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601A -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601A
KR20220033601A KR1020200114833A KR20200114833A KR20220033601A KR 20220033601 A KR20220033601 A KR 20220033601A KR 1020200114833 A KR1020200114833 A KR 1020200114833A KR 20200114833 A KR20200114833 A KR 20200114833A KR 20220033601 A KR20220033601 A KR 2022003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pack
contact
coupled
pow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613B1 (ko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6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에 있어서, 복수의 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용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출력전압은 상기 전용 터미널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용 터미널을 형성하여 배터리팩에 결합하는 것으로, 배터리팩의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Battery Pack For Electric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의해 배터리팩의 출력 전압을 변경할 수 있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전동공구는 전동기를 내장하여 그 회전력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목재 등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를 말한다. 이러한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데, 최근에는 작업의 편의성 및 공구의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를 장착한 무선 전동공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동공구는 드릴, 드라이버, 햄머 등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전압을 사용하여 구동되며,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전동공구도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전동공구의 특성에 의해 종래의 전동공구는 전용 배터리팩을 적용하여, 종류가 다른 전동공구는 배터리팩을 공용으로 적용하지 못하였다. 이렇듯 전동공구마다 전용 배터리팩을 필요로 함으로써, 제조사는 출력 전압별로 다양한 배터리팩을 생산해야며,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비자는 여러 종류의 전동공구를 구비하는 것에 맞춰 여러 종류의 배터리팩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팩의 출력 전압을 변경할 수 있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에 있어서, 복수의 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용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출력전압은 상기 전용 터미널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전용 터미널의 결합 여부와 상관없이 접점 상태가 유지되는 제1 접점단자; 및 상기 전용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되면 접점 상태가 해제되어 단락되는 제2 접점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점단자는 상기 제2 접점단자의 상측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점단자는,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접하는 접점부를 형성함으로써,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점단자는,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접하는 접점부를 형성함으로써,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용 터미널은, 상기 배터리팩에 안착되는 터미널 하우징;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접점단자에 결합되는 단락단자;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접점단자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단자는 부도체 성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용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되면, 상기 단락단자가 상기 제2 접점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접점단자의 접점상태를 해제하여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는 도체 성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용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되도,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제1 접점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접점단자의 접점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속단자는, 타단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이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단락단자의 길이가 상기 접속단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용 터미널이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될 때, 상기 단락단자가 제2 접점단자에 결합된 후에 상기 접속단자가 제1 접점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전용 터미널을 형성하여 배터리팩에 결합하는 것으로, 배터리팩의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배터리팩에 다양한 종류의 전용 터미널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출력 전압으로 변경시켜, 다른 구동 전압을 갖는 전동공구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전용 터미널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다양한 전동공구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사는 배터리팩의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팩과 전용 터미널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팩의 커버가 제거된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접점단자 및 제2 접점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용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제1 접점단자 및 제2 접점단자에 전용 터미널이 체결되는 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팩과 전용 터미널의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배터리팩의 커버가 제거된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1 접점단자 및 제2 접점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의 전용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제1 접점단자 및 제2 접점단자에 전용 터미널이 체결되는 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은, 복수의 셀(미도시)이 장착되고,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된 배터리팩(100)과,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는 전용 터미널(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팩(100)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팩(100)은 전동공구에 장착되어 전동공구로 전원을 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충전 가능한 복수의 셀이 결합된다. 복수의 셀은 배터리팩(100)의 용량 즉, 출력 전압에 따라 다른 갯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셀은 다양한 배열 조합으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에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어 복수의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단자와 접촉해 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배터리팩(100)에는 복수의 셀 및 인쇄회로기판, 복수의 단자 등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내장되는 커버(110)가 형성된다. 즉, 커버(110)의 내부에 복수의 셀. 인쇄회로기판, 복수의 단자 등이 결합되어 내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110)에는, 배터리팩(100) 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가 전동공구 등의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단자개구부(111)는 커버(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복수의 단자가 배치된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처럼, 단자개구부(111)를 통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의 단자는 제1 접점단자(120)와 제2 접점단자(130)를 포함한다.
