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666A -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 Google Patents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666A
KR20220032666A KR1020200114271A KR20200114271A KR20220032666A KR 20220032666 A KR20220032666 A KR 20220032666A KR 1020200114271 A KR1020200114271 A KR 1020200114271A KR 20200114271 A KR20200114271 A KR 20200114271A KR 20220032666 A KR20220032666 A KR 2022003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xing
chemical liquid
mask body
korea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원
Original Assignee
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원 filed Critical 서재원
Priority to KR102020011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666A/ko
Publication of KR2022003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닥나무를 원료로 만드는 한지가 가지는 항균성에 황토의 항균성을 더해 바이러스 및 비말 등의 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Hanji mask with yellow soil ingredient}
본 발명은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한지가 가지는 항균성에 황토의 항균성을 더해 바이러스 및 비말 등의 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용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황사마스크, 방역용 마스크 등으로 구분되어 제작되는 것으로 인체의 코와 입 부분 및 턱을 포함한 안면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쉬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고정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들이마시지 않게 하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흡입이나 비산을 막아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유해 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기 등을 예방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마스크는 감기 예방 또는 미세먼지의 차단을 위해 특정 계절에만 사용하지 않고 외출할 때에 또는 다수가 모여 있는 실내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가 대유행중이며,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코로나 19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한 상태로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1월 20일에 첫 환자 발생 이후 현재 까지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며 이렇게 위험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쓰기, 손닦기 등의 방법에 제시되고 있다.
이 중 마스크를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마스크 착용이 필수사항이 되고 있어 KF94, KF80 마스크를 주로 착용하였으나, 더운 여름철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마스크를 쓰고 생활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방역당국에서는 더운 여름철에는 1회용 부직포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인 덴탈 마스크는 비말을 포함하는 이물질 및 바이러스의 차단능력이 떨어져 예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에서 호흡으로 인한 습기에 의해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습기에 의해 오히려 세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17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지가 가지는 항균성에 황토의 항균성을 더해 바이러스 및 비말 등의 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얼굴을 가리며 상측에 일정 길이의 안면 밀착부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 마스크 본체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마스크 본체는 안면과 접촉되는 내피; 내피의 외측에 형성되는 필터층; 필터층 외측에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며, 필터층은 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층은 한지와 황토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층은 한지로 이루어진 한지층과, 상기 한지층의 곁면에 황토성분이 포함된 코팅물질이 도포된 황토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는 내피, 황토 코팅층, 한지층, 황토코팅층 및 외피로 이루어져 5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본체는 성인 또는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귀걸이부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귀걸이부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마스크 본체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걸이부; 상기 한 쌍의 고정걸이를 연결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끈; 상기 고정끈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귀 뒤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끈의 중앙부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저장부; 상기 약액저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고정끈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며 약액저장부의 약액이 이동하는 약액이동끈; 상기 약액이동끈의 끝단에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와 접하는 상기 고정걸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이동된 약액을 마스크 본체로 확산시키는 약액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걸이부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고정단과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결합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끈 및 상기 약액이동끈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 방향인 일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된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고정끈 통과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하는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약액이동끈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끈은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고정끈 통과부를 통과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지 않은 고정끈과 결합되고, 상기 약액이동끈 및 약액확산부는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약액이동끈 통과부를 통과하고 상기 약액확산부가 상기 고정단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약액이동끈은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둘레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원발명은 한지 필터층을 포함하여 재질이 부드럽지만 강도가 강하고 흡습성이 뛰어는 특성에 의해 습도와 공기를 조절하고 이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잡냄새와 습기를 없애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이 촘촘해 비말 등의 이물질 차단 능력이 향상되고, 더운 여름철 자외선을 차단해주고 땀 등으로 인해 습해진 마스크가 