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358A -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 Google Patents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358A
KR20220032358A KR1020200114027A KR20200114027A KR20220032358A KR 20220032358 A KR20220032358 A KR 20220032358A KR 1020200114027 A KR1020200114027 A KR 1020200114027A KR 20200114027 A KR20200114027 A KR 20200114027A KR 20220032358 A KR20220032358 A KR 20220032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crown
molded body
ho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0508B1 (en
Inventor
임형봉
전현준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to KR102020011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508B1/en
Priority to PCT/KR2020/016953 priority patent/WO2022050503A1/en
Publication of KR2022003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3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6G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ntal implant comprising: a fixture which is fixed in an alveolar bone; an abutment of which the low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xture; a crown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butment; and a screw which is inserted in a hole formed in the crown and is fastened with the fixture. After the screw is fastened with the fix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in a remaining space in the crown and is formed as a solid-state inlay mold to be inserted in the hole and fill the remaining space. Therefore, an operator can easily and quickly fill the remain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rown.

Description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Pre-formed inlays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본 발명은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크라운에 형성된 스크류 홀이나 자연치에 형성된 홀 또는 홈부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크라운 또는 자연치의 내측에 형성된 잉여 공간을 채우도록 구성된 기성형 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and is easily inserted into a screw hole formed in a crown or a hole or groove formed in a natural tooth, and is configured to fill the exces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or natural tooth. It relates to molded inlays.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물을 의미한다.A dental implan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structure formed by planting an artificial tooth root in a portion where a tooth is partially or wholly lost, adhering to the alveolar bone, and fixing a dental prosthesis to the artificial tooth root.

일반적으로 치아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의 역할을 수행하는 픽스츄어(fixture),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환자의 잇몸 위로 배치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및 어버트먼트와 체결되는 크라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dental implants include a fixture tha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o play the role of an artificial tooth root, an abutment that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is placed over the patient's gums, and a crown fastened with the abutment. is comprised of

픽스츄어는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이 이루어진 치아부위의 치조골에 심어져 인공치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체라 할 수 있다.The fixture can be said to be a fixture configured to support the artificial tooth by being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tooth region where the defect is made, such as the root of a natural tooth.

어버트먼트는 지대치라고도 불리며, 치조골에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와 치아 보철물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butment is also called an abutment, and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dental prosthesis with the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크라운은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기능을 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rown is fixed in the oral cavity by an abutment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a function of the same shape as a natural tooth.

치아 보철물에는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픽스츄어에는 상기 홀에 삽입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A hole into which a screw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dental prosthesis, and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with the screw inserted into the hole may be formed in the fixture.

스크류는 크라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뒤 픽스츄어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픽스츄어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크라운과 픽스츄어는 스크류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rown, the screw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fixture to be fastened to the fixture. In this state, the crown and the fix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s.

한편, 스크류가 홀을 통과한 뒤 픽스츄어와 체결되면, 상기 홀에는 여분의 공간이 발생되는바, 이 여분의 공간은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와 같은 스펀지 형태의 충진재와 플로어블 레진과 같은 접합재로 순차 채워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fixture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an extra space is generated in the hole, and this extra space is a sponge-type filler such as a putty material and a floorable resin. It will be filled sequentially with bonding material.

그러나, 기존의 접합재는, 화학적 내구성은 낮고 마모성은 높은 관계로 인하여, 워시아웃(wash out) 현상에 의해 크라운에 형성된 홀을 지속적으로 채우지 못하고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nding materi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ole formed in the crown cannot be continuously filled and is lost due to the wash out phenomenon due to the low chemical durability and high abrasion resistance.

이와 같이 접합재가 침이나 물에 의해 씻겨 나가면 홀에 틈이 발생되고, 이 틈으로 세균이 침투되어 치조골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치조골에서 픽스츄어를 뽑아내야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또한, 픽스츄어를 치조골에서 뽑아내는 시술을 수행할 시에는, 상기 스크류를 분리하기 위하여 크라운을 다시 천공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기설정된 크라운의 위치에서 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bonding material is washed out with saliva or water, a gap is created in the hole, and bacteria can penetrate through this gap and be transmitted to the alveolar bone.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procedure for extracting the fixture from the alveolar bone, a process of re-drilling the crown is required to separate the screw.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357호의 '리튬 디실리케이트 임플란트 보철'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there is 'lithium disilicate implant prosthesi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535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적 내구성과,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인레이 성형체로 크라운에 형성된 여분의 공간을 채워 워시아웃에 의한 저항성은 높이고 세균에 의한 감염은 줄이는 기성형 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ills the extra space formed in the crown with an inlay molded body with excellent chemical durability, strength and workability to increase resistance due to washout and reduce infection by bacteria. It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은,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적용되며,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홀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된 후 상기 크라운의 내측에 형성되는 잉여 공간애 채워지고,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로 구성된 채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울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ixture, a crow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and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rown to be fastened with the fixture It is applied to a dental implant including a screw, and after the screw is fastened with the fixture via the hole, the surplu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is filled, and the hole is filled with an inlay molded body in a solid state. may be inserted to fill the surplus space.

