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933A -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933A
KR20220033933A KR1020200116410A KR20200116410A KR20220033933A KR 20220033933 A KR20220033933 A KR 20220033933A KR 1020200116410 A KR1020200116410 A KR 1020200116410A KR 20200116410 A KR20200116410 A KR 20200116410A KR 20220033933 A KR20220033933 A KR 2022003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part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170B1 (ko
Inventor
김나영
이승환
최종학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70B1/ko
Priority to US18/020,945 priority patent/US20230344274A1/en
Priority to EP21866993.5A priority patent/EP4213168A1/en
Priority to JP2023513072A priority patent/JP2023540211A/ja
Priority to CN202180062433.8A priority patent/CN116057653A/zh
Priority to PCT/KR2021/009730 priority patent/WO2022055126A1/ko
Publication of KR2022003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dispersed or suspended in a bonding ag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 H01F1/3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in a bonding ag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는 투자율이 서로 다른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성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전력 무선충전 시, 발생하는 발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 및 투자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복합 투자율(CP)을 제어하는 경우 충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발열 저감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대용량의 전력 전송을 요구하는 전기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WIRELESS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구현예는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예는 방열 구조를 적용하여 충전 효율이 향상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기, 전자, 통신, 반도체 등이 종합적으로 조합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모바일화 경향이 증대함에 따라 통신분야에서도 무선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 등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충전 인프라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미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을 비롯하여 배터리 교체, 급속 충전 장치, 무선충전 장치 등 다양한 충전 방식이 등장하였고, 새로운 충전 사업 비즈니스 모델도 나타나기 시작했다(한국 공개특허 제2011-0042403호 참조). 또한, 유럽에서는 시험 운행중인 전기차와 충전소가 눈에 띄기 시작했고, 일본에서는 자동차 제조 업체와 전력 회사들이 주도하여 전기 자동차 및 충전소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선충전 장치는, 무선충전 효율 향상을 위해 코일부에 인접하여 자성부가 배치되고, 차폐를 위한 쉴드부(금속판)가 자성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무선충전 장치는 무선충전 동작 중에 코일부의 저항과 자성부의 자기 손실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특히 무선충전 장치 내의 자성부는 전자기파 에너지 밀도가 높은 코일부와 가까운 부분에서 열을 발생하고, 발생한 열은 자성부의 자기 특성을 변화시켜 송신 패드와 수신 패드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를 유발하여, 충전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다시 발열이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무선충전 장치에서, 자성부는 주로 소결 페라이트 시트를 코일부와 쉴드부 사이, 특히 코일부에 가까운 일면 상에 배치되었다. 소결 페라이트 시트는 내충격성이 약하고 비중이 무거우며, 이를 코일부와 가깝게 배치할 경우, 충전 중에 코일부와 소결 페라이트 시트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특히 소결 페라이트 시트에서 발생하는 열은 열전도 특성이 낮은 공기 또는 스페이서부로 전달 및 방열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된 소결 페라이트 시트는 자기적 특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코일부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켜 충전 효율을 저하시키며 더욱 심한 발열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고속 충전 및 고전력 무선충전 시 발열이 증가하는 경우, 안전상 문제로 사용성에 제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전력에서의 방열 특성 및 충전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240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성부를 사용하되,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무선충전 시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부와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부와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충전 시에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에서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 및 투자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복합 투자율(CP)을 제어하는 경우, 충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발열 저감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대용량의 전력 전송을 요구하는 전기 자동차 등의 이동 수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각각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는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 내지 3e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몰드를 통해 자성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수단(전기 자동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것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물성 값,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 범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무선충전 장치]
도 1a 및 1b는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 및 2b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a 및 3b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c 및 3e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도면은 구현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1b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는, 코일부(200); 상기 코일부(200) 상에 배치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200)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300); 및 상기 제 1 자성부(3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부(300)와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제 2 자성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 장치(10)는 상기 코일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상기 자성부 상에 배치되는 쉴드부(400), 및 상기 구성 요소를 보호하는 하우징(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충전 시에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형의 자성부로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면서, 이들 자성부를 특별한 고려 없이 단순히 적층해서 배치할 경우, 무선충전 중에 자속이 적절히 배분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열의 외부로의 전달이 효과적이지 않고, 또한 차량 주행 중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를 사용함으로써 무선충전 시에 집속되는 자속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분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자성부 중 제 2 자성부 대비 무선충전 시에 더 작은 투자율을 갖는 제 1 자성부를 코일부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자성부를 상기 제 1 자성부에 인접하여 배치하여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복합 투자율을 조절함으로써, 방열 특성 및 충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의 구성도로서, 제 1 자성부(300) 및 제 2 자성부(5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며, 이때, 상기 제 1 자성부(300)가 상기 제 2 자성부(500) 대비 79 kHz 내지 90 kHz, 구체적으로 85kHz의 주파수에서 낮은 투자율을 가지며, 코일부(200) 상에 배치되고, 제 1 자성부(300) 대비 높은 투자율을 갖는 상기 제 2 자성부(500)가 상기 쉴드부(4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의 구성도로서, 제 1 자성부(300)가 입체 구조를 가지며, 제 2 자성부(500)는 코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되고, 이때, 상기 제 1 자성부(300)가 상기 제 2 자성부(500) 대비 79 kHz 내지 90 kHz, 구체적으로 85kHz의 주파수에서 낮은 투자율을 가지며, 코일부(200) 상에 배치되고, 제 1 자성부(300) 대비 높은 투자율을 갖는 상기 제 2 자성부(500)가 상기 쉴드부(4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에서,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들의 