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938A - Crane device - Google Patents

Cran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938A
KR20220033938A KR1020200116421A KR20200116421A KR20220033938A KR 20220033938 A KR20220033938 A KR 20220033938A KR 1020200116421 A KR1020200116421 A KR 1020200116421A KR 20200116421 A KR20200116421 A KR 20200116421A KR 20220033938 A KR20220033938 A KR 20220033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battery
transport
moto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민곤
Original Assignee
(주)다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올산업 filed Critical (주)다올산업
Priority to KR102020011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938A/en
Publication of KR2022003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8Remote control of electric cra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ne device dispensing with a trolley bar and a current collector, wherein a crane is operated by the power of a battery and the battery is charged when the crane is not operated, thereby providing electricity. To achieve the purpose, the crane device, which includes a separate battery to be operated by the battery and to charge the battery when not in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frames arranged on a side surface and having a guide rail installed on an upper end; a transporting body arranged across the two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porting wheels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including a transporting motor for driving part of the transporting wheels to transport an object in a lengthwise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a trolley for transporting an object toward a side surface along a transporting guide installed on the transporting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trolley wheels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ing guide and including a trolley motor for driving part of the trolley wheels; a hoist attached to the trolley, including a winding device driven by a driving motor, and including a wire rope, which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winding device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device, and a hook attached to an end of the wire rope; a manipulation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ommanding the operation of the trolley, the hoist and the transporting body;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ing motor,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depending on the manipulation state of the manipulation part.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 device}crane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이용한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device using a battery.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며, 이동부분에 호이스트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crane means a device that lifts a heavy object and moves i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 hoist is generally mounted on the moving part.

또한 상기 크레인은 기중기라고도 하며, 각종 산업 현장,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을 공간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단일 호이스트나 단일 체인 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매우 편리하게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rane is also called a crane, and is used for spatially moving materials, products, or other heavy objects in various industrial sites, factories, ports, warehouses, etc. there are advantages to

한편, 천장 크레인 장치는 크레인의 종류 중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 창고 등지의 건물 천장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사용되며, 공개특허 제2012-00395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벽 또는 프레임 구조물을 따라 복수의 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폭방향 레일을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overhead crane device is commonly used among the types of cranes, and this name is used because 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factory, a warehouse, etc.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9583, a wall or frame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rails are laid along the structure, and a width direction rail running along the rails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폭방향 레일에 권상기 및 주행 장치를 갖는 트롤리가 부설되어 트롤리로부터 후크를 내려서 중량물을 끌어올린다. And a trolley having a hoisting machine and a traveling device is laid on the width direction rail, and the hook is lowered from the trolley to raise the weight.

이때 레일의 주행과 폭방향 레일 위에서의 가로 움직임을 적당히 조절하면 건물 내의 어느 장소에도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소용량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운전자가 수동으로 운전하며, 대용량의 경우에는 빔에 매달린 운전실에 사람이 타고, 운전실에서 후크에 매달린 운반물을 내다보면서 운전을 한다.At this time, if the rail travel and horizontal movement on the rails in the width direction are appropriately adjusted, heavy objects can be transported anywhere in the building. A person rides and drives while looking out from the cab to a package hanging from a hook.

한편, 상기한 천장 크레인 장치는 폭방향 레일의 이송이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이동은 모터와 피니언 및 랙에 의하여 수행되며, 통상 상기 모터의 전기 공급은 트롤리 바에 의하여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overhead crane device is necessarily required to transport the rail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a motor, a pinion and a rack, and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motor is usually supplied by a trolley bar.

한편, 겐트리 크레인 또는 세미 겐트리 크레인 역시 천장 크레인과는 가이드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전원 공급적인 측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the gantry crane or the semi-gantry crane is also different from the overhead crane only in the guide position,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in terms of power supply.

