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568A -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 Google Patents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568A
KR20220036568A KR1020200118938A KR20200118938A KR20220036568A KR 20220036568 A KR20220036568 A KR 20220036568A KR 1020200118938 A KR1020200118938 A KR 1020200118938A KR 20200118938 A KR20200118938 A KR 20200118938A KR 20220036568 A KR20220036568 A KR 2022003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information
unit
input
fragranc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일형
Original Assignee
정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형 filed Critical 정일형
Priority to KR102020011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568A/en
Publication of KR2022003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The system comprises: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fragrance produc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image information which is input by a user with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includ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and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 matching result.

Description

향 관련 제품 추천 시스템 {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Fragrance-relat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

본 발명은 향 관련 제품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에 대한 분위기를 이미지로 표현하면 이와 유사한 분위기를 연상시키는 향 관련 제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grance-relat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commending a fragrance-related product reminiscent of a similar atmosphere when a consumer expresses an atmosphere for a desired fragrance as an image.

인간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증대되는 추세이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개성을 추구하고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향이 나는 제품을 (이하 향제품이라 한다)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향제품에는 향수, 발향제, 디퓨져, 향초, 크림, 분 등이 있다. As people's overall quality of life improves, interest in appearance is increasing. Modern consumers are using scented produ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ented products) as a means to pursue individuality and create an image. These fragrance products include perfumes, fragrances, diffusers, scented candles, creams, and powders.

향제품을 사용할 때는 옷을 고를 때와 마찬가지로 기분, 장소, 상황 등 분위기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보다 가볍고 상쾌한 분위기의 향수는 여름에 더 잘 사용하고, 감싸주는 느낌이 있으며 따뜻하고 잘 퍼지는 분위기의 향수는 겨울에 더 선호하는 식이다. 또 우울할 때는 밝은 분위기의 향수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입사 면접을 보러 갈 때는 진중한 분위기의 향수를 선호하기도 한다.When using scented products, like when choosing clothes, use them according to mood, place, and situation. For example, a lighter and more refreshing fragrance is better used in summer, enveloping, and a warm, spreadable fragrance is preferred in winter. Also, when I am depressed, I use a bright perfume more often, and when I go to a job interview, I prefer a more serious perfume.

소비자가 향제품을 선택할 때, 향제품을 파는 점원의 안내에 받게 되는데, 향제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지 않은 소비자의 경우는 자신이 원하는 향을 언어로 점원에게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향제품의 향이 복수인 복합향인 경우는 더더욱 향을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 그리고 소비자의 부정확한 표현에 따라서 점원은 향제품을 안내하고 소비자는 안내 받은 몇가지 향제품의 향을 시향하고 선택한다. 특히 향수의 경우는 시향 과정에서 톱노트 (조합된 향료 가운데 가장 휘발성이 높은 성분으로 향수가 공기와 접촉을 시작한 후 10분~20분 정도 지속) 만으로 향수를 선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소비자는 매장에서 향수를 시향 후 즉시 구매하고자 하기 때문에 향 지속 시간이 더 긴 미들 노트(1~2시간 향 지속)와 베이스 노트(3시간 이상 향 지속)를 잘 고려하지 않는다. 결국 점원의 안내에 의존하게 되고 자신의 취향에 맞지 않는 향수를 선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When a consumer selects a fragrance product, they are guided by the clerk who sells the fragrance product. For a consumer who does not have a lot of knowledge about fragrance products, it is not easy to express the desired fragrance to the clerk in words. In particular,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express the fragrance in words when the fragrance product is a complex fragrance with multiple fragrances. And according to the consumer's inaccurate expression, the clerk guides the fragrance product, and the consumer smells and selects the fragrance of several fragrance produ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fume, it is common to select a perfume based only on the top note (the most volatile ingredient among the combined perfumes, which lasts about 10 to 20 minutes after the perfume starts contacting air) during the scenting process. Because consumers want to buy perfumes immediately after smelling them at the store, they do not consider middle notes (a fragrance that lasts for 1-2 hours) and base notes (a fragrance that lasts more than 3 hours), which have a longer fragrance duration. In the end, they depend on the guidance of the clerk and often choose a perfume that does not fit their taste.

