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413A -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413A
KR20220033413A KR1020210073787A KR20210073787A KR20220033413A KR 20220033413 A KR20220033413 A KR 20220033413A KR 1020210073787 A KR1020210073787 A KR 1020210073787A KR 20210073787 A KR20210073787 A KR 20210073787A KR 20220033413 A KR20220033413 A KR 2022003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ver
display device
injection material
compress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승희
이인호
장동식
홍성택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46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33401A/en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3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4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the window cover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wherein an injection material has a melt index of 30 to 50 cm^3/10min and an impact strength of 50 to 60 kJ/m^2.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retardation value while reducing generation of dust.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0 nm or less,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thereof is 270 nm or les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nd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nd to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차량에는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차량 내에서 편의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그 중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는 차량 앞쪽에 배치되어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Various display devices are used in a vehicle to deliver necessary information while driving or to deliver content that provides convenience in the vehicle. Among them,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is placed in front of the vehicle to deliver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driver.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 커버의 소재로서 종래에는 유리를 사용하였으나, 경량화, 내충격성의 요구로 인하여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층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왜곡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높은 투명도와 낮은 리타데이션 값을 갖는 광학 특성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serves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device. Glass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window cover, but is being replaced with a plastic material due to the demand for light weight and impact resistance.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on the upper layer of the display panel, and optical properties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low retardation value are required to prevent distort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to the driver or passengers.

하지만, 윈도우 커버를 형성하는 수지는 운반이나 가공 과정에서 분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진이 금형 내로 유입되어 성형되는 경우, 가소화 과정에서 용융되지 않거나 탄화된 분진이 윈도우 커버에 결점을 생성시켜 외관이 나빠질 수 있다. 충격 강도가 높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분진의 발생을 줄일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잔류 응력으로 인해 복굴절 값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resin forming the window cover may generate dust during transportation or processing, and when such dust is introduced into the mold and molded, it is not melted or carbonized dust during plasticization creates defects in the window cover. Appearance may deteriorate. When a resin having high impact strength is used, the generation of dust can be reduced,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irefringence value is lowered due to residual stress.

이에, 광학 특성을 향상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가 왜곡되거나 시인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외관이 양호하고 복굴절 성능이 좋은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having a good appearance and good birefringence performance without distor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r reducing visibility by improving optical properti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dus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공개특허 제10-2007-0120484호 (명칭: 비복굴절성 광학 수지 재료 및 광학 부재)Patent Laid-Open No. 10-2007-0120484 (Name: Non-birefringent optical resin material and optical member)

본 발명은 복굴절 특성이 향상되어 시인성이 좋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birefringence and good visibility.

본 발명은 분진의 발생이 저감되어 결점이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having fewer defects 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du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은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하는 단계,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금형 내로 사출재를 주입하는 단계,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출재의 멜트 인덱스(MI)는 300℃에서 30~50cm3/10min 일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ounting an insert film on an upper mold, positioning the lower mo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mold, injecting an injection material into the mold, and compression pressing the core. The melt index (MI)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30-50 cm 3 /10min at 300°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재의 충격 강도는 50~60kJ/m2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strength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50 to 60 kJ/m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재의 평균 입경은 2~3mm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3 m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 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70 to 320°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재는 PC 또는 PMMA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PC or PMM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은 금형 내로 사출재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사출 속도가 4개의 스트로크 구간 별로 제어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mold, the injection speed may be controlled for each of four stroke se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스트로크 구간은 노즐 선단의 위치를 0mm이라 할 때, 스크류 선단의 위치가 33~37mm, 23~27mm, 10~14mm, 5~9mm 인 위치를 기준으로 1구간, 2구간, 3구간 및 4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oke section has a position of the tip of the nozzle of 0 mm, and the positions of the tip of the screw are 33 to 37 mm, 23 to 27 mm, 10 to 14 mm, and 5 to 9 mm. It can be divided into 1 section, 2 section, 3 section, and 4 section based on the in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 속도는 2구간에서의 사출 속도가 1구간에서의 사출 속도보다 클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injection speed in the first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 속도는 1구간에서 40~50mm/s, 2구간에서 75~85mm/s, 3구간에서 75~85mm/s, 4구간에서 65~75mm/s 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speed is 40-50 mm/s in section 1, 75-85 mm/s in section 2, 75-85 mm/s in section 3, and in section 4 It can be 65~75m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은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하는 단계 전에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eforming the insert film before the step of mounting the insert film on the upper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 70~95℃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70 to 95°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사출재를 주입하는 게이트의 온도는 20~40℃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gate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0 to 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코어의 온도는 80~105℃ 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may be 80 to 105°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코어의 온도는 상부 금형의 온도보다 크되, 상부 금형과 압축 코어의 온도차는 10℃ 이상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compression core may be 10° C.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은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압축 유지 시간이 8~10초 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in the step of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8 to 10 seco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은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형체력이 250~600t 일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force may be 250 to 600 tons in the step of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평면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이 50nm 이하일 수 있다.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e-side average retardation value may be 50 n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입사각 45° 각도에서의 평균 리타데이션 값이 270nm 이하일 수 있다.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retardation value at an incident angle of 45° may be 270 n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입사각에 따른 평균 리타데이션 편차값이 20nm 이하일 수 있다.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according to an incident angle may be 20 n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평탄도가 0.8 이하일 수 있다.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latness of 0.8 or les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는 사출재의 MI값 및 충격 강도의 최적화를 통해 리타데이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학 성능이 우수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an reduce retardation by optimizing the MI value and impact strength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us has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또한, 분진의 양이 감소되어 결점이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dust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with few defects.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필름층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층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A-A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의 세부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에 있어서, 필름층 게이트영역의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윈도우 커버의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금형 및 사출재 토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금형에 거치되는 프리포밍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사출재 토출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사출재 토출단계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하부금형 가압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갭(G)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스트로크 구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수지가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도 23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윈도우 커버에 휨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평탄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필름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베이스층 형성 단계에서 사출재의 유동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복굴절 성능의 육안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플로우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플로우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4는 도 31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흡입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5는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m layer.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m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5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gate region of a film layer in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7 .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ld and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device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forming film mounted on a mol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15 is a schematic usage state diagram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hown in FIG. 14 .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step of pressing the lower mold.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illustrating a compression gap (G)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ression rate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oke sectio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at resin flows into a cylinder. 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ending phenomenon occurs in the window cov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24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for measuring flatness.
25 is a view showing a film layer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injection material in the step of forming the base layer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visual evaluation of birefringence performanc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view showing a flow mark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mark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31 .
3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3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covering materi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8 is a schematic BB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7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 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윈도우 커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우수한 광학 특성이 요구된다. 윈도우 커버의 소재로서 종래에는 유리를 사용하는 것에서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되고 있다. 플라스틱 소재의 윈도우 커버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window cover is a component that protects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re required. As a material of the window cover, conventionally, glass is being replaced by a plastic material. The plastic window cov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and strong against impact.

윈도우 커버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사출 성형이란 상하부 금형 사이에 수지 등을 주입하여 가압하여 성형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사출 성형은 캐비티에 높은 압력이 작용하고, 큰 온도 변화로 인해 성형된 윈도우 커버가 수축하게 됨에 따라, 윈도우 커버에 큰 잔류 응력이 남게 된다. 잔류 응력은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값 증가 등 광학 특성의 저하로 이어진다. Window cover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refers to molding by injecting a resin or the lik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pressurizing them. However, in injection molding,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cavity, and as the molded window cover contracts due to a large temperature change, a large residual stress is left in the window cover. The residual stress leads to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birefringence value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이에 본 발명은 윈도우 커버의 성형시 잔류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출 압축 성형(ICM,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공정을 이용한다. 사출 압축 성형은 캐비티 내의 압력을 낮고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압축을 통해 캐비티 체적 자체를 줄임으로써, 수지의 성형 수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ICM) process to minimize residual stress during molding of the window cove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can control the pressure in the cavity to be low and uniform, and by reducing the cavity volume itself through compression, the effect of molding shrinkage of the resin can be minimized.

사출 압축 성형은 충진 단계에서 금형이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사출재를 부분적으로 캐비티에 주입하고, 클램핑 장치가 금형을 완전히 폐쇄할 때까지 작동하여, 캐비티 표면 압축에 의해 사출재가 캐비티에 진입해 충진이 완료되는 과정을 갖는다.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partially injects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cavity before the mold is completely closed in the filling stage, and the clamping device works until the mold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injection material enters the cavity by the cavity surface compression and the filling is completed. have a process of becoming

본 발명에서는 금형에 별도의 압축 코어를 설치하여 캐비티를 압축 코어로 압축한다. 상하부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압축코어만 일부 열리게 하여 부분적으로 사출재를 사출한 후 압축코어를 닫히게 하고, 사출재에 압축을 주어 최종 성형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사출 압축 성형 공정은 윈도우 커버 전면에 균일하게 압축력이 작용하여 균일한 물성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잔류 응력이 적어 복굴절과 같은 광학적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mpression core is installed in the mold to compress the cavity with the compression core.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closed, only the compression core is partially opened, the injection material is partially injected, the compression core is closed, and the final molding is completed by applying compression to the injection material. In the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process, a compressive force is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indow cover to obtain a product with uniform physical properties, and since the residual stress is low, optical problems such as birefringence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필름층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층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A-A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의 세부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에 있어서, 필름층 게이트영역의 기술적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lm layer,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m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ndow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5, and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gate region of a film layer in the window cover shown in FIG. It is one configur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1000)는 베이스층(1100), 필름층(12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 the window cover 1000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base layer 1100 and a film layer 1200 . The window cover 1000 for the display device serves to protect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베이스층(1100)은 윈도우 커버에 강성을 부여하는 층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한다. 베이스층(1100)은 P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PC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내열성, 시인성, 투명성, 전기 절연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PC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는 높은 충격강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PMMA는 시인성,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 베이스층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광학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소재라면 베이스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100 is a layer that provides rigidity to the window cover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The base layer 1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C (PolyCarbonat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or polyacrylate. PC is a thermoplastic plastic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visibility, transparency, electrical insulation, and durability. PMMA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in visibility,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colorability, and the like. However, the material of the base lay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having optical transparency may be used as the base layer.

베이스층(1100)은 1500~25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100)이 1500㎛ 미만으로 형성되면 최소한의 표면 경도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사출시 미성형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두께 불균일로 인한 편차 및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0)이 2500㎛를 초과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후면의 디스플레이 터치시 감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The base layer 1100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500-2500㎛. When the base layer 1100 is formed to be less than 1500 μm,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minimum surface hardness, the probability of non-molding during injection is high, and deviation and warpage due to thickness non-uniformity may occur. When the base layer 1100 exceeds 2500 μm, cracks may occur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sensitivity may decrease when the display touches the rear surface.

필름층(1200)은 베이스층(1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필름층(1200)은 PC, PMMA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층(1200)은 PC 또는 PMMA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PC와 PMMA층 동시에 형성되어 있는 2layer 공압출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PMMA, PC, PMMA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3layer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층(1200)은 PC, PMMA 소재 필름 등을 하드 코팅하여 윈도우 커버의 표면경도와 내스크래치, 내후성을 좋게 할 수 있다.The film layer 1200 is disposed on the base layer 1100 . The film layer 12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C or PMMA. The film layer 1200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PC or PMMA, but a two-layer co-extrusion sheet in which the PC and PMMA layers are simultaneously formed may be used. If necessary, a 3-layer sheet in which PMMA, PC, and PMMA layers are sequentially stacked may be used. The film layer 1200 may hard-coat a PC or PMMA material film to improve the surface hardness, scratch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window cover.

필름층(1200)은 100~500㎛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180~22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m layer 1200 may have a thickness of 100 to 500 μm, preferably 180 to 220 μm.

본 실시예에서는 PC/PMMA의 2layer 시트 상에 내스크래치를 위한 하드 코팅을 한 후, 반사방지용 코팅층(LR 코팅층) 및 방오 기능성 코팅층(AF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층(120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필름층(1200)에서 PC/PMMA의 2layer 시트의 두께는 200㎛,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3㎛, LR/AF 코팅층의 두께는 0.2㎛이다.In this embodiment, after hard coating for scratch resistance on a 2-layer sheet of PC/PMMA, an anti-reflection coating layer (LR coating layer) and an antifouling functional coating layer (AF coating layer) are formed, thereby forming a film layer 1200. In the film layer 1200 of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2-layer sheet of PC/PMMA is 200 μm,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3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LR/AF coating layer is 0.2 μm.

필름층(1200)은 베이스층(1100)의 사출 압축 성형시 사출재와 결합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film layer 1200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an injection material during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of the base layer 1100 .

한편, 필름층(1200)에는 윈도우 커버(1000)의 성형을 위하여 사출재 주입구(31)에 거치될 수 있는 게이트 영역(1250)이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200)에는 게이트 영역(1250)이 형성된다. 게이트 영역(1250)은 사출재가 필름층(1200) 후면으로 토출될 때 사출재가 유입되는 필름층 게이트 영역(G)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 영역(1250)은 사출 압축 공정시 필름층(1200)의 고정을 위한 필름 걸이부(F)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Meanwhile, in the film layer 1200 , a gate region 1250 that can be mounted on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hole 31 is provided for molding the window cover 1000 . 2 and 3 , a gate region 1250 is formed in the film layer 1200 . The gate region 1250 serves as the gate region G of the film layer into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troduced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1200 . In addition, the gate region 1250 simultaneously serves as a film hanger (F) for fixing the film layer 1200 during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이를 위해, 사출재 분사장치(30)는 사출재가 배출되는 사출재 주입구(31)를 구비하고, 사출재 주입구(31)의 단부는 게이트 영역(12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사출재 주입구(31)는 필름층(1200)의 전면(FS) 게이트 영역(1250)을 통과하고, 필름층(1200)의 후면(RS)으로 사출재를 분사하여 필름층(1200)의 후면(RS)에 베이스층(1100)을 형성시킨다.To this end,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device 30 includes an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hole 31 through which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end of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hole 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ate region 1250 .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hole 31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FS) gate region 1250 of the film layer 1200 and injects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rear surface RS of the film layer 12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1200 ( A base layer 1100 is formed on RS).

이 때, 게이트 영역(1250)은 사출재 주입구(31)에 거치되어, 사출시 필름층(1200)을 고정하는 필름 걸이부(F)의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gate region 1250 is mounted on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hole 31 and serves as a film hook portion F for fixing the film layer 1200 during injection.

본 발명은 사출 압축 공정 중 필름층(1200) 후면으로 사출재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필름층(12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게이트 영역(1250)이 필름층(1200)을 고정하는 걸이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공정이 보다 간단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region 1250 fixes the film layer 1200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ilm layer 1200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1200 during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By acting as a hook, the process becomes simpler.

여기서, 필름층(1200)의 게이트 영역(1250)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버튼홀 영역에 대응되는 필름층(1200)의 버튼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홀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버튼부에 대응되는 홀 영역을 의미한다.Here, the gate region 1250 of the film layer 1200 may be formed in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layer 1200 corresponding to the buttonhole region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The buttonhole area means a hole area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art of the display apparatus when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apparatus is coupled to the display apparatus.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200')에 게이트 영역(1250')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영역(1250')은 사출재가 필름층(1200')에 토출될 경우 게이트(G)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 영역(1250')은 사출 압축 공정시 필름층 고정을 위한 걸이부(F)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 영역(1250')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1200a')으로부터 연장된 외부영역(1200b')에 형성된다. 즉, 게이트 영역(1250)은 최종적으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에서 제거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a gate region 1250 ′ may be formed in the film layer 1200 ′. The gate region 1250 ′ serves as the gate G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film layer 1200 ′. In addition, the gate region 1250 ′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hook portion F for fixing the film layer during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te area 1250' is formed in the outer area 1200b' extending from the display area 1200a' of the display apparatus when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apparatus is coupled to the display apparatus. That is, the gate region 1250 is finally removed from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층(1200)은 프리포밍된 IML(In Mold Label)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층(1200)은 윈도우 커버(1000)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로 구현되도록 투명부(1260)와 차광부(12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투명부(126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차광부(1270)는 투명부(126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lm layer 1200 may be formed of a preformed In Mold Label (IML) film. The film layer 1200 may include a transparent part 1260 and a light blocking part 1270 so that the window cover 1000 is implemented as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That is, the transparent portion 126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127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portion 1260 .

또한, 차광부(1270)에는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과 필름층 버튼홀 영역(1272)이 형성된다.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은 필름층(1200)에 사출재를 분사하기 위한 게이트 영역이다. 즉,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은 사출재가 유입되는 게이트영역이다. 동시에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은 사출 압축 공정시 필름층 고정을 위한 필름 걸이부의 역할도 수행한다.In addition, a film layer gate region 1271 and a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ortion 1270 .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a gate region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onto the film layer 1200 . That is,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a gate region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At the same time,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also serves as a film hanger for fixing the film layer during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또한, 도 5 내지 도 8은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한 일례로서,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이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5 to 8 show, as an example of a position where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formed,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formed in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은 필름층(1200)에 대하여 베이스층(110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층 버튼홀영역(1272)이 사출재 공급시 걸이부 영역으로 수행되기 위한 것이다. 즉 걸이부 영역은 필름층의 일면에 대하여 단차부로 형성된다.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layer 110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ilm layer 1200 . This is for the base layer buttonhole area 1272 to be performed as a hook area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hat is, the hook region is formed as a step portion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lm layer.

또한, 베이스층(1100)은 필름층(120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필름층(1200)인 IML 필름의 후면으로 사출재가 사출 및 압축되면서 베이스층(1100)이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층(1100)은 필름층(1200)과 결합된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1100 is combined with the film layer 1200 . To this end, the base layer 1100 is forme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and compres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ML film, which is the film layer 1200 , and the base layer 1100 is combined with the film layer 1200 .

그리고 베이스층(1100)에는 필름층(1200)의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에 대응되는 베이스층 게이트영역(1160)이 형성되고,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에 대응되는 베이스층 버튼홀영역(117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base layer gate region 1160 corresponding to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of the film layer 1200 is formed in the base layer 1100 , and a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 1170 is formed.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필름층 게이트영역과 필름층 버튼홀영역의 세부구성과 형상 각각의 기술사상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film layer gate region and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1000)의 필름층(1200)는 일축(X축)방향에 대한 제1 중심선(C1)과 타축(Y축)방향에 대한 제2 중심선(C2)을 포함하는 일면을 갖는다. 제1 중심선(C1)은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Y축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이고, 제2 중심선(C2)은 윈도우 커버 상의 가상의 중심선으로,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X축 방향과 평행한 선이다. 즉, X축 방향에 대하여 필름층(1200)는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양단부까지 동일한 거리(D1)를 갖고, Y축 방향에 대하여 필름층(1200)는 제2 중심선(C2)으로부터 양단부까지 동일한 거리(D2)를 갖는다.7, the film layer 1200 of the window cover 1000 has a first center line C1 in the uniaxial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center line C2 in the other axis (Y-axis) direction. It has a side that includes The first center line C1 is an imaginary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and 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center line C2 is an imaginary center line on the window cover, which is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It is a line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That is, in the X-axis direction, the film layer 1200 has the same distance D1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to both ends, and the film layer 1200 in the Y-axis direction extends from the second center line C2 to both ends. have the same distance D2.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필름층(1200)의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과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필름층(1200)의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과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은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필름층(1200)에 사출재를 토출할 경우 일측에서 타측으로 방해없이 유동되도록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and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of the film layer 1200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line C2 . For example,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and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of the film layer 12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enter line C2 .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film layer 1200 , it flows from one side to the other without obstruction.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device, as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under the display por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is formed on one side.

