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740A -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740A
KR20220035740A KR1020200117855A KR20200117855A KR20220035740A KR 20220035740 A KR20220035740 A KR 20220035740A KR 1020200117855 A KR1020200117855 A KR 1020200117855A KR 20200117855 A KR20200117855 A KR 20200117855A KR 20220035740 A KR20220035740 A KR 20220035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rone
drone
performance
performance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퀘어
Priority to KR102020011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5740A/ko
Publication of KR2022003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2Static balancing; 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G01M1/122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G01M1/125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of aircraft
    • G01M1/127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of aircraft during the f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대상 드론에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와, 각각의 모션 센서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모션 센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감지부와,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 성능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신력있는 드론 성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Dr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본 발명은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능 평가 대상 드론에 부착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통해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조종에 의해서 또는 자율비행제어 장치에 의해서 비행을 하여 정찰, 폭격, 화물 수송, 산불 감시, 방사능 감시 등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가 힘들거나 직접 수행하기에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기를 의미한다.
드론(drone)은 무인 비행기의 하나로 자체 동력을 갖추고 있지만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를 말한다. 종래에는 드론이 주로 군사용 목적으로 이용되었지만, 최근 들어 상업적 활용가치가 부각되면서 여러 업체들이 드론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하거나, 물류 배송, 방 송 레저 등 다양한 상업적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론은 비행 성능 결함 등의 오동작으로 인해 추락할 우려가 있으며, 추락시 여러 고가의 부품들이 파손되어 경제적 피해가 발생되거나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적인 안전 사고가 동반될 수 있는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드론의 비행 성능 결함이 큰 피해를 유발할 수 있음에도, 현재 국내에는 드론 성능을 테스트하여 인증하는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드론의 비행 성능 결함 여부는 사용자가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관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드론의 성능 테스트는 공신력이 떨어지며 성능에 결함이 있더라도 이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0942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성능 평가 대상 드론에 부착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통해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대상 드론의 조작을 위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평가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수행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시 항목별 평가가 시작될 때마다 사용자가 대상 드론의 평가 항목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 성능 평가를 위한 대상 드론의 조작을 곧바로 수행하더라도 항목별 평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판단 기준을 실시간 풍속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하여,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성능 평가시 풍속이 드론 성능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은, 대상 드론에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와, 각각의 모션 센서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모션 센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감지부와, 각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서버는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형상 생성부와,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정보, 경로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그리고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의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된 수평정보와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상태가 기준 각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호버링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소정 높이까지 이륙하거나 또는 소정 높이에서 착륙 중에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대상 드론의 이착륙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이착륙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직진 비행하는 중에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직전성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비행 중에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전환성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속도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가속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 중에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감속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 중에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호버링 상태가 된 시점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감속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에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의 종류와 순서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에 대하여 성능 평가가 수행될 평가 항목을 선택하는 평가 항목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는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기준이 되는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기준 설정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풍속 정보에 비례하도록 기준 범위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능 평가 대상 드론에 부착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평 