데 1시간 가량 걸리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는 짧은 시간 안에 자주 샀다가 팔았다가 하는 거래행위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및 특허출원인의 생체인증 코인이 생체인증에 의하여 이체할 경우에 스마트 폰에 탑재되어 있는 지문의 인식기에 의하여 이체할 경우에 기기마다 다른 종류의 앱이 필요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지문인식기를 설치하여야만 가능하도록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및 특허출원인의 생체인증 코인이 생체인증에 의하여 이체할 경우에 스마트 폰에 탑재되어 있는 지문의 인식기에 의하여 이체하더라도 기기마다 다른 종류의 앱을 제작할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있는 지문(지정맥을 포함한다)인식기를 개발하여 운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을 창안하여 주인이 없는 가상화폐를 인증 수단을 통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분실될 경우에라도, 가상화폐의 전송이나 보안 및 해킹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지문 변환장치가 지문이 접촉되면 지문의 융선과 고랑이 구분되어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디지털 전기신호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지정맥 변환장치는 모세혈관의 영상을 가시화시키는 전처리부를 통해 획득한 손가락의 모세혈관 영상을 행렬 블록으로 영상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모세혈관 영상의 유무에 따라 블록별로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디지털 전기신호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국,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을 창안하여 주인이 있도록 하고, 가상화폐를 생체로서의 인증 수단을 통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분실될 경우에라도, 타인이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된 것이고, 가상화폐의 전송이나 보안 및 해킹에 본인의 생체인증에 의하여만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스마트 폰 자체에 지문이 탑재되어 있는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USB의 지문을 이용한 컴퓨터의 인증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에 탈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서의 2중 보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구나,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동종의 회사라도 기종에 따라 보안의 취급방법이나, 보안의 앱을 각각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술상의 문제도 있지만, 운영상의 체계도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앱이나 별도의 장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생산자가 수요자에게 금융이나 가상화폐 이용시에도 자사 상품을 광고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여 왔다.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01); 상기 회원가입단계(S1001)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1002);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는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상기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상기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상기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되는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상기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하는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상기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하는 USB연계구성완료단계(S101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상기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하는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상기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상기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또한, 상기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상기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이후에, 무인증 금융거래가 중계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초기 단계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 상기 회원가입단계(S10) 이후에,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토탈 금융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토탈금융거래용앱 실행단계(S20); 상기 토탈금융거래용앱 실행단계(S2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앱은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30);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30)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에서 금융거래를 선택하는 금융거래선택단계①(S50); 상기 금융거래선택단계(S5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은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60);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60) 이후에, 각 금융거래를 실시하는 단계(S70); 또한,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에서 가상자산코인거래를 선택하는 가상자산코인거래선택단계②(S50); 상기 가상자산코인거래선택단계(S8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은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80);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80) 이후에, 각 코인거래 상장소에서 가상자산코인거래를 실시하는 단계(S9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 또는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및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이다.
본 발명은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가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 또는 하이브리드 웹을 실행하는 앱 또는 웹 실행단계(S110);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 연결여부 판단단계(S120a); 상기 USB 연결여부 판단단계(S120a) 이후에,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이후에,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가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통해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를 제어하는 정보출력부 표시단계(S120); 이때,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화일 기본 단위마다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어,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에 대하여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매칭판단단계(S130a); 이후,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가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난(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512) 및 텍스트 입력난(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가 클릭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에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 전송단계(S130);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가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 전송단계(S190);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가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 전송단계(S200); 이후,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화일 기본 단위마다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어,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매칭되어 저장된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를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변환단계(S210a);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하는 거래 인증단계(S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 또는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및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먼저, 증여자는 증여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 또는 하이브리드 웹을 실행하는 앱 또는 웹 실행단계(S110);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 연결여부 판단단계(S120a); 상기 USB 연결여부 판단단계(S120a) 이후에,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이후에,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를 제어하는 정보출력부 표시단계(S120);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30a); 이후, 증여자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란(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란(512) 및 텍스트 입력란(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인스턴트 메신저(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 전송단계(S130);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수증자 인지용 URL(A) 전송단계(S140);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인스턴트 메신저(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 출력단계(S150);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하는 수증자 인지용 URL(A) 전송단계(S160);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 출력단계(S170); 이때,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하기 전에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80a);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하는 앱(410)의 자동실행단계(S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 또는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및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 전송단계(S190);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 전송단계(S200);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하는 거래 인증단계(S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 또는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 및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및 특허출원인의 생체인증 코인이 생체인증에 의하여 이체할 경우에 스마트 폰에 탑재되어 있는 지문의 인식기에 의하여 이체하더라도 기기마다 다른 종류의 앱을 제작할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있는 지문(지정맥을 포함한다)인식기에 의하여 어떠한 기종의 컴퓨터에 의하여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분실하더라도 USB만을 가지고 있으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USB에 본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2중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으로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분실될 경우에라도, 가상화폐를 생체정보와 매칭시켜 전송하도록 하거나, 생체정보에 의한 인증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증여자용 거래요청 신호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거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하여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보안 및 해킹 방지에 지대한 효과를 자아내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의 지문 변환장치는 지문이 접촉되면 지문의 융선과 고랑이 구분되어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하여 변환시킴으로써, 다른 디지털 전기신호와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정맥 변환장치는 모세혈관의 영상을 가시화시키는 전처리부를 통해 획득한 손가락의 모세혈관 영상을 행렬 블록으로 영상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모세혈관 영상의 유무에 따라 블록별로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하여 변환시킴으로써, 다른 디지털 전기신호와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스마트 폰 자체에 지문이 탑재되어 있는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USB의 지문을 이용한 컴퓨터의 인증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에 탈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USB를 빼내어 본인이 보관할 경우에는 금융거래를 스마트 폰 자체로는 할 수 없도록 되어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서의 2중 보안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분실하더라도 USB만을 가지고 있으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USB에 본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2중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동종의 회사라도 기종에 따라 보안의 취급방법이나, 보안의 앱을 각각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하나, 기술상의 문제도 해결하고, 운영상의 체계도 단일화시켜 이를 범용적으로 컴퓨터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생산자가 수요자에게 금융이나 가상화폐 이용시에도 자사 상품을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에 탑재된 DB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a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증여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인지용 URL이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상에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c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증여자를 선정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d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 인지용 URL이 표시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e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받은 것을 표시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f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의 전자지갑으로 증여자가 보낸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가 누적저장된 것을 안내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지문/지정맥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지정맥 이미지센서와 손가락지문 이미지센서가 촬영하는 동일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a)과 손가락측면(b)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2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및 지정맥의 이미지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지문과 지정맥을 등록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3은 지문과 지정맥을 인증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4는 지문과 지정맥을 삭제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어느 실시 예에 따른 지문 또는/및 지정맥 촬영 인증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제1 지문발명의 아날로그처리회로와 디지털처리회로를 적용하고 있는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제2 지문발명에 의한 단일 칩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제2 지문발명에 의한 지문 인식 장치의 단일 칩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제3 지문발명에 의한 지문의 특정점을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비교하는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지정맥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체인식 보안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지정맥발명의 모세혈관 촬영시 유효부위의 기준점 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지정맥발명의 전처리부의 영상 분할과 이진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인 지정맥 패턴 입력 장치의 외관도.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23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27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28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29는 종래 제1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1은 종래 제2 발명의 슬라이드 지문센서를 이용한 USB 지문 인증 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2는 종래 제2 발명의 슬라이드 지문센서를 이용한 USB 지문 인증 모듈의 CPU부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등록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도33, 34에 따른 본 발명의 세로형 스타일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 예에 따른 지정맥 촬영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및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등록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 41은 도 40의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용어 "또는"이라는 각각 사용의 의미와 함께 사용의 의미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E때에 따라서는 용어는 "또는/및'이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과 관련된 종래기술일지라도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적 내용인 증여자 단말기(300)와 수증자 단말기(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및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해주고자 하는 수증자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게 안내하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증여자 단말기(300)를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받거나 앞에서 언급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앱(310) 대신에 하이브리드 웹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웹을 활성화시켜 여기서 접속하거나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여자 단말기(300)를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같은 정보입력부, 후술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 등의 데이터 혹은 전용프로그램인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이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후술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301) 및 증여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한정하기 위해 정보출력부(301)에만 도면부호를 명기하며, 이는 후술되는 수증자 단말기(400)에도 정보출력부(401)에만 도면부호를 명기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증여자 단말기(300)에는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수증자 단말기(40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수증자 단말기(4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클릭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 및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동일한 앱으로써, 명확하게 구분하고자 증여자측 및 수증자측이라는 접두사를 첨부하였다.
