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012A -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 Google Patents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012A
KR20220035012A KR1020210093138A KR20210093138A KR20220035012A KR 20220035012 A KR20220035012 A KR 20220035012A KR 1020210093138 A KR1020210093138 A KR 1020210093138A KR 20210093138 A KR20210093138 A KR 20210093138A KR 20220035012 A KR20220035012 A KR 2022003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electronic device
display unit
ex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081B1 (ko
Inventor
정재용
박정민
석진호
김특영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21009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12A/ko
Priority to JP2022110674A priority patent/JP7365462B2/ja
Priority to TW111125989A priority patent/TWI830284B/zh
Priority to US17/864,384 priority patent/US11926107B2/en
Priority to CN202210820240.0A priority patent/CN115620622A/zh
Priority to EP22185298.1A priority patent/EP41200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47Preventing air-incl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61Hand-held t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29C65/7808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hole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29C65/7814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inter-cooperating positioning features, e.g. tenons and mort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29C66/8362Rollers, cylinders or drums 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95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94Means for 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부착 장치는 일단부에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및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될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측 단부의 장착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경사 형성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An apparatus for attaching a protector for display of foldable electric device and a kit attaching a protector for display of foldable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를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 및 이러한 부착 장치를 포함한 부착 키트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를 디스플레이부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이러한 부착 장치를 포함한 부착 키트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 모바일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는 고가의 제품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되,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커버 글래스를 적용하여 터치 패널을 보호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는 물리적 충격 또는 낙하 등의 요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손될 위험이 높다.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수리할 경우 전자 기기의 원래 판매가 대비 상당한 수준의 수리 비용이 소요되며, 수리를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손상된 커버 글래스의 경우 표면이 날카로워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전자 기기 자체의 동작이 불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전자 기기의 커버 글래스가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 고가의 수리 비용으로 인하여 전술한 불편함, 위험성을 감수하고서도 사용자는 커버 글래스가 파손된 전자 기기를 계속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스크래치 등의 적은 손상은 무시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도 손쉽게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손쉽게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을 스스로 부착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하지만,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지 못하거나 부착 과정에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보호 글래스 또는 보호 필름 사이에 먼지가 개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일반 소비자도 손쉽게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을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부합하기 위하여, 폴딩되지 않는 평평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진 전자 기기를 위한 보호 글래스나 보호 필름 등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의 부착만을 위한 부착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개발되면서 이러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도 보호 글래스 또는 보호 필름(통칭하여 '프로텍터'라 함)을 부착할 필요가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경우 폴딩되는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해당 오목부를 포함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프로텍터를 부착함에 있어서 종래의 비-폴딩 타입의 디스플레이부를 위한 프로텍터 부착 장치가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특허 문헌: 특허 등록공보 제10-2114926호, 2020. 5. 1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의 정확한 얼라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전자 기기용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가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라인의 오목부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게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는, 일단부에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및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될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측 단부의 장착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경사 형성 고정부; 및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 단부 중 장착 높이가 높은 쪽의 단부가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평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일측 단부를 덮어서 누르도록 된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상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의 수평 단면과 상이한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진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놓이는 안착공간을 향하여 상기 안착공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 주변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안착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오목부의 연장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에 대응하여 형성된 핀 관통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부착 장치 키트는 전술한 구성의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에 의해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될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는 프로텍터 본체 및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은 종방향 일측단에 상기 프로텍터 본체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된 이형필름 제 1 연장부를 구비하고 종방향 타측단에도 상기 프로텍터 본체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된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상에 형성된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의 수평 단면에 각각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을 각각 수용하도록 된 이형필름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 및 이형필름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을 수용하도록 된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의 원주면 중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은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의 원주면에 접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은 상기 이형필름 본체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다.