복합 투자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발열 저감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충전 장치의 각 구성요소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성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부는 투자율이 서로 다른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hybrid)형 자성부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는 내충격성이 크고 무게 감소 효과가 있는 제 1 자성부 및 자기 집속력이 강한 제 2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제 2 자성부(페라이트계 자성 소재) 대비 내충격성이 크고 무게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1 자성부만을 사용하는 경우 내충격성 및 무게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자기 집속력(인덕턴스)이 약하여 충전 효율 저하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자성부는 자기 집속력이 강하나, 평판 대형화 가공에 어려움이 있고, 자동차용 후막 형태로 제조 및 가공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크고 무게 감소 효과가 있는 제 1 자성부와 함께 자기 집속력이 강한 제 2 자성부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충전 장치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중 제 1 자성부 대비 85 kHz에서 투자율이 더 높은 제 2 자성부를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와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의 복합 투자율(CP)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에서,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복합 투자율(CP)은 101 내지 290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P1은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P2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T1은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T2는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a는 상기 P1이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1이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1이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고,
상기 b는 상기 P2가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2가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2가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다.
상기 자성부에서, 상기 복합 투자율(CP)은 예를 들어 101 내지 290, 101.5 내지 280, 105 내지 260, 105 내지 250, 105 내지 240, 105 내지 235, 106 내지 232, 110 내지 230, 112 내지 200, 115 내지 200, 101 내지 150, 또는 151 내지 290일 수 있다.
상기 자성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투자율뿐만 아니라 두께를 최적화하여 복합 투자율(CP)를 조절하여 설계한 무선충전 장치는 상기 특정 범위의 복합 투자율(CP)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전력에서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장치가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자성부의 필요 인덕턴스를 만족하고,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 등의 무선충전 장치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무선충전 장치가 상기 식 1의 범위 미만인 경우, 자성부에 필요한 인덕턴스의 부족으로 인해, 무선충전 충전 효율이 저하되고 발열 저감 특성이 나빠질 수 있고, 상기 식 1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성부의 저항이 높아지는 이유로, 무선충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투자율과 함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식 1의 복합 투자율(CP)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가 각 자성부의 투자율과 함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04㎜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05㎜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2㎜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1㎜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2㎜ 내지 9.5㎜이고, 상기 T2는 0.5㎜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2㎜ 내지 9.5㎜이고, 상기 T2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1㎜이고, 상기 T2는 0.02㎜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0.5㎜이고, 상기 T2는 0.0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1㎜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2㎜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1㎜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3㎜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1㎜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3㎜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 및 T2의 비(T1:T2)는 1 : 0.0009 내지 1.5, 1 : 0.008 내지 1.5, 1 : 0.008 내지 1 미만, 1 : 0.008 내지 0.7, 1 : 0.008 내지 0.68, 1 : 0.009 내지 0.68, 1 : 0.09 내지 0.68, 1 : 0.1 내지 0.6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1에서,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 및 T2의 비(T1:T2)는 1 : 0.009 내지 0.9, 1 : 0.009 내지 0.5, 1 : 0.009 내지 0.3, 1 : 0.009 내지 0.25, 또는 1 : 0.009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T1 및 T2의 비(T1:T2)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의 두께 비율이 최적화 됨으로써, 무선충전 장치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T1 및 T2의 총 두께는 1 mm 내지 15.0 mm, 1.02 mm 내지 15.0 mm, 1.02 mm 내지 13.0 mm, 1.05 mm 내지 13.0 mm, 3.0 mm 내지 12.0 mm, 4.0 mm 내지 11.0 mm, 5.0 mm 내지 10.5 mm, 5.0 mm 내지 8.0 mm 또는 8.0 mm 초과 내지 10.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1 및 T2의 총 두께가 지나치게 큰 경우, 자성부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공정 또는 사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은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은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 장치는 3 kW 내지 22 kW, 4 kW 내지 20 kW, 또는 5 kW 내지 18 kW의 고전력 무선충전을 하는 경우, 무선충전 시 발생하는 발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력 무선충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는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를 포함함으로써, 물성이 달라지고, 특히,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종류, 이들의 두께 비율 및 투과율을 최적화로 설계함으로써, 무선충전 장치의 특성이 개선됨은 물론,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중 제 1 자성부 대비 투자율이 더 높은 제 2 자성부를 쉴드부와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속 밀도와 방열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무선충전 효율을 높이면서,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쉴드부를 통해 방출시켜 방열 특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종류, 두께, 투자율 및 배치 설계에 따라 무선충전 장치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자성부
제 1 자성부의 종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자성부는 제 1 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성부는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 내에 분산된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고분자형 자성 블록(PM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고분자형 자성 블록을 포함하여 바인더 수지에 의해 자성 분말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넓은 면적에서 전체적으로 결함이 적으면서 충격에 의해 손상이 적어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무게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성 분말은 산화물계 자성 분말, 금속계 자성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 분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물계 자성 분말은 페라이트계 분말, 구체적으로 Ni-Zn계, Mg-Zn계, Mn-Zn계 페라이트 분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계 자성 분말은 Fe-Si-Al 합금 자성 분말, 또는 Ni-Fe 합금 자성 분말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샌더스트(sendust) 분말, 또는 퍼말로이(permalloy) 분말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자성 분말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e1-a-b-c Sia Xb Yc
상기 식에서, X는 Al, Cr, Ni, Cu,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Y는 Mn, B, Co, Mo,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0.01 ≤ a ≤ 0.2, 0.01 ≤ b ≤ 0.1, 및 0 ≤ c ≤ 0.05 이다.
