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63A -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 Google Patents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63A
KR20220033763A KR1020200116022A KR20200116022A KR20220033763A KR 20220033763 A KR20220033763 A KR 20220033763A KR 1020200116022 A KR1020200116022 A KR 1020200116022A KR 20200116022 A KR20200116022 A KR 20200116022A KR 20220033763 A KR20220033763 A KR 2022003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oom
unit
dr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763A/en
Publication of KR2022003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12Roller-type wheels
    • B60B19/125Roller-type wheels with helical projections on radial outer surface translating rotation of wheel into movement along the direction of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5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pecial kind of manipulator, e.g. planar, scara, gantry, cantilever, space, closed chain, passive/active joints and tendon driven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03Multidirectional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The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omprises: a vehicle body; a base frame part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and including a first support shaft and a second support shaft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shaft; a wheel connecting part including a pair of first boom units installed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and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a pair of second boom units installed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and provided to be rotatable; a driving wheel part including multiple omnidirectional wheel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boom units an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boom units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and a control part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part, and controlling the wheel connecting part so that a level and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driving directions and surrounding obstacles.

Description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이 협소한 전력설비의 점검이 용이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that facilitates inspection of power facilities with a narrow internal space.

옥외 노출된 변전소 및 전력구 등 전력설비를 점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이동이 불편하고 안전장비를 착용한 작업자가 설비 진단 장비를 가지고 투입되어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Since the internal space for inspecting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is narrow,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move and it is difficult for workers wearing safety equipment to work with facility diagnosis equipment.

종래 비행용 드론(drone)을 사용하여 설비를 점검하는 경우가 있으나, 옥외 노출된 변전소는 인입 및 인출 선로의 간섭 등으로 사고의 위험이 높으며, 지하 전력구의 경우 GPS신호 수신 곤란하고 비행 공간 확보 어려워서 비행용 드론으로 점검하데에 한계가 있었다. Conventionally, facilities are checked using drones for flying, but substations exposed outdoors have a high risk of accidents due to interference with incoming and outgoing lines, and underground power outlets are difficult to receive GPS signals and difficult to secure flight space There was a limit to checking with a flying drone.

이에 최근 지상형 무인 이동체가 시도되고 있으나, 지상에 설치된 다양한 장애물들로 인해 무인 이동체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무인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력설비 내에 별도의 감시용 도로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감시용 도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자유로이 주행할 수 있는 지상용 무인 이동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Recently, ground-type unmanned vehicles have been attempted, but sinc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unmanned objects due to various obstacles installed on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monitoring road must be installed in the power facility to move the unmanned objects.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monitoring road, and there is a need for an unmanned ground vehicle that can travel freely even in the presence of obstacl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11263 호(2010.10.14. 공개, 발명의 명칭: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1263 (published on October 14, 2010, title of the invention: power facility inspection devic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제1 붐대부 및 제2 붐대부과, 전방향 휠을 포함하여, 높이가 있는 장애물과 계단 등에 자유롭게 오를 수 있고, 경사로에서 차체부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 가능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cludes a rotatable first boom and a second boom, and an omnidirectional wheel, and can freely climb high obstacles and stairs,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that can be driven while maintaining an angle.

본 발명은 전방향 휠을 구비하여 휠의 움직임만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주행하고, 이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옥외 노출된 변전소와 전력구 등의 전력설비를 원활하게 점검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mnidirectional wheel to freely travel in a narrow space only with the movement of the wheel, thereby smoothly inspecting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electric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with a narrow internal space Unmanned movement for power facility monitor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은 지반이 약한 곳, 심각한 설비 고장으로 인력이 투입되어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 인간의 시야각(視野角)으로는 고장원인 식별이 어려운 곳 등에 직접 투입되어 설비를 점검할 수 있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put into a place where the ground is weak,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due to human input due to a serious equipment failure, and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by human viewing angle,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에 설치되고 제1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에 평행되게 설치되는 제2 지지축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부와, 상기 제1 지지축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붐대부와, 상기 제2 지지축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붐대부를 포함하는 휠 연결부와, 한 쌍의 상기 제1 붐대부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상기 제2 붐대부의 양 단부에 장착되고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전방향 휠을 포함하는 주행휠부; 및, 상기 차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휠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행 방향 및 주변에 감지되는 장애물을 고려하여 상기 차체부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휠 연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and a second support shaft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installed in parallel to a first support shaft and the first support shaft A base frame unit, a pair of first boom units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nd a pair of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 wheel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boom portion of a traveling wheel unit including a direction wheel;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part and controlling the wheel connection part to adjus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body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obstacles sensed in the surroundings do.

상기 차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붐대부와 상기 제2 붐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obstacl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boom unit and the second boom unit based on the height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제1 붐대부는 상기 제1 지지축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붐대;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붐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boom unit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shaft, and a first boom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a first rotation motor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boom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제2 붐대부는 상기 제2 지지축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과,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붐대;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붐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boom unit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and a second boom unit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a second rotation motor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boom an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붐대와 상기 제2 붐대는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중첩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텔레스코픽 붐; 및, 상기 텔레스코픽 붐에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붐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boom and the second boom includes a telescopic portion, the telescopic portion is provided slidably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elescopic boom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lescopic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telescopic boom to slide and move so that the telescopic boom is extended or contrac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에서 주행 시에 상기 차체부가 지면과 소정 범위 내의 내의 각도인 기준 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상기 휠 연결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로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사로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구동시켜서 성가 차체부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connection unit to drive while maintaining a reference angle that i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body part is driven on a slop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rotation motor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within a set range. and driv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rotation motor to control the body part to maintain a reference angle, and when the slope of the slope exceeds a set rang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motor and the second rotation motor and the telescopic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is driven to control the cumbersome body part to maintain a reference ang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와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is within a set rang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driving the first rotary motor and the second rotary motor, and 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exceeds the set range, the first rotary motor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part by driving the second rotary motor and the telescopic driving part.