즉, 상기 트롤리 바는 이송 가능 구간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폭방향 레인이 장착되며, 상기 트롤리 바와 접촉되는 집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트롤리 바는 설치 비용이 높고, 수리 및 정전 시 감전 위험이 있고, 잦은 탈선으로 고장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고, 또한, 전력 수급이 불안한 나라들에서는 사용 시 정전에 의한 운행 정지가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trolley bar is installed over a transportable section, the motor is mounted with the width direction lane, and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through a collector in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At this time, the trolley bar has a high installation cost,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during repair and power failure, and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failure due to frequent derailment. There ar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 동작 시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하고, 미동작 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여 상용 전기를 제공 트롤리 바와 접전기가 불필요한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crane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trolley bar and a contactor by operating it in a manner that the crane is operated by the power of the battery and charges the battery when the crane is not in operation. to do that for that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미 사용 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측면에 배치되며, 상단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된 2개의 프레임; 상기 2개의 프레임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복수의 이송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휠 중 일부를 구동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의 설치된 이송가이드를 따라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가이드와 대응되는 복수의 트롤리휠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휠 중 일부를 구동하는 트롤리모터를 포함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부착되며,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권취장치에 권취 또는 해방되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에 부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상기 트롤리와 상기 호이스트 및 상기 이송체의 동작을 지시를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모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ne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attery and operates by the battery and charges the battery when not in use, comprising: two frames disposed on the side and provided with guide rails on the upper end; A transport body disposed over the two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including a transport motor for driving some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trolley transpor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guide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the trolley including a plurality of trolley wheels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guide, and a trolley motor for driving some of the trolley wheels; a hoist attached to the trolley, including a winding device driven by a driving motor, and a wire rope that is wound or released to the winding device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device and a hook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a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trolley, the hoist, and the transport body;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transfer motor,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에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is disposed on a trolley, and the trolley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이송체에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 또는 상기 이송체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is disposed on the transport body, the trolley or the transport body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이송체 및 트롤리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 또는 상기 이송체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is disposed on a transport body and a trolley, respectively, and the trolley or the transport body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충전용 단자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과 상기 이송체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transfer motor is operated by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nsfer body,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are operated by a battery arranged in the trolley, and the charging terminal operates the battery arranged in the trolle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harging and charging the battery disposed on the carrier are configured separat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에 설치되고, 또는 이송체에 설치되고, 또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is installed on a trolley, or on a transport, or o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the transport comprising a charging plug, and the transport is positioned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In this case, a power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coup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i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ttery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body, the transport body includes a charging plug, and when the transport body is disposed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the charging plug is coup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A power socket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ie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battery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body, the transport motor is operated by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and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are operated by a battery disposed in the trolley, The transport body includes a charging plug, and when the transport body is disposed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a power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coup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체에는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에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서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가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상용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transport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transport member at a return position defined in advance in the trolley, wherein the trolley When is disposed in the return position, the battery disposed in the trolle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by the connection unit and is char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모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wireless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 이송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는 상기 이송체의 길이 방향인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 또는 상기 이송체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체가 대기 위치로 귀환할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터리 전원 만으로 크레인 장치를 구동하여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정전 시에도 충전된 전력으로 동작 가능하므로, 전력 수급이 불안한 지역에서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disposed on both sides, a guide rail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s disposed over the plurality of guide rails, and transport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he sieve and the transport body include a trolley for transporting in a lateral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body, the trolley or the transport body includes a separate battery, and when the transport body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charging, since the crane device is driven only by battery power, the overall structure is simple, and it can be operated with the charged power even during a power outage, so it can be used smoothly even in areas with unstable pow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체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4의 트롤리에 장착되는 호이스트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에서 배터리의 배치 구성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부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체의 귀환 위치에서의 충전 플러그와 전원 소켓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트롤리의 귄환 위치에서 연결부의 결합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ide fram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ransport body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trolley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4,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hoist mounted on the trolley of Figure 4,
7 is a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in the overhead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9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on unit shown in FIG. 1;
10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plug and a power socket in the return position of the transport body shown in FIG. 1;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art in a winding position of the trolley shown in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 프레임(10), 상기 측면 프레임(10)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1), 상기 가이드 레일(11)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체(20), 상기 이송체(20)의 길이 방향인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롤리(40), 상기 트롤리(40)에 장착되는 호이스트(60), 상기 이송체(20) 또는 상기 트롤리(40) 또는 상기 이송체(20) 및 트롤리(40)에 설치되는 배터리(70), 상기 트롤리(40)에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조작부(80) 및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side frames 10 installed on both sides, a guide rail 1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10, and the guide rail ( 11) seated on the transport body 20 and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1, the trolley 40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body 20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trolley 40 The hoist 60 to be mounted, the transport body 20 or the trolley 40 or the transport body 20 and the battery 70 installed on the trolley 40, and an operation unit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trolley 40 80 and a control unit 90 for controlling the entire device.