빠르게 건조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좋아 숨쉬는 것에 불편 감을 덜 느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원발명은 한지에 황토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항균성 및 소취성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원발명은 마스크의 착용을 일시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 마스크 본체에서 고정걸이부의 결합을 일부 해제하여 옷의 어깨 또는 목 부분 등에 결합하여 마스크를 내려놓지 않음으로써 마스크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본원발명은 약액저장부, 약액이동끈 및 약액확산부가 고정끈과 고정걸이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약액을 다 사용한 경우 고정끈 및 고정걸이부는 그대로 사용하고 약액저장부, 약액이동끈 및 약액확산부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착용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귀걸이부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약액 저장 및 이동을 위한 구성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가 고정걸림부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고정단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귀걸이부를 이용해 마스크를 고정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발명인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는 일회용 부직포 마스에 관한 것이며, 일 실시예로서, 본원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와 귀걸이부(2)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본체(1)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을 가지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거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9)는 얼굴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안면 밀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밀착부(11)는 착용자의 코에 맞춰 조절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지되,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는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나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스크 본체(1)는 안면과 접촉되는 내피(13)와 내피(13)의 외측에 형성되는 필터층(15) 및 필터층(15) 외측에 형성되는 외피(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세 겹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1)는 내피(13), 필터층(15) 및 외피(15)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가장자리 부분을 고주파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때, 코가 닿는 상부에는 안면 밀착부(11)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피(13), 필터층(15) 및 외피(15)를 적층한 후 안면 밀착부(11)를 올리고 적층된 내피(13), 필터층(15) 및 외피(15)로 안면 밀착부(11)가 덮이도록 접은 상태에서 안면 밀착부(11)를 피해 고주파 융착 및 초음파 융착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된 내피(13), 필터층(15), 외피(15)를 일체회시키는 통시에 안면 밀착부(11)도 마스크 본체(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1)를 융착하기 전 마스크 본체(1)의 상하방향 중앙 부분에 가로방향을 따라 주름(12)을 형성한 후 융착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시 융착되지 않은 주름(12) 부분이 펴져 고와 입 등 얼굴의 윤곽에 따라 늘어나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피(13) 및 외피(15)의 재질은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필터층(15)은 한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지 제조 시 황토성분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층은 한지로 이루어지는 한지층(15-2)을 포함하며, 한지층의 겉면 전체에 황토성분이 포함된 코팅액을 도포하여 황토코팅층(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서, 본원발명은 한지에 황토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황토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는 내피(13), 황토 코팅층(15-1), 한지층(15-2), 황토코팅층(15-1) 및 외피(14)로 이루어져 5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지는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뜬 독특한 종이를 말하는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인 것이다.
이러한 한지는 항균성, 소취성, 속건석, 원적외선 방사, 흡수성 및 통기성 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염성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군에 대해 99.9% 정균 감소율을 갖는 항균성을 보이며, 생활속에서 불쾌감을 주는 3대 악취중 하나인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율이 매유 높은 위생섬유로 소취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체의 땀 및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발산 시켜 항상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속건성의 특징이 있으며, 인체의 생기작용을 활성화시켜 인체 내의 오폐물 제고 및 혁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면 섬유보다 흡수성이 우수하며 건조성 또한 월등히 뛰어난 섬유소재이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성질이 매우 높아 인체를 쾌적하게 유지시켜주고, 스트레스 호르면은 코르티졸의 농도를 줄여주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유리문처럼 빛을 반사시켜 눈부시게 하지 않고 햇빛이나 전등 빛이 직접 투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지의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한지 황토 마스크는 재질이 부드럽지만 강도가 강하고 흡습성이 뛰어는 특성에 의해 습도와 공기를 조절하고 이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잡냄새와 습기를 없애줄 수 있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조직이 촘촘해 비말 등의 이물질 차단 능력이 향상되고, 더운 여름철 자외선을 차단해주고 땀 등으로 인해 습해진 마스크가 빠르게 건조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좋아 숨쉬는 것에 불편감을 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본원발명은 황토성분을 한지의 표면에 코팅하여 황토 코팅층(15-1)을 형성하거나 한지에 황토성분을 포함시켜 필터층(15)을 이루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황토는 주로 실트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을 말하는 것으로, 대게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큰 특징이 있다.
또한, 60-70%의 석영을 함유하며, 장석과 운모는 10-20%, 탄산염광물은 5-35%를 구성하고 있으며, 약 2-5%의 실트는 감섬석, 인회석, 흑운모, 녹니석, 디스첸, 녹렴석, 석류석, 해록석, 휘석, 금홍석, 규선석, 십자석, 전기석 등과 같은 광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황토 내에는 카탈라제 효소, 디페놀 옥시다아제 효소, 사카라제 효소, 프로테아제 효소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독소제거, 분해력 및 정화작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황토의 항균성은 92.8%로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며, 공기를 잘 통하게 하주고 습도 조절 능력이 좋으며 냄새 제거에 탁월한 효과 등이 있다.
