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685A -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685A
KR20220036685A KR1020200119194A KR20200119194A KR20220036685A KR 20220036685 A KR20220036685 A KR 20220036685A KR 1020200119194 A KR1020200119194 A KR 1020200119194A KR 20200119194 A KR20200119194 A KR 20200119194A KR 20220036685 A KR20220036685 A KR 20220036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ity
pseudonym
pseudonymous
mile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166B1 (ko
Inventor
장정아
전교석
이현미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에 있어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가명정보 제공자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개인별 마일리지를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제공한 개개인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쉽게 수집 및 거래하고, 거래 결과에 대한 보상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VALUE TRANSACTION OF MOBILITY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별로 보유하는 모빌리티 행태 앱을 기반으로 개인의 모빌리티 행태 가명정보를 수집 및 거래하기 위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1월 신용정보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의 데이터 3법의 통과에 따라 통계 작성, 과학적 연구 등 목적으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가명정보화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가명정보라 함은 "연령대, 성별, 주소(일부), 직업, 월소득" 등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이다.
교통 및 모빌리티 서비스에서는 가명정보와 개인의 이동패턴(위치정보의 추적,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교통수단 등)을 동시에 수집할 수 있다면 맞춤형 서비스도 가능하고, 도시내 이동상황에 따라 전염병 대응 전략 수립, 교통분산전략 수립, 비상대응체계 수립, 상권 분석, 환승전략수립 등 다양한 형태의 신규 서비스의 도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존의 모빌리티 행태 정보는 모바일폰을 이용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 택시 이용자(카카오, T-map), PM(pesronal mobility) 사업자, 교통카드사업자 등 각 모빌리티 사업별로 중앙에서 이용자의 초기 위치정보 동의에 의해 수집 관리되고 있다.
또한, 공익 목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모빌리티 행태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업자의 데이터를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일정기간의 데이터를 구입하여야 통계 활용이 가능하고 실시간 위치정보 행태 분석이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의 수집원은 이동하는 개인이지만, 실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랫폼 사업자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소유 및 거래권을 가짐으로써 모빌리티 데이터의 수집자에 대한 보상체계가 없다. 즉 더 많은 모빌리티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용자가 그 데이터의 권리가 있음에도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 스마트조명시스템과 같은 도로변에 지능화된 플랫폼이 공공 측면에서 개발되고 보급되고 있으나 모빌리티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4073호(2020.07.1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인별로 보유하는 모빌리티 행태 앱을 기반으로 개인의 모빌리티 행태 가명정보를 수집 및 거래하기 위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에 있어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상기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이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패턴 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및 교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이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종류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마일리지 배포총량 각각의 구획에 대하여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따라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구획별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구획별로 분배된 구획별 마일리지를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수로 나누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특정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j) 및 특정 이동 소요 시간을 가지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i)에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고,
Figure pat00003
는 해당 구획에 대응하는 가명정보의 개수,
Figure pat00004
는 당일 분배된 해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다.
상기
Figure pat00005
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이전 거래시점에서의 전체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 중에서 해당 구획에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 값이다.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거래하기 위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는 가명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 선택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상기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마일리지 결정부, 그리고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제공한 개개인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쉽게 수집 및 거래하고, 거래 결과에 대한 보상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S3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여 거래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는 휴대가 가능한 참여자 단말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폰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100)은 가명정보 수집부(110), 등급 결정부(120), 선택부(130), 마일리지 결정부(140), 제공부(150) 및 데이터베이스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가명정보 수집부(110)는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모빌리티 가명정보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개인정보 및 가명정보 제공자의 이동패턴 정보를 포함하고, 이동패턴 정보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및 교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등급 결정부(120)는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한다.
이때,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은 가명정보 제공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이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류되며, 이동수단의 종류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된다.
즉,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은 이동수단의 종류가 1개인 경우 3등급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의 종류가 3개인 경우, 예를 들어 가명정보 제공자가 자전거, 버스, 지하철을 타고 이동한 경우 1등급으로 부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부(130)는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가명정보 제공자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한다.