먼저 상기 측면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내부 또는 설치 현장 양측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천장 크레인 장치(100)를 지지하고, 추가하여 천장 크레인 장치(100)가 처리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side frame 10 supports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as a structu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actory or on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adds the load handled by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plays a supporting role.

상기 측면 프레임(10)은 수평 구조물과 상기 수평 구조물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 구조물을 등과 같이 강재 프레임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장치의 중량과 치리하는 하중과 이동에 따라 동적 하중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강재 프레임 하단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The side frame 10 may consist of a steel frame structure such as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vertical structure supporting the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ly. It should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all, and if necessary, a concrete structur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eel fram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한편, 상기 측면 프레임(10) 상단에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은 I 형상의 강철 빔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휠과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의 빔도 가능하다.Meanwhile, a guide rail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10 . The guide rail 11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I-shaped steel beam, but any shape of a beam that can be combined with a wheel is possible.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11) 상단에는 상기 이송체(20)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상기 이송체(2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body 2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11 , and the transport body 20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ail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이송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가이드 레일(11)에 걸쳐서 배치되는 이송몸체(21)와 상기 이송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이송휠(22)과 상기 이송휠(22) 중 일부를 구동하는 이송모터(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transfer body 20 includes a transfer body 21 disposed across both guide rails 11 and a plurality of transfer wheels 22 rotatably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21 . and a transfer motor 24 for driving a part of the transfer wheel 22 .

여기서 상기 이송휠(22)은 일측의 가이드 레일(11)에 복수개 결합하고, 이중 하나의 이송휠(22)이 상기 이송모터(24)에 의하여 회전되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이송모터(24)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나,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에 하나 설치되고, 각각의 이송휠(12)에 별도의 구동축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transfer wheel 22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guide rails 11 on one side, and one transfer wheel 22 is implemented in a form rotated by the transfer motor 24, and the transfer motor 24 One is installed on each side, but if necessary, one is installed in the center, and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o each transfer wheel 12 by a separate drive shaft.

그리고 상기 이송모터(24)는 전기로 동작하며, 내부에 회전 속도를 변속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tor 24 operates electrically, and may include a speed change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therein.

따라서, 상기 이송모터(24)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이송체(20)의 이송 방향과 속도가 결정되나,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송모터(24)의 회전 속도는 일정하게 설정하고 방향만 전환하는 형태로 구동한다.Therefore, the convey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conveying body 2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conveying motor 24, but for convenience of u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nveying motor 24 is set to be constant and the direction It is driven only in the form of a transition.

한편 상기 이송체(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몸체(21)의 길이방향, 즉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트롤리(40)가 안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trolley 40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 bod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body 21 is seated on the transport body 20 .

여기서 상기 이송몸체(21)에는 상기 트롤리(40)를 안내하는 이송가이드(26)가 형성되어 있다.Here, a transfer guide 26 for guiding the trolley 40 is formed on the transfer body 21 .

상기 이송가이드(26)는 이송몸체(21) 상단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가이드(26)를 따라 트롤리(40)가 안착되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슬릿을 통하여 호이스트(60)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더블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40)가 상기 이송몸체(21) 하단에 매달리는 형태로 결합하는 노멀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더블형으로 설명한다.The transfer guide 26 is formed in plurality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body 21, the trolley 40 is seated along the transfer guide 26, and the hoist 60 is moved downward through a through slit formed in the center. It may be configured as an extended double type, and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5 ,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normal type in which the trolley 4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body 21 in a suspended form, but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it is described as a double type.

상기 트롤리(40)는 트롤리몸체(41)와 상기 이송가이드(26)와 접촉하여 전체 트롤리(40)를 이송하는 트롤리휠(42)과 상기 트롤리휠(42)을 회전하는 트롤리모터(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olley 40 is in contact with the trolley body 41 and the transfer guide 26, and a trolley wheel 42 for transporting the entire trolley 40 and a trolley motor 45 for rotating the trolley wheel 42. is comprised of

여기서 상기 트롤리휠(42)은 복수개 설치되며, 이중 하나의 트롤리휠(42)은 트롤리모터(45)에 의하여 구동한다.Here, a plurality of trolley wheels 42 are installed, and one trolley wheel 42 is driven by the trolley motor 45 .