상기 자성 분말의 평균 입경은 약 3 nm 내지 약 1 mm, 약 1 ㎛ 내지 300 ㎛, 약 1 ㎛ 내지 50 ㎛ 또는 약 1 ㎛ 내지 10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자성 분말을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또는 85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자성 분말을 10 중량% 내지 99 중량%, 10 중량% 내지 95 중량%, 50 중량% 내지 95 중량%, 50 중량% 내지 92 중량%, 70 중량% 내지 95 중량%, 80 중량% 내지 95 중량%, 또는 8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페닐설파이드(PSS)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는 광경화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특히 경화되어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는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 등과 같은 열에 의한 경화가 가능한 관능기 또는 부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또는 에폭시드(epoxide)기, 고리형 에테르(cyclic ether)기, 설파이드(sulfide)기, 아세탈(acetal)기 또는 락톤(lactone)기 등과 같은 활성 에너지에 의해 경화가 가능한 관능기 또는 부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능기 또는 부위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히드록시기(-OH), 또는 카복실기(-COOH)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바인더 수지를 5 중량% 내지 40 중량%, 5 중량% 내지 20 중량%, 5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이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6 중량% 내지 12 중량%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0.3 중량% 내지 1.5 중량%의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성부의 구조적 특징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와 상기 쉴드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와 상기 코일부의 이격 거리는 0.2 mm 이상, 0.5 mm 이상, 0.2 mm 내지 3 mm, 또는 0.5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와 상기 쉴드부의 이격 거리는 3 mm 이상, 5 mm 이상, 3 mm 내지 10 mm, 또는 4 mm 내지 7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자성부는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 효율 및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b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자성부(300)는 상기 코일부(20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외곽부(310); 및 상기 외곽부(31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중심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310)의 두께가 상기 중심부(32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외곽부와 중심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충전 중 전자기 에너지가 집중되는 코일 근방의 자성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코일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전자기 에너지 밀도가 낮은 중심의 자성부의 두께를 낮춤으로써, 코일 주변에 집중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집속시켜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견고하게 코일부와 쉴드부와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어, 스페이서 등의 사용에 따른 재료비 및 공정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외곽부가 상기 중심부에 비해 1.5 배 이상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 비율일 때, 코일 주변에 집중되는 자기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속시켜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열 및 경량화에도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외곽부/중심부의 두께 비율은 2 이상, 3 이상, 또는 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비율은 100 이하, 50 이하, 30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께 비율은 1.5 내지 100, 2 내지 50, 3 내지 30, 또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의 외곽부의 두께는 1 mm 이상, 3 mm 이상, 또는 5 mm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0 mm 이하, 20 mm 이하, 또는 11 mm 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자성부의 중심부의 두께는 10 mm 이하, 7 mm 이하, 또는 5 mm 이하일 수 있고, 또한 0 mm이거나 0.1 mm 이상 또는 1 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자성부의 외곽부가 5 mm 내지 11 m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중심부가 0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300)의 중심부(320)의 두께가 0일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300)는 중심부(320)에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도넛 형상). 이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는 보다 작은 면적으로도 충전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제 1 자성부가 입체 구조가 아닌 평면 구조(도 3a 및 3d 참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외곽부와 중심부는 두께가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자성부는 대면적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0 cm2 이상, 400 cm2 이상, 또는 600 cm2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10,000 cm2 이하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면적의 제 1 자성부는 다수의 단위 자성부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단위 자성부의 면적은 60 cm2 이상, 90 cm2, 또는 95 cm2 내지 900 cm2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자성부는 중심부에 비어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는 외곽부의 면적, 즉 코일부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몰드를 통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성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는 몰드를 통해 입체 구조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성 시트는 자성 분말과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고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몰드로 주입하여 입체 구조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은 사출성형에 의해 자성부의 원료를 몰드에 주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부는 자성 분말과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혼합하여 원료 조성물을 얻은 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원료 조성물(701)을 사출성형기(702)에 의해 몰드(703)에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몰드(703)의 내부 형태를 입체 구조로 설계하여, 자성부의 입체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은 기존의 소결 페라이트 시트를 자성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려울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자성부는 자성 시트의 적층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성 시트가 20장 이상, 또는 50장 이상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 시트의 적층체는 제 1 자성부의 중심부에만 추가적인 자성 시트가 1매 이상 더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개별 자성 시트의 두께는 80 ㎛ 이상, 또는 85 ㎛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성 시트는 자성 분말과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슬러리화한 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경화하는 등의 통상적인 시트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자성부의 자성 특성
상기 제 1 자성부는 전기 자동차의 무선충전 표준 주파수 근방에서 일정 수준의 자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무선충전 표준 주파수는 100 kHz 미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9 kHz 내지 90 kHz, 구체적으로 81 kHz 내지 90 kHz, 보다 구체적으로 약 85 kHz일 수 있으며, 이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하는 주파수와 구별되는 대역이다.
