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55A -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55A
KR20220033755A KR1020200116007A KR20200116007A KR20220033755A KR 20220033755 A KR20220033755 A KR 20220033755A KR 1020200116007 A KR1020200116007 A KR 1020200116007A KR 20200116007 A KR20200116007 A KR 20200116007A KR 20220033755 A KR20220033755 A KR 2022003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in content
recording
additional content
inser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6194B1 (en
Inventor
윤철민
박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Priority to KR102020011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9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55A/en
Priority to KR1020220117713A priority patent/KR20220130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16
    • H04N5/23245
    • H04N5/2329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mera; a display outputting a live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 in real time from the camera; and a control unit, in response to a first user's input selecting a first position of the live area, photographing main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performing control operation such that first additional content, consecutively photographed or recorded in addition, is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operation such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s input selecting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of outputting the main content,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to be identical to the selected first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efficiency in time and costs.

Description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A terminal,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본 개시는, 컨텐트의 촬영/녹화 단계에서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 연계를 수행함으로써,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주 컨텐트 상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by performing additional content association with the main content based on the shooting/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the insertion point in the capturing/recording step of the content. To a terminal for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종래에는,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컨텐트 촬영/녹화 단계가 아닌 이미 컨텐트 촬영/녹화가 완료된 단계에서, 기-저장된 주 컨텐트와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연계하는 별도의 프로그래밍 등이 필요했다. 이 경우, 촬영/녹화를 수행한 후 컨텐트들을 연계하는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며, 연계할 때마다 새로운 프로그래밍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번거로운 측면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outpu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n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the pre-stored main content and the pre-stored addition are performed in the stage where the content shooting/recording is already completed rather than the content shooting/recording stage. Separate programming was required to link the content based on the insert point. In this case, a separate task of linking contents after shooting/recording is required, and new programming is required every time linking is performed. Accordingly, efficiency is reduced in terms of time and cost, and there is a cumbersome aspect.

또한,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따로 촬영/녹화해야 하므로,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동시에 촬영/녹화할 수 없어, 촬영/녹화 환경에 따라, 복수의 컨텐트들을 별개로 촬영/녹화할지 또는 동시에 촬영/녹화할지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ust be filmed/recorded separately,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cannot be filmed/recorde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adaptively select whether to record or not.

이에, 본 개시에서는, 컨텐트의 촬영/녹화 단계에서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의 연계를 병행 수행함으로써 저장 후 별도의 프로그래밍 과정을 생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content shooting/recording step, shooting/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linking of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are performed in parallel, thereby omitting a separate programming process after storage.

또한, 컨텐트의 촬영/녹화 단계에서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와 추가 컨텐트의 촬영/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촬영/녹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content shooting/recording step, shooting/recording of main content and shooting/recording of additional content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contents can be shot/record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본 개시의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mera; a display for outputting a live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ted from the camera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the main content i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is subsequently recorded at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link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first positio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촬영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촬영 또는 녹화하기 위한 상기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2 위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2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selects a second location of the live area while the display outputs the live area for photograph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fter the main content is captured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to perform shoot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subsequently capturing or recording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controls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second positio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각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1 카메라 유닛 및 확대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2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의 촬영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되, 상기 주 컨텐트의 촬영은, 상기 제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2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는, 나머지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mera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wide-angle photographing or recording, and a second camera unit for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and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input, photographing the main content and captur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erein the captur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and the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 can be done through the other one.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상기 주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user input is to touch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nd the at least one candidate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a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the main content. ca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 또는 녹화한 것일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역의 복수개의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live area, the main content i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subsequentl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an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o a third user input In respon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사물 중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매칭률이 가장 높은 것일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ations may have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mong th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ations.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처음 터치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로 선택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user inpu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a location first touched by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and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still picture type, an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moving picture type.

본 개시의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은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mera; a display for outputting a live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ted from the camera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of the video type is perform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dditionally captured subsequently is inserted at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linked to,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and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first positio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녹화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촬영 또는 녹화하기 위한 상기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2 위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2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the main content is recorded, the control unit selects a second location of the live area while the display outputs the live area for shoot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to perform shoot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subsequently capturing or recording second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controls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second positio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각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1 카메라 유닛 및 확대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2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의 녹화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되, 상기 주 컨텐트의 녹화는, 상기 제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2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는, 나머지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mera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wide-angle photographing or recording and a second camera unit for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and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inpu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captur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erein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and the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 can be done through the other one.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상기 주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user input is to touch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nd the at least one candidate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a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the main content. can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 또는 녹화한 것일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역의 복수개의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locations of the live area,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subsequently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an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o a third user input In respon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사물 중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매칭률이 가장 높은 것일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ations may have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mong th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ocations.

본 개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처음 터치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로 선택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user inpu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a location first touched by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and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still picture type, an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moving picture type.

본 개시의 단말기 제어방법 및 단말기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디스플레이의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는 주 컨텐트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단계; 및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인서트 지점에 연계하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브 영역은,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은,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terminal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main content capturing step of capturing main content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location of a live area of a display; an insert point setting step of setting an insert point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elected first location on the captured main content; and an associating step of linking the subsequently additionally photographed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to the insert point, wherein the live area is an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ted from a camera in real time, and on the main content The insert poi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본 개시에서는 컨텐트의 촬영/녹화 단계에서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의 연계를 병행 수행함으로써, 연계를 위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by performing shooting/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linking of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in parallel in the capturing/recording step o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dure for linkin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ime and cost.

본 개시에서는, 촬영/녹화 단계에서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와 추가 컨텐트의 촬영/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녹화 환경에 따라, 복수의 컨텐트들을 별개로 촬영/녹화할지 또는 동시에 촬영/녹화할지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shooting/recording of main content and shooting/recording of additional content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shooting/recording step, so that, depending on the shooting/recording environment, whether to shoot/record a plurality of contents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You can adaptively select whether to record or not.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미지 타입의 컨텐트 촬영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영상 타입의 컨텐트 녹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6은 이미지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미지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8, 9는 동영상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동영상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이미지 타입의 주 컨텐트 촬영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이미지 타입의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동영상 타입의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 녹화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type content capturing scree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deo-type content recording scree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ociating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n insert point to pre-stored main content.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utput form of main content stored in an image type.
7 illustrates an output form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stored content of the image type.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utput format of main content stored in a moving picture type.
10 illustrates an output form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stored content of the moving picture typ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capturing an image type of main content and set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capturing main content.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s an insert point.
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1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of an image type.
1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recording additional content of a video type.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currently performing video-type main content recording and inserting point setting on the main content.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recording main content.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s an insert point.
2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2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may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can also be called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for clearly explaining each characteristic, and the components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to form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Accordingly,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such integrated or dispers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mposed of a subset of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컨텐트는, 텍스트 기반의 컨텐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not only text-based content, but also multimedia content such as images, videos, and music.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컨텐트는 이미지(예를 들어, jpg, gif, tif 또는 bmp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동영상(예를 들어, mpeg, avi, mp4, wmv 또는 mov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등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컨텐트는 멀티미디어 컨텐트 외 프레젠테이션 문서(예를 들어, ppt(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스프레드 시트 문서(예를 들어, xsl(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워드 프로세싱 문서(예를 들어, doc(x), hwp, txt 또는 pdf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웹사이트(예를 들어, html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전자책(예를 들어, epub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등의 텍스트 기반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Content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mage (eg, a file having an extension such as jpg, gif, tif, or bmp) or a video (eg, a file having an extension such as mpeg, avi, mp4, wmv or mov) It may include multimedia content, such as,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However, the content includes a presentation document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ppt(x)) other than multimedia content, a spreadsheet document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xsl(x)), a word processing document (eg, For example, a file with an extension of doc(x), hwp, txt or pdf), a website (eg, a file with an extension of html), or an e-book (eg, a file with an extension such as epub), etc. of text-based content.

본 개시의 컨텐트 중 인서트 지점에 의해 상호 연계되는 컨텐트들은,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로 구분될 수 있다.Amo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s interconnected by the insert point may be divided into main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본 개시의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에 포함된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고, 상기 인서트 지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되는 컨텐트일 수 있다. 또한, 주 컨텐트가 저장될 경우, 주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좌표와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의 메타 데이터 상에,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상기 인서트 지점과 연계되는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 및 추가 컨텐트가 하나의 파일로 병합되어 저장되고, 병합된 파일 헤더에 인서트 지점의 헤더 및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addition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ntent linked to an insert point included in the main content and out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the insert point. In addition, when the main content is stored,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As an example,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nd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may be included in the metadata of the main content. As an example,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merged into one file and stored, and the header of the insert point and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included in the merged file header.

본 개시의 주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지점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The main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ea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insert point.

본 개시의 일 예로, 주 컨텐트와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에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경우, 제2 추가 컨텐트와 제1 추가 컨텐트의 관계에서는 제1 추가 컨텐트가 주 컨테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추가 컨텐트도 다른 추가 컨텐트와의 관계에서 주 컨텐트가 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insert point link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s set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 The content may perform the role of the main content. That is, the additional content may also be the main content in relation to other additional content.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랩톱(Laptop)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 TV 등의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 및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이동형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Th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Personal Computer), a laptop,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TV. there is.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camera 120 , a user input unit 130 , a display 140 , a memory 150 , and a control unit 160 .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LTE, HSDPA 또는 CDMA 등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Wireless LAN(Wi-Fi) 등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방식은, LAN, USB, HDMI, RGB 또는 DVI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allows the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or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d manner. 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ch as LTE, HSDPA or CDMA,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Wi-Fi). The wired method may include LAN, USB, HDMI, RGB or DVI.

카메라(120)는 입력되는 적외광 또는 가시광을 기반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의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카메라 유닛은 컨텐트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은 광각 촬영/녹화 위한 카메라 유닛 및 확대 촬영/녹화를 위한 카메라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120 may perform a process of photographing a subject based on input infrared light or visible light,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storing the image or video file format. The camera 120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each camera unit may capture or record content. In addition, the camera unit may include a camera unit for wide-angle photographing/recording and a camera unit for enlarged photographing/recording.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단말기의 외부에 드러난 버튼 형태로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입력부, 디스플레이(14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입력부, 움직임을 모니터하는 움직임 센서로 움직임 입력을 수신하는 움직임 입력부, 또는 오디오 인식 센서로 오디오 입력(예,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130 includes a button input unit that receives a button input in the form of a button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 touch input unit that receives a touch input that touches the display 140 , and a motion sensor that monitors movem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put unit or an audio input unit that receives an audio input (eg, a voice input) from an audio recognition sensor.

터치 입력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40)와 터치 입력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와 같은 구조를 '디스플레이'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구조에서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드래그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sensor for receiving a touch input.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140 and the touch input unit form a mutually layered structure, 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In such a display structure, various types of touch inputs such as selecting or dragging an object output on the display using a pointer may be received.

움직임 입력부는, 움직임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움직임 센서를 통해서 움직임의 종류, 위치, 벡터, 움직임 입력 시간, 또는 움직임 입력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로 특정되는 다양한 움직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카메라(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움직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mo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motion recognition sensors for receiving the motion input. Through the motion sensor, various motion inputs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type of motion, a position, a vector, a motion input time, or the number of motion inputs may be receiv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analyze a user's motion through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120 , and receive a motion input based on a result of the analysis.