상기 주행휠부는 상기 제1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전방향 휠과, 상기 제1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 전방향 휠과, 상기 제2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3 전방향 휠과, 상기 제2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4 전방향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raveling wheel portion includes a first forward wheel mount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om unit, a second forward wheel moun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om unit, and the second boom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omnidirectional wheel mount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unit, and a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moun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om unit.

상기 주행휠부는 상기 제1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휠구동부와, 상기 제2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휠구동부와, 상기 제3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3 휠구동부와, 상기 제4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4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4 휠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휠구동부와 상기 제2 휠구동부와 상기 제3 휠구동부 및 상기 제4 휠구동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wheel part includes a first wheel driving par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a wheel shaft coupled to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a second wheel driving unit which rotates the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a third wheel driving uni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a fourth wheel driving uni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wheel driving unit,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and th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wheel driving unit and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are controll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제1 붐대부 및 제2 붐대부과, 전방향 휠을 포함함으로써, 높이가 있는 장애물과 계단 등에 자유롭게 오를 수 있고, 경사로에서 차체부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the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first boom unit and a second boom unit, and an omnidirectional wheel, so that it can freely climb obstacles and stairs with a height, etc., and In this case, the vehicle body may be drive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향 휠을 구비함으로써 전방향 휠의 움직임만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옥외 노출된 변전소와 전력구 등의 전력설비를 원활하게 점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travel in a narrow space only by movement of the omnidirectional wheel by providing the omnidirectional wheel. Accordingly,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check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with a narrow internal space.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지반이 약한 곳, 심각한 설비 고장으로 인력이 투입되어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 인간의 시야각(視野角)으로는 고장원인 식별이 어려운 곳 등에 직접 투입되어, 설비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directly put into a place where the ground is weak, an extreme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due to the input of manpower due to a serious equipment failure, and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with the human view angle, etc. can be visually confi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휠부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휠 연결부의 동작에 따라 차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경사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계단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경사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가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계단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top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ront of a driving whee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chematically show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heel connection par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n a slope of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s.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n a ramp of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height of the obstacle.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airs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lescop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휠부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휠 연결부의 동작에 따라 차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경사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계단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top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a driving whe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chematically show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heel connection part, and FIG. 5 is this view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n the ramp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is a drawing showing the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경사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가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의 계단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operation on a slope of an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height of an obstacle, and FIG. 11 is a power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n the stairs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for monitoring,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elescop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는 전력설비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옥외 노출된 변전소 및 지하 전력구 등의 전력설비 감시를 위한 무인 이동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장애물의 극복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지상의 이동성이 향상된 무인 이동장치(10)를 제공하여 사람이 작업/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투입되어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다.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for example, an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underground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 i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mobile device 10 that is capable of omnidirectional switching and is provided with easy overcoming of obstacles, and thus has improved mobility on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put into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work/access and monitor power facilitie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는 차체부(20)와, 베이스프레임부(30)와, 휠 연결부(40)와, 주행휠부(5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1 to 7 ,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20 , a base frame part 30 , a wheel connection part 40 , It includes a traveling wheel unit 50 and a control unit 70 .

차체부(2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어 각종 부품과 이동이 필요한 내용물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부(20)에는 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경우 지상 구동용이므로 비행용 드론에 비해 배터리 탑재 용량에 제약이 적어서 큰 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수소 연료전지 또는 가속린 엔진을 병행하여 하이브리드 형태로 전원을 구성하여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The vehicle body 20 has a space therein, so that various parts and contents that need to be moved can be embedded therein. For example, a battery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2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or ground driving,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the battery loading capacity compared to a flying drone, so a large-capacity battery may be installed or a hydrogen fuel cell or accelerated engine In parallel, the power supply can be configured in a hybrid form and mounted inside.

또한 차체부(20)에는 전력설비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체부(20)의 상부에 감시장비를 탑재한 유선형 드론을 연결하여 지상 감시 제약 사항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장비에는 고화질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전자계측정기, 초음파 카메라 등일 수 있다. In addition, devices for monitoring power equipment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ground monitoring restrictions by connecting a streamlined drone equipped with monitoring equipm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20 . Here, the monitoring equipment may be a high-definition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an electromagnetic field meter, an ultrasonic camera, or the like.

베이스프레임부(30)는 차체부(20)에 설치되고 제1 지지축(31)과 제1 지지축(31)에 평행되게 설치되는 제2 지지축(33)과, 제1 지지축(31)과 제1 지지축(31)을 연결하는 연결축(3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frame part 30 includes a first support shaft 31 and a second support shaft 33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a first support shaft 31 installed on the body part 20 . ) and a connecting shaft 35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haft 31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부(30)는 휠 연결부(40)와 주행휠부(50)가 설치되는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 제1 지지축(31)과 제2 지지축(33)은 차체부(20)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35)은 양 단부가 제1 지지축(31)과 제2 지지축(33)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ase frame part 30 forms a skeleton in which the wheel connection part 40 and the driving wheel part 50 are installed, and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3 are attached to the body part 20 . They can b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haft 35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3 .