또한 상기 트롤리모터(45) 역시 전기로 구동되며, 내부에는 회전을 감속하는 변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트롤리모터(45)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트롤리(40)의 이송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olley motor 45 is also electrically driven, and includes a transmission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 therein. direction can be adjusted.

즉,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이송몸체(21)의 길이 방향, 즉, 측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다.That is, the trolley 40 is transpor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ort body 21 , tha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한편,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트롤리몸체(41)에 고정되어 동작하는 호이스트(6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trolley 40 includes a hoist 60 fixed to the trolley body 41 and operating.

상기 호이스트(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몸체(41)에 고정되어 구동하는 구동모터(61), 상기 구동모터(61)에 의하여 동작하는 귄취장치(62), 상기 권취장치(62)에 권취 또는 해방되어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 로프(63) 및 상기 와이어 로프(63) 하단에 연결되는 후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hoist 60 includes a driving motor 61 fixed to the trolley body 41 and driven, a winding device 62 operated by the driving motor 61, and the winding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64 connected to the wire rope 63 and the wire rope 63, and the wire rope 63, the length of which is wound or released to (62) is extended.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61)는 회전을 감속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61)의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장치(62)가 동작한다. 상기 권취장치(62)가 동작하면, 상기 와이어 로프(63)는 상기 권취장치(62)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후크(64)의 높이가 조절된다.Here, the driving motor 61 includes a speed change device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 and the winding device 62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61 . When the winding device 62 operates, the length of the wire rope 63 extending from the winding device 62 is adjusted to fin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64 .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호이스트(60)는 후크(64)에 장착되는 하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를 방지하는 브레이크 등과 같은 안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hoist 60 may include a safety device such as a brake for preventing the hoist from falling downward by a load mounted on the hook 64 .

또한, 상기 트롤리(4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조작부(8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olley 40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80 extending downwardly and disposed at a position operable by the user.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호이스트(60)의 상하 구동과 상기 트롤리(40)의 측면 방향으로의 이송 그리고 상기 이송체(20)의 길이 방향의 이송을 조작하는 다수의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nipulation unit 8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 units for operating the vertical driving of the hoist 60 , the lateral transport of the trolley 40 , and the longitudinal transport of the transport body 20 .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8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호이스트(60)의 위치와 후크(64)의 높이를 조절하여 하중물을 이송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transport the load by manipulating the switch of the manipulation unit 8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ist 60 and the height of the hook 64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 크레인 장치(1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70)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40) 또는 이송체(20) 또는 트롤리(40) 및 이송체(20)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70, and the battery 70 is, as shown in FIG. 7, a trolley 40 or a transport body 20 or a trolley ( 40) and the transfer body 20 may be disposed.

먼저 트롤리(40)에 배터리(70)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트롤리(40)의 이송을 위한 트롤러모터(45)와 호이스트(60)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61)와는 바로 연결 가능하나, 상기 이송모터(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배선이 필요하며, 상기 연결배선은 트롤리(40)의 이송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케이블 행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배선은 트롤리(4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간섭 없이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한다.First, when the battery 70 is mounted on the trolley 40, the troller motor 45 for transporting the trolley 40 and the driving motor 61 for driving the hoist 60 can be directly connected, but the transport motor A separate connection wiring is required to supply power to the 24 , and the connection wir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e cable hanger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of the trolley 40 . That is, the connection wiring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olley 40 is continuously connected without interference even if the position is changed.

여기서 2개의 이송모터(24)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타측 이송모터(24)의 전원 공급선을 일측 이송모터(24) 측으로 배치하면, 하나의 연결배선만으로 2개의 이송모터(24)를 동작시킬 수 있다.Here, when two transfer motors 24 are applied, i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other transfer motor 24 is disposed to the one transfer motor 24 side, the two transfer motors 24 can be operated with only one connecting wire. .

한편, 상기 배터리(70)가 상기 이송체(2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모터(24)는 바로 연결되나, 트롤리(40)에 배치되는 트롤리모터(45)와 구동모터(61)에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배선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70 is mounted on the transport body 20, the transport motor 24 is directly connected, but power is supplied to the trolley motor 45 and the driving motor 61 disposed in the trolley 40. A separate connection wire is required for supply.

