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45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45A
KR20220033745A KR1020200115985A KR20200115985A KR20220033745A KR 20220033745 A KR20220033745 A KR 20220033745A KR 1020200115985 A KR1020200115985 A KR 1020200115985A KR 20200115985 A KR20200115985 A KR 20200115985A KR 20220033745 A KR20220033745 A KR 2022003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earring
standing
sta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하임
Priority to KR102020011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745A/ko
Publication of KR2022003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실리콘 재질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사람의 입 주위에 공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내측 영역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필터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와 그리고 마스크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이 용이하고 또한 착용시 필터를 제외한 다른 곳의 외부 공기차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유행하면서 많은 국가가 비상 상황에 놓여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마땅한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 하에서, 이러한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책은 철저한 방역뿐인 것이 지금 현재의 현실이다.
방역의 일환으로 철저한 소독과, 개별적인 마스크 착용이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비말을 통해 강력하게 전염되는 것으로 판명되어 비말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마스크의 수요량이 폭증하였으며, 이러한 수요량에 대해 공급량이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방역마스크는 길어야 3일 정도 착용이 가능한 관계로 개인당 많은 수의 마스크가 필요하며, 이러한 사유로 인해 개도국의 국민들에게는 큰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일부 개도국의 의료진들도 방역마스크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한 마스크를 오랜 기간에 걸쳐 착용하고, 이에 따라 다른 세균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 마스크를 세척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방역마스크의 경우에는, 마스크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정전력이 떨어져 바이러스를 거의 여과하지 못하게 되어 마스크의 기능이 상실되게 된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할 때, 얼굴 옆면과 마스크 면들 간에 밀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얼굴 옆면과 마스크 면 간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서, 만일 환자가 가까이 있다면 이 틈새를 통해 환자의 비말이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오랜 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세척이 용이한 한편 착용감이 우수하고, 외부의 공기의 침투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이 용이하여 한 장의 마스크를 오랜 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필터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외부 공기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사람의 입 주위에 공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영역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필터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와 그리고 마스크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기립부의 단면 형상은 입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는 이루는 제1경사면과, 얼굴 볼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와 상기 기립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와 기립부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접착부재를 통해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접착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와 기립부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마스크 본체 내측에 원형 또는 화살표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기립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에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의 귀걸이부에 실리콘 소재의 귀걸이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의 귀걸이부와 귀걸이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귀걸이의 양단부에는 다수의 구슬형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체결구와 동일 숫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구의 숫자를 조정함으로써 귀걸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에서 체결홈이 형성되는 귀걸이 부분은 체결홈의 직경보다 큰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기립부 외측의 마스크 본체 내면과 기립부의 제2경사면에는 소정의 탈착부가 형성되고, 이 접착부에 자연섬유 소재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여 완벽한 방역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여러 차례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득과 위생적인 이득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내 외측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사용되는 기립부의 단면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를 설치하는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를 설치하는 다른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귀걸이부와 귀걸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마스크의 외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마스크의 내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와, 마스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사람의 입 주위에 공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기립부(20)와, 상기 기립부 내측 영역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필터 장착부(30)와,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 설치되는 필터부(40)와 그리고 마스크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귀걸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40)의 공지의 필터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필터 장착부에 필터부의 설치는, 암나사와 숫나사 관계를 이용해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마스큰 본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에 실리콘 재질을 투입하여 사출성형으로 완성하게 된다. 마스크 본체(10)는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입주위 부분은 좀 두껍게 형성해 입 주위 부분으로부터 약간 떨어지도록 3차원 형상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밀착을 위해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립부(20)는 마스크 착용시에, 입 주위부분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그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방향쪽으로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경사도를 가지는 제1경사면(21)이 형성되고, 얼굴 볼방향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입 주위부분에는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입술이 닿지 않게 되므로 대화 등을 자유롭게할 수 있으며, 경사도가 완만한 부분은 얼굴의 볼에 밀착하게 되어, 마스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립부는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마다 코등의 높이나 얼굴의 크기가 상이하고, 어린이와 어른과, 남과 여에 따라 마스크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형성되는 기립부는 사람에 따라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0)와 기립부(20)를 따로 제작하여 마스크에 기립부는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얼굴 크기에 따라 마스크 본체를 선택하고, 콧등의 높이 등을 감안하여 기립부를 선택하여,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를 장착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시에 사용자는 마스크의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크게 느끼지 못하게 될 것이다.