휠 연결부(40)는 제1 지지축(31)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붐대부(41)와, 제2 지지축(33)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붐대부(45)를 포함한다. The wheel connection part 40 is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is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boom parts 4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3 that are rotatably provided. and a pair of second boom units 45 that are installed and rotatably provi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지지축(31)과 제2 지지축(33)이 연장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연결축(35)이 연장된 방향으로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휠 연결부(40)는 주행휠부(50)와 베이스프레임부(30)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 제1 붐대부(41)와 제2 붐대부(45)로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3 extend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35 extends is define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s called 2 directions. The wheel connection unit 40 i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traveling wheel unit 50 and the base frame unit 30 , and may be implemented as a first boom unit 41 and a second boom unit 45 .

제1 붐대부(41)는 제1 지지축(31)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붐대부(45)는 제2 지지축(33)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붐대부(41)와 제2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2개의 제1 붐대부(41)와 2 개의 제2 붐대부(45)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붐대부(41)와 제2 붐대부(45)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boom unit 41 may be provided as a pair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31 . The second boom unit 45 may be provided as a pair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33 , and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om unit 41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first boom units 41 and two second boom units 45 may be installed, and the first boom unit 41 and the second boom unit 45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can

제1 붐대부(41)는 제1 지지축(31)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제1 지지축(31)을 연장한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oom unit 41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shaft 31 and rotatably coupled to an axis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shaft 31 as a central axis.

구체적으로 제1 붐대부(41)는 제1 회전축(43)과, 제1 붐대(42) 및 제1 회전모터(44)를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boom unit 4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shaft 43 , a first boom unit 42 and a first rotating motor 44 .

제1 회전축(43)은 제1 지지축(31)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3)은 제1 지지축(31)과 동일한 축 상에 설치되되, 제1 회전축(4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shaft 43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31 . The first rotation shaft 43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support shaft 31 , and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rotation shaft 43 .

제1 붐대(42)는 제1 회전축(43)에 결합되고 제1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붐대(42)는 주행휠부(50)가 설치되는 부재로, 소정 길이를 가진 봉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가운데 영역이 제1 회전축(4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oom 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43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first rotating shaft 43 . The first boom 42 is a member on which the traveling wheel part 50 is installed, and may be install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enter reg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43 .

제1 회전모터(44)는 제1 회전축(43)에 결합되어 제1 붐대(4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회전모터(44)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축(43)이 회전되면서 제1 붐대(42)가 회전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motor 44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43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boom 42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 As the first rotation shaft 4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motor 44 , the first boom stand 42 may rotate.

제2 붐대부(45)는 제2 지지축(33)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제2 지지축(33)을 연장한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boom unit 45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shaft 33 ,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n axis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shaft 33 as a central axis.

구체적으로 제2 붐대부(45)는 제2 회전축(47)과, 제2 붐대(46) 및, 제2 회전모터(48)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boom unit 45 may include a second rotating shaft 47 , a second boom unit 46 , and a second rotating motor 48 .

제2 회전축(47)은 제2 지지축(33)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7)은 제2 지지축(33)과 동일한 축 상에 설치되되, 제2 회전축(47)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shaft 47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33 .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is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second support shaft 33 , and may be instal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

제2 붐대(46)는 제2 회전축(47)에 결합되고 제2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붐대(46)는 주행휠부(50)가 설치되는 부재로, 소정 길이를 가진 봉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가운데 영역이 제2 회전축(47)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oom 4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 The second boom 46 is a member on which the traveling wheel part 50 is installed, and may be install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middle region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

제2 회전모터(48)는 제2 회전축(47)에 결합되어 제2 붐대(46)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회전모터(48)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축(47)이 회전되면서 제2 붐대(46)가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motor 48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boom stand 46 ,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 As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motor 48 , the second boom stand 46 may rotate.

주행휠부(50)는 한 쌍의 제1 붐대부(41)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제2 붐대부(45)의 양 단부에 장착되고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전방향 휠을 포함한다. The traveling wheel part 50 is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wheel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boom parts 41 and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boom parts 45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includes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방향 휠은 제1 붐대부(41)에 4개, 제2 붐대부(45)에 4개가 설치되어 총 8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8 개의 전방향 휠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omnidirectional wheels are installed in the first boom part 41 and four are installed in the second boom part 45 so that a total of eight wheels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eight omnidirectional wheels may be independently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motor.

제어부(70)는 차체부(20)에 구비되고 주행휠부(50)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행 방향 및 주변에 감지되는 장애물을 고려하여 차체부(20)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휠 연결부(4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0 is provided in the body part 2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part 50, and adjusts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body part 20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obstacles sensed around the wheel connection part ( 40) is contro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감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80)는 차체부(20)에 설치되고,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80 . The sensing unit 8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0 and may detect the height of the obstacle.

제어부(70)는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높이에 기초하여 제1 붐대부(41)와 제2 붐대부(4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first boom unit 41 and the second boom unit 45 based on the height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80 .