상기 제 1 자성부의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은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넓게는 5 내지 150,0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소재에 따라 10 내지 30,000, 10 이상 내지 1,000 이하,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 또는 50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의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손실은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넓게는 0 내지 50,0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소재에 따라 0 내지 1,000, 1 내지 100, 100 내지 1,000, 또는 5,000 내지 50,000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 1 자성부가 자성 분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형 자성 블록일 경우,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은 5 내지 500, 또는 50 내지 200, 50 내지 130, 55 내지 120, 또는 10 내지 50일 수 있고, 투자손실은 0 내지 50, 0 내지 20, 0 내지 15, 또는 0 내지 5일 수 있다.
제 1 자성부의 물리적 특성
상기 제 1 자성부는 일정 비율로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의 신장율은 0.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신장 특성은 고분자를 적용하지 않는 세라믹계 자성부에서는 얻기 어려운 것으로, 대면적의 자성부가 충격에 의해 뒤틀림 등이 발생하더라도 손상을 줄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자성부의 신장율은 0.5% 이상, 1%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신장율의 상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신장율 향상을 위해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많아지는 경우, 자성부의 인턱턴스 등의 특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신장율은 10%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제 1 자성부는 충격 전후의 특성 변화율이 적으며, 일반적인 페라이트 자성시트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특성의 충격 전후의 특성 변화율(%)은 아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특성 변화율(%) = | 충격 전 특성 값 - 충격 후 특성 값 | / 충격 전 특성 값 x 100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는 1 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인가한 충격 전과 후의 인덕턴스 변화율이 5% 미만, 또는 3%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덕턴스 변화율은 0% 내지 3%, 0.001% 내지 2%, 또는 0.01%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충격 전후의 인덕턴스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자성부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1 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인가한 충격 전과 후의 품질계수(Q factor) 변화율이 0% 내지 5%, 0.001% 내지 4%, 또는 0.01%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충격 전후의 특성 변화가 적어서 자성부의 안정성과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1 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인가한 충격 전과 후의 저항 변화율이 0% 내지 2.8%, 0.001% 내지 1.8%, 또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실제 충격과 진동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반복하여 적용하더라도 저항값이 일정 수준 이하로 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부는 1 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인가한 충격 전과 후의 충전 효율 변화율이 0% 내지 6.8%, 0.001% 내지 5.8%, 또는 0.01% 내지 3.4%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대면적의 자성부가 충격이나 뒤틀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특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자성부
제 2 자성부의 종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투자율이 다른 제 2 자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 나노결정성(nanocrystalline) 자성 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산화물계 자성 소재, 금속계 자성 소재, 또는 이들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상기 제 2 자성부로서 자기 집속력이 강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자기 집속력(인덕턴스)이 약하여 충전 효율 저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제 1 자성부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만일, 상기 제 2 자성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 1 자성부만을 사용하는 경우 내충격성 및 무게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자기 집속력(인덕턴스)이 약하여 충전 효율 저하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자성부는 자기 집속력이 강하나, 평판 대형화 가공에 어려움이 있고, 자동차용 후막 형태로 제조 및 가공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크고 무게 감소 효과가 있는 제 1 자성부와 함께 자기 집속력이 강한 제 2 자성부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충전 장치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물계 자성 소재는 페라이트계 소재일 수 있고, 구체적인 화학식은 MOFe2O3(여기서 M은 Mn, Zn, Cu, Ni 등의 1종 이상의 2가 금속 원소이다)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계 소재는 소결체인 것이 투자율과 같은 자성 특성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페라이트계 소재는 원료 성분들을 혼합하고 하소 후 분쇄하고, 이를 바인더 수지와 혼합하여 성형하고 소성하여 시트 또는 블록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물계 자성 소재는 Ni-Zn계, Mg-Zn계, 또는 Mn-Zn계 페라이트일 수 있고, 특히 Mn-Zn계 페라이트는 85 kHz의 주파수에서 실온 내지 100℃ 이상의 온도 범위에 걸쳐 높은 투자율, 낮은 투자손실, 및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Mn-Zn계 페라이트는 주성분으로 산화철 Fe2O3 66 mol% 내지 70 mol%, ZnO 10 mol% 내지 20 mol%, MnO 8 mol% 내지 24 mol%, NiO 0.4 mol% 내지 2 mol%를 포함하고, 그 외 부성분으로 SiO2, CaO, Nb2O5, ZrO2, SnO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Mn-Zn계 페라이트는 주성분을 소정의 몰비로 혼합하여 공기 중에서 800℃ 내지 1100℃의 온도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하소 후 부성분을 첨가하여 분쇄하고, 이에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바인더 수지를 적당량 혼합하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 성형한 후, 1200℃ 내지 1300℃까지 승온하여 2시간 이상 소성함으로써 시트 또는 블록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와이어 톱(wire saw) 또는 워터젯(water jet) 등을 이용한 가공을 통해 요구되는 크기로 절단된다.