정보, 경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통해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 평가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신력 있는 드론 성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드론의 조작을 위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평가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수행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시 항목별 평가가 시작될 때마다 사용자가 대상 드론의 평가 항목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 성능 평가를 위한 대상 드론의 조작을 곧바로 수행하더라도 항목별 평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론 성능 평가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판단 기준을 실시간 풍속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하여,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성능 평가시 풍속이 드론 성능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바람의 영향이 있는 실외에서도 형평성 있는 드론 성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생성한 드론에 3D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형상을 이용한 항목별 평가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 및 감속 평가를 위한 시간에 따른 드론 속도 그래프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이하, '평가 시스템'이라 한다)은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의 적합성 여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에서는 모션 캡쳐 기술을 적용하여 드론의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은 성능 평가 대상이 되는 대상 드론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모션 센서(10)와, 각 모션 센서(10)에 대한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모션 센서(10)를 감지하여 각 모션 센서(10)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감지부(30), 그리고 센서 감지부(30)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모션 센서(10)는 3d 형상 데이터 생성시 대상 드론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 가능하도록 대상 드론의 일측에 편향되지 않게 전체적 고르게 부착한다. 바람직하게, 모션 센서(10)는 대상 드론의 중심부 상측 또는 하측, 그리고 각 암대 또는 각 모터의 주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각 암대 또는 각 모터 주변에 부착되는 모션 센서(10)는 중심부에 부착되는 모션 센서(10)를 기준으로 서로 간에 대칭을 이루도록 부착함으로써 모션 센서(10)를 이용하여 생성한 3d 형상이 균형잡힌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암대 또는 각 모터 주변에 부착되는 모션 센서(10)는 서로 간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모션 센서(10)를 이용하여 생성한 3d 형상을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10)는 모션 캡쳐를 위해 대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모션 캡처의 방식에 따라 광학 마커, 관성식 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10)는 광학식 모션 캡쳐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에 부착되는 광학 마커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 감지부(30)는 각 모션 센서(10)에 대한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션 센서(10)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션 센서(10)에 광학 마커가 적용된 경우 센서 감지부(30)는 대상 드론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주지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이 구비되며 동일한 지점에 투영되도록 한 뒤 서버(50)에서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을 통해 각 광학 마커의 3차원 좌표를 역산할 수 있다.
센서 감지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센서 감지부(30)는 대상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비행경로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대상 드론의 이착륙 성능 테스트를 위해 이착륙 경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이착륙 경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대상 드론의 직진 비행에 따른 직진성 성능 테스트를 위해 직진 비행경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서버(50)는 센서 감지부(3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각 모션 센서(10)에 대한 좌표값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좌표값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평가 시스템은 성능 평가 대상 드론에 부착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드론의 비행 성능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신력있는 드론 성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생성한 드론에 3D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서버(50)는 센서 감지부(3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서버(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서버(50)는 센서 감지부(30)에서 생성한 감지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51)와, 수신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각 모션 센서(10)에한 3차원 좌표값을 생성하는 좌표값 생성부(52)와, 생성한 좌표값을 기초로 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형상 생성부(53)와,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54), 그리고 정보 생성부(54)에서 생성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성능 평가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51)는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감지부(30)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대상 드론을 조작하는 조작 장치로부터 발신되는 드론 조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외부로부터 풍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51)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풍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풍속 감지 센서가 대상 드론을 테스트하는 장소에 설치되고 테스트 장소에서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풍속 정보를 생성하며, 통신부(51)는 풍송 감지 센서에서 생성한 풍속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생성부(52)는 센서 감지부(3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각 모션 센서(10)에 대한 3차원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센서 감지부(3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을 통해 각 모션 센서(10)의 3차원 좌표를 역산할 수 있다.