움직임 입력부는, 단말기 자체의 움직임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서, 단말기의 위치, 움직임 벡터, 움직임 입력 시간, 또는 움직임 종류 등 중 적어도 하나로 특정되는 다양한 움직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mo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receiving a motion input of the terminal itself. Various motion inputs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terminal, a motion vector, a motion input time, and a motion type may be received through the gyro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움직임 입력부는, 눈 움직임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 눈의 위치, 움직임 종류, 움직임 벡터, 또는 움직임 입력 시간 등 중 적어도 하나로 특정되는 다양한 움직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mo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biosensors for receiving the eye motion input. Through the biosensor, various motion inputs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user's eye position, a motion type, a motion vector, and a motion input time may be received.

디스플레이(140)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실행 화면 상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촬영에 관한 것인 경우, 실행 화면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거나 촬영될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140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140 serves to output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terminal, a user interface on the execution screen, or a graphic user interface. When the application relates to camera photography, the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screen to be photographed 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메모리(15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 및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하드디스크, SSD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150)(Flash Memory), 카드 타입의 저장 장치(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50) 등),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 (Read 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역시, 메모리(15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150 stores data for application execution and data processed in the terminal. The memory 150 is a hard disk, a solid state disk (SSD), a flash memory 150 (Flash Memory), a card-type storage device (eg, SD or XD memory 150,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 or ROM (Read Only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Web storage that can be accessed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memory 150 .

제어부(16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160 may process a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50 .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n operation/control devic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 micro processing unit (MPU).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현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불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 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not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본 개시의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버튼 입력, 움직임 입력, 또는 오디오 입력 등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입력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터치 입력, 버튼 입력, 움직임 입력, 오디오 입력 등)의 조합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 button input, a motion input, and an audio input. That is, the inpu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include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inputs (touch input, button input, motion input, audio input, etc.).

터치 입력은,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의 터치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터치 입력은,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The touch input may be an input received by a touch sensor of the touch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e touch input may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버튼 입력은, 단말기의 버튼 입력부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버튼 입력은, 버튼 종류, 버튼 개수, 버튼 패턴, 입력 강도(입력 압력), 입력 시간, 또는 입력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The button input may be an input received by a button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e button input may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button type, the number of buttons, a button pattern, an input strength (input pressure), an input time, or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움직임 입력은, 단말기의 움직임 입력부의 움직임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움직임 입력은, 움직임 위치, 움직임 인식 모양, 움직임 벡터, 움직임 입력 시간, 또는 움직임 입력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The motion input may be an input received by a motion sensor of a motion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e motion input may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motion position, a motion recognition shape, a motion vector, a motion input time, or the number of motion inputs.

예를 들면, 움직임 입력의 단말기 자체의 움직임 입력인 경우,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의 움직임 인식 모양, 단말기의 움직임 벡터, 단말기의 움직임 입력 시간, 또는 단말기의 움직임 입력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단말기 자체 움직임 입력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 입력이 눈 움직임 입력인 경우, 눈 움직임의 위치, 눈 움직임 인식 모양, 눈 움직임 벡터, 눈 움직임 입력 시간, 또는 눈 움직임 입력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눈 움직임 입력이 특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tion input is a motion input of the terminal itself, the terminal itself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terminal's position, the shape of the terminal's motion recognition, the terminal's motion vector, the terminal's motion input time, or the number of times of the terminal's motion input. A motion input may be specified. For example, when the motion input is an eye motion input, the eye motion input may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an eye motion, an eye motion recognition shape, an eye motion vector, an eye motion input time, or the number of eye motion input. there is.

오디오 입력은, 단말기의 오디오 입력부의 오디오 인식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은, 오디오 주파수의 진폭, 파형, 주기, 또는 오디오 내용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The audio input may be an input received by an audio recognition sensor of an audio input unit of the terminal. The audio input may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amplitude, waveform, period, or audio content of an audio frequency,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주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설명하나, 상기 설명은 터치 입력 외 다른 사용자 입력(버튼 입력, 움직임 입력 또는 오디오 입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is mainly based on the touch input, but th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other user inputs (button input, motion input, audio input, etc.) other than the touch input.

도 2는 이미지 타입의 컨텐트 촬영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type content capturing screen.

컨텐트 촬영 화면은, 컨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의 촬영을 위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컨텐트 촬영 화면은, 라이브(Live) 영역, 프리뷰(Preview) 영역,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may be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for capturing an image when the content type is an image.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ve area, a preview area, an execution area of a shooting command, and an area related to shooting settings.

도 2(a)는 컨텐트 촬영 화면의 예로, 프리뷰(Preview) 영역(201), 라이브(Live) 영역(202),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203), 및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204)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2(b)는 다른 컨텐트 촬영 화면의 예로, 프리뷰 영역(211), 라이브 영역(212),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213), 및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214)를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2(a) is an example of a content shooting screen, and a preview area 201, a live area 202, an execution area 203 for shooting commands, and an area 204 for shooting settings are output. 2(b) is an example of another content shooting screen, in which a preview area 211, a live area 212, a shooting command execution area 213, and a shooting setting area 214 are output. shows what to do

라이브 영역은 카메라에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일 수 있다. 라이브 영역은 도 2(a)와 같이 프리뷰 영역(201)과 별도의 영역(202)에 출력되거나, 도 2(b)와 같이 프리뷰 영역(211) 위에 팝업창 형식(212)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팝업창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ive area may be an area for outputting an image based on data input to the camera in real time. The live area may be output to an area 202 separate from the preview area 201 as shown in FIG. 2A , or may be output in a pop-up window format 212 on the preview area 211 as shown in FIG. 2B . Here, the pop-up window may be moved by a touch input and may be sized.

프리뷰 영역은 촬영하려는 컨텐트와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영역에는, 상기 컨텐트와 함께 상기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점, 숫자 등)가 출력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의 표시는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도 2(a)(b)의 예에서는, 촬영하려는 컨텐트와 연계된 컨텐트가 프리뷰 영역(201, 211)에서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과 함께 출력되고 있다. The preview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content to be captured and the content linked based on the insert point are output. Also, in the preview area, a mark (a dot, a number, etc.) indicating an insertion point of the content together with the content may be output. The indica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output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In the example of (a) (b) of FIG. 2 ,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be photographed is output together with the dot indicating the insert point in the preview areas 201 and 211 .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은,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설정된 촬영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설정된 촬영 명령이 실행되어,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a)(b)의 예에서는,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203, 213)에 이미지 촬영 명령의 실행을 위한 버튼 모양을 출력하고 있다.In the execution area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execution area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a photographing command se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may be executed. For exampl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a photographing command se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may be executed, and imag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amera. In the example of FIG. 2(a)(b), a button shape for executing an image capturing command is output to the image capturing command execution areas 203 and 213 .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은,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에 설정된 촬영 설정에 관한 명령(예, 밝기, 대비, 채도, 초점 거리 변경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의 터치 입력을 통해 촬영 설정(밝기, 대비, 채도, 초점 거리 등)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shooting setting area,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shooting setting area, a command (eg,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 focal length change command) set in the shooting setting area may be execu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ooting settings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 focal length, etc.) through a touch input in the region related to the shooting setting.

도 3은 동영상 타입의 컨텐트 녹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deo-type content recording screen.

컨텐트 녹화 화면은, 컨텐트 타입이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의 녹화를 위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컨텐트 녹화 화면은, 라이브(Live) 영역, 프리뷰(Preview) 영역,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may be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for recording a video when the content type is a video.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ve area, a preview area, a recording-related command execution area, and a recording setting area.

도 3(a)는 컨텐트 녹화 화면의 예로, 프리뷰(Preview) 영역(301), 라이브(Live) 영역(302),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303), 및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304)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3(b)는 다른 컨텐트 녹화 화면의 예로, 프리뷰 영역(311), 라이브 영역(312),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313), 및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314)를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다.3(a) is an example of a content recording screen, showing a preview area 301, a live area 302, an execution area 303 for recording-related commands, and an area 304 for recording settings. 3(b) is an example of another content recording screen, a preview area 311, a live area 312, a recording-related command execution area 313, and a recording setting area 314. shows the output.

라이브 영역은 카메라에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일 수 있다. 라이브 영역은 도 3(a)와 같이 프리뷰 영역(301)과 별도의 영역(302)에 출력되거나, 도 3(b)와 같이 프리뷰 영역(311) 위에 팝업창(312)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팝업창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ive area may be an area for outputting an image based on data input to the camera in real time. The live area may be output to an area 302 separate from the preview area 301 as shown in FIG. 3A , or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312 on the preview area 311 as shown in FIG. 3B . Here, the pop-up window may be moved by a touch input and may be sized.

프리뷰 영역은 촬영하려는 컨텐트와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영역에는, 상기 컨텐트와 함께 상기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점, 숫자 등)가 출력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의 표시는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도 3(a)(b)의 예에서는, 촬영하려는 컨텐트와 연계된 컨텐트가 프리뷰 영역(301, 311)에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과 함께 출력되고 있다. The preview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content to be captured and the content linked based on the insert point are output. Also, in the preview area, a mark (a dot, a number, etc.) indicating an insertion point of the content together with the content may be output. The indica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output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In the example of (a) (b) of FIG. 3 ,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be photographed is output together with the dot indicating the insert point in the preview areas 301 and 311 .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은,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설정된 녹화 관련 명령(녹화 시작 명령, 녹화 일시정지 명령, 녹화 재게 명령, 또는 녹화 종료 명령 등)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설정된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어, 카메라를 통한 동영상 녹화의 시작/일시정지/재게/종료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a)(b)의 예에서는,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303, 313)에 동영상 녹화 시작 명령의 실행을 위한 버튼 모양을 출력하고 있다.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if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recording start command, recording pause command, recording resume command, or recording end command) se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etc.) can be executed. For example, if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set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is executed, and the start/pause/resume/end of video recording through the camera is performed. can In the example of FIG. 3(a)(b), a button shape for executing a video recording start command is output to the execution areas 303 and 313 of the recording related command.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은,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에 설정된 녹화 설정에 관한 명령(예, 밝기, 대비, 채도, 초점 거리 변경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의 터치 입력을 통해 녹화 설정(밝기, 대비, 채도, 초점 거리 등)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recording setting area,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recording setting area, a command (eg,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 focal length change command) set in the recording setting area may be executed. For example, the recording settings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 focal length, etc.) may be changed through a touch input in the recording setting area.

도 4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ociating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n insert point to pre-stored main content.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의 편집을 통해, 기-저장된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set an insert point of the pre-stored main content through editing of the pre-stored main content, and link the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to the pre-stored main content based on the set insert point. .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의 편집을 위해 기-저장된 주 컨텐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의 편집을 위해 기-저장된 주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도중,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을 실행하여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지점은 기-저장된 주 컨텐트와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the pre-stored main content to the display for editing of the pre-stored main content. While the pre-stored main content for editing the pre-stored main content is being output to the display,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executes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to set the insert point. can Here, the insert point may be a link between the pre-stored main content and the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면, 상기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상기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연계될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상기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상기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연계할 수 있다. When an insert point is set in the pre-stored main content, the control unit 16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selecting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pre-stored main content based on the insert point, the user The additional content selected by input may be associated with the pre-stored main content based on the insert point.

