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02A - 주사액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주사액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02A
KR20220032702A KR1020200114362A KR20200114362A KR20220032702A KR 20220032702 A KR20220032702 A KR 20220032702A KR 1020200114362 A KR1020200114362 A KR 1020200114362A KR 20200114362 A KR20200114362 A KR 20200114362A KR 20220032702 A KR20220032702 A KR 2022003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solution
injection
connection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주식회사 지엔 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주식회사 지엔 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20011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702A/ko
Publication of KR2022003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2005/341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angularly adjustable or angled away from the axis of the inj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액 주사장치는 주사액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주사액을 보관 및 확산시키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니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액 주사장치{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on Liquid}
본 발명은 주사액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 등 주사액을 주입 시 일반적인 굵은 주사바늘 대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니들부를 사용하여 주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자극 및 통증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인 주사기 또는 앰플 주사기와 호환이 가능하여 사용범위가 넓은 주사액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여러가지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러한 피부의 진피층 또는 그 이하의 부위에 필요로 하는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에는 피부에 약물을 바르는 방법, 주사바늘을 통해 얕게 찔러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피부에 약물을 바르는 방법은 두껍고 건조한 표피층, 특히 촘촘한 기저막을 뚫고 피부 속으로 약물이 전달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피부에 바른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기 중으로 증발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달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백질 분자량 약 500Da(Dalton) 이상과 같이 특정한 분자량 이상인 경우에는 피부를 통해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사바늘을 이용하는 시술 방법에 사용되는 도구로는 일반적으로 주사기가 있고, 주사기는 약물이 저장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는 바늘,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플렌저로 구성되며, 실린더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피스톤으로 밀어내어 바늘을 통해 인체로 주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주사기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은 통로에 남아 있는 약물로 인해 주사 용량의 조절이 어렵고, 두꺼운 주사바늘로 인해 주사 부위에 통증이 수반되고, 피부 손상 또는 출혈 등과 같은 강한 피부자극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사액을 주입 시 한 군데에 집중될 경우에는 주사액이 사용자의 피부 내부에 뭉쳐서 사용자의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이로 인한 2차 통증이 발생하고, 높아진 주사액의 압력으로 주사액이 역류하여 피부 외부로 분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주사기는 시술자가 피스톤을 누르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고, 실린더 역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시술자에게 많은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의료진 등과 같이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사람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679664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부 등 주사액을 주입 시 일반적인 굵은 주사바늘 대신 복수의 얇은 니들을 사용하여 주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자극 및 통증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인 주사기 또는 앰플 주사기와 호환이 가능하여 사용범위가 넓은 주사액 주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사액 주사장치는 주사액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주사액을 보관 및 확산시키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니들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부가 결합되는 상기 분배부의 일측에는 상기 니들부가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니들 연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연결부에 상기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니들부의 일측에는 상기 니들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부는 상기 분배부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상기 니들부의 종단부는 상광하협하게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부가 구비되는 상기 니들 연결부의 일면에 상기 니들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층의 높이는 상기 니들부의 수직 길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액이 수용된 카트리지의 일측을 관통하는 연결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니들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액 주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반 주사기 또는 앰플과 같은 카트리지를 결합하여 주사하는 카트리지 주입기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굵은 주사바늘 대신 복수의 얇은 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 등과 같은 주사 부위의 자극을 최소화하고, 통증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분배부를 통해 주사 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한 번의 주사로 넓은 범위에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니들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주사용액을 경사지게 주입하여 주사용액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주사용액이 피부 속에서 뭉쳐 사용자의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일반적인 주사기의 팁 헤드와 분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해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주사기, 카트리지 주입기 등과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분배부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탄성층을 구비하여 피부 내부로 주입되는 니들부의 깊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탄성층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니들부가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외력을 제거하는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니들부가 이탈되며, 분배부 역시 사용자의 피부에서 자동으로 분리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사용 전, 후에 니들부가 탄성층의 내부에 보관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예리한 니들부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니들부는 분배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분배부를 반복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하나의 분배부에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한 번에 다량의 주사액을 주입하거나, 상호 다른 주사액을 혼합하며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사액 주사장치의 구성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일반적인 주사기(1100)와 같이 직경이 큰 바늘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니들부(300)로 주사액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주입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연결부(100), 분배부(200), 니들부(300) 및 탄성층(500)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00)는 