또한, 상기 인레이 성형체는 상기 홀의 평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평단면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ay molded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whil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e to fill the excess space.

또한, 상기 인레이 성형체의 하단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잉여 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크라운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nd disposed in the exces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and the upper end thereof may be expos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crown.

또한, 상기 인레이 성형체보다 상기 잉여 공간에 우선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 일부를 채우는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ay molded body may further include a putty material that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ess space to fill a part of the excess space.

또한, 상기 퍼티 매터리얼은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tty material can be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lor.

또한, 상기 인레이 성형체는, 결정화 유리(glass ceramic), 하이브리드 레진(hybrid resin), 백류석(leuci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ay molded body may be made of any one material of crystallized glass (glass ceramic), hybrid resin (hybrid resin), and leucite.

또한, 본 발명은, 자연치에 형성된 홀 또는 홈부에 적용되어 자연치의 내측에 발생된 잉여 공간을 채우는 기성형 인레이로서, 상기 기성형 인레이는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로 구성된 채 상기 홀 또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dy-made inlay that is applied to a hole or a groove formed in a natural tooth to fill the surplus space generated inside the natural tooth, wherein the ready-made inlay is inserted into the hole or the groove while being composed of an inlay molded body in a solid state. to fill the surplus space.

또한, 상기 인레이 성형체보다 상기 잉여 공간에 우선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 일부를 채우는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ay molded body may further include a putty material that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ess space to fill a part of the excess space.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는, 크라운에 형성된 홀 규격에 대응하여 바로 사용될 수 있는 인레이 성형체로 구성되므로, 시술자가 크라운의 내측에 형성된 잉여 공간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the dental implant and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nlay molded body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in response to the hole size formed in the crown, the operator can easily and quickly fill the surplu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make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는, 화학적 내구성과 강도 및 기계적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인레이 성형체를 포함하므로, 워시아웃에 의한 인레이의 유실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유실 부위에 세균이 침투하는 현상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ay molded bod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hemical durability, strength, and mechanical workability, and thus prevents loss of the inlay due to washou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bacteria into the loss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는, 인레이 성형체가 크라운에 형성된 홀의 규격을 바탕으로 제작되므로, 시술자가 임플란트 시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부작용의 염려를 줄이고, 이에 따른 시술 시간 및 치료 기간도 단축시켜 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the dental implant and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crown by the inlay molded body, so that the operator can stably perform the implant procedur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ide effects, Treatment costs can be reduced by shortening the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peri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는, 임플란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크라운에 홀을 재천공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천공의 정확도 여부를 퍼티 매터리얼에 부여된 색상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the dental implant and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e-drilling a hole in the crown to remove the implan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accuracy of the drilling with the color assigned to the putty material to be able to jud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는, 기성형된 성형체를 하나의 제품으로서 가치를 가지게 하므로, 다른 임플란트 구성요소들과 함께 세트화되어 판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dy-made inlay applicable to the dental implant and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pre-formed molded body valuable as a product, so it can be sold as a set together with other implant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가 적용될 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용 임플란트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류가 픽스츄어와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된 크라운의 내측 공간에 퍼티 매터리얼과 인레이 성형체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인레이 성형체의 상단부가 그라인딩 처리되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티 매터리얼과 인레이 성형체가 자연치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인레이 성형체의 상단부가 그라인딩 처리되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plant to which a ready-made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ed.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hown in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w shown in FIG. 2 is fastened to the fixture;
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tty material and the inlay molded body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own shown in Figure 3;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shown in Figure 4 (a) is removed by grinding.
Figure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putty material and the inlay mold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natural tooth.
Figure 5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shown in Figure 5 (a) is removed by grindin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가 적용된 치아용 임플란트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dental implant to which a pre-formed inla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가 적용될 치아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용 임플란트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류가 픽스츄어와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된 크라운의 내측 공간에 퍼티 매터리얼과 인레이 성형체가 순차적으로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인레이 성형체의 상단부가 그라인딩 처리되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티 매터리얼과 인레이 성형체가 자연치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인레이 성형체의 상단부가 그라인딩 처리되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plant to which a pre-formed inla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shown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fixture, and Fig.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quentially inserted putty material and the inlay molded bod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own shown in Fig. 3,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shown in FIG. 4 (a) has been removed by grinding, and (a)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molded body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natural tooth, and FIG. 5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shown in FIG. 5 (a) has been removed by grinding.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크라운의 내측에 발생된 잉여 공간을 이미 성형 가공된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로 채우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the excess space generated inside the crown is filled with an inlay molded body in a solid state that has already been molded and processed.