도 4의 예에서는, 주 컨텐트의 편집을 위해 기-저장된 주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도중(401),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터치 입력(402)을 통해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403)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404)에 의해, 주 컨텐트와 선택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4, while the pre-stored main content for editing the main content is output to the display (401), the insert point can be set through the touch input 402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at the set insert point By the touch input 404 for selecting the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403 to be associated, the main content and the selected additional content may be associated.

도 5, 6은 이미지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utput form of main content stored in an image type.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를 디스플레이(140)에 출력함에 있어서, 주 컨텐트와 함께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점, 숫자 등)를 출력할 수 있다.When outputting the main content to the display 140 ,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a mark (a dot, a number, etc.) indica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도 5(a)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 상에 점(501)으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 상에 점으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서트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점이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주 컨텐트 상에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점이 표시하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insertion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as a dot 501 on the main content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each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as a dot on the main content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at is, a plurality of points may be output on the main content to identify each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do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dot indicating the inserting point on the output main content.

도 5(b)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 상에 숫자(502, 503)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 상에 숫자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서트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숫자가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의 예를 들면, 주 컨텐트 상에서 처음으로 설정된 제1 인서트 지점은 숫자 '1'로 주 컨텐트 상에 표시(502)될 수 있다. 제1 인서트 지점 다음으로 설정된 제2 인서트 지점은 숫자 '2'로 주 컨텐트 상에 표시(503)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주 컨텐트 상에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번호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insertion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as numbers 502 and 503 on the main content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each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as a number on the main content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at is, a plurality of numbers may be output on the main content to identify each insert point. The number indicating the insert point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or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an order in which the insert point is set. As an example of the latter case, the first insert point initially set on the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502 on the main content as the number '1'. The second insert point set next to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503 on the main content as the number '2'.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a number indicating an insert point on the output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number.

도 6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개수는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주 컨텐트와 함께 화면의 우하단에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개수 '4'가 출력되고 있다.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의 숫자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4' 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601)에 대한 응답으로 화면의 하단에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숫자 1, 2, 3, 및 4가 출력되고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에 대한 응답으로 각 숫자의 인서트 지점을 점으로 표시하거나, 각 숫자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c)에서는,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대한 터치 입력(602)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해당하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603)가 출력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In FIG. 6( a ) , the number of insert points '4' of the main content is output at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the number of insert points. In Figure 6 (b),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601 for the part '4' indicating the number of insert points, numbers 1, 2, 3, and 4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are output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there is.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the insert point of each number as a dot in response to the output number of the insert point, or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of each number. In FIG. 6C ,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602 for the number '2' of the insert point, additional content 603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2' of the insert point is output. .

도 7은 이미지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다.7 illustrates an output form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stored content of the image type.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형태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도 7(a)),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도 7(b)),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도 7(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rm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clude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FIG. 7(a)), output to a partial area (FIG. 7(b)), or output to a pop-up window (FIG. 7(c)), etc. may include

추가 컨텐트가 일부 영역에 출력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주 컨텐트의 출력이 유지되는 동안, 제2 영역에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artial region, it may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second region while the output of the main content is maintain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partially overlap.

추가 컨텐트가 팝업창으로 출력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 또는 일부 영역에 주 컨텐트의 출력이 유지되는 동안, 주 컨텐트에 오버레이 되는 팝업창 영역에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팝업창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it may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area that is overlaid on the main content while the main content is maintained on the entire screen or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Here, the pop-up window may be moved by a touch input and may be sized.

도 8, 9는 동영상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utput format of main content stored in a moving picture type.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를 디스플레이(140)에 출력함에 있어서, 주 컨텐트와 함께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점, 숫자 등)를 주 컨텐트의 러닝타임(running time) 중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When outputting the main content to the display 140 , the controller 160 displays a display (a dot, a number, etc.) indicating an insertion point of the main conten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It can be printed during the valid time of the point.

도 8(a)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의 러닝타임 중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주 컨텐트 상에 점(801)으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은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주 컨텐트 상에 점으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서트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점이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주 컨텐트 상에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점이 표시하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as a dot 801 on the main content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and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each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as a dot on the main content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each insert point, and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at is, a plurality of points may be output on the main content to identify each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do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dot indicating the inserting point on the output main content.

도 8(b)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의 러닝타임 중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주 컨텐트 상에 숫자(802, 803)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은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주 컨텐트 상에 숫자로 표시되어,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서트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숫자가 주 컨텐트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되거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의 예를 들면, 주 컨텐트 상에서 처음으로 설정된 제1 인서트 지점은 숫자 '1'로 주 컨텐트 상에 표시(802)될 수 있다. 제1 인서트 지점 다음으로 설정된 제2 인서트 지점은 숫자 '2'로 주 컨텐트 상에 표시(803)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주 컨텐트 상에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번호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b ),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is displayed as numbers 802 and 803 on the main content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and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ere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each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as a number on the main content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each insert point, and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at is, a plurality of numbers may be output on the main content to identify each insert point. The number indicating the insert point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or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an order in which the insert point is set. As an example of the latter case, the first insert point initially set on the main content may be displayed 802 on the main content as the number '1'. The second insert point set next to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displayed 803 on the main content as the number '2'.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a number indicating an insert point on the output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of the corresponding number.

도 9를 참조하면,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개수는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9(a)에서는, 주 컨텐트와 함께 화면의 우하단에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개수 '4'가 출력되고 있다.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의 숫자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4' 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901)에 대한 응답으로 화면의 하단에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숫자 1, 2, 3, 및 4가 출력되고 있다. 제어부(160)는, 출력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에 대한 응답으로 각 숫자의 인서트 지점을 점으로 표시하거나, 각 숫자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c)에서는,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대한 터치 입력(902)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해당하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903)가 출력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In FIG. 9( a ),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4' is output at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the number of insert points. In Figure 9 (b),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901 for the part '4' indicating the number of insert points, numbers 1, 2, 3, and 4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are output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there is.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the insert point of each number as a dot in response to the output number of the insert point, or may outpu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of each number. In FIG. 9(c) ,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902 for the number '2' of the insert point, additional content 903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2' of the insert point is output. .

주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는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개수는,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러닝타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00:05~00:10'이고 제2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00:07~00:10'인 경우, 주 컨텐트의 러닝 타임 중 '00:00~00:05'의 시간 동안은 인서트 지점의 개수 '0'이 출력되고, 주 컨텐트의 러닝 타임 중 '00:05~00:07'의 시간 동안은 인서트 지점의 개수 '1'이 출력되고, 주 컨텐트의 러닝 타임 중 '00:07~00:10'의 시간 동안은 인서트 지점의 개수 '2'가 출력될 수 있다. The number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output together with the main content may change according to a running time at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For example, when the effective time of the first insert point is '00:05~00:10' and the effective time of the second insert point is '00:07~00:10', '00' in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During the time of :00~00:05', the number of insert points '0' is output, and during the time of '00:05~00:07'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the number of insert points '1' is output and,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00:07 to 00:10', the number of insert points '2' may be output.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이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연속된 구간(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 컨텐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복수의 연속된 구간에만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is discontinuou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sections (time section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additional content can be output only in the plurality of continuous sections there is.

예를 들면, 추가 컨텐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구간에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도중 제1 구간의 종료 시점 도래한 경우, 제2 구간의 시작 시점 직전까지 추가 컨텐트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제2 구간의 종료 시점까지, 별도의 추가 컨텐트 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 등이 없이, 다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outputting additional content, when the end point of the first section arrives while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the first section, the additional content is not output until just before the start time of the second section can In this case, from the start time of the second section to the end time of the second section,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again without a user input for separately outputting the additional content.

도 10은 동영상 타입의 저장된 주 컨텐트와 연계된 추가 컨텐트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다.10 illustrates an output form of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main stored content of the moving picture type.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형태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도 10(a)),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도 10(b),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도 1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rm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clude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FIG. 10(a)), output to a partial area (FIG. 10(b), or output to a pop-up window (FIG. 10(c)), etc. can do.

추가 컨텐트가 일부 영역에 출력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주 컨텐트의 출력이 유지되는 동안, 제2 영역에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artial region, it may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second region while the output of the main content is maintain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partially overlap.

추가 컨텐트가 팝업창으로 출력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 또는 일부 영역에 주 컨텐트의 출력이 유지되는 동안, 주 컨텐트에 오버레이 되는 팝업창 영역에 추가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팝업창은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it may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area that is overlaid on the main content while the main content is maintained on the entire screen or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Here, the pop-up window may be moved by a touch input and may be sized.

추가 컨텐트의 출력은 주 컨텐트의 러닝타임 중 추가 컨텐트의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에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도중,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이 종료된 경우, 추가 컨텐트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only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the associated insertion point of the additional content during the running time of the main content. Accordingly, while the additional content is being output, when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 is expired,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terminated.

전술한 기-저장된 주 컨텐트에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 연계하는 실시예는, 주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저장 및 추가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저장이 별도로 수행된 후,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편집을 수행해야 했다. 즉,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저장과 편집이 별도로 수행되므로,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번거로운 측면이 있었다.The embodiment of linking the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to the previously-stored main content is, after shooting/recording and storage of the main content and shooting/recording and storage of the additional content are separately performed, linking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I had to do an edit. That is, since the shooting/recording, storage, and editing of the content are performed separately, the efficiency is reduced in terms of time and cost, and there is a cumbersome aspect.

이에, 컨텐트의 촬영/녹화 및 인서트 지점 설정이 병행 수행되는 새로운 실시예를 이하 제안한다. 여기서, 컨텐트는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ly, a new embodiment in which shooting/recording of content and setting of an insert point are performed in parallel is proposed below. Her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main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 주 컨텐트가 이미지 타입의 경우 >< When the main content is an image type >

도 11은 이미지 타입의 주 컨텐트 촬영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capturing an image type of main content and set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도 11를 참조하면, 이미지 타입의 주 컨텐트 촬영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은, 주 컨텐트를 촬영하는 단계(S1101);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102); 추가 컨텐트를 촬영/녹화하는 단계(S1103); 또는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단계(S11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 method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an image type of main content and set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cludes: capturing the main content ( S1101 ); setting an insert point (S1102); shooting/recording additional content (S1103); or associating the main content with the additional content (S110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주 컨텐트를 촬영하는 단계(S1101)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트를 촬영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main content ( S1101 ) may includ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photographing the main content, a command to photograph the main content is executed to perform the photographing of the main content.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후술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두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인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과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은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은 동일한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주 컨텐츠 촬영 명령을 위한 터치 입력은 동일한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되는 숏(short)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은 상기 숏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은 상기 롱 터치 입력일 수 있다.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both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are touch inputs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touch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long touch input input at the same location for a preset time or longer, and the touch input for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is input for less than a preset time at the same location It may be a short touch input. Conversely,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the short touch input, and the touch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may be the long touch input.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후술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의 초점이 맞춰진 부분이 라이브 영역 상에 출력되는 도중,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at is, even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setting a separate insert point, both the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and the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 may be executed by one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a live area of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main content capturing,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and an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 may be executed. As another example,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execution region of the shooting command while the focused portion of the camera is output on the live region, a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may be executed.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102)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인서트 지점을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nsert point ( S1102 ) may includ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 command to set the insert point is executed and the insert point is set based on the user input.