Sephora.com을 비롯하여 향제품 판매점들은 소비자들이 각자가 선호하는 향에 따라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소비자가 입력한 향에 대한 설명을 사용하여 판매되고 있는 향제품을 매칭한다. Perfume retailers, including Sephora.com, offer services that help consumers find the product they want based on their scent preference. These services use the fragrance description entered by the consumer to match the fragrance product being sold.

그러나 종래의 향제품 추천 시스템은 소비자가 언어로 표현하는 향에 근거하여 향제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향에 근접한 향제품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selects a fragrance product based on the fragrance expressed by the consumer, there is a limit in finding a fragrance product close to the fragrance that the consumer truly wants.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4326호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단순히 사용자의 피부정보에 기초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수준에 그칠 뿐이며, 소비자가 원하는 향제품을 추천하는 구성은 개시되지 않았다. In addition, although a program to recommend cosmetics by acquiring user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64326, it is only at the level of recommending cosmetics based on the user's skin information. A composition for recommending a fragrance product is not disclo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43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4326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언어로 표현하여 향제품을 검색하고 선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에 대한 분위기를 이미지로 표현하면 이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분위기를 연상시키는 향을 가진 향제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a consume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fragrance product by expressing his or her desired fragrance with language. A system for recommending fragrance products with a reminiscent scent is provided.

상기 이미지는 색과 모양으로 표현되는 디지털 정보이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거나, 영상기기로 촬영하여 사용된다. The image is digital information expressed in color and shape, and is input through an input window or used by photographing with an ima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in the problems to be solved,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향에 대한 분위기 정보로서 이미지에 포함된 색과 모양을 사용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lor and shape included in the image as atmosphere information about the fragrance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은, 향제품의 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유닛;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향에 대한 색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유닛;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상기 저장유닛에 포함된 향제품의 향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매칭 유닛의 매칭 결과에 따라 향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color information about a fragrance desired by the user;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with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and an output unit that provides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 matching result of the matching unit.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은, 향 제품의 관련 정보(이하 "향 제품 정보"라 한다)로서 향 제품의 이름, 제조사, 출시일 등의 일반 정보와 노트와 어코드 등의 향 관련 정보(이하 "향 정보"라 한다)를 포함한다. The content storage unit includes gener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manufacturer, and release date of the fragrance product as related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nd fragrance-related information such as notes and acc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agrance information"). do) is included.

향제품 중 특히 향수는 여러 종류의 향료에 알코올을 혼합하여 향을 휘발시키는 것으로서 어떤 향료들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는가에 따라 향수를 뿌린 후 시간이 지나면서 향의 느낌이 달라진다. 향은 발향 단계에 따라 톱 노트(top note), 미들 노트(middle note) 그리고 베이스 노트(base note)로 구분한다. 즉 향수의 본체는 베이스 노트이나 향수의 첫인상은 톱 노트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수의 향 정보로 톱 노트(top note), 미들 노트(middle note) 그리고 베이스 노트(base note) 각각에 향 원료 정보를 포함한다. Perfume, in particular, is a product that mixes alcohol with several types of fragrances to volatilize the fragrance. Scents are classified into top notes, middle notes, and base no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cens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body of a perfume is determined by the base notes, but the first impression of a perfume is determined by the top notes. Therefore, as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perfume, information on the raw material of the fragrance is included in each of the top note, the middle note, and the base note.

상기 입력유닛은 사용자가 선택한 한 개 이상의 색 정보를 입력으로 받는다. 색 정보가 입력되어지는 방법으로는 색팔레트와 같은 입력창을 통해서 색이 선택되어지거나, 카메라 같은 영상기기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 이미지가 촬영된 후 색 정보가 추출되거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이미지가 선택된 후 색 정보가 추출되는 방식 등이 있다. The input unit receives one or more colo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s an input. As a method of inputting color information, a color is selected through an input window such as a color palette, or a video image is captured in real time us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and then the color information is extracted or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There is a method in which color information is extracted after a previously stored video image is selected.