상기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에 대하여 이형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여 이격 배치되는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의 원주면 중 이형 필름의 제 1 연장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제 2 절개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장치 키트는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이형필름에서 프로텍터가 분리되도록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에 힘을 가하도록 된 스퀴즈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퀴즈 부재는,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되,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블레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의 양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측면부재의 두께보다 큰 폭의 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 부재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윙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가 이루는 경사각의 탄젠트 값은 40mm/206.74mm 내지 80mm/206.74mm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부착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진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정렬하여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전자 기기용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가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라인의 오목부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셋째,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폴더블 전자 기기용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하는 과정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이형필름이 당겨질 때 이형필름에 파형 굴곡 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텍터의 부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넷째,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폴더블 전자 기기용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이형필름이 당겨질 때 이형필름의 신장방향으로 절개라인을 형성하여 이형필름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이형필름의 소정의 신장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 키트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스퀴즈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폴더블 전자 기기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형성된 폴딩 라인의 오목부에도 프로텍터가 이격 없이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본 발명의 부착 키트의 스퀴즈 부재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폭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양측부에 윙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스퀴즈 부재를 디스플레이부에 압착할 때 스퀴즈 부재를 정확하게 얼라인할 필요가 없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포함되는 필름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X 축방향으로 따라 볼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포함되는 스퀴즈 부재와 부착 장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퀴즈 부재를 사용하여 프로텍터를 전자 기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우로 폴딩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부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있어서 설명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및 "제 2", "일측" 및 "타측"의 용어는 대응되는 구성요소, 방향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지, 구성요소들간의 중요성이나 작동 순서 내지 특정방향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포함되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하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일례는 삼성전자에서 제조하는 갤럭시 Z플립® 모델의 스마트폰을 고려할 수 있다. 상하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라인은 디스플레이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100)는, 일단부에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 및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 사이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된 프레임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와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 사이에서 연장되는 프레임 측면 부재(112a)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 및 이들 사이에서 마주보고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측면 부재(112a)는 폴더블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의 부착 작업을 위하여 펼쳐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113)을 정의하게 된다.
상기 제 1 단부 부재(112c)의 표면은 프레임 측면 부재(112a)보다 높게 형성되어 단차부(112d)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차부(112d)는 폴더블 전자기기가 안착되었을 때 제 1 단부 부재(112c)의 표면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보다 높게 하여, 후술하는 스퀴즈 부재(150: 도 5)가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착공간(113)의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 및 상기 프레임 측면 부재(112a)와 접하여 안착면(1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14)에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배치되는 케이스부에 형성되어 돌출된 메인 카메라 돌출부를 수용하는 카메라 돌출부 수용공(114d)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포함되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게 될 프로텍터(220)와, 상기 프로텍터(22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프로텍터(220)를 지지하는 이형필름(210)를 포함한다. 상기 이형필름(210)은 프로텍터(220)를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할 때까지 프로텍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임시적인 부재이며, 프로텍터(220)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된 뒤에는 폐기되는 구성요소이다.
프로텍터(220)는 부착될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치수로 형성되되,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될 프로텍터 부착면(221)의 반대측의 상면(222)에 이형필름(210)이 부착된다.
상기 프로텍터와 이형필름은 물질 자체의 성질 또는 별도의 접착 부재에 의해 상호 부착되어 있으며,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호 분리된다.