또한 상기 금속계 자성 소재는 Fe-Si-Al 합금 자성 소재, 또는 Ni-Fe 합금 자성 소재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샌더스트(sendust), 또는 퍼말로이(permallo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는 나노결정성(nanocrystalline) 자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Fe계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 구체적으로 Fe-Si-Al계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 Fe-Si-Cr계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 또는 Fe-Si-B-Cu-Nb계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로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를 적용 시에, 코일부와 거리가 멀어질수록 코일부의 인덕턴스(Ls)가 낮아지더라도 저항(Rs)이 더욱 낮아짐으로써 코일부의 품질계수(Q factor: Ls/Rs)가 높아져서 충전 효율이 향상되고 발열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종류가 다른 자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 1 자성부가 Fe-Si-Al계 합금 자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성부가 Mn-Zn계 페라이트, Fe-Si-Al계 나노결정성 자성 분말, Fe-Si-Cr계 나노결정성 자성 분말, 및 Fe-Si-B-Cu-Nb계 나노결정성 자성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와 제 2 자성부의 조합은, 상기 제 2 자성부가 상기 제 1 자성부 대비 85 kHz에서 높은 투자율을 갖는데 유리하다.
제 2 자성부의 구조적 특징
상기 제 2 자성부는 시트 형태 또는 블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두께는 0.5 mm 내지 5 mm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5 mm 내지 3 mm, 0.5 mm 내지 2 mm, 또는 1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동일한 면적을 갖거나, 이와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동일하게 대면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자성부의 면적은 200 cm2 이상, 400 cm2 이상, 또는 600 cm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면적은 10,000 cm2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자성부가 상기 제 1 자성부의 외곽부 상에만 배치될 경우,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외곽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코일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자성부는 작은 면적으로도 충전 효율과 방열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자성부의 자성 특성
상기 제 2 자성부는 전기 자동차의 무선충전 표준 주파수 근방에서 특정 범위의 자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자성부의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P2)는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넓게는 10 내지 150,000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2는 10 이상 내지 30,000 이하, 10 이상 내지 1,000 이하,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 또는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P2)는 상기 제1 자성부의 투자율(P1)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은 구체적인 소재에 따라 500 내지 3,500, 1,000 내지 5,000, 5,000 초과 내지 20,000, 10,000 초과 내지 100,000, 또는 8,000 내지 15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손실은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넓게는 0 내지 50,0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소재에 따라 0 내지 1,000, 1 내지 100, 100 내지 1,000, 또는 5,000 내지 50,000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 2 자성부가 페라이트계 소재일 경우,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은 1,000 내지 5,000, 1,000 초과 내지 5,000 미만, 2,000 내지 5,000 또는 2,000 내지 4,000일 수 있고, 투자손실은 0 내지 1,000, 0 내지 500, 0 내지 100, 또는 0 내지 50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 2 자성부가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일 경우, 85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은 5,000 이상, 5,000 초과 내지 180,000, 5,000 초과 내지 180,000, 12,000 내지 18,000, 13,000 내지 17,000, 14,000 내지 16,000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투자손실은 100 내지 50,000, 또는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제 2 자성부의 배치
도 3a 내지 3e에서 보듯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상기 제 1 자성부(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중 제 1 자성부 대비 85 kHz에서 투자율이 더 높은 제 2 자성부를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와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의 복합 투자율(CP)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가 특정 복합 투자율을 갖는 경우 충전 효율 및 방열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상기 쉴드부(400)와 상기 제 1 자성부(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에 열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 대비 85 kHz에서 높은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쉴드부와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자성부 대비 높은 투자율을 갖는 상기 제 2 자성부를 상기 쉴드부와 가까운 곳에 배치함에 따라 코일부 주위의 높은 자속 밀도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충전 효율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제 1 자성부의 코일부 근접부에 집중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쉴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쉴드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자성부가 시트 형태일 경우, 이의 일면 전부가 상기 쉴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의 일면에 열전도성 접착제로 부착됨으로써, 방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접착제는 금속계, 카본계, 세라믹계 등의 열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접착제 수지일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코일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인 