추가 컨텐트를 촬영/녹화하는 단계(S1103)는, 추가 컨텐트의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shooting/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 S1103 ) may include executing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shooting/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단계(S1104)는, 촬영된 주 컨텐트를 주 컨텐트 상의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후속 촬영 또는 녹화된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ssociating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 S1104 ) may include associating the captured main content with the subsequent captured or recorde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 set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의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주 컨텐트를 촬영 명령을 실행하여 주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을 실행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가 촬영 또는 녹화되면,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control unit 160 may execute a command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o perform main content capturing.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to set the insert point based on the user in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photographed or recorded, the controller 160 may link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the main content.

도 12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capturing main content.

주 컨텐트의 촬영이 수행되기 앞서,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을 실행하여 주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Before capturing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to perform main content capturing.

도 12을 참조하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촬영 명령의 실행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도 12(a)) 또는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도 12(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includes a touch input to the execution area of the capturing command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Fig. 12(a)) or a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 12(b)) may be included.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촬영 명령의 실행영역에 터치 입력(1201)하는 것인 경우(도 12(a)),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1202)이 별개로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shooting the main content is a touch input 1201 in the execution area of the shooting command of the content shooting screen for shooting the main content (FIG. 12(a)), the user input 1202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is may be required separately.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인 경우(도 12(b)),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1203)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필요 없을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main content shooting is a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shooting screen for main content shooting (FIG. 12(b)),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by the user input 1203 for main content shooting can be executed, so there may be no need for user input for setting a separate insert point.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focus the camera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주 컨텐트의 촬영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은, 주 컨텐트 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또는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은,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main content is captured,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may output a main content recording screen,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recording screen, or a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The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output to a partial area, or output to a pop-up window.

주 컨텐트가 이미지 타입인 경우,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설정은,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설정은,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하나의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When the main content is an image type,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setting of each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by specifying the position of each insert point. Here,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specified by one coordinate.

도 12(b)를 참조하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은 터치 입력된 좌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서트 지점은 터치 입력된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모양을 가지는 범위 내 좌표 모두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모양의 크기는 기-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 컨텐트의 출력 비율 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touch input o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In this cas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based on a touch input of the live area. As an exampl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touch input coordinates. As another exampl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at all coordinates within a rang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ased on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touch. Her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hape may be pre-set or may be adaptiv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display screen ratio, an output ratio of content, and the like.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두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으로 수행되는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과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은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생략한다.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when both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user input for shooting the main content are performed as a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shooting screen for shooting the main content,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main content shooting are performed. For the touch input,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may b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omitted.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 및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촬영이 수행되고,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된 좌표와 동일하게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 command for capturing a main content may be executed. That i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both the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and the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may be executed by on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main content capturing,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to perform main content capturing,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is executed to perform live recording of the captured main content. The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that are touch-inputted into the area.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 및 추가 컨텐트 촬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예,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That is, even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by on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a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eg, start recording) command and recording end command) can all be executed.

또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과 함께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츠 촬영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촬영이 수행되고,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된 좌표와 동일하게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 부분에 대한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는 터치 입력이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촬영/녹화하는 것을 포함하고, 확대 비율은 기-설정된 값 또는 사물의 크기 등에 의해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along with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main content capturing,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to perform main content capturing,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is executed to display the captured main content live. The insert point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touch in the area, and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so that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for the coordinates with the touch input may be performed. . Here,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includes capturing/recording by enlarging a portion to which a touch input is applied, and the magnification ratio may be a preset value or a value adaptively determined by the size of an object.

위와 같이, 주 컨텐트 촬영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병행 수행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주 컨텐트 촬영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 유닛 중 제1 카메라 유닛은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고, 제2 카메라 유닛은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유닛은 광각 촬영/녹화를 위한 카메라 유닛 또는 확대 촬영/녹화를 위한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카메라 유닛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content shooting and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are performed in parallel, the main content shooting and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by one camera unit. In contrast, photographing of main content and photographing/recording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amera units. 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 units may photograph th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camera unit may photograph/record the additional content. Here, the first camera unit may be any one of a camera unit for wide-angle photographing/recording or a camera unit for enlarged photographing/recording, and the second camera unit may be the other one.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 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처음 터치된 위치를 기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수행하고, 드래그된 방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the controller 160 sets the insert point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sition, and selects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dragged direction. You can set the type. Specifically, i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still picture type, and i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moving picture type.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focus the camera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13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s an insert point.

도 13(b)를 참조하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입력(1314)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브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가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된 후보가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B ,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touch input 1314 of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For example, at least one candidate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and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any one of the output at least one candidate, the touch input candidate may be set as an insert point.

도 13(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주 컨텐트(이하, 제1 주 컨텐트)와 상이한 주 컨텐트(이하,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a ), at least one candidate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main content (hereinafter,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main content (hereinafter, first main content) in which an insert point is set. can be

일 예로,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와 대응하는 좌표가 제1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로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주 컨텐트의 제1 인서트 지점(1301)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1 인서트 지점 후보(1311), 제2 인서트 지점(1302)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2 인서트 지점 후보(1312), 및 제3 인서트 지점(1303)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3 인서트 지점 후보(1313)가 출력될 수 있다.As an exampl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as a candidate for the insert point of the first main content.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3 , the first insert point candidate 1311 and the second insert point 1302 are in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insert point 1301 of the second main content. The second insert point candidate 1312 is outputted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nd the third insert point candidate 1313 is output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third insert point 1303 can be

여기서, 제1 주 컨텐트와 제2 주 컨텐트의 사이즈 및 비율이 동일한 경우, 대응하는 좌표는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의 좌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주 컨텐트와 제2 주 컨텐트의 사이즈 또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 대응하는 좌표는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가 사이즈 또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동된 좌표일 수 있다.Here, when the size and ratio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the second main content are the same,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of the same posi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ion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of the sizes or ratios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the second main content is differen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are chang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izes or ratios. there is.

다른 예로,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에 위치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제1 주 컨텐트에 포함된 경우, 제1 주 컨텐트 내 상기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있는 좌표가 제1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로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ame or similar thing to the thing located at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is included in the first main content, the coordinates of the same or similar thing in the first main content are the first main content's insert point. Candidates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여기서, 유사한 사물은 색깔, 크기, 종류, 모양, 또는 각도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이는 각도만 달리하면 동일한 사물, 색깔만 다른 사물, 또는 크기만 다른 사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similar object may include a similar object in at least one of color, size, type, shape, or angle. For example, if only the viewing angle is changed, the same object, an object only having a different color, or an object having a different size may be included.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주 컨텐트의 다른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의 다른 인서트 지점에 위치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있는 좌표가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로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사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At least one candidate may be set based on another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in which the insert point is set. For example, coordinates of an object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an object located at another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as a candidate for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Here, descriptions of similar objects are omitted as they have been described above.

주 컨텐트에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각각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하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서트 지점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in the main content.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associated with additional content. The additional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different from or the same as each other. In the latter case, it may be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nd one additional conte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one insert point.

이하,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제1 실시예로,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1401, 1402)인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상 터치된 복수의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1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2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a first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n input ( 1401 , 1402 ) for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plurality of inserts point can be se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ased on the plurality of points touched on the live area. For example,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촬영 및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is executed by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and the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 are executed by the user input, so that the main content shooting and the shot main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in the conte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복수의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1401)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 촬영이 수행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1402)에 의해 제2 추가 컨텐트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and a plurality of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s may be executed by the user input. In this ca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may be performed by the input 1401 touching a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may be performed by the input 1402 touching the second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후보를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2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candidates. In this case,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may be set as the first insert point, and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second point may be set as the second insert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은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서는,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사용자가 임의로 순서를 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거리상 가까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points may have an order. The order may be s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n example of manually setting may include arbitrarily setting an order by a user. Examples of automatically setting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in the order of being close in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도 15는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1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제2 실시예로,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1501, 1502)인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상 터치된 복수의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1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2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n input ( 1501 , 1502 ) for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the plurality of You can set the insert point of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ased on the plurality of points touched on the live area. For example,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구체적으로, 도 15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1 지점의 터치 입력(1501)에 의해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에 제1 인서트 지점의 설정 및 주 컨텐트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2 지점의 터치 입력(1502)에 의해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의 제2 인서트 지점이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FIG. 15 , setting of the first insert point and capturing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by the touch input 1501 of the first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reafter, the second insert point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may be performed by the touch input 1502 of the second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촬영 및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is executed by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main content shooting command and the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 are executed by the user input, so that the main content shooting and the shot main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in the conte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촬영 명령 및 복수의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1501)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 촬영이 수행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1502)에 의해 제2 추가 컨텐트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 main content capturing command and a plurality of inserting point setting commands may be executed by the user input. In this case, first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may be performed by an input 1501 that touches a first point among a plurality of points, and second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may be performed by an input 1502 that touches a second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후보를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2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of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candidates. In this case,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may be set as the first insert point, and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second point may be set as the second insert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은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서는,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사용자가 임의로 순서를 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거리상 가까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순서는 연쇄적 복수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points may have an order. The order may be s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n example of manually setting may include arbitrarily setting an order by a user. Examples of automatically setting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in the order of being close in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As another example, the order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 touch inputs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inpu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복수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 중 마지막 터치 입력은 다른 터치 입력들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지막 터치 입력은 다른 터치 입력들과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지막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설정하려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가 정해진 경우, 상기 개수의 마지막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려는 터치 입력이 마지막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마지막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ast touch input among inputs for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for setting an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ouch inputs. For example, the last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from other touch inputs in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last touch input may be a long touch input inpu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number of insert points to be set is determined, a touch input for setting the las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the last touch input. When there is a last touch input, insert point setting may be terminated. In this case,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순서를 가지는 경우,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는 상기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1'로, 두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2'로 표시될 수 있다. 즉, k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k'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k는 1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have an order, in an output form of the main content, a number indicating the insert point may indicate the order. For example, the first se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indicated as '1', and the second se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indicated as '2'. That is, the number of insert points set to the k-th may be expressed as 'k'. Here, k may represent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은, 주 컨텐트 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또는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은,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sert point setting is performed,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may output a main content recording screen,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screen, or a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The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output to a partial area, or output to a pop-up window.

다른 예로, 복수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1501, 1502)에 의해, 하나의 인서트 지점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1 지점의 터치 입력(1501) 이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2 지점의 터치 입력(1502)에 의해, 제1 지점을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취소되고, 제2 지점이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nly one insert point may be set by the inputs 1501 and 1502 that sequentially touch a plurality of points. In this case, after the touch input 1501 of the first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setting of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insert point is canceled by the touch input 1502 of the second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 the second point may be set as the first insert point.