상기 이형필름(210)은 프로텍터(220)의 형상에 대응하되 그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 이형필름 본체(212), 상기 이형필름 본체(2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프로텍터(220) 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형필름 제 1 연장부(216) 및 상기 이형필름 본체(212)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프로텍터(220) 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이형필름은 소정의 가요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100)는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에 연결되되,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될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전술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 도 2에 도시)의 양측 단부의 장착 높이(부착 장치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장착되었을 때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단부의 제 1 연장부(216)와 제 2 연장부(214)의 배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경사 형성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는 전술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에 대응되는 부분의 장착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수직방향(도면에서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수직 연장 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연장 부재(122)에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의 삽입공(116a)에 부착하기 위한 돌출편(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116a)의 주변에는 상기 수직 연장 부재(122)의 삽입 경로를 가이드하고, 수직 연장 부재(122)의 돌출편(124)이 삽입공(116a)에 삽입된 후에도 수직 연장 부재(122)가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에 견고하게 장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 지지 리브(116b)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연장 부재(122)를 프레임부(110)에 부착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가지 구성 요소를 상호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 및 상기 제 1 단부 고정핀의 수평 단면과 상이한 수평 단면을 가진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을 구비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은 그 수평 단면이 4각형 형상으로 되고,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은 그 수평단면이 원형으로 된다. 그러나, 수평 단면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과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의 수평 단면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된다면, 다양한 다른 형상의 수평 단면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 부재(122)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한 쌍의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을 구비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의 하부에는 직경이 감소된 단차홈(126a)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중심에 배치되는 분할홈(126b)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 역시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중심에 배치되는 분할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제 1 단부 고정핀(115a, 115b)이 한 쌍으로 준비되고,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이 한 쌍으로 준비되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들 사이에 하나의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이 준비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에 예시적일 뿐이며, 반드시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가로 길이 w1 및 세로 길이 h1 으로 된 상기 전자 기기가 놓이는 안착공간(113)을 향하여 상기 안착공간의 내측 둘레에 접하여 수평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면(114) 및 상기 안착면(114)의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114a, 114b)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지지 돌기(114a, 114b)는 상기 안착면(114)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지지 돌기(114a) 및 그에 인접하여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 돌기간의 이격 거리는 h3 으로 되고, 지지 돌기(114a)와 그에 인접하여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 돌기간의 이격 거리는 h2 로 된다. 여기서, h3 은 h2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h2 의 이격 거리 사이에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오목부(320: 도 3 및 도 4 참조)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h2 의 길이를 h3 보다 짧게 하는 이유는 폴딩 오목부에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가 부착되고 작업자에 의한 압착력이 폴딩 오목부에 가해질 때 전자 기기가 폴딩 오목부를 따라 폴딩되어 닫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안착공간(113)에 놓이게 되는 폴더블 전자 기기는 그 디스플레이부가 도 1에서 +z 방향을 향하도록 놓이게 되되, 전자 기기의 측면과 배면이 지지 돌기(114a)에 접촉하여 거치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X 축방향으로 따라 볼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가 프레임부(110)에 체결된 부착 장치(100)의 안착공간(113)에 폴더블 전자 기기(300)가 안착되어 있고, 전자 기기 위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가 배치된다.
폴더블 전자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10)에는 폴딩되는 부분에 오목한 폴딩 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부착 장치(100)의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는 상기 전자 기기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오목부(320)의 연장 방향(도 3에서 x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방향으로 폴딩되는 전자 기기와 좌우 방향으로 폴딩되는 전자 기기 어느 경우에도 안착공간에서 전자 기기가 폴딩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경사 형성 고정부(120)가 배치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 프로텍터 부착 장치(100)는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양 단부 중 장착 높이가 높은 쪽의 단부가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평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일측 단부를 덮어서 누르도록 된 커버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130)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에 대응하여 형성된 핀 관통공(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에 대응되는 핀 관통공(134)에는 상기 분할홈(126b)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할바(134a)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이 커버 부재(130)에 끼워졌을 때 커버 부재(130)가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214)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장치(100)의 프레임부(110)의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 및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는 그 중심간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d3)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의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112b)에 체결되는 경사 형성 고정부(120) 상면에는 2개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이 소정의 간격(d0)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130)의 커버 스트립(132: 도 3)에는 최외곽의 2개의 핀 관통공(134)이 소정의 간격(d2)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고, 최외곽의 2개의 핀 관통공 사이에 배치된 중앙의 관통공과 최외곽의 관통공 사이의 중심간의 거리는 소정의 간격(d1)으로 된다.