또한, 베이스층 버튼홀영역(1170)과 베이스층 게이트영역(1160) 역시 제2 중심선(C2)에 대하여 하부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1170 and the base layer gate region 1160 are also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enter line C2 .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은 제1 중심선(C1)에 위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position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

또한,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필름층 게이트영역의 이격거리(D3)는 윈도우 커버의 전체 거리(D4)에 비하여 1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3 of the gate region of the film layer, which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is 10% or less of the total distance D4 of the window cover.

이때, 인서트 필름과 베이스층은 상기 제1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ert film and the base layer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이는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을 사출성형시 사출재가 유입되는 게이트 역할을 수행할 경우, 중심선으로부터 허용가능한 이격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이 10% 이내일 경우 복굴절의 대칭에 따른 광학성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serves as a gate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during injection molding, when the allowabl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nter line is within 10%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improving optical performance due to the symmetry of birefringence is obtained. can be obtained

또한, 베이스층 게이트영역(1160) 역시 제1 중심선(C1)에 위치되고, 베이스층 게이트영역(1160)이 제1 중심선(C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층 게이트영역의 이격거리는 윈도우 커버의 전체 거리(D4)에 비하여 1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gate region 1160 is also locat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and the base layer gate region 116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er line C1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base layer gate region is the window cover. It is preferable to form 10% or less of the total distance D4.

도 9는 윈도우 커버의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금형 및 사출재 토출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금형에 거치되는 프리포밍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ld and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an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forming film mounted on a mold.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및 사출재 토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A mold and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00)은 상부 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110)에는 상부 금형 버튼홀 걸이부(111), 핫러너(112) 및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 the mold 100 includes an upper mold 110 and a lower mold 120 . An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 a hot runner 112 , and an upper mold gate step 113 are formed in the upper mold 110 .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금형 버튼홀 걸이부(111)는 인서트 필름의 필름층 버튼홀영역이 삽입되고 지지되도록 필름층 버튼홀영역에 대응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핫러너(112)는 상부 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연통되도록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is formed of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so that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inserted and supported. The hot runner 112 is formed in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는 필름층(1200)의 필름층 게이트 영역(1271)을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필름층(1200)가 상부 금형에 보다 정확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사출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The upper mold gate step 113 has a protruding shape for mounting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of the film layer 1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jection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film layer 1200 is more accurately constrained to the upper mold.

하부 금형(120)에는 상부금형(110)의 상부 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대응되는 홈부(121)가 형성된다. 상부 금형(110)의 외형과 하부 금형(120)의 외형이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 금형에 접하는 인서트 필름과 하부 금형에 접하는 사출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mold 120 has a groove 121 corresponding to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of the upper mold 110 is formed. As the outer shape of the upper mold 110 and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mold 1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insert film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and the injectio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lower mold have the same shape.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금형에 핫러너가 형성되고 토출 노즐을 하부 금형을 통해 삽입하여 사출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a hot runner may be formed in the lower mold and the ejection nozzl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lower mold to provide the injection material.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사출 성형체의 필름층(1200)인 인서트 필름은 투명부(1260)와 차광부(1270)를 포함한다. 또한, 차광부(1270)에는 필름층 게이트영역(1270)과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 the insert film, which is the film layer 1200 of the injection-molded film, includes a transparent part 1260 and a light blocking part 1270 . In addition, a film layer gate region 1270 and a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ortion 1270 .

인서트 필름층(1200)의 필름층 게이트영역(1270)은 인서트 필름층(1200)에 사출재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로 구현된다.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0 of the insert film layer 1200 is implemented as a gate for providing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layer 1200 .

또한, 사출재 성형을 위한 인서트 필름층(1200)은 도 10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1000)의 인서트 필름층(1200)과 달리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과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In addition, the insert film layer 1200 for injection molding is different from the insert film layer 1200 of the window cover 1000 shown in FIG. 10 ,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and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are positioned to face upwards.

이는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을 통해 사출재를 공급할 경우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를 통해 인서트 필름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mount the insert film through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hrough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4는 사출재 토출 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사출재 토출단계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16은 하부금형 가압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갭(G)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압축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 스트로크 구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pecific example implementing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implementing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FIG. 15 is a schematic usage state diagram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hown in FIG. 14, and FIG. 16 is a lower mold pressing step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and 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displ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evice, Figure 19 is a view showing a compression gap (G)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compression spe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roke sectio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10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1000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1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를 통해 인서트 필름에는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영역은 최종 윈도우 커버의 영역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최종 윈도우 커버 영역 외측에 위치되어, 사출재 주입 및 경화 후 제거될 수도 있다.11, 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film is preformed (S11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the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the film layer. Through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a gate region for injecting an injection material and a buttonhole region for mounting the insert film may be formed on the insert film. The gate region may be formed within the region of the final window cover, or located outside the final window cover region, and may be removed after injection and curing of the injection molding material.

다음으로,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1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Next, 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1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110)에 인서트 필름층(1200)이 지지되도록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을 거치시키고,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인서트 필름층(1200)의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를 거치시킨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so that the insert film layer 1200 is supported on the upper mold 110, and the upper mold button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of the insert film layer 1200 is mounted on the hole hook portion 111 .

또한,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에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을 거치시킬 경우, 필름층 게이트영역(1271)은 핫러너(112)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 the film layer gate region 1271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112 .

인서트 필름층(1200)의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과 필름층 버튼홀영역(1272)을 각각 상부금형(110)의 상부금형 게이트 단차부(113)와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필름층(1200)을 상부금형(110)에 거치시킴에 따라 별도의 필름 걸이 없이도 사출성형을 위한 필름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and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272 of the insert film layer 1200 are formed with the upper mold gate step 113 and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ortion 111 of the upper mold 110, respectively. As the insert film layer 1200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110 in a manner of inserting the film into the film, it is possible to fix the film for injection molding without a separate film hanger.

이에 따라, 일면이 상부금형(110)에 접촉된 인서트 필름층(1200)의 타면으로 사출재의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injection materia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layer 1200 in which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110 .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1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측으로 이동시킨다.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1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140). 사출재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140). The injection material is sprayed to the back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70 ~ 320 ℃, preferably 280 ℃.

구체적으로 상부금형에 인서트 필름의 일면이 접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핫러너를 통해 인서트 필름의 타면에 사출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인서트필름에 사출재가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injectio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ert film through a hot runner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insert film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Accordingly, the injection material is coupled to the insert film.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핫러너(112)를 통해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층(1100)의 필름층 게이트영역(1121)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사출재는 토출방향으로의 유동이 하부금형(120)에 의해 제한되고 하부방향으로 유동된다.14 ,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m layer gate region 1121 of the insert film layer 1100 through the hot runner 112 . At this time, the flow i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limited by the lower mold 120 and flows in the lower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재의 유동은 제1유동흐름(F1), 제2 유동흐름(F2), 제3 유동흐름(F3)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5 ,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ludes a first flow flow F1 , a second flow flow F2 , and a third flow flow F3 .

제1 유동흐름(F1)은 사출재의 게이트인 필름층 게이트영역(1121)을 통해 토출된 사출재의 유동을 정의한 것이고, 제2 유동흐름(F2)은 수평방향으로의 사출재의 유동을 정의한 것이고, 제3 유동흐름(F3)은 사출재의 유동압에 따라 사출재의 수직방향 유동을 정의한 것이다.The first flow F1 defines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film layer gate region 1121, which is the g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second flow F2 defines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3 The flow F3 defines the vertical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flow press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또한, 사출재의 수직방향 유동은 중력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제1 유동흐름(F1), 제2 유동흐름(F2), 제3 유동흐름(F3)으로 유동됨에 따라, 사출재의 역류 및 Meld line 형성이 저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in the first flow flow F1, the second flow flow F2, and the third flow flow F3, the revers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formation of the melt line are reduced. .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15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를 가압하여 캐비티 표면을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이 성형 및 필름층에 결합한다. 또한, 압축 코어 가압 단계에 의해 인서트 필름에 결합된 사출재의 두께가 조정된다.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Press the compression core (S11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o compress the cavity surface. As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the base layer is bonded to the molding and film layer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bonded to the insert film is adjusted by the compression core pressing step.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250 to 600 tons.

한편,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은 베이스층 게이트영역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 게이트영역 형성단계는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에 공급된 이후, 베이스층 게이트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금형으로부터 베이스층 게이트영역 형성바가 인서트 필름의 필름층 게이트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베이스층 게이트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orming the gate region of the base layer. In the base layer gate region forming step, after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ert film, a base layer gate region forming bar is inserted from the upper mold through the film layer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to form the base layer gate region to form the base layer gate region. can be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축 코어가 아닌 하부 금형이 이동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사이에 토출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20)을 이동시킨다. In other embodiments, the lower mold rather than the compression core may be moved. As shown in FIG. 16 , the lower mold 120 is move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

즉,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사이에 토출재를 정량에 미달되도록 토출시키고, 하부금형(120)을 상부금형(110)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초기의 토출압으로 인해 사출재 유동의 급격한 변화가 방지되고 사출재가 안정적으로 유동되고,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간격을 조정하여 사출재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discharging material is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so as to be less than the specified amount, and the lower mold 120 is moved to the upper mold 110 . Accordingly, a sudden change in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revented due to the initial discharge pressure,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stably, and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금형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간략히 기재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ecking the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ame cont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2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17, 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film is preformed (S12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a film layer, or may form a gate region and a buttonhole region for mounting an insert film to inject an injection material.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2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2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다음으로,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2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측으로 이동시킨다.Next, 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2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를 확인한다(S1240).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 사출재의 유동 및 잔류 응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금형은 소정 범위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하부 금형의 온도는 소정 온도의 유체에 의해 유지된다. 금형의 온도는 유체의 유량을 체크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으며, 금형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Check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S1240).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affects the flow and residual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molds must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maintained by a flui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mold can be checked by check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d a temperature sensor can be provided in the mold to check the temperature.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 70~95℃, 바람직하게는 80℃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금형 온도가 70℃보다 낮으면 사출재의 유동 저항이 커져 잔류 응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하부 금형 온도가 높아질수록 사출 압축 시 수지의 전단 응력 및 제품의 잔류 응력이 줄어들어 복굴절 특성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수지 유동 변화로 인하여 재현성이 좋지 않아 최종 제품의 질량 차이에 의한 치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하부 금형 온도가 105℃ 이상이 되면, 금형에 무리가 가게 되며, 금형이 손상되거나 스케일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는 항온 매질로서 물을 사용하는데, 물의 끓는점 때문에 100℃ 근처에서 금형 손상 및 스케일링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항온 매질이 1기압 대기 하에 놓여있지 않고 금형 안을 순회하기 때문에 105℃까지 큰 손상 없이 사출기를 작동하는데 무리가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물을 매질로 사용한 경우에 유효하며, 항온 매질로서 끓는점이 높은 매질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70 ~ 95 ℃, preferably 80 ℃. When the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are lower than 70° 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and the residual stress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ncreases, the shear stress of the resin and the residual stress of the product are reduced during injection compression, and the birefringence property can be improved. there is. In particular, if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105° C. or higher, the mold may be damaged, and the mold may be damaged or scaling may occur. In general, water is used as a constant temperature mediu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 but due to the boiling point of water, mold damage and scaling problems occur near 100°C.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operat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up to 105°C without major damage because the constant temperature medium was not placed under 1 atm pressure and circulated inside the mold. The above results are valid when water is used as a medium, and when a medium with a high boiling point is used as a constant temperature medium, the numerical value may be changed.

사출재를 주입하는 게이트의 온도는 20~40℃, 바람직하게는 30℃일 수 있다. 압축 코어의 온도는 80~105℃,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gate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0 to 40 ℃, preferably 30 ℃.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may be 80 to 105 °C, preferably 90 °C.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를 확인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외에 압축 코어, 게이트의 온도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압축 코어의 온도는 상하부 금형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되, 상하부 금형과 압축 코어의 온도 차이는 최소 10℃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checked,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temperatures of the compression core and the gate in addition to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an be further checked.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set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compression core may be at least 10°C or more.

상하부 금형 온도와 압축 코어의 온도차이가 10℃ 이하가 되면,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burr), 실 버(burr)(실바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금형간에 열팽창율이 달라야 하는데, 압축 코어의 온도가 낮게 되면 금형의 팽창이 상/하측 대비 작아져 사출시 파팅라인의 압력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 실 버(burr)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 코어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생산 지속되면, 압축 파팅 라인에 발생하는 버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에 버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금형 파팅 라인이 무너져 제품의 불량율이 커질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and the compression core is 10° C. or less, there is a problem that compression burrs and burrs (silver) are generated in the parting line. Specifically,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h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mold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lowered, the expansion of the mold becomes smaller compared to the upper/lower side, and the pressure of the parting line during injection is reduced. may occur. If production continues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low, burrs ar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product produced by the burrs generated in the compression parting line, and the mold parting line collapses, which may increase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250). 사출재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250). The injection material is sprayed to the back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70 ~ 320 ℃, preferably 280 ℃.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26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를 가압하여 캐비티 표면을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이 성형 및 필름층에 결합한다.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Press the compression core (S126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o compress the cavity surface. As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the base layer is bonded to the molding and film layer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250 to 600 tons.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압축 단계에서 압축 속도를 다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간략히 기재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speed can be controlled in multiple stages in the compression step. The same cont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3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18, 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film is preformed (S13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the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the film layer, or may form a gate region and a buttonhole region on which the insert film can be mounted to inject an injection material.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3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3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3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 측으로 이동시킨다.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3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340). 사출재(1100a)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1100a)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1100a)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1100a)의 온도는 270~320℃,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340).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is inj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may be 270 to 320 °C, preferably 280 °C.

압축 속도를 2단으로 제어하여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35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1100a)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130)를 가압하여 캐비티 내부를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130)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1100a)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1100)이 성형 및 필름층(1200)에 결합한다.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by controlling the compression speed in two stages (S13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130 is pressed to compress the inside of the cavity. As the compression core 130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as the injection material 1100a compresses and flows within the cavity, the base layer 1100 is coupled to the molding and film layer 1200 .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속도는 압축 갭(G)을 기준으로 2단으로 제어된다. 압축 속도는 압축 코어를 이동시키는 속도이다. 압축 갭(G)은 압축 거리를 의미하며, 압축 속도는 압축 갭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1구간(G1) 및 2구간(G2)으로 나뉘어 2단으로 제어된다.19 and 20, the compression speed is controlled in two stages based on the compression gap (G). Compression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compression core moves. The compression gap (G) means a compression distance, and the compression speed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G1) and a second section (G2) based on a 1/2 point of the compression gap and is controlled in two stages.

1구간(G1)은 압축 코어(130)가 상부 금형(110)측으로 이동하는 전반 구간으로, 압축 코어(130)의 초기 위치로부터 압축 갭의 1/2 지점까지를 의미한다. 2구간(G2)은 압축 코어(130)가 상부 금형(110)측으로 이동하는 후반 구간으로, 압축 갭의 1/2 지점부터 압축 코어(130)가 최종 이동한 지점까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축 갭이 1mm인 경우, 압축 코어의 초기 위치를 0이라 한다면, 1구간(G1)은 0에서 -0.5mm까지의 구간, 2구간(G2)은 -0.5mm에서 -1mm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The first section G1 is a first half sec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core 130 moves toward the upper mold 110 , and refers to a point from an initial position of the compression core 130 to a point 1/2 of the compression gap. Section 2 (G2) is a second half sec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core 130 moves toward the upper mold 110, and refers to a point from a point 1/2 of the compression gap to a point where the compression core 130 is finally moved. For example, if the compression gap is 1 mm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mpression core is 0, the first section (G1) is a section from 0 to -0.5 mm, and the second section (G2) is from -0.5 mm to -1 mm. means section.

1구간(G1)에서의 압축 속도는 일정하며, 2구간(G2)에서의 압축 속도는 선형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2구간에서의 압축 속도는 등가속도를 가질 수 있다. 2구간에서는 사출재에 압축 자국이 발생하여 사출재의 전단 응력이 증가하므로, 압축 속도를 증가시켜 사출재의 유동이 저하되기 전 압축을 수행한다.The compression speed in the first section G1 is constant, and the compress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G2 may increase linearly. That is, the compress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may have an equivalent acceleration. In section 2, compression marks are generated in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shear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Therefore, the compression speed is increased to perform compression before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decrea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압축 속도는 1구간(G1)에서 1.8~2.2mm/s, 2구간(G2)에서는 가속도 1.8~2.2mm/s2, 바람직하게는1구간(G1)에서 2mm/s, 2구간(G2)에서는 가속도 2mm/s2으로 할 수 있다. 즉, 2구간에서의 속도는 1구간의 속도를 초기 속도로 하여 1.8~2.2mm/s2의 가속도를 갖는다. 1구간의 압축 속도가 1.8mm/s보다 낮으면 수지가 정체되어 고화층이 증가하고, 1구간의 압축 속도가 2.2mm/s보다 높으면 전단 응력이 증가하여 복굴절 성능이 나빠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speed is 1.8 to 2.2 mm/s in the first section (G1), the acceleration 1.8 to 2.2 mm/s2 in the second section (G2), preferably 2 mm/s in the first section (G1), In the second section (G2), the acceleration can be set to 2 mm/s 2 . That is, the speed in section 2 has an acceleration of 1.8 to 2.2 mm/s 2 with the speed in section 1 as the initial speed. If the compression rate of the first section is lower than 1.8 mm/s, the resin stagnates and the solidified layer increases.

압축 갭이 커질수록 압축 속도도 커질 수 있다. 한편,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As the compression gap increases, the compression rate may also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250 to 600 tons.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는 사출 속도가 스트로크 구간 별로 제어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간략히 기재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speed may be controlled for each stroke section. The same cont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1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film is preformed (S11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a film layer, or may form a gate region and a buttonhole region for mounting an insert film to inject an injection material.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3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3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1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70~95℃, 게이트의 온도는 20~40℃, 압축 코어의 온도는 80~105℃일 수 있다.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1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70 ~ 95 ℃, the temperature of the gate is 20 ~ 40 ℃,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may be 80 ~ 105 ℃.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140). 사출재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140). The injection material is sprayed to the back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70 ~ 320 ℃, preferably 280 ℃.

사출 속도는 사출재가 주입되는 속도로서, 단위 시간에 금형 내에 사출재가 충진되는 양을 의미한다. 사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사출재의 유동 거리가 증가한다. 스트로크 구간을 나눠서 각각의 구간마다 사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크 구간은 노즐 선단 위치를 0mm로 하여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스크류 선단의 위치에 따라 규정한다. 스트로크 구간은 금형의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injection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and means the amount of the injection material being filled in the mold per unit time. As the injection speed increases, the flow distanc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By dividing the stroke section, the injection speed can be adjusted for each section. As shown in FIG. 21 , the stroke section is def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scr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with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nozzle being 0 mm. The stroke sec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사출재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흐름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금형의 흐름 저항은 제팅(jetting),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weld line) 등의 성형품 표면 불량 현상을 초래한다. 흐름 저항은 금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금형의 형태에 따라 사출 속도가 제어되는 지점이 달라질 수 있다. 스트로크 구간은 예를 들어, 스크류 선단의 위치가 33~37mm, 23~27mm, 10~14mm, 5~9mm인 지점을 기준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구간을 스크류 선단 위치가 35mm, 25mm, 12mm, 7mm인 위치를 기준으로 4구간으로 나눴으며, 스크류가 노즐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구간 중 35~25mm인 지점을 1구간(S4-S3), 25~12mm인 지점을 2구간(S3-S2), 12~7mm인 지점을 3구간(S2-S1), 7~0mm인 지점을 4구간(S1-S0)으로 규정한다. 사출 속도는 1구간, 2구간, 3구간, 4구간에서 각각 제어된다.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the flow resistance of the mold may occur. The flow resistance of the mold causes surface defects such as jetting, flow marks, and weld lines. The flow res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ld, and the point at which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ld. The stroke section may be divided based on, for example, points where the screw tip is located at 33 to 37 mm, 23 to 27 mm, 10 to 14 mm, and 5 to 9 mm. In this embodiment, the stroke section is divided into 4 sections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crew tip positions of 35mm, 25mm, 12mm, and 7mm, and the 35~25mm point among the sections in which the screw moves toward the nozzle tip is 1 section (S 4 - S 3 ), 25-12mm in 2 sections (S 3 -S 2 ), 12-7mm in 3 sections (S 2 -S 1 ), 7-0mm in 4 sections (S 1 -S 0) ) is defined as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in section 1, section 2, section 3, and section 4, respectively.