감지부(80)는 예를 들어 감지부(80)는 카메라나 초음파 센서일 수 있고, 장애물과의 거리나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차체부(20)의 기울기 등을 감지함으로서 지면(g)의 경사를 판단한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계단(S)이나 경사로(g)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무인 이동장치(10)의 주행을 방해하는 모든 물체와 환경을 포함한 개념이다. The sensing unit 80 may be, for example, a camera or an ultrasonic sensor, and may detect a distance or an angle from an obstacle. The controller 70 may determine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g by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20 . Here, the obstacle is a concept including the stairs (S) or the ramp (g), and is a concept including all objects and environments tha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

제어부(70)는 장애물에 대하여 감지부(80)에서 감지된 신호와 자체적으로 사항을 기초로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와 복수의 전방향 휠 각각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first rotating motor 44 and the second rotating motor 48 and the driving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wheels based on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80 for the obstacle and the matter itself. You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구체적으로 주행휠부(50)는 제1 붐대부(4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전방향 휠(51)과, 제1 붐대부(41)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 전방향 휠(53)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veling wheel unit 50 includes a first forward wheel 51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boom unit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om unit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53 may be included.

또한 주행휠부(50)는 제2 붐대부(45)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3 전방향 휠(55)과, 제2 붐대부(45)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4 전방향 휠(5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주행휠부(50)는 8개의 전방향 휠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veling wheel unit 50 includes a third forward wheel 55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boom unit 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ird front wheel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om unit 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4 omnidirectional wheels 57 may be included. With this structure, the driving wheel unit 50 may include eight omnidirectional wheel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 개의 제1 전방향 휠(51)과, 2 개의 제2 전방향 휠(53)과, 2 개의 제3 전방향 휠(55)과, 2 개의 제4 전방향 휠(57)은, 전 방향(전-방향(Omni-directional) 구동이 가능한 휠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카넘 휠(Mecanum Wheel)로 마련될 수 있다. 전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휠은 작업 반경이 작아 기동성이 좋아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본 발명과 같이 무인 이동장치(10)에 사용하는 경우 자유로움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1 and 2 , two first omnidirectional wheels 51 , two second omnidirectional wheels 53 , tw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55 , and two fourth omnidirectional wheels The directional wheel 57 may be provided as a wheel capable of omnidirectional (omni-directional) driving, and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Mecanum wheel. Since the working radius is small,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work in a narrow space due to good mobility, and when used in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free movement can be induced.

메카넘 휠(Mecanum Wheel)은 전방향 이동이 가능한 특수한 휠로, 여기서 전방향 이동이란 휠의 자체 회전만으로 전진, 후진, 측면, 회전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도 1의 V1, V2 방향 참조). 이러한 메카넘 휠은 장애물이 많아 회전반경이 좁고 협소한 공간을 움직여야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의 이동 특성이 부합할 수 있다.Mecanum wheel is a special wheel that can move in all directions, where forward movement means that forward, backward, lateral, and rotational driving is possible only with the wheel's own rotation (refer to the directions V1 and V2 in FIG. 1). The Mecanum wheel has many obstacles, so the rotation radius is narrow a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that need to move in a narrow space can be matched.

도 2에는 제1 전방향 휠(51)이 도시된다. 제1 내지 제4전방향 휠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전방향 휠(51)을 일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카넘 휠의 구조를 설명한다. In FIG. 2 a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is shown. The first to fourth omnidirectional wheels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Mecanum whe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as an example.

제1 전방향 휠(51)은 제1 붐대(42)에 설치된 제1 휠구동부(52)에 의해 회전하는 휠 축(51a), 휠 축(5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원판부(51b), 한 쌍의 원판부(51b)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장착부(51c), 롤러장착부(51c)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부(51d)를 포함한다. The first forward wheel 51 is a wheel shaft 51a rotating by the first wheel driving part 52 installed on the first boom 42, and a pair of disc parts 51b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51a. , a plurality of roller mounting portions 51c installed across the pair of disk portions 51b, and a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51d installed on the roller mounting portions 51c.

복수의 롤러부(51d)는 지면(g)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바퀴로서, 한 쌍의 원판부(51b)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바퀴가 휠 축(51a)에 수직인 속도벡터를 가지는 것과 달리, 메카넘 휠은 대각선 방향의 속도벡터를 포함한다(도 1의 V1 참조). 즉 메카넘 휠은 제2 방향의 직진성과,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경사진 방향인 대각선 방향의 방향성을 동시에 가지게 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51d is a wheel mov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g and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disk parts 51b. Unlike a general wheel having a speed vector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is 51a, the Mecanum wheel includes a speed vector in a diagonal direction (see V1 in FIG. 1 ). That is, the Mecanum wheel can have both straightnes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directionality in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inclined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8 개의 메카넘 휠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메카넘 휠에서 생성되는 속도벡터들의 합을 통해 무인 이동장치(10)의 구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8개의 전방향 휠의 방향성을 벡터적으로 조합하여 상, 하, 좌, 우 제자리 회전(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상 45도 하 45도 좌 45도, 우 45도의 방향 등으로의 움직임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주행휠부(50)는 차체부(20)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ight Mecanum wheels,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moving device 10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sum of speed vector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Mecanum wheels. In other words, by combin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eight omnidirectional wheels in a vector way, they rotate up, down, left, right in place (clockwise, counterclockwise), up 45 degrees down 45 degrees left 45 degrees, right 45 degrees, etc. control is possible. Through this, the driving wheel unit 50 may move the vehicle body unit 20 in all directions (refer to FIGS. 1 and 2 ).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2 개의 제1 전방향 휠(51)과, 2 개의 제2 전방향 휠(53)과, 2 개의 제3 전방향 휠(55)과, 2 개의 제4 전방향 휠(57)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Also, as described above, two first omnidirectional wheels 51 , two second omnidirectional wheels 53 , tw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55 , and two fourth omnidirectional wheels 57 . ) can be driven independently.