그리고,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 및 수증자 단말기(400)에서는 수증자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주고자 하는 증여자의 선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인스턴트 메신저(IM) 기반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증여자 단말기(300)에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탑재되고, 수증자 단말기(400)에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탑재되어진다.
이처럼, 탑재되어지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및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동일한 인스턴트 메신저이며, 명확하게 구분하고자 여기에서도, 증여자측 및 수증자측이라는 접두사를 첨부하였다.
이를 통해,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상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증여자가 지정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를 식별하는 선택 IM 식별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증여자가 지정한 상기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상기 수증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또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상기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수증자가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을 클릭하면, 자동실행되어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지문/지정맥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의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에 나타난 메인콘트롤러(CPU)(3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와,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호화된 지문/지정맥의 알고리즘(415)과,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포함하는 증여자단말기(300) 및 이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와,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포함하는 수증자단말기(400) 및 이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지정맥 인증수단(400a)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지정맥의 알고리즘(415)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를 매칭시키는 변환장치(500)와, 증여자의 가상화폐를 수증자의 가상화폐로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 지문/지정맥 변환장치(600),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화일 기본 단위마다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어,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에 대하여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매칭되어 저장된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를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매칭시켜 발행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이다.
여기서, 후술되지만, 상기 지문/지정맥 인증정보는 홍채/얼굴 인증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그 기술 내용 및 거래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서의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에서의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과 연계되는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315a)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암호 소스(3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고, 지문/지정맥 알고리즘(415)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어, 이들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융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송의 기본단위로 되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시작단계에서는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화일 기본 단위마다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어,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에 대하여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매칭판단단계(S130a)에 의하여 처리된다.
그리고, 양도 단계에서는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화일 기본 단위마다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어,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가 가상화폐의 화일과 매칭되어 저장된 증여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를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정보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변환단계(S210a)에 의하여 처리된다.
미설명 부호 315b, 315c는 상기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에 이어지는 가상화폐의 제2, 3화일의 갯수를 나타낸다.
물론 다량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일괄 결제 방식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종래 전송방식에 나타난 수순과 동일한 사항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로 그대로 설명한다.
부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내용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20a)하게 되면,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스마트폰 또는 USB의 표시부에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든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가상화폐와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정보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30a)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난(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512) 및 텍스트 입력난(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b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도 3c 참조)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d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된 가상화폐의 증여자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신호에 의하여 수증자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변환단계(S210a)를 수행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도 3e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도 3f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 방법으로,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진 전송기록들을 모아서 암호화시킨 블록체인(Blockchain) 구조로 화폐의 발행 주체가 없는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인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 방법에 있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를 인증해주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채굴하여 획득하는 단계;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를 위하여 채굴 및 구매하여 획득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시켜 거래할 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상에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거래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 내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를 통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를 위한 거래소 일반지갑의 주소를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하는 단계; 및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거래하기 위하여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전송하기 전에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때,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가상화폐와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시킨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전송하는 단계;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회원 자신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전송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전송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될 경우에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로 실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이 아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입금 처리하는 단계; 및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가 완료된 경우에 회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입금 처리하지 않고 선입금된 부분과 상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필요시에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된 가상화폐의 증여자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신호에 의하여 수증자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변환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본 발명은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메인콘트롤러(CPU)(340)는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와, 암호화된 지문/지정맥의 알고리즘(415)과,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를 포함하는 증여자단말기(300)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400a)를 포함하는 수증자단말기(400)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의 전자적 암호 소스와 지문/지정맥의 알고리즘(415)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를 매칭시키는 변환장치(500)와, 증여자의 가상화폐를 수증자의 가상화폐로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 지문/지정맥 변환장치(600),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과 연계되는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315a)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암호 소스(3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고, 지문/지정맥 알고리즘(415)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어, 이들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소스로서의 디지털신호와 지문/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로서의 디지털신호에 의하여 융합되어 가상화폐 전송의 기본단위로 되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의하여 증여자-수증자 지문/지정맥 변환장치(600)가 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로 변환할 수 있는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발행방법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은 아래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지정맥 이미지센서와 손가락지문 이미지센서가 촬영하는 동일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a)과 손가락측면(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폰(또는 컴퓨터)(300)(400)에 탈착되는 USB(1000)으로 구성되고, 상기 USB(1000)는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USB 결합부(100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이는 연결선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USB(1000)의 전면에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증여자단말기(300) 및 수증자단말기(400)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400a)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 및 손가락촬영홈(24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 예에 따른 지정맥 촬영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이다.
통합촬영인증장치(200a)는 적외선광원부(1240), 지정맥이미지센서(1230), 손가락지문이미지센서(1220), 디지털 변환부(1290), 복호화 알고리즘부(1260),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 및 표시부(128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부, 통신부 및 다양한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부(1240)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정맥 이미지를 촬상하기 적합한 630~1,000nm 파장의 적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학필터가 설치되어 광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가시선 광원부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손가락 표면의 손가락지문을 촬영하기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써,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a),(b)에 나타난 것처럼, 한 손가락의 안쪽 표면과 측면에서 각각 적외선을 촬영하는 각도이다.
미설명부호 1a는 손가락마디 사이의 지정맥의 부분이고, 1b는 손가락의 마디, 1c는 지문 부분을 가리킨다.
손가락 오브젝트의 정면 이미지 촬영시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이 스캔패널에 닿도록 올려놓고 촬영하고, 지정맥이미지센서(230)(231)(232)(233)의 수에 따라 측면 이미지 촬영시 손가락을 그대로 옆으로 90도로 측면이 스캔패널에 닿도록 한다. 손가락의 손가락지문면과 측면의 촬영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디지털 변환부(1290)는 상기 지정맥 이미지와 손가락지문 이미지를 모두 받아들여 지정맥과 손가락지문이미지로 추출해낸다. 디지털 변환부(1290)에 의해서 본 발명은 손가락에 대한 지정맥과 손가락지문 이미지 파일을 얻는다.
제어부(1210)는 디지털 변환부(1290)에서 변환된 이미지 파일들이 매칭알고리즘부(1260)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에는 사전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보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 예에 있어서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는 인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소(1270)는 장치 외부의 저장소에 위치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는 외부로부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 공격이나 도난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암호프로세서(Crypto-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매칭 알고리즘부(1260)는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획득한 후, 디지털 변환부(1290)에서 획득한 사용자 생체정보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하는 경우 표시부(1280)를 통해서 성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복호화 실패시에는 표시부(1280)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인증장치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지정맥 이미지 획득, 처리, 인증 연산 및 인증결과를 판단한다. 획득한 지정맥 이미지의 처리와 연산에 관련해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캐니 모서리 감지(Canny edge det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우스 필터(Gaussian Filter)를 적용하여 원본 이미지의 노이즈를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미지 그레디언트(Image Gradient)를 통해서 이미지를 모서리화한다. 즉 이미지의 스케치 선을 추출한다. Non-maximum Supression을 적용하여 모서리(스케치선)을 얇게 만드는 작업을 실시하고, 이중 한계점(Double Threshold)를 적용하여 진한 모서리는 확실한 모서리로 분류하고, 희미한 모서리는 노이즈로 간주하여 약한 모서리로 분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약한 모서리들을 삭제하고, 확실한 모서리만 남기고, 최종적으로 지정맥의 모서리화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통합모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질 수 있다.