사출 속도는1구간에서 40~50mm/s, 2구간에서 75~85mm/s, 3구간에서 75~85mm/s, 4구간에서 65~75mm/s, 바람직하게는 1구간에서 45mm/s, 2구간에서 80mm/s, 3구간에서 80mm/s, 4구간에서 70mm/s으로 하였다. 2구간 및 3구간의 속도가 복굴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2구간 및 3구간의 속도가 1구간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우 복굴절이 개선될 수 있다. 즉, 2구간 및 3구간에서의 사출 속도를 1구간에서의 사출 속도보다 크게 설정한다.The injection speed is 40-50 mm/s in section 1, 75-85 mm/s in section 2, 75-85 mm/s in section 3, 65-75 mm/s in section 4, preferably 45 mm/s in section 1, 2 80 mm/s in section 3, 80 mm/s in section 3, and 70 mm/s in section 4. The speed of sections 2 and 3 has a large effect on birefringence, and when the speed of sections 2 and 3 increases compared to section 1, the birefringence can be improved. That is, the injection speed in section 2 and section 3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injection speed in section 1.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35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를 가압하여 캐비티 표면을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이 성형 및 필름층에 결합한다. 한편,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Press the compression core (S13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o compress the cavity surface. As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the base layer is bonded to the molding and film layer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250 to 600 tons.

압축 속도는 압축 갭을 기준으로 2단으로 제어된다. 압축 갭이 커질수록 압축 속도가 커질 수 있다. 압축 갭은 최종 성형품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두께의 40~50%일 수 있다.The compression speed is controlled in two stages based on the compression gap. As the compression gap increases, the compression rate may increase. The compression gap may be 40-50% of the thickness of the window cover for the display device, which is the final molded product.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는 압축 갭이 0.8~1.2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간략히 기재한다.In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gap may be set to 0.8 to 1.2 mm. The same conten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3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film is preformed (S13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the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the film layer, or may form a gate region and a buttonhole region on which the insert film can be mounted to inject an injection material.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3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3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3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70~95℃, 게이트의 온도는 20~40℃, 압축 코어의 온도는 80~105℃일 수 있다.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3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70 ~ 95 ℃, the temperature of the gate is 20 ~ 40 ℃,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may be 80 ~ 105 ℃.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340). 사출재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340). The injection material is sprayed to the back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270 ~ 320 ℃, preferably 280 ℃.

사출 속도는 스트로크 구간을 나눠서 각각의 구간마다 사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트로크 구간을 스크류 선단 위치(S)가 35mm, 25mm, 12mm, 7mm인 위치를 기준으로 4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The injection speed can be adjusted for each section by dividing the stroke section. The stroke section can be divided into 4 sections based on the positions where the screw tip position (S) is 35mm, 25mm, 12mm, and 7mm.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35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를 가압하여 캐비티 표면을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이 성형 및 필름층에 결합한다.Press the compression core (S13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o compress the cavity surface. As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the base layer is bonded to the molding and film layer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압축 갭은 사출재가 압축되는 압축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압축 갭에 따라 사출재 정체 시점에 영향을 받는다. 압축 갭이 작아질수록 전체적인 응력 전달이 빨라져 전면적의 리타데이션 값이 증가한다. 압축 갭이 커질수록 충진 후 응력 완화 및 고화층에 기인한 응력 증가가 함께 발생하여 리타데이션이 압축 위치 부위에 집중하여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 갭은 0.8~1.2mm, 바람직하게는 1mm이다. 압축 갭이 0.8mm 미만일 때 응력 전달이 빨라져 복굴절 특성이 나빠지고,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burr)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 갭이 1.2mm 이상일 때는 사출재가 정체하여 압축 자국이 발생할 수 있다. 압축 갭은 윈도우 커버의 두께의 40~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gap refers to the compression distance at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the timing of the injection material stagnation time is affected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gap. The smaller the compression gap, the faster the overall stress transfer,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entire area. As the compression gap increases, stress relaxation after filling and an increase in stress due to the solidified layer occur together, and retardation is concentrated in the compression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ion gap is 0.8 to 1.2 mm, preferably 1 mm. When the compression gap is less than 0.8 mm, the stress transfer is accelerated, the birefringence property deteriorates, and a compression burr may occur in the parting line. When the compression gap is 1.2mm or more, the injection material may stagnate and compression marks may occur. The compression gap is preferably set to 40-50% of the thickness of the window cover.

압축 갭이 커질수록 압축 속도가 커질 수 있다.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As the compression gap increases, the compression rate may increase.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may be 250 to 600 tons.

한편,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사출 압축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금형 온도, 압축 속도, 사출 속도, 압축 갭, 수지의 충격 강도, 수지의 멜트 인덱스(MI)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factors affec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njection-compression-molded window cov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include mold temperature, compression speed, injection speed, compression gap,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melt index (MI) of the resin, etc. there is.

본 발명에서 금형 온도 조건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압축 코어, 게이트의 온도를 규정한다. 금형 온도는 사출재의 유동 상태 및 잔류 응력에 영향을 미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temperature condition defines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the lower mold, the compression core, and the gate. The mold temperature affects the flow state and residual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출재로서 PC를 사용하였으며, PC의 경우 금형 온도는 상하부 금형, 압축 코어, 게이트의 온도가 각각 70~95℃, 80~105℃, 20~40℃ 범위, 바람직하게는 80℃, 90℃, 30℃의 조건으로 사출 압축 성형할 수 있다. 상하부 금형, 압축 코어, 게이트의 온도가 각각 70℃, 80℃, 20℃보다 낮으면 사출재의 유동 저항이 커져 잔류 응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하부 금형, 압축 코어, 게이트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사출 압축 시 수지의 전단 응력 및 제품의 잔류 응력이 줄어들어 복굴절 특성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수지 유동 변화로 인해 압축 갭의 편차가 심해져 재현성이 좋지 않다. 특히, 상하부 금형 또는 압축 코어의 온도가 105℃ 이상이 되면, 금형 자체에도 무리가 가게 되며, 상하부 금형 또는 압축 코어가 손상되거나 스케일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는 항온 매질로서 물을 사용하는데, 물의 끓는점 때문에 100℃ 근처에서 금형 손상 및 스케일링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항온 매질이 1기압 대기 하에 놓여있지 않고 금형 안을 순회하기 때문에 105℃까지 큰 손상 없이 사출기를 작동하는데 무리가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물을 매질로 사용한 경우에 유효하며, 항온 매질로서 끓는점이 높은 매질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C was used as the injection material, and in the case of PC, the mold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70 to 95 ℃, 80 to 105 ℃, 20 to 40 ℃,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 compression core, and gate, preferably can be injection-compression-molded under the conditions of 80 ℃, 90 ℃, 30 ℃. If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compression core, and gate are lower than 70°C, 80°C, and 20°C, respec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and the residual stress in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compression cores, and gates increases, the shear stress of the resin and the residual stress of the product during injection compression are reduced, so that the birefringence property can be improved. .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or the compression core is 105° C. or higher, the mold itself may be too strained, 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or the compression core may be damaged or scaling may occur. In general, water is used as a constant temperature mediu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 but due to the boiling point of water, mold damage and scaling problems occur near 100°C.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operat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up to 105°C without major damage because the constant temperature medium was not placed under 1 atm pressure and circulated inside the mold. The above results are valid when water is used as a medium, and when a medium with a high boiling point is used as a constant temperature medium, the numerical value may be changed.

한편, 상하부 금형 내로 주입된 사출재는 압축 코어에 의해 압축되는데, 압축 코어의 압축면에 배치된 사출재는 상부 금형 내측에 배치된 사출재보다 큰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압축 코어측의 잔류 응력을 줄이기 위하여 압축 코어의 온도는 상부 금형의 온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부 금형과 압축 코어의 온도 차이는 최소 10℃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core, and the injection material disposed on the compression surface of the compression core receives a greater pressure than the injection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upper mol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residual stress on the compression cor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compression core can be at least 10℃ or more.

상하부 금형 온도와 압축 코어의 온도차이가 10℃ 이하가 되면,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burr), 실 버(burr)(실바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금형간에 열팽창율이 달라야 하는데, 압축 코어의 온도가 낮게 되면 금형의 팽창이 상/하측 대비 작아져 사출시 파팅라인의 압력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 실 버(burr)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 코어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생산이 지속되면, 압축 파팅 라인에 발생하는 버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에 버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금형 파팅 라인이 무너져 제품의 불량율이 커진다.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and the compression core is 10° C. or less, there is a problem that compression burrs and burrs (silver) are generated in the parting line. Specifically,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h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mold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lowered, the expansion of the mold becomes smaller compared to the upper/lower side, and the pressure of the parting line during injection is reduced. may occur. If production continues at a low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burrs ar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product produced by the burrs generated in the compression parting line, and the mold parting line collapses, increas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압축 속도는 압축 코어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규정하며, 압축 갭의 1/2 구간을 기준으로 1구간 및 2구간으로 나누어 2단으로 제어한다.The compression speed defines the speed at which the compression core moves, and is divided into 1 section and 2 sections based on 1/2 section of the compression gap and controlled in two stages.

1구간은 압축 코어가 상부 금형측으로 이동하는 전반 구간으로, 압축 코어의 초기 위치로부터 압축 갭의 1/2 지점까지를 의미한다. 2구간은 압축 코어가 상부 금형측으로 이동하는 후반 구간으로, 압축 갭의 1/2 지점부터 압축 코어가 최종 이동한 지점까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축 갭이 1mm인 경우, 압축 코어의 초기 위치를 0이라 한다면, 1구간은 0에서 -0.5mm까지의 구간, 2구간은 -0.5mm에서 -1mm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Section 1 is the first half sec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core moves toward the upper mold, and refers to a poin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mpression core to a point 1/2 of the compression gap. Section 2 is the second half section in which the compression core moves toward the upper mold side, and refers to the point from 1/2 of the compression gap to the point where the compression core finally moves. For example, when the compression gap is 1 mm, if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mpression core is 0, section 1 means a section from 0 to -0.5 mm, and section 2 means a section from -0.5 mm to -1 mm.

1구간에서의 압축 속도는 일정하며, 2구간에서의 압축 속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등가속도를 가질 수 있다. 2구간에서의 압축 속도는 1구간에서의 속도에 소정의 가속도가 부가될 수 있다. 2구간에서는 사출재에 압축 자국이 발생하여 사출재의 전단 응력이 증가하므로, 압축 속도를 증가시켜 사출재의 유동이 저하되기 전 압축을 수행한다.The compression speed in the first section is constant, and the compress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may have an equivalent acceleration that increases linearly. As for the compress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a predetermined acceleration may be added to the speed in the first section. In section 2, compression marks are generated in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shear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Therefore, the compression speed is increased to perform compression before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decrea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압축 속도는 1구간 1.8~2.2mm/s, 2구간에서는 가속도 1.8~2.2mm/s2, 바람직하게는1구간 2mm/s, 2구간에서는 가속도 2mm/s2으로 할 수 있다. 즉, 2구간에서의 속도는 1구간의 속도를 초기 속도로 하여 1.8~2.2mm/s2의 가속도를 갖는다. 1구간의 압축 속도가 1.8mm/s보다 낮으면 수지가 정체되어 고화층이 증가하고, 1구간의 압축 속도가 2.2mm/s보다 높으면 전단 응력이 증가하여 복굴절 성능이 나빠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speed is 1.8 to 2.2 mm/s in the first section, 1.8 to 2.2 mm/s 2 in the second section, preferably 2 mm/s in the first section, and 2 mm/s 2 in the second section. can That is, the speed in section 2 has an acceleration of 1.8 to 2.2 mm/s2 using the speed in section 1 as the initial speed. If the compression rate of the first section is lower than 1.8 mm/s, the resin stagnates and the solidified layer increases.

사출 속도는 사출재가 주입되는 속도로서, 단위 시간에 금형 내에 사출재가 충진되는 양을 의미한다. 사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사출재의 유동 거리가 증가한다.The injection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and means the amount of the injection material being filled in the mold per unit time. As the injection speed increases, the flow distanc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사출 속도는 스크류가 위치하는 지점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스트로크 구간을 나눠서 각각의 구간마다 사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출재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흐름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금형의 흐름 저항은 제팅(jetting),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weld line) 등의 성형품 표면 불량 현상을 초래한다. 흐름 저항은 금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금형의 형태에 따라 사출 속도가 제어되는 지점이 달라질 수 있다. 스트로크 구간은 노즐 선단 위치를 0mm로 하여 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스크류 선단의 위치에 따라 규정한다. 스트로크 구간은 금형의 형태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류 선단의 위치가 33~37mm, 23~27mm, 10~14mm, 5~9mm인 지점을 기준으로 스트로트 구간을 나눌 수 있다.The injection speed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where the screw is positioned. That is, the injection speed can be adjusted for each section by dividing the stroke section. In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the flow resistance of the mold may occur. The flow resistance of the mold causes surface defects such as jetting, flow marks, and weld lines. The flow res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ld, and the point at which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ld. The stroke section is def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crew t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with the nozzle tip position being 0 mm. The stroke section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ld.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트로크 구간을 스크류의 선단 위치(S)가 35mm, 25mm, 12mm, 7mm인 위치를 기준으로 4구간으로 나눴으며, 스크류가 노즐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구간 중 35~25mm인 지점을 1구간(S4-S3), 25~12mm인 지점을 2구간(S3-S2), 12~7mm인 지점을 3구간(S2-S1), 7~0mm인 지점을 4구간(S1-S0)으로 규정한다. 사출 속도는 1구간, 2구간, 3구간, 4구간에서 각각 제어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oke section is divided into 4 sections based on the positions where the tip positions (S) of the screw are 35mm, 25mm, 12mm, and 7mm, and 35~25mm of the section in which the screw moves toward the nozzle tip. 1 section (S 4 -S 3 ), 2 sections (S 3 -S 2 ) for the 25~12mm point, 3 section (S 2 -S 1 ) for the 12~7mm point, 4 the 7~0mm point It is defined as a section (S 1 -S 0 ).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in section 1, section 2, section 3, and section 4, respectively.

사출 속도는 1구간에서 40~50mm/s, 2구간에서 75~85mm/s, 3구간에서 75~85mm/s, 4구간에서 65~75mm/s, 바람직하게는 1구간에서 45mm/s, 2구간에서 80mm/s, 3구간에서 80mm/s, 4구간에서 70mm/s으로 하였다. 2구간 및 3구간의 속도가 복굴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2구간 및 3구간의 속도가 1구간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우 복굴절이 개선될 수 있다. The injection speed is 40-50 mm/s in section 1, 75-85 mm/s in section 2, 75-85 mm/s in section 3, 65-75 mm/s in section 4, preferably 45 mm/s in section 1, 2 80 mm/s in section 3, 80 mm/s in section 3, and 70 mm/s in section 4. The speed of sections 2 and 3 has a large effect on birefringence, and when the speed of sections 2 and 3 increases compared to section 1, the birefringence can be improved.

압축 갭은 압축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압축 갭에 따라 사출재 정체 시점에 영향을 받는다. 압축 갭이 작아질수록 전체적인 응력 전달이 빨라져 전면적의 리타데이션 값이 증가한다. 압축 갭이 커질수록 충진 후 응력 완화 및 고화층에 기인한 응력 증가가 함께 발생하여 리타데이션이 압축 위치 부위에 집중하여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 갭은 0.8~1.2mm, 바람직하게는 1mm이다. 압축 갭이 0.8mm 미만일 때 응력 전달이 빨라져 복굴절 특성이 나빠지고,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burr)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 갭이 1.2mm 이상일 때는 사출재가 정체하여 압축 자국이 발생할 수 있다. 압축 갭은 윈도우 커버의 두께의 40~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gap refers to the compression distance, and depending on the compression gap, the injection material stagnation time is affected. The smaller the compression gap, the faster the overall stress transfer,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entire area. As the compression gap increases, stress relaxation after filling and an increase in stress due to the solidified layer occur together, and retardation is concentrated in the compression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ion gap is 0.8 to 1.2 mm, preferably 1 mm. When the compression gap is less than 0.8 mm, the stress transfer is accelerated, the birefringence property deteriorates, and a compression burr may occur in the parting line. When the compression gap is 1.2mm or more, the injection material may stagnate and compression marks may occur. The compression gap is preferably set to 40-50% of the thickness of the window cover.

압축력은 사출재 주입 후 압축력 작용하여 충전되지 않은 부분에 사출재가 유동하여 채워지도록 한다. 또한, 사출재의 수축량을 감안하여 사출재를 압축함으로써 성형 후 발생하는 수축에 의한 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force acts as a compressive force after inj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so that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and fills the unfilled area. In addition, by compressing the injection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shrinkage of the injection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tress caused by the contraction after molding.

리타데이션(Retardation)이란 윈도우 커버를 통과하는 편광 요소 간의 위상차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 및 입사각 45˚ 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 값을 측정한다. 리타데이션 편차값이란 입사각에 따른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를 의미한다.Retardation refers to a phase difference between polarization elements passing through a window c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ne-side retardation value and a retardation value at an incident angle of 45° are measured.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means a difference in the retardation value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한편, 결점이 적고 리타데이션이 저감된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출소재의 조건을 규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nufacture a window cover with few defects and reduced retardation, conditions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prescribed.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재로서 투명한 소재인 PC 또는 PMMA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후 변형 방지를 위하여 열변형 온도(HDT, Heat Deflection Temperature)가 120℃ 이상의 내열성을 만족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 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현되는 영상을 투과시키므로 충격에 강하면서도 결점이 적고 복굴절 성능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As an injection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a PC or PMMA material, which is a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resin having a 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 that satisfies heat resistance of 120° C. or higher in order to prevent post-deformation in order to be us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cover protects the display panel and transmits an image implemented on the display panel, it is required to be strong in impact, have fewer defects, and have excellent birefringence performance.

금형 내에 사출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530)를 통하여 실린더(1510) 내부로 수지 입자가 공급된다. 수지는 펠렛(pellet) 상태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되는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수지의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투입되는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은 2~3mm 일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수지가 호퍼(1530)를 통하여 정량만큼 실린더(1510) 내로 유입되고, 실린더(1510) 내에서 용융되어 노즐에 의해 분사된다. In order to supply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mold, as shown in FIG. 22 , the resin particles are supplied into the cylinder 1510 through the hopper 1530 . The resin may be a resin in a pellet state.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product to be manufactured, the amount of the resin may be adjust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jected resin particles may be 2-3 mm. The resin in the form of pellets flows into the cylinder 1510 by a fixed amount through the hopper 1530, melts in the cylinder 1510, and is sprayed by a nozzle.