주사기(1100) 등과 같이 주사액을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주사액이 분배부(200)를 통해 니들부(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공급장치와 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부(100)의 구성 및 형상은 공급장치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공급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100)인 경우에는 주사기(1100)의 종단에 형성되는 팁 헤드(1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팁 헤드(111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0)의 내주면 일측에는 주사기(1100)의 팁 헤드(1110) 사이를 밀봉하여 주사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O-Ring) 등의 밀봉부재(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110)는 연결부(100)의 내주면 일측을 부분 적으로 감싸거나,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분배부(200)는 연결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복수의 니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사 될 수 있도록 주사액을 분배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배부(200)는 연결부(100)를 통해 주입된 주사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은 연결부(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며, 이러한 통공의 크기 및 개수는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분배부(200)의 횡단면은 사용양태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 초승달형상 또는 불규칙한 비정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배부(200)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공급장치와 비교하여 그 면적을 상당히 넓게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그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사용양태에 따라 분배부(200)의 면적은 공급장치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배부(200)의 면적은 제한적이지 않다. 또한, 분배부(200)는 연결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공급장치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연결부(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니들부(300)는 분배부(2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분배부(200)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분배부(200)의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사용자의 피부의 표피층 하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주사액이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때, 니들부(300)는 피부를 용이하게 뚫기 위하여 분배부(200)와 직각 또는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니들부(300)는 표피층 하부로 주입되는 주사액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주사한 주사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사액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주입할 수 있도록 분배부(2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니들부(300)의 설치 각도는 약 10도 내지 1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좋으나, 그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니들부(300)의 두께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주사 용량 및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한 얇은 두께를 갖는 니들부(3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 니들부(300)의 하단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베벨 절단(Bevel Cut)하거나, 종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져서 상광하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피부로 침투하는 니들부(300)의 하단의 형상은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니들부(300)의 상단은 몸체부의 내부로 소정간격 노출되도록 구비되거나, 몸체부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니들부(300)의 상단이 몸체부의 내부로 노출되는 길이 등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뿐, 제한적이지 않다. 도 1에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니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형태의 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사용양태에 따라 단일 형상의 니들부(300)를 사용하거나, 도 1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니들부(300)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분배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니들부(300)는 임의로 분배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10)는 니들부(3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분배부(200)와 니들부(300)가 접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분배부(200)에서 니들부(3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탄성층(500)은 니들부(300)가 구비되는 분배부(200)의 일면에 니들부(30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니들부(300)가 임의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에 의해서 니들부(300)가 사용자의 피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동시에,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니들부(300)를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탈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층(50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탄성층(500)의 두께는 분배부(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니들부(3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탄성층(500)은 다양한 밀도를 갖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층(500)의 밀도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로 삽입되는 니들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로 삽입되는 니들부(3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는 탄성 밀도를 갖는 재질의 탄성층(50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양태에 따라 탄성층(500)은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탄성층(500)은 분배부(200)와 접촉하는 일측에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제1층, 제1층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재질로 제2층을 포함하는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층은 제2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압축이 적게 되고, 제2층은 제1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제1층과 제2층의 높이를 조절하여 탄성층(5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니들부(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피부로 침투되는 니들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0)가 주사기(1100) 등의 공급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즉, 주사기(1100)의 팁 헤드(1110)가 연결부(100)로 사용되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분배부(200)까지 전체적으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부(300)가 분배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니들부(300)를 분배부(200)에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분배부(200)를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분배부(20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분배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니들 연결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니들 연결부(210)는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은 니들부(300)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니들부(300)의 일측에는 니들부(300)를 니들 연결부(210)에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320)가 구비된다. 