이때,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설정받고,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며, 마일리지 배포총량 각각의 구획에 대하여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따라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구획별로 분배하고, 구획별로 분배된 구획별 마일리지를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수로 나누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공부(150)는 개인별 마일리지를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부(160)는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가명정보 수집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한다(S310).
즉, 모빌리티 가명정보는 가명정보 제공자가 A 지점을 출발한 시각 정보, B 지점에 도착한 시각 정보,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하는데 이용한 교통 수단의 종류와 개수를 포함하며, 해당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성별, 연령, 주소, 직업, 월소득, 연락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가명정보 수집부(110)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한다.
Figure pat00008
상기 표 1은 "홍길동"이라는 가명정보 제공자가 구로역에서 서울역까지 이동했을 때 수집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예로 든 것이다.
이때, 가명정보 수집부(110)는 도착지에 존재하는 조명, 신호제어기, 상점 또는 거래센터와 같은 공공 플랫폼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별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등급 결정부(120)는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한다(S320).
이때, 등급 결정부(120)는 가명정보 제공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이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선택부(130)는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동의 여부를 선택받는다(S330).
이때, 가명정보 제공자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동의하지 않으면, 이후의 단계를 종료한다.
반면에, 가명정보 제공자가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동의하면,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한다(S340).
도 4는 도 3의 S3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C)을 설정받는다(S341).
여기서, 마일리지 배포총량(TC)은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100)의 활용 및 서비스 활용도 또는 거래소 상황에 따라 총 배분 가능한 월, 일, 시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모빌리티 정보거래에 따라 개별 통행자에게 제공이 가능한 현물화할 수 있는 가상화폐 혹은 마일리지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분류한다(S342).
즉,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분류한다.
표 2는 도착지에 도달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30분 단위의 이동시간과 3개의 모빌리티 가명정도 등급 정보에 따라 9개의 구획으로 나눈 것을 예로 든 표이다.
Figure pat00009
다음으로,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마일리지 배포총량 각각의 구획에 대하여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따라 마일리지 배포총량(TC)을 구획별로 분배한다(S343).
그러면, 마일리지 결정부(150)는 구획별로 분배된 구획별 마일리지를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수로 나누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를 결정한다(S344).
이하에서는, S342 단계 내지 S344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표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마일리지 배포총량(TC)을 100,000 포인트로 가정하고, 특정 지점에 도착한 가명정보 제공자가 각자의 출발지로부터 소요된 이동시간을 30분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면, 다음의 표 3과 같이 각각의 이동시간 및 모빌리티 가명정보 등급에 따라 수집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가 표시된다.
Figure pat00010
먼저,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전체 모빌리티 가명정보 개수 대비 각 구획별 모빌리티 가명정보 개수의 비율(
Figure pat00011
)을 아래의 표 2와 같이 연산한다.
즉, 표 3에서 수집한 전체 6600개의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대비하여 각 구획에 해당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를 % 비율로 변환하면 다음의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12
다음으로,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당일 분배된 배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
Figure pat00013
)를 연산한다.
Figure pat00014
즉,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C) 100,000 포인트와 표 4에서의 구획별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 비율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다음의 표 5와 같이 각각의 구획에 배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
Figure pat00015
)를 연산한다.
Figure pat00016
그러면,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각각의 구획에 배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
Figure pat00017
)를 아래의 수학식 2에 적용하여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
Figure pat00018
)를 연산한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Figure pat00020
는 특정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j) 및 특정 이동 소요 시간을 가지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i)에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고,
Figure pat00021
는 해당 구획에 대응하는 가명정보의 개수,
Figure pat00022
는 당일 분배된 해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다.
그러면, 마일리지 결정부(140)는 수학식 2를 통해 아래의 표 6과 같이 각각의 구획에 해당하는 가명정보 제공자 각각에게 제공되는 개인별 마일리지 포인트를 결정한다.
Figure pat00023
즉, 개인별 마일리지 포인트는 특정 이동 소요 시간을 가지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i)에 따른 모빌리티 가명정보 등급(j)의 비율(
Figure pat00024
)이 작을수록 높은 마일리지 포인트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공부(150)는 결정된 개인별 마일리지를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200)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한다(S350).
이때, 제공부(150)는 결정된 개인별 마일리지를 블록체인 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일정 시간동안 확정된 거래내역이 담긴 블록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참여자에게 제공되어 해당 거래의 위변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별로 제공되는 개인별 마일리지 포인트를 저장할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부(160)는 개인별 마일리지의 지급이 종료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제공한 개개인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쉽게 수집 및 거래하고, 거래 결과에 대한 보상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110: 가명정보 수집부,
120: 등급 결정부, 130: 선택부,
140: 마일리지 결정부, 150: 제공부,
160: 데이터베이스부, 200: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