실린더(1510) 내부에는 실린더(1510)와 동축으로 스크류(1520)가 위치하며, 실린더(1510) 내부를 가온할 수 있는 가온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가온 장치에 의해 실린더 내의 수지 입자가 용융되며, 스크류(1520)의 회전에 의해 용융된 사출재가 노즐 선단 측으로 전진한다. 실린더(1510)의 온도는 사출재의 유동성에 큰 영향을 주므로 성형 중에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사출 실린더(1540) 및 유압 모터(1550)는 스크류(1520)를 전진시키고 사출압력, 사출속도, 배압을 발생시킨다.A screw 1520 is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cylinder 1510 inside the cylinder 1510 , and a heat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heat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1510 is provided. The resin particles in the cylinder are melted by the heating device, and the melted injection material advances toward the tip of the nozzle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1520 .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cylinder 1510 greatly affects the fluidity of the injection material, it is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during molding. The injection cylinder 1540 and the hydraulic motor 1550 advance the screw 1520 and generate injection pressure, injection speed, and back pressure.

사출기에 사출재의 원료인 수지를 투입함에 있어, 수지의 가공 과정이나 이송 과정에서 마찰, 충격 등에 의해 분진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수지의 충격 강도가 낮은 경우 생성되는 분진의 양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분진은 미세한 수지 분말, 칩 형태의 미세 조각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진은 사출재와 함께 금형 내로 유입돼 가공되는 과정에서 탄화될 수 있으며,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표면 결점, 미세 균열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When the resin, which is a raw material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ut into the injection machine, dust may be generated due to friction, impact, etc. during the processing or transport of the resin. In particular, when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generated dust increases. The dust may have the form of fine resin powder, fine chips in the form of chips, or the like.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ld together with the injection material and carbonized during processing, and may cause problems such as surface defects and microcracks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양호한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분진의 양은 사출재 25kg 당 120ppm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25kg당 100ppm 이하로 발생하는 것이 좋다. 수지의 가공 과정 또는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25kg당 100ppm 이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충격 강도가 50~60kJ/m2 일 것, 바람직하게는 55kJ/m2 일 것이 요구된다. 충격 강도가 50kJ/m2 이하인 경우 분진 발생량이 많아져 표면에 결점이 생기는 등 최종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PC의 경우 충격 강도가 60kJ/m2 를 넘기가 어렵고, 충격 강도를 높이기 위해 PC에 유리 섬유 등의 필러를 첨가하는 경우 제조품의 투명도가 저하되어 광학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로서 PC를 사용하였으며, 수지의 충격 강도는 ISO 179 표준에 따라 23℃에서 3mm 두께의 시편에 노치(Notched)를 내어 측정하였다.In order to manufacture a good window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s 120 ppm or less per 25 kg of injection material, preferably 100 ppm or less per 25 kg. In order to satisfy 100ppm or less of 100ppm per 25kg of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or transporting the resin, it is required that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be 50-60kJ/m 2 , preferably 55kJ/m 2 . When the impact strength is 50 kJ/m 2 or less,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ncreases and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is deteriorated, such as defects on the surface. In the case of PC, it is difficult to have an impact strength exceeding 60 kJ/m 2 , and when a filler such as glass fiber is added to the PC to increase the impact strength, the transparency of the manufactured product is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for optics. In this example, PC was used as the resin,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was measured by making a notch in a 3 mm thick specimen at 23° C. according to the ISO 179 standard.

한편, 결점을 저감하고 복굴절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멜트 인덱스(MI, Melt Index) 값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멜트 인덱스란 특정 수지별로 규정된 부하와 온도에서 열가소성 고분자 용융물을 피스톤에서 압출하였을 때의 유량으로, 용융물의 흐름의 용이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분자량과 관계가 있다. 분자량이 높을수록 멜트 인덱스는 낮은 값을 갖는다.Meanwhile, it is important to adjust a melt index (MI) value in order to reduce defects and improve birefringence performance. The melt index is the flow rate when the thermoplastic polymer melt is extruded from the piston at the load and temperature specified for each specific resin, and is an index indicating the ease of flow of the melt and is related to the molecular weight. The higher the molecular weight, the lower the melt index.

멜트 인덱스(MI)는 수지가 녹는점(Tm) 이상에서 충분히 녹은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밀어낼 때 나오는 양을 측정함으로서 값을 측정하게 된다. 10분동안 흘러나온 시료의 무게 또는 부피로 계산하며, 단위는 g/10min 또는 cm3/10min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로서 PC를 사용하였으며, 멜트 인덱스는 MI측정기로 측정하였다.The melt index (MI)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released when the resin is pushed out at a constant speed in a sufficiently melted state above the melting point (Tm). It is calculated as the weight or volume of the sample flowed out over 10 minutes, and the unit is g/10min or cm 3 /10min. In this example, PC was used as the resin, and the melt index was measured with an MI measuring device.

멜트 인덱스가 낮으면 유동성이 좋지 않아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 성능이 저하된다. 멜트 인덱스가 높으면 복굴절 성능이 좋으나, 유동성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최종 제품의 무게가 달라지면서 사출 재현성이 좋지 않게 된다. If the melt index is low, the fluidity is poor, and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is deteriorated. If the melt index is high,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s good, but if the fluidity is excessively high, the weight of the final product changes and the injection reproducibility is not good.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수지의 MI값은 300℃에서 30~50cm3/10min, 바람직하게는 35cm3/10min이다. 멜트 인덱스가 30 cm3/10min 미만인 경우 리타데이션 값은 정면기준 100nm 이상, 45˚ 기준 300nm 이상의 값을 가져 복굴절 성능이 좋지 않다. MI값이 50 cm3/10min을 초과하는 경우, 사출 재현성이 나쁘고, 유동성이 높아서 체크링 변경이 필요하며, 사출 조건 변경이 제한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MI값이 높은 경우, 충격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MI값이 높다는 것은 수지가 저분자량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저분자량의 수지는 가공성은 좋아지지만 강성 및 내응력이 저감되어, 신뢰성 테스트 시 가늘게 금이 생기는 크레이징의 원인이 될 수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 value of the resin is 30-50 cm 3 /10 min at 300° C., preferably 35 cm 3 /10 min. When the melt index is less than 30 cm 3 /10min, the retardation value has a value of 100 nm or more based on the front surface and 300 nm or more based on 45°, so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s not good. When the MI value exceeds 50 cm 3 /10min, injection reproducibility is poor, fluidity is high, so a check ring change is required, and the injection condition change is limited. In addition, in general, when the MI value is high, since the impact strength is low, the possibility of dust generation is high. A high MI value means that the resin has a low molecular weight. A low molecular weight resin improves workability, but reduces rigidity and stress resistance, which may cause crazing, resulting in fine cracks during reliability testing.

리타데이션 값에 대한 각각의 압축 인자값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살펴본다.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each compression factor value with respect to the retardation value will be described.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사출 압축 윈도우 커버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금형 온도, 압축 속도, 사출 속도, 압축 갭, 수지의 충격 강도, 수지의 멜트 인덱스(MI) 등이다. 이러한 압축 인자에 대하여 각 인자별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 인자별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차수에 따라 비교 대상 인자를 제외한 조건은 상이할 수 있다. 각 실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교 대상 인자 조건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해당 압축 인자의 최적 값을 도출하였다. 사출재로서 PC(Teijin사 L1225 ZL 100M)를 사용하였고, 필름은 PC/PMMA의 2Layer 시트를 사용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factors affec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njection compression window cover are mold temperature, compression speed, injection speed, compression gap,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melt index (MI) of the resin, and the like.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ach factor with respect to these compression factors,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factor. Conditions excluding factors for comparis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the comparison target factor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pplied differently to derive the optimum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mpression factor. PC (L1225 ZL 100M by Teijin Corporation) was used as an injection material, and a 2-layer sheet of PC/PMMA was used for the film.

<금형 온도><Mold Temperature>

압축 인자 중 금형 온도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we look at the optimum value for the mold temperature.

사출 온도 300℃,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유지시간은 3초, 형체력 250ton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 금형 온도는 상하부 금형, 엘리먼트 코어, 게이트의 온도를 나타낸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300°C, compression time of V/P switching point, compression holding time of 3 seconds, and clamping force of 250 tons. The mold temperature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element core, and gate.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금형 온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mold temperature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금형 온도mold temperature 실시예 1Example 1 95/105/3095/105/30 실시예 2Example 2 80/90/3080/90/3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70/80/3070/80/3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10/120/30110/120/30

각각의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에 대하여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을 실시하였다.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은 각각 복굴절 확인 장치 및 복굴절 측정기 WPA-200를 이용하였다. 육안 평가의 경우 Levy chart 기준 육안상 최대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육안 측정시 광원은 200~500lux의 면광원을 0.3~1m 이격시킨 후 측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00lux의 면광원을 0.3m 이격하여 측정하였다. 리타데이션값의 경우 특정 면적에 대한 Average 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value were performed o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each condition. 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retardation values were performed using a birefringence checking device and a birefringence measuring instrument WPA-200, respectively. In the case of visual evaluation, the evaluation was made based on the maximum value visually based on the Levy chart. In the case of visual measurement, the light source was measured after a 200-500 lux surface light source was spaced 0.3 to 1 m apart, and in this example, a 300 lux surface light source was 0.3 m apart. and measured. The retardation value was evalua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for a specific area.

금형 온도mold temperature 육안 평가Visual evaluation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Planar-side retardation value (nm) 45˚측 리타데이션 값(nm)45˚ side retardation value (nm) 리타데이션 편차값(nm, 평면측/45˚측)Retardation deviation value (nm, flat side/45˚ side) 실시예 1Examp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4545 200200 12/5912/59 실시예 2Examp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5050 270270 13/6213/62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9797 411411 19/9919/99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6868 285285 17/6717/67

금형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축 사출 시 수지의 전단 응력 및 윈도우 커버의 잔류 응력이 줄어들어 복굴절 성능이 향상되고 리타데이션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은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45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00nm로 가장 우수한 복굴절 성능을 보였다. 실시예 2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50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70nm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2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68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85nm로, 금형의 온도(℃)가 각각 70/80/30인 비교예 1의 리타데이션 값(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97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411nm)과 비교하여 우수한 복굴절 성능을 보였으나, 수지 유동 변화로 인해 압축 갭의 편차가 심해져 재현성이 좋지 않았다. 압축 코어는 유압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금형 온도가 105℃ 이상일 경우 금형 내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금형이 팽창하면 금형 내 유압에도 영향을 미쳐, 실제 압축 시작시 압축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편차가 발생하며, 이 차이로 인하여 제품의 재현성이 좋지 않다. 이에 따라 최종 제품에서 질량 차이에 의한 치수 차이가 발생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와 압축 코어의 온도가 105℃가 넘어감에 따라 금형이 손상될 우려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As the mold temperature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ar stress of the resin and the residual stress of the window cover decreased during compression injection, thereby improving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and decreasing the retardation value. Example 1 showed the best birefringence performance with a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45 nm and a 45°-side retardation value of 200 nm.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Example 2 was measured to be 50 nm,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was measured to be 270 nm. The retardation value on the plane side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68 nm, the retardation value on the 45° side was 285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plane side retardation value was The retardation values on the 97nm and 45˚ side showed excellent birefringence performance compared to 411nm), but the variation in the compression gap increased due to the change in resin flow, resulting in poor reproducibility. The compression core is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If the mold temperature is higher than 105℃, when the mold expands as the mold temperature rises, it also affects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mold.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product is not good due to this difference. As a result, dimensional differences due to mass differences occurred in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exceed 105° C., the mold may be damaged, which is not preferable.

따라서 금형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재현성이 저하되는 것을 고려할 때, 실시예2의 금형 온도 조건인 80/90/30℃가 바람직하다.Therefore, considering that reproducibility is reduc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old is increased, the mold temperature condition of Example 2, 80/90/30°C, is preferable.

<압축 속도><Compression speed>

압축 인자 중 압축 속도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the optimum value for the compression speed is examined.

사출 온도 300℃,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유지시간은 9초, 형체력250ton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 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injection temperature of 300°C, compression time of V/P switching point, compression holding time of 9 seconds, and clamping force of 250 tons.

압축 속도는 2단계로 계단식으로 제어하였으며, 압축 갭의 1/2 구간까지는 일정한 속도로, 압축 갭의 1/2 구간 이후에 압축 속도는 리니어하게 증가한다. The compression speed was controlled in two steps in a stepwise fashion, and the compression speed increased linearly until the 1/2 section of the compression gap was a constant speed, and after the 1/2 section of the compression gap.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압축 속도 조건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compression rate conditions and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2구간 속도(mm/s2)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 45˚측 리타데이션 값(nm)/ 리타데이션 값의
편차)
2 division speed (mm/s 2 )
(Plane side retardation value (nm)/ 45˚ side retardation value (nm)/ of retardation value
Deviation)
1One 22 33 44 1구간 속도
(mm/s)
1 division speed
(mm/s)
1One

Figure pat00005

98/425/99

Figure pat00005

98/425/99

Figure pat00006

68/338/69
Figure pat00006

68/338/69
Figure pat00007

75/368/73
Figure pat00007

75/368/73
Figure pat00008

78/372/70
Figure pat00008

78/372/70
22
Figure pat00009

67/342/70

Figure pat00009

67/342/70

Figure pat00010

55/327/75
Figure pat00010

55/327/75
Figure pat00011

72/367/73
Figure pat00011

72/367/73
Figure pat00012

79/382/88
Figure pat00012

79/382/88
44
Figure pat00013

69/345/71

Figure pat00013

69/345/71

Figure pat00014

70/346/70
Figure pat00014

70/346/70
Figure pat00015

72/365/86
Figure pat00015

72/365/86
Figure pat00016

73/363/84
Figure pat00016

73/363/84
88
Figure pat00017

70/350/68

Figure pat00017

70/350/68

Figure pat00018

72/357/67
Figure pat00018

72/357/67
Figure pat00019

77/369/77
Figure pat00019

77/369/77
Figure pat00020

81/385/86
Figure pat00020

81/385/86

1구간의 속도가 1mm/s인 비교예의 경우, 압축 자국이 심하며, 이는 초기 속도가 낮음으로 인해 수지가 정체되었기 때문이다. 2구간의 속도가 큰 경우, 압축 속도가 높아 전단 응력이 증가하여 복굴절 특성이 악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speed of section 1 is 1 mm/s, the compression marks are severe, which is because the resin stagnated due to the low initial speed.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section is larg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ression rate is high and the shear stress is increased, thereby deteriorating the birefringence property.

1구간 및 2구간의 압축 속도가 2-2mm/s일 때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55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327nm으로 최적의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압축 속도 조건의 최적값은 1구간에서 2mm/s, 2구간에서 가속도 2mm/s2이다.When the compression speed of section 1 and section 2 is 2-2 mm/s, it can be seen that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is 55 nm,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is 327 nm, which has an optimal value. That is, the optimum value of the compression speed condition is 2 mm/s in section 1 and acceleration 2 mm/s 2 in section 2.

<사출 속도> <Injection speed>

압축 인자 중 사출 속도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we look at the optimum value for the injection speed.

사출 온도 290℃,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유지시간은 9초, 형체력 250ton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90°C, compression time of V/P switching point, compression holding time of 9 seconds, and clamping force of 250 tons.

사출 속도는 구간 별로 속도 프로파일이 상이하며, 4구간으로 나누어 속도를 조절하였다. 사출 속도는 스트로크 위치가 35mm, 25mm, 12mm, 7mm인 위치를 기준으로 제어된다. The injection speed had a different speed profile for each section, and the speed was controlled by dividing it into 4 sections.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based on the stroke positions of 35mm, 25mm, 12mm and 7mm.

2구간 및 3구간에서의 사출 속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구간을 제외한 타 구간의 사출 속도를 동일 조건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제작하였다. 1구간 및 4구간은 사출재가 토출되기 시작하는 시점 및 토출되는 마지막 구간으로 복굴절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제외하였다.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the injection speed in sections 2 and 3, a window cover was manufac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injection speed in other sections except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 Sections 1 and 4 were excluded because the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as they wer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started to be discharged and the last section where it was discharged.

비교예 1 내지 6의 사출 속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Injection speed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6 are as follows.

사출 속도(mm/s)Injection speed (mm/s) 1구간1 section 2구간Section 2 3구간Section 3 4구간4 section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20 2020 6060 808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020 4040 6060 808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020 6060 6060 8080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010 2020 2020 6060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1010 2020 4040 6060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010 2020 6060 6060

각각의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에 대하여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을 실시하였다.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value were performed for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each condition.

육안 평가Visual evaluation 2구간의 속도 변화 비교(20/40/60)Comparison of speed change in 2 sections (20/40/60) 비교예 1

Figure pat00021

378Comparative Example 1
Figure pat00021

378 비교예 2
Figure pat00022

382
Comparative Example 2
Figure pat00022

382
비교예 3
Figure pat00023

376
Comparative Example 3
Figure pat00023

376
3구간의 속도 변화(20/40/60)Speed change in 3 sections (20/40/60) 비교예 4
Figure pat00024

386
Comparative Example 4
Figure pat00024

386
비교예 5
Figure pat00025

364
Comparative Example 5
Figure pat00025

364
비교예 6
Figure pat00026

356
Comparative Example 6
Figure pat00026

356

2구간의 속도가 변화하는 것에 따른 복굴절 성능의 변화 폭은 4~6nm로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구간에서는 속도에 따른 복굴절 성능의 변화의 폭이 8~20nm로, 속도가 커질수록 복굴절 성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부 속도가 빠를수록 사출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압축시 응력 제어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width of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in the second section was small, 4 to 6 nm. In section 3, the width of the change in birefringe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eed is 8 to 20 nm,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s better as the speed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peed of the central part, the greater the influence on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greater the stress control during compression.

3구간 및 4구간에서의 속도에 따른 복굴절 성능을 비교하였다.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eed in sections 3 and 4 was compared.

사출 속도injection speed 1구간
(mm/s)
1 section
(mm/s)
2구간
(mm/s)
Section 2
(mm/s)
3구간
(mm/s)
Section 3
(mm/s)
4구간
(mm/s)
4 sections
(mm/s)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 45˚측 리타데이션 값(nm)/리타데이션 값의 편차Planar retardation value (nm) / 45˚ retardation value (nm) / Deviation of retardation value
실시예Example 4545 8080 8080 7070

Figure pat00027

55/280/68
Figure pat00027

55/280/68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4040 6060 6060 6060
Figure pat00028

64/354/73
Figure pat00028

64/354/73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2020 6060 6060 2020
Figure pat00029

63/356/75
Figure pat00029

63/356/7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020 4040 4040 4040
Figure pat00030

85/423/98
Figure pat00030

85/423/98

사출 속도는 1구간에서 45mm/s, 2구간에서 80mm/s, 3구간에서 80mm/s, 4구간에서 70mm/s인 경우,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55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80nm으로 최적의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injection speed is 45mm/s in section 1, 80mm/s in section 2, 80mm/s in section 3, and 70mm/s in section 4, the flat-side retardation value is 55nm and the 45˚ side retardation value is 280nm.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an optimal value.

<압축 갭><compression gap>

압축 인자 중 압축 갭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the optimum value for the compression gap is examined.

사출 온도 300℃,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유지시간은 3초, 형체력 250ton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300°C, compression time of V/P switching point, compression holding time of 3 seconds, and clamping force of 250 tons.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압축 갭은 다음과 같다.The compression gap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압축 갭(mm)Compression gap (m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20.2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50.5 실시예Example 1One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1.51.5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22

각각의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에 대하여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을 실시하였다.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value were performed o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each condition.