또한, 상기 매칭유닛은,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입력된 색 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a)단계;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향제품의 향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b)단계; 및 상기 환산된 두개의 값을 다수의 향제품에 대해서 유사한 정도를 비교 수행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확인방법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향제품을 찾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a) converting the colo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to a value; (b) converting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a value; and (c) comparing the two converted values to a similar degree for a plurality of fragrance products;

이때, 상기 확인방법은, 상기 (b)단계에 있어서, 향제품의 향이 복합향인 경우 그 향제품의 노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반영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confirmation method, in the step (b), when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product is a complex fragrance, the proportion of notes of the fragrance product may be reflec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향제품 추천 시스템에 의하면, 소비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미지를 색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손쉽고 또 정확하게 자신이 원하는 향을 가진 제품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 consumer can more easily and accurately find a product having a desired fragrance by expressing the image he or she thinks in a color.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색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입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출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입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mode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put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utput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uni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nclude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현대는 개성이 중요시 됨에 따라 개인은 자신의 이미지를 최대한 표출하기 위하여 향제품을 사용하고 어느 때보다 향제품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향제품은 다양한 향을 사용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폭을 넓혔고 이러한 현상은 동시에 소비자에게 선택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원하는 향을 가진 향제품을 추천하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As individuality becomes more important in modern times, individuals use fragrance products to maximize their image, and the fragrance industry is developing more than ever. Fragrance products use a variety of fragrances to broaden consumers' choices, and this phenomenon is giving consumers difficulties in choos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a technology that recommends a fragrance product with a fragrance desired by consumers is attracting attention.

소비자가 향제품을 선택할 때, 자신이 원하는 향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언어가 아닌 좀더 쉽고 정확한 표현 수단이 요구된다. When a consumer selects a fragrance product, it is not easy to express the fragrance they want through language, so an easier and more accurate means of expression is required rather than language.

인간은 눈으로 인식한 시각정보를 통해 사물의 냄새를 식별하기도 한다. 인지된 색채정보가 특정 사물의 이미지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연상된 이미지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냄새를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Humans also recognize the smell of objects through visual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ir eyes. This is because the perceived color information evokes the image of a specific object, so that the smell can be guess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associated image.

본 발명은 소비자가 선택한 색과 모양에 대해서, 그 색 또는 모양으로부터 연상된 분위기에 가장 유사한 향을 가진 향제품을 찾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nding a fragrance product having a fragrance most similar to an atmosphere associated from the color or shape with respect to a color and shape selected by a consumer.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는 컨텐츠 저장유닛(100), 사용자 입력유닛(200), 매칭유닛(300), 출력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ent storage unit 100 , a user input unit 200 , a matching unit 300 , and an output unit 400 . is composed by

이때, 컨텐츠 저장유닛(100), 사용자 입력유닛(200), 매칭유닛(300), 출력유닛(400)은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의 다양한 매체에서 단독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 이들이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구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storage unit 100 , the user input unit 200 , the matching unit 300 , and the output unit 400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in various media such as smartphones, computers, and TVs, and these may be wired/wireless.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being connected by communication.

즉, 전술한 각 구성을 어떻게 무엇으로 구현하는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 제1 실시예를 비롯한 다른 실시예 모두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구현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how to implement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owever,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 implementation of all other embodiments including the first embodiment through one portable terminal 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저장유닛(100)은 향제품의 다양한 정보를 컨텐츠로 저장한다.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each configur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irst, the content storage unit 100 stores various information of fragrance products as content.