이때, 결합부(320)는 니들부(300)를 안정적으로 분배부(200)의 니들 연결부(210)에 착탈 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니들 연결부(210)를 감싸는 커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부(320)는 니들 연결부(21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나사결합 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니들부(300)는 사용양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부가 베벨 절단된 형태, 종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져서 상광하협한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니들부(3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각도 역시 수직하게 삽입되거나, 소정각도 경사지게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부(320)의 하부에 개별적인 탄성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갖는 니들부(300)가 착탈 방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양태 및 사용자 피부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갖는 니들부(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생을 위하여 니들부(300)만 교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분배부(200)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주사액 및 니들부(300)만 교체하여 사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으며, 사용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하나의 분배부(200)에 복수의 연결부(100)가 형성된다. 이처럼 하나의 분배부(200)에 복수의 연결부(10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피부에 침투한 니들부(300)를 제거하지 않고, 많은 양의 주사액 또는 상호 다른 종류의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분배부(200)에 3개의 연결부(100)가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사용되는 주사액의 용량 및 종류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주사액을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주사기(1100)가 아닌 앰플 등과 같은 카트리지(1200)를 카트리지 주입기(1300)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경우 카트리지(1200)의 일측을 개방시켜 주사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부(100)의 일측에 카트리지(1200)를 개방하기위한 연결 니들(400)이 더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앰플과 같은 카트리지(120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관통이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얇은 고무막 등으로 관통이 용이한 관통막(1210)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압에 의해 내부로 삽입되며 주사액을 관통이 이루어진 관통막(1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전달하는 덮개유닛(122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1200)는 내부에 카트리지(1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면 및 상면이 개방된 실린더(1310) 및 실린더(131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1310) 내부에 삽입된 카트리지(1200)의 덮개유닛(1220)을 가압하는 플렌저(132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를 이용하여 카트리지(1200)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에 포함되는 연결 니들(400)은 카트리지 주입기(1300)에 삽입된 카트리지(120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막(1210)을 관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 니들(400)은 연결부(100)에 구비되어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을 관통시켜 카트리지(1200)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이 연결 니들(400)을 통해 분배부(2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때, 연결 니들(400)의 상단은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을 용이하게 관통하기 위하여 상단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베벨 절단되거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니들(400)은 연결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 니들(4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외주면 하부 일측에 연결 니들(400)을 연결부(10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 유닛(410)이 구비될 수 있다.
착탈 유닛(410)은 연결 니들(400)을 연결부(100)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착탈 유닛(410)은 연결 니들(400)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커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유닛(410)은 연결부(100)에 억지끼워맞춤 또는 나사결합 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제5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에 구비되는 연결 니들(400)은 연결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부(100)의 상단을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베벨 절단하거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100)의 상단을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을 관통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관통막(1210)을 관통시키는 동시에 주사액이 주입되는 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
(제7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주사기(1100) 또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0)가 분배부(2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20)는 주사기(1100)의 팁 헤드(1110) 또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에 결합되는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이 연결부(100)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220)는 분배부(200)의 상부 일측에 주사기(1100) 또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와 같은 공급장치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제8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전반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사용자의 피부에 니들부(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니들부(300)가 삽입되는 사용자의 피부 일측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피부 고정부(23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피부 고정부(230)는 분배부(200)의 하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니들부(300) 및 탄성층(500)을 감싸도록 분배부(200)의 하면 테두리부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피부 고정부(2300의 높이는 분배부(200)에 구비되는 니들부(300)의 길이 또는 탄성층(500)의 두께 중 더 길게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길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의 사용양태를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주사기(1100)와 같은 공급장치를 주사액 주사장치(10)의 연결부(100)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주사기(1100)를 가압하면 주사기(1100) 내부에 수용 중이던 주사액이 연결부(100)를 통과하여 분배부(200) 내부로 일정량의 주사액이 주입되며, 분배부(200) 및 니들부(300) 내부에 삽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사용자가 투약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탄성층(500)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하며 니들부(300)의 종단부 일측이 탄성층(50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이때, 탄성층(500)은 탄성한계 등에 따라 니들부(300)의 삽입 깊이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압력 조절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일정 깊이의 니들부(300)를 사용자의 피부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니들부(300)의 지경은 매우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에 발생하는 자극 및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사기(1100)와 같은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장치 내부에 수용중인 주사액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로 투약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주사액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주사액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로 투약되면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주사액 주사장치(10)를 가압하던 힘을 해제한다.