압축 갭compression gap 육안 평가Visual evaluation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Planar-side retardation value (nm) 45˚측 리타데이션 값(nm)45˚ side retardation value (nm) 리타데이션 편차값(nm)Retardation deviation value (n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1
310310 328328 7979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2
290290 301301 7777
실시예Example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3
276276 290290 6565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4
357357 398398 8989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5
400400 412412 9797

압축 갭이 1mm일 때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276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90nm으로 복굴절 성능이 가장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When the compression gap was 1 mm,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was 276 nm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was 290 nm, confirming the best birefringence performance.

충격 강도와 멜트 인덱스값의 적절한 범위를 도출하기 위해 충격 강도와 멜트 인덱스값에 대한 다음의 실험 결과를 살펴본다.In order to derive an appropriate range of impact strength and melt index values, look at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for impact strength and melt index values.

MI(cm3/10min)
충격강도
(kJ/m2)
MI (cm 3 /10 min)
impact strength
(kJ/m 2 )

50 초과

over 50

30~50

30-50

30 미만

less than 30
50~6050 to 60 복굴절 : OK
사출재현성 : NG
외관 : OK
Birefringence: OK
Injection reproducibility: NG
Appearance: OK
복굴절 : OK
사출재현성 : OK
외관 : OK
Birefringence: OK
Injection reproducibility: OK
Appearance: OK
복굴절 : NG
사출재현성 : OK
외관 : OK
Birefringence: NG
Injection reproducibility: OK
Appearance: OK
50 미만less than 50 복굴절 : OK
사출재현성 : NG
외관 : NG
Birefringence: OK
Injection reproducibility: NG
Appearance: NG
복굴절 : OK
사출재현성 : OK
외관 : NG
Birefringence: OK
Injection reproducibility: OK
Appearance: NG
복굴절 : NG
사출재현성 : OK
외관 : NG
Birefringence: NG
Injection reproducibility: OK
Appearance: NG

PC의 경우 충격강도가 60 kJ/m2 를 넘기 어려우며, 수지의 충격강도가 60 kJ/m2 을 초과하기 위해서는 PC에 유리 섬유 등의 필러를 첨가해야 한다. 이 경우 제조품의 투명도가 저하되어 광학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충격 강도가60 kJ/m2 을 초과하는 범위는 제외한다.In the case of PC, the impact strength is difficult to exceed 60 kJ/m 2 , and in order for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to exceed 60 kJ/m 2 , a filler such as glass fiber must be added to the PC. In this case, since the transparency of the manufactured product is reduced and cannot be used for optical purposes, the range where the impact strength exceeds 60 kJ/m 2 is excluded.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50 cm3/10min을 초과하면서, 충격 강도가 50~60 kJ/m2인 범위에서는, 수지의 유동성이 높고 충격 강도가 높아 복굴절 성능이 좋고 외관이 양호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사출 재현성이 좋지 않다. 이에 반해,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30 cm3/10min미만이면서, 충격 강도가 50~60 kJ/m2인 범위에서는, 수지의 유동성이 낮고 충격 강도가 높아 사출 재현성이 좋고 외관이 양호하지만, 유동성 저하로 인해 잔류 응력이 커져 복굴절 성능이 좋지 않다. In the range where the melt index of the resin exceeds 50 cm 3 /10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50 to 60 kJ/m 2 , the resin has high fluidity and high impact strength, so it has good birefringence performance and good appearance, but with excessively high fluidity. As a result, injection reproducibility is not goo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lt index of the resin is less than 30 cm 3 /10 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50 to 60 kJ/m 2 , the resin has low fluidity and high impact strength, so injection reproducibility and appearance are good, but fluidity is reduced As a result, the residual stress increases and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s not good.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30~50 cm3/10min이면서, 충격 강도가 50~60 kJ/m2인 범위에서는, 충격 강도가 높으면서도 유동성이 높아 제품의 외관이 양호하고 사출 재현성 및 복굴절 성능이 좋다. The melt index of the resin is 30-50 cm 3 /10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50-60 kJ/m 2 In the range, the impact strength is high and fluidity is high, so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good, injection reproducibility and birefringence performance are good.

다음으로, 수지의 충격 강도가 50kJ/m2미만인 범위에서는 분진이 다량 발생하여 제품의 외관이 좋지 않다.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50 cm3/10min을 초과하면서 충격 강도가 50kJ/m2미만인 범위에서는, 수지의 유동성은 좋으나 충격 강도가 낮아, 복굴절 성능은 좋지만 사출 재현성이 좋지 않고 외관에 결점이 발생한다. Next, in the range where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is less than 50 kJ/m 2 ,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and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not good. In the range where the melt index of the resin exceeds 50 cm 3 /10 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less than 50 kJ/m 2 , the resin has good fluidity but low impact strength, good birefringence performance, but poor injection reproducibility and defects in appearance.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30~50 cm3/10min이면서 충격 강도가 50 kJ/m2미만인 범위에서는 유동성은 좋으나 충격 강도가 낮음에 따라, 사출 재현성 및 복굴절 성능은 좋지만 제품의 외관이 좋지 않게 된다. In the range where the melt index of the resin is 30-50 cm 3 /10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less than 50 kJ/m 2 , the fluidity is good but the impact strength is low.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30 cm3/10min미만이면서, 충격 강도가 50 kJ/m2미만인 범위에서는, 수지의 유동성이 낮고 충격 강도도 낮아, 사출 재현성은 좋지만, 유동성 저하로 인해 잔류 응력이 커져 복굴절 성능이 좋지 않고 제품의 외관 역시 좋지 않다.In the range where the melt index of the resin is less than 30 cm 3 /10 min and the impact strength is less than 50 kJ/m 2 , the resin has low fluidity and low impact strength, so injection reproducibility is good, but residual stress increases due to fluidity deterioration and birefringence performance This is not good, and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also not good.

한편, 상술한 범위는 수지가 PC인 경우의 수치로서, PMMA 등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충격 강도 및 멜트 인덱스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ranges are values when the resin is PC, and when other materials such as PMMA are used, the ranges of desirable impact strength and melt index may vary.

상술한 범위를 바탕으로, 수지의 MI 값 및 충격 강도 값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살펴본다. Based on the above-described range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the MI value and impact strength value of the resi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사출 압축 윈도우 커버의 결점 저감 및 복굴절 등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지의 MI 값 및 충격 강도 값을 규정한다. 수지의 MI 값 및 충격 강도 값에 대하여 각 인자별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 인자별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차수에 따라 비교 대상 인자를 제외한 조건은 상이할 수 있다. 각 실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교 대상 인자 조건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해당 압축 인자의 최적 값을 도출하였다. 사출재로서 PC(Teijin사 L1225 ZL 100M)를 사용하였고, 필름은 PC/PMMA의 2Layer 시트를 사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stipulates the MI value and impact strength value of the resin in order to reduce defects of the injection-compressed window cover and improve optical properties such as birefringenc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ach factor with respect to the MI value and impact strength value of the resin,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factor. Conditions excluding factors for comparis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the comparison target factor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pplied differently to derive the optimum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mpression factor. PC (L1225 ZL 100M by Teijin Corporation) was used as an injection material, and a 2-layer sheet of PC/PMMA was used for the film.

압축 인자 중 수지의 MI 값 및 충격 강도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the optimum values for the MI value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will be examined.

사출재 온도 300℃, 사출압 800~1500bar, 상하부 금형의 온도는 80℃, 압축 코어의 온도는 90℃,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유지시간은 9초, 형체력 250ton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300℃, the injection pressure is 800~1500bar,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80℃,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90℃, the compression point is the V/P switching point,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is 9 seconds, the clamping force is 250ton was molded.

실시예 및 비교예의 MI 값 및 충격 강도 값은 다음과 같다.MI values and impact strength valu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MI (cm3/10min)MI (cm 3 /10 min) 충격 강도 (kJ/m2)Impact strength (kJ/m 2 ) 실시예Example 3535 5555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424 3535

각각의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에 대하여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을 실시하였다. 육안 평가 및 리타데이션 값 측정은 각각 복굴절 확인 장치 및 복굴절 측정기 WPA-200를 이용하였다. 육안 평가의 경우 Levy chart 기준 육안상 최대값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리타데이션값의 경우 특정 면적에 대한 Average 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value were performed o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each condition. Visual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retardation values were performed using a birefringence checking device and a birefringence measuring instrument WPA-200, respectively. In the case of visual evaluation, the visual maximum value was evaluated based on the Levy chart, and the retardation value was evalua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for a specific area.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Planar-side retardation value (nm) 45˚측 리타데이션 값(nm)45˚ side retardation value (nm) 실시예Example

Figure pat00036

66
Figure pat00036

66
Figure pat00037

270
Figure pat00037

270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Figure pat00038

142
Figure pat00038

142
Figure pat00039

477
Figure pat00039

477

멜트 인덱스가 35cm3/10min(300℃)이고, 충격 강도 값이 55kJ/m2인 경우(실시예), 육안으로 볼 때도 외관이 양호하고 복굴절 양상도 좋았으며,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66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270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n the melt index was 35 cm 3 /10 min (300 ° C) and the impact strength value was 55 kJ/m 2 (Example), the appearance was good and the birefringence pattern was also good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was 66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45˚ side retardation value was 270 nm.

멜트 인덱스가 24cm3/10min(300℃)이고, 충격 강도 값이 35kJ/m2인 경우(비교예), 육안으로 볼 때 밝은 색의 무늬 및 무지개색의 무늬가 발생하였고, 중앙 하단 부분에 검은 색의 결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리타데이션 값은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이 142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은 477nm로 높게 측정되었다. 멜트 인덱스가 낮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좋지 않아 잔류 응력이 크고, 이에 따라 복굴절 성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낮은 충격 강도로 인해 분진이 많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When the melt index was 24 cm 3 /10min (300° C.) and the impact strength value was 35 kJ/m 2 (comparative example), a bright color pattern and a rainbow color pattern occurred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and a black color at the lower center par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fects of In addition, as for the retardation value,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was 142 nm,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was measured as high as 477 nm.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melt index is low, the fluidity of the resin is not good and the residual stress is large, and thus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lot of dust is generated due to the low impact strength, which deteriorates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roduct.

상기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는 금형 온도는 80/90/30℃, 압축 갭은 1mm, 압축 시점은 V/P 절환점, 압축 속도는 2-2mm/s, 사출 속도는 45-80-80-70mm/s, 압축 유지시간은 3초, 사출재의 멜트 인덱스가 35cm3/10min(300℃), 충격 강도 값이 55kJ/m2 일 때 리타데이션 값이 최소화된다.As a result,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ld temperature of 80/90/30℃, a compression gap of 1mm, a V/P switching point at the compression point, a compression speed of 2-2mm/s, and injection The retardation value is minimized when the speed is 45-80-80-70mm/s,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is 3 seconds, the melt index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35cm 3 /10min (300℃), and the impact strength value is 55kJ/m 2 .

상기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평균값은 평면에서 50nm 이하이며, 45˚ 각도에서 270nm 이하이다.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is 50 nm or less in a plane and 270 nm or less at a 45° angle.

복수 개의 압축 인자는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자를 상호 조절하여 복굴절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갭이 커지는 경우 수지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compression factors may influence each other, and birefringence may be alleviated by mutual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factors. For example, when the compression gap becomes large, the compression rate can be increased to prevent the resin from stagnation.

사출 압축 성형의 최적 조건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사출재의 소재가 PC일 경우의 조건을 나타낸다.The optimal conditions f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how the conditions when the material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C.

도 23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윈도우 커버에 휨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는 평탄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nding phenomenon occurs in the window cov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nd FIG. 24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for measuring flatness

한편, 압축 인자 중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이는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평탄도에 영향을 미친다.Meanwhi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mong the compression factors affects the flatness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윈도우 커버(1000')는 인서트 필름(200)을 상부 금형에 거치하고, 금형 내로 사출재를 주입한 후, 압축 코어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사출재는 인서트 필름(200)과 일체로 결합하여 베이스층(100)을 형성한다. 금형 내에 주입되는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이다. 사출재의 온도가 낮을수록 열전달량 편차는 작아지며, 사출재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 사출재는 가압 단계 이후에 냉각되면서 베이스층(100)을 형성한다. 하지만, 사출재는 두께 방향으로 냉각 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인서트 필름(200)이 단열 작용을 하면서, 베이스층(100)의 상부에서는 사출재가 서서히 냉각되고, 하부 금형 측에 배치된 베이스층(100)의 하부에서는 사출재가 더 빨리 냉각된다. 즉, 베이스층(100)의 두께 방향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의 온도 구배는 하부의 온도 구배보다 작다. 즉, 상부의 열 전달률은 하부의 열 전달률보다 작다. 이러한 사출재의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윈도우 커버(1000')는 인서트 필름(200) 쪽이 볼록하도록 휘게 된다. 인서트 필름(200) 반대측이 먼저 경화되면서 수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윈도우 커버가 냉각 과정에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층의 상하부의 열전달율을 비슷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여 베이스층의 상하부 열전달율의 차이를 저감시킨다.The window cover 1000 ′ is formed by mounting the insert film 200 on an upper mold, injecting an injection material into the mold, and then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The injection material is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insert film 200 to form the base layer 100 .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mold is 270~320℃.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smaller the heat transfer amount devi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preferably 280°C. The injection material forms the base layer 100 while cooling after the pressing step. However, the injection material has a difference in cooling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ile the insert film 200 acts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gradually coo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layer 100 , and the injection material is cooled fast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layer 100 disposed on the lower mold side. That is, based on the middle poi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layer 100 , the upper temperature gradient is smaller than the lower temperature gradient. That is,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upper part is smaller tha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lower par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oling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window cover 1000 ′ is bent so that the insert film 200 is convex. This is because the insert film 200 is shrunk while the opposite side is cured firs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window cover from being bent during the cool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heat transfer rate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layer simi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eat transfer rates of the base layer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본 발명의 제7 내지 제9 실시예에서는 에서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 형체력, 유압 코어 압력 조건을 조절하여 윈도우 커버의 평탄도를 향상시킨다.In the seventh to ni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ness of the window cover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lamping force, and hydraulic core pressure conditions.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1000)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한다(S1310). 인서트 필름은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도록 광학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ML(In Mold Label)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블랙 마스킹 및 기능성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window cover 10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 film is preformed (S1310). The insert film may form an optical coating layer to satisfy the optical properties required to form the film lay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black masking and a functional surface by applying an In Mold Label (IML) method.

인서트 필름에는 사출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 영역, 인서트 필름을 거치할 수 있는 버튼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영역은 최종 윈도우 커버의 영역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최종 윈도우 커버 영역 외측에 위치되어, 사출재 주입 및 경화 후 제거될 수도 있다.The insert film may include a gate region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and a buttonhole region for mounting the insert film. The gate region may be formed within the region of the final window cover, or located outside the final window cover region, and may be removed after injection and curing of the injection molding material.

인서트 필름은 사출재와 열전달율이 상이하며, 인접하는 사출재의 냉각 속도를 저하시킨다. 인서트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사출재의 두께 방향에 따른 열전달 편차가 커지고, 이에 따라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 냉각 속도 차가 커진다. 인서트 필름의 두께는 0.15~0.3~mm, 바람직하게는 0.2mm일 수 있다. 인서트 필름의 두께가 0.3mm보다 커지면,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 냉각 속도 차이가 커져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평탄도가 저하된다. 인서트 필름의 두께가 0.15mm보다 작으면, 인서트 필름의 물리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인서트 필름의 열전달율은 0.23w/mk 이상일 수 있다. 인서트 필름의 열전달율이 0.23w/mk보다 작아지면 단열 효과가 더 좋아져 냉각 속도가 느려진다. 이에 따라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의 냉각 속도 편차가 커지고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인서트 필름의 수축율은 JIS K7133 기준, 160 ℃, 30min 기준, 1.4% 이하일 수 있다. 인서트 필름의 수축률이 낮을수록 사출재의 냉각시 수축량이 줄어 평탄도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The insert film has a different heat transfer rate from the injection material, and lowers the cooling rate of the adjacent injection material. As the thickness of the insert film increases, the heat transfer deviation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cooling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insert film may be 0.15-0.3-mm, preferably 0.2mm. When the thickness of the insert film is greater than 0.3 mm, the difference in the cooling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so that the flatness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is deteriorated. If the thickness of the insert film is less than 0.15 mm,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insert film may be weakened.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sert film may be 0.23 w/mk or more. Whe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sert film is less than 0.23w/mk,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s better and the cooling rate is slowed down. Accordingly, the deviation of the cooling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increase and warpage may occur. The shrinkage rate of the insert film may be 1.4% or less based on JIS K7133, 160 °C, 30 min. As the shrinkage rate of the insert film is lower, the amount of shrinkage during cooling of the injection material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effect on flatness.

다음으로,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한다(S1320).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 버튼홀 영역이 상부 금형의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 필름의 게이트 영역은 상부 금형의 핫러너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Next, the insert film is mounted on the upper mold (S1320). Make sure that the gate area and the buttonhole area of the insert film ar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pper mold. The gate region of the insert film is positioned to face the hot runner of the upper mold.

하부 금형이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부 금형을 위치시킨다(S1330). 금형 내에 소정 부피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부 금형을 상부 금형측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작용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The lower mol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mol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l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330). The lower mold is moved toward the upper mold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volume in the mold. The clamping force acting o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250 to 600 tons.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 사출재의 유동 및 잔류 응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금형은 소정 범위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하부 금형의 온도는 소정 온도의 유체에 의해 유지된다. 하지만, 사출재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필름층을 형성하는 경우,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 열 분포가 상이하게 되며, 이는 사출재의 냉각 속도의 차이를 유발한다.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달률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가 조절된다. 상부 금형의 온도는 70~95℃,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하부 금형의 온도는 상부 금형의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이는 10℃ 이상일 수 있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이가 커질수록 평탄도가 좋아질 수 있다. 제조 공정 상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가 작아지는 경우 형체력을 크게 하여 휨 현상을 억제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형체력이 커지는 경우 사출재의 밀도가 높아져 수축률을 줄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affects the flow and residual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molds must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maintained by a flui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too high or a film layer is formed, heat distribution is differ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which causes a difference in the cooling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adjusted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heat transfer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minimize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may be 70 ~ 95 ℃, preferably 90 ℃.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is set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10° C. or more.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ncreases, the flatness may be improv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decreas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lamping force can be increased to suppress warpage. When the clamping force is increased, the density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and the shrinkage rate can be reduced.

금형 내에 사출재를 주입한다(S1340). 사출재는 핫러너에 의해 필름 후면으로 분사된다. 사출재는 PC 또는 PMMA 소재일 수 있다. 사출재가 경화되어 베이스층(1100)을 형성한다. 사출재의 온도가 높을수록 사출재의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달량 편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평탄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출재의 온도는 낮을수록 좋다. 다만, 사출재의 온도가 낮아지면 사출재의 잔류 응력이 커져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재의 온도를 270~320℃로 하여 복굴절 성능을 유지하면서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사출재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80℃일 수 있다. 사출재의 열전달률은 0.2 w/mk 이상일 수 있다. 사출재의 열전달률이 0.2 w/mk 미만인 경우, 냉각 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된다. 사출재의 열전달률과 인서트 필름의 열전달률의 차이가 작을수록 평탄도는 향상된다.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S1340). The injection material is sprayed to the back of the film by a hot runne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a PC or PMMA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cured to form the base layer 1100 . As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flatness,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the better.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lowered, the residual str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so that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may be deteriorated. In this embodiment, the flatness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by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to 270 to 320°C.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preferably 280 ℃.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0.2 w/mk or more. Whe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less than 0.2 w/mk, the cooling time increases and productivity decreases.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sert film is small, the flatness is improved.