이때, 컨텐츠는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비교해야 할 향제품의 원료에 해당하는 노트와 향의 조합을 나타내는 어코드 등의 향정보와 이외에도 출력유닛에서 추가적으로 표시할 향제품의 이름, 제조사 등 일반적인 정보를 더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contents include flavor information such as an accord indicating a combination of notes and fragrances corresponding to the raw material of the fragrance product to be compared with the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gener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nd manufacturer of the fragrance product to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further includes

입력유닛(200)은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색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거나 사용자 단말기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다른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 파일을 입력 받아서 이로부터 색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유닛은 한 개 이상의 색 정보를 이용한다. The input unit 200 may receive color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window of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a video image captured by a camera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or an image image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anoth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put and color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therefrom. This input unit uses one or more color information.

매칭유닛(3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향제품이 검색될 때,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컨텐츠 저장유닛에 포함된 향제품의 향이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구성이다.The match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product includ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are similar when a fragrance product is search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이때, 매칭유닛(3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색과 향제품의 향이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checking whether the color desired by the user and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product are similar through the matching unit 300 , and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확인방법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a)단계 내지 (c)단계와 같이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세 단계는 순서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However,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if an example of the confirmation method is given, it may be composed of three steps, such as steps (a) to (c) as follows, but these three step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e order of course. .

구체적으로, 확인방법의 일례는 입력유닛을 통해 입력된 색 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a)단계; 컨텐츠 저장유닛에 저장된 향제품의 향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b)단계; 및 환산된 두개의 값을 다수의 향제품에 대해서 비교 수행하여 유사한 향제품을 찾는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example of the confirmation method includes: (a) converting color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 unit into a value; (b) converting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into a value; and (c) finding a similar fragrance product by comparing the two converted values for a plurality of fragrance products.

이때, 각 단계에서의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a)단계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유닛(20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색을 지정한다 (도 3). 이때 사용하는 색모드는 HSB,RGB,CMYK 등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도 2). 본 실시예에서의 색모드는 HSB를 사용하고 입력유닛(200)은 색상환(210)을 이용한다. 색상환은 색상의 변화를 계통적으로 고리 모양으로 배열한다. 사용자는 색상환 상에서 색 하나를 선택하고 (220) 이렇게 선택된 색은 [1 ~ 360] 중의 하나가 선택된다. At this time, the process in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step (a), the user designates a desired colo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00 (FIG. 3). In this case, any color mode such as HSB, RGB, or CMYK may be used (FIG. 2). The color mode in this embodiment uses HSB and the input unit 200 uses the color wheel 210 . The color wheel systematically arranges the color changes in a ring shape. The user selects one color on the color wheel (220), and one of [1 to 360] is selected for the selected color.

한편 (b)단계에서는 저장유닛에 저장된 향제품의 향이 값으로 저장된다. 예시적으로 향수 "아쿠아디지오 프로퓨모"의 경우 향정보로서 5개의 노트 (Geranium, Rosemary, Sage, Patchouli, Incense) 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노트는 [표1]과 같은 향기 그룹 (olfactory group)에 매핑된다. 향기그룹으로는 Michael Edwards가 디자인한 향기그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는 [Floral, Soft Floral, Floral Oriental, Soft Oriental, Oriental, Woody Oriental, Woods, Mossy Woods, Dry Woods, Aromatic, Citrus, Fruity, Green, Water]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향기그룹은 "향기 바퀴(The Fragrance Wheel)”로 연관된다. 향기바퀴는 향수 업계에서 사용하는 향 분류 체계이다. 향기 그룹 (olfactory group)을 고리 모양으로 배치하여 그들 향기 그룹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향기바퀴 상에서 이웃하는 향기 그룹은 그렇지 않은 향기 그룹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향기적 특징을 공유한다. 이는 색상환의 색 배치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실시예의 향수는 이를 구성하는 노트들을 [표1]의 향기그룹으로 1차 변환하고 이러한 향기그룹은 [표2]의 향기바퀴 상의 대표값으로 2차 변환된다. Meanwhile, in step (b),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produ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stored as a value. 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fume "Aqua Digio Profumo", it consists of 5 notes (Geranium, Rosemary, Sage, Patchouli, Incense) as fragrance information. Each note is mapped to an olfactory group as shown in [Table 1]. A fragrance group designed by Michael Edwards may be used as the fragrance group. These include [Floral, Soft Floral, Floral Oriental, Soft Oriental, Oriental, Woody Oriental, Woods, Mossy Woods, Dry Woods, Aromatic, Citrus, Fruity, Green, Water]. And these fragrance groups are associated with "The Fragrance Wheel." The fragrance wheel is a classification system of fragrances used in the perfume industry. By arranging olfactory groups in a ring shap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ragrance groups is The neighboring fragrance groups on the fragrance wheel share relatively more fragran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non-fragrance groups.It is similar to the color arrangement principle of the color wheel. Therefore, the perfume of the embodiment contains the notes constituting it [ It is first converted to the fragrance group in Table 1], and this fragrance group is converted secondarily to the representative value on the fragrance wheel in [Table 2].