이렇게 외부에서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층(500)은 복원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니들부(300)가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탈되며 주사액 주사장치(10)가 사용자의 피부에서 자동으로 분리된다.
이렇게 사용이 완료된 주사액 주사장치(10)의 니들부(300)는 탄성층(500) 내부에 보관이 되기 때문에 사용 전, 후 니들부(30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인 주사기(1100)의 팁헤드(1110) 부분과 연결부(100)가 일체로 이루어져, 공급장치와 주사액 주사장치(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를 통해 주사액을 주입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지지만, 공급장치와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연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부(300)가 분배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급장치와 주사액 주사장치(10)를 결합하기 전에 사용자의 피부 상태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니들부(300)를 선택하여 분배부(200)에 형성되는 니들 연결부(210)에 결합부(320)를 결합하여 니들부(300)를 분배부(200)에 결합한다.
이후의 공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공정은 전반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4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하나의 분배부(200)에 복수의 연결부(100)가 구비되고, 복수의 연결부(100)에 각각 공급장치가 연결된다. 이처럼 복수 연결되는 공급장치는 동시에 주사되거나, 순차적으로 주사될 수 있다.
상세한 주사액 주입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공급장치로 주사기(1100) 대신 앰플 등의 카트리지(1200) 및 카트리지 주입기(1300)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주입기(1300)의 실린더(1310)에 카트리지(1200) 및 플렌저(13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또한, 니들부(30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니들부(300)를 분배부(200)에 결합한다. 이러한 니들부(300)의 결합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연결 니들(400) 역시 연결부(100)에 결합한다. 이러한 연결 니들(400)의 결합은 연결 니들(400)의 일측에 구비된 착탈 유닛(410)을 억지끼워맞춤 또는 나사결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100)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주입기(1300)로 구성된 공급장치를 주사액 주사장치(10)의 연결부(100)에 연결한다. 이처럼 카트리지 주입기(1300)를 연결부(100)에 연결하면 연결부(100)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 니들(400)이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을 관통하며 카트리지(1200) 내부에 삽입된 주사액이 연결 니들(400)(연결부(100))을 통해 분배부(200)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플렌저(1320)를 이용하여 카트리지(1200)의 덮개유닛(1220)을 가압하면 카트리지(1200) 내부에 수용 중이던 주사액이 분배부(200) 내부로 주입되며 분배부(200) 및 니들부(3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사용자가 투약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위치시킨다.
이후의 주사액을 사용자의 피부로 주입시키는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유사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0)와 연결 니들(400)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6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를 통해 주사액을 주입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5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이루어지지만, 연결부(100)에 연결 니들(400)을 결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외의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7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7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200)의 상면 중심 일측에 가이드부(2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사기(1100) 또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와 같은 공급장치를 가이드부(220)를 따라 주사액 주사장치(10)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220)를 따라 공급장치를 주사액 주사장치(10)를 결합하면, 주사기(1100)의 팁 헤드(1110) 또는 카트리지 주입기(1300)에 결합되는 카트리지(1200)의 관통막(1210)이 주사액 주사장치(10)의 연결부(100)와 대응되는 위치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사액 주사장치(10)와 공급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공급장치에서 주사액 주사장치(10) 및 사용자의 피부로 주사액을 공급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가이드부(220)가 공급장치의 외주면 일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주사액을 공급할 수 있다.