Claims (14)

  1.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에 있어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상기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이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패턴 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및 교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이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종류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마일리지 배포총량 각각의 구획에 대하여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따라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구획별로 분배하는 단계,
    상기 구획별로 분배된 구획별 마일리지를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수로 나누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Figure pat00025

    여기서,
    Figure pat00026
    는 특정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j) 및 특정 이동 소요 시간을 가지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i)에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고,
    Figure pat00027
    는 해당 구획에 대응하는 가명정보의 개수,
    Figure pat00028
    는 당일 분배된 해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29
    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연산되는 가명정보 거래 방법:
    Figure pat00030

    여기서,
    Figure pat00031
    는 이전 거래시점에서의 전체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 중에서 해당 구획에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 값이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방법.
  8.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거래하기 위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별로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수집하는 가명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복수의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가명정보 제공자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 여부를 선택받는 선택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거래를 선택하면, 상기 결정된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를 결정하는 마일리지 결정부, 그리고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를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이동패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패턴 정보는,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및 교통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은,
    상기 가명정보 제공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용한 이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류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종류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리지 결정부는,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설정받고,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과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며, 상기 마일리지 배포총량 각각의 구획에 대하여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에 따라 마일리지 배포총량(Total Cost, TC)을 구획별로 분배하고, 상기 구획별로 분배된 구획별 마일리지를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가명정보 제공자의 수로 나누어 각각의 가명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할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를 결정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마일리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Figure pat00032

    여기서,
    Figure pat00033
    는 특정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등급(j) 및 특정 이동 소요 시간을 가지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i)에 해당하는 구획에 속하는 개인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고,
    Figure pat00034
    는 해당 구획에 대응하는 가명정보의 개수,
    Figure pat00035
    는 당일 분배된 해당되는 구획별 마일리지의 포인트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36
    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연산되는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Figure pat00037

    여기서,
    Figure pat00038
    는 이전 거래시점에서의 전체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 중에서 해당 구획에 해당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 값이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가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모빌리티 가명정보 거래 시스템.
KR1020200119194A 2020-09-16 2020-09-16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94A KR102492166B1 (ko) 2020-09-16 2020-09-16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94A KR102492166B1 (ko) 2020-09-16 2020-09-16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85A true KR20220036685A (ko) 2022-03-23
KR102492166B1 KR102492166B1 (ko) 2023-01-27

Family

ID=8096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94A KR102492166B1 (ko) 2020-09-16 2020-09-16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1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920A (ja) * 2003-08-20 2005-03-17 Nec Corp 消費者動態情報収集システム、消費者動態情報収集方法及び消費者動態情報収集プログラム
KR20170136451A (ko) * 2016-06-01 2017-12-11 한국교통연구원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95588A (ko) * 2019-01-17 2020-08-11 정상수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송장치의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920A (ja) * 2003-08-20 2005-03-17 Nec Corp 消費者動態情報収集システム、消費者動態情報収集方法及び消費者動態情報収集プログラム
KR20170136451A (ko) * 2016-06-01 2017-12-11 한국교통연구원 개인 선호도에 기반한 복합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95588A (ko) * 2019-01-17 2020-08-11 정상수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송장치의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166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47955A (zh) 一种区块链网络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Van Oort et al. Short-term prediction of ridership on public transport with smart card data
CN105894360B (zh) 作弊订单识别方法、装置及系统
Kufandirimbwa et al. Mobile money in Zimbabwe: Integrating mobile infrastructure and processes to organisation infrastructure and processes
TW201717054A (zh) 找出人群移動行為的方法及執行此方法的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CN110086874A (zh) 一种高速公路服务区用户分类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4579087A (zh) 一种电力客户服务业务中台设计方法及装置
Covic et al. Interoperable smart card data management in public mass transit
Agarwal et al. The impact of ride-hail surge factors on taxi bookings
Pelletier et al. Smart card data in public transit planning: a review
Cats et al. Voting with one's feet: Unraveling urban centers attraction using visiting frequency
Liao et al. Measuring the technology gap of APEC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CN113411453A (zh) 一种外呼对象的智能管理方法及装置、介质、计算设备
KR102492166B1 (ko) 모빌리티 가명정보의 가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m A model for calculating interconnection costs in telecommunications
Mastako et al. Commuter behavior on California state route 91 after introducing variable-toll express lanes
Arhipova et al. Pattern identification by factor analysis for regions with similar economic activity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data
CN110555767A (zh) 红利点数加密货币交易系统及方法
Chiumbu et al. Negotiating the crisis: Mobile phones and the informal economy in Zimbabwe
US8913985B2 (en) Mobile call management system
Oduh et al. Determinants of willingness to pay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 Nigeria
Webb The role of economic techniques in spectrum management
JP7133891B2 (ja) 不動産に基づく地域の信用力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2410679B1 (ko) 지하철역 중심 단거리 보행자의 미시적 경로선택 예측장치
KR102476451B1 (ko) 사업주, 디자이너 및 사용자를 이어주는 토탈 미용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