도 16은 이미지 타입의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of an image type.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a)) 또는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팝업창 내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 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한 것일 수 있다. The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includes an input for touching a live area of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FIG. 16(a)) or an input for touching an execution area of a shooting command (FIG. 16(b)). can do. In addition, the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n input for touching a live area in a pop-up window of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FIG. 16(c)). Here,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photograph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추가 컨텐트의 촬영 명령은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의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 설정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 상에서 수행되므로, 추가 컨텐트를 위한 별도의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and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or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may be executed.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 point setting input is performed on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a separat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may not be output on the display.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후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 촬영은 복수의 인서트 지점의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1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한 후, 두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2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is performed after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in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For example, after captur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first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s performed,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second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rder may be captured.

추가 컨텐트의 촬영은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 컨텐트 촬영이 먼저 수행된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oo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after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is performed, but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after the shoo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first.

추가 컨텐트(제1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가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추가 컨텐트는 제2 추가 컨텐트와의 관계에서 주 컨텐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for setting an insert point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Here, the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serve as the main content in relation to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도 17은 동영상 타입의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1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recording additional content of a video type.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예,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관련 명령은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 녹화 일시정지 명령, 녹화 재게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eg,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Here,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may include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a recording pause command, a recording resume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7(a)) 또는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7(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팝업창 내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7(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 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녹화한 것일 수 있다. The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includes an input for touching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FIG. 17(a)) or an input for touching the execution area of a recording-related command (FIG. 17(b)). may include In addition, the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may include an input for touching a live area in a pop-up window of a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FIG. 17(c)). Here,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추가 컨텐트의 녹화 관련 명령은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의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 설정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 상에서 수행되므로, 추가 컨텐트를 위한 별도의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or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may be executed.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 point setting input is performed on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a separat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may not be output on the display.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후 추가 컨텐트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 녹화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의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1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한 후, 두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2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is performed after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in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For example, after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first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s performed, 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second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rder may be performed.

추가 컨텐트의 녹화는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 컨텐트 녹화가 먼저 수행된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is performed, but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after 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first.

추가 컨텐트(제1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가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추가 컨텐트는 제2 추가 컨텐트와의 관계에서 주 컨텐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for setting an insert point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Here, the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serve as the main content in relation to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은, 추가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주 컨텐트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주 컨텐트와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 컨텐트의 키(key) 데이터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Associating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set insert point may include storing the additional content or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e main content.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storing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ent. In this case,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btained from the database based on key data of the main content.

설정된 인서트 지점마다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의 연계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주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Since the association of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performed for each set insert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the main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사물과 매칭률이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동시 또는 연쇄적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위치 각각의 좌표와 동일하게 설정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률은 추가 컨텐트와 복수의 인서트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의 사물 간의 유사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율은, 컬러, 각도, 모양, 형태, 종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판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associated wit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ne of th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the highest matching rate. Her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include thos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each position selected by simultaneous or sequential user input. Here, the matching rate may include a similarity rate between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objec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The similarity rat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 color, an angle, a shape, a shape, a type, and a size.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면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는, 주 컨텐트 및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이 있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전술한 바, 생략하다.When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are linked, the output form of the main content may include outputting the main content and an insertion point of the main content to the display. In this case, when there is an input for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with the input may be output. Specific detail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와 제1 인서트 지점에 의해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의 관계에서, 제1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이고, 제2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와 연계되는 추가 컨텐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에 관한 내용은, 제1 추가 컨텐트(주 컨텐트의 역할)와 제2 추가 컨텐트(추가 컨텐트의 역할)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set a second insert point for the main content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by the first insert point. Here,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a link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main content.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content regarding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role of th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e role of the additional content).

예를 들면, 제1 추가 컨텐트의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1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또는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2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과 함께, 제2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추가 컨텐트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에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또는 연쇄적으로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n input of touching a live area of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r an input of touching an execution area of a shooting command. can Also,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shoot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lso, a shooting command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In addition, a seco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second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In addition, a seco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second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together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Also,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of touch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In addi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nd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y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live area.

< 주 컨텐트가 동영상 타입의 경우 >< If the main content is a video type >

도 18은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 녹화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currently performing video-type main content recording and inserting point setting on the main content.

도 18를 참조하면,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 녹화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병행 수행하는 방법은, 주 컨텐트를 녹화하는 단계(S1801);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802); 추가 컨텐트를 촬영/녹화하는 단계(S1803); 또는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단계(S18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a method of concurrently performing video-type main content recording and setting of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cludes: recording the main content ( S1801 ); setting an insert point (S1802); shooting/recording additional content (S1803); or associating the main content with the additional content (S180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주 컨텐트를 녹화하는 단계는(S1801),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녹화 시작 명령, 녹화 일시정지 명령, 녹화 재게 명령, 또는 녹화 종료 명령 등)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recording the main content (S1801), at least one recording-related command (recording start command, recording pause command, recording resume command, or recording end command, etc.) by at least on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is may include performing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주 컨텐트의 녹화는,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시작되고, 녹화 진행 중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됨으로써,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Specifically, a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to star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a recording end command is executed while recording is in progress to end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can be performed.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 사이에, 녹화 일시정지 명령 및 녹화 재게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일시정지 명령 및 녹화 재게 명령은,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과 달리 주 컨텐트 녹화에 있어서 필수적인 명령이 아닐 수 있다.Between the recording start command and the recording end command, a recording pause command and a recording resume command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recording pause command and the recording resume command may not be essential commands for main content recording, unlike the recording start command and the recording end command.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후술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 모두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인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과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터치 입력은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은 동일한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터치 입력은 동일한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 미만 입력되는 숏(short)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은 상기 숏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터치 입력은 상기 롱 터치 입력일 수 있다.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both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are touch inputs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touch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e input may be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long touch input input at the same location for a preset time or longer, and the touch input for main content recording is a short input for less than a preset time at the same location. It may be a (short) touch input. Conversely,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the short touch input, and the touch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may be the long touch input.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후술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의 초점이 맞춰진 부분이 라이브 영역 상에 출력되는 도중,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 및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at is, even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setting a separate insert point, at least one recording-related command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may all be executed by th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a live area of a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main content recording, at least one recording related command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may be executed. As another example,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execution region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while the focused portion of the camera is output on the live region, a main content recording-related command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may be executed.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802)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인서트 지점을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nsert point ( S1802 ) may includ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 command to set the insert point is executed and the insert point is set based on the user input.

추가 컨텐트를 촬영/녹화하는 단계(S1803)는, 추가 컨텐트의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shooting/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 S1803 ) may include executing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shooting/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단계(S1804)는, 녹화된 주 컨텐트를 주 컨텐트 상의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후속 촬영 또는 녹화된 추가 컨텐트와 연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ssociating the main content with the additional content ( S1804 ) may include associating the recorded main content with the subsequent shooting or recorde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 set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을 실행하여 주 컨텐트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을 실행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가 촬영 또는 녹화되면,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t least one user input for main content 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t least one recording related command to perform main content recording.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to set the insert point based on the user inpu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When the additional content is photographed or recorded, the controller 160 may link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the main content.

도 19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recording main content.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되기 앞서,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예,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을 실행하여 주 컨텐트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Befor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a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The control unit 160, in response to at least on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executes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eg,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to perform the main content recording. there is.

도 19을 참조하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도 19(a)) 또는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도 19(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user input for main content recording includes touch input to the execution area of a recording related command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main content recording (FIG. 19(a)) or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FIG. 19(b)) may be included.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1901)하는 것인 경우(도 19(a)),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1902)이 별개로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is a touch input 1901 to the execution area of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FIG. 19(a)), the user input 1902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 may be required separately.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인 경우(도 19(b)),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1903)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필요 없을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main content recording is a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shooting screen for main content recording (FIG. 19(b)),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by the user input 1903 for main content recording can be executed, so there may be no need for user input for setting a separate insert point.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for main content 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focus the camera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주 컨텐트의 녹화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user inputs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구체적으로, 주 컨텐트의 녹화는, 녹화 시작 명령을 실행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녹화 종료 명령을 실행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시작되고,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 녹화가 종료됨으로써,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a first user input for executing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second user input for executing a recording end command. That is,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started by the first user, and then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ended by the second user input,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can be performed.

주 컨텐트의 녹화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on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구체적으로, 주 컨텐트의 녹화는,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시작되고, 이후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됨으로써,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executing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by one user input. That is, by one user inpu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started, and then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ended,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can be performed.

제1 실시예로,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시작되고, 터치를 떼는 시점에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될 수 있다.As a first embodiment, one user input for main content recording may be a long touch input. Specifically, a recording start command may be executed from the touch point to star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a recording end command may be executed when the touch is released to end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제2 실시예로, 녹화 시작 명령 또는 녹화 종료 명령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되고, 나머지 하나는 기-설정된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어, 주 컨텐트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시작되고,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화 종료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종료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either one of the recording start command or the recording end command is performed by a user input, and the oth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o that the main content record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by on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starts, and whe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ecording end command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may be ended. Upon completion,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또는 일시정지)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은, 주 컨텐트 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또는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은,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finished (or paused),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may output a main content recording screen,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screen, or a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can The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output to a partial area, or output to a pop-up window.

주 컨텐트가 동영상 타입인 경우,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 설정은, 해당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및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설정은, 각각의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및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하나의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시간은 시, 분, 또는 초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특정될 수 있다.When the main content is a video type,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performed by specifying an effective time and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of the main content, setting of each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by specifying an effective time and location of each insert point. Here,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specified by one coordinate. Here, the effective time may be specified in units of at least one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에 있어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상기 유효시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및 상기 유효시간의 종료 시점(또는 종료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으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시간의 시작 시점은 '6초', 종료 시점은 '16초'인 경우,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00:06(6초)~00:16(16초)'로 특정될 수 있다.In the video-type main content,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as a start time (or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of the effective time and an end time (or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end time) of the effective time. there is. For example, if the start point of the effective time is '6 seconds' and the end point is '16 seconds',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is specified as '00:06 (6 seconds) ~ 00:16 (16 seconds)'. can be

또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상기 유효시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및 상기 유효시간의 지속 시간(또는 지속 시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개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시간의 시작 시점은 '6초', 지속 시간은 '10초'인 경우,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00:06(6초)~00:16(16초)'로 특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a start time (or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of the effective time and a duration (or the number of frames corresponding to the duration) of the effective time. For example, if the starting point of the effective time is '6 seconds' and the duration is '10 seconds',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is specified as '00:06 (6 seconds) to 00:16 (16 seconds)'. can be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이 불연속적인 경우, 불연속적인 유효시간은 복수의 연속된 유효시간들을 포함하므로, 각각의 유효시간을 특정하면, 불연속적인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연속적인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3개의 유효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2, 및 3 유효시간을 각각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또는 시작 시점 및 지속 시간)으로 특정하면, 불연속적인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불연속적인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복수의 연속된 비유효시간들을 포함하므로, 각각의 비유효시간을 특정하면, 특정될 수 있다.When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is discontinuous, the discontinuous effective time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effective times. Therefore, if each effective time is specified, the effective time of the discontinuous insert point can be specified. For example, when the effective time of a discontinuous insert point includes three effective times, i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ffective times are specified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r a start time and a duration), respectively, the discontinuou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effective time of a specific insert point. Alternatively, since the effective time of the discontinuous insert point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invalid times, it can be specified by specifying each invalid time.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에 있어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유효 시간을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대한 인서트 지점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In the video-type main cont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during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dividing the effective time into at least one section and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for each section.