구체적으로 주행휠부(50)는 제1 휠구동부(52)와, 제2 휠구동부(54)와, 제3 휠구동부(56)와, 제4 휠구동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ing wheel unit 50 may include a first wheel driving unit 52 , a second wheel driving unit 54 , a third wheel driving unit 56 , and a fourth wheel driving unit 58 .

제1 휠구동부(52)는 제1 전방향 휠(51)의 휠축에 결합되어 제1 전방향 휠(51)을 회전시키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휠구동부(54)는 제2 전방향 휠(53)의 휠축에 결합되어 제2 전방향 휠(53)을 회전시키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wheel driving unit 52 may be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to rotate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and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54 may be coupled to the wheel shaft of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53 to rotate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53 and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

제3 휠구동부(56)는 제3 전방향 휠(55)의 휠축에 결합되어 제3 전방향 휠(55)을 회전시키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4 휠구동부(58)는 제4 전방향 휠(57)의 휠축에 결합되어 제4 전방향 휠(57)을 회전시키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third wheel driving unit 56 may be coupled to the wheel shaft of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5 to rotate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5 and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58 may be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57 to rotate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57 and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

여기서 제어부(70)는 제1 휠구동부(52)와 제2 휠구동부(54)와 제3 휠구동부(56) 및 제4 휠구동부(58)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개의 주행휠부(50)는 주행 환경에 따라 각각 따로 구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와 같이, 차체부(20)의 높이 조절을 위해 8개의 전방향 휠 중 제1 전방향 휠(51)과, 제3 전방향 휠(55)만 지면(g)과 접촉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제2 휠구동부(54)와 제4 휠구동부(58)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first wheel driving unit 52 ,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54 , the third wheel driving unit 56 , and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58 to be driven independently.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ight driving wheel units 50 can be driven separately depending on the driving environ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5 , only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5 among the eight omnidirectional wheels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vehicle body 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g) When in contact with , the control unit 70 may stop the driving of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54 and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58 .

여기서 제1 휠구동부(52)와 제2 휠구동부(54)와 제3 휠구동부(56) 및 제4 휠구동부(58)는 전방향 휠에 내장되는 인휠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wheel driving unit 52 ,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54 , the third wheel driving unit 56 , and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58 may be an in-wheel motor built into the omnidirectional whe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7 .

먼저 도 3과 같이 장애물을 만나서 차체부(20)의 높이를 높여야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제1 붐대부(41) 또는 제2 붐대부(45)를 회전시켜서 차체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First,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0 by meeting an obstacle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boom unit 41 or the second boom unit 45 is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can increase

일례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70)는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를 구동시켜서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제1 전방향 휠(51)과 제3 전방향 휠(55)이 지면(g)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가 지면(g)에 수직이 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축(43)과 제2 회전축(47)이 지면(g)에서 멀어져서 차체부(2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first rotary motor 44 and the second rotary motor 48 to rotate the first boom stand 42 and the second boom stand 46 , thereby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5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g. The first boom 42 and the second boom 46 are rotat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g, so that the first rotating shaft 43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47 are moved away from the ground g, and the body part 20 may increase in heigh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부(20)가 천장이 낮은 곳을 통과할 때,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가 지면(g)에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8 개의 바퀴가 모두 지면(g)에 접촉될 수 있고, 차체부(2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체부(20)의 높이를 도 3과 도 4 사이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vehicle body 20 passes through a low ceiling, the first boom 42 and the second boom 46 are placed on the ground 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 can be parallelized. Accordingly, all eight wheels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g, and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0 may be lower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boom 42 and the second boom 46 by this control,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0 can be adjusted to a height between FIGS. 3 and 4 .

한편 도 5와 같이 무인 이동장치(10)가 경사로(g)를 주행할 때, 제어부(70)는 차체부(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경사로(g)와 소정 각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70)는 제2 회전모터(48)를 회전시켜서 제1 붐대(42)는 수평으로, 제2 붐대(46)는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경사로(g)에서 제1 전방향 휠(51)과 제3 전방향 휠(55)만 경사로(g)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회전축(47)이 제1 회전축(43)보다 지면(g)에서 멀어질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차체부(2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 when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travels on the slope g, the control unit 70 may make the vehicle body 20 remain horizontal or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lope g.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may rotate the second rotary motor 48 so that the first boom 42 is horizontal, and the second boom 46 is rotated. In this case, only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5 on the ramp g may contact the ramp g. As a result, the second rotation shaft 47 can be farther from the ground g than the first rotation shaft 43 , whereby the vehicle body portion 2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무인 이동장치(10)가 계단(S)을 통과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6은 계단(S)을 오르는 과정에서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각 과정을 동시에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FIGS. 6 and 7 show that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passes through the stairs S, and FIG. 6 shows each in the process of climbing the stairs S, and FIG. 7 shows each process at the same time. did it