한편, 상기 배터리(70)가 상기 트롤리(40)와 상기 이송체(20)에 각각 장착되는 경우에는 트롤리(40)에 장착된 배터리(70)는 트롤리모터(45)와 구동모터(61)와 직접 연결하고, 이송체(20)에 장착된 배터리(70)는 이송모터(24)로 각각 연결되므로 별도의 연결배선을 필요치 않으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70 is mounted on the trolley 40 and the transport body 20, respectively, the battery 70 mounted on the trolley 40 includes a trolley motor 45 and a driving motor 61 and Since the batteries 70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20 are directly connected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ransfer motor 24, a separate connection wiring is not required, but a separate control cable for control is requi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80)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ran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90 for controlling the motors based on a signal input by the operation unit 80,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조작부(8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트롤리모터(45), 구동모터(61) 및 이송모터(24)의 동작을 제어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rolley motor 45 , the driving motor 61 , and the transfer motor 24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manipulation unit 80 .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이송체(20)의 이송 한계와 상기 트롤리(40)의 이송 한계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방향의 이송을 중지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transport limit of the transport body 20 and the transport limit of the trolley 40, when the signal of the sensor is output, transpor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control to stop it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상기 권취장치(62)에서 귄취 또는 해방되는 와이어 로프(63)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61)의 동작을 중지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t may also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length of the wire rope 63 that is wound or released from the winding device 62, and performs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61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can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조작부(80) 내부 또는 상기 트롤리(40) 또는 상기 이송체(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각각 구성요소들과 무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unit 80 or in the trolley 40 or the transport body 20, and, if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to and from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a wireless manner. can be configured.

예를 들면, 제어부(90)가 조작부(80) 내부에 위치하고, 트롤리(40)의 모터들의 동작 제어와 이송체(20)의 모터들의 동작 제어를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은 별도의 유선 제어선이 필요치 않아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be located inside the operation unit 80 , and may wireless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s of the trolley 40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otors of the transport body 20 . The above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installation because a separate wired control line is not required.

여기서 상기 모터들은 모터 자체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어모듈에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Here, the motors include control modules for controlling the motor itself, and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by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따라서, 무선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제어부(90)가 상기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performing wireless control means that the controller 9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wirelessl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한편, 상기 조작부(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충전용 단자(8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include a charging terminal 82 on the side thereof.

상기 충전용 단자(82)는 상기 천장 크레인 장치(100)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트롤리(40) 역시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용 전원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충전용 단자(82)가 충전을 위하여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배터리(70)를 충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배터리(70)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charging terminal 82 serves to connect to commercial power when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reaches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and the trolley 40 also reaches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When the charging terminal 82 is connected to commercial power for charging, the control unit 90 performs control to charge the battery 70, and when the battery 70 is fully charged, the power supply control to block

한편, 배터리(70)를 이송체(20)와 트롤리(40) 각각에 설치하는 경우, 이송체(20) 측에도 별도의 충전용 단자(82)를 설치하고, 귀환 위치에서 2개의 충전용 단자(82)를 동시에 상용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7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ransport body 20 and the trolley 40, a separate charging terminal 82 is also installed on the transport body 20 side, and two charging terminals ( 82) can be connected to commercial power at the same time to perform charging.

또한, 상기 충전용 단자(82)를 상기 이송체(20)측에만 설치하고, 상용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이송체(20)측 배터리(70)와 트롤리(70)측 트롤리를 같이 충전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terminal 82 is installed only on the transport body 20 side and connected to commercial power, the battery 70 on the transport body 20 side and the trolley 70 side are charged together. can also be implemented as

한편, 상기와 같은 충전용 단자(82)를 이용하고, 이송체(20)측 배터리(70)는 이송체(20)의 이송에만 사용하고, 트롤리(40)측 배터리(70)는 트롤리(40)의 동작에 사용하고, 트롤리(40)와 이송체(20) 사이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각각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별도의 충전용 단자(82)를 구비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using the charging terminal 82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70 on the transport body 20 side is used only for transport of the transport body 20 , and the battery 70 on the trolley 40 side is the trolley 40 ) and when implemented in a way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between the trolley 40 and the transport body 20, a separate charging terminal 82 for charging each battery should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인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정의된 귄환 위치의 벽면에는 상용 전원 소켓(15)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체(20)에는 상기 전원 소켓(15)과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연결하는 충전 플러그(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a commercial power socket 15 is installed on the wall of a predefined winding position, and the power socket 15 is provided on the transport body 20 . )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ing plug 28 for connecting commercial power.