가이드부(220)를 통해 공급장치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공정 외에 나머지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유사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8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사액 주사장치(10)는 도 8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200)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피부 고정부(2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사용자가 투약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위치시키고, 주사액 주사장치(10)를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피부 고정부(230)가 피부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피부 고정부(230)의 내부의 피부를 당겨주게 된다. 사람의 피부는 평평하지 않고, 곡선을 띠고 있기 지만, 피부 고정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는 팽팽하게 당겨지며 니들부(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최대한 평평하게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해 니들부(300)는 피부 삽입 시 피부의 곡선에 의해 미끄러짐을 최소화하여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니들부(30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니들부(300)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니들부(300) 및 피부 고정부(230)의 길이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니들부(300) 및 피부 고정부(230)의 길이는 매우 짧기 때문에 피부 고정부(230)로 인해 니들부(300)가 사용자의 피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피부 고정부(230)를 통해 주사액 주사장치(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배치 및 압착되는 공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유사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사액 주사장치
100: 연결부
110: 밀봉부재
200: 분배부
210: 니들 연결부
220: 가이드부
230: 피부 고정부
300: 니들부
310: 고정부
320: 결합부
400: 연결 니들
410: 착탈 유닛
500: 탄성층
1100: 주사기
1110: 팁 헤드
1200: 카트리지
1210: 관통막
1220: 덮개유닛
1300: 카트리지 주입기
1310: 실린더
1320: 플렌저

Claims (11)

  1. 주사액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주사액을 보관 및 확산시키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니들부;
    를 포함하는 주사액 주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공급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주사액 주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결합되는 상기 분배부의 일측에는 상기 니들부가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니들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연결부에 상기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니들부의 일측에는 상기 니들 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상기 분배부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상기 니들부의 종단부는 상광하협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구비되는 상기 니들 연결부의 일면에 상기 니들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탄성층을 더 포함하는 주사액 주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높이는 상기 니들부의 수직 길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구비되는 주사액 주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액이 수용된 카트리지의 일측을 관통하는 연결 니들을 더 포함하는 주사액 주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니들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주사액 주사장치.
KR1020200114362A 2020-09-08 2020-09-08 주사액 주사장치 KR20220032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62A KR20220032702A (ko) 2020-09-08 2020-09-08 주사액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62A KR20220032702A (ko) 2020-09-08 2020-09-08 주사액 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02A true KR20220032702A (ko) 2022-03-15

Family

ID=8081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362A KR20220032702A (ko) 2020-09-08 2020-09-08 주사액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7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664B1 (ko) 2015-10-14 2016-11-25 제이에스케이바이오메드 (주) 피부주사용 멀티니들 및 이를 이용한 주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664B1 (ko) 2015-10-14 2016-11-25 제이에스케이바이오메드 (주) 피부주사용 멀티니들 및 이를 이용한 주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844B2 (en) Angled inserter for drug infusion
US4966588A (en) Device suita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a therapeutic substance
US6843783B2 (en) Injection needle and injection apparatus
US8088108B2 (en) Rapid local anesthesia injection cone
US4421508A (en) Vacuum-compression injector
JP3633615B2 (ja) 針を使用しない注射装置
US9044556B2 (en) Injector
US4403609A (en) Vacuum-compression injector
JPS62201159A (ja) 柔軟性カニユ−レ式皮下注入セツ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398851B2 (en) Injection needle assembly and medicine injection device
US8409147B2 (en) Rapid local anesthesia linear injection device
JPS61265146A (ja) 物質特に治療用物質の長期的注入用の埋設可能の装置
TWI674910B (zh) 藥液注入裝置
KR10138374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멀티니들 조립체
KR102309710B1 (ko) 주사기형 마이크로니들
US20120179114A1 (en) Syringe needle assembly an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CA3029309A1 (en) A system for inner ear drug delivery via trans-round window membrane injection
US201203101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rmal delivery
KR20220032702A (ko) 주사액 주사장치
KR20190037784A (ko) 주사장치
CN116018176A (zh) 带有针状突起的器件
KR102262287B1 (ko) 마이크로 니들 장치
KR102247709B1 (ko) 주사액 주사장치
US20030060780A1 (en) Epidermic injection device
US10967163B1 (en) Sterile applicator assembly with hollow microneedle ar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