도 11은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지문과 지정맥을 등록요청하는 플로챠트이고, 도 13은 지문과 지정맥을 인증요청하는 플로챠트이고, 도 14는 지문과 지정맥을 삭제요청하는 플로챠트이다.
상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과 지정맥의 알고리즘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입출력 통합모듈(U1)은 지문모듈(U2)과 지정맥모듈(U3)과, 변환모듈(U4)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지문모듈(U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문모듈(U2)의 GND 1번 라인은 (-)전압 회로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RX 2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수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TX 3번 라인은 시리얼 데이터 송신 포트로서, 지문 모듈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이미지센서에서 지문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지문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232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232통신이란 시리얼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지정맥모듈(U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원 회로의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적외선 LED로 손가락을 투과 후 카메라 이미지센서에서 정맥을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같은 이미지의 사람이 있을 경우 해당 사람의 등록된 인증코드를 시리얼통신(여기서는 실시예로서 485통신을 적용하였다)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485통신이란 시리얼 통신 규격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485-232통신의 변환모듈(U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변환모듈(U4) 좌측의 GND 1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A 2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A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B 3번 라인은 시리얼 통신 규격 RS485 통신 B포트로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하며, VCC 4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정맥모듈에서 출력되는 485통신을 입력받아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모듈(U4)우측의 DI 5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하며, RE 6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DE 7번 라인은 485통신 제어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 하는 기능을 하며, RO 8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명령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통합모듈(U1)과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문 및 지정맥 입력 및 USB출력 통합모듈(U1)을 설명한다.
상기 통합모듈(U1)의 D1/TX 1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송신 포트로서, 컴퓨터로 데이터 송신 기능을 하며, D0/RX 2번 라인은 시리얼 232통신 수신 포트로서, 컴퓨터에서 데이터 수신 기능을 하며, GND 4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D2 5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송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로 명령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며, D3 6번 라인은 지문모듈(U2) 시리얼 232통신 수신라인으로서, 지문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D8 11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송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9 12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0 13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485통신 제어 포트로서, 485통신 모듈의 송수신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D11 14번 라인은 485-232통신 변환모듈(U4)의 시리얼 232통신 수신포트로서, 지정맥모듈(U3)의 상태를 읽어 오는 기능을 하며, 5V 27번 라인은 (+)전압 5V출력 PIN으로서, 지문모듈(U2),지정맥모듈(U3),485통신 변환모듈(U4)의 5V전압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GND 29번 라인은 (-)전압의 기준으로서, 0V 접지 기능을 하며, VIN 30번 라인은 (+)전압 기준으로, +5V 전압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문모듈(U2)에서 출력되는 지문인증코드(지문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와, 지정맥모듈(U3)에서 출력되는 지정맥 인증코드(저정맥이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를 변환모듈(U4)에서 232통신으로 변환하여 통합모듈(U1)에서 수신받아서 지문과 지정맥 인증코드가 서로 일치할 때 USB로 해당 인증코드를 출력한다.
이 사건 발명의 지문 및 지정맥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int getfingerauthorization(int fingerprintcode,int fingerveincode)
{
if( fingerprintcode>0 && fingerveincode>0 && fingerprintcode==fingerveincode) )
{
return fingerprintcode;
}
return 0;
}
상기 알고리즘은 통합모듈(U1)에서 지문 인증코드와 지정맥 인증코드를 입력받아서 지문과 저정맥이 동일한 사람의 것인 경우에만 인증코드를 허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좀 더 상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문모듈(U2)에서 지문을 검색하여 해당지문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맥모듈(U3)에서 지정맥을 검색하여 해당지정맥과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 해당 사람의 코드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문모듈(U2)의 지문코드와 상기 지정맥모듈(U3)의 지정맥코드를 위의 알고리즘의 함수명 getfingerauthorization의 인수인 fingerprintcode와 fingerveincode로 각각 입력받아서 두 개의 인수값이 모두 유효하고 또한 두 개의 등록된 고객의 고유번호가 일치할 때 비로소 지문과 지정맥 통합 모듈에서 해당사람의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그 외 지문코드와 지정맥코드가 유효하지 않을 때나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에러코드인 0을 출력한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자체 보관의 인식기나 은행에서 등록이나 인증 및 삭제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2 내지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을 한다(S31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요청이 있을 경우에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1차 스캔을 한다(S312).
다음에 다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1차 등록 후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2차 스캔을 한다(S313).
다음에 또 다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1차 등록 후 등록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인식기에 3차 스캔을 한다(S314).
이와 같은 3차례의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등록은 이들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3회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15).
상기와 같이 3차례의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등록이 3회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등록을 완료시킨다(S316).
이러한 과정을 3차례 실시하여 정확한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를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등록을 인증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인증요청을 한다(S32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 당사자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를 스캔한다(S322).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된 사람의 손가락으로 지문 및 지정맥을 스캔한 이미지를 비교한다(S323).
이와 같은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스캔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24).
상기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의 스캔 이미지가 모두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모두 일치할 경우에는 인증을 완료시킨다(S325).
다음은 지문 및 지정맥의 등록을 삭제하는 단계로서,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삭제요청을 한다(S331).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 삭제할 당사자의 코드를 입력한다(S332).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등록할 코드의 이미지를 삭제여부를 판단한다(S333).
이와 같은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기에서 스캔한 이미지를 삭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시작하고, 삭제할 경우에는 인증을 완료시킨다(S334).
상기와 같이, 지문 및 지정맥의 자체 보관의 인식기나 은행에서 등록이나 인증 및 삭제하는 방법으로 운영하게 되면, 지문 및 지정맥의 인식도가 한층 더 높아지게 되고, 그 운용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은 발신장치의 실시예1인 스마트 폰 및 마우스나 통합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접촉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생체인증통합단말기를 이용한 통합결제장치의 접촉식 지문 및 지정맥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체인증통합단말기(1000)에 형성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처리부(1180)는 상부 쪽으로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손가락촬영홈(2410)이 형성된 지정맥인증장치부(2100)이 형성되어, 여기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을 하게 되는 발명이다.
