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729A -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729A
KR20220034729A KR1020217040984A KR20217040984A KR20220034729A KR 20220034729 A KR20220034729 A KR 20220034729A KR 1020217040984 A KR1020217040984 A KR 1020217040984A KR 20217040984 A KR20217040984 A KR 20217040984A KR 20220034729 A KR20220034729 A KR 2022003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ower amplifier
signal
amplifier syste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 엠. 위케
마이클 베르만
대런 마일스
파울로 코레아
레오니드 모길레프스키
Original Assignee
엠파워 알에프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워 알에프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엠파워 알에프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3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32Polarisa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Intensity modulation
    • H04B10/541Digital intensity or amplitude mod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술은 패널, 광 링크,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패널은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제 1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 1 광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에 커플링된다. 광 링크는 제 1 광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다. 제어기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제 2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광 링크에 커플링된다. 제어기는 광 링크를 통해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한다.

Description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관련 출원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19년 5월 14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 "Power Amplifier System With An Optical Communication Link"의 미국 가특허출원 제62/847,751호 및 2019년 6월 3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 "Power Amplifier System With An Internal Optical Communication Link"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6,532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전반적으로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력 증폭기는 통신에서부터 전자전(electronic warfare) 시스템까지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주어진 전력 증폭기의 적합성은 신뢰성, 성능, 가용성, 크기 및 무게와 같은 전력 증폭기의 다양한 물리적 및 성능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특성은 주어진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현장에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및 성능 특성이 향상된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제 유사한 요소가 유사한 번호로 참조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4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광 링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방법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1a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전방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c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은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인클로저(110)를 포함한다. 인클로저(110)는 다양한 폼 팩터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110)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이 표준 랙에 장착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인클로저(110)의 전면 패널(112)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표시기, 커넥터, 전자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1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다양한 표시기(예를 들어, LED 표시기)(122)를 포함한다. 다른 전자 컴포넌트(124)는 전면 패널(112)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냉각 팬(130)이 전면 패널(11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저(110)의 후면 패널(114)은 전원 커넥터(140) 및 회로 차단기(142), 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시기(예를 들어, LED 표시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패널(114)은 입력 커넥터(150), 출력 커넥터(152), 및 블랭킹 신호 커넥터(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커넥터(150)는 입력 또는 자극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출력 커넥터(152)는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블랭킹(blanking) 신호 커넥터(154)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을 디스에이블 또는 뮤트(mute)시키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후면 패널(114)은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60)의 예는 이더넷 접속, USB 접속, 직렬 인터페이스, 병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팬(130)은 후면 패널(114)에 장착될 수 있다.
인클로저(110)의 다른 패널(예를 들어, 측면, 상면 및 하면 패널, 도시되지 않음)은 추가 인터페이스, 표시기, 커넥터, 팬, 스위치, 버튼, 전자 컴포넌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가 동작하는 동안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 전체에 물리적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I/O 인터페이스(160)를 경유하여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 및/또는 송신될 수 있다.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표시기(122 및 144), 전자 부품(124) 및 팬(130)과 연관된 데이터 신호가 또한 존재한다. 추가 정보는 인클로저(110)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동작하는 동안에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 전체에 걸쳐 송신되고 처리되는 광범위한 정보를 고려할 때, 정보가 안정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자 신호 통신의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및 기타 노이즈 소스에 대해 강한 방식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가 낮은 레이턴시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 전체에 정보를 반송하는 하나의 접근 방식은 전기 케이블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 케이블링을 사용하면 몇몇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링은 일반적으로 EMI에 취약하다. 