압축 코어를 가압한다(S1350). 금형 내에 소정 양의 사출재가 채워지면 압축 코어를 가압하여 캐비티 표면을 압축시킨다. 압축 코어를 가압함에 따라 캐비티의 체적이 줄어들고,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이 성형된다. 베이스층은 인서트 필름과 결합한다. 압축 코어 가압 단계에 의해 인서트 필름에 결합된 사출재의 두께가 조정된다.Press the compression core (S135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o compress the cavity surface. As the compression core is pressed, the volume of the cavity is reduced, and the base layer is molde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The base layer bonds with the insert film. The thickness of the injection material bonded to the insert film is adjusted by the compression core pressing step.

한편,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 차는 금형 내에 주입된 사출재의 냉각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금형에 주입된 사출재의 상부는 인서트 필름에 접해 있는바, 필름의 단열 작용으로 인하여 열전달률이 작아진다. 반면, 사출재의 하부는 상부에 위치한 사출재보다 열전달률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열전달률의 차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열전달률 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금형의 온도는 하부 금형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금형의 온도는 70~95℃,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하부 금형의 온도는 70~85℃, 바람직하게 는 80℃일 수 있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는 10℃ 이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fects the cooling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mold. Since the upper part of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mold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 film, the heat transfer rate is reduced due to the insulating action of the film.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has a higher heat transfer rate than the injection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fer rate.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heat transfer rat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may be set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may be 70 ~ 95 ℃, preferably 90 ℃.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may be 70 ~ 85 ℃, preferably 80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10°C or more.

압축 코어의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 바람직하게는 9초일 수 있다. 또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작용하는 형체력은 250~600t일 수 있다. 압축 코어 가압 단계 이후 유압 코어 압력은 70~80%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하부 금형에 작용하는 압력을 변화시켜 금형 내의 사출재의 수축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compression holding time of the compressed core may be 8 to 10 seconds, preferably 9 seconds.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acting o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may be 250 to 600 tons. After the compression core pressing step, the hydraulic core pressure may be maintained at 70-80%. This is to minimize the shrinkag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 the mold by chang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lower mold.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최종 두께는 1.5~3mm, 바람직하게는 2.5mm일 수 있다. 최종 제품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휨 현상이 적어질 수 있다.The final thickness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may be 1.5 to 3 mm, preferably 2.5 mm. The thicker the final product, the less warpage.

평탄도가 향상된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압축 인자 조건으로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차, 형체력, 유압 코어 출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lamping force, and hydraulic core outpu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compression factor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with improved flatness.

본 발명은 휨 현상 방지를 위하여 윈도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열전달량의 편차를 최소화한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ow cover to prevent warping.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가 규정된다. 윈도우 커버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열전달률 차가 작을수록 평탄도는 향상된다. 하지만, 윈도우 커버의 상부측에는 인서트 필름이 배치되며, 윈도우 커버 상부 측의 냉각을 저해하여 열전달률을 작게 한다. 반면, 윈도우 커버의 하부측은 상부 측에 비하여 열전달률이 크다. 즉, 윈도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온도 분포가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열전달률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상부 금형의 온도는 하부 금형의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금형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윈도우 커버의 각각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사출재의 열전달률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가 클수록 평탄도가 향상된다.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heat transfer rat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cover is small, the flatness is improved. However, an insert film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cover, and the heat transfer rate is reduced by inhibiting cooling of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cover.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cover has a higher heat transfer rate than the upper side. That i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asymmetrically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ow cover.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in heat transfer rat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is pref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mold. In this embodiment,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cover, respectively. The grea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the better the flatness.

상부 금형의 온도는 70~95℃,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고, 하부 금형의 온도는 70~85℃, 바람직하게는 80℃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may be 70 ~ 95 ℃, preferably 90 ℃,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may be 70 ~ 85 ℃, preferably 80 ℃.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가 각각 70℃보다 낮으면, 사출재의 유동 저항이 커져 잔류 응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가 높아지면, 사출 압축 시 수지의 전단 응력 및 제품의 잔류 응력이 줄어들어 복굴절 특성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수지 유동 변화로 인해 압축 갭의 편차가 심해져 재현성이 좋지 않다.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의 온도는 각각 95℃,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respectively lower than 70° 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injection material increases and the residual str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ncreases, the shear stress of the resin and the residual stress of the product are reduced during injection compression, so that the birefringence property can be improved. not.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preferably 95°C and 85°C or less, respectively.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이는 최소 10℃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an be at least 10℃ or more.

상부 금형 온도와 하부 금형의 온도차이가 20℃ 이상이 되면, 평탄도가 저하되는 외에,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burr), 실 버(burr, 실바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형간에 열팽창율이 달라야 하는데, 하부 금형의 온도가 낮게 되면 금형의 팽창이 상/하측 대비 작아져 사출시 파팅라인의 압력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파팅 라인으로 압축버, 실 버(burr)가 발생할 수 있다. 하부 금형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생산이 지속되면, 압축 파팅 라인에 발생하는 버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에 버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금형 파팅 라인이 무너져 제품의 불량율이 커진다.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more than 20°C, there may be a problem that compression burrs and burrs are generated in the parting line in addition to a decrease in flatness. Specifically,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h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mold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is low, the expansion of the mold becomes smaller compared to the upper/lower side, and the pressure of the parting line during injection is reduced. may occur. If production continues at a low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burrs ar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product produced by the burrs generated on the compression parting line, and the mold parting line collapses, increas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제 8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의 휨 현상 방지를 위하여, 형체력을 규정한다.In the eighth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bending of the window cover, a clamping force is defined.

형체력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체결하고 있는 힘을 의미하며, 필요한 형체력은 사출재의 소재나 양, 게이트 사이즈나 개수 등과 관련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재로서 PC를 사용했으며, 형체력은 250~600t, 바람직하게는 450t일 수 있다. 형체력을 250~600t로 하는 경우, 사출재의 냉각에 의한 수축량을 억제할 수 있다. The clamping force refers to the force that fastens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necessary clamping force is related to the material or quantity of injection material, and the size or number of gates. In this embodiment, PC was used as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clamping force may be 250 to 600 tons, preferably 450 tons. When the clamping force is 250 to 600 t, the amount of shrinkage due to cooling of the injection material can be suppressed.

사출재의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이를 규정하지만, 제조 공정 상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온도 차가 작아지는 경우 형체력을 크게 하여 휨 현상을 억제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defined, but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becomes small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lamping force can be increased to suppress the bending phenomenon.

제 9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의 휨 현상 방지를 위하여, 유지 압력 출력을 규정한다.In the ninth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window cover from bending, a holding pressure output is defined.

유지 압력 출력은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힘으로서, 압축 코어 가압 단계 이후 냉각 단계에서 압축 코어에 작용하는 힘을 출력을 70~80%로 유지할 수 있다. 사출재가 냉각하는 동안 사출재를 가압하는 힘을 최소로 유지하여 사출재가 냉각하면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압력 출력이 80%를 초과하는 경우, 사출기 내의 과부하로 인해 금형 등에 무리가 갈 수 있다.The holding pressure output is a force for pressing the compressed core, and the output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mpressed core in the cooling step after the compression core pressing step may be maintained at 70 to 80%.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oling, the force for pressing the injection material can be kept to a minimum to prevent the injection material from bending while cooling. If the holding pressure output exceeds 80%, overload in the injection machine may cause strain on the mold, etc.

다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의 최종 두께, 인서트 필름 두께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윈도우 커버의 최종 두께는 1.5~3mm, 바람직하게는 2.5mm일 수 있다. 인서트 필름 두께는 0.15~0.3mm, 바람직하게는 0.2mm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nal thickness of the window cover, the thickness of the insert film, and the like may be defined. The final thickness of the window cover may be 1.5 to 3 mm, preferably 2.5 mm. The insert film thickness may be 0.15 to 0.3 mm, preferably 0.2 mm.

평탄도 향상과 관련된 압축 인자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살펴본다.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compression factors related to flatness improvement will be described.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평탄도를 측정하였다. 평탄도는 윈도우 커버가 휘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평탄도는 윈도우 커버 상의 복수의 지점에서 z값을 측정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 산출한다. Flatness was measur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The flatnes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window cover is bent. The flatness is calculated as a difference between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by measuring z-values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window cover.

본 실시예에서 평탄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측정될 윈도우 커버면에 복수개의 가상 포인트를 설정한다. 측정 대상의 좌우/상하에 있는 4개의 Origin Point를 잇는 선들이 교차하여 만들어진 점을 측정 원점으로 한다. 측정 대상의 좌우/상하에 있는 4개의 Origin Point 중 이웃하는 Origin Point끼리 잇는 선의 중점을 측정 포인트로 설정한다. Origin Point를 포함한 복수개의 가상 포인트는 상부, 좌측부터 각각 P1, P2, P3, P4, P5, P6, P7, P8, P9라 한다. 도 24상에서 P1, P3, P7, P9는 4개의 Origin Point, P5는 원점이다. 4개의 Origin Point 중 이웃하는 Origin Point끼리 잇는 선의 중점은 각각 P2, P4, P6, P8로 설정되며, 원점 P5와 P2, P4, P6, P8의 z값으로 평탄도를 계산한다.In this embodiment, flatness is measured in the following way. A plurality of virtual points are set on the window cover surface to be measured. The point made by the intersection of the lines connecting the four origin points on the left/right/top and bottom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taken as the measurement origin. Set the midpoint of the line connecting neighboring Origin Points among the four Origin Points on the left/right/top and bottom of the measurement target as the measurement point. A plurality of virtual points including the Origin Point are referred to as P1, P2, P3, P4, P5, P6, P7, P8, and P9 from the top and left, respectively. In FIG. 24 , P1, P3, P7, and P9 are four origin points, and P5 is an origin. The midpoint of the line connecting neighboring Origin Points among the four Origin Points is set to P2, P4, P6, and P8, respectively, and the flatness is calculated with the z-values of the origins P5, P2, P4, P6, and P8.

측정 대상의 윈도우 커버의 복수의 지점에서 치수를 측정한다. 치수는 3차원 측정기를 활용해 측정한다. 사용하는 3차원 측정기는 비전 검사식으로, 평탄도 역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초점을 잡아 z값을 측정하게 된다. Fascia의 경우 평탄도 측정 부분이 A/A부이므로, 투명 부분의 평탄도는 mesh를 설정하여 측정하게 된다. 평탄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P2, P4, P5, P6, P8의 측정값을 이용한다.Dimensions are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window cover to be measured. Dimensions are measured using a 3D measuring machine. The 3D measuring device used is a vision inspection type, and the flatness is also focused using a camera to measure the z value. In the case of fascia, since the flatness measurement part is the A/A part, the flatness of the transparent part is measured by setting the mesh. The measured values of P2, P4, P5, P6, and P8 are used to calculate the flatness.

평탄도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flatness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평탄도=Zmax- Zmin (식 1)Flatness=Zmax- Zmin (Equation 1)

(Zmax=z값의 최대값, Zmin=z값의 최소값)(Zmax = maximum value of z value, Zmin = minimum value of z value)

측정된 P2, P4, P5, P6, P8의 z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산출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에서 P2, P4, P5, P6, P8에 해당하는 지점의 측정 값을 이용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당 지점이 아닌 복수 개의 임의의 지점의 측정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Calculate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mong the measured z values of P2, P4, P5, P6, and P8, and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surement values of points corresponding to P2, P4, P5, P6, and P8 in FIG. 24 are used, but in another embodiment, measurement values of a plurality of arbitrary point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points may be used.

각 인자별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각 인자별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차수에 따라 비교 대상 인자를 제외한 조건은 상이할 수 있다. 각 실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교 대상 인자 조건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해당 평탄도 관련 인자의 최적 값을 도출하였다. 사출재로서 PC(covrstro사의 Ai2217)를 사용하였고, 필름은 PC/PMMA의 2Layer 시트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ach factor,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factor. Conditions excluding factors for comparis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the comparison target factor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pplied differently, and the optimum value of the corresponding flatness factor was derived. PC (Ai2217 of covrstro) was used as an injection material, and a 2-layer sheet of PC/PMMA was used for the film.

<상부 금형 온도><Upper mold temperature>

평탄도 관련 인자 중 상부 금형 온도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um value for the upper mold temperature is examined.

하부 금형의 온도는 80℃, 사출재의 온도 280℃, 유지 압력 출력은 80%, 형체력은 450t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lower mold was 80°C,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was 280°C, the holding pressure output was 80%, and the clamping force was 450t, and the window cover was molded.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상부 금형 온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 The upper mold temperature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상부 금형 온도(℃)Upper mold temperature (℃) 실시예 Example 909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707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606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120.12 -0.49-0.49 -0.82-0.82 -0.44-0.44 -0.93-0.93 1.051.05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13-0.13 -0.26-0.26 -0.94-0.94 -0.1-0.1 -1.33-1.33 1.231.23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79로 측정되었으며, 상부 금형 온도가 70℃인 비교예 1은 평탄도값이 1.05로, 상부 금형 온도가 60℃인 비교예 2는 평탄도값이 1.23으로 측정되었다. 상부 금형 온도가 낮아질수록 평탄도 값이 커지는, 즉 평탄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부 금형의 온도가 90℃인 경우(실시예)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Examples, the flatness was measured to be 0.79 by the measurement of points P2 to P8,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70°C had a flatness value of 1.05, and Comparative Example 2 having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60°C had flatness The value was determined to be 1.23. As the upper mold temperature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flatness value increases, that is, the flatness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is 90° C. (Example), the best flatness is obtained.

<형체력 ><crystal force>

평탄도 관련 인자 중 형체력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al value for clamping force will be examined.

상부 금형 온도 90℃, 하부 금형 온도 80℃, 사출재의 온도 280℃, 유지 압력 출력은 80%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90°C, a lower mold temperature of 80°C, an injection material temperature of 280°C, and a holding pressure output of 8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형체력 조건은 다음과 같다.Clamping force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형체력 (t)clamp force (t) 실시예 Example 45045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35035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25025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190.19 0.040.04 -0.21-0.21 0.050.05 -0.95-0.95 1.141.14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240.24 -0.04-0.04 0.410.41 0.110.11 -1.25-1.25 1.661.66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79로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은 평탄도 값이 1.14로, 비교예 2는 평탄도 값이 1.66으로 측정되었다. 형체력이 작아질수록 평탄도 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체력이 450t인 실시예의 경우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Examples, the flatness value was measured to be 0.79 by the measurement of points P2 to P8, Comparative Example 1 had a flatness value of 1.14, and Comparative Example 2 had a flatness value of 1.66. It can be seen that the flatness value increases as the clamping force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embodiment having a clamping force of 450t has the best flatness.

<유지 압력 출력><holding pressure output>

평탄도 관련 인자 중 유지 압력 출력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um value for the holding pressure output is examined.

상부 금형 온도 90℃, 하부 금형 온도 80℃, 사출재의 온도 280℃, 형체력은 450t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90°C, a lower mold temperature of 80°C, an injection material temperature of 280°C, and a clamping force of 450t.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지 압력 출력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holding pressure output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유지 압력 출력(%)Holding pressure output (%) 실시예 Example 808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606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303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340.34 -0.02-0.02 0.520.52 0.160.16 -1.72-1.72 2.242.24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540.54 -0.14-0.14 0.620.62 0.210.21 -1.93-1.93 2.552.55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79로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은 평탄도 값이 2.24로, 비교예 2는 평탄도 값이 2.55로 측정되었다. 유지 압력 출력이 커질수록 평탄도 값이 작아지는 것, 즉 휨 현상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지 압력 출력이 80%인 실시예의 경우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s, the flatness value was measured to be 0.79 by the measurement of points P2 to P8, Comparative Example 1 had a flatness value of 2.24, and Comparative Example 2 had a flatness value of 2.55. It can be seen that as the holding pressure output increases, the flatness value decreases, that is, the warpage is reduced. It can be seen that the embodiment in which the holding pressure output is 80% has the best flatness.

사출 압축 성형의 최적 조건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사출재의 소재가 PC인 경우를 나타낸다.Optimal conditions f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how a case where the material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C.

<사출 두께><Injection thickness>

평탄도 관련 인자 중 사출 두께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um value for injection thickness will be examined.

상부 금형 온도 90℃, 하부 금형 온도 80℃, 사출재의 온도 280℃, 필름 두께 0.2mm, 형체력은 450t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90 °C, a lower mold temperature of 80 °C, an injection material temperature of 280 °C, a film thickness of 0.2 mm, and a clamping force of 450 tons.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출 두께 조건은 다음과 같다.Injection thickness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사출 두께(mm)Injection thickness (mm) 실시예 Example 3.03.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82.8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52.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22.2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20.02 0.110.11 0.010.01 0.110.11 -0.50-0.50 0.610.6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040.04 0.130.13 0.020.02 0.120.12 -0.56-0.56 0.690.69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060.06 0.150.15 0.030.03 0.110.11 -0.61-0.61 0.740.7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61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은 평탄도 값이 0.69로, 비교예 2는 평탄도 값이 0.74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3은 평탄도 값이 0.79로 측정되었다. 사출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탄도가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출 두께가 3.0mm 인 경우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출 두께가 2.5mm 이상이 되는 경우 사용시 터치 감도가 저하되며, 다른 조건들을 고려하여 사출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 the flatness was 0.61 by the measurement of the points P2 to P8, showing good results. Comparative Example 1 had a flatness value of 0.69, and Comparative Example 2 had a flatness value of 0.74. Comparative Example 3 had a flatness value of 0.79.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er the injection thickness, the better the flatnes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injection thickness is 3.0 mm, it has the best flatness. However, when the injection thickness is 2.5 mm or more, the touch sensitivity is lowered during use, and the injection thicknes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other conditions.

<필름 두께><Film thickness>

평탄도 관련 인자 중 필름 두께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um value for the film thickness will be examined.

상부 금형 온도 90℃, 하부 금형 온도 80℃, 사출재의 온도 280℃, 형체력은 450t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90°C, a lower mold temperature of 80°C, an injection material temperature of 280°C, and a clamping force of 450t.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 두께 조건은 다음과 같다.Film thickness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필름 두께(mm)Film thickness (mm) 실시예 Example 0.20.2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250.25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30.3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130.13 0.190.19 0.040.04 0.170.17 -1.10-1.10 1.291.29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220.22 0.240.24 0.070.07 0.210.21 -1.56-1.56 1.801.80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79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은 평탄도 값이 1.29로, 비교예 2는 평탄도 값이 1.80으로 측정되었다.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평탄도가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필름 두께가 0.2mm 인 경우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 the flatness was 0.79 by the measurement of the points P2 to P8, showing good results. Comparative Example 1 had a flatness value of 1.29, and Comparative Example 2 had a flatness value of 1.80. It can be seen that the thinner the film thickness, the better the flatnes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film thickness is 0.2 mm, it has the best flatness.

<필름 수축율><Film shrinkage rate>

평탄도 관련 인자 중 필름 수축율에 대한 최적값을 살펴본다.Among the factors related to flatness, the optimum value for film shrinkage will be examined.

상부 금형 온도 90℃, 하부 금형 온도 80℃, 사출재의 온도 280℃, 형체력은 450t으로 하여 윈도우 커버를 성형하였다.The window cover was molded with an upper mold temperature of 90°C, a lower mold temperature of 80°C, an injection material temperature of 280°C, and a clamping force of 450t.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 수축율 조건은 다음과 같다. 수축율은 160℃, 30min 후 MD방향 측정결과이다.Film shrinkage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Shrinkage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in the MD direction after 30 min at 160°C.