제1 접점단자(120)는, 항상 접점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두 개의 플레이트(미도시)가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두 개의 플레이트에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접하는 접점부(121)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두 개의 플레이트는 커버(110)의 단자개구부(111)를 향해 길이 방향이 형성되며, 단자개구부(111)에 인접한 일측의 일부가 절곡된다. 그리고, 대향한 다른 플레이트를 향해 절곡되어 접함으로써 접점부(1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1 점점단자(120)의 두 개의 플레이트는 접점부(121) 통해 면접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된다. 이때, 두 개의 플레이트는 접점부(121)가 서로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면서 면접되어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면접하여 닿아 있는 접점부(121)에는 후술할 전용 터미널(200)의 접속단자(230)가 삽입되어 제1 접점단자(120)와 접속단자(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접점단자(130)는, 후술할 전용 터미널(200)이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면 단락되는 것으로서, 제1 접점단자(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접점단자(130)는 제1 접점단자(120)와 같이, 두 개의 플레이트 플레이트(미도시)가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접단자(120)의 하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는 대향한 다른 플레이트를 향해 절곡되어 접함으로써 접점부(131)가 형성되며, 제1 접점단자(120)와 같이,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는 접점부(131)에서 서로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면서 면접되어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제1 접저단자(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형성됨으로써,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는, 제1 접점단자(120)의 접점부(121)의 아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는 후술할 전용 터미널(200)이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면, 전용 터미널(200)의 단락단자(2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제1 접점단자(120)의 외주면을 감싸 배치됨으로써, 제1 접점단자(120)의 접점부(121)와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가 상하로 적층된 제1 접점단자(120) 및 제2 접점단자(130)는 배터리팩(100)의 셀의 조합에 따라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접점단자(130)의 두 개의 플레이트가 제1 접점단자(120)의 하측을 감싸 접점부(121,131)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의 점부(121,131)가 상하로 배치되어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두 단자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단자를 적은 면적에 배치하여 배터리팩(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팩(100)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무게 감소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접점단자(120)의 접점부(121)와 와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가 동일 선 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전용 터미널(200)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접점단자(120)와 제2 접점단자(130)가 동일 선 상에 형성될 경우, 이들에 결합되는 전용 터미널(200)의 단락단자(220)와 접속단자(230)도 동일 선 상에 배치하는 것으로 위치를 맞출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제1 접점단자(120) 및 제2 접점단자(130)가 형성된 배터리팩(100)에는 전용 터미널(20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용 터미널(200)은 배터리팩(100)의 출력 전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터미널 하우징(210), 단락단자(220) 및 접속단자(230)로 구성된다.
터미널 하우징(210)은 배터리팩(100)에 안착되는 전용 터미널(200)의 몸체로, 단락단자(220)와 접속단자(23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터미널 하우징(210)은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110)의 단자개구부(111)를 충분히 덮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터미널 하우징(210)이 단자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도록 할 경우, 전용 터미널(200)이 필요에 의해 배터리팩(100)에 결합된 후, 단자개구부(111)를 통해 의도하지 않은 전기적 연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 하우징(210)에는, 단자개구부(111)로 삽입되어, 제1 접점단자(120)와 제2 접점단자(130)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단자(230)와 단락단자(220)가 형성된다.
단락단자(220)는, 터미널 하우징(210)이 단자개구부(111)를 바라보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배터리팩(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락단자(220)는, 부도체 성질의 소재로서,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다. 즉, 단락단자(220)는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에 삽입됨으로써, 제2 접점단자(130)가 단락되어 접점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팩(100)에 전용 터미널(200)이 결합되며,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배터리팩(100)의 출력 전압이 달라지는 것이다.
접속단자(230)는, 터미널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은 단락단자(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배터리팩(100) 내부의 제1 접점단자(120)에 결합되며, 타단은 터미널 하우징(210)의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다. 전용 터미널(200)이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면, 전동공구는 배터리팩(100)이 아닌, 전용 터미널(200)에 결합되는데, 이때, 전동공구는 터미널 하우징(210)의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접속단자(230)에 결합되어 배터리팩(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접속단자(230)는 도체 성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이 제1 접점단자(120)와 전동공구에 연결됨으로써, 배터리팩(100)과 전동공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접속단자(230)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미널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터미널 하우징(2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자개구부(111)로 삽입되는 일단과, 전동공구에 연결되는 타단이 동일 선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지점에서 절곡되어 굴곡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이 다른 선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은 터미널 하우징(210)에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일단과 타단이 분리되어 각각 터미널 하우징(210)에 결합된 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접속단자(230)는 일단이 배터리팩(100)의 제1 접점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전동공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만 하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락단자(220)와 접속단자(230)는 모두 단자 개구부(111)를 통해 배터리팩(100)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단락단자(220)가 접속단자(230)보다 길게 형성되어 먼저 배터리팩(100)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용 터미널(2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0)에 결합될 때, 단락단자(220)가 먼저 배터리팩(100)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접점단자(120)의 아래 