각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하나의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 각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특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each section may be fix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one coordinate.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each section may be chang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제1 실시예로, 각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구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변동되는 시점에서의 인서트 좌표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변동되는 시점이 복수개인 경우,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구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각각의 변동되는 시점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As a firs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in each section may be specified by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t the start time (or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of the section and the insert coordinates at the changed time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hanging times,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can be specified by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t the start time of the section (or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and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t each variable time point. there is.

제2 실시예로, 각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구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도 X를 참조하면, 해당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x,y)를 시작 위치로 하여 해당 구간의 지속시간 동안 (움직임 벡터 크기)/(해당 구간의 지속시간)의 속도를 가지고 움직임 벡터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특정될 수 있다.As a secon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each section may be specified by a motion vector indicating the coordinates and motion of the insert point at the start time (or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of the section. Referring to FIG. X,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the section has (x,y) as the starting position and has a speed of (motion vector size)/(duration of the section) for the duration of the sec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constant movement in a direction.

제3 실시예로, 각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구간의 시작 시점(또는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구간의 종료 시점(또는 종료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도 X를 참조하면, 해당 구간 내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x1,y1)를 시작 위치로 하고 (x2,y2)를 종료 위치로 하여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으로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속도는 (시작 시점의 좌표와 종료 시점의 좌표 간의 직선 거리)/(구간의 지속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each section is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at the start time of the section (or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tart time) and the end point of the section (or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end time) at the end point of the section. It can be specified by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Referring to FIG. X,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within the corresponding section may be specified as moving at a constant speed with (x1, y1) as a starting position and (x2, y2) as an ending position. Here, the speed may be determined by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ing point)/(duration of the section).

도 19(b)를 참조하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은 터치 입력된 좌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서트 지점은 터치 입력된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모양을 가지는 범위 내 좌표 모두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모양의 크기는 기-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 컨텐트의 출력 비율 등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b) ,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may be a touch input on a live area of a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main content recording. In this cas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based on a touch input of the live area. As an exampl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touch input coordinates. As another example, the insert point may be set at all coordinates within a rang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ased on the coordinates input by the touch. Her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hape may be pre-set or may be adaptiv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display screen ratio, an output ratio of content, and the like.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 모두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으로 수행되는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과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은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생략한다.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recording main content. For example, when both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are performed as a touch input to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shooting screen for shooting the main content, the touch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the main content shooting are performed. For the touch input,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may b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omitted.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 및 적어도 하나의 녹화 관련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At least one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That i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both the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and at least one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by on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제1 실시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고정된 숏(short)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숏 터치 입력은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고정된 위치에 입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s a first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fixed short touch input. Here, the fixed short touch input may include input of the touch input at a fixed position for less than a preset ti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된 숏 터치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의 위치 및 유효시간의 특정되어,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간과 동일하게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이 화면에서 사라질 때(프레임 아웃)까지로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와 동일한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추적은,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specifying the position and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by the fixed short touch input, the insert point setting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for a pre-set time from the point of the touch. Contrary to this,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from the time of the touch until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disappears from the screen (frame out).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he same coordinates as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The tracking may be performed during the validity time of the insert poi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된 숏 터치 입력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있는 시점에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실행되고,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화 종료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are executed by the fixed short touch input, so that the main content can be recorded. Specifically, the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at the time of the touch to start recording the main content, and whe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ecording end command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and ended.

제2 실시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고정된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롱 터치 입력은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고정된 위치에 입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s a second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fixed long touch input. Here, the fixed long touch input may include input of the touch input at a fixed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된 롱 터치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의 위치 및 유효시간의 특정되어,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가 있는 시점의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와 동일한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터치를 떼는 시점까지의 시간과 동일하게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간과 동일하게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이 화면에서 사라질 때(프레임 아웃)까지로 특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the fixed long touch inpu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nd the effective time are specified, and the insert point setting can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he same coordinates as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at the point of time of the touch.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Specifically,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from the point in time of the touch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lternatively,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for a pre-set time from the point of touch. Contrary to this,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from the time of the touch until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disappears from the screen (frame ou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된 롱 터치 입력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있는 시점에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실행되고, 터치를 떼는 시점에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가 있는 시점에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실행되고,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화 종료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are executed by the fixed long touch input, so that the main content can be recorded. Specifically, a recording start command may be executed at a point in time of the touch to star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a recording end command may be executed at a point in time where the touch is released to end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Contrary to this, the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at the time of the touch,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executed, and whe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ecording end command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may be terminated.

제3 실시예로, 인서트 지점을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롱(long) 드래그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롱 드래그 터치 입력은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고정적이지 않은 위치에 입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s a third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long drag touch input. Here, the long drag touch input may include input at a location where the touch input is not fix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롱 드래그 터치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의 위치 및 유효시간의 특정되어,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가 있는 시점의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와 동일한 좌표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가 있는 시점의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를 인서트 지점의 시작 위치로 하고, 터치를 떼는 시점의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를 인서트 지점의 종료 위치로 하여, 인서트 지점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가 있는 시점의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를 인서트 지점의 시작 위치로 하고,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속도가 인서트 지점의 움직임 벡터의 방향 및 속도로 하여, 인서트 지점의 시작 위치 및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터치를 떼는 시점까지의 시간과 동일하게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간과 동일하게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은, 터치가 있는 시점부터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이 화면에서 사라질 때(프레임 아웃)까지로 특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specifying the position and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by the long drag touch input, the insert point setting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he same coordinates as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at the point of time of the touch. Contrary to this, as for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at the time of touch are the starting positions of the insert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touch are the end positions of the insert point. It can be specified by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touch is made are the starting positions of the insert point, and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touch input dragged from the start position are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tion vector of the insert point. Thus, it can be specified by the start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nd the motion vector.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Specifically,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from the point in time of the touch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lternatively,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to be the same as the time for a pre-set time from the point of touch. Contrary to this,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may be specified from the time of the touch until the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disappears from the screen (frame ou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된 롱 터치 입력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있는 시점에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실행되고, 터치를 떼는 시점에 녹화 종료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종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가 있는 시점에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의 녹화가 실행되고,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화 종료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are executed by the fixed long touch input, so that the main content can be recorded. Specifically, a recording start command may be executed at a point in time of the touch to star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a recording end command may be executed at a point in time where the touch is released to end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Contrary to this, the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at the time of the touch, so that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executed, and whe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ecording end command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may be terminated.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 및 추가 컨텐트 촬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예,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That is, even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by on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a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eg, start recording) command and recording end command) can all be executed.

또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과 함께,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녹화가 수행되고,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의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된 좌표와 동일하게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좌표 부분에 대한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는 터치 입력이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촬영/녹화하는 것을 포함하고, 확대 비율은 기-설정된 값 또는 사물의 크기 등에 의해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along with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main content recording,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to perform main content recording, and 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is executed to execute the captured The insert point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inputted by the touch in the live area of the main content, and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so that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for the coordinates with the touch input is performed. can be performed. Here,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includes capturing/recording by enlarging a portion to which a touch input is applied, and the magnification ratio may be a preset value or a value adaptively determined by the size of an object.

위와 같이, 주 컨텐트 녹화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병행 수행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주 컨텐트 녹화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주 컨텐트 녹화 및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 유닛 중 제1 카메라 유닛은 주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하고, 제2 카메라 유닛은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유닛은 광각 촬영/녹화를 위한 카메라 유닛 또는 확대 촬영/녹화를 위한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카메라 유닛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content recording and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are performed in parallel, the main content recording and the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by one camera unit. Alternatively, main content recording a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amera units. 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 units may record main content, and the second camera unit may record/record additional content. Here, the first camera unit may be any one of a camera unit for wide-angle photographing/recording or a camera unit for enlarged photographing/recording, and the second camera unit may be the other one.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 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처음 터치된 위치를 기초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수행하고, 드래그된 방향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the controller 160 sets the insert point based on the first touched position, and selects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dragged direction. You can set the type. Specifically, i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still picture type, and i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set as a moving picture type.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라이브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the live area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controller 160 may focus the camera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2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as an insert point.

도 20(b)을 참조하면,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입력(2014)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브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가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된 후보가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된 후보의 좌표 및 유효시간이 인서트 지점의 좌표 및 유효시간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B ,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be a touch input 2014 of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For example, at least one candidate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and when there is a touch input in any one of the output at least one candidate, the touch input candidate may be set as an insert point. That is, if there is a touch input, the coordinates and the effective time of the touch-input candidate may be the coordinates and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도 20(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주 컨텐트(이하, 제1 주 컨텐트)와 상이한 주 컨텐트(이하,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a ), at least one candidate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main content (hereinafter,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main content (hereinafter, first main content) in which an insert point is set. can be

일 예로,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와 대응하는 좌표를 가지고,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유효시간과 동일한 유효시간을 가지는 제1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가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주 컨텐트의 제1 인서트 지점(2001)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1 인서트 지점 후보(2011), 제2 인서트 지점(2002)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2 인서트 지점 후보(2012), 및 제3 인서트 지점(2003)의 좌표와 대응되는 제1 주 컨텐트의 좌표에 제3 인서트 지점 후보(2013)가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a candidate for an insert point of the first main content having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and having an effective time equal to the effective time of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is output to the live area. can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0 , the first insert point candidate 2011 and the second insert point 2002 are in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insert point 2001 of the second main content. The second insert point candidate 2012 is outputted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nd the third insert point candidate 2013 is output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third insert point 2003 can be

여기서, 제1 주 컨텐트와 제2 주 컨텐트의 사이즈 및 비율이 동일한 경우, 대응하는 좌표는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의 좌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주 컨텐트와 제2 주 컨텐트의 사이즈 또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 대응하는 좌표는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좌표가 사이즈 또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동된 좌표일 수 있다.Here, when the size and ratio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the second main content are the same,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of the same posi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ion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of the sizes or ratios of the first main content and the second main content is differen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are chang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izes or ratios. there is.