상기 지문스캔모듈(2310)은 접촉식 인식모듈을 사용하고, 그 배면에는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3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정맥 정보를 획득하는 인증장치부(2100)는 단말기의 본체측면의 하단 모서리에서 지정맥을 인증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단말기의 내부는 상기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 및 지정맥 인증장치부(2100)가 들어갈 수 있는 상당한 인증장치부공간(2500)을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고, 외곽으로 측면홈테두리(2200)를 형성하여 그 안에서 상측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비접촉식으로 손가락을 올려놓고, 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손가락촬영홈(2410)에는 아주 얇은 손가락받침유리판을 형성하여 외부의 오물 등의 유입을 막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손가락받침유리판을 활용하여 여기에 가시광선을 차단시켜주는 적외선필터링필름을 부착하여 이미지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손가락받침유리판은 적외선필터링필름과 함께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의 근접된 전방부에서 형성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측에 빈 손가락촬영홈(2410)을 형성하여 손가락(f)을 편하게 올려놓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빈 손가락촬영홈(2410)의 배면 인증장치부공간(2500)에는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가 나란히 형성되고, 이를 콘트롤하는 인식회로전장부(2530)가 형성되어 지정맥 패턴을 인식할 경우에 이들이 작동되어 각종 제어 신호를 발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빈 손가락촬영홈(2410)은 상기 이미지센서(2510a)와 적외선발신부(2520a)에 파손 등이 우려가 없게 설계될 경우에는 주위 여건에 따라 비접촉식으로 인증장치부공간(2500)과 함께 연통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2510a)의 경우에는 그 크기에 따라 지정맥을 인식하는 범위가 상이하여 넓게 인식코저할 경우에는 손가락과 거리(Ha)를 길게 하면 넓은 범위의 지정맥을 인식할 수 있고,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좁은 범위의 지정맥 패턴만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이를 감안하여 단말기 내부전장부의 사이즈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창안 및 설계하여야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변환장치에 적용되는 지문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 제1 발명의 아날로그처리회로와 디지털처리회로를 적용하고 있는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이고, 도 17은 종래 제2 발명에 의한 단일 칩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이며, 도 18은 종래 제2 발명에 의한 지문 인식 장치의 단일 칩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19는 지문의 특정점을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비교하는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 센서는 사용자마다 고유의 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손가락의 지문 이미지(또는 지문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영상 장치일 수 있다. 지문 이미지에 대한 센싱 데이터는 광학식, 반도체식, 초음파 방식 또는 비접촉식 등의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는, 예를 들어, 프리즘, 광원, 렌즈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식 센서에서는, 프리즘에 지문이 접촉되는 경우 광원이 프리즘에 빛을 비추고, 렌즈는 프리즘을 통해반사되는 빛을 수집하고, CCD는 수집된 빛을 지문 이미지로서 획득할 수 있다.
반도체식 지문인식 센서로는 열감지식 센서, 축전식 센서 또는 전기장식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식 지문인식 센서는 소형화가 가능하여 개인이 사용하는 응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열감지식 센서(Thermal Sensor)는 지문의 접촉 부위와 비접촉 부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온도 분포를 지문 이미지로 획득하는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다.
축전식 센서(Capacitive Sensor)는 접촉된 지문의 융선 간 대전되는 전하량 또는 정전용량의 차이를 지문 이미지로 획득하는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다.
전기장식 센서(Electric Sensor)는 센서에 접촉되는 지문 또는 지문 주변에 형성되는 전기장으로부터 지문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지문인식 센서는 프로세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 센서는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외에 지문 이미지를 보정하거나, 지문 이미지의 특징을 산출하는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문인식 센서는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가지는 기능적 모듈이 될 수 있다.
지문에는 정확한 방향성을 띤 융선(ridge)으로 이루어진 정상영역과 그 이외의 다수의 특징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특징영역에서 융선이 진행하다가 끊어지는 점을 단점(ending point), 융선이 갈라지는 점을 분기점(bifurcation)이라 지칭하며, 상기 단점과 분기점을 통칭하여 지문의 특징점(minutiae)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한 손가락에는 100 ~ 150개 정도의 특징점이 분포하며, 사람마다 그 종류와 위치 및 방향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점의 위치와 방향은 각 지문의 판별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 10-0603975호에서 알 수 있듯이, 도 19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지문 인식 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문 인식 장치는, 지문의 융선(ridge)과 고랑(valley)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지문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처리회로(210)과, 상기 아날로그처리회로(21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지문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을 기 저장된 지문데이타들과 비교하여 검출된 지문의 사용자를 판별하거나 인식하는 디지털처리회로(22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아날로그처리회로(210)는 지문의 융선(ridge)과 고랑(valley) 사이의 간격 차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센서플레이트와, 상기 센서플레이트에 발생되는 기생캐패시턴스를 제거하고 감지전압만을 출력하는 기생캐패시턴스 제거회로와, 상기 기생캐패시턴스 제거회로를 통해 입력된 센싱전압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0' 또는 '1'의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지탈처리회로(220)는 상기 아날로그처리회로(2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디지털입력부와, 다수의 지문이미지 및 지문인식알고리즘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검출된 본인 인증 또는 판별 처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제1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는 상기 아날로그처리회로(210)와 디지털처리회로(222)가 서로 다른 칩 상에 구현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가격이 비쌌고, 상술한 큰 부피 및 고가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제2 발명으로서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측과 지문을 인식하는 디지탈 처리회로를 단일 칩상에 구현함으로서 제품의 부피 및 단가를 감소시켜 휴대용 뿐만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 단일 칩으로 구현된 지문 인식 장치를 개발하였다.
도 17은 종래 제2 발명에 의한 지문 인식 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단일 칩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300)에는 사용자 손가락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지문의 융선과 고랑간의 캐패시턴스차를 검출하는 센서들(310)과, 플래쉬메모리(340)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센서(3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처리하여 지문 이미지의 특징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부를 플래쉬메모리(340)에 등록된 기준 지문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20)에 직접 연결되며 자주 이용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캐시메모리(330)와, 오퍼레이팅 프로그램, 지문인식 알고리즘 및 지문데이타가 저장되는 플래쉬 메모리(340)와, 상기 센서(3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320)와 플래쉬메모리(340)를 상호 연결하며 각 수단간의 데이타 통로를 제공하는 버스(350)와, 상기 버스(350)를 통한 센서(310), 마이크로프로세서(320), 플래쉬메모리(340)간의 데이타교환을 제어하는 버스 인터페이스(3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술된 구성요소들, 센서들(310)과, 마이크로프로세서(320)와 캐시메모리(330)와 플래쉬메모리(340)와 버스(350)와 버스인터페이스(360)는 단일 칩 상에서 직접화된다.
도 18은 이러한 종래 제2 발명의 지문 인식 장치에 대한 구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칩 지문인식장치는 센서어레이(410)와 MCU(420)와 캐시메모리(430)와 플래쉬메모리(440)와 버스인터페이스(450)가 집적화된 제1칩(400)으로 구현된다.
상기에서, 플래쉬메모리(440)는 반도체 칩위에 구현되는 온칩(on chip) 플래쉬메모리로서, 상기 MCU(420)에서 수행되는 지문 인식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또한 사전에 등록된 지문이미지나 상기 감지된 지문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캐시메모리(430)는 상기 플래쉬메모리(440)보다 작은 용량과 빠른 엑세스 속도를 갖는 메모리로서, MCU(420)와 동일 칩, 즉, 제1칩(400)상에 구현되며, 이용 빈도가 높은 명령어나 데이터를 저장하여, MCU(420)에서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센서어레이(410)는 접촉된 피부, 즉 접촉된 손가락부위의 피부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용량을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센서플레이트를 m×n 행렬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칩(400)상에 집적화되며, 다른 회로들, 즉 MCU(420)나 플래쉬메모리(440)와는 버스로 연결된다.