대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210)의 이형필름 제 1 연장부(216)에는 2개의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226a) 및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226b)이 그 중심간의 고리가 소정 간격(d5)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214)에는 3개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이 그 최외곽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간의 중심 간격이 소정의 간격(d4)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최외곽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과 2개의 최외곽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 사이에 배치된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의 중심간의 거리는 소정의 간격(d6)으로 된다.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226a)에는 부착 장치(100)의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이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226a)은 상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이 관통할 수 있는 상보적인 형상과 직경을 갖는다.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226b)에는 부착 장치(100)의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이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226b)은 상기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이 관통할 수 있는 상보적인 형상과 직경을 갖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214)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에 대하여 이형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여 이격 배치되는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은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부착하는 마지막 과정에서 이형 필름의 제 2 연장부에 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의 원주면 중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216)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y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은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의 원주면까지 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은 상기 이형필름 본체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대응하는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214)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의 원주면 중 이형 필름의 제 1 연장부(216)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y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제 2 절개라인(229)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의 수평 단면 형상과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의 수평 단면 형상이 서로 상이하므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116a)과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116b)을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과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에 대응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대응 관계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오장착의 가능성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에는 부착 장치(100)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이 삽입되게 되므로 제 2 관통공(224)은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이 관통할 수 있는 상보적인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은 x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y 방향으로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제 2 연장부가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에 대응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부착하는 초반 과정에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에 가해지는 힘이 자연스럽게 분산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형성 부재(120)의 수직 연장 부재(122)의 양측 단부에는 상면(123)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사이드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돌출부(121)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제 2 연장부(214)를 배치할 때 제 2 연장부의 결합을 위한 일정한 높이와 공간을 확보하게 하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프로텍터 조립체(200)가 받게 되는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 부재(130)의 핀 관통공(134)에는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이 삽입되게 되므로 핀 관통공(134)은 제 2 단부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이 관통할 수 있는 상보적인 직경을 갖는다.
상호 체결 관계를 고려하여, 부착 장치(100)의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a)과 제 1 단부 제 2 고정핀(115b)의 중심간의 간격(d3)은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의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226a) 및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226b)의 중심간의 간격(d5)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부착 장치(100)의 한 쌍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간의 간격(d0)은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의 최외곽의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4) 간의 간격(d4) 및 커버 부재(130)의 최외곽의 핀 관통공(134)간의 간격(d2)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장치(100)에 전자 기기(300)가 안착된 후에 그 위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단부가 고정되고,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 상에는 커버 부재(130)가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 4를 참고하면, 펼쳐진 상태에서 h1의 길이를 가진 전자 기기(300)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중간 부분에 폴딩 오목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폴딩 오목부(32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전자 기기의 일측 단부 까지의 길이 h4는 전자 기기의 전체 길이 h1 의 절반으로 된다.
한편, 부착 장치(100)의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수직 연장 부재(122)는 h6의 높이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 필름의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226a)의 중심(즉 프레임부(110)의 제 1 단부 제 1 고정핀(1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의 중심(즉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214)의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4)의 중심) 까지의 거리는 h5로 된다.
이러한 길이 관계에서, 상기 부착 장치(100)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가 안착되는 경사각은 해당 경사각의 탄젠트 값이 h6/h5 이 되도록 정해진다. 상기 경사각이 너무 클 경우, 이형필름 자체의 신축성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상측에서 눌러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프로텍터를 부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고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패키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반면, 경사각이 너무 작을 경우, 프로텍터를 폴딩 오목부에 밀착시켜 부착시키는 기능이 적절하게 구현되지 못하게 되고 프로텍터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기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최적의 h6/h5 값을 구하기 위하여 다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h5는 전자 기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206.74mm 로 하고, h6 를 20mm, 30mm, 40mm, 60mm, 80mm로 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때, h6가 20mm 및 30mm 인 경우에는 프로텍터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부착시에 프로텍터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전에 접촉하게 되거나, 프로텍터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간의 결합각이 작아서 그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h6 가 40mm, 60mm 및 80mm 인 경우에는 프로텍터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부착시에 사전 접촉하게 되지도 않았고, 그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도 았았다. 즉 프로텍터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h6/h5는 40mm/206.74mm 이상인 경우이다. 환언하면, 경사 형성 고정부(120)가 형성하는 경사각의 탄젠트 값은 40mm/206.74mm 이상으로 되고, 패키징 크기 및 이형 필름의 크기를 고려하여 80mm/206.74m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h6가 80mm 이상으로 되는 경우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높이가 켜저서 키트의 패키징에 문제가 있으므로, 경사 형성 고정부(120)가 이루는 경사각의 탄젠트 값(h6/h5)는 40mm/206.74mm로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포함되는 스퀴즈 부재와 부착 장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면도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퀴즈 부재를 사용하여 프로텍터를 전자 기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 키트는 전술한 구성의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100); 및 상기 부착 장치에 의해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될 전술한 구성의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 및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밀어주는 스퀴즈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퀴즈 부재(150)는,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를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되,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블레이드부(156); 상기 블레이드부(156)의 양단부에 상기 프레임부(110)의 프레임 측면부재(112a)의 두께(도 5에서 w2-w1의 값의 절반)보다 큰 폭(도 5에서 P1-P2 값의 절반)의 홈부(158)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 부재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윙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윙부(154)는 그 단부가 상기 블레이드부(156)보다 더 하측으로 t1 만큼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퀴즈 부재(150)의 손잡이부(152)를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 부재(150)를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상면(즉 이형필름의 상면)으로 눌러주면서 슬라이딩시키면 스퀴즈 부재(150)의 블레이드부(156)의 압착력으로 인하여 양단부가 고정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필름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부(156)의 압착력으로 인하여 전자 기기의 폴딩 오목부(320)에 대해서도 프로텍터(220)가 그 오목한 프로파일을 따라 밀착되어 부착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52)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밀어줄 때 디스플레이부의 에지에 대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직포로 커버된다.