이렇게 한지와 황토는 항균성, 소취성 및 마스크에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한지에 황토성분을 더해 마스크에 적용시킴으로써 더운 여름철 땀으로 인해 마스크가 오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일정부분 차단할 수 있으며 장시간 마스크 착용에 의해 마스크에서 발생되는 냄세의 제거를 통해 마스크 착용시간 동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황토를 한지에 포함시키거나 한지에 코팅함으로써 본원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는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1)에 연결되는 귀걸이부(2)는 상기 마스크 본체(1)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상하방향에 결합되어 귀에 걸리는 부분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2)는 귀에 걸리는 부분으로 장시간 착용 시 귀에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탄성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와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렇게, 마스크 본체(1)에 귀걸이부(2)가 융착되어 일체화 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이며,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 본체(1)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에서 귀걸이부(2)는 착탈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귀걸이부(2)는 코와 입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재사용을 하는 것이고, 마스크 본체(1)만 교체해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 귀걸이부(2)는 탄성이 있는 고정끈(100)으로 이루어지며 마스크 본체(1)와 연결되는 부분은 멜빵의 클립 또는 집게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걸이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걸이부(200)는 마스크 본체(1)와 고정끈(100)을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연결해 줄 수 있는 형태라면 멜빵 클립 및 집게가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귀걸이부(2)는 일체로 형성되는 귀걸이부(2)와 마찬가지로 마스크 본체(1)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상하방향에 결합되는 것으로 양쪽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끈(100)의 양 끝에 마스크 본체(1)에 결합되는 고정걸이부(20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렇게 귀걸이부(2)가 마스크 본체(1)와 분리되고 결합부분인 고정걸이부(200)가 멜빵 클립 또는 집게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마스크 본체(1)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을 때 마스크의 귀걸이부(2)에 별도로 걸어 마스크를 벗었을 때 마스크를 목걸이처럼 목에 걸어 목걸이의 오염을 막는 마스크 스트랩을 별도로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마스크의 착용을 일시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 마스크 본체(1)에서 고정걸이부(200)의 결합을 일부 해제하여 옷의 어깨 또는 목 부분 등에 결합하여 마스크를 내려놓지 않음으로써 마스크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방향 및 향균을 위한 약액이 저장되고 이를 마스크 본체(1)로 확산할 수 있는 귀걸이부(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스크 본체(1)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귀걸이부(2)도 마스크 본체(1)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귀걸이부(2)에 방향 및 항균을 위한 약액을 저장하고 이를 마스크 본체(1)에 확산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귀걸이부(2)는 고정걸이부(200), 고정끈(100), 액약 저장부, 약액이동끈(400) 및 액약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걸이부(200)의 집게 형태는 멜빵의 클립 또는 이름표 고정에 사용되는 집게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끈(100)은 양 단에 고정걸이가 각각 연결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액저장부(300)는 상기 고정끈(100)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귀 뒤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끈(100)의 중앙부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액저장부(300)는 귀의 뒷 부분에 닿았을 때 장시간 착용에 의한 통증을 줄이고 미세한 압력에도 약액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수준의 탄성 및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및 신축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약액이동끈(400)은 상기 약액저장부(300)의 양측에서 상기 고정끈(100)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며 약액저장부(300)의 약액이 이동하는 부분이며, 상기 액약 저장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확산부(500)는 상기 약액이동끈(400)의 끝단에 상기 액약이동끈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으로 형성되며 마스크와 접하는 상기 고정걸이부(20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고정걸이부(200)와 마스크 본체(1) 결합 시 마스크 본체(1)와 접하게 되며 이동된 약액을 마스크 본체(1)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약액저장부(300)에 저장된 약액은 귀걸이부(2)를 귀에 걸었을 때 귀의 뒷 부분에 닿아 압박되는 압력에 의해 미세량이 약액이동끈(400)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약액저장부(300)에 저장된 약액은 방향 및 항균을 위한 성분으로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수액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피톤치드는 천연 성분으로 방향 및 항균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향이 강하지 않아 마스크 본체(1)에 확산되더라도 마스크 착용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하여 가장 적합한 물질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2)의 구제척인 결합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고정걸이부(200)는 고정단(210)과 상기 고정단(210)에 연결되어 고정단(210)과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결합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멜빵클립 또는 집게의 형태에서 일부 구성만 