상술한 센서어레이(410)와 MCU(420)와 캐시메모리(430)와 플래쉬메모리(440)와 버스인터페이스(450)는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층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즉, 칩의 표면상에는 센서어레이(410)의 센서 플레이트가 구현되고, 나머지 MCU(420), 캐시메모리(430), 플래쉬메모리(440) 및 버스인터페이스(450) 등은 센서어레이(410)의 하층에 적층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지문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이를 비교판단하는 기술이 공개특허 10-2015-0034832호에서 공개되어 있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지문 이미지 매핑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영역들(811,821,831,841) 별로 상기 영역들(811,821,831,84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들(812,822,832,842)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이미지 매핑부(260)는 사용자 손가락의 일부(855)를 대상으로 획득된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810의 지문 이미지의 일 영역(81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813)의 특징 정보(812)는 도 19의 850에서 제1 영역(85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로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810의 지문 이미지의 일 영역(82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823)의 특징 정보(822)는 도 23의 850에서 제2 영역(852)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로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810의 지문 이미지의 일 영역(83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833)의 특징 정보(832)는 도 23의 850에서 제3 영역(853)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로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810의 지문 이미지의 일 영역(841)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843)의 특징정보(842)는 도 19의 850에서 제4 영역(854)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로서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851) 내지 제4 영역(854) 간에 서로 겹치는 영역이 있는 경우, 겹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는 제1 영역(851) 내지 제4 영역(854)의 특징 정보들 중 품질이 더 좋거나,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거나 혹은 최근 획득된 특징 정보가 우선하여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이미지 매핑부는 지문 이미지의 영역별 특징 정보를 각각 매핑하고, 겹치는 영역을 조정하여 손가락의 일부(855)를 대상으로 지문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개인 금융 중계 거래 서버의 착신자측 교환기에서 소정의 인증번호를 회신하는 단계를 거쳐, 지문이 접촉되면 지문의 융선과 고랑이 구분되어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한 상기 지문 정보를 회신된 소정의 인증번호에 기초한 변환로직에 따라, 변환장치가 상기 DTMF신호의 배열을 변환하여 수신장치에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DTMF신호를 상기 DTMF신호변환에 사용한 인증번호에 기초한 변환로직에 따라, 수신장치가 상기 변환된 DTMF신호를 사용자가 발신한 DTMF신호의 배열로 복원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순으로 연계되는 것으로, 중복되는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변환장치에 적용되는 지정맥의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체인식 보안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1은 모세혈관 촬영시 유효부위의 기준점 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전처리부의 영상 분할과 이진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국내 공개특허 특2003-0010977호에서는 손가락이 삽입되면 영상획득수단(10)의 광발생수단(15)은 적외선, 레이저 또는 할로겐 광선을 손가락으로 방출함과 아울러 고체촬상소자(11)로 대략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와 손톱 경계지점 사이의 영상을 복수번 연속하여 촬영하게 된다(S10). 상기에서 손가락의 삽입 여부를 인지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데, 발광 및 수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센서를 이용하거나 손가락고정구(9)를 리미트스위치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직접 누르는 수동스위치를 설치하면 손가락의 삽입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가락의 특정 부위를 촬영함에 따라 촬영한 손가락의 영상을 정규화하기 위하여 전처리부(20)에서는 기준점을 설정하여야 하며, 촬영한 손가락의 영상은 불필요한 부분을 상당히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준점을 설정한 후 이러한 불필요한 영상은 제거하게 된다.
즉, 도 21과 같이 손톱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잡으며, 중심점에서 양 경계선과 동일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아래로 직선을 긋고, 손톱 경계부위에서 양측 경계선과 수직이 되도록 수평선을 그으면 수평선과 만나는 양측 경계선의 부위가 정규화의 기준점(A, B)이 된다. 따라서, 기준점과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 부분이 정규화의 유효부위가 되며, 유효부위의 영상을 회전하고 확대하여 정규화하게 된다(S11).
이어, 전처리부에서는 유효부위에 있는 표피 영상이나 산란 빛에 해당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화 과정을 통해 유효한 모세혈관 영상을 획득하고 이 모세혈관 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이진화한 후 모세혈관 영상을 세선화하게 된다(S12∼S14).
상기와 같이 세선화된 모세혈관 영상데이터는 특징추출부로 출력되고, 특징추출부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제공받아 혈관의 패턴 매칭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S15, S16)과, 특징점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S17, S18)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패턴 매칭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도 8과 같이 먼저, 전처리부를 통해 획득한 손가락의 모세혈관 영상을 다수의 행렬 블록으로 영상화면을 분할하게 되고(S15), 분할한 모세혈관 영상을 블록별로 이진화를 수행하여 인식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S16).
한편, 특징점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전처리부를 통해 이진화되고 세선화된 모세혈관 영상을 분석하여 혈관의 분기점과 절단점과 가지와 변환점과 볼록 배 및 오목 배 등의 특징점을 추출하고(S17), 그 특징점의 인접 혈관에 대한 위치좌표와 굵기와 명도 및 맥동 정보에 대한 특징값을 측정하여 인식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S18). 상기 혈관의 명도를 측정할 때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류가 시간별로 일정하게 변하기 때문에 연속된 복수의 혈관영상을 분석하여 평균 명도값을 취함과 아울러 명도의 변화는 맥동에 근거하므로 명도의 변화에 따라 맥동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어, 인식제어부는 특징추출부를 통해 획득한 혈관패턴관련 이진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각종 모세혈관 패턴데이터와 직접 매칭 비교하여 허용오차 범위내에 해당하는 복수의 비교데이터를 1차적으로 검출하고(S19), 이어 상기에서 추출한 특징점 및 그 특징값과 1차적으로 검출한 복수의 비교데이터의 특징점 및 특징값들을 상호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별, 인식하게 된다(S20, S21).
이러한 각 픽셀의 혈관영상 패턴의 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혈관패턴정보와 변환 장치가 융합되어 새로운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개인 금융 중계 거래 서버의 착신자측 교환기에서 소정의 인증번호를 회신하는 단계를 거쳐, 전처리부를 통해 획득한 손가락의 모세혈관 영상을 행렬 블록으로 영상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모세혈관 영상의 유무에 따라 블록별로 디지털 전기신호로 출력되는 2진 데이터에 의한 상기 지정맥 정보를 회신된 소정의 인증번호에 기초한 변환로직에 따라, 변환장치가 상기 DTMF신호의 배열을 변환하여 수신장치에 발신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DTMF신호를 상기 DTMF신호변환에 사용한 인증번호에 기초한 변환로직에 따라, 수신장치가 상기 변환된 DTMF신호를 사용자가 발신한 DTMF신호의 배열로 복원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순으로 연계되는 것으로, 중복되는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스마트 폰과 통합단말기이고, 상기 스마트 폰 또는 통합단말기의 일측에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인증처리부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4310)과 광학식 지정맥인증장치부(2100)(4100)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문 또는 지정맥 정보를 인증한 후 시차를 두고 선택적으로 인증할 경우, 즉 지문 및 지정맥의 정보가 융합될 경우에는 융합된 인증코드에 의하여 신호가 발신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인 지정맥 패턴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인 지정맥 패턴 입력 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23의 단면도이다.
국내 공개특허 10-2008-0022202호에서 나타난 기술에 대하여 도 23, 24를 이용하여 지정맥 패턴 입력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10)에는 지치대(11)를 내장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카메라 기판(9)에 재치되고, 화상 처리를 행하는 CPU를 내장한 제어 모듈부(제어 모듈 수단)(1)와 촬상부(촬상 수단)(2)가 설치된다. 제어 모듈부(1)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촬상부(2)에서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지정맥 패턴을 추출하는 지정맥 패턴 추출 수단과, 추출된 지정맥 패턴을 미리 등록된 지정맥 패턴을 비교하고, 즉 대조하는 화상 연산 수단을 갖는다.