필름 수축율(%)Film shrinkage (%) 실시예 Example 1.41.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72.7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3.43.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24.2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탄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flatness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P2P2 P4P4 P5P5 P6P6 P8P8 평탄도 flatness 실시예 Example 0.090.09 0.160.16 0.030.03 0.140.14 -0.63-0.63 0.790.7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120.12 0.300.30 0.050.05 0.190.19 -1.22-1.22 1.521.5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180.18 0.300.30 0.070.07 0.220.22 -1.54-1.54 1.841.8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250.25 0.520.52 0.090.09 0.330.33 -1.70-1.70 2.222.22

실시예의 경우 P2 내지 P8 지점의 측정에 의해 평탄도가 0.79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은 평탄도 값이 1.52로, 비교예 2는 평탄도 값이 1.84로, 비교예 3은 평탄도 값이 2.22로 측정되었다. 필름 수축율이 낮을수록 평탄도가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필름 수축율이 1.4% 인 경우 가장 양호한 평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 the flatness was 0.79 by the measurement of the points P2 to P8, showing good results. Comparative Example 1 had a flatness value of 1.52, Comparative Example 2 had a flatness value of 1.84, and Comparative Example 3 had a flatness value of 2.22.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film shrinkage, the better the flatness. It can be seen that the film has the best flatness when the shrinkage rate is 1.4%.

상기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버는 상부 금형의 온도는 90℃, 형체력 450t, 유지 압력 출력 80%, 사출 두께 3.0mm, 필름 두께 0.2mm, 필름 수축률 1.4% 일 때 평탄도 값이 낮아지며 휨 현상이 억제된다.As a result,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l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is 90°C, the clamping force is 450t, the holding pressure output is 80%, the injection thickness is 3.0mm, the film thickness is 0.2mm, and the film shrinkage rate is 1.4%. The degree value is lowered and the warpage phenomenon is suppressed.

상기 조건에서 성형된 윈도우 커버의 평탄도는 0.8 이하이다. The flatness of the window cover mold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is 0.8 or less.

사출 압축 성형의 최적 조건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사출재의 소재가 PC인 경우를 나타낸다.Optimal conditions f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how a case in which the material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PC.

한편, 본 발명은 일반 사출 공정에서 나타나는 사출재의 성형 후 잔류 응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압축 사출 공법을 사용한 것으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 성능이 일반 사출 공정에 의한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 성능보다 월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mpression injection method to minimize the residual stress after molding of an injection material that appears in a general injection process, and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is superior to that of the window cover by the general injection process.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와 일반 사출 공정으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The retardation values of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general injection process are compared as follows.

실시예 : 사출 압축 공정Exampl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조건><condition>

수지의 멜트 인덱스 : 30~50cm3/10min,Melt index of resin: 30-50cm 3 /10min,

사출 온도 : 300℃, Injection temperature: 300℃,

금형 온도 : 80/90/30℃, Mold temperature: 80/90/30℃,

압축 갭 : 1mm, Compression gap: 1mm;

압축 시점 : V/P 절환점, Compression point: V/P switching point,

압축 속도 : 2-2mm/s, Compression speed: 2-2mm/s;

사출 속도 : 45-80-80-70mm/s, Injection speed: 45-80-80-70mm/s,

압축 유지 시간 : 3초Compression holding time: 3 seconds

형체력 : 250tonClamping force: 250ton

비교예 : 일반 사출 공정Comparative example: general injection process

<조건><condition>

수지의 멜트 인덱스 : 30~50cm3/10min,Melt index of resin: 30-50cm 3 /10min,

사출 온도 : 300℃, Injection temperature: 300℃,

금형 온도 : 80/90/30℃, Mold temperature: 80/90/30℃,

사출 속도 : 45-80-80-70mm/s, Injection speed: 45-80-80-70mm/s,

사출 압력(보압) : 10barInjection pressure (packing pressure): 10 bar

형체력 : 250tonClamping force: 250ton

육안 평가(측면)Visual evaluation (side)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nm, 평균/편차)Planar-side retardation value (nm, mean/deviation) 45˚측 리타데이션 값(nm, 평균/편차)45˚ side retardation value (nm, average/deviation) 실시예(압축 사출 공정으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Exampl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Compression Injection Process)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0

50/1350/13 270/62270/62 비교예(일반 사출 공정으로 제조된 윈도우 커버)Comparative exampl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general injection process)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1
180/110180/110 473/164473/164

일반 사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경우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이 180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이 473nm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압축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경우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이 50nm, 45˚측 리타데이션 값이 270nm 으로, 리타데이션 값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압축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경우, 평면측 및 45˚측 리타데이션 편차값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general injection process,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was 180 nm and the 45˚-side retardation value was 473 nm, whereas in the case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was The 50nm and 45˚ side retardation values are 270n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tardation values ar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compre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on the plane side and the 45° side are also reduced.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필름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5 is a view showing a film layer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필름층(1200)은 필름과, 필름의 보호를 위한 하드코팅층 및 다양한 광학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필름층(1200)은 광학 코팅층으로서 AG(Anti-Glare) 코팅층, AR(Anti-Reflective) 코팅층, AF(Anti-Finger) 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G(Anti-Glare) 코팅은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빛 굴절을 차단한다. AR(Anti-Reflective) 코팅은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를 위한 것으로, 굴절율을 낮추어 반사율을 함께 낮춤으로써 투명도를 보다 향상시킨다. AF(Anti-Finger) 코팅은 표면에 지문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코트제의 습성을 높여 지문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the film layer 1200 may include a film, a hard coating layer for protecting the film, and various optical coating layers. The film layer 1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nti-glare (AG)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ve (AR) coating layer, and an anti-finger (AF) coating layer as an optical coating layer. AG (Anti-Glare) coating is to prevent glare and blocks light refraction by inducing diffuse reflection by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film surface. AR (Anti-Reflective) coating is to prevent light from being reflected off the surface, and it lowers the refractive index to further improve the transparency by lowering the reflectance. AF (Anti-Finger) coating is to prevent fingerprints from being left on the surface.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200)은 2개의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필름(1210) 상에 하드 코팅층(1220)을 형성하고, 하드 코팅층(1220) 상에 광학 코팅층(123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220)은 필름 표면을 보호하고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다. 광학 코팅층(1220)으로서 AG(Anti-Glare) 코팅층, AR(Anti-Reflective) 코팅층, AF(Anti-Finger) 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23 , the film layer 1200 may include two coating layers. A hard coating layer 1220 may be formed on the film 1210 , and an optical coating layer 1230 may be formed on the hard coating layer 1220 . The hard coating layer 1220 protects the film surface and improves scratch resistance. The optical coating layer 1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nti-glare (AG)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ve (AR) coating layer, and an anti-finger (AF) coating layer.

하드 코팅층에 AG 처리를 동시에 하여 코팅 처리를 할 수 있으며, AG 코팅의 경우 실리카를 사용한다. AG 코팅층 상에 습식 코팅인 LR 코팅 처리를 할 수 있으며, LR코팅의 경우 중공형 실리카를 사용한다. 코팅 처리 시 AF 기능을 할 수 있는 -F기 첨가제를 첨가하여 동시 코팅 처리를 통해 다층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220)의 두께는 2~5㎛, 광학 코팅층의 두께(1230)는 0.1~0.5㎛, 바람직하게는 하드 코팅층(1220)의 두께는 3㎛, 광학 코팅층의 두께(1230)는 0.2㎛일 수 있다.The hard coating layer can be coated with AG treatment at the same time, and silica is used for the AG coating. LR coating, which is a wet coating, can be applied on the AG coating layer, and hollow silica is used for LR coating. Multi-layer coating can be realized through simultaneous coating treatment by adding -F group additive capable of AF function during coating treatment.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1220 is 2 to 5 μm, the thickness 1230 of the optical coating layer is 0.1 to 0.5 μm,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1220 is 3 μm, and the thickness 1230 of the optical coating layer is 0.2 μm. can be

광학 코팅층의 형성은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 Gravure coating), 슬롯다이 코팅(SlotDi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optica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using a micro gravure coating method, a slot die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or a flow coat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필름층(1200)은 차광 영역과 투명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투명 영역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응되며, 차광 영역은 투명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차광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위 베젤 영역이라 부르는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곳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이 보여지지 않는 영역이다. 차광영역은, 색상 및/또는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영역은 흑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투광 영역은,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광의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외부광의 표면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The film layer 1200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area and a transparent area. The transparent area corresponds to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light blocking area is disposed to surround the transparent area. The light blocking area corresponds to a non-display area called a so-called bezel area in the display apparatus, and is an area in which an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apparatus is not viewed. The light blocking area may have a color and/or a pattern. For example, the light blocking area may be viewed as black. The light transmitting area induces diffus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such as sunlight,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and increasing visibility of an image produced by the display device.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베이스층 형성단계에서 사출재의 유동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복굴절 성능의 육안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6 is a view show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injection molding in the base layer forming step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sh, and FIG. 28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visual evaluation of the birefringence performanc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윈도우 커버(1000)의 사출 성형 시 전단유동에 의해 분자배향은 사출재의 유동 방향으로 고화되며, 성형완료 후 소재 내부에 잔류응력이 남게 되어 복굴절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복굴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성형 후 소재 내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제조 효율 관점에서는 제조 비용, 소요 시간 등을 고려한 복굴절값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조건에 의하여 윈도우 커버의 복굴절값을 최적화하고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평면에서의 평균 리타데이션 값은 60nm 이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일 수 있다. 제조된 윈도우 커버의 입사각 45˚각도에서의 평균 리타데이션 값은 28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70nm 이하일 수 있다.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window cover 1000, molecular orientation is solidifi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due to shear flow, and residual stress remains inside the material after molding is completed, causing birefringence. In order to minimize birefringence, the residual stress generated in the material after molding should be minimiz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birefringe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st and requir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birefringence value of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 in the plane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has a value of 60 nm or less, and may preferably be 50 nm or less.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 at an incident angle of 45° of the manufactured window cover is 280 nm or less, and may preferably be 270 nm or less.

한편, 리타데이션 값은 윈도우 커버의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커버는 필름재의 중심선(C1) 상에 위치한 게이트 영역으로 사출재가 주입되면서 압축 유동을 통해 제조되는바, 사출재의 고화에 기인한 응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 커버(1000)의 외곽으로 갈수록 리타데이션 값이 커질 수 있다. Meanwhile, the retardation value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window cover. The window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hrough compression flow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gate region located on the center line C1 of the film material, and stress due to the solidifica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occurs. Accordingly, the retardation value may increase toward the outside of the window cover 1000 .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1000)는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은 윈도우 커버 상의 임의의 선에 의해 내측 및 외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임의의 선은 윈도우 커버의 중점에서 윈도우 커버의 외곽부를 연결하는 선을 1:1로 양분하는 점들을 이은 선일 수 있다. 여기서 외곽부는 직사각 형태의 윈도우 커버 외곽 단부를 의미한다. 윈도우 커버 상에서, 즉, 필름층의 중점에서 필름층 외곽부의 임의의 점을 잇는 선의 중간 지점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에 의해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이 구분된다. 윈도우 커버(1000)의 중점을 포함하는 내측 영역이 제1 영역(1110), 윈도우 커버의 외곽부를 포함하는 외측 영역이 제2 영역(1120)일 수 있다. 26 , the window cover 1000 may include a first area 1110 and a second area 1120 . The first area 1110 and the second area 1120 may be divided into inner and outer sides by an arbitrary line on the window cover. The arbitrary line may be a line connecting points that bisect a line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of the window cover from the midpoint of the window cover in a 1:1 ratio. Here, the outer portion means an outer end of the rectangular window cover. On the window cover, that is,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are divided by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intermediate points of a line connecting arbitrary points of the outer film layer at the midpoint of the film layer. The inner region including the midpoint of the window cover 1000 may be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outer region including the outer portion of the window cover may be the second region 1120 .

제1 영역(111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의 평균은 6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의 평균은 제1 영역(111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과 상이하다. 제2 영역(112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은 50nm 이하일 수 있으며, 제1 영역(111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영역별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는 사출재의 전단 속도의 차이에 기인한다.The average of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s of the first region 1110 may be 60 nm or less, and preferably 50 nm or less. The average of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s of the second region 1120 is different from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50 nm or less, and may be smaller than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The difference in the retardation value for each region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hear rate of the injection material.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영역으로 주입된 사출재는 금형 내에서 유동한다. 이 때, 제1 영역에서 사출재의 전단 속도 값이 최대치로 발생하여 사출이 되며, 그에 따라 윈도우 커버의 제1 영역에 잔류 응력이 많이 존재하게 되어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값이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값은 제1 영역(1110)보다 작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27 , the injection material injected into the gate region flows in the mold. At this time, the shear rate valu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generated at a maximum value in the first region and injection is performed.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residual stress is present in the first region of the window cover, so that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may be large. there is. Relatively,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110 .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평면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는10nm 이하, 리타데이션 편차값의 차이는 3nm 이하일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e-side average retardation values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10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may be 3 nm or less.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리타데이션 값이 상이하게 나타난 육안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6은 리타데이션(retardation) 값의 등고선에 따른 분포도이며, 0~300nm 기준으로 리타데이션(retardation) 값의 분포도를 나타내었다. 리타데이션의 분포도를 보면,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값이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값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8 , a visual evaluation result in which retardation valu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different can be confirmed. 26 is a diagram of a retardation value according to a contour line; It is a distribution diagram, and the distribution of retardation values is shown based on 0 to 300 nm. Looking at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retard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is greater tha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

한편, 입사각이 45˚일때는,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값은 28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7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값은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값과 상이하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값은 270nm 이하일 수 있으며,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45˚ 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는 15nm 이하, 리타데이션 편차값의 차이는 5nm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ncident angle is 45°,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may be 280 nm or less, preferably 270 nm or less.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is different from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270 nm or less, and may be smaller than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s on the 45 degree sid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15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may be 5 nm.

다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1000)의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에서 리타데이션 편차값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은 윈도우 커버(1000)의 내측 및 외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측 영역이 제1 영역(1110), 외측 영역이 제2 영역(1120)일 수 있다. 제1 영역(1110)의 입사각에 따른 평균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2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과 상이할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15nm 이하일 수 있으며,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in the first area 1110 and the second area 1120 of the window cover 1000 may be different. The first area 1110 and the second area 1120 may be divided into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window cover 1000 . The inner region may be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outer region may be the second region 1120 . The averag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region 1110 may be 20 nm or less, and preferably, 10 nm or less.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different from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15 nm or less, and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도 2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플로우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2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에서 플로우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9 is a view showing a flow mark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view show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It is a view show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 view showing a flow mark in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출재가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하면서 베이스층을 형성한다. 사출재는 필름재의 중심선(C1) 상에 위치한 게이트 영역으로 주입되며, 주입된 사출재의 일부는 게이트 영역 부근에서는 좌측 및 우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고, 일부는 하방으로 유동한다. 전단유동에 의해 사출재의 분자배향은 유동 방향으로 고화되는데, 이러한 유동 흔적이 플로우 마크를 형성한다. 플로우 마크는 윈도우 커버의 일 특성을 규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layer is formed while the inject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flows in the cavity.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gate region located on the center line C1 of the film material, and a part of the injected injection material flows horizontally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vicinity of the gate region, and a part flows downward. By shear flow,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solidified in the flow direction, and such flow traces form flow marks. The flow mark defines one characteristic of the window cover.

윈도우 커버(1000)의 베이스층(1100)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플로우 마크(130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 마크(1300)는 육안 평가시 확인 가능하며, 육안으로 구분 가능한 흐름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육안 측정시 광원은 200~500lux의 면광원을 0.3~1m 이격시킨 후 측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00lux의 면광원을 0.3m 이격하여 측정하였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se layer 1100 of the window cover 1000 , various types of flow marks 1300 may be formed. The flow mark 1300 can be confirmed during visual evaluation, and is divided into a visually distinguishable flow line area. In the case of visual measurement, the light source was measured after a 200-500 lux surface light source was separated by 0.3 to 1 m, and in this example, a 300 lux surface light source was measured by 0.3 m apart.

베이스층(1100)에는 플로우 마크(1300)가 형성된다. 베이스층(1100)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사이에 사출재를 주입하고 압착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영역으로 토출된 사출재의 일부는 게이트 영역 부근에서는 좌측 및 우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고, 일부는 하방으로 유동한다. 사출재는 금형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베이스층(1100) 상에 메인 유동선 및 메인 유동선을 중심으로 좌우로 서브 유동선을 형성한다. A flow mark 1300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100 . The base layer 1100 is molded by injecting and compressing an injection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s shown in FIG. 5 , a part of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ed to the gate region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vicinity of the gate region, and a part flows downward. The injection material forms a main flow line and a main flow line on the base layer 1100 while moving downward of the mold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main flow line.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마크(1300)는 베이스층(1100)의 상부 게이트 영역 측에서 하방으로 복수개의 메인 유동선 및 서브 유동선이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플로우 마크(1300)는 윈도우 커버(1000)의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전체적 윤곽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굴절 특성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7 , the flow mark 13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flow lines and sub flow lines are formed downward from the upper gate region side of the base layer 1100, and the width of the flow mark 1300 spreads downward toward the bottom. That is, the flow mark 130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C1 of the window cover 1000 , and the overall outline may be formed in a sectoral shape. In this case, the birefringence characteristic may be symmetrically formed.

윈도우 커버의 리타데이션 값은 윈도우 커버(1000)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커버(1000)는 제1 영역(1110')과 제2 영역(1120')을 구비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10')과 제2 영역(1120')은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좌우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중심선(C1)은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Y축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이다.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ay be formed substantial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window cover 1000 . In an embodiment, the window cover 1000 includes a first area 1110 ′ and a second area 1120 ′. As shown in FIG. 28 , the first area 1110 ′ and the second area 1120 ′ may be divide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 The first center line C1 is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and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윈도우 커버는 필름재의 중심선(C1) 상에 위치한 게이트 영역으로 사출재가 주입되며, 주입된 사출재는 캐비티 내에서 압축 유동을 한다. 사출재의 유동 흐름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필름재의 중심선(C1)을 따라 리타데이션 값이 분포가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In the window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gate region located on the center line C1 of the film material, and the injected injection material flows in compression within the cavity. The flow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defi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stribution of retardation values along the center line C1 of the film material is formed substantially symmetrically.

즉,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평면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은 6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일 수 있으며,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리타데이션 분포는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 That is, the plane-side average retard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is 60 nm or less, preferably 50 nm or less, and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bas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is It has a substantially symmetrical aspect.

한편, 윈도우 커버(1000)의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입사각 45˚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 값의 분포 역시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입사각 45˚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 값은 22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nm 이하인 값을 갖는다. 평면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는10nm 이하, 리타데이션 편차값의 차이는 3nm 이하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s at the 45° angle of incidence of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of the window cover 1000 is also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C1 . has The retardation values of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at an incident angle of 45° are 220 nm or less, and preferably have a value of 200 nm or less. The difference in the plane-side average retardation values may be 10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in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may be 3 nm or less.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이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중심선(C2)은 윈도우 커버 상의 가상의 중심선으로,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X축 방향과 평행한 선이다. 제2 중심선(C2)의 하측 영역이 제1 영역(1110"), 상측 영역이 제2 영역(1120")일 수 있다. 29 ,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rea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may be divided vertically based on the second center line C2 . The second center line C2 is a virtual center line on the window cover,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and is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center line C2 may be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upper region may be the second region 1120 ″.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평면측 리타데이션 값의 평균은 6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일 수 있으며, 각각의 리타데이션 값의 분포는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The average of the plane-side retardation values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is 60 nm or less, preferably 50 nm or less, and the distribution of each retardation value is the second center line (C2) has a symmetrical aspect based on

한편, 윈도우 커버(1000)의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입사각 45˚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 값의 분포 역시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입사각 45˚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 값은 22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nm 이하인 값을 가지며, 각각의 리타데이션 값의 분포는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의 45˚ 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의 차이는 15nm 이하, 리타데이션 편차값의 차이는 5nm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s at the 45° angle of incidence of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of the window cover 1000 also has a symmetrical patter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line C2. . The retardation values at the 45° angle of incidenc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are 220 nm or less, preferably 200 nm or les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spective retardation values is the second center line It has a symmetrical aspect with reference to (C2).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s on the 45 degree sid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15 n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may be 5 nm.