상기 손잡이부(152)의 아래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의 끝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손가락 안착공(151)이 구비된다. 상기 손가락 안착공(151)간의 상호 간격과 위치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상기 손가락 안착공(151)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게 됨으로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부착시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고, 스퀴즈 부재가 가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형필름의 제 2 연장부(214)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의 원주면 중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216)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의 원주면까지 형성된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은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224) 및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227)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의 길이는 이형필름의 신장율을 고려할 때 스퀴즈 부재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할 때 이형 필름이 신장되는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228)은 스퀴즈 부재(150)에 의해 상기 이형필름 본체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126) 및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127)에는 커버 부재(130)가 체결된 상태이므로 이형필름 제 2 연장부(214)에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프로텍터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프로텍터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정확한 위치에 얼라인 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우로 폴딩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고,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프라임 기호를 부가하여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좌우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일례는 삼성전자에서 제조하는 갤럭시 폴드® 모델의 스마트폰을 고려할 수 있다. 좌우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라인은 디스플레이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좌우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폴딩 오목부(320')의 연장 방향에 나란하게 경사 형성 고정부(120')가 연장되어 배치되는 점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자 기기의 외형의 가로 세로의 크기에 따라 안착 공간(113')의 크기도 대응되어 형성된다. 좌우로 볼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는 폴딩 오목부(320') 의 길이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므로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112c')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고정핀의 개수 및/또는 고정핀간의 간격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커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사 형성 고정부(120')에 설치되는 고정핀의 개수 및/또는 고정핀간의 간격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커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H5' 는 전자 기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167.75mm 로 하고, h6 를 20mm, 30mm, 40mm, 60mm, 80mm 로 하여 경사 형성 고정부(120')의 높이를 가변시켜 볼 경우,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텍터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경사 형성 고정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각의 탄젠트 값(h6'/H5')은 40mm/206.74mm 이상 80mm/206.74m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전술한 부착 장치 키트를 사용하여 폴더블 전자 기기용 프로텍터를 폴더블 전자 기기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 사건 출원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 프로텍터 부착 장치 키트는 부착 장치(100)와 함께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 및 스퀴즈 부재(150)를 포함한다.