3d 형상 생성부(53)는 좌표값 생성부(52)에서 생성한 각 모션 센서(10)의 3차원 좌표값을 기초하여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d 형상 생성부(53)는 각 3차원 좌표값을 기초하여 각 모션 센서(10)의 3차원 좌표를 기준점(d)으로 하고 서로 간에 가까운 기준점(d)을 연결하여 대상 드론의 3d 형상 데이터(m)를 생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에서 대상 드론의 비행 성능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대상 드론의 구체적인 형상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골격 형상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생성부(54)는 3d 형상 생성부(53)에서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수평정보, 경로정보 및 속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 생성부(54)는 3d 형상 생성부(53)에서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몸체 기울기에 대한 수평정보를 생성하는 수평정보 생성부(541)와, 3d 형상 생성부(53)에서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동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542), 그리고 3d 형상 생성부(53)에서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속도정보 생성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평정보 생성부(541)는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의 기준점 중에서 중심에 배치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 배치되는 기준점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연결선의 기울기를 산출함으로써 대상 드론의 수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3d 형상 생성부(53)에서 생성하는 3d 형상 데이터는 일회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초)마다 연속하여 생성되는 것인데, 경로정보 생성부(542)는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3d 형상 데이터를 연결하여 대상 드론이 이동한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경로정보 생성부(542)는 3d 형상 데이터 중에서도 중심에 배치되는 기준점을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로정보 생성부(542)는 소정 시간마다 생성되는 중심 기준점을 연결하여 대상 드론의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정보 생성부(543)는 소정 시간마다 생성되는 3d 형상 데이터의 좌표값 변화를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속도정보 생성부(543)는 소정 시간마다 생성되는 중심 기준점의 좌표값 변화량을 이용하여 대상 드론의 속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성능 평가부(55)는 정보 생성부(54)에서 생성한 수평정보, 경로정보 및 속도정보와, 통신부(51)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 및 풍속정보에 기초하여 드론의 호버링 성능, 이착륙 성능, 직전성 성능, 전환성 성능, 가속 성능 및 감속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부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형상을 이용한 호버링 평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a)와(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형상을 이용한 이착륙 평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a)와(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형상을 이용한 직진성 평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의 (a)와(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형상을 이용한 전환성 평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 및 감속 평가를 위한 시간에 따른 드론 속도 그래프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성능 평가부(55)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성능 평가부(55)는 대상 드론의 각종 비행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호버링 평가부(551), 이착륙 평가부(552), 직진성 평가부(553), 전환성 평가부(554), 가속 평가부(555) 및 감속 평가부(5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부(55)는 각종 평가 항목 중 대상 드론의 작동중인 비행 동작에 따라 진행될 평가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평가 항목 선택부(557), 그리고 각 항목 평가에서 적합성 여부의 기준값 또는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55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버링 평가부(551)는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호버링 평가부(551)는 대상 드론의 정지 비행 상태인 호버링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 비행 상태를 유지하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버링 평가부(551)는 대상 드론의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된 수평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기울기 각도(a)가 수평상태를 기준으로 기준 각도를 한 번이라도 벗어났거나, 또는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된 수평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기울기 각도 평균값을 산출하여 산출한 각도 평균값이 기준 각도를 벗어난다면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버링 평가부(551)는 대상 드론의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데,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가 설정된 호버링 평가 기준 범위(s1)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면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반면에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 중 설정된 호버링 평가 기준 범위(s1)를 벗어난 경로구간이 존재한다면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버링 평가부(551)는 상술한 대상 드론의 수평정보에 기초한 호버링 평가와 경로정보에 기초한 호버링 평가가 함께 수행되며, 이 중 하나의 평가라도 부적합으로 평가되면 대상 드론의 호버링 평가를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착륙 평가부(552)는 대상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이착륙 평가부(552)는 대상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중에 수직 선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륙 또는 착륙 비행을 수행하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착륙 평가부(552)는 대상 드론이 소정 높이까지 이륙하거나 또는 소정 높이에서 착륙 중에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성능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데,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가 설정된 이륙 또는 착륙 평가 기준 범위(s2)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면 대상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성능을 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반면에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 중 설정된 이륙 또는 착륙 평가 기준 범위(s2)를 벗어난 경로구간이 존재한다면 대상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착륙 평가부(552)는 대상 드론의 배터리 소진시에 착륙 성능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소진시에 수행하는 착륙 성능 적합성 평가는 배터리 소진으로 인한 착륙 중에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착륙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한다는 것만 다를 뿐 일반적인 상술한 착륙 성능 적합성 여부와 동일하게 수행되는데, 배터리 소진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에서는 대상 드론에 연결되어 대상 드론의 배터리를 소진시키기 위한 배터리 소진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 소진 수단은 대상 드론에 연결되어 