변경된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단(210)은 멜빵 클립 또는 집게에서 회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부분으며, 결합단(220)은 고정단(210)을 압박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결합단(220) 및 결합단(220)이 고정단(210)을 압박하여 결합하거나 결합해지를 위해 형성되는 부분은 기존의 공지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단(210)의 일부 구조만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210)은 내부공간(211), 고정끈 통과부(212) 및 약액이동끈 통과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내부공간(211)은 상기 고정끈(100) 및 상기 약액이동끈(400)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1)와 결합되는 부분이 반대 방향인 일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끈 통과부(212)는 상기 내부공간(211)의 끝 지점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가 접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약액이동끈 통과부(213)는 상기 내부공간(211)의 끝 지점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1)가 접하는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공간(211)으로 삽입된 고정끈(100)과 약액이동끈(400)은 반대방향인 고정끈 통과부(212)와 액약이동끈 통과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끈(100)은 상기 고정단(210)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211)을 지나, 상기 고정끈 통과부(212)를 통과해 내부공간(211)으로 삽입되지 않은 고정끈(100)과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는 상기 고정단(210)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211)을 지나 상기 고정끈 통과부(212)를 통해 상기 약액확산부(500)가 상기 고정단(210)의 내측면에 안착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약액이동끈(400)은 내부가 약액이 이동되도록 비어있는 형상이거나, 고정끈(100)과 같이 내부가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약액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만약 약액이동끈(400)의 내부도 상기 액약저장부로 부터 전달받은 약액에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둘레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약액저장부(300) 및 약액이동끈(400)을 포함하는 귀걸이부(2)는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고정끈(100)과 고정 걸이부와 액약 저장부,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가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약액을 모두 소진하면 귀걸이부(2)도 교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는, 고정끈(100), 고정걸이부(200)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약액저장부(300)와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는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끈(100) 및 고정걸이부(200)에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약이 저장, 이동 및 확산되는 약액저장부(300)와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약액저장부(30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끈(10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면의 관통공(310)의 외측 부분에 각각 약액이동끈(40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약액저장부(300)와 약액이동끈(400)은 약액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약액이동끈(400)의 끝단에는 각각 약액확산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약액확산부(500)는 거즈 또는 솜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으며, 약액을 마스크 본체(1)로 서서히 퍼지게 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일체로 형성되는 약액저장부(300),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의 사용을 위해 본원발명의 고정끈(100)을 액약 저장부에 형성된 관통공(310)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약액저장부(300)의 이동 방지를 위해 고정끈(100)과 관통공(310)의 둘레를 딱 맞게 형성할 수 있고, 또는 고정끈(100)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삽입된 고정끈(100)은 고정걸이부(200)의 내부공간(211) 및 고정끈 통과부(212)를 통해 삽입된 후 내부공간(211)에 삽입되지 않은 고정끈(100)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끈(100) 끼리의 결합은 벨크로 또는 스냅단추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때, 스냅단추(미도시)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벨크로의 사이즈를 일저일이 이상으로 형성하여 귀걸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는 고정걸이부(200)의 내부공간(211) 및 약액이동끈 통과부(213)를 통해 통과되고, 약액확산부(500) 중 고정단(210)과 접하는 면에 접착면을 형성하여 고정단(210)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약액확산부(500)에 형성되는 접착면은 고정단(21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액약이 고정단(2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로서, 약액저장부(300),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가 고정끈(100)과 고정걸이부(200)에 결합한 후 이를 마스크 본체(1)에 연결해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하면 귀의 뒷부분에서 약액저장부(300)로 전달되는 압박에 의해 소량 씩 약액이 이동하게 되고 약액이 약액이동끈(400)을 지나 약액확산부(500)에 도달하면 접해있는 마스크 본체(1)에 스며들게 하여 방향성 및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약액이 마스크 본체(1)의 입 또는 코 부분까지 넓은 부분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걸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방수기능이 있는 물질 또는 섬유를 이용해 약액이동 제한선(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장시간 착용시 발생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고 향균성을 더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약액저장부(300),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가 고정끈(100)과 고정걸이부(20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약액을 다 사용한 경우 고정끈(100) 및 고정걸이부(200)는 그대로 사용하고 약액저장부(300), 약액이동끈(400) 및 약액확산부(500)먼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마스크 본체 : 1