부착 키트의 사용자는 우선 부착 장치(100)의 프레임부(110)에 경사 형성 고정부(120)를 체결하여 부착 장치를 조립한다(ST1). 이와 같이 조립된 부착 장치에 프로텍터를 부착하고자 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예를 들어 폴더블 폰을 펼쳐서 안착시키게 된다(ST2). 이후,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를 부착 장치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고정하고(ST3), 부착 장치의 경사 형성 고정부(120)에 고정된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이형 필름 제 2 연장부 상에는 커버부재(130)를 덮어서 고정하게 된다(ST4). 그리고, 스퀴즈 부재(150)를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20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하면서 힘을 주어 눌러주게 되면(ST5), 프로텍터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평평한 부분은 물론 폴딩 오목부(320)에 까지 밀착되어 부착된다. 이후, 커버 부재를 해제하고, 이형 필름을 제거하면 전자 기기에 프로텍터를 부착하는 과정이 완성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건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차이점은 이건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자체적 의미가 특별히 이건 발명에서 정의되지 않은 용어의 경우 일반적인 의미로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균등적 범위의 다른 용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부착 장치 110: 프레임부
112a: 프레임 측면부재 112b: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
112c: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112d: 단차부
113: 안착공간 114: 안착면
114a: 제 1 지지 돌기 114b: 제 2 지지 돌기
114c: 외측 돌기 114d: 카메라 돌출부 수용공
115a: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115b: 제 1 단부 제 2 고정핀
116a: 삽입공 116b: 측면 지지 리브
120: 경사 형성 고정부 121; 사이드 돌출부
122: 수직 연장 부재
123: 경사 형성 부재 상면 124: 돌출편
126: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 126a: 단차홈
127: 제 2 단부 중앙 고정핀 130: 커버 부재
132: 커버 스트립 134: 핀 관통공
150: 스퀴즈 부재 151: 손가락 안착공
152: 손잡이부 154: 윙부
156: 블레이드부 158: 홈부
200: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 210: 이형필름
212: 이형필름 본체 214: 이형필름 제 2 연장부
216: 이형필름 제 1 연장부
220: 프로텍터 본체 221: 프로텍터 부착면
222: 프로텍터 상면 224: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
226a: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 226b: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
227: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 228: 연장부 제 1 절개 라인
229: 연장부 제 2 절개 라인 300: 폴더블 전자 기기
310: 디스플레이부 320: 폴딩 오목부

Claims (12)

  1.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및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제 2 단부 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될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측 단부의 장착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가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경사 형성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양 단부 중 장착 높이가 높은 쪽의 단부가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평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일측 단부를 덮어서 누르도록 된 커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버 프로텍터 부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상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의 수평 단면과 상이한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진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자 기기가 놓이는 안착공간을 향하여 상기 안착공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 주변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안착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부의 폴딩 오목부의 연장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에 대응하여 형성된 핀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 및
    상기 부착 장치에 의해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될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는 프로텍터 본체 및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이형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은 종방향 일측단에 상기 프로텍터 본체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된 이형필름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종방향 타측단에도 상기 프로텍터 본체보다 더 멀리 연장되어 형성된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제 1 단부 부재상에 형성된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의 수평 단면에 각각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 제 1 고정핀 및 제 1 단부 제 2 고정핀을 각각 수용하도록 된 이형필름 제 1 연장부 제 1 관통공 및 이형필름 제 1 연장부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경사 형성 고정부의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을 수용하도록 된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으로부터 제 2 연장부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의 원주면 중 상기 이형필름 제 1 연장부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은 상기 제 2 연장부 제 1 관통공의 원주면과 상기 제 2 연장부 제 2 관통공의 원주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제 1 절개라인은 상기 이형필름 본체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 2 단부 사이드 고정핀에 의해 개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의 이형필름에서 프로텍터가 분리되도록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에 힘을 가하도록 된 스퀴즈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스퀴즈 부재는,
    상기 프로텍터 필름 조립체를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되,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블레이드부;
    상기 블레이드부의 양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측면부재의 두께보다 큰 폭의 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 부재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키트.