대상 드론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 또는 발광함으로써 대상 드론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빠르게 소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소진 수단은 드론 내부에 장착되 배터리의 잔량을 감지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대상 드론의 배터리 소진시의 착륙 성능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기도 전에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가 완전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소진 수단은 이와 같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드론의 배터리가 기준치 이하로 소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직진성 평가부(553)는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직진성 평가부(553)는 대상 드론의 직진 비행 상태에서 직선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하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9의 (a)와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진성 평가부(553)는 대상 드론의 직진 비행 상태에서 대상 드론이 소정 거리를 비행하는 동안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데, 도 9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가 설정된 직진성 평가 기준 범위(s3)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면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을 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반면에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 중 설정된 직진성 평가 기준 범위(s3)를 벗어난 경로구간이 존재한다면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환성 평가부(554)는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전환성 평가부(554)는 대상 드론이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비행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한 전환 각도에 따른 전환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전환성을 유지하는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0의 (a)와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환성 평가부(554)는 대상 드론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비행 상태에서 대상 드론이 소정 거리를 비행하는 동안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데, 도 10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가 설정된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s4)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면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을 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반면에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p) 중 설정된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s4)를 벗어난 경로구간이 존재한다면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s4)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으로의 전환성 평가가 개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방향에 따라 전환성 평가가 개별 이루어지는 경우 전환성 평가부(554)는 모든 방향으로의 전환성 평가 중 하나의 방향으로의 평가라도 부적합 평가가 이루어지면 전환성 성능은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가속 평가부(555)는 대상 드론이 정지 비행 상태에서 소정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평가할 수 있다. 즉, 가속 평가부(555)는 자동차의 '제로백'과 같이 정지 상태에서 소정 속도까지 가속하는데 걸리는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속 평가부(555)는 대상 드론이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속도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가속 평가부(555)는 호버링 상태인 초기 시간에서 소정 속도에 도달한 시간(t1)을 산출하여 가속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가속 평가부(555)는 소정 속도에 도달한 시간(t1)이 기준 시간 이하이면 적합으로 평가하고 소정 속도에 도달한 시간(t1)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가속 평가부(555)는 대상 드론의 가속 성능을 적합 또는 부적합이 아닌 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가속 평가부(555)는 소정 속도에 도달하기 까지의 걸린 시간(t1)을 사전에 설정된 등급별 가속 시간 중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대상 드론의 가속 성능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 평가부(555)는 호버링 상태에서 30km/h의 속도까지 도달하는데 1초 이내의 시간이 걸린다면 1등급, 1초를 초과하여 2초 이내의 시간이 걸린다면 2등급, 2초를 초과하여 3초 이내의 시간이 걸린다면 3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 평가부(555)가 대상 드론의 가속 성능을 적합 또는 부적합이 아닌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이유는 드론의 가속 성능은 드론의 안전성을 위한 성능과는 거리가 먼 항목이기 때문이다.
감속 평가부(556)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 중인 상태에서 정지 비행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 정보와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제동 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감속 평가부(556)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하도록 조작 장치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던 중에 조작을 멈추었을 때 호버링 상태가 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속 평가부(556)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하는 상태에서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서 감속을 시작하는 시점(t2)으로부터 속도가 0인 호버링 상태가되는 시점(t3)까지의 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 평가부(556)는 소정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에 도달한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이면 적합으로 평가하고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감속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감속 평가부(556)는 대상 드론 감속 성능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보다는 대상 드론이 해당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산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안전한 드론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드론이 소정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드론의 자중에 의한 관성 등에 관련된 문제이지 기능적인 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감속 평가부(556)는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하는 상태에서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호버링 상태가 된 시점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한 거리 정보 역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산출한 거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할 수 있다.