제어부(70)는 무인 이동장치(10)가 계단(S)을 오르는 동안, 계속하여 장애물인 계단(S)의 높이와 이로 인한 차체부(20)의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체부(20)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계단(S)을 오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수평 또는 차체부(20)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 또는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기울어진 각도일 수 있다. While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climbs the stairs S, the control unit 70 may continuously determine the height of the stairs S, which is an obstacle, and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20 resulting therefrom.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20 can be made to climb the stairs S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horizontal or inclined to the extent that parts or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20 are not dama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는 회전 가능한 제1 붐대부(41) 및 제2 붐대부(45)과, 전방향 휠을 포함함으로써, 높이가 있는 장애물과 계단(S) 등에 자유롭게 오를 수 있고, 경사로(g)에서 차체부(20)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 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the unmanned moving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first boom unit 41 and a second boom unit 45 and an omnidirectional wheel. It is possible to freely climb obstacles and stairs S, etc., and the vehicle body 20 can be drive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ramp 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향 휠을 구비함으로써 전방향 휠의 움직임만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옥외 노출된 변전소와 전력구 등의 전력설비를 원활하게 점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travel in a narrow space only by movement of the omnidirectional wheel by providing the omnidirectional wheel. Accordingly,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check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with a narrow internal space.

즉 기존에는 지상용 무인이동장치는 높이가 있는 장애물을 만나거나 경사로(g)에서는 사람이 수동으로 위치를 옮겨야 하고, T자 주행 등 자유로운 주행이 필요한 공간이 협소한 경우 차체부(20)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휠 연결부(40)와 주행휠부(50)의 개선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xisting ground unmanned mobile device, when a person encounters a tall obstacle or has to manually move the position on the slope (g), and the space that requires free driving such as T-shaped driving is narrow, the body part 20 is rot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fixed.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problem by improving the wheel connection part 40 and the driving wheel part 50 .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지반이 약한 곳, 심각한 설비 고장으로 인력이 투입되어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 인간의 시야각(視野角)으로는 고장원인 식별이 어려운 곳 등에 직접 투입되어, 설비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directly put into a place where the ground is weak, an extreme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due to the input of manpower due to a serious equipment failure, and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with the human view angle, etc. can be visually confirmed.

도 8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는 상기한 일실시예에 대비하여 제1 붐대부(41)와 제2 붐대부(45)에 텔레스코픽부가 포함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8 to 12 show an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at the telescopic unit is included in the first boom unit 41 and the second boom unit 45 in contras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is Hereinafter,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에서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는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할 수 있다. 8 to 12 , in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om 42 ′ and the second boom 46 ′ may include a telescopic unit. .

여기서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에 구비된 텔레스코픽부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텔레스코픽부는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Here, the telescopic unit provided on the first boom 42 ′ and the second boom 46 ′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 telescopic unit is a structure for enabling the length of the first boom stand (42') and the second boom stand (46') to be adjusted.

구체적으로 텔레스코픽부는 복수의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과,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lescopic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lescopic booms (42a, 42b, 42c) and a telescopic driving unit (42d).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중첩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telescopic booms (42a, 42b, 42c) are provided slidably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provided in plurality.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는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에 연결되어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is connected to the telescopic booms 42a, 42b, and 42c to slide the telescopic booms 42a, 42b, and 42c to extend or contract,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일 례를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은 다단의 튜브가 중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는 유압장치로 구비되어, 유압의 공급 또는 배출을 통해 복수의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텔레스코픽부가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telescopic booms 42a, 42b, and 42c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multi-stage tubes are overlapped. In addition,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is provided as a hydraulic device, and may slidably move the plurality of telescopic booms 42a, 42b, and 42c through supply or discharge of hydraulic pressure. Thereby, the telescopic unit can be enlarged or reduced.

다만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과 텔레스코픽 구동부(42d)의 구성 및 종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면 다양한 단면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는 텔레스코픽 붐(42a, 42b, 42c)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면 기어식, 벨트 풀리식, 다단 고정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and type of the telescopic boom (42a, 42b, 42c)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telescopic boom (42a, 42b, 42c) may be made of a member having various cross-sections if it is slidable. In addition, if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can slide the telescopic booms 42a, 42b, and 42c, various methods such as a gear type, a belt pulley type, and a multi-stage fixed type can be applied.

제어부(70)는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제1 붐대(42’)의 텔레스코픽 구동부(42d)와 제2 붐대(46’)의 텔레스코픽 구동부(42d)가 독립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individually drives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so that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of the first boom 42'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of the second boom 46' are independently enlarged or reduced. can do.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 3 내지 7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mobile device 10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nd FIGS. 8 to 12 described above.

먼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70)는 경사로(g)에서 주행 시에 차체부(20)가 지면(g)과 소정 범위 내의 내의 각도인 기준 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휠 연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9 ,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wheel connection part 40 to drive the vehicle body 20 while maintaining a reference angle, which i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ground g when driving on a slope g. ) can be controlled.

제어부(70)는 경사로(g)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서 차체부(20)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각도는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일 수 있다(도 5 참조). When the slope of the slope g is within a set range, the control unit 70 dr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motor 44 and the second rotation motor 48 to control the vehicle body unit 20 to maintain the reference angle. can Here, the reference angle may be horizontal or a predetermined angle (see FIG. 5 ).