촬상부(2)는, 본체(10)의 상부(도면에서는 수직 방향 좌변부)에 형성된 공간부(12) 내에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서의 근적외 발광 LED(13)(13A, 13B) 및 손가락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지치대(11)에는 지치대(11)에 설치한 천구부(15)(15A, 15B) 근적외 발광 LED(13)에 대향하는 형태로 조사창(16)(16A, 16B)이 설치되어 있다. 근적외 발광 LED(13)는 공간부(12) 내에 배치되고, 조사창(16) 이외에는 광은 누설되는 일이 없다. 본체(10)의 내부의 중앙부에는 카메라 렌즈(3)와 CCD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4) 및 미러로 구성되는 광축 굴절부(5)를 구비한다. 이 광축 굴절부(5)는 미러가 경사져 있어, 장치 전체의 두께를 작게 하여 촬상의 광로 길이를 벌어, 화상 왜곡을 적게 하고 있다. 지치대(11)의 중앙부에는 크게 촬상 개구부(6)가 형성되고, 이 촬상 개구부(6)에는 촬상창(7)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창(7)은 중부가 보이지 않는 스모크형상 재료가 사용된다. 이 재료는 적외선을 투과한다. 촬상 개구부(6)는, 외방을 향하여 라운드(R)를 실시한 깊이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촬상 시에 손가락이 촬상창(7)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라운드(R)를 실시함으로써 정맥을 압박하여 찌부러뜨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촬상 개구부 주변에 위치하는 정맥이 비치는 것을 좋게 할 수 있다. 촬상창(7)은 이 촬상 개구부(6)에 설치한 도면과 같이 하여 홈(8)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카메라 렌즈(3)를 통하여 투광된 광은 광축 굴절부(5)의 미러에 의해 곡절되고, 촬상창(7) 및 개구부(6)를 통하여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방으로 조사된다.
근적외 발광 LED(13) 및 상태 표시 LED(17)는 공간부(12) 내에 배치된다.
더구나, 위와 같은 생체인식 기술보다 내.위조성, 오인식률(False Acceptance Rate), 오거절률(False Reject Rate), 등록실패율(Failure to Enroll Rate), 인증시간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생체정보로서 지정맥 인증기술이 알려졌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행시스템에 적용하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USB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USB를 이용한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6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며, 도 27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고, 도 28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도 7에 나타난 수순과 일부 유사하나,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그대로 설명한다.
부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내용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20a)하게 되면,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스마트폰 또는 USB의 표시부에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30a)로 이루어진다.
상기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증여자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란(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란(512) 및 텍스트 입력란(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b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도 3c 참조)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d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80a)로 이루어진다.
상기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도 3e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도 3f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비트 코인의 거래 방법으로,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진 전송기록들을 모아서 암호화시킨 블록체인(Blockchain) 구조로 화폐의 발행 주체가 없는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인 비트 코인의 거래 방법에 있어서,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의 거래를 인증해주면서 비트코인을 채굴하여 획득하는 단계;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비트코인의 거래를 위하여 채굴 및 구매하여 획득한 비트 코인을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시켜 거래할 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 상에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거래된 비트코인 거래 내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를 통해서 비트코인 거래를 위한 거래소 일반지갑의 주소를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하는 단계; 및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을 거래하기 위하여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을 전송하기 전에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 거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시킨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을 전송하는 단계;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회원 자신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의 전송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을 입금하기 전에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비트코인의 전송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될 경우에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로 실제 비트코인이 아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을 입금 처리하는 단계; 및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의 거래가 완료된 경우에 회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입금 처리하지 않고 선입금된 부분과 상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코인 거래방법에 관하 것이다.
도 26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과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으로서, 스마트 폰(또는 컴퓨터)(300)(400)에 탈착되는 USB(1000)으로 구성되고, 상기 USB(1000)는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USB 결합부(100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이는 연결선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USB(1000)의 전면에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가상화폐거래현황선택스위치(70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뒷면에는 증여자단말기(300) 및 수증자단말기(400)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400a)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 및 손가락촬영홈(24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7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으로서, 스마트 폰(또는 컴퓨터)(300)(400)에 탈착되는 USB(1000)으로 구성되고, 상기 USB(1000)는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USB 결합부(100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이는 연결선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USB(1000)의 전면에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가상화폐거래현황선택스위치(70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증여자단말기(300) 및 수증자단말기(400)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인식기(300a)의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은 도25에 따른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정맥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으로서, 스마트 폰(또는 컴퓨터)(300)(400)에 탈착되는 USB(1000)으로 구성되고, 상기 USB(1000)는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USB 결합부(100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이는 연결선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USB(1000)의 전면에 가상화폐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가상화폐거래현황 표시기(70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가상화폐거래현황선택스위치(70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증여자단말기(300) 및 수증자단말기(400)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정맥인식기(400a)의 지정맥 손가락촬영홈(241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USB단말기를 금융거래에 적용하는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종래 제1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1은 종래 제2 발명의 슬라이드 지문센서를 이용한 USB 지문 인증 모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32는 종래 제2 발명의 슬라이드 지문센서를 이용한 USB 지문 인증 모듈의 CPU부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9과 관련된 종래기술일지라도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적 내용은 연계되어 있다.
종래 등록특허 10-1543222호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지문 인식을 포함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거래, 전자 상거래를 무인증 접속 방식으로 중계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지문 인식, 계좌 비밀번호인증 및 전화번호 인증을 통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 간에 금융 거래 시, 지문 인증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통신망(4, 6)과,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과, 전자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포함한다.
통신망(4, 6)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어,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그리고 고객 단말기(200)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거래 중계 서버(100)들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합의 통신망으로 구비된다.
고객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웹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해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를 수행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 인식기(210)를 구비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 인식기(210)로부터 획득된 지문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제공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통신망(4)을 통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지문 정보와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계좌 비밀번호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등록한다.
고객 단말기(200)는 회원 등록 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지문 정보, 전화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다중으로 인증된다. 또 고객 단말기(200)는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를 위하여, 지문 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제공한다.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은 제휴 은행에 구비되어, 온라인으로 처리되는 은행 업무 예를 들어, 입출금,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처리한다.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은 금융 거래 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해 고객 단말기(200)가 무인증으로 접속된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백화점, 할인점 등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항공, 철도 등의 여객 운송 예약 시스템, 콘도, 호텔 등의 숙박 예약 시스템, 영화, 연극, 음악회 등의 문화 공연 예약 시스템, 레저 예약시스템 등으로 구비되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를 통하여 전자 상거래 이용 시, 고객 단말기(200)가 무인증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가 회원 가입 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과의 금융 거래 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인증 처리하고,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으로 금융거래 및 전자 상거래 시, 지문 인증을 통해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개인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개인 금융 거래를 위한 퍼스널 포털 사이트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와, 통신부(104)와, 다중안전 잠금 모듈(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장치, 입출력 장치 및 저장 장치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02)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제어부(102)는 예컨대, 중앙처리 장치, 메모리 또는, 웹서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2)는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와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 시,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으로 무인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을 처리한다.
통신부(104)는 통신망(4, 6)을 통해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들을 연결하여,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고객 단말기(200)와 개인 금융 거래중계 서버(100)를 연결한다.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예컨대, 미들웨어로 구비되며, 고객 단말기(200)의 개인 인증 기능과 해킹 차단을위한 방화벽 기능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은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지문 정보를 받아서 데이터베이스(120)에 기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 인식 처리부(112)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고객 단말기(200)의 계좌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계좌 비밀번호 처리부(114) 및, 고객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전화번호 인증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다중 안전 잠금 모듈(11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20)는 회원 정보(122)와, 지문 정보(124) 및 금융 정보(126)를 저장한다. 회원 정보(122)는 고객 단말기(200)들 각각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회원으로 등록할 때, 입력된 정보 즉, 고객 단말기(200)들의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회원 정보(122)는 지문 정보(124)와 금융 정보(126)들과 상호 매칭된다.