특히, 이미 굳어진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를 즉시 이용함으로써, 인레이가 워시아웃(wash out) 현상으로 인해 유실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이에 따른 세균 침투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by immediately using the inlay molded body in an already hardened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inlay from being lost due to a wash out phenomenon and also to prevent bacterial infilt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는, 치아용 임플란트(100)에 적용될 수 있다.The ready-made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dental implant 100 .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치아용 임플란트(100)가 설명된다.Hereinafter, the dental implan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용 임플란트(100)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10)와, 상기 픽스츄어(10)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20)와, 상기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크라운(30) 및 상기 크라운(30)에 형성된 홀(31)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츄어(10)와 체결되는 스크류(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dental implant 100 includes a fixture 10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20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ixture 10, and the It may include a crown 3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20 and a screw 40 inserted into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and fastened to the fixture 10 .

먼저, 상기 픽스츄어(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치조골과 견고히 결합되도록 그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fixture 10 may be said to be a component to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its outer surface so as to be firm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상기 어버트먼트(20)는, 픽스츄어(10)와 크라운(30)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중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abutment 20 may be a component interposed between the fixture 10 and the crown 30 and may have a hollow shape.

이러한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는 크라운(30)의 하단부를 경유하여 크라운(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상단부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10)의 내측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20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crown 30 via the lower end of the crown 30, and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xture 10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seated. can be

참고로, 어버트먼트(20)가 크라운(30) 및 픽스츄어(10)에 연결되는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체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크라운(30)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에 따라 크라운(30)과 어버트먼트(20)가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크라운(30)의 내주면과 어버트먼트(20)의 상단부 외면에 각각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크라운(30)과 어버트먼트(20)를 서로 나사 결합방식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For reference, a structure in which the abutment 20 is connected to the crown 30 and the fixture 10 may use various known fastening methods. For example, as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own 3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crown 30 and the abutmen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the crown 30 The crown 30 and the abutment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crewing manner by forming threads capable of being screw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20 .

마찬가지로, 어버트먼트(20)의 하단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픽스츄어(10)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가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픽스츄어(10)의 내주면과 어버트먼트(20)의 하단부 외면에 각각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서로 나사 결합방식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Similarly, as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ixture 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fixture 10 and the abutmen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the fixture 10 )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20 to form threads that can be screwed to each other, thereby connecting the fixture 10 and the abutment 20 to each other in a screw-coupled manner.

한편, 위와 같이,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 및 크라운(30)이 서로 연결되면, 그 각각의 내측에는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간부가 형성되는바, 이 공간부에 상기 스크류(40)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bove, when the fixture 10, the abutment 20, and the crow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pace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s formed inside each of the bars, and in this space, the screw ( 40) can be arranged.

상기 스크류(40)는, 크라운(30)과 픽스츄어(1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크라운(30)에 형성된 홀(31)에 삽입되어 픽스츄어(10)의 내주면과 체결될 수 있다.The screw 40 serves to couple the crown 30 and the fixture 10 to each other,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0 . can be contracted with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스크류(40)의 헤드부가 어버트먼트(20)에 걸림된 상태에서 픽스츄어(10)와 체결되기 때문에, 크라운(30)과 픽스츄어(10)가 스크류(40)에 의해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When the above state is reached, since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40 is engaged with the fixture 10 while being caught by the abutment 20 , the crown 30 and the fixture 10 are attached to the screw 40 . to form a tightly coupled state by

한편, 스크류(40)가 크라운(30)에 형성될 홀(31)을 통과하여 픽스츄어(10)와 체결되면, 크라운(30)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 잉여 공간(s)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crew 40 passes through the hole 31 to be formed in the crown 30 and is fastened with the fixture 10, an excess space not filled by the screw 40 inside the crown 30 ( s) occurs.

상기 잉여 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면 각종 세균이 크라운(30)의 내측으로 투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잉여 공간(s)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xcess space (s) is exposed to the outside, various bacteria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rown 3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excess space (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는, 상기 잉여 공간(s)을 채우는 충진재 또는 접합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ady-made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serve as a filler or bonding material filling the excess space (s).