이때 표2의 각 향기그룹에 해당하는 변환값은, 향기바퀴 상의 향기그룹과 색상환 상의 색 간의 매핑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매핑은, 향기그룹의 향을 맡았을 때 연상되는 색에 대응하는 값으로 이는 향기와 색의 상호 변환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구축된다. 캐러멜이나 꿀 향을 맡으면 주황색(Orange)이 연상되는 것이 그 예이다. 이러한 연구는 설문이나 빅데이터 처리를 통해 가능하고, 성별, 나이, 지역, 직업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축이 가능하다. 표2의 Floral Oriental에 해당하는 값이 "30"인 것은 향기그룹 Floral Oriental에 해당하는 노트 (예: Caramel, Honey) 향을 맡았을 때 연상되는 색이 Orange이고 Orange는 표3의 색-대표값 테이블에서 "30"의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표3의 색-대표값 테이블은 도2와 같은 기존의 색모드이어도 되고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At this time, the conversion value corresponding to each fragrance group in Table 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pping between the fragrance group on the fragrance wheel and the color on the color wheel. This mapping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ssociated with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group, and it is built based on the results of many studies on the mutual conversion between fragrance and color. For example, orange is associated with the smell of caramel or honey. Such research is possible through questionnaire or big data processing, and it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gender, age, region, occupation, etc. When the value corresponding to Floral Oriental in Table 2 is "30", the color associated with the fragrance group Floral Oriental (eg, Caramel, Honey) is Orange, and Orange is the color-representative value of Table 3. This is because it has a value of "30" in the table. The color-representative value table in Table 3 may be an existing color mod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defined and used separately.

실시예에서의 향수 "아쿠아디지오 프로퓨모"는 아래와 같이 값으로 변환된다. 실시예에서는 3차 변환에서 산술평균을 사용한다. 이는 각 노트의 비중을 동일하게 한 것으로, 베이스 노트의 비중을 높이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perfume "Aquadigio Profumo" in the embodiment is converted into a value as follows. In the embodiment, the arithmetic mean is used in the cubic trans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weight of each note is the same,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base note are possible.

노트: Bergamot + Sea Water + Geranium + Rosemary + Sage + Patchouli + IncenseNotes: Bergamot + Sea Water + Geranium + Rosemary + Sage + Patchouli + Incense

1차 변환: Citrus + Water + Floral + Aromatic + Aromatic + Woody Oriental + Soft Oriental1st Transformation: Citrus + Water + Floral + Aromatic + Aromatic + Woody Oriental + Soft Oriental

2차 변환: 180 + 120 + 60 + 2Х210 + 300 + 152nd Transformation: 180 + 120 + 60 + 2Х210 + 300 + 15

3차 변환: (2차 변환) / 7 = 1563rd order transformation: (2nd order transformation) / 7 = 156