지문 정보(124)는 고객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회원으로 등록 시, 고객 단말기(200)의 지문 인식기(210)로부터 획득된 지문 정보를 전송받아서 저장한다. 그리고 금융 정보(126)는 고객 단말기(200)의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에 등록된 통장 계좌의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타인의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지문인증을 위한 USB의 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7-0121237호에서 지문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취득하는 반도체 지문인식 센서를 전자기적 기능 또는 열감지기능을 가진 슬라이드 센서를 이용하여 너무 건조하거나 차가운 죽은 피부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접촉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센싱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130)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는 상기 지문센서부(100)에서 취득된 지문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디지털 지문정보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복잡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다양한 계산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400MIPS 이상의 처리능력을 가는 RISK구조의 DSP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에는 지문인증을 위해 요구되는 지문인증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저장되도록 에스디램(SDRAM)(210)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20)가 인터페이스 되며, 상기 지문센서부(100)와의 통신을 위하여 고속 UART 및 병렬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에는 외부에서 USB 지문 인증 모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GPIO(230) 및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디버그를 위하여 JTAG(240)가 인터페이스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에는 적외선을 이용해 케이블 없이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IRDA(250) 및 보드내의 고속 시리얼 통신을 가능하는 I2C(260)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CPU 전원제어부(3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를 작동시킬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PU 전원제어부(300)에는 전력 효율을 높이고 리플전원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엘디오(LDO) 레귤레이터(310)와 전원안정회로(32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USB 컨트롤러(400)는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와 사용자 컴퓨터(10)간에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에서 변환된 디지털 지문정보를 교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지문인증 CPU부(200)와 사용자 컴퓨터간(10)에 직렬통신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SP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부터는 본 발명의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등록 수순을 나타내고 있고,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은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저장 장치(미도시됨)에 저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통신망(4, 6)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간에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상호 연동되어 처리된다.
즉,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01);
상기 회원가입단계(S1001)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1002);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는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상기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상기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상기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되는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상기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하는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상기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하는 USB연계구성완료단계(S1011);
상기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상기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하는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상기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상기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또한, 상기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USB와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의 상호 매칭여부 확인단계(S1016);
또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단계 S1016에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USB상의 지문/지정맥의 입력이 등록된 지문/지정맥의 인증신호와 상호 일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상기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이후에, 무인증 금융거래가 중계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9);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3,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S1002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3에서 고객 단말기(200)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한다.
단계 S1004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1005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S1006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7에서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한다.
단계 S1008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9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된다.
단계 S1010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간편결제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11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한다.
여기서의 회원등록은 상기 3가지에 의하여 결제시 이용정보로 활용하는 회원 등록이다.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단계 S1012에서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3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한다.
단계 S1014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5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단계 S1016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단계 S1017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단계 S1016에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USB상의 지문/지정맥의 입력이 등록된 지문/지정맥의 인증신호와 상호 일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8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계 S1017의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한다.
단계 S1019에서는 무인증 금융거래가 중계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5는 도33, 34에 따른 본 발명의 세로형 스타일의 USB를 이용한 인증장치의 지문의 이미지 획득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스마트폰의 도면이다.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폰(또는 컴퓨터)(300)(400)에 탈착되는 USB(1000)으로 구성되고, 상기 USB(1000)는 스마트 폰에 연결되는 USB 결합부(1001)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이는 연결선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USB(1000)의 전면에 금융 거래현황을 표시하는 금융 거래현황 표시기(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고객단말기에 연동되는 탈착식의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에는 접촉식 지문스캔모듈(2310)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710a는 스마트 폰에 USB를 연결시에 표시되는 적색인증신호램프이고, 710b는 금융거래시 지문으로 인증할 경우에 표시되는 적색인증신호램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 예에 따른 지정맥 촬영 인증장치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이다.
통합촬영인증장치는 적외선광원부(1240), 지정맥이미지센서(1230), 손가락지문이미지센서(1220), 디지털 변환부(1290), 복호화 알고리즘부(1260), 생체정보 데이터 저장소(1270), 광고제어부(1267) 및 표시부(1280)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부, 통신부 및 다양한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부(1240)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정맥 이미지를 촬상하기 적합한 630~1,000nm 파장의 적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학필터가 설치되어 광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가시선 광원부는 오브젝트 수용부를 향하여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손가락 표면의 손가락지문을 촬영하기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써, 1개 이상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제어부(1267)는 컴퓨터나 스마트 폰에 USB의 정상적 끼움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컴퓨터나 스마트 폰의 화면에 순간 스팟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 광고 기능이 가상화폐거래나 금융 거래시에 컴퓨터나 스마트 폰에 USB의 정상적 끼움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컴퓨터나 스마트 폰의 화면에 순간 스팟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플로우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및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초기 단계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
상기 회원가입단계(S10) 이후에,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토탈 금융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토탈금융거래용앱 실행단계(S20);
상기 토탈금융거래용앱 실행단계(S2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앱은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30);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30)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에서 금융거래를 선택하는 금융거래선택단계①(S50);
상기 금융거래선택단계(S5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은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60);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60) 이후에, 각 금융거래를 실시하는 단계(S70);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4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에서 가상자산코인거래를 선택하는 가상자산코인거래선택단계②(S50);
상기 가상자산코인거래선택단계(S80) 이후에, 토탈금융거래용 앱은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80);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80) 이후에, 각 코인거래 상장소에서 가상자산코인거래를 실시하는 단계(S90); 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연계한 USB를 이용하여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8에서는 종래 전송방식에 나타난 수순과 동일한 사항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로 그대로 설명한다.
부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내용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20a)하게 되면,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S120b)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이후에,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스마트폰 또는 USB의 표시부에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든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수단에 의하여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가상화폐와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증정보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30a)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난(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512) 및 텍스트 입력난(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b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도 3c 참조)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d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지문 또는 지정맥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된 가상화폐의 증여자를 지문 또는 지정맥의 인증신호에 의하여 수증자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지문 또는 지정맥 인증정보 변환단계(S210a)를 수행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도 3e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도 3f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생체 코인이 아닌 일반 비트 코인이나 알트 코인의 거래에 적용되는 광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38에 나타난 수순과 일부 유사하나,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그대로 설명한다.
부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내용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할 경우에, 증여자 단말기(300)가 지문/지정맥 인증수단(300a)가 USB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20a)하게 되면,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S120b)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20b) 이후에,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을 스마트폰 또는 USB의 표시부에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30a)로 이루어진다.
상기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증여자는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 상의 금액 표시란(511),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란(512) 및 텍스트 입력란(513)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514)를 클릭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510)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b 참조)이 정보출력부(30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도 3c 참조)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도 3d 참조)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하여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는 각 픽셀의 지문 또는/및 지정맥영상 패턴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문 또는/및 지정맥 정보 인증판단 단계(S180a)로 이루어진다.
상기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자동실행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은 광고를 연계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에서 USB를 이용한 지문 및 지정맥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등록 수순을 나타내고 있고, 도 41은 도 40의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USB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지문 및 지정맥 인증의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도 40, 4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무인증 금융 거래를 중계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은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의 저장 장치(미도시됨)에 저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통신망(4, 6)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200)와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와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 및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들 간에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상호 연동되어 처리된다.
즉,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01);
상기 회원가입단계(S1001)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1002);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상기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는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이때, 기 등록된 회원의 경우에는 아니오의 선택에 의하여 후술되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로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상기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상기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되는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상기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하는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상기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하는 USB연계구성완료단계(S1011);
상기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상기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하는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상기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상기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또한, 상기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USB와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의 상호 매칭여부 확인단계(S1016);
또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단계 S1016에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USB상의 지문/지정맥의 입력이 등록된 지문/지정맥의 인증신호와 상호 일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상기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이후에, 무인증 금융거래가 중계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9);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0,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200)는 성명, 아이디,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 S1002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3a에서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한다.
단계 S1003에서 고객 단말기(200)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한다.
단계 S1004에서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1005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S1006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7에서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한다.
단계 S1008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09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된다.
단계 S1010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간편결제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11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한다.