따라서 상기 이송체(20)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도달된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28)가 상기 전원 소켓(15)에 결합하여 외부 전원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70)를 충전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내부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transport body 20 reaches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the charging plug 28 is coupled to the power socket 15 to connect an external power sourc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o charge the battery 70 using the power, and when charging is complete, performs a control to cut off the power internally.

여기서 이송체(20)와 트롤리(40)에 모두 배터리(70)를 구비하고, 개별적으로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체(2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9)가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40)에는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29)에 결합하는 별도의 연결부(49)를 설치하는 경우, 귀환 위치에서 2개의 배터리(7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in the case where both the transport body 20 and the trolley 40 are provided with the battery 70 and each battery is used individually, the transport body 2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29 as shown in FIG. 11 , as shown in FIG. 11 . If a separate connection part 49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9 is installed in the trolley 40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the two batteries 70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at the return position. There is this.

즉, 이송체(20)와 트롤리(40)에 각각 배터리(70)를 구비하고, 개별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고, 상기 제어부(90)가 무선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전원 소켓(15), 충전 플러그(28)와 2개의 연결부(29, 49)를 구비하는 경우, 전원을 위한 긴 배선과 제어를 위한 긴 제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케이블 설치에 따른 복잡성을 제거하는 독특한 효과를 제공한다.That is, each battery 70 is provided in the transport body 20 and the trolley 40, battery power is used individually, the control unit 90 performs control in a wireless manner, and the power socket 15 , when the charging plug 28 and the two connections 29 and 49 are provided, the long wiring for power supply and the long control wiring for control can be omitted, providing a unique effect of eliminating the complexity of cable installation do.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전원 소켓(15)과 충전 플러그(28)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29, 49) 역시 무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70)를 이송부(20)과 트롤리(40)에 각각 설치하고, 각각의 배터리(70)는 각각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90) 역시 무선으로 모터와 배터리(70) 충전을 제어하는 경우, 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구, 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그리고 부재 사이의 제어를 위한 제어선 등이 필요 없이 제조가 편리하고, 또한 운영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power socket 15 and the charging plug 28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the connection units 29 and 49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ies 70 are installed in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trolley 40, respectively, and each battery 70 drives a motor,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90 also wirelessly connects the motor and the battery 70. ) In the case of controlling charging, there is no need for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members, a wir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members, and a control line for control between members, so manufacturing is convenient and operation is conveni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는 야간에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심야 전기를 이용할 수 있어, 운영에 필요한 전기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late-night electricity when charging is performed at night, thereby saving electricity bills required fo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의 제어부(90)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 of the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복수의 관리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재 천장 크레인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a plurality of manager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using a smartphone by transmitting the operating state to the smartphone.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천장 크레인 장치(100)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overhead crane device 100 using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100)는 구조적으로 천정 크레인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측면 프레임(10)를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 겐트리형 크레인이나 세미 겐트리형 크레인으로 변경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구성은 다른 형태의 크레인에도 적용 가능하다.Although the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ructurally described as an overhead crane as an example, when the side frame 10 is changed in structure, it can be changed to a gantry-type crane or a semi-gantry-type crane, s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crane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it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0: 측면 프레임 11: 가이드 레일
15: 전원 소켓 20: 이송체
21: 이송몸체 22: 이송휠
24: 이송모터 26: 이송가이드
28: 충진 플러그 29: 연결부
40: 트롤리 41: 트롤리몸체
42: 트롤리휠 45: 트롤리모터
49: 연결부 60: 호이스트
61: 구동모터 62: 권취장치
63: 와이어로프 64: 후크
70: 배터리 80: 조작부
82: 충전용 단자 90: 제어부
100: 크레인 장치
10: side frame 11: guide rail
15: power socket 20: carrier
21: transfer body 22: transfer wheel
24: transfer motor 26: transfer guide
28: filling plug 29: connection
40: trolley 41: trolley body
42: trolley wheel 45: trolley motor
49: connection part 60: hoist
61: drive motor 62: winding device
63: wire rope 64: hook
70: battery 80: control panel
82: charging terminal 90: control unit
100: crane device