마스크 본체(10)에 기립부(20)를 장착하는 방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20)의 바닥면(2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암 또는 수 벨크로(10')를 설치하고, 기립부의 바닥면에는 수 또는 암 벨크로(20')를 설치하여, 사용시에 벨크로들을 접합함으로써 기립부가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 중에 기립부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면, 더 큰 또는 더 작은 기립부를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불편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를 설치하는 다른 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에 원형 또는 화살표 형상의 돌출부(11)를 설치하고, 기립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수납홈(20a)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와 기리부는 실리콘재질로 만들기 때문에, 실리콘의 고유한 탄력성에 의해 수납홈에 돌출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돌출부에 의해 기립부가 마스크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는 못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큰 본체로부터 기립터를 분리할 때, 탄력성을 가지는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수납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귀걸이부(50)는 사출성형을 통해 귀걸이와 함께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마다 얼굴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귀걸이를 사용하게 되면 사람에 따라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얼굴이 작은 사람은, 귀걸이가 상대적으로 헐렁하게 되어 완전 밀착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없게 되고, 얼굴이 큰 사람은, 비록 실리콘재질로 된 귀걸이가 신장되어 귀에 귀걸이를 착용할 수 있게 되지만, 귀걸이의 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귀 둘레에 압박이 가해져 귀 둘레가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아무래도 천연소재의 섬유보다는 이질감을 많이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귀걸이부(50)에 귀걸이 홈을 설치한 다음 천연섬유 소재의 귀걸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람에 따라 귀걸이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걸이(60)의 양단에 구슬형태의 체결구(61)를 다수 설치하고, 마스큰 본체의 귀걸이부에는 상기 구슬형태의 체결구(61)를 수용할 수 있는 체결홈(51)을 설치한다. 상기 체결홈의 입구는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귀걸이부의 두께는 상기 체결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의 길이를 짧게 하여 사용하고자 한다면, 체결구들 전체를 체결홈 각각에 삽입시키면 되고, 귀걸이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한다면, 일부 체결구들만을 체결홈에 삽입시키면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귀걸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완성된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착용자의 얼굴에 마스크가 완전히 밀착되어 필터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입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를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으로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기립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기립부의 제2경사면은 얼굴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사람에 따라 큰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립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마스크 본체의 내면과 기립부의 제2경사면에 천연소재의 섬유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천연소재의 섬유가 마스크 본체와 기립부의 제2경사면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지만, 오랜 사용에 따른 천연소재 섬유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벨크로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탈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공지의 방식도 사용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 내에 설치되어 사람의 입 주위에 공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 영역의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필터 장착부와,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와 그리고 마스크 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단면 형상은 입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는 이루는 제1경사면과, 얼굴 볼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기립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기립부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접착부재를 통해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접착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기립부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마스크 본체 내측에 원형 또는 화살표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기립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에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에 기립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귀걸이부에 실리콘 소재의 귀걸이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귀걸이부와 귀걸이는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귀걸이의 양단부에는 다수의 구슬형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체결구와 동일 숫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구의 숫자를 조정함으로써 귀걸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에서 체결홈이 형성되는 귀걸이 부분은 체결홈의 직경보다 큰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제2항에 있어서,
    기립부 외측의 마스크 본체 내면과 기립부의 제2경사면에는 소정의 탈착부가 형성되고, 이 접착부에 자연섬유 소재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115985A 2020-09-10 2020-09-10 마스크 KR20220033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85A KR20220033745A (ko) 2020-09-10 2020-09-1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85A KR20220033745A (ko) 2020-09-10 2020-09-10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45A true KR20220033745A (ko) 2022-03-17

Family

ID=8093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85A KR20220033745A (ko) 2020-09-10 2020-09-1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150374943A1 (en) Flexible cushion system for oxygen mask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102287338B1 (ko) 다기능성 마스크
KR20160084714A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987583B1 (ko) 마스크
KR20220033745A (ko) 마스크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US20230136369A1 (en) Wearable mask
JP3228844U (ja) 装着に耳かけ紐を用いないマスク
KR102322682B1 (ko) 마스크 착용장치
KR102273134B1 (ko) 공간 형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형성 마스크
KR20130005509A (ko) 착용이 용이한 안면 마스크
KR102669676B1 (ko) 안경 걸이용 라인리스 마스크
KR100742256B1 (ko) 안경테 코걸이 커버
KR102396474B1 (ko) 마스크용 귀 보호링
KR102403203B1 (ko) 모듈형 조립마스크
EP3909453A1 (en) Tight joint and fixation carrier for protective medium materials
CN212575077U (zh) 一种服帖透气的护目镜
KR20220086282A (ko) 귀 통증 완화 마스크
TWM471893U (zh) 具造型圖案之口罩
KR20210002293U (ko) 마스크걸이
CN212488594U (zh) 具透视部的口罩
KR102671800B1 (ko) 하부 통기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