KR1020210093138A 2021-07-15 2021-07-15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KR10259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38A KR102599081B1 (ko) 2021-07-15 2021-07-15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JP2022110674A JP7365462B2 (ja) 2021-07-15 2022-07-08 フォールダブル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部プロテクタ付着装置、及びフォールダブル電子機器のディスプレイ部プロテクタ付着キット
TW111125989A TWI830284B (zh) 2021-07-15 2022-07-12 可折疊電子設備的顯示部保護件附接裝置
US17/864,384 US11926107B2 (en) 2021-07-15 2022-07-13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apparatus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kit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202210820240.0A CN115620622A (zh) 2021-07-15 2022-07-13 可折叠电子设备的显示部保护件附接装置
EP22185298.1A EP4120049A1 (en) 2021-07-15 2022-07-15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apparatus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rotector attachment kit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138A KR102599081B1 (ko) 2021-07-15 2021-07-15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12A true KR20220035012A (ko) 2022-03-21
KR102599081B1 KR102599081B1 (ko) 2023-11-07

Family

ID=8093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138A KR102599081B1 (ko) 2021-07-15 2021-07-15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6107B2 (ko)
EP (1) EP4120049A1 (ko)
JP (1) JP7365462B2 (ko)
KR (1) KR102599081B1 (ko)
CN (1) CN115620622A (ko)
TW (1) TWI830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9921A1 (en) * 2022-02-21 2023-08-24 Shenzhen Momi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Film sticking tool
USD1017380S1 (en) * 2022-05-31 2024-03-12 XuYi Photoelectric Technology Co., LTD. Film stick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482B1 (ko) * 2016-09-07 2018-03-14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터치스크린 보호필름 부착용 지그 세트 및 그 지그 세트를 이용한 곡면형 보호필름 부착방법
KR20200004951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162940B1 (ko) * 2019-07-09 2020-10-07 (주)인브로즈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액정보호필름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511B2 (ja) 1991-08-30 2000-11-20 アラコ株式会社 接着シートの溝部におけるシートカバーの接着方法
US9777195B2 (en) * 2010-06-22 2017-10-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Dry apply protective systems and methods
US20140338829A1 (en) * 2013-05-20 2014-11-20 Invisible Gadget Guard, Inc. Protective Film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8177590A1 (en) * 2017-03-27 2018-10-04 Schwenke Christopher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otective films
KR102361367B1 (ko) 2018-02-28 2022-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2169780B1 (ko) 2018-02-28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978166B1 (ko)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TWM583414U (zh) 2019-01-17 2019-09-11 林家豪 手機螢幕保護貼輔助貼合裝置
KR102015330B1 (ko) 2019-05-05 2019-08-28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114926B1 (ko) 2019-07-09 2020-05-25 주식회사 화이트스톤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 및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KR102375977B1 (ko) 2019-12-19 2022-03-18 주식회사 디엠티솔루션 자동 및 반자동 보호필름 부착장치
CN213082357U (zh) * 2020-07-22 2021-04-30 广州市雷曼兄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手机贴膜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482B1 (ko) * 2016-09-07 2018-03-14 김지안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터치스크린 보호필름 부착용 지그 세트 및 그 지그 세트를 이용한 곡면형 보호필름 부착방법
KR20200004951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162940B1 (ko) * 2019-07-09 2020-10-07 (주)인브로즈 액정보호필름 부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액정보호필름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081B1 (ko) 2023-11-07
JP2023014015A (ja) 2023-01-26
EP4120049A1 (en) 2023-01-18
JP7365462B2 (ja) 2023-10-19
TWI830284B (zh) 2024-01-21
US20230014521A1 (en) 2023-01-19
US11926107B2 (en) 2024-03-12
TW202306461A (zh) 2023-02-01
CN115620622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5012A (ko)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 장치 및 폴더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CN107438789B (zh) 虚拟现实头戴装置
US10841409B2 (en) Tool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EP2416049B1 (en) Holding apparatus
US7331554B2 (en) Eyeglasses clamping device
US11695861B2 (en) Screen protector installation tool and kit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KR102114926B1 (ko)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장치 및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프로텍터 부착키트
CN112394513A (zh) 眼镜
US20160274382A1 (en) Eyewear Article Side Shield Retainer
KR101598932B1 (ko)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EP3355099A1 (en) Goggles for person not wearing eyeglasses
US20160178927A1 (en) Eyeglass assembly
CN110780458B (zh) 一种可替换镜片的眼镜
US8449110B2 (en) Viewing glass with adjustment mechanism
CN206618909U (zh) 一种伸缩式眼镜
US10061140B2 (en) Eyeglass frames with detachable temple pieces
EP3324233A1 (en) Mounting fixture for wearable device
US10969606B2 (en) Wearable device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JP2006504142A (ja) 眼鏡のスクリーンと同スクリーンを形成するための部品
CN203776309U (zh) 镜片保护盒
KR101538265B1 (ko) 돋보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8604B1 (ko) 키 삽입식 탬플을 가지는 안경테
TWI529331B (zh) 螢幕升降組裝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