따라서, EMI에 강한 방식으로 전기 케이블링을 구현하면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설계에 추가적인 복잡성이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복잡성은 인적 오류(예를 들어, 불량한 기술)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작동, 유지 및 수리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케이블은 바람직하지 않은 레이턴시를 야기하고 전력 증폭기(100)의 성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은 특히 각 케이블이 상이한 신호를 반송할 때 총체적으로 무거울 수 있다(다수의 신호가 공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따라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 내에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개선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2a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컴포넌트들은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은 일반적으로 전면 패널(112)에 대응하는 전면 패널(202), 및 일반적으로 후면 패널(114)에 대응하는 후면 패널(204)을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은 제어기(예를 들어, 마더보드)(206)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206)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 및 그 다양한 서브-컴포넌트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06)는 증폭기 회로(예를 들어, RF 섹션)(208a)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시스템 온 모듈(system on module; SOM))(20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06)는 사용자 파라미터를 수신 및 저장하는 것,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 증폭기 회로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도록(예를 들어, 자동 이득 제어 또는 자동 전력 제어) 피드백 루프를 구현하는 것, 증폭기 회로의 출력을 블랭킹 또는 뮤트하는 것,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컴포넌트에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동작을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다양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202) 및 후면 패널(204)은 각각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211-219)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엔드포인트(211-219)는 일반적으로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디바이스, 모듈 또는 기타 컴포넌트에 대응한다. 신호 엔드포인트(211-219)의 예는 입력/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직렬 인터페이스, 명령 및/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포트, 상태 표시기(예를 들어, LED 표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호 엔드포인트(211-219)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신호 엔드포인트(211)), 오디오 및/또는 시각 표시기(신호 엔드포인트(212)),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peripheral interface controller; PIC)(신호 엔드포인트(213a 및 213b)), 팬(신호 엔드포인트(214a 및 214b), 및 통신 인터페이스(신호 엔드포인트(21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신호 엔드포인트(211-219)는 동작하는 동안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사실상 모든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은 광 링크(222) 및 광 링크(224)를 더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광 링크(222)는 전면 패널(202)을 제어기(206)와 접속하고, 광 링크(224)는 후면 패널(204)을 제어기(206)와 접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 링크(222 및 224)는 제어기(206)가 신호 엔드포인트(211-219)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링크(222 및 224)는 광 인터페이스(232-238)를 경유하여 전면 패널(202), 후면 패널(204), 및 제어기(206)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2)은 광 인터페이스(232)를 포함하고, 후면 패널(204)은 광 인터페이스(234)를 포함하고, 제어기(206)는 광 인터페이스(236 및 238)를 포함한다. 광 링크(222)는 광 인터페이스(232)와 광 인터페이스(236) 사이에 커플링되고, 광 링크(224)는 광 인터페이스(234)와 광 인터페이스(238) 사이에 커플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인터페이스(232-238) 중 하나 이상은 직렬 변환기/역직렬 변환기(serializer/deserializer; SerDes)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SerDes 인터페이스는 광 링크(예를 들어, 광 링크(222 또는 224))를 통한 송신을 위해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광 링크를 통해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SerDes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송신된 데이터로부터 내장된 클록 신호를 복구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된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206)는 단일 광 링크(222)를 통해 전면 패널(202) 상의 다중 엔드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고, 유사하게, 제어기(206)는 단일 광 링크(224)를 통해 후면 패널(204) 상의 복수 엔드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표준 및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광 링크(222 및 22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예는 이더넷(예를 들어,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GbE), 및 직렬 기가비트 미디어 독립 인터페이스(serial gigabit media-independent interface; SGMII), 관리 데이터 입/출력(management data input/output; MDIO) 등과 같은 이더넷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DisplayPort(예를 들어, DP 1.2 인터페이스 및 보조 채널) 및 일반 통신 버스(예를 들어, UART, SPI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신호(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ulse-width modulation; PWM) 제어 신호, 일반 I/O 등)는 또한 광 링크(222 및 224)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는 다양한 인코딩 기술(예를 들어, 8b/10b 인코딩)을 사용하여 광 링크(222 및 224)를 통한 송신을 위해 인코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 링크(222 및 224)는 EMI에 대한 제한된 민감성(susceptibility)을 가지며, 전기 케이블링과 관련하여 제어기(206)와 신호 엔드포인트(211-219) 사이의 통신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광 신호는 일반적으로 전기 신호보다 작은 레이턴시를 가지므로, 광 링크(222 및 224)는 전기 케이블링에 비해 제어기(206)와 신호 엔드포인트(211-219) 사이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 링크(222 및 224) 각각을 통해 다중 엔드포인트와 통신하는 능력은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의 배선 양을 감소시키고, 이는 조립 및 유지보수를 단순화할 수 있고 기술(workmanship) 관련 오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은 광 링크(222 및 224) 외에 전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배선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 시스템(200)은 전면 패널(202), 후면 패널(204), 및 제어기(206) 사이에 접속된 상호접속 보드(예를 들어, 측면 상호접속 PCB)(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접속 보드(240)는 전원(250)과 전면 패널(202), 후면 패널(204), 및/또는 제어기(206) 사이에 유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호접속부(240)는 또한 제어기(206)가 신호 엔드포인트(211-219)와 통신하기 위한 백업 또는 컨티전시 루트(contingency route)를 제공할 수 있다. 백업 또는 컨티전시 루트는 예를 들어 광 링크(222 및/또는 224)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300a 및 300b)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3a는 광 통신 시스템(300a)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광 통신 시스템(300b)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광 통신 시스템(300b)의 대응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통신 시스템(300a, 300b)은 광 링크(222 및 224) 및 그들의 대응하는 광 인터페이스(232-238)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광 통신 시스템(300a)은 광 링크(322)(예를 들어, 광 링크(222))를 통해 전면 패널(302)(예를 들어, 전면 패널(202))에 제어기(306)(예를 들어, 제어기(206))를 접속한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광 통신 시스템(300b)은 광 링크(324)(예를 들어, 광 링크(224))를 통해 후면 패널(304)(예를 들어, 후면 패널(204))에 제어기(306)를 접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링크(322 및 324)는 광 인터페이스(332-338)(예를 들어, 광 인터페이스(232-238))를 경유하여 전면 패널(302), 후면 패널(304), 및 제어기(306)의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광 링크(322)는 제어기(306)와 전면 패널(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광 섬유(34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광 링크(324)는 제어기(306)와 후면 패널(304) 사이에서 연장되는 광 섬유(34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섬유(342 및 344)는 다중 모드 광섬유(예를 들어, 850nm 다중 모드 광섬유)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광 링크(322)는 광 섬유(342)의 각 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광학 엔진(352 및 354)을 더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광 링크(324)는 광 섬유(344)의 각 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광 엔진(356 및 35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엔진(352-358)은 광 섬유(342 및 344)를 통해 신호의 송신 동안에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엔진(352-358)은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360)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화 기술(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레인(360)은 송신(TX) 레인, 수신(RX) 레인, 양방향 레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레인(360) 각각은 포지티브(P) 및 네거티브(N)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엔진(352-358) 각각은 4개의 RX 통신 레인 및 4개의 TX 통신 레인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인터페이스(332-368)는 단일 광 섬유를 통해 다중 컴포넌트로부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직렬 변환기(362a-d) 및 역직렬 변환기(364a-d)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직렬 변환기(362a) 및 역직렬 변환기(364a)는 복수의 신호(366a)가 광 링크(322)를 통해 제어기(306)로부터 전면 패널(302)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366a)는 팬 제어 신호(FAN_CNTRL), 팬 온/오프 신호(FAN_ON_OFF), 송신 LED 신호(TX_LED), 경보 LED 신호(ALERT_LED), 로고 LED 신호(LOGO_LED), 전원 LED 신호(POWER_LED) 및 오디오 경고 신호(AUDIO_ALERT), DisplayPort 보조 채널 신호(DP_AUX_OE 및 DP_AUX_OUT), UART 송신 신호(UARTS_TX) 및 터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신호(TOUCH_SPI_CLK, TOUCH_SPI_MOSI_CLK 및 TOUCH_CS)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여전히 도 3a를 참조하면, 직렬 변환기(362b) 및 역직렬 변환기(364b)는 복수의 신호(366b)가 전면 패널(302)로부터 광 링크(322)를 통해 제어기(306)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호(366b)는 팬 감지 신호 세트(FAN_SENSE1, FAN_SENSE2, FAN_SENSE3, 및 FAN_SENSE4), DisplayPort 보조 채널 신호(DP_AUX_IN 및 DP_AUX_HPD), UART 수신 신호(UARTS_RX), 및 터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신호(TOUCH_PIRQ 및 TOUCH)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3b를 참조하면, 직렬 변환기(362c) 및 역직렬 변환기(364c)는 복수의 신호(366c)가 광 링크(324)를 통해 제어기(306)로부터 후면 패널(304)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직렬 변환기(362d) 및 역직렬 변환기(364d)는 복수의 신호(366d)가 광 링크(324)를 통해 후면 패널(304)로부터 제어기(306)로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는 광 인터페이스(332-338)를 우회하여 광 링크(322 및 324)를 통해 직접 송신될 수 있다. 그러한 신호는 광 링크(322 및 324) 상의 전용 통신 레인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신호(372)(예를 들어, DisplayPort 신호)는 통신 레인(360) 중 전용 레인을 경유하여 광 링크(322)를 통해 직접 송신된다. 유사하게, 도 3b 및 도 3c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374)(예를 들어, SGMII 신호)는 통신 레인(360) 중 전용 레인을 경유하여 광 링크(324)를 통해 직접 전송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GMII 신호(374)는 광 인터페이스(338)를 우회하여 광학 엔진(352)과 프로세서(382)(예를 들어, 프로세서(208b)) 사이에 직접 접속된다. 유사하게, SGMII 신호(374)는 광 인터페이스(334)를 우회하여 광학 엔진(356)과 이더넷 트랜시버(384) 사이에 직접 접속된다. 도 4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광 링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방법(400)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제어기(2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410)에서, 제 1 정보는 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광 인터페이스(236))를 경유하여, 광 링크(예를 들어, 광 링크(222))를 통해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제 1 신호 엔드포인트(예를 들어, 신호 엔드포인트(211))로 또는 그로부터 전달된다. 제 1 정보는 제어기에 의해 송신되고 제 1 신호 엔드포인트에 의해 수신될 수 있거나, 제 1 신호 엔드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고 제어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거나, 또는 둘 다(예를 들어, 양방향 통신)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인터페이스는 SerDes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SerDe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전기 케이블을 통한 유사 송신이 제 1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다중 병렬 상호접속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 1 정보가 단일 광섬유 라인을 통해 통신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 대해, 프로세스(410)는 제어기(2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의 경우, 프로세스(410)는 제어기(3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420)에서, 제 2 정보는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광 링크를 통해, 제어기와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제 2 신호 엔드포인트(예를 들어, 신호 엔드포인트(212)) 사이에서 전달된다. 여기서, 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erDe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전기 케이블을 통한 유사 송신이 상이한 케이블을 사용하여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제 1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광 섬유 라인을 통해 제 2 정보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 대해, 프로세스(420)는 제어기(2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420)는 제어기(3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에, 본 개시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 및 수정은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다른 실시예 및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현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그 유용성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는 임의의 수의 목적을 위해 임의의 수의 환경에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 기재된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완전한 폭 및 사상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제 1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패널 - 상기 제 1 광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에 커플링됨 - ;
    상기 제 1 광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광 링크; 및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제 2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광 링크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는 광 링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함 -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광 인터페이스는 직렬 변환기/역직렬 변환기(serializer/deserializer; SerDes) 인터페이스인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 내에서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을 발생시키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포트, 상태 표시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주변 인터페이스 제어기(peripheral interface controller; PIC) 또는 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통신 표준에 따라 광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펄스 폭 변조(pulse-width modulation; PWM)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광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상기 제어기 사이에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전기적 상호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상호접속부는 상기 광 링크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기가 상기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하기 위한 컨티전시 루트(contingency route)를 제공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전면 패널에 대응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제 3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후면 패널 - 상기 제 3 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에 커플링됨 - ; 및
    상기 제 3 광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제 2 광 링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제 4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광 링크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광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링크는 다중 모드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기-광(electrical-to-optical) 엔진 및 광-전기(optical-to-electrical)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광 엔진 및 상기 광-전기 엔진은 각각 다중화를 수행하여 상기 광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을 제공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은 송신 레인, 수신 레인 또는 양방향(bidirectional) 레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은 상기 제 2 광 인터페이스를 우회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통신 레인을 포함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
  14.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에 의해,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광 링크를 통해,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제 1 신호 엔드포인트로 또는 상기 제 1 신호 엔드포인트로부터 제 1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광 링크를 통해,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제 2 신호 엔드포인트로 또는 상기 제 2 신호 엔드포인트로부터 제 2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인터페이스는 직렬 변환기/역직렬 변환기(serializer/deserializer; SerDes) 인터페이스인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링크가 이용불가능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백업 전기 상호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 엔드포인트 또는 상기 제 2 신호 엔드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로 또는 상기 제 1 신호 엔드포인트 또는 상기 제 2 신호 엔드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 3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레인은 상기 제 2 광 인터페이스를 우회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통신 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용 통신 레인을 통해 통신되는 것인,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9. 시스템에 있어서,
    인클로저로서,
    제 1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제 1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 - 상기 제 1 광 인터페이스는 제 1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에 커플링됨 - , 및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제 2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후면 패널 - 상기 제 2 광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에 커플링됨 - 을 포함하는, 상기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치되고, 동작하는 동안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을 발생시키는 증폭기 회로;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치되고, 제 3 광 인터페이스 및 제4 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마더보드;
    상기 제 1 광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3 광 인터페이스 사이에 커플링된 제 1 광 링크 - 상기 마더보드는 상기 제 1 광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함 -; 및
    상기 제 2 광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4 광 인터페이스 사이에 커플링된 제 2 광 링크 - 상기 마더보드는 상기 제 2 광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각각과 통신함 -
    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마더보드와 상기 제 1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및 상기 제 2 복수의 신호 엔드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백업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상호접속 보드
    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17040984A 2019-05-14 2020-05-14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KR20220034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47751P 2019-05-14 2019-05-14
US62/847,751 2019-05-14
US201962856532P 2019-06-03 2019-06-03
US62/856,532 2019-06-03
PCT/US2020/032815 WO2020232207A1 (en) 2019-05-14 2020-05-14 Power amplifier system with an internal optical communication 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729A true KR20220034729A (ko) 2022-03-18

Family

ID=7328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984A KR20220034729A (ko) 2019-05-14 2020-05-14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15121B2 (ko)
EP (1) EP3970271A4 (ko)
JP (1) JP2022533627A (ko)
KR (1) KR20220034729A (ko)
AU (1) AU2020276271A1 (ko)
IL (1) IL287978A (ko)
WO (1) WO20202322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833A (en) 1989-06-12 1990-10-16 Motorola, Inc. High powered amplifier and heat sinking apparatus
US7769347B2 (en) 2001-05-02 2010-08-03 Trex Enterprises Cor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57041B1 (en) * 2005-05-19 2010-02-02 Jimmy Ko Laser audio preamplifier, volume control, and multiplexer
US20100040325A1 (en) 2007-03-26 2010-02-18 Trex Enterprises Corp. Low-cost multimode optical fiber switch
US9590832B1 (en) 2008-09-23 2017-03-07 Marvell International Ltd. Sub-carrier adapta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8542768B2 (en) 2009-12-21 2013-09-24 Dali Systems Co. Ltd. High efficiency, remotely reconfigurable remote radio head uni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360491B1 (en) 2010-02-02 2014-08-27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Radar system with optical communications link within antenna pedestal
US8736365B2 (en) 2010-11-01 2014-05-27 Empower RF Systems, Inc. Broadband linearization module and method
US9007125B2 (en) * 2013-02-21 2015-04-14 Empower RF Systems, Inc. RF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assembly for same
US9093731B2 (en) 2013-02-21 2015-07-28 Empower RF Systems, Inc. Combiner for an RF power amplifier
US9628196B2 (en) * 2013-08-23 2017-04-18 Dell Products L.P. Interconnect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8953670B1 (en) 2013-10-25 2015-02-1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igital power encoder for direct digital-RF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03255A1 (en) 2022-03-31
EP3970271A4 (en) 2023-08-02
EP3970271A1 (en) 2022-03-23
US11115121B2 (en) 2021-09-07
IL287978A (en) 2022-01-01
US20210028862A1 (en) 2021-01-28
JP2022533627A (ja) 2022-07-25
WO2020232207A1 (en) 2020-11-19
AU2020276271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8419B2 (en) Electrical-optical media conversion system
US9411766B2 (en) Single optical fiber KVM extender
KR100402409B1 (ko) 원거리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
US9160452B2 (en) Apparatus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multi-function active optical cables
US7452236B2 (en) Cabling for rack-mount devices
US10476596B2 (en) Optical splitter
CN103378907A (zh) 高速光纤链路及用于在高速光纤链路上传递光学数据信号的方法
US20230119332A1 (en) Usb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 and related usb extender
US20170139165A1 (en) Modular monitored patch panel system
US7986884B2 (en) Optical network test access point device
US20110110631A1 (en) Modular, Reconfigurable Video Data Transport System
WO2020108294A1 (zh) 光模块
US10502910B2 (en) Transceiver modules
KR20220034729A (ko) 내부 광 통신 링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CN203368488U (zh) 一种调制激光发射装置
US9910805B2 (en) Patch panel and distribution amplifier with configurable input/output module
US65740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ly and mechanically coupling an avionics line replaceable unit with other equipment on an aircraft
EP0593287A1 (en) Electrooptical connector in an optical bus system
CN203086476U (zh) 一种epon光网络单元用单纤三向光模块
CN113630186B (zh) 一种光模块及通信方法
CN114070411B (zh) 一种光模块
CN202818302U (zh) 一种gpon光网络单元用单纤三向光模块
US20220303011A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244696Y1 (ko) 원거리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
CA2687843C (en) Electrical-optical media conver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