귀걸이부 : 2

Claims (5)

  1. 얼굴을 가리며 상측에 일정 길이의 안면 밀착부가 형성되는 마스크 본체;
    마스크 본체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마스크 본체는
    안면과 접촉되는 내피;
    내피의 외측에 형성되는 필터층;
    필터층 외측에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며,
    필터층은 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한지와 황토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한지로 이루어진 한지층과,
    상기 한지층의 겉면 전체에 황토성분이 포함된 코팅물질이 도포된 황토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는 내피, 황토 코팅층, 한지층, 황토코팅층 및 외피로 구성되어 5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성인 또는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는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귀걸이부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마스크 본체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걸이부;
    상기 한 쌍의 고정걸이를 연결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끈;
    상기 고정끈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귀 뒤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끈의 중앙부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저장부;
    상기 약액저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고정끈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며 약액저장부의 약액이 이동하는 약액이동끈;
    상기 약액이동끈의 끝단에 형성되며 마스크 본체와 접하는 상기 고정걸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이동된 약액을 마스크 본체로 확산시키는 약액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걸이부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고정단과 결착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결합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끈 및 상기 약액이동끈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 방향인 일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된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고정끈 통과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하는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약액이동끈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끈은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고정끈 통과부를 통과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지 않은 고정끈과 결합되고,
    상기 약액이동끈 및 약액확산부는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약액이동끈 통과부를 통과하고 상기 약액확산부가 상기 고정단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KR1020200114271A 2020-09-08 2020-09-08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KR20220032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71A KR20220032666A (ko) 2020-09-08 2020-09-08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71A KR20220032666A (ko) 2020-09-08 2020-09-08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666A true KR20220032666A (ko) 2022-03-15

Family

ID=8081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271A KR20220032666A (ko) 2020-09-08 2020-09-08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83B1 (ko) * 2022-08-10 2023-05-17 주식회사 알도 닥나무 한지를 포함한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784B1 (ko) 2010-04-19 2012-06-14 오원석 한지를 이용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784B1 (ko) 2010-04-19 2012-06-14 오원석 한지를 이용한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83B1 (ko) * 2022-08-10 2023-05-17 주식회사 알도 닥나무 한지를 포함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JPWO2003097168A1 (ja) 鼻マスク
US20080230066A1 (en) Perfume impregnated mask with an image thereon
KR101132000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00000720U (ko)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필터를 갖고 안경 김서림 방지와 착용감을 조절 할 수 있는 체결구를 갖는 천연 펄프를 사용한 일회용 마스크
KR101956637B1 (ko)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KR20220032666A (ko)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US20040163649A1 (en) Disposable face mask with skin-care face-contacting layer
WO2004110541A1 (en) A fragrant mask
TWM601972U (zh) 複合式多功能口罩
US20080282454A1 (en) Protective device
CN208259810U (zh) 喉部切口保护罩
KR20210127462A (ko) 귀걸이 끈을 구비하지 않는 기능성 마스크.
KR20080004468U (ko) 대나무 섬유 마스크
KR20090033054A (ko) 얼굴 마스크 구조
KR102411713B1 (ko) 식용황성분으로 항균처리된 망사형 마스크
KR20200139338A (ko)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CN212279995U (zh) 一种抗菌抗病毒口罩
US20220266069A1 (en) Medical Grade Reusable and Washable Fabric/Cloth Face Mask
CN215583220U (zh) 一种抗病毒口罩
CN213307583U (zh) 一种呼吸内科用面罩
CN211932720U (zh) 一种新型防雾霾香味口罩
CN219515363U (zh) 一种保健口罩贴
CN214340250U (zh) 一种具有香疗效果的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