한편,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시 항목별 평가가 시작될 때마다 사용자가 대상 드론의 평가 항목을 일일이 설정함으로써 각 항목별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에서는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시 사용자가 평가 항목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 성능 평가를 위한 대상 드론의 조작을 바로 수행하더라도 항목별 평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이와 같이 항목별 평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통신부(51)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의 종류와 순서에 기초하여 대상 드론에 대하여 성능 평가가 수행될 평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비행하도록 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던 중에 제어신호 수신이 멈추고 별도의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호버링 평가부(551)에서 호버링 성능을 평가하도록 호버링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착륙 상태에서 수직 상승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착륙 평가부(552)에서 이륙 성능을 평가하도록 이륙 평가신호를 생성하고, 대상 드론이 비행하도록 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던 중에 제어신호 수신이 멈추고 별도의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다가 대상 드론이 수직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착륙 평가부(552)에서 착륙 성능을 평가하도록 착륙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전방 직진 방향으로 직진하는 제어신호가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면 직진성 평가부(553)에서 직진성 성능을 평가하도록 직진성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소정 각도로 방향 전환하도록 한느 방향 전환 제어신호가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면 전환성 평가부(554)에서 전환성 성능을 평가하도록 전환성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비행하도록 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던 중에 제어신호 수신이 멈추고 별도의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다가 대상 드론이 전방 직진 방향으로 직진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가속 평가부(555)에서 가속 성능을 평가하도록 가속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가 항목 선택부(557)는 대상 드론이 전방 직진 방향으로 직진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던 중에 제어신호 수신이 멈추고 별도의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감속 평가부(556)에서 감속 성능을 평가하도록 감속 평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설정부(558)는 각 항목 평가에서 적합성 여부의 기준을 설정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준 설정부(558)는 호버링 평가부(551)에서 호버링 성능 평가 적합성 판단 기준이되는 기준 각도와 호버링 평가 기준범위를 설정하며, 이착륙 평가부(552)에서 이륙 또는 착륙 성능 평가 적합성 판단 기준이 되는 이륙 평가 기준범위와 착륙 평가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직진성 평가부(553)에서 직전성 성능 평가 적합성 판단 기준이되는 직진성 평가 기준범위를 설정하며, 전환성 평가부(554)에서 전환성 성능 평가 적합성 판단 기준이되는 전환성 평가 기준범위를 설정하여, 각 설정 정보를 각각의 평가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설정값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을 그대로 설정값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값을 기준으로 하여 외부 요인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환하여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설정부(558)는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기준이 되는 기준 범위 또는 기준 각도를 설정할 때, 외부로부터 수신된 풍속 정보에 비례하도록 기준 범위 또는 기준 각도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버링 평가 기준 각도를 설정할 때 사용자 입력값이 10도라면 10도를 기준으로 잡고 수신된 풍속 정보가 5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10도를 그대로 설정값으로 설정하며, 수신된 풍속 정보가 5m/s를 초과하고 10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10도에서 1도를 가산하여 11도를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수신된 풍속 정보가 10m/s를 초과하고 15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10도에서 2도를 가산하여 12도를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준 설정부(558)는 호버링 평가 기준 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자 입력값이 직경이 10cm인 구 형태의 범위라고 하면 직경 10cm의 구 형태 범위를 기준으로 잡고 수신된 풍속 정보가 5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직경 10cm의 구 형태 범위를 그대로 설정값으로 설정하며, 수신된 풍속 정보가 5m/s를 초과하고 10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직경 10cm의 구 형태 범위에서 1cm 직경을 가산하여 직경 11cm인 구 형태 범위를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수신된 풍속 정보가 10m/s를 초과하고 15m/s 이하일 때에는 사용자 입력값인 직경 10cm의 구 형태 범위에서 2cm 직경을 가산하여 직경 12cm의 구 형태 범위를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풍속 정보는 소정 시간동안의 평균 풍속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은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판단 기준을 실시간 풍속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하여,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성능 평가시 풍속이 드론 성능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바람의 영향이 있는 실외에서도 형평성 있는 드론 성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설정부(558)는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를 대상 드론을 조작하는 조작 장치에서 대상 드론이 전환 비행하도록 전송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신호가 좌측으로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 우측으로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 상측으로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 또는 하측으로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에 따라 그에 맞추어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좌측으로 10도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 좌측으로 30도 전환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인지 따라서도 그에 맞추어 전환성 평가 기준 범위의 곡률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션 센서
30: 센서 감지부
50: 서버
51: 통신부
52: 좌표값 생성부
53: 3D 형상 생성부
54: 정보 생성부
541: 수평정보 생성부
542: 경로정보 생성부
543: 속도정보 생성부
55: 성능 평가부
551: 호버링 평가부