노트-향기그룹 테이블Note-fragrance group table 노트note 향기그룹fragrance group VanillaVanilla OrientalOriental CinnamonCinnamon OrientalOriental MuskMusk OrientalOriental AmberAmber Soft OrientalSoft Oriental IncenseIncense Soft OrientalSoft Oriental TuberoseTuberose Floral OrientalFloral Oriental Orange BlossomOrange Blossom Floral OrientalFloral Oriental CaramelCaramel Floral OrientalFloral Oriental HoneyHoney Floral OrientalFloral Oriental VioletViolet Soft FloralSoft Floral AldehydesAldehydes Soft FloralSoft Floral RoseRose FloralFloral LilyLily FloralFloral GeraniumGeranium FloralFloral PeachPeach FruityFruity AppleApple FruityFruity GrassGrass GreenGreen Sea WaterSea Water WaterWater BergamotBergamot CitrusCitrus CitrusesCitruses CitrusCitrus RosemaryRosemary AromaticAromatic SageSage AromaticAromatic OakmossOakmoss Mossy WoodsMossy Woods VetiverVetiver WoodsWoods CedarwoodCedarwood WoodsWoods PatchouliPatchouli Woody OrientalWoody Oriental SandalwoodSandalwood Woody OrientalWoody Oriental

향기그룹-대표값 테이블Fragrance group-representative value table 향기그룹fragrance group 대표값representative value OrientalOriental 1One Floral OrientalFloral Oriental 3030 .... .... FloralFloral 6060 FruityFruity 9090 .... .... WaterWater 120120 CitrusCitrus 180180 .... .... WoodsWoods 240240 Woody OrientalWoody Oriental 300300 .... ....

색-대표값 테이블color-representative value table color 대표값representative value RedRed 1One OrangeOrange 3030 .... .... YellowYellow 6060 ChartreuseChartreuse 9090 .... .... GreenGreen 120120 CyanCyan 180180 .... .... BlueBlue 240240 Magentamagenta 300300 .... ....

향정보로서 노트 외에 개별 향들의 조합인 어코드(Accord)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어코드로는 [Amber, Aquatic, Aromatic, Balsam, Citrus, Floral, Fresh, Fruit, Gourmand, Green, Herbal, Oriental, Spice, Woods] 등이 있다. As fragrance information, in addition to notes, an accord, a combination of individual fragrances, is used. Common accords include [Amber, Aquatic, Aromatic, Balsam, Citrus, Floral, Fresh, Fruit, Gourmand, Green, Herbal, Oriental, Spice, Woods].

향제품에 향정보로서 포함되는 어코드는 각 어코드와 함께 쌍으로 비율이 포함되기도 하는데 이는 각 어코드가 다른 어코드에 비하여 얼마나 더 뚜렷한지를 나타내는 상대적 비율값으로 향전문가나 일반 소비자들의 반응 (의견 또는 투표 등)을 수렴하여 결정된다.Accords included as fragrance information in fragrance products are sometimes included in pairs with each accord, which is a relative proportion value indicating how distinct each accord is compared to other accords, and the reaction (opinion or vote, etc. ) is determined by convergence.

예시적으로 향수 크리스챤 디올의 '소바쥬'의 경우 향정보로서 3개의 어코드 (Bergamot, Amber, Woods)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상대적 뚜렷한 정도를 1부터 10까지의 스케일로 나타냈을 때 각각 7, 2, 1인 경우, 아래와 같이 변환된다. For example, the perfume Christian Dior's 'Sauvage' is composed of three accords (Bergamot, Amber, Woods) as fragrance information. When their relative distinctness is expressed on a scale of 1 to 10, if they are 7, 2, and 1, respectively, they are converted as follows.

어코드: Bergamot x 7 + Amber x 2 + Woods x 1 Accord: Bergamot x 7 + Amber x 2 + Woods x 1

1차변환: Citrus x 7 + Soft Oriental x 2 + Woods x 1 1st Transformation: Citrus x 7 + Soft Oriental x 2 + Woods x 1

2차변환: 180 x 7 + 15 x 2 + 240 x 1 Quadratic transformation: 180 x 7 + 15 x 2 + 240 x 1

3차변환: (2차 변환) / 10 = 153cubic transformation: (secondary transformation) / 10 = 153

그리고 (c)단계에서의 매칭유닛(300)은 입력유닛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선택한 색에 대한 색정보의 환산값과 컨텐츠 저장유닛에 저장된 향제품의 향정보에 대한 환산값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값을 갖는 향제품을 우선적으로 출력유닛(400)을 통해 표시한다. 이때 복수개의 향제품이 선택될 수 있다. And the matching unit 300 in step (c) compares the converted value of the color information for the color selected by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converted value of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to the most similar Fragrance products having a value are preferentially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400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ragrance products may be selected.