여기서의 회원등록은 상기 3가지에 의하여 결제시 이용정보로 활용하는 회원 등록이다.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단계 S1012에서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3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한다.
단계 S1014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5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단계 S1016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단계 S1017에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단계 S1016에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USB상의 지문/지정맥의 입력이 등록된 지문/지정맥의 인증신호와 상호 일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8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계 S1017의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한다.
단계 S1019에서는 무인증 금융거래가 종료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는 선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2 : 전자 결제 시스템
10 : 통신망
100 : 금융거래 중계서버
110, 120 : 다중안전잠금모듈, 미들웨어방화벽
200 : 고객 단말기
210, 220 : 지문 또는/및 지정맥 인식기
1210 : 제어부
1220 : 지문 이미지센서
1230 : 지정맥 이미지센서
1240 : 적외선 광원부
1260 : 매칭 알고리즘부
1267 : 광고제어부
1270 : 생체정보 데이터 DB
1280 : 표시부
1290 : 디지털 변환부

Claims (3)

  1.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2)은 단계 S1000에서 고객 단말기(200)가 통신망(4)을 통하여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고, 단계 S1001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S1001);
    상기 회원가입단계(S1001)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USB연결확인단계(S1002);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에서 지문/지정맥 인식기가 USB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연결확인단계(S1002) 이후에,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의 표시부에 순간적으로 스팟 광고를 실행하게 되는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 또는 USB상 표시부의 스팟 광고실행단계(S1003a)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 폰(컴퓨터)에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USB상의 표시부에 연결상태를 인식한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연결상태신호표시단계(S1003);
    고객 단말기(200)는 지문/지정맥 인식기를 통하여 지문/지정맥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망(4)을 통하여 지문/지정맥정보를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로 등록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
    상기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단계(S1004)에서 지문/지정맥정보가 이미 등록된 경우에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로 실행되며, 상기 지문/지정맥정보 전송록단계(S100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 인식기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저장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지문/지정맥 정보를 등록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상기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에서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장 및 카드의 비밀번호입력확인단계(S1008)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고객 단말기(200)의 통장 계좌 번호 및 카드 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등록된 통장/카드 비밀번호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금융 정보(126)에 저장되는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상기 통장/카드비밀번호저장단계(S1009)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가입자가 회원으로 등록하는지를 판단하는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상기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에서 회원으로 최종 확인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편결제회원등록확인단계(S1010)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지문/지정맥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 등록을 매칭시켜서 고객 단말기(200)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을 완료하는 USB연계구성완료단계(S101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정보등록안내단계(S100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전화번호가 고객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화번호입력판단단계(S1006) 이후에, 고객단말기(2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기 등록된 고객단말기(200)의 번호와 일치되는지를 인증하는 전화번호일치여부확인단계(S1007);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011의 고객단말기(200)와 USB에 의한 연계구성 완료단계 이후에, 금융거래를 실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상기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에서 금융거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거래실행확인단계(S1012)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을 제공하는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상기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거래 선택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관한 금융거래상 결제과정에 있어서,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상기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에서 USB상 지문/지정맥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상 지문/지정맥정보입력확인단계(S1014)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으로 입력할 경우 USB상에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또한, 상기 인증상태신호표시단계(S1015) 이후에,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USB와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의 상호 매칭여부 확인단계(S1016);
    또한,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단계 S1016에서 지문/지정맥 인증, 전화번호 인증 및 계좌/카드 비밀번호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USB상의 지문/지정맥의 입력이 등록된 지문/지정맥의 인증신호와 상호 일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에서 USB상의 지문/지정맥 정보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금융거래결제과정제공단계(S1013)로 다시 시작하게 하고, 상기 USB상의 지문/지정맥일치여부판단단계(S1017) 이후에, 고객 단말기(200)가 온라인 은행 거래 및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지정맥 인증 절차를 처리하면, 개인 금융 거래 중계 서버(100)는 무인증으로 온라인 은행 시스템(300) 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금융 거래를 중계하는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상기 금융거래중계단계(S1018) 이후에, 무인증 금융거래가 중계된 이후에는 각종 금융거래를 실행 후 종료되는 금융거래종료단계(S101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KR1020210000213A 2020-09-15 2021-01-04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KR10247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213A KR102476904B1 (ko) 2020-09-15 2021-01-04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63A KR102209179B1 (ko) 2020-09-15 2020-09-15 광고를 연계하고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
KR1020210000213A KR102476904B1 (ko) 2020-09-15 2021-01-04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63A Division KR102209179B1 (ko) 2020-09-15 2020-09-15 광고를 연계하고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26A true KR20220036826A (ko) 2022-03-23
KR102476904B1 KR102476904B1 (ko) 2022-12-15

Family

ID=745716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63A KR102209179B1 (ko) 2020-09-15 2020-09-15 광고를 연계하고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
KR1020210000213A KR102476904B1 (ko) 2020-09-15 2021-01-04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KR1020210010395A KR20220036831A (ko) 2020-09-15 2021-01-25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63A KR102209179B1 (ko) 2020-09-15 2020-09-15 광고를 연계하고 가상자산 코인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자산 코인거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95A KR20220036831A (ko) 2020-09-15 2021-01-25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09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263B1 (ko) * 2021-02-26 2021-12-0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가상화폐거래의 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화폐거래방법
KR102367416B1 (ko) * 2021-03-03 2022-02-2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736A (ko) * 2011-11-30 2013-06-10 김승훈 모바일에서 안전하게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
KR20150108482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광고정보가 결합된 복합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동식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200070986A (ko) * 2019-09-17 2020-06-18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매칭시켜 발행되는 디지털 가상화폐 및 그 거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736A (ko) * 2011-11-30 2013-06-10 김승훈 모바일에서 안전하게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
KR20150108482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광고정보가 결합된 복합컨텐츠를 포함하는 이동식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200070986A (ko) * 2019-09-17 2020-06-18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매칭시켜 발행되는 디지털 가상화폐 및 그 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179B1 (ko) 2021-02-01
KR102476904B1 (ko) 2022-12-15
KR20220036831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682B1 (ko) 보상보험에 의한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1667388B1 (ko) 지정맥과 지문을 동시에 스캐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갖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867268B1 (ko) 보안 및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20200070986A (ko)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매칭시켜 발행되는 디지털 가상화폐 및 그 거래방법
CN104732396A (zh) 一种支付控制方法及装置
KR102476904B1 (ko) 광고를 연계한 금융거래를 위해 생체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 거래방법
KR101617855B1 (ko)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717754B1 (ko)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KR101875182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해킹방지용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337264B1 (ko)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카드의 생성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853270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보안 인증방법
KR102024372B1 (ko) 디지털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신호와 연동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2337265B1 (ko) 생체정보를 디지털 토큰과 매칭시켜 전화번호로 연동시키는 디지털 토큰의 보안 거래방법
KR102231785B1 (ko) 양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가상화폐거래의 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화폐거래방법
KR102326066B1 (ko)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에 의한 디지털 가상화폐를 거래하는 방법
KR102178074B1 (ko) 생체인증에 의한 가상계좌와 연동되는 가상화폐 거래방법
EP3893179A1 (en) Digital virtual currency issued by being matched with biometric authentication signal, and transaction method therefor
KR102337263B1 (ko)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가상화폐거래의 보안인증 기술을 지원하는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가상화폐거래방법
RU1435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латы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иометр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клиента
KR102273315B1 (ko) 가상화폐 중계거래용 앱에서 개인 키(Private Key)를 초기화시키는 방법
KR101837368B1 (ko)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체인증에 의한 결제단말기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367416B1 (ko)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KR102250548B1 (ko) 양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KR101853266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
KR101852156B1 (ko) 변환장치에 의한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