외곽부(310), 및 상기 외곽부(31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중심부(320)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b 내지 3d에서 보듯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코일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인 외곽부(310)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부 주위의 높은 자속 밀도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충전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외곽부 및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 상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도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내지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상기 제 1 자성부(300)의 외곽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자성부와 상기 제 2 자성부의 이격 거리는 1 mm 이상, 2 mm 이상, 1 mm 내지 10 mm, 2 mm 내지 7 mm, 3 mm 내지 5 mm, 또는 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또한, 도 3c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자성부(300)가 상기 쉴드부(400)를 향하는 표면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자성부(500)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하우징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상기 제 2 자성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자성부는 자성 분말과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분자형 자성부를 이용하여 몰드를 통해 입체 구조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제 2 자성부를 넣기 위한 홈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2 자성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쉴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성부 및/또는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쉴드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부에 형성된 홈의 깊이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두께(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상기 홈의 깊이와 상기 제 2 자성부의 두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홈의 깊이가 상기 제 2 자성부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 2 자성부만 상기 쉴드부에 접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홈의 깊이가 상기 제 2 자성부의 두께보다 클 경우 상기 제 1 자성부만 상기 쉴드부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3e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상기 쉴드부(4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500) 및 상기 쉴드부(400) 사이에 스페이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700)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자성부(500)는 상기 쉴드부(4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부의 적어도 일부에 무선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하우징의 재질 및 구조를 채용한 스페이서 삽입부(750)를 배치할 수 있다.
코일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는, 교류 전류가 흘러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는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구리, 니켈, 금, 은, 아연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절연성 외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성 외피는 절연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성 외피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에틸렌(PE) 수지, 테프론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와이어의 직경은 예를 들어 1 mm 내지 10 mm 범위, 1 mm 내지 5 mm 범위, 또는 1 mm 내지 3 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평면 코일 형태로 감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면 코일은 평면 나선 코일(planar spiral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 다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평면 코일의 외경은 5 cm 내지 100 cm, 10 cm 내지 50 cm, 10 cm 내지 30 cm, 20 cm 내지 80 cm, 또는 50 cm 내지 100 cm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평면 코일은 10 cm 내지 50 c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코일의 내경은 0.5 cm 내지 30 cm, 1 cm 내지 20 cm, 또는, 2 cm 내지 15 cm일 수 있다.
상기 평면 코일의 감긴 횟수는 5회 내지 50회, 10회 내지 30회, 5회 내지 30회, 15회 내지 50회, 또는 20회 내지 50회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10회 내지 30회 감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코일 형태 내에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 간의 간격은 0.1 cm 내지 1 cm, 0.1 cm 내지 0.5 cm, 또는 0.5 cm 내지 1 c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평면 코일 치수 및 규격 범위 내일 때, 전기 자동차와 같은 대용량 전력 전송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자성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부와 상기 자성부의 이격 거리는 0.2 mm 이상, 0.5 mm 이상, 0.2 mm 내지 3 mm, 또는 0.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평면 코일부 치수 및 규격 범위 내일 때, 전기 자동차와 같은 대용량 전력 전송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합할 수 있다.
쉴드부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는 전자파 차폐를 통해 무선충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쉴드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부는 상기 코일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쉴드부는 금속판을 포함하며, 이의 소재는 알루미늄일 수 있으며, 그 외 전자파 차폐능을 갖는 금속 또는 합금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의 두께는 0.2 mm 내지 10 mm, 0.5 mm 내지 5 mm, 또는 1 mm 내지 3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부의 면적은 200 cm2 이상, 400 cm2 이상, 또는 600 cm2 이상일 수 있다.