제1 실시예의 경우에 향수 "아쿠아디지오 프로퓨모"는 향정보의 환산값이 "156"이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색 정보가 Green과 (환산값 120) Cyan (환산값 180) 사이의 색인 경우, 유사한 향수로 추천된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erfume "Aqua Digio Profumo" has a converted value of "156", so if the colo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between Green and (converted value 120) and Cyan (converted value 180), similar Recommended as a perfum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향제품 추천 시스템이 적용된 제2 실시예의 입력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그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shows the input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통해 영상 이미지를 입력 받아서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색과 유사한 향을 가진 향제품을 검색하고 그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입은 옷과 어울리는 이미지의 향수를 찾고자 자신의 옷을 촬영한 경우, 옷의 상의와 하의의 촬영 영상이 입력되는, 즉 2개 이상의 색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매칭유닛은 각각의 색 정보에 해당하는 향기그룹에 속하는 향정보를 함께 갖는 향제품이 매칭된다.It receives a video image through a video device such as a camera of a user terminal, searches for a fragrance product with a scent similar to a color included in the video image,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When a user takes a picture of his/her clothes to find a perfume of an image that matches the clothes he/she wears, and when the captured imag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clothes is input, that is, when two or more color information is input, the matching unit is configured for each color Fragrance products having fragrance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fragrance group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re matched.

한편, 출력유닛(400)은 매칭유닛의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데, 그 정보는 소비자가 입력한 색과 향제품 정보로서 제조사와 노트 등을 포함한다 (도 4).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unit 400 displays the matching result of the matching unit, the information includes a manufacturer, notes, etc. as color and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input by the consumer (FIG. 4).

한편 색 정보와 함께 모양 정보도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향에 대한 분위기 정보를 나타내준다. On the other hand, shape information along with color information indicates mood information about a fragrance that the user wants.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가 옷인 경우에 동일한 색이라고 하더라도 그 옷 모양이 정장인지 캐쥬얼인지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다. 정장은 스마트하거나 진지해 보이고 청바지에 티셔츠 같은 캐쥬얼은 자유롭고 크리에이티브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객체가 옷인지 그리고 옷 중에서도 정장인지 캐쥬얼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객체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인식부는 이미지 속의 사물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Object Detection)하고 인식(Object Recognition)한다. I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s clothes, even if the color is the same, the atmosphere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clothes are formal or casual. Suits look smart or serious, and casual clothes like jeans and T-shirts create a free and creative atmosphere. An object recognition unit may be includ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clothes and whether it is a suit or casual clothes among clothes. The object recognition unit detects and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n order to determine what the object is in the image.

따라서 색 정보와 함께 모양 정보도 향기 제품을 선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shape information along with color information can be used to select a fragrance product.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컨텐츠 저장유닛
200 : 입력유닛
300 : 매칭유닛
400 : 출력유닛
210 : 색상환
220 : 색 선택
100: content storage unit
200: input unit
300: matching unit
400: output unit
210: color wheel
220 : color selection

Claims (8)