또한 제어부(70)는 경사로(g)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 중 적어도 하나와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를 구동시켜서 성가 차체부(20)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dr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ng motor 44 and the second rotating motor 48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ramp g exceeds a set range to drive the car body part 20 )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reference angle.

예를 들어 기울기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여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의 회전 만으로 기준 각도를 구현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를 구동시켜서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 붐대(46’)에 구비된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를 구동시켜서 제2 붐대(46’)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exceeds the setting rang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reference angle only by rotating the first boom stand 42 ′ and the second boom stand 46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first rotary motor 44 and the second rotary motor 48 to rotate the first boom stand 42 ′ and the second boom stand 46 ′,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boom stand By driving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provided in the 46', the length of the second boom stand 46'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가 텔레스코픽부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경사로(g)에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oom 42 ′ and the second boom 46 ′ are provided with a telescopic uni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more diverse slopes g.

도 6, 도 7,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계단(S), 장애물(O)을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process of passing the stairs S and the obstacle 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7, 10, and 11 .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감지부(80)와 제어부(70)에 의해 장애물(O)의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차체부(20)에 설치된 감지부(80)는 카메라 또는 센서일 수 있고, 장애물과 차체부(20)와 수평 거리(L)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80)에 수평한 면을 기준면이라 하고, 감지부(80)를 기준점이라 할 때, 감지부(80)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기준면에 대하여 장애물의 상단부가 이루는 각도(θ)를 측정한다. First, a process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obstacle O by the sensing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sensing unit 80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0 may be a camera or a sensor, and may measure a horizontal distance L between an obstacle and the vehicle body 20 . In addition, when a plane horizontal to the sensing unit 80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plane and the sensing unit 80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point, the sensing unit 80 measures the angle θ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obstac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do.

제어부(70)는 감지부(80)에서 측정한 장애물(O)과 차체부(20)와 수평 거리(L) 값과, 기준면에 대하여 장애물(O)의 상단부가 이루는 각도(θ) 값을 수신하고, 삼각함수(H=L*cosθ)를 이용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장애물(O)의 상단부에 이르는 높이(H)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70)는 제1 붐대(42’)와 제2 붐대(46’)를 회전시키고, 텔레스코픽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는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horizontal distance L value between the obstacle O and the vehicle body 20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80 and the angle θ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bstacle O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And, the height H from the reference plane to the upper end of the obstacle O can be calculated using a trigonometric function (H=L*cosθ). Based on this, the control unit 70 may rotate the first boom stand 42 ′ and the second boom stand 46 ′, and operate the telescopic unit. Here, the control unit 70 may include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70)는 장애물(O)의 높이를 판단하고, 제어부(70)는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를 구동시켜서 차체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obstacle O, and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first rotating motor 44 and the second rotating motor 48 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is within a set range. Thu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20 can be adjusted (see FIGS. 6 and 7 ).

제어부(70)는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제1 회전모터(44)와 제2 회전모터(48)와 텔레스코픽 구동부(42d)를 구동시켜서 차체부(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1 참조).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exceeds the set range,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first rotating motor 44, the second rotating motor 48,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42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part 20. can be (see FIG. 11).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제1 붐대부 및 제2 붐대부과, 전방향 휠을 포함함으로써, 높이가 있는 장애물과 계단 등에 자유롭게 오를 수 있고, 경사로에서 차체부가 소정각도를 유지하면 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the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first boom unit and a second boom unit, and an omnidirectional wheel, so that it can freely climb obstacles and stairs with a height, etc., on a ramp In this case, the vehicle body part can be drive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향 휠을 구비함으로써 전방향 휠의 움직임만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옥외 노출된 변전소와 전력구 등의 전력설비를 원활하게 점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travel in a narrow space only by movement of the omnidirectional wheel by providing the omnidirectional wheel. Accordingly,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check power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and power outlets exposed outdoors with a narrow internal space.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지반이 약한 곳, 심각한 설비 고장으로 인력이 투입되어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 인간의 시야각(視野角)으로는 고장원인 식별이 어려운 곳 등에 직접 투입되어, 설비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directly put into a place where the ground is weak,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ailure by human viewing angle, etc. can be visually confirm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20: 차체부 30: 베이스프레임부
31: 제1 지지축 33: 제2 지지축
35: 연결축 40: 휠 연결부
41: 제1 붐대부 42,42’: 제1 붐대
42a, 42b, 42c: 텔레스코픽 붐 42d: 텔레스코픽 구동부
43: 제1 회전축 44: 제1 회전모터
45: 제2 붐대부 46, 46’: 제2 붐대
47: 제2 회전축 48: 제2 회전모터
50: 주행휠부 51: 제1 전방향 휠
51a: 휠 축 51b: 원판부
51c: 롤러장착부 51d: 롤러부
52: 제1 휠구동부 53: 제2 전방향 휠
54: 제2 휠구동부 55: 제3 전방향 휠
56: 제3 휠구동부 57: 제4 전방향 휠
58: 제4 휠구동부 70: 제어부
80: 감지부
10: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20: body part 30: base frame part
31: first support shaft 33: second support shaft
35: connecting shaft 40: wheel connection
41: first boom unit 42, 42 ': first boom unit
42a, 42b, 42c: telescopic boom 42d: telescopic drive
43: first rotating shaft 44: first rotating motor
45: second boom unit 46, 46 ': second boom unit
47: second rotation shaft 48: second rotation motor
50: traveling wheel part 51: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1a: wheel axle 51b: disk part
51c: roller mounting portion 51d: roller portion
52: first wheel driving unit 53: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54: second wheel driving unit 55: third omnidirectional wheel
56: third wheel driving unit 57: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58: fourth wheel driving unit 70: control unit
80: detection unit