하우징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는 상기 코일부(200), 상기 제 1 자성부(300) 및 제 2 자성부(500)를 수용하는 하우징(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0)은 상기 코일부(200), 쉴드부(400), 상기 제 1 자성부(300) 및 제 2 자성부(500) 등의 구성 요소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우징의 형상(구조)은 그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재질 및 구조는 무선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하우징의 재질 및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지지부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10)는 상기 코일부(200)을 지지하는 지지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재질 및 구조는 무선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지지부의 재질 및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평판 구조 또는 코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코일 형태를 따라 홈이 파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충전 장치는 3kW 내지 22kW, 4kW 내지 20kW, 또는 5kW 내지 18kW의 고전력 무선충전을 하는 경우, 코일부가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받을 때 발생하는 발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력 무선충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자성부에 입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의 충전 효율은 85% 이상, 88% 이상, 89% 이상, 90% 이상, 또는 91%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대용량의 전력 전송을 요구하는 전기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동 수단]
도 5는 무선충전 장치가 적용된 이동 수단,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에 무선충전 장치를 구비하여 전기 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구역에서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무선충전 장치를 수신기(720)로 포함한다.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전기 자동차(1)의 무선충전의 수신기로 역할하고 무선충전의 송신기(7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수단은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 상기 제 1 자성부 상에 배치되는 제 2 자성부; 및 상기 제 2 자성부 상에 배치되는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가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받을 때, 상기 제 1 자성부보다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되는, 상기 이동 수단에 포함되는 무선충전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구동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무선충전 장치 또는 그 외 추가적인 유선충전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은 충전에 대한 정보를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신기에 전달하는 신호 전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에 대한 정보는 충전 속도와 같은 충전 효율, 충전 상태 등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의 제조
단계 1: 제 1 자성부(PMB 자성부)의 제조
42.8 중량부의 자성 분말, 15.4 중량부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분산액(폴리우레탄계 수지 25 중량%, 2-부탄온 75중량%), 1.0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분산액(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62 중량%, n-부틸 아세테이트 25 중량%, 2-부탄온 13 중량%), 0.4 중량부의 에폭시계 수지 분산액(에폭시계 수지 70 중량%, n-부틸 아세테이트 3 중량%, 2-부탄온 15 중량%, 톨루엔 12 중량%), 및 40.5 중량부의 톨루엔을 플래너터리 믹서(planetary mixer)에서 약 40 내지 50 rpm의 속도로 약 2시간 동안 혼합하여, 자성 분말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앞서 제조된 자성 분말 슬러리를 캐리어 필름 상에 콤마 코터에 의해서 코팅하고, 약 110℃의 온도로 건조하여 건조 자성복합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건조 자성복합체를 약 170℃의 온도에서 약 9 Mpa의 압력으로 약 60분간 핫프레스 공정으로 압축 경화시켜 시트형 자성복합체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자성복합체의 자성 분말 함량은 약 90% 이었고, 시트 한 장의 두께는 약 100 ㎛이었다. 상기 시트는 40 내지 50장을 적층하여 약 10.4 mm 두께의 제 1 자성부를 얻었다.
단계 2: 하이브리드형 자성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 1 자성부 (두께 10.4 mm)의 일면 상에 제 2 자성부로서,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히타치 사 제조, 두께 0.1 mm)를 배치한 후 열압착하여 고정한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두께 10.5 mm)를 얻었다.
단계 3: 무선충전 장치의 제조
상기 단계 2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를 이용하여 도 2a와 같이,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코일부, 상기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쉴드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이때, 상기 제 2 자성부가 상기 쉴드부를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10 mm 및 0.5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9.5 mm 및 1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4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를 9.5 mm로 조절하고, 상기 제 1 자성부의 일면 상에 두께 1 mm의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TDK 사의 PC-95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를 배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5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7.5 mm 및 3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6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4.9 mm 및 0.1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7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4.5 mm 및 0.5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8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4 mm 및 1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9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4 mm 및 1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0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3 mm 및 2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1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2 mm 및 3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실시예 12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자성부의 두께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를 각각 4.96 mm 및 0.04 m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하이브리드형 자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1: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
하기 표 1과 같이, 자성부로서, SKC사의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두께 10.5 mm)를 사용하여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2: 제 1 자성부(PMB 자성부)
하기 표 1과 같이, 자성부로서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얻은 제 1 자성부(PMB 자성부, 두께 10.5 mm)만을 사용하여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3: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
하기 표 1과 같이, 자성부로서 TDK 사의 PC-95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두께 10.5 mm)를 사용하여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4: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
하기 표 1과 같이, 자성부로서, SKC사의 나노결정성 자성 소재(두께 5 mm)를 사용하여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비교예 5: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
하기 표 1과 같이, 자성부로서 TDK 사의 PC-95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두께 5 mm)를 사용하여 무선충전 장치를 얻었다.
시험예
(1) 복합 투자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 및 투자율을 이용하여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복합 투자율(CP)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 P1은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P2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T1은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T2는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a는 상기 P1이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1이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1이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고,
상기 b는 상기 P2가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2가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2가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다.
(2) 충전 효율 측정
충전 효율은 SAE J2954 WPT2 Z2 Class standard TES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SAE J2954 WPT2 Z2 Class standard TEST 규격 코일부 및 프레임을 적용하고 5T(mm) 두께의 자성체, Spacer, 알루미늄플레이트를 쌓아 수신패드(35 cm X 35 cm) 및 송신패드(75 cm X 60 cm) 제조하여, 85 kHz 주파수에서 출력전력 6.6 kW 로 동일한 조건에서 10분동안 충전 효율을 평가했다.