Claims (10)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미 사용 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측면에 배치되며, 상단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된 2개의 프레임;
상기 2개의 프레임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복수의 이송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휠 중 일부를 구동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의 설치된 이송가이드를 따라 측면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가이드와 대응되는 복수의 트롤리휠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휠 중 일부를 구동하는 트롤리모터를 포함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부착되며,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권취장치에 권취 또는 해방되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에 부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상기 트롤리와 상기 호이스트 및 상기 이송체의 동작을 지시를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모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In the crane device provided with a separate battery, operated by the battery, and charging the battery when not in use,
Two frames arranged on the side, with guide rails installed on the top;
A transport body disposed over the two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nd including a transport motor for driving some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trolley transpor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guide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the trolley including a plurality of trolley wheels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guide, and a trolley motor for driving some of the trolley wheels;
a hoist attached to the trolley, including a winding device driven by a driving motor, and a wire rope that is wound or released to the winding device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device and a hook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trolley, the hoist, and the transfer body; and
Crane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에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disposed on a trolley, and the trolley has a charging terminal extending downward to charge the batte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이송체에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 또는 상기 이송체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disposed on a transport body, and the trolley or the transport body is formed extending downwardly to include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이송체 및 트롤리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 또는 상기 이송체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disposed on a transport body and a trolley, respectively, and the trolley or the transport body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and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충전용 단자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과 상기 이송체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ransfer motor is operated by a battery installed in the transfer body,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are operated by the battery arranged in the trolley, the charging terminal is a battery arranged in the trolley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harging and charging the battery disposed on the transport body is configured separat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에 설치되고, 또는 이송체에 설치되고, 또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installed on a trolley, or on a transport, or o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the transport comprising a charging plug, and the transport is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When arranged, a power socket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by coupling the charging plug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and the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rging the batteri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the transport includes a charging plug, and when the transport is disposed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the charging plug is coup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power socket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i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트롤리 및 이송체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는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이송체는 충전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체가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플러그가 결합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켓이 귀환 위치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attery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rolley and the transport body, the transport motor is operated by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are operated by the battery disposed in the trolley, The transport body includes a charging plug, and when the transport body is disposed at a predefined return position, a power socket 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coupl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return position to charge the batteries.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에는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에 사전에 정의된 귀환 위치에서 상기 이송체에 설치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귀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트롤리에 배치된 배터리가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상용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trolley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ransport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upled to a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transport member at a return position defined in advance in the trolley; When is disposed in the return position, the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disposed in the trolle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part to be char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모터, 트롤리모터 및 구동모터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ireless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the trolley motor and the driving motor.
KR1020200116421A 2020-09-10 2020-09-10 Crane device KR202200339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421A KR20220033938A (en) 2020-09-10 2020-09-10 Cran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421A KR20220033938A (en) 2020-09-10 2020-09-10 Cran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38A true KR20220033938A (en) 2022-03-17

Family

ID=8093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421A KR20220033938A (en) 2020-09-10 2020-09-10 Cran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9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63168B (en) Special crane for transporting fan blade
CN206814284U (en) Overhead travelling crane
CN106586833A (en) Built-in crane anti-sway control system
CN205575458U (en) Intelligence construction elevator
CN203624874U (en) Special crane for transporting fan blade
KR20220033938A (en) Crane device
CN110217728A (en) A kind of electri forklift lifting device
CN215100151U (en) Double-track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aerial conveying trolley
CN214989828U (en) Truss type hoisting rotating arm
CN112340607B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rane
CN111717794A (en) Self-propelled trolley and crane
CN212953965U (en) Upper shaft crown block for processing metal section
CN101734558A (en) Metallurgy hopper bridge crane
WO2000053520A1 (en) Elevator
CN212503676U (e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bridge crane
JPH0819838B2 (en) Automatic shield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shield material automatic transfer device
CN115268347B (en) Remote control transfer trolley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327125A (en) Closed-loop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a conveyor system
KR20210064676A (en) Simple removable hoist
CN217606749U (en) Protective device for travelling crane relay
KR102402447B1 (en) Electric-powered hoist circulation apparatus
CN213445829U (en) Bridge crane control device
JP2996036B2 (en) In / out device with cab
CN219408984U (en) Fixed double-beam bridge crane of electric hoist
CN217867801U (en) Crane hois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