다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커버(1000)의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에서 리타데이션 편차값이 규정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retardation deviation values may be defined in the first area 1110 ′ and the second area 1120 ′ of the window cover 1000 .

제1 영역(1110')과 제2 영역(1120')은 제1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좌우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1110')의 입사각에 따른 평균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2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 분포는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 분포와 대칭적인 양상을 갖는다.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may be divide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first center line C1 . The averag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region 1110 ′ is 20 nm or less, and may preferably be 10 nm or less.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 is symmetrical with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first region 1110 ′.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110") 및 제2 영역(1120")이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될 수 있다. 하측 영역이 제1 영역(1110"), 상측 영역이 제2 영역(1120")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second region 1120 ″ may be divided vertically based on the second center line C2 . The lower region may be the first region 1110 ″, and the upper region may be the second region 1120 ″.

제1 영역(1110")의 입사각에 따른 평균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2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112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 분포는 제1 영역(1110")의 리타데이션 편차값 분포와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The averag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the first region 1110" is 20 nm or less, and preferably, 10 nm or less.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the second region 1120" is the first region 1110". It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of , and the second center line C2 .

플로우 마크의 형상은 사출 압축 조건, 게이트의 위치, 윈도우 커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플로우 마크의 길이가 달라지며, 폭방향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플로우 마크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금형 온도가 낮거나 사출 속도가 느린 경우 사출재의 냉각에 의해 플로우 마크가 두드러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flow mark may vary depending on injection compression conditions, the position of the gate,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window cover. For example, whe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duct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flow mark is changed, and whe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increased, the flow mark can be widened. In addition, when the mold temperature is low or the injection speed is slow, the flow mark may be conspicuous due to the cooling of the injection material.

한편, 플로우 마크(1300)의 형상으로부터 사출재가 주입되는 위치 및 게이트 영역의 개수, 사출 속도, 성형 조건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마크(1300)가 전개되는 양상이 하나의 메인 유동선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짧고 폭이 좁은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고, 플로우 마크(1300)의 서브 유동선 사이의 간격이, 상방에서보다 하방에서 더 크게 형성된다면, 게이트 영역은 윈도우 커버 내측에 존재하며 윈도우 커버(1000)의 중심선상(C1)으로 상부에 게이트 영역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Meanwhile, from the shape of the flow mark 1300 , a position at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the number of gate regions, an injection speed, molding conditions, and the like may be estim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 the aspect in which the flow mark 1300 is developed is developed in a short and narrow sector shape downward based on one main flow line, and between the sub flow lines of the flow mark 1300 . If the interval of is formed to be larger at the bottom than at the top, it can be assumed that the gate region exists inside the window cover and that the gate region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C1 of the window cover 1000 .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마크(1300)가 전개되는 양상이 하나의 메인 유동선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되, 하방으로의 플로우 마크(1300)가 길고 폭이 넓게 형성된다면, 사출재의 게이트 영역은 최종 윈도우 커버 영역의 외측에 존재하며, 윈도우 커버(1000)의 중심선상(C1)으로 상부에 게이트 영역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the aspect in which the flow mark 1300 is developed is developed in a fan-shaped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main flow line, and if the downward flow mark 1300 is long and wide, the injection The gate region of ash exists outside the final window cover region,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gate region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C1 of the window cover 1000 .

플로우 마크(1300)가 형성된 영역은 윈도우 커버(1000) 전체 면적의 6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우 마크(1300)가 형성된 영역이 윈도우 커버의 전체 면적의 60%가 넘는다면, 윈도우 커버의 전체 리타데이션 값이 커져 광학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플로우 마크(1300)의 수평 방향으로의 폭은 윈도우 커버(1000) 폭의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rea in which the flow mark 1300 is formed is preferably 6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window cover 1000 . If the area in which the flow mark 1300 is formed exceeds 60% of the total area of the window cover, the overall retardation value of the window cover may increase and opt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The width of the flow mark 1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eferably 80% or less of the width of the window cover 1000 .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4은 도 32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재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흡입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5은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구현하는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6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3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u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material shown in FIG. 32 Fig. 3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and Fig. 3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ndow cover material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은 이전 실시예와 비교해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3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sert film suction step as compar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S2000)은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2100),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2200),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S2300), 사출재 토출단계(S24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25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window cover manufacturing method (S2000) includes an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2100), an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2200), an insert film suction step (S2300), an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2400), and a lower mold It includes a pressing step (S2500).

또한,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2100)와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2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S1000)의 인서트 필름 프리포밍 단계(S1100) 및 인서트 필름 상부금형 거치단계(S1200)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2100) and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S2200) are the insert film preforming step (S1100) and the insert film upper mold mounting step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ing method (S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S1200).

다음으로 인서트 필름 흡입단계(S2300)는 인서트 필름에 흡입부를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여 인서트 필름을 상부금형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부 금형에 거치된 인서트 필름은 흡입력에 의해 상부금형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Next, the insert film suction step (S2300) is a step of fixing the insert film to the upper mold by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insert film through the suction unit. Accordingly, the insert film mounted on the upper mol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to the upper mold by the suction force.

상기한 바와 같이 인서트 필름이 상부금형에 흡착됨에 따라 사출재 토출단계에서 사출재가 인서트 필름에 공급될 경우 보다 안정적인 인서트 필름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As the insert film is adsorbed to the upper mol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jection material is supplied to the insert film i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more stable support of the insert film is possible.

다음으로 사출재 토출단계(S24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2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S1000)의 사출재 토출단계(S1300), 및 하부금형 가압단계(S1400)와 동일하고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2400) and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2500) are the same as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S1300) and the lower mold pressing step (S1400) of the window cover manufacturing method (S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110)에는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연장되도록 흡입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4 , the suc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mold 110 to extend to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111 .

또한, 인서트 필름에 흡입력을 제공할 경우 필름층 버튼홀영역(1122)가 상부 금형(110)의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111)에 밀착됨에 따라 넓은 면적으로 밀착면적(S)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효율이 증대된다(도 33).In addition, when a suction force is provided to the insert film,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1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mold buttonhole hook part 111 of the upper mold 110 so that the adhesion area S is formed in a large area. The fixing efficiency is increased (FIG. 33).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출재 토출단계에서 인서트 필름을 흡입하여 상부금형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고정시킬 수 있고, 인서트 필름이 밀착된 상태에서 사출재를 인서트 필름에 토출시킴에 따라 인서트 필름의 밀림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효율적인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 film can be sucked in the injection material discharging step to be more effectively fixed to the upper mold, and the insert film is pushed as the injection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insert film while the insert film is in close contact. This phenomenon is prevented in advance, and efficient application is possible.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2000)는 도 3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1000)와 비교하여 게이트영역이 버튼홀영역에 형성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6 , the window cover 2000 has no gate area formed in the buttonhole area compared to the window cover 1000 shown in FIG. 35 .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커버(2000)는 필름층(2100) 및 베이스층(미도시)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window cover 2000 includes a film layer 2100 and a base layer (not shown).

필름층(2100)는 프리포밍된 IML(In Mold Label)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층(2100)는 윈도우 커버(2000)가 윈도우 커버로 구현되도록 투명부(2110)와 차광부(2120)를 포함한다.The film layer 2100 may be formed of a preformed In Mold Label (IML) film. The film layer 2100 includes a transparent part 2110 and a light blocking part 2120 so that the window cover 2000 is implemented as a window cover.

또한, 투명부(2110)에는 필름층 버튼홀영역(2111)과 게이트 영역(2112)가 형성된다. 게이트 영역(2112)는 사출공정시 인서트 필름에 사출재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로 구현된다.In addition, a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2111 and a gate region 2112 are formed in the transparent portion 2110 . The gate region 2112 is implemented as a gate for supplying an injection material to the insert film during an injection process.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층 버튼홀영역(2111)은 투명부(2110)가 형성된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211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n which the transparent part 2110 is formed to the other surface direction.

필름층 버튼홀영역(2111)은 윈도우 커버의 제조단계에서 상부금형 버튼홀 걸이부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2111 serves as an upper mold buttonhole hanger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window cov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described above.

또한, 베이스층(미도시)는 필름층(2100)의 배면에 사출재가 사출 성형되어 필름층(2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층(미도시)에는 필름층(2100)의 필름층 버튼홀영역(2111)과 필름층 게이트영역(2112)에 각각 대응되는 베이스층 버튼홀영역(미도시)과 베이스층 게이트영역(미도시)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film layer 2100 by injection-molding an injection material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layer 2100 . And in the base layer (not shown), a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not shown) and a base layer gate reg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2111 and the film layer gate region 2112 of the film layer 2100, respectively. city) is formed.

또한, 필름층 게이트영역(2112)과 베이스층 게이트영역은 차광부(21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lm layer gate region 2112 and the base layer gate region are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light blocking portion 2120 .

이에 더하여, 필름층은 필름층 게이트영역(2112)의 형성을 위한 연장부를 제외한 일축방향에 대한 제1 중심선(도 7에 C1으로 도시함)과 타축방향에 대한 제2 중심선(도 7에 C2로 도시함)을 포함하는 일면을 포함하고, 필름층의 필름층 버튼홀영역과, 베이스층 버튼홀영역은 상기 제2 중심선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1 중심선(C1)은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Y축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선이고, 제2 중심선(C2)은 윈도우 커버 상의 가상의 중심선으로, 최종 제작된 윈도우 커버의 중점을 지나며, X축 방향과 평행한 선이다.In addition to this, the film layer has a first center line (shown as C1 in FIG. 7 ) in the uniaxial direction (shown as C1 in FIG. 7 ) and a second center line (as C2 in FIG. 7 ) in the other axial direction excluding the extension for forming the film layer gate region 2112 . shown), and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of the film layer, and the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are located below the second center line. The first center line C1 is an imaginary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and 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center line C2 is an imaginary center line on the window cover, which is the midpoint of the finally manufactured window cover. It is a line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필름층 버튼홀영역에 의해 인서트 필름이 거치된 상태로 사출성형이 구현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다.Since the window cover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s injection molding is implemented with the insert film mounted by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도 3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8는 도 3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3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8 is a schematic B-B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7 .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3000)는 도 5에 도시한 윈도우 커버(1000)와 비교하여 필름층 버튼홀영역과 사출부 버튼홀 영역이 절삭되어 관통부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7 , the window cover 3000 for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as a through part by cutting the film layer buttonhole area and the ejection part buttonhole area compared to the window cover 1000 shown in FIG. 5 .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3000)는 필름층(3100) 및 베이스층(32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window cover 3000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lm layer 3100 and a base layer 3200 .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층(3100)는 프리포밍된 IML(In Mold Label)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층(3100)는 투명부(3110)와 차광부(3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투명부(311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차광부(3120)는 투명부(3110)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lm layer 3100 may be formed of a preformed In Mold Label (IML) film. The film layer 3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part 3110 and a light blocking part 3120 . That is, the transparent portion 31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3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portion 3110 .

또한, 차광부(3120)에는 관통된 형상의 필름층 버튼홀영역(31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enetrating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3121 is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ortion 3120 .

또한, 베이스층(3200)는 필름층(3100)에 결합된다. 필름층(3100)인 IML 필름의 배면에 사출재가 사출 성형되어 베이스층(3200)가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층(3200)는 필름층(3100)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3200 is coupled to the film layer 3100 .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ion-mol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ML film, which is the film layer 3100 , to form the base layer 3200 , and the base layer 3200 is coupled to the film layer 3100 .

그리고 베이스층(3200)에는 필름층 버튼홀영역(3121)에 대응되는 베이스층 버튼홀영역(3210)이 형성된다.And the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3210 corresponding to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3121 is formed in the base layer 320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3000)는 윈도우 커버(100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재가 유출되는 게이트 영역이 필름층 버튼홀영역(3121)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걸이부인 필름층 게이트영역(도 5에 1271로 도시함)을 통해 필름층이 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층(3200)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베이스층 버튼홀영역(3210)으로부터 베이스층(3200)의 외주부를 향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ow cover 3000 for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window cover 1000 , the gate region through which the injection material flows out is formed inside the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3121 , so that the film layer gate which is a hook portion The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forming the base layer 3200 in a state where the film layer is mounted through the region (shown as 1271 in FIG. 5 ) is directed from the base layer buttonhole region 3210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layer 3200 can confirm.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3000)에 있어서 베이스층(3200)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유동흐름은 Moldex3D, Optic Module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flow of the injection material forming the base layer 3200 in the window cover 3000 for a display device can be confirmed through Moldex3D and the Optic Modul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윈도우 커버 1100 : 베이스층
1110, 1110', 1110": 제1 영역
1120, 1120', 1120": 제2 영역
1200 : 필름층 1250 : 게이트 영역
1271: 필름층 게이트영역 1272: 필름층 버튼홀영역
1300 : 플로우 마크
1000: window cover 1100: base layer
1110, 1110', 1110": first area
1120, 1120', 1120": second area
1200: film layer 1250: gate region
1271: film layer gate region 1272: film layer buttonhole region
1300: flow mark

Claims (21)

결점 저감 및 복굴절 성능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하는 단계;
하부 금형을 상기 상부 금형과 소정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금형 내로 멜트 인덱스(MI)가 300℃에서 30~50 cm3/10min인 사출재를 주입하는 단계;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defect reduction and birefringence performance,
Mounting the insert film on the upper mold;
positioning the lower mo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mold;
injecting an injection material having a melt index (MI) of 30-50 cm 3 /10min at 300° C. into the mol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의 충격 강도는 50~60kJ/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mpact strength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50 ~ 60kJ / m 2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의 평균 입경은 2~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2-3mm.
제1항에 있어서,
사출재의 온도는 270~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material is 270 ~ 32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재는 PC 또는 PM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material is PC or PMM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내로 사출재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사출 속도는 4개의 스트로크 구간 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mol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speed is controlled for each of the four stroke s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구간은 노즐 선단의 위치를 0mm이라 할 때, 스크류 선단의 위치가 33~37mm, 23~27mm, 10~14mm, 5~9mm 인 위치를 기준으로 1구간, 2구간, 3구간 및 4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sition of the nozzle tip is 0mm, the stroke section is 1 section, 2 section, 3 section and 4 sec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crew tip of 33~37mm, 23~27mm, 10~14mm, 5~9m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속도는 2구간에서의 사출 속도가 1구간에서의 사출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jection spe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speed in the second section is greater than the injection speed in the first s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속도는 1구간에서 40~50mm/s, 2구간에서 75~85mm/s, 3구간에서 75~85mm/s, 4구간에서 65~75m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jection speed is 40-50mm/s in section 1, 75-85mm/s in section 2, 75-85mm/s in section 3, 65-75mm/s in section 4 of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필름을 상부 금형에 거치하는 단계 전에
인서트 필름을 프리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of mounting the insert film on the upper mold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forming the insert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온도는 7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70 ~ 95 ℃.
제1항에 있어서,
사출재를 주입하는 게이트의 온도는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ate for injecting the injection material is 20 ~ 40 ℃.
제1항에 있어서,
압축 코어의 온도는 8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80 ~ 10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코어의 온도는 상기 상부 금형의 온도보다 크되,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압축 코어의 온도차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core is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mold,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compression core is 10° C.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압축 유지 시간은 8~1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the compression holding time is 8 to 10 seco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코어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형체력은 250~600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pressing the compression core, the clamping force is 250 to 600 t.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제17항에 있어서,
평면측 평균 리타데이션 값은 5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18. The method of claim 17,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side average retardation value is 50 nm or less.
제17항에 있어서,
입사각 45° 각도에서의 평균 리타데이션 값은 27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18. The method of claim 17,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retardation value at an incident angle of 45° is 270 nm or less.
제17항에 있어서,
입사각에 따른 평균 리타데이션 편차값은 2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18. The method of claim 17,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retardation deviation value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is 20 nm or less.
제20항에 있어서,
평탄도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21. The method of claim 20,
A window cover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ness is 0.8 or less.
KR1020210073787A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2022003341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5707 2020-09-09
KR20200115705 2020-09-09
KR1020200115705 2020-09-09
KR1020200115707 2020-09-09
KR1020200115706 2020-09-09
KR20200115706 2020-09-09
KR1020200151297 2020-11-12
KR1020200151298 2020-11-12
KR1020200151296 2020-11-12
KR20200151297 2020-11-12
KR20200151299 2020-11-12
KR20200151298 2020-11-12
KR1020200151299 2020-11-12
KR20200151296 2020-11-12
KR20200153971 2020-11-17
KR1020200153971 2020-11-17
KR1020210046532A KR20220033401A (en) 2020-09-09 2021-04-09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KR1020210046532 2021-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413A true KR20220033413A (en) 2022-03-16

Family

ID=80937834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81A KR20220033407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3A KR20220033409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7A KR20220033413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2A KR20220033408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8A KR20220033414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0A KR20220033406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4A KR20220033410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KR1020210073785A KR20220033411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KR1020210073786A KR20220033412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81A KR20220033407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3A KR20220033409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82A KR20220033408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8A KR20220033414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0A KR20220033406A (en) 2020-09-09 2021-06-07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KR1020210073784A KR20220033410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KR1020210073785A KR20220033411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KR1020210073786A KR20220033412A (en) 2020-09-09 2021-06-07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9) KR2022003340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484A (en) 2005-04-26 2007-12-24 야스히로 고이께 Nonbirefringent optical resin material and optical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10622B (en) 2004-09-03 2010-10-06 住友化学株式会社 Display device with birefringent substrate
KR101488186B1 (en) 2013-10-02 2015-01-30 에이테크솔루션(주) A low pressure injection compression moulding method for production of a light guide p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484A (en) 2005-04-26 2007-12-24 야스히로 고이께 Nonbirefringent optical resin material and optic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408A (en) 2022-03-16
KR20220033412A (en) 2022-03-16
KR20220033410A (en) 2022-03-16
KR20220033407A (en) 2022-03-16
KR20220033414A (en) 2022-03-16
KR20220033409A (en) 2022-03-16
KR20220033406A (en) 2022-03-16
KR20220033411A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47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d spectacle lens
US680700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d spectacle lens
US9242418B2 (en) Ophthalmic lens containing a fresnel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696955B1 (en) Moulded photochromic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942945B2 (en)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compression molded product by the method
TWI418455B (en) Injection molded multiple layer glazings
US8964314B2 (en) Lens and method of molding lens
EP1434080A2 (en) Spectacle lens
EP2666620A1 (en) Plastics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37726A1 (en) In-mold molded product, in-mold mold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in-mold molded product
KR2022003341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and window cover
US67302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s having an integral hollow body frame member
CN110587910A (en) Injection molding method of composite structure transparent part
US8603382B2 (en) Plastics molding system and optical element formed by the same
US4193668A (en) Mirr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371773B1 (en) Windows for automobiles or the lik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3340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cover for display device
US20140087144A1 (en) Resin molded product
JP201505865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sign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esign panel for display device
JP2001225348A (en) Mold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JPH01259039A (en) Camera lens-barrel, raw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JP2002046159A (en) Method for producing large-size light guide plate having pattern
JP3075321B2 (en) Synthetic resin lens and molding method thereof
EP3354439B1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weld line free minus power lens elements
KR102439411B1 (en) Injection prism for rear camera and folded camer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