다른 예로,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에 위치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제1 주 컨텐트에 포함된 경우, 제1 주 컨텐트 내 상기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있는 좌표가 제1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로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의 유효시간은 상기 후보의 좌표에 위치한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라이브 영역에 출력되는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보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있는 위치의 사물이 화면에서 사라질 때(프레임 아웃)까지로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사물은 색깔, 크기, 종류, 모양, 또는 각도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이는 각도만 달리하면 동일한 사물, 색깔만 다른 사물, 또는 크기만 다른 사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ame or similar thing to the thing located at the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is included in the first main content, the coordinates of the same or similar thing in the first main content are the first main content's insert point. Candidates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Here, the effective time of the candidate of the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main content may be the same as the time at which the same or similar object located at the coordinates of the candidate is output to the live area. For example, it may be specified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for selecting a candidate to when an object at a location of the touch input disappears from the screen (frame out). Here, the similar object may include a similar object in at least one of color, size, type, shape, or angle. For example, if only the viewing angle is changed, the same object, an object only having a different color, or an object having a different size may be included.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주 컨텐트의 다른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컨텐트의 다른 인서트 지점에 위치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있는 좌표가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로 라이브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인서트 지점은,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와 유효시간이 겹치나 상이한 좌표를 가지는 인서트 지점 및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와 유효시간이 겹치지 않는 인서트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의 후보의 유효시간은 상기 후보의 좌표에 위치한 동일 또는 유사한 사물이 라이브 영역에 출력되는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사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At least one candidate may be set based on another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in which the insert point is set. For example, coordinates of an object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an object located at another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live area as a candidate for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Here, the other insert points may include an insert point that overlaps with a candidate for an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but has different coordinates and an insert point whose effective time does not overlap with a candidate of an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Here, the effective time of the candidate of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may be the same as the time when the same or similar object located at the coordinates of the candidate is output to the live area. Here, descriptions of similar objects are omitted as they have been described above.

주 컨텐트에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각각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들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하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서트 지점에 복수의 추가 컨텐트가 연계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in the main content.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associated with additional content. The additional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different from or the same as each other. In the latter case, it may be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nd one additional conte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additional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one insert point.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유효시간이 겹치는 서로 다른 좌표의 인서트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유효시간이 다른 인서트 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좌표가 동일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include insert points of different coordinates with overlapping effective times. Also,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include insert points having different effective times. In this case, since the effective times are different,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the same.

이하,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will be described.

도 21은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2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제1 실시예로,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2101, 2102)인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상 터치된 복수의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1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2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n input ( 2101 , 2102 ) for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e plurality of inserts point can be se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ased on the plurality of points touched on the live area. For example,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어 주 컨텐트 녹화가 수행되고,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되어 상기 녹화된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to perform main content recording, and the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is It may be executed to set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in the recorded main conte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과 함께,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2101)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2102)에 의해 제2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long with a plurality of insert point setting commands,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addition A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At this tim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is performed by the input 2101 which touches the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is performed by the input 2102 which touches the second point. can be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후보를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되고, 제2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제2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candidates. In this case,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may be set as the first insert point, and a candidate selected by an input of touching a second point may be set as the second insert poin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은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서는,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사용자가 임의로 순서를 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거리상 가까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points may have an order. The order may be s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n example of manually setting may include arbitrarily setting an order by a user. Examples of automatically setting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in the order of being close in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도 22는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에 의해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2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by an input of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제2 실시예로, 제어부(160)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인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상 터치된 복수의 지점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점 중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1 인서트 지점이 설정되고,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하게 제2 인서트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In a second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is an input for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set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ca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ased on the plurality of points touched on the live area. For example, the first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points, and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구체적으로, 도 22는,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1 지점의 터치 입력(2201)에 의해 제1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에 제1 인서트 지점의 설정 및 녹화 시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2 지점의 터치 입력(2202)에 의해 제2 지점의 좌표와 동일한 위치의 제2 인서트 지점의 설정 및 녹화 일시정지(또는 녹화 정지)가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FIG. 22 , setting of the first insert point and recording start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oint by the touch input 2201 of the first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reafter, by the touch input 2202 of the second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setting and recording pause (or stop recording) of the second insert point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oint may be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 또는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 컨텐트 녹화 명령 또는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지점 설정에 대한 입력은, 복수의 후보를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main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or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main content recording command and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lso, the inpu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for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candidates.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은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서는,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사용자가 임의로 순서를 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예는,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거리상 가까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순서는 연쇄적 복수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points may have an order. The order may be s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n example of manually setting may include arbitrarily setting an order by a user. Examples of automatically setting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in the order of being close in distance based on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As another example, the order may include automatically sett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 touch inputs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input.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복수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 중 마지막 터치 입력은 다른 터치 입력들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지막 터치 입력은 다른 터치 입력들과 터치 위치, 터치 패턴, 터치 강도(터치 압력), 터치 시간 또는 터치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지막 터치 입력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long)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설정하려는 인서트 지점의 개수가 정해진 경우, 상기 개수의 마지막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려는 터치 입력이 마지막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마지막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ast touch input among inputs for continu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for setting an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ouch inputs. For example, the last touch input may be different from other touch inputs in at least one of a touch position, a touch pattern, a touch intensity (touch pressure), a touch time, or the number of touches. For example, the last touch input may be a long touch input inpu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number of insert points to be set is determined, a touch input for setting the las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the last touch input. When there is a last touch input, insert point setting may be terminated. In this case, a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순서를 가지는 경우,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는 상기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1'로, 두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2'로 표시될 수 있다. 즉, k번째로 설정된 인서트 지점의 숫자는 'k'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k는 1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have an order, in an output form of the main content, a number indicating the insert point may indicate the order. For example, the first se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indicated as '1', and the second set number of insert points may be indicated as '2'. That is, the number of insert points set to the k-th may be expressed as 'k'. Here, k may represent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은, 주 컨텐트 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화면이 출력되거나, 또는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 화면은, 주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일부 영역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또는 팝업창으로의 출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insert point setting is performed,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may output a main content recording screen, an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screen, or a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The separat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scree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main content or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output to a partial area, or output to a pop-up window.

다른 예로, 복수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2201, 2202)에 의해, 하나의 인서트 지점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1 지점의 터치 입력(2201) 이후,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제2 지점의 터치 입력(2202)에 의해, 제1 지점을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취소되고, 제2 지점이 제1 인서트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nly one insert point may be set by the inputs 2201 and 2202 that sequentially touch a plurality of points. In this case, after the touch input 2201 of the first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the setting of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insert point is canceled by the touch input 2202 of the second point for setting the insert point, and , the second point may be set as the first insert point.

도 16은 이미지 타입의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of an image type.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출력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a)) 또는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출력 화면의 팝업창 내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6(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 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한 것일 수 있다. The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 includes an input for touching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output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shooting (FIG. 16(a)) or an input for touching the execution area of a shooting command (FIG. 16(b)) can do. In addition, the user input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n input for touching a live area within a pop-up window of a content output screen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 FIG. 16( c ) ). Here,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photograph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추가 컨텐트의 촬영 명령은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의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 설정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 상에서 수행되므로, 추가 컨텐트를 위한 별도의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and for capturing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or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comma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may be executed.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 point setting input is performed on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a separat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may not be output on the display.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후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 촬영은 복수의 인서트 지점의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1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한 후, 두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2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is performed after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in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capturing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For example, after captur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first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s performed,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second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rder may be captured.

추가 컨텐트의 촬영은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 컨텐트 촬영이 먼저 수행된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oo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after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is performed, but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after the shoot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first.

추가 컨텐트(제1 추가 컨텐트)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가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추가 컨텐트는 제2 추가 컨텐트와의 관계에서 주 컨텐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for setting an insert point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capturing the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Here, the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serve as the main content in relation to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도 17은 동영상 타입의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1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put for recording additional content of a video type.

제어부(160)는,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예, 녹화 시작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을 실행하여 추가 컨텐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관련 명령은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 녹화 일시정지 명령, 녹화 재게 명령, 및 녹화 종료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the controller 160 may execut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eg, a recording start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to perform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Here, the recording-related command may include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a recording pause command, a recording resume command, and a recording end command.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eh 17(a)) 또는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7(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출력 화면의 팝업창 내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도 17(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 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녹화한 것일 수 있다. The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includes an input for touching the live area of the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eh 17(a)) or an input for touching the execution area of a recording-related command (FIG. 17(b)). may include In addition, the user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may include an input for touching a live area in a pop-up window of a content output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FIG. 17(c)). Here,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enlarged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추가 컨텐트의 녹화 관련 명령은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의 추가 컨텐트 녹화 시작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지점 설정 입력은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컨텐트 촬영 화면 상에서 수행되므로, 추가 컨텐트를 위한 별도의 컨텐트 촬영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or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main content. When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is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an insert point, a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start comma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sert point may be executed.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 point setting input is performed on th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capturing the main content, a separate content capturing screen for additional content may not be output on the display.

주 컨텐트에 복수의 인서트 지점이 설정된 후 추가 컨텐트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 녹화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의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1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한 후, 두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제2 인서트 지점에 연계될 추가 컨텐트의 녹화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is performed after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re set in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For example, after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first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s performed, 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the second insert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rder may be performed.

추가 컨텐트의 녹화는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 컨텐트 녹화가 먼저 수행된 후 인서트 지점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is performed, but the setting of the insert point may be performed after the recording of the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first.

추가 컨텐트(제1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 추가 컨텐트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가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 및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추가 컨텐트는 제2 추가 컨텐트와의 관계에서 주 컨텐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n insert point setting command for setting an insert point i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Here, the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link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serve as the main content in relation to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은, 추가 컨텐트 또는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주 컨텐트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주 컨텐트와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 컨텐트의 키(key) 데이터에 의해 추가 컨텐트의 링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Associating the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set insert point may include storing the additional content or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in the main content.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storing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ent. In this case, link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obtained from the database based on key data of the main content.

설정된 인서트 지점마다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의 연계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인서트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주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Since the association of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performed for each set insert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the main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이때, 복수의 인서트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텐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에 대응하는 사물과 매칭률이 가장 높은 추가 컨텐트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동시 또는 연쇄적인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위치 각각의 좌표와 동일하게 설정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률은 추가 컨텐트와 복수의 인서트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인서트 지점의 사물 간의 유사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율은, 컬러, 각도, 모양, 형태, 종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판단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associated wit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ne of th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having the highest matching rate. Here,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include thos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ordinates of each position selected by simultaneous or sequential user input. Here, the matching rate may include a similarity rate between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objec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The similarity rat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 color, an angle, a shape, a shape, a type, and a size.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가 연계되면 주 컨텐트의 출력 형태는, 주 컨텐트 및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이 있는 인서트 지점과 연계된 추가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전술한 바, 생략하다.When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are linked, the output form of the main content may include outputting the main content and an insertion point of the main content to the display. In this case, when there is an input for the insert point of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insert point with the input may be output. Specific detail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제어부(160)는, 주 컨텐트와 제1 인서트 지점에 의해 연계된 제1 추가 컨텐트에 대한 제2 인서트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서트 지점은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를 연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추가 컨텐트와 제2 추가 컨텐트의 관계에서, 제1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이고, 제2 추가 컨텐트는 주 컨텐트와 연계되는 추가 컨텐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에 관한 내용은, 제1 추가 컨텐트(주 컨텐트의 역할)와 제2 추가 컨텐트(추가 컨텐트의 역할)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set a second insert point for the main content and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linked by the first insert point. Here, the second insertion point may be a link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this ca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may be additional content linked to the main content.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content regarding the main content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role of th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the role of the additional content).