향제품 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유닛;
사용자로부터 색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에 포함된 향제품 정보 중 향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매칭 유닛의 매칭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olor information from a user;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fragrance information amo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and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provides a matching result of the matching unit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비교해야 할 향제품의 향정보로 노트와 어코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storag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notes and accords as fragrance information of a fragrance product to be compared with the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색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색정보, 영상기기로 실시간 촬영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색정보, 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is
using at least one of colo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lor input window, col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video image captured in real time with an imaging device, and col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pre-stored video image;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유닛은,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a)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에 저장된 향제품의 향 정보를 값으로 환산하는 (b)단계; 및
상기 환산된 두개의 값을 다수의 향제품에 대하여 비교하여 유사한 향제품을 찾는 (c)단계;를 포함하는 확인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색 정보와 그 이미지가 유사한 향을 지닌 향제품을 추천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tching unit is
(a) converting the colo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nto a value;
(b) converting the fragranc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product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into a value; and
Through the confirmation method comprising; (c) to find a similar fragrance product by comparing the two converted value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fragrance products,
Recommending fragrance products with a similar scent to the color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유닛은,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2개 이상의 색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엔 각각의 색 정보에 해당하는 2개 이상의 향기그룹에 속하는 향정보를 함께 갖는 향제품을 찾아 추천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tching unit is
When two or more color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t is recommended to find and recommend a fragrance product having fragrance information belonging to two or more fragrance groups corresponding to each color information,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유닛은,
상기 매칭유닛의 매칭 결과로서 찾아진 1개 이상의 향제품에 대하여 가장 유사한 향제품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s
In order to preferentially display information on the most similar fragrance products with respect to one or more fragrance products found as a result of the matching of the matching unit,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향제품 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유닛;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에 포함된 향제품 정보 중 향 정보를 매칭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매칭 유닛의 매칭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는,
향제품 추천 시스템.
a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 user;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fragrance information among fragranc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and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provides a matching result of the matching unit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입력유닛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색정보와 모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
향제품 추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mage information is
using at least one of color information and sha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KR1020200118938A 2020-09-16 2020-09-16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KR202200365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38A KR20220036568A (en) 2020-09-16 2020-09-16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38A KR20220036568A (en) 2020-09-16 2020-09-16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68A true KR20220036568A (en) 2022-03-23

Family

ID=8096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38A KR20220036568A (en) 2020-09-16 2020-09-16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656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868B1 (en) * 2022-08-19 2023-02-06 주식회사 커넥터 Fashion-related customized perfum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326A (en) 2016-11-10 2018-06-1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Personalized cosmetics recommendation method and recommended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326A (en) 2016-11-10 2018-06-1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Personalized cosmetics recommendation method and recommende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868B1 (en) * 2022-08-19 2023-02-06 주식회사 커넥터 Fashion-related customized perfum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9870A (en) Fragrance-relat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US10395300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ersonalized expert cosmetics recommendation using hyperspectral imaging
Spence Olfactory-colour crossmodal correspondences in art, science, and design
Moskowitz et al. Odor intensity and pleasantness for a diverse set of odorants
Pensé‐Lhéritier Recent developments in the sensorial assessment of cosmetic products: A review
US20030014324A1 (en) Techniques for synthesizing and distributing personal care products
JP6933464B2 (en) Fragrance composition construction system
US20180089739A1 (en) Predicting user preferences based on olfactory characteristics
Skorinko et al. A rose by any other name…: Color‐naming influences on decision making
JP6665899B2 (en) Scent present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KR20220036568A (en) Fragrance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Ellena Perfume: The alchemy of scent
KR102272390B1 (en) Recommendation system for fragrance and recommendation method therefor
Lokman et al. Validation of kansei engineering adoption in e-commerce web design
US20200175728A1 (en) Method for expressing image with colors and color expression drawing
Barwich et al. Fashion fades, Chanel No. 5 remains: Epistemology between style and technology
KR102457943B1 (en) Nail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pplication using platform and apparatus therefore
Lokman et al. A Kansei system to support children's clothing design in Malaysia
KR20200067369A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personal customized cosmetic information
Wyler Color terms between elegance and beauty
US20030228999A1 (en)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osition for customizing the combination of fragrances
KR20220145557A (en) Customized Cosmetics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21988B1 (en) System for providing image based personal perfume recommendation service
CN114402349A (en) Computing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of a cosmetic palette or a hair coloring scheme
Bug et al. Fashion product placement in international tv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