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부(131)로 삽입되어 접점부(131)를 단락시킴으로써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단락단자(220)가 결합되어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상태가 해제되면, 접속단자(230)의 단부가 제1 접점단자(120)의 접점부(121)로 삽입되어 제1 접점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제2 접점단자(130)가 먼저 단락되도록 한 후, 제1 점접단자(120)와 접속단자(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배터리팩(100)의 출력 전압이 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터미널(200)을 배터리팩(100)에 먼저 결합한 후, 전동공구를 결합하지 않고, 전용 터미널(200)을 전동공구에 먼저 결합시킨 후, 배터리팩(100)에 결합하게 될 경우에도, 제2 접점단자(130)가 먼저 단락되어 접점 상태가 해제된 후에 제1 접점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동공구에 맞지 않은 출력 전압이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 터미널(200)을 형성하여 배터리팩(100)에 결합함으로써, 배터리팩(100)의 출력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배터리팩(100)에 다양한 종류의 전용 터미널(200)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출력 전압으로 변경시켜, 다른 구동 전압을 갖는 전동공구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전용 터미널(200)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배터리팩(100)으로 다양한 전동공구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사는 배터리팩(100)의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배터리팩 110 : 커버
111 : 단자개구부 120 : 제1 접점단자
130 : 제2 접점단자 200 : 전용 터미널
210 : 터미널 하우징 220 : 단락단자
230 : 접속단자

Claims (10)

  1. 전동공구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에 있어서,
    복수의 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배터리팩(100); 및
    상기 배터리팩(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용 터미널(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팩(100)의 출력전압은 상기 전용 터미널(200)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100)은,
    상기 전용 터미널(200)의 결합 여부와 상관없이 접점 상태가 유지되는 제1 접점단자(120); 및
    상기 전용 터미널(200)이 상기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면 접점 상태가 해제되어 단락되는 제2 접점단자(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단자(120)는 상기 제2 접점단자(130)의 상측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단자(120)는,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접하는 접점부(121)를 형성함으로써,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단자(130)는,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접하는 접점부(131)를 형성함으로써,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터미널(200)은,
    상기 배터리팩(100)에 안착되는 터미널 하우징(210);
    상기 터미널 하우징(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접점단자(130)에 결합되는 단락단자(220); 및
    상기 터미널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접점단자(120)에 결합되는 접속단자(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락단자(220)는 부도체 성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용 터미널(200)이 상기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면, 상기 단락단자(220)가 상기 제2 접점단자(13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접점단자(130)의 접점상태를 해제하여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30)는 도체 성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용 터미널(200)이 상기 배터리팩(100)에 결합되도, 상기 접속단자(230)가 상기 제1 접점단자(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접점단자(120)의 접점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30)는,
    타단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210)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동공구용 배터리팩이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2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단락단자(220)의 길이가 상기 접속단자(2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용 터미널(200)이 상기 배터리팩(100)에 결합될 때,
    상기 단락단자(220)가 제2 접점단자(130)에 결합된 후에 상기 접속단자(230)가 제1 접점단자(1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KR1020200114833A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KR10243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33A KR102439613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33A KR102439613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601A true KR20220033601A (ko) 2022-03-17
KR102439613B1 KR102439613B1 (ko) 2022-09-05

Family

ID=8093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833A KR102439613B1 (ko) 2020-09-08 2020-09-08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6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722A1 (ja) * 2016-10-31 2018-05-03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気機器、電気機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722A1 (ja) * 2016-10-31 2018-05-03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気機器、電気機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613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9724B2 (en) Battery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211434B2 (en) Battery pack
US11664540B2 (en) Power tool system and battery pack thereof
CN101140984B (zh) 电池组以及电池组与电动工具或充电器的组件
EP3660949B1 (en) Power tool system and battery pack thereof
US11173551B2 (en) Offset contacts on a rechargeable battery
EP2461392B1 (en) Battery module
CN112272895B (zh) 软包电池单体和堆叠件
CN201001036Y (zh) 无绳工具中的远程二极管
US20080179078A1 (en) Remote diodes in a cordless tool
US8951662B2 (en) Energy storage pack for an electric power tool, and electric power tool
KR20190074338A (ko) 휴대용 전동공구 및 이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2439613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KR102439614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KR102412601B1 (ko) 유니버설 배터리 팩 및 유니버설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시스템
GB2486565A (en) Hand tool battery device with operating mode in at least one cell receiving region is unequipped
CN114883732A (zh) 一种智能输出电池包
KR20090027899A (ko) 결합력이 향상된 접속부재
CN110137405A (zh) 通用型电池仓及具有电池仓的电器
KR101817238B1 (ko) 배터리 팩
KR102620742B1 (ko) 전동 공구용 전압 가변식 배터리
US20240186640A1 (en) Battery pack
US20230275295A1 (en) Electric device system and battery pack
KR20240075125A (ko) 멀티 전압 출력용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전동공구
US20200389052A1 (en)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