(3) 발열 테스트
퀄리트롤(Qualitrol)사의 T/GUARD 405-SYSTEM를 사용하여 자성부의 발열을 측정하였다.
- 상온 이상 내지 100 ℃ 이하의 온도 : Pass
- 100 ℃ 초과 내지 200 ℃ 이하의 온도 : Fail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자성부로서, 투자율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하이브리드형 자성부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2의 무선충전 장치는 제 1 자성부 또는 제 2 자성부만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5의 무선충전 장치에 비해, 자속 밀도와 열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무선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열 테스트 결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의 무선충전 장치는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의 두께 및 투자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자성부에서 복합 투자율(CP)이 10 내지 290를 만족하였으며, 이 경우 고전력 무선충전 시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상기 제 1 자성부와 제 2 자성부의 두께 비율을 조절하여 충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들의 두께 비율 및 투자율이 적합한 값을 가질 때,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제 1 자성부 및 제 2 자성부가 각각 동일한 투자율을 갖더라도, 이들의 두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자성부에서 복합 투자율(CP)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효율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제 1 자성부 또는 제 2 자성부만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5의 무선충전 장치의 경우, 대부분 초기 효율이 실시예 1 내지 12에 비해 낮았으며, 발열 테스트 결과도 100 ℃ 초과로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12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 효율 및 발열 저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이동 수단(전기 자동차)
10, 10a, 10b, 10c, 10d, 10e : 무선충전 장치
100 : 지지부 200 : 코일부
300 : 제 1 자성부 310 : 외곽부
320 : 중심부 400 : 쉴드부
500 : 제 2 자성부 600 : 하우징
700 : 스페이서부 750 : 스페이서 삽입부
701 : 원료 조성물 702 : 사출 성형기
703 : 몰드
720 : 수신기 730 : 송신기
T1 : 제 1 자성부에서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
T2 : 제 2 자성부에서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
A-A': 절개선
B-B': 절개선

Claims (8)

  1.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부와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부는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 내에 분산된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고분자형 자성 블록(PM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성부는 페라이트계 자성 소재, 나노결정성(nanocrystalline) 자성 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에서,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복합 투자율(CP)이 101 내지 290인, 무선충전 장치.
    [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상기 P1은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P2는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이고,
    상기 T1은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T2는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이고,
    상기 a는 상기 P1이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1이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1이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고,
    상기 b는 상기 P2가 10 이상 내지 1,000 이하일 때 1 이거나, 상기 P2가 1,000 초과 내지 8,000 이하일 때 10이거나, 상기 P2가 8000 초과 내지 30,000 이하일 때 20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2,000 내지 5,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0㎜이고, 상기 T2는 0.04㎜ 내지 5㎜인, 무선충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1은 50 내지 200이고, 상기 P2는 12,000 내지 18,000이고, 상기 T1은 1㎜ 내지 11㎜이고, 상기 T2는 0.02㎜ 내지 3㎜인, 무선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성부의 투자율이 상기 제 1 자성부의 투자율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가 상기 제 2 자성부에서 상기 코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두께보다 더 큰, 무선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 상에 배치되는 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쉴드부에 열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무선충전 장치.
  8.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장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코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제 1 자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부와 다른 투자율을 가지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0200116410A 2020-09-10 2020-09-10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42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410A KR102427170B1 (ko) 2020-09-10 2020-09-10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US18/020,945 US20230344274A1 (en) 2020-09-10 2021-07-27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same
EP21866993.5A EP4213168A1 (en) 2020-09-10 2021-07-27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oving means including same
JP2023513072A JP2023540211A (ja) 2020-09-10 2021-07-27 無線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移動手段
CN202180062433.8A CN116057653A (zh) 2020-09-10 2021-07-27 无线充电设备及包括其的移动工具
PCT/KR2021/009730 WO2022055126A1 (ko) 2020-09-10 2021-07-27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410A KR102427170B1 (ko) 2020-09-10 2020-09-10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33A true KR20220033933A (ko) 2022-03-17
KR102427170B1 KR102427170B1 (ko) 2022-07-29

Family

ID=8093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410A KR102427170B1 (ko) 2020-09-10 2020-09-10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1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40067660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의 자성체 시트
KR20150076143A (ko) * 2015-06-15 2015-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모듈
KR20190012846A (ko) * 2017-07-28 2019-02-11 전자부품연구원 고투자율의 이종복합자성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6082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40067660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의 자성체 시트
KR20150076143A (ko) * 2015-06-15 2015-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모듈
KR20190012846A (ko) * 2017-07-28 2019-02-11 전자부품연구원 고투자율의 이종복합자성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6082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170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41914A (ja) 無線充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移動手段
KR102280727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427170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280259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240875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214293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341787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444678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20210061720A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20210061030A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455473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293776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442546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EP405405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means comprising same
KR102293768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475741B1 (ko)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KR102280257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US2023034427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same
US20220410730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means comprising same
KR102280255B1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20210061718A (ko)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