Claims (9)

차체부;
상기 차체부에 설치되고 제1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에 평행되게 설치되는 제2 지지축을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제1 지지축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붐대부와, 상기 제2 지지축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붐대부를 포함하는 휠 연결부;
한 쌍의 상기 제1 붐대부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상기 제2 붐대부의 양 단부에 장착되고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전방향 휠을 포함하는 주행휠부; 및
상기 차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휠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행 방향 및 주변에 감지되는 장애물을 고려하여 상기 차체부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휠 연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body part;
a base frame part installed on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first support shaft and a second support shaft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shaft;
A pair of first boom units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nd a pair of second boom units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 wheel connection comprising a;
a traveling wheel unit including both ends of the pair of first boom units and a plurality of forward wheel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boom units and movably provided in all directions; and
and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part and controlling the wheel connection part so tha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body part ar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obstacles sensed in the surroundings. Unmanned mobile device for facility monit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애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장애물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붐대부와 상기 제2 붐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obstacle,
The control unit is an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first boom unit and the second boom unit based on the height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붐대부는
상기 제1 지지축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붐대;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붐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om unit
a first rotat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a first boom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boom and comprises a first rotating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붐대부는
상기 제2 지지축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붐대;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붐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boom unit
a second rotat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shaft;
a second boom fram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rotatably provided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Unmanned movement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boom and comprises a second rotation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붐대와 상기 제2 붐대는 텔레스코픽부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중첩 가능하게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텔레스코픽 붐; 및
상기 텔레스코픽 붐에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붐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boom and the second boom includes a telescopic unit,
The telescopic unit
A plurality of telescopic booms that are provided slidably to exte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which is connected to the telescopic boom and slides so that the telescopic boom is extended or contracted and includes a telescopic driv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사로에서 주행 시에 상기 차체부가 지면과 소정 범위 내의 내의 각도인 기준 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상기 휠 연결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로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사로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구동시켜서 성가 차체부가 기준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connection unit to travel while maintaining a reference angle that i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body is driven on a slope,
the control unit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within a set rang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otors is driven to control the vehicle body to maintain a reference angle,
When the slope of the slope exceeds a set rang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otors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are driven to control the car body part to maintain a reference angle. mobile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장애물의 높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2 회전모터와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차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is within a set range, the first rotation motor and the second rotation motor are drive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height of the obstacle exceeds a set range, the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b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motors and the telescopic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휠부는
상기 제1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전방향 휠;
상기 제1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 전방향 휠;
상기 제2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3 전방향 휠; 및
상기 제2 붐대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4 전방향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wheel part
a first forward wheel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boom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om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ird omnidirectional wheel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boom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nmanned moving devic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om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휠부는
상기 제1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휠구동부;
상기 제2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휠구동부;
상기 제3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3 휠구동부; 및
상기 제4 전방향 휠의 휠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4 전방향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4 휠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휠구동부와 상기 제2 휠구동부와 상기 제3 휠구동부 및 상기 제4 휠구동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감시용 무인 이동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wheel part
a first wheel driving uni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 second wheel driving uni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 third wheel driving unit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and a fourth wheel driving part coupled to the wheel shaft of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to rotate the fourth omnidirectional whe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wheel driving unit, the second wheel driving unit, the third wheel driving unit, and the fourth wheel driving unit to be driven independently.


KR1020200116022A 2020-09-10 2020-09-10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KR202200337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22A KR20220033763A (en) 2020-09-10 2020-09-10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22A KR20220033763A (en) 2020-09-10 2020-09-10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63A true KR20220033763A (en) 2022-03-17

Family

ID=8093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22A KR20220033763A (en) 2020-09-10 2020-09-10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7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598B2 (en) Moving vehicle
US99899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s having an adjustable multi-wheel
US10347109B2 (en) Automated human personnel fall arresting system and method
CN107390676B (en) Tunnel inspection robot and tunnel inspection system
US9464754B1 (en) Automated mobile boom system for crawling robots
US10491823B2 (en) Mobile vehicle
JP6633877B2 (en) Moving vehicle
JP6393647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US20210339993A1 (en) Moving body
CN109932755B (en) Walking type inspec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KR102008519B1 (en) real time unmanned video transmission system for crane safe work
US20220073326A1 (en) Automated mobile vehicle lift column
KR20180007196A (en) Transformable flying robot
JP6909051B2 (en) Mobile vehicle
WO2020141001A1 (en) Safety inspection device
CN116619960A (en) Full vector survey clus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33763A (en) Unmanned vehicle for monitoring power facilities
US11604056B2 (en) Device for the inspection of wind power plants
JP6697331B2 (en) Moving vehicle
JP3295028B2 (en) Cargo handling equipment
CN116621083A (en) Bull AMR
US11964860B2 (en) Solar panel direct-motion installation apparatus
WO2023196482A1 (en) Robotic platform with dual track
WO2021185239A1 (en) Back-scatter scanning system
CN115991067A (en) Survey robot using dual rotor mode to implement vector driv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