예를 들면, 제1 추가 컨텐트의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1 추가 컨텐트 녹화를 위한 컨텐트 녹화 화면의 라이브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또는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1 추가 컨텐트의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추가 컨텐트의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2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과 함께, 제2 추가 컨텐트 촬영 명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가 컨텐트 녹화 관련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추가 컨텐트는 복수의 인서트 지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인서트 지점은 라이브 영역에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또는 연쇄적으로 터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ion poin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cludes an input of touching a live area of a content recording screen f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r an input of touching an execution area of a recording related command. can do. Also,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may be distinguished from a user input f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lso, a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of at least on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be execu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In addition, a second additional content shooting command or at least one second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In addition, a second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command or at least one second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may be executed along with at least one first additional content recording related command by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Also, the user input for setting the second insert point may include an input of touching any one of at least one candidate. In addi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 points, and the plurality of insert points may be set by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live area.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촬영 및 연계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in connection with captur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r may be known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or waveguid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local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10: 통신부 120: 카메라
130: 마이크 140: 사용자 입력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메모리
170: 제어부
201: 프리뷰(Preview) 영역 202: 라이브(Live) 영역
203: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 204: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
211: 프리뷰(Preview) 영역 212: 팝업창 형식의 라이브(Live) 영역
213: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 214: 촬영 설정에 관한 영역
301: 프리뷰(Preview) 영역 302: 라이브(Live) 영역
303: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
304: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
311: 프리뷰(Preview) 영역 312: 팝업창 형식의 라이브(Live) 영역
313: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
314: 녹화 설정에 관한 영역
401: 기-저장된 주 컨텐트 402: 인서트 지점을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
403: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
404: 기-저장된 추가 컨텐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
501: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
502, 503: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
601: 인서트 지점의 개수에 대한 터치 입력
602: 인서트 지점의 번호에 대한 터치 입력
603: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해당하는 추가 컨텐트
801: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점
802, 803: 인서트 지점을 표시하는 숫자
901: 인서트 지점의 개수에 대한 터치 입력
902: 인서트 지점의 번호에 대한 터치 입력
903: 인서트 지점의 번호 '2'에 해당하는 추가 컨텐트
S1101: 주 컨텐트 촬영 단계 S1102: 인서트 지점 설정 단계
S1103: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단계
S1104: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 연계 단계
1201: 촬영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
120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
1203: 주 컨텐트 촬영을 위한 터치 입력
1301, 1302, 1303: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
1311, 1312, 1313: 제1 주 컨테트의 인서트 지점 후보
1314: 인서트 지점 후보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
1401, 1402: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
1501, 1502: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
S1801: 주 컨텐트 녹화 단계 S1802: 인서트 지점 설정 단계
S1803: 추가 컨텐트 촬영/녹화 단계
S1804: 주 컨텐트와 추가 컨텐트 연계 단계
1901: 녹화 관련 명령의 실행 영역에 터치 입력
1902: 인서트 지점 설정을 위한 터치 입력
1903: 주 컨텐트 녹화를 위한 터치 입력
2001, 2002, 2003: 제2 주 컨텐트의 인서트 지점
2011, 2012, 2013: 제1 주 컨테트의 인서트 지점 후보
2014: 인서트 지점 후보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
2101, 2102: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입력
2201, 2202: 라이브 영역상 복수 지점을 연쇄적으로 터치하는 입력
110: communication unit 120: camera
130: microphone 140: user input unit
150: display unit 160: memory
170: control unit
201: Preview area 202: Live area
203: area for execution of shooting commands 204: area for shooting settings
211: Preview area 212: Live area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213: area for execution of shooting command 214: area for shooting settings
301: Preview area 302: Live area
303: Execution area of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304: Area for recording settings
311: Preview area 312: Live area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313: Execution area of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314: Area for recording settings
401: pre-stored main content 402: touch input for setting insert point
403: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404: Touch input to select pre-stored additional content
501: point marking the insert point
502, 503: numbers indicating insert points
601: touch input for the number of insert points
602: Touch input for number of insert point
603: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number '2' of insert point
801: point marking the insert point
802, 803: numbers indicating insert points
901: touch input for the number of insert points
902: Touch input for number of insert point
903: Addi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number '2' of insert point
S1101: main content shooting step S1102: insert point setting step
S1103: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step
S1104: Main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association step
1201: Touch input to execution area of shooting command
1202: Touch input for insert point setting
1203: Touch input for shooting main content
1301, 1302, 1303: insert point of the second main content
1311, 1312, 1313: Candidates for insert points in the first main content
1314: Touch input to select insert point candidates
1401, 1402: Input for simultaneously touching multiple points on the live area
1501, 1502: Input for consecutively touching multiple points on the live area
S1801: Main content recording step S1802: Insert point setting step
S1803: Additional content shooting/recording stage
S1804: Main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linkage step
1901: Touch input to execution area of command related to recording
1902: Touch input for insert point setting
1903: Touch input for recording main content
2001, 2002, 2003: Insert point in the second main content
2011, 2012, 2013: Candidates for insert points in the 1st main contest
2014: Touch input to select insert point candidates
2101, 2102: Input for simultaneously touching multiple points on the live area
2201, 2202: Inputs for consecutively touching multiple points on the live area

Claims (18)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camera;
a display for outputting a live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ted from the camera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selecting a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of the main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controlling the subsequent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first position,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촬영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촬영 또는 녹화하기 위한 상기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2 위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2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fter the main content is photographed, while the display outputs the live area for photograph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location of the live area,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photographed or record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second additionally photographed or recorded subsequently is recorded a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 Control to link to the insert point on the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second position,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각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1 카메라 유닛 및 확대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2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의 촬영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되,
상기 주 컨텐트의 촬영은, 상기 제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2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는, 나머지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wide-angle shooting or recording and a second camera unit for enlarged shooting or recording,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input, capturing the main content and captur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The photograph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hooting or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through the other one,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상기 주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input is to touch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The at least one candid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a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the main content,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 또는 녹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역의 복수개의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live area,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of the main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controlling the subsequent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is set,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사물 중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매칭률이 가장 높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The method of claim 6,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s,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mong th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처음 터치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로 선택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user inpu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a location first touched by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When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a still picture typ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set as a video type.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타입의 주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은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camera;
a display for outputting a live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ted from the camera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selecting a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Comprising a control unit to perform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of the video type through the camera, and control so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dditionally captured subsequently is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first position,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녹화된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를 촬영 또는 녹화하기 위한 상기 라이브 영역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 영역의 제2 위치를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2 추가 컨텐트가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선택된 제2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fter the main content is recorded, while the display outputs the live area for shooting or recording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location of the live area,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photographed or record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second additionally photographed or recorded subsequently is recorded as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1 Control to link to the insert point on the additional cont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second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while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be the same as the selected second position,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각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1 카메라 유닛 및 확대 촬영 또는 녹화를 위한 제2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 컨텐트의 녹화 및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를 수행하되,
상기 주 컨텐트의 녹화는, 상기 제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2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의 촬영 또는 녹화는, 나머지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amera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wide-angle shooting or recording and a second camera unit for enlarged shooting or recording,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input,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and shooting or recording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performed,
The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is per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shooting or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through the other one,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는, 상기 주 컨텐트와 상이한 제2 주 컨텐트에 설정된 인서트 지점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user input is to touch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The at least one candid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ased on an insert point set in a second main content different from the main content,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상기 라이브 영역상에 초점이 맞춰진 부분을 확대 촬영 또는 녹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larged photographing or recording of a focused portion on the live area,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영역의 복수개의 위치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주 컨텐트의 녹화를 수행하고,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가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에 연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제1 추가 컨텐트와 연계된 인서트 지점의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live area,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recording of the main content through the camera, and controlling the subsequent additionally captured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to be linked to an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tent is out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a third user input for selecting an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The position of the insert point associated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is set, the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사물 중 상기 제1 추가 컨텐트와의 매칭률이 가장 높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s,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st matching rate with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among th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라이브 영역상 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처음 터치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로 선택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사진(still picture) 타입으로 설정되고,
제2 방향이면, 상기 제1 추가 컨텐트는 동영상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first user input is a touch input for dragging in one direction on the live area, a location first touched by the touch input is selected as the first location;
When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set to a still picture typ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set as a video type.
디스플레이의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는 주 컨텐트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단계; 및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인서트 지점에 연계하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브 영역은,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은,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
a main content capturing step of capturing the main content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of the display;
an insert point setting step of setting an insert point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elected first location on the captured main content; and
A linking step of associating the additionally shot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with the insert point subsequently;
The live area is an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 from a camera in real time, and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while the main content is output. .
디스플레이의 라이브 영역의 제1 위치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주 컨텐트의 촬영을 수행하는 주 컨텐트 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주 컨텐트 상에 상기 선택된 제1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 지점을 설정하는 인서트 지점 설정 단계; 및
후속으로 추가 촬영 또는 녹화된 제1 추가 컨텐트를 상기 인서트 지점에 연계하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브 영역은,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및
상기 주 컨텐트 상의 인서트 지점은, 상기 주 컨텐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 컨텐트 상 인서트 지점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추가 컨텐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a main content capturing step of capturing the main content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location of the live area of the display;
an insert point setting step of setting an insert point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elected first location on the captured main content; and
A linking step of associating the additionally shot or recorded first additional content with the insert point subsequently;
The live area is an area generated by processing data input from a camera in real time, and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insert point on the main content while the main content is output. recorded media.
KR1020200116007A 2020-09-10 2020-09-10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102446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07A KR102446194B1 (en) 2020-09-10 2020-09-10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1020220117713A KR20220130079A (en) 2020-09-10 2022-09-1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07A KR102446194B1 (en) 2020-09-10 2020-09-10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713A Division KR20220130079A (en) 2020-09-10 2022-09-1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55A true KR20220033755A (en) 2022-03-17
KR102446194B1 KR102446194B1 (en) 2022-09-22

Family

ID=809361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07A KR102446194B1 (en) 2020-09-10 2020-09-10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1020220117713A KR20220130079A (en) 2020-09-10 2022-09-1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713A KR20220130079A (en) 2020-09-10 2022-09-1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61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10A (en) * 2017-07-17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00033640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20200040281A (en) * 2017-09-14 2020-04-17 이베이 인크. Camera platform and object inventory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10A (en) * 2017-07-17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00040281A (en) * 2017-09-14 2020-04-17 이베이 인크. Camera platform and object inventory control
KR20200033640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94B1 (en) 2022-09-22
KR20220130079A (en)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69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alized visual guides for photography
JP61025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575361B (en) Method for providing visual sound image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EP32265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24305B2 (en) Method of synthesizing images photographed by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EP312552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30675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18070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dynamic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in them
US20150007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file
KR20100028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 of portable terminal
KR20140143725A (en) Image correl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of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KR2019002101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1867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190129597A1 (en) Collaborative Group Video Production System
US8773408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80027917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46194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US2015016204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663662B2 (en) Drawing device
US20130194311A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2015161748A (en) Projection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740161A (e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820237B2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oper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1018255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