상기 기성형 인레이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레이 성형체(300)는 크라운(30)에 형성된 홀(3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평단면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홀(31)에 삽입되어 잉여 공간(s)을 채울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31)이 원형의 단면을 가진 채 크라운(30)에 형성되면 상기 인레이 성형체(300)도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ready-made inlay,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may be composed of the inlay molded body 300 in a solid state. The inlay molded body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31 whil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to fill the surplus space s. For example, when the hole 31 is formed in the crown 30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the inlay molded body 300 may als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상기와 같은 인레이 성형체(300)는 크라운(30)에 형성되는 홀(31)의 규격을 기초로 하여 기성형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inlay molded body 300 as described above may be a component that is preformed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

따라서, 인레이 성형체(300)는, 크라운(30)에 형성된 홀(3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크라운(30)의 내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는 접착제(cement)가 도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lay molded body 300 may have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own 3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Adhesive (cement) may be applied.

한편, 인레이 성형체(310)의 상단부에는 파지부재(3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310)는 인레이 성형체(310)의 윗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핀셋(tweezer)과 같은 파지도구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핀셋(tweezer)과 같은 파지도구로 상기 파지부재(310)를 파지한 채 접착재를 인레이 성형체(300)의 외주면에 쉽게 도포할 수 있다.Meanwhile, a holding member 31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310 . The gripp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lay molded body 310 , and may be gripped by a gripping tool such as tweezer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pply the adhesiv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ay molded body 300 while holding the gripping member 310 with a gripping tool such as tweezers.

또한, 인레이 성형체(300)는 그 하단부가 상기 크라운(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잉여 공간(s)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크라운(30)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크라운(30)에 형성되는 다양한 잉여 공간(s)의 길이에 호환되기 위해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300 is disposed in the excess space s formed inside the crown 30 , and the upper end thereof has a length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own 30 . Because, in order to be compatible with the length of the various excess space (s) formed in the crown (30).

만약, 상기 인레이 성형체(300)가 크라운(30)에 형성된 홀(31)을 통하여 잉여 공간(s)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잉여 공간(s)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면, 잉여 공간(s)이 완전히 채워지지 못하는 관계로 인하여 외부 세균이 잉여 공간(s)으로 침투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f, when the inlay molded body 300 is disposed in the redundant space s through the hole 31 formed in the crown 30 , it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redundant space s, the redundant space (s) Due to this relationship that is not completely filled, there is a problem that external bacteria penetrate into the surplus space (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형 인레이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레이 성형체(300)보다 상기 잉여 공간(s)에 우선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s) 일부를 채우는 스펀지 형태의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 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ormed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ess space (s) rather than the inlay molded body 300 as shown in FIGS. 4 (a) and (b). It may further include a putty material 200 in the form of a sponge that fills a part of the excess space (s).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레이 성형체(300)가, 상기 퍼티 매터리얼(200)에 의해 채워지고 남은 잉여 공간(s)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s)을 채우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퍼티 매터리얼(200)을 제외하고 오직 인레이 성형체(300)로만 잉여 공간(s)을 채울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ay molded body 300 is filled by the putty material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excess space (s) to fill the excess space (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xcess space s may be filled only with the inlay molded body 300 except for the putty material 200 .

그리고, 크라운(30)의 상부로 노출된 인레이 성형체(300)의 상단부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그라인딩(grinding) 처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인레이 성형체(300)의 상단부에 마련된 파지부재(310)도 제거될 수 있다.And,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300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own 30 may be removed by grinding by an operator, as shown in (b) of FIG. 4 . At this time, the holding member 31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300 may also be removed.

상기 인레이 성형체(300)는, 화학적 내구성과 강도, 기계적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레이 성형체(300)는, 결정화 유리(glass ceramic), 하이브리드 레진(hybrid resin), 백류석(leuci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inlay molded body 3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excellent in chemical durability, strength, and mechanical workability. For example, the inlay molded body 30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crystallized glass (glass ceramic), a hybrid resin (hybrid resin), and a leucite (leuci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레이 성형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크라운(30)에 형성될 홀(31)의 규격을 고려하여 이미 제작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크라운(30)에 형성된 잉여 공간(s)을 채우는 작업을 실시할 시에 그 작업을 간편하게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벌크 상태로 잉여 공간(s)을 채우기 때문에 침이나 물에 의해 유실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른 세균 침투도 더욱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lay molded body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lready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the hole 31 to be formed in the crown 3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has an excess space (s) formed in the crown 30 . When performing the fill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quickly and conveniently,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fear of being lost by saliva or water because it fills the surplus space (s) in a bulk state, