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967A -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967A
KR20220033967A KR1020210031426A KR20210031426A KR20220033967A KR 20220033967 A KR20220033967 A KR 20220033967A KR 1020210031426 A KR1020210031426 A KR 1020210031426A KR 20210031426 A KR20210031426 A KR 20210031426A KR 20220033967 A KR20220033967 A KR 2022003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heme
style
style resource
resourc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797B1 (ko
Inventor
다 추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3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4Tree transformation for tree-structured or markup documents, e.g. XSLT, XSL-FO or style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공개하고, 인터페이스 생성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단계;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타깃 페이지에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상기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상기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페이지 테마 전환 시 지나치게 많은 리던던트 요소의 참여가 없기에, 전환 속도를 향상시켜 전환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Description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METHOD, DEVICE, ELECTRONIC EQUIMENT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PAGE THEME}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생성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IOS1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3, 제13대 네트워크 간 운영 체제) 다크 모드의 일반화에 따라, H5(HTML5, Hyper Text Mark-up Language5, 제5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페이지는 밝은 색 및 어두운 색 두 가지 테마의 표현을 지원해야 한다. 다크 모드에서, 페이지는 대응되게 어두운 색 테마로 전환되어야 하고, 비 다크 모드에서, 페이지는 대응되게 밝은 색 테마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을 제공하여 실행 환경에 대응되는 테마로 신속하게 전환되어야 한다.
관련 기술에서, 테마 전환을 진행할 경우, 복수의 CSS(Cascading Style Sheets, 연속형 문서 양식) 스타일 문서를 작성하고, 상이한 CSS 스타일 문서로 전환하는 것을 통해 페이지 테마 전환을 실현한다. 또는, less(Leaner Style Sheets, 리니어 문서 양식)을 이용하여 작동될 경우 전단의 페이지 테마의 컴파일러 구축을 진행한다.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단계;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단계 -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타깃 페이지에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상기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상기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조회 모듈 -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타깃 페이지에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상기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제1 로딩 모듈 -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상기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을 포함한다.
선행 기술에서 상이한 CSS 스타일 문서를 전환하여 페이지 테마 전환을 실현하는 것은, 스타일 문서의 리던던트 요소가 지나치게 많고, 문서 용량이 크기에 전환 시간이 길어지며, 전환 체험감이 원활하지 않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페이지에서 테마가 전환될 경우, 테마 전환 시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페이지 테마 전환을 즉각 완료할 수 있다. CSS 변수값은 테마 전환될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하고, 지나치게 많은 리던던트 요소가 참여하지 않기에, 전환 속도를 향상시켜 전환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본 부분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키 포인트 또는 중요 특징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아래의 명세서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은 본 형태를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아래 도면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에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사항들이 포함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 및 간략을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은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구현할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단말 기기(101, 102, 103), 네트워크(104) 및 서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단말 기기(101, 102, 103)와 서버(105) 사이에서 통신 링크의 매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104)는 다양한 연결 타입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유선, 무선 통신 링크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이다.
사용자는 단말 기기(101, 102, 10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04)를 통해 서버(105)와 인터랙션함으로써 메시지 등을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에는 다양한 통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여러 가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다방면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인공 지능 애플리케이션 등이다.
단말 기기(101, 102, 103)는 하드웨어일 수 있고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하드웨어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고 정보 입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형 랩톱 및 데스크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열거된 전자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서버(105)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 기기(101, 102, 103)가 지원하는 백그라운드 서버일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수신된 요청 등 데이터에 대해 분석 등 처리를 진행하고 처리 결과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할 수 있다.
서버(105)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서버가 하드웨어인 경우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분산형 서버 클러스터로 구현될 수 있고,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복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단말 기기(101, 102, 103) 또는 서버(1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단말 기기(101, 102, 103) 또는 서버(10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중의 단말 기기(101, 102, 103), 네트워크(104) 및 서버(105)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실제 필요에 따라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임의의 개수의 단말 기기, 네트워크 및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 테마 전환을 진행할 경우, 한 가지 방법은 다수의 CSS 스타일 문서를 작성하여, 상이한 CSS 스타일 문서를 전환하는 것을 통해 페이지 테마 전환을 구현한다. 상기 방법의 결점은, 상이한 스타일 문서의 리던던트 요소가 지나치게 많고, 문서 용량이 크기에 전환 시간이 길어지며, 전환 체험감이 원활하지 않다. 다른 한 가지 방법은 less를 이용하여 작동될 시 전단 페이지 테마의 컴파일러 구축을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의 결점은, 컴파일러 시간이 길어 전환 체험감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01)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수행 주체 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타깃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전시할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워드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웹 브라우저를 열 때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를 타깃 페이지로 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에서 검색 엔진 페이지에 진입할 때, 검색 엔진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일 수 있으며; 키워드를 입력하여 조회할 때, 결과 표시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일 수 있다.
현재 실행 환경은, 자동 적응되는 실행 환경 또는 사용자가 자주적으로 선택 전환하는 실행 환경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실행 환경은 다크 모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 등일 수 있다.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JavaScript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래밍하여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고, 크롤러 기술 또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애플릿을 통해 타깃 페이지 중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한다.
단계(S202)에서,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행 환경과 테마 사이의 대응 관계의 대응 관계 리스트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대응 관계 리시트에서, 실행 환경마다에 대응되는 테마가 있으며, 예를 들면, 다크 모드는 어두운 색 테마에 대응되고, 주간 모드는 주간 테마에 대응되며, 야간 모드는 야간 테마에 대응된다. 현재 실행 환경을 결정한 후, 대응 관계 리시트에서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대응되는 테마를 찾아 타깃 테마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실행 환경에 따라 대응되는 테마를 출력하는 모형 예측과 현재 실행 환경이 서로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S203)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한다. 여기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스타일 리소스를 가리키는 링크이다.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하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수행 주체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 저장될 수 있다.
상이한 테마는 상이한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된다.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타깃 테마와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가리킬 수 있다. 수행 주체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링크 명칭에 테마 명칭이 포함되어 있고, 수행 주체는 링크 명칭의 테마 명칭에 타깃 테마가 포함되어 있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로 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타깃 테마를 획득한다. 여기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타깃 페이지에서 타깃 테마를 전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대응되는 CSS 변수에 로딩될 수 있고, CSS 변수는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에 대응된다.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가리키는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하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CSS 변수는 속성명 및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속성값은 var() 함수를 통해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중의 변수 이름을 호출하여 변수값을 획득한다.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로딩된 후,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은 변수값에 따라 변동한다.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이 변할 경우, 페이지 스타일은 상응하게 변동되고, 즉, 타깃 페이지의 테마는 타깃 테마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CSS 변수는 하기와 같은 형식일 수 있다.
.box{
color: var(--textcolor);
}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하기와 같은 형식일 수 있다.
:root{
--textcolor: red;
}
상기 구현예에서, “box”와 “root”는 라벨이고, 스테이트먼트의 카테고리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에서 변수 이름 “--textcolor”의 변수값을 “red”로 정의하고, 텍스트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color”은 속성명이고, 상기 CSS 변수가 페이지 스타일 중의 색상 속성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var(--textcolor)”는 속성값이고, var() 함수를 통해 변수 이름 “--textcolor”을 호출하여 변수값 “red”를 획득한다. 타깃 페이지에서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로딩한 후, 타깃 페이지의 텍스트 색상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상기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은, 페이지 테마 전환 과정에서 페이지에서 속성에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가리키는 바, 예를 들면, 테마가 전환될 시 배경색이 변하면, 배경색은 상기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테마 전환 시 글자체 색상이 변하면, 글자체 색상은 상기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일 수 있다.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은 상기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을 포함하는 외에도, 테마 전환 시 테마에 따라 변동이 발생하지 않은 스타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문자의 폰트 크기, 문자의 글자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고 현재 실행 환경에 따라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으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로딩하여 테마 전환을 완료하고, 사용자는 테마 전환 명령을 지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현재 실행 환경에 적합한 테마를 선사하여, 사용자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테마 전환 시 로딩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단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을 표시하기 위한 CSS 변수값을 포함하고, CSS 변수값을 로딩할 시 타깃 페이지에는 단지 일부 스타일만 변하며, 로딩 데이터의 양은 타깃 페이지의 모든 스타일 리소스를 포함하는 CSS 스타일 테이블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고, 로딩 속도는 향상되며, 테마 전환 시간을 감소시켜, 전환 속도 및 원활도를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01)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수행 주체 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타깃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전시할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워드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웹 브라우저를 열 때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를 타깃 페이지로 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에서 검색 엔진 페이지에 진입한 후, 검색 엔진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일 수 있으며; 키워드를 입력하여 조회한 후, 결과 표시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 등일 수 있다.
현재 실행 환경은 단말 기기 내부 자동 적응되는 실행 환경 또는 사용자가 자주적으로 선택 전환하는 실행 환경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실행 환경은 다크 모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 등일 수 있다.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302)에서,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303)에서, 타깃 테마에 따라,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스타일 리소스를 가리키는 링크이다.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하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타깃 테마에 따라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얻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수행 주체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주지하는 것은, 상기 body 라벨은 H5페이지 중의 하나의 라벨이고, body 라벨 중의 요소가 문서의 주체를 정의하며, body 라벨 중의 요소는 예컨대 텍스트, 슈퍼 링크, 이미지, 도표, 리스트 등 문서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는 하기와 같은 형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body data-theme=“dark”>일 수 있고, 여기서, “body”는 라벨이고, 위치를 나타내며, “data-theme”는 테마 명칭 데이터이고, “dark”는 테마 명칭 데이터를 할당하며, 테마의 명칭을 나타내고, 상기 식별자 데이터에 따라 타깃 테마가 어두운 색 테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ody data-theme=“light”>일 수 있고, 여기서, “body”는 라벨이고, 위치를 나타내며, “data-theme”는 테마 명칭 데이터이고, “light”는 테마 명칭 데이터를 할당하며, 테마의 명칭을 나타내고, 상기 식별자 데이터에 따라 타깃 테마가 밝은 색 테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깃 테마에 따라 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얻는 흐름은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서 어느 한 시각에 저장된 식별자 데이터는 <body data-theme=“light”>이고, 수행 주체는 타깃 테마가 어두운 색 테마임을 결정한 후, body 라벨 중의 식별자 데이터를 <body data-theme=“dark”>로 변경한다.
상기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얻는 과정에서, key-value 분산형 저장 시스템의 형식에 기반하여, CSS 셀렉터를 통해 타깃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선택한다.
한 가지 구현예로서, 타깃 식별자 데이터가 <body data-theme=“light”>일 경우, CSS 셀렉터를 통해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light.css”를 선택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로 할 수 있다.
//light.css
: root{
--textcolor:#999;
}
여기서, “light.css”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명칭이고,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되는 것은 “<body data-theme=“light”>” 밝은 색 테마임을 표시한다. “root”는 라벨이 “근원”이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것이고, CSS 셀렉터가 선택하도록 한다. “--textcolor”는 변수 이름이고, 텍스트 색상을 의미한다. “#999”는 CSS 변수값이고,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한 가지 색상을 가리킨다.
다른 한 가지 구현예로서, 타깃 식별자 데이터가 <body data-theme=“dark”>일 경우, CSS 셀렉터를 통해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dark.css”를 선택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로 한다.
//dark.css
: root{
--textcolor:rgba(0,0,0,0,8);
}
여기서, “dark.css”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명칭이고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되는 것은 “<body data-theme=“dark”>” 어두운 색 테마임을 표시한다. “root”는 라벨이 “근원”이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것이고, CSS 셀렉터가 선택하도록 한다. “--textcolor”는 변수 이름이고, 텍스트 색상을 의미한다. “rgba(0,0,0,0,8)”는 CSS 변수값이고,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한 가지 색상을 가리킨다.
상기 단계에서, body 라벨 중의 식별자 데이터를 통해 현재의 테마 명칭을 표시하고, 조회 시 식별자 데이터에 따라, 타깃 테마에 대응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이 로딩되고, 여기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에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대응되는 CSS 변수에 로딩될 수 있고, CSS 변수는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에 대응된다.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가리키는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CSS 변수는 속성명 및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속성값은 var() 함수를 통해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중의 변수 이름을 호출하여 변수값을 획득한다.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로딩된 후,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은 변수값에 따라 변동된다.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이 변할 경우, 페이지 스타일은 상응하게 변동되고, 즉, 타깃 페이지의 테마는 타깃 테마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S301), 단계(S302), 단계(S304의 동작은 단계(S201), 단계(S202), 단계(S204)의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단계(S305)에서,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 변화가 검출된 것에 응답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와 서로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에 변화가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검출할 경우, Mutation Observer(돌연변이 관찰기) 또는 Http Session Attribute Listener(감시기)를 통해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다.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 변화가 검출된 것에 응답하여,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는 타깃 식별자 데이터와 서로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상이한 테마에 대해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각각 미리 저장하여 선택하고 로딩하며, 배경 사진은 단말기 또는 서버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수행 주체는 key-value 분산형 저장 시스템의 형식에 따라, CSS 셀렉터를 통해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하여 로딩한다.
예를 들면, 하기의 페이지 구조에 대해,
<body data-theme="dark">
...
<i class="test-ico"></i>
...
</body>
여기서, “body”는 라벨이고, 위치를 나타내며, “data-theme”는 테마 명칭 데이터이고, “dark”는 테마 명칭 데이터를 할당하며, 테마의 명칭을 나타내고, 상기 식별자 데이터에 따라 타깃 테마를 어두운 색 테마로 결정할 수 있으며; “i”는 라벨이고, 요소를 나타내며, “class”는 라벨 스타일 종류이고, “test-ico”는 구체적인 스타일 종류의 명칭을 나타낸다.
하기의 방식을 사용하여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할 수 있다.
body[data-theme="dark"].test-ico {
background: url('dark-icon.png') no-repeat;
}
.test-ico[data-theme="light"] {
background: url('light-icon.png') no-repeat;
}
여기서, “body[data-theme="dark"].test-ico”는, <body data-theme=“dark”> 어두운 색 테마일 경우 분류명이 test-ico요소인 스타일 셀렉터이고, 상기 스타일 셀렉터를 통해 상기 요소의 어두운 색 모드에서의 표시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으며, “background”는 배경 사진의 스타일 이름이고, “url('dark-icon.png') no-repeat;”는 사용명이 dark-icon.png인 사진 리소스를 배경 사진으로 하는 것이며; “body[data-theme="light"].test-ico”는 <body data-theme=“light”> 밝은 색 테마일 경우 분류명이 test-ico요소인 스타일 셀렉터이고, 상기 스타일 셀렉터를 통해 상기 요소의 밝은 모드에서의 표시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으며, “background”는 배경 사진의 스타일 이름이고, “url(light-icon.png') no-repeat;”는 사용명이 light-icon.png인 사진 리소스를 배경 사진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를 통해, 페이지는 테마 전환 시 배경 사진도 적응성 변경할 수 있으며, 테마 전환의 지능화 정도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다양화 수요에 만족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고 현재 실행 환경에 따라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으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테마를 로딩하여 전환을 완성하도록 하며, 사용자는 테마 전환 명령을 지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현재 실행 환경에 적합한 테마를 선사하여, 사용자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테마 전환 시 로딩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단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을 표시하기 위한 CSS 변수값을 포함하고, CSS 변수값을 로딩할 시 타깃 페이지에는 단지 일부 스타일만 변하며, 로딩 데이터량은 타깃 페이지의 모든 스타일 리소스를 포함하는 CSS 스타일 테이블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고, 로딩 속도는 향상되며, 테마 전환 시간을 감소시켜, 전환 속도 및 원활도를 향상시킨다.
이 외에,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고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따라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것을 통해,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선택하고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로딩하는 것을 통해, 배경 사진이 테마에 따라 전환되여 변경되도록 하여, 테마 전환의 지능화 정도를 향상시켜 더욱 많은 사용자의 수요에 만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01)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수행 주체 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서,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타깃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전시할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워드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웹 브라우저를 열 때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를 타깃 페이지로 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홈페이지에서 검색 엔진 페이지에 진입할 때, 검색 엔진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일 수 있으며; 키워드를 입력하여 조회할 때, 결과 표시 페이지가 타깃 페이지일 수 있다.
현재 실행 환경은 자동 적응되는 실행 환경 또는 사용자가 자주적으로 선택 전환하는 실행 환경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실행 환경은 다크 모드,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 등일 수 있다.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402)에서,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수행 주체 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서, 현재 실행 환경과 서로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획득한다.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403)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고, 여기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스타일 리소스를 가리키는 링크이다.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하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또는 서버)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수행 주체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수행 주체 로컬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이한 테마는 상이한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된다.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타깃 테마와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가리킬 수 있다.
수행 주체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또는 미래 발전의 기술에서 타깃 페이지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기에,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404)에서,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타깃 테마를 획득하고, 여기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에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할 수 있다, 타깃 페이지에서 타깃 테마를 전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대응되는 CSS 변수에 로딩될 수 있고, CSS 변수는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에 대응된다.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가리키는 스타일 리소스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는 변수 이름 및 변수 이름 콘텐츠를 표시하는 변수값(즉, CSS 변수값)을 포함한다. CSS 변수는 속성명 및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속성값은 var() 함수를 통해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중의 변수 이름을 호출하여 변수값을 획득한다.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로딩된 후,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은 변수값에 따라 변동한다. CSS 변수 중의 속성값이 변할 경우, 페이지 스타일은 상응하게 변동하고, 즉, 타깃 페이지의 테마는 타깃 테마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S401-S404)의 동작은 상기 단계(S201-S204)의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에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단계(S405)에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 주체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는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중의 변수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어두운 색 모드에서의 텍스트 색상에 대해 변경하는 것에 응답하여,
//dark.css
: root{
--textcolor:rgba(0,0,0,0,8);
}
/dark.css
: root{
--textcolor:rgba(0,0,0,0,9);
}로 변경하는 바,
여기서, “dark.css”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명칭이고,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되는 것은 어두운 색 테마를 표시한다. “root”는 라벨이 “근원”이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것이고, CSS 셀렉터가 선택하도록 한다. “--textcolor”는 변수 이름이고, 텍스트 색상을 의미한다. “rgba(0,0,0,0,8) 및 rgba(0,0,0,0,9)”는 CSS 변수값이고,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각 한 가지 색상을 가리킨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해 변경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별화 수요를 만족한다.
단계(S406)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 주체가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증가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단계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서 하나의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콘텐츠는 하기와 같다.
//dark.css
: root{
--textcolor:white;
}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한 후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하기와 같다.
//dark.css
: root{
--textcolor:white;
--bgcolor:black;
}
여기서, “dark.css”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명칭이고,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되는 것은 어두운 색 테마를 표시한다. “root”는 라벨이 “근원”이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것이고, CSS 셀렉터가 선택하도록 한다. “--textcolor” 및 “--bgcolor”는 변수 이름이고, 의미는 각각 텍스트 색상 및 배경색이며, “white” 및 “black”은 각각 CSS 변수값이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textcolor:white”는 텍스트 색상이 흰색임을 정의하며,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bgcolor:black”은 배경색이 검은색임을 정의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개별화 수요를 만족한다.
단계(S407)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리소스 연결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 주체가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서 하나의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콘텐츠는 하기와 같다.
//dark.css
: root{
--textcolor: white;
--bgcolor: black;
}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한 후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dark.css
: root{
--textcolor: white;
}
여기서, “dark.css”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의 명칭이고,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에 대응되는 것은 어두운 색 테마를 표시한다. “root”는 라벨이 “근원”이라는 의미를 표시하는 것이고, CSS 셀렉터가 선택하도록 한다. “-textcolor” 및 “--bgcolor”는 변수 이름이고, 의미는 각각 텍스트 색상 및 배경색이며, “white” 및 “black”은 각각 CSS 변수값이고,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textcolor:white”는 텍스트 색상이 흰색임을 정의하며, 변수 정의 스테이트먼트 “--bgcolor:black”은 배경색이 검은색임을 정의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별화 수요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에서, 수행 주체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고 현재 실행 환경에 따라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할 수 있으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로딩하여 테마 전환을 완료하고, 사용자는 테마 전환 명령을 지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현재 실행 환경에 적합한 테마를 선사하여, 사용자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테마 전환 시 로딩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단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을 표시하기 위한 CSS 변수값을 포함하고, CSS 변수값을 로딩할 시 타깃 페이지에는 단지 일부 스타일만 변하며, 로딩 데이터량은 타깃 페이지의 모든 스타일 리소스를 포함하는 CSS 스타일 테이블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고, 로딩 속도는 향상되며, 테마 전환 시간을 감소시켜, 전환 속도 및 원활도를 향상시킨다. 이 외에, 사용자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 삭제 및/또는 증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별화 수요를 만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500)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획득 모듈(501);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502);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조회 모듈(503) -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됨 - ; 타깃 페이지에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제1 로딩 모듈(504) -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고 현재 실행 환경에 따라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여,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테마를 로딩하여 전환을 완성하도록 하며, 사용자는 테마 전환 명령을 지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현재 실행 환경에 적합한 테마를 선사하여, 사용자 체험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테마 전환 시 로딩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는 단지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하는 스타일을 표시하기 위한 CSS 변수값을 포함하고, CSS 변수값을 로딩할 시 타깃 페이지에는 단지 일부 스타일만 변하며, 로딩 데이터량은 타깃 페이지의 모든 스타일 리소스를 포함하는 CSS 스타일 테이블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고, 로딩 속도는 향상되며, 테마 전환 시간을 감소시켜, 전환 속도 및 원활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타깃 테마에 따라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변경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조회 모듈(503)은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제2 로딩 모듈(미도시)은 타깃 페이지의 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 변할 경우, 타깃 식별자 데이터와 서로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하는 제2 변경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요청이 수신된 후,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증가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삭제 모듈(미도시)은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한 저자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의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운영 플랫폼, 개인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대형 컴퓨터, 및 다른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는 개인 디지털 처리, 셀룰러폰,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및 다른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문에서 나타낸 부재,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문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된 본 발명의 구현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및 고속 인터페이스 및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상이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공통 메인보드에 장착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메모리(602)에 저장되거나 메모리(602)에서 외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표시 기기)에 GUI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필요에 따라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를 다수의 메모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각 기기는 일부 필요한 동작(예를 들어, 서버 어레이, 한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하나의 프로세서(601)를 예로 든다.
메모리(602)는 즉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6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이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602)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 검색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과 같은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메모리(602)에 저장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데, 즉 상기 방법 실시예의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6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비디오 검색 전자 기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6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일시적 고체 상태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602)는 프로세서(6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 검색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로 인터넷, 인트라넷, 블록체인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페이지 테마 결정의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서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든다.
입력 장치(603)는 입력된 디지털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비디오 검색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널, 터치 패널, 표시 바, 하나 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 볼, 조이스틱 등 입력 장치이다. 출력 장치(604)는 표시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어, LED) 및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 장치 및 플라스마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시 기기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전용 ASIC(전용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명령을 상기 저장 시스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고, 하이레벨 프로세스 및/또는 객체에 대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로직 장치(PLD))를 의미하고,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인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예를 들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 및 키보드 및 지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및 상기 지향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한다. 다른 타입의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지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백그라운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응용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이고,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그라운드 부재, 미들웨어 부재,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로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인터넷,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인터랙션한다. 대응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또한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재배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기재된 각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공개된 기술적 해결수단이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구현할 수만 있으면, 본문은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한 임의의 수정, 등가적 대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13)

  1.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단계;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단계 -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타깃 페이지에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상기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상기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를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테마에 따라,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페이지의 바디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 변화가 검출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깃 식별자 데이터와 서로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단계;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타일 리소스 연결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요청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6. 타깃 페이지의 현재 실행 환경을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실행 환경에 매칭되는 타깃 테마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타깃 테마에 매칭되는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는 조회 모듈 -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데이터 베이스에 상이한 테마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가 미리 저장되어 있음 -; 및
    상기 타깃 페이지에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을 로딩하여, 상기 타깃 테마를 획득하는 제1 로딩 모듈 - 상기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CSS 변수값은 상기 타깃 페이지의 스타일에서 테마 전환 시 변동이 발생한 스타일을 표시함 -; 을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테마에 따라, 타깃 페이지의 바디(body)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변경하여, 타깃 식별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회 모듈은, 상기 타깃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조회하여, 타깃 스타일 리소스 링크를 획득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타깃 페이지의 바디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타깃 페이지의 바디 라벨에 저장된 테마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자 데이터 변할 경우, 상기 타깃 식별자 데이터와 서로 대응되는 배경 사진을 선택 및 로딩하는 제2 로딩 모듈을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변경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변경하는 제2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요청이 수신된 후,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증가하는 증가 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요청이 수신된 후, 상기 스타일 리소스 링크 중의 스타일 리소스를 삭제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페이지 테마 결정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12.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31426A 2020-09-10 2021-03-10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585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947215.XA CN112099790B (zh) 2020-09-10 2020-09-10 确定页面主题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202010947215.X 202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67A true KR20220033967A (ko) 2022-03-17
KR102585797B1 KR102585797B1 (ko) 2023-10-10

Family

ID=7375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426A KR102585797B1 (ko) 2020-09-10 2021-03-10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59691A9 (ko)
EP (1) EP3822828A3 (ko)
JP (1) JP7366078B2 (ko)
KR (1) KR102585797B1 (ko)
CN (1) CN112099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3493A (zh) * 2021-01-29 2021-05-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界面主题的样式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2800372B (zh) * 2021-02-03 2023-06-1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页面加载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065083B (zh) * 2021-02-26 2023-10-3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157374A (zh) * 2021-04-27 2021-07-23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页面模式切换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569171A (zh) * 2021-09-26 2021-10-29 上海观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网页主题更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4047846A (zh) * 2021-10-22 2022-02-15 北京鲸鲮信息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控件风格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987318B (zh) * 2021-11-01 2024-03-12 盐城天眼察微科技有限公司 页面监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185629A (zh) * 2021-11-26 2022-03-15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625459A (zh) * 2022-02-23 2022-06-14 浙江百应科技有限公司 一种页面主题风格切换的方法、系统、装置和介质
CN115150653B (zh) * 2022-06-25 2024-02-0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媒体内容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265A (ko) * 2005-03-03 2006-09-1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스타일 메카니즘
KR20090024283A (ko) * 2006-06-29 2009-03-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커스터마이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 생성
US20150193388A1 (en) * 2009-11-18 2015-07-09 Manu Cornet Dynamic image generation for customizable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7429B2 (en) * 2002-06-12 2006-10-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tyles electronic documents
JP4867246B2 (ja) * 2005-09-13 2012-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KR100850021B1 (ko) * 2006-12-27 2008-08-01 엔에이치엔(주) 웹문서 스타일 변경 시스템 및 방법
US9443014B2 (en) * 2011-03-30 2016-09-13 Google Inc. Custom web page themes
JP6322629B2 (ja) * 2013-06-04 2018-05-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569885A (zh) * 2016-10-13 2017-04-19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应用主题切换方法及装置
CN110968808B (zh) * 2018-09-29 2023-05-23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网页主题更新的方法及装置
CN111104117A (zh) * 2019-12-17 2020-05-05 深圳前海环融联易信息科技服务有限公司 页面主题风格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265A (ko) * 2005-03-03 2006-09-1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스타일 메카니즘
KR20090024283A (ko) * 2006-06-29 2009-03-0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커스터마이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 생성
US20150193388A1 (en) * 2009-11-18 2015-07-09 Manu Cornet Dynamic image generation for customizable user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16701A1 (en) 2021-07-15
US20230259691A9 (en) 2023-08-17
KR102585797B1 (ko) 2023-10-10
EP3822828A2 (en) 2021-05-19
JP7366078B2 (ja) 2023-10-20
CN112099790A (zh) 2020-12-18
JP2022033689A (ja) 2022-03-02
CN112099790B (zh) 2024-03-29
EP3822828A3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797B1 (ko) 페이지 테마 결정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11144711B2 (en) Webpage rendering method,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82943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rendering pag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065644B1 (ko) 정보 피드들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323217A1 (en) Inserting content into an application from an online synchron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KR2018009981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940396B1 (en) Mining potential user actions from a web page
US20150207854A1 (en) External application request
CN111008051B (zh) 基于多维规则的动态布局
CN110992112B (zh) 广告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US11270669B2 (en)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5262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tended reading cont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2122245A (zh) 一种配置项设置界面的生成方法及系统
WO2020004156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2346612B (zh) 页面显示方法和装置
TWI421760B (zh) 標明網頁元件焦點之系統與方法
CN112163143B (zh) 页面切换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90369827A1 (en) Remote data input framework
CN112035210B (zh) 用于输出颜色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22020063A (ja) 対話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US20150277723A1 (en) Exporting a component of a currently displayed user interface to a development system
Raibulet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mobile widgets
CN113407241A (zh) 交互配置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12099791B (zh) 设置浏览器中页面的样式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30136837A1 (en) Method for navigating thread-type messages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