552: 이착륙 평가부
553: 직진성 평가부
554: 전환성 평가부
555: 가속 평가부
556: 감속 평가부
557: 평가 항목 생성부
558: 기준 설정부

Claims (11)

  1. 대상 드론에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
    각각의 상기 모션 센서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모션 센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감지부;
    각각의 상기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드론에 대한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3D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형상 생성부;
    생성한 상기 3D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수평정보, 경로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의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생성된 상기 수평정보와 상기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수평상태가 기준 각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호버링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소정 높이까지 이륙하거나 또는 소정 높이에서 착륙 중에 생성된 상기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 드론의 이착륙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이착륙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직진 비행하는 중에 생성된 상기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 드론의 직진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직전성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비행 중에 생성된 상기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의 이동경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대상 드론의 전환성 성능을 부적합으로 평가하는 전환성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호버링 상태에서 소정 속도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상기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가속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 중에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상기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에서 호버링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감속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이 소정 속도로 비행 중에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생성된 상기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버링 상태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호버링 상태가 된 시점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감속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에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의 종류와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드론에 대하여 성능 평가가 수행될 평가 항목을 선택하는 평가 항목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평가부는 상기 대상 드론의 성능 평가 항목별 적합 또는 부적합 기준이 되는 기준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설정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풍속 정보에 비례하도록 상기 기준 범위를 탄력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KR1020200117855A 2020-09-14 2020-09-14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KR20220035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55A KR20220035740A (ko) 2020-09-14 2020-09-14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855A KR20220035740A (ko) 2020-09-14 2020-09-14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740A true KR20220035740A (ko) 2022-03-22

Family

ID=8098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855A KR20220035740A (ko) 2020-09-14 2020-09-14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57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42B1 (ko) 2017-01-10 2018-07-23 드로젠(주) 드론용 비행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42B1 (ko) 2017-01-10 2018-07-23 드로젠(주) 드론용 비행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67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ute of unmanned air vehicle
US9811084B2 (en) Identifying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mission performance
Han et al. Low-cost multi-UAV technologies for contour mapping of nuclear radiation field
KR20170111921A (ko) 무인 비행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01776A (ko) 무인 비행체 항로 구축 방법 및 시스템
JP2022501263A (ja) 標的航空機を無力化するための対抗手段を有する航空機
KR20170126637A (ko) 무인 비행체 항로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N206077604U (zh) 一种基于无人机的特高压电网建设工程的巡查系统
TWI686686B (zh) 飛行器的控制方法和裝置
CN103135550A (zh) 用于电力巡线的无人机多重避障控制方法
Hrabar An evaluation of stereo and laser‐based range sensing for rotorcraft unmanned aerial vehicle obstacle avoidance
CN107807668A (zh) 一种多旋翼无人机自动控制方法
KR102104698B1 (ko)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 항공기, 송배전설비 감시 시스템 및 송배전설비 감시용 무인 항공기 제어방법
KR20120036684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능형 항공로봇
KR20220035740A (ko) 드론 성능 평가 시스템
Andreev et al. Flight safety sensor and auto-landing system of unmanned aerial system
CN114534134B (zh) 一种在线式无人全自动防火灭火救援无人机装置及系统
Real et al. Autonomous fire-fighting with heterogeneous team of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301530B1 (ko) 드론항로알림서비스시스템
JP2022076354A (ja) 飛行体制御システム
KR102333350B1 (ko) 무인비행체 수직이착륙 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Beul et al. Trajectory generation with fast lidar-based 3D collision avoidance for agile MAVs
US202003808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aircraft and other flying objects
CN114930429A (zh) 用于飞机监控软件的安全测试的模拟架构
KR102589828B1 (ko)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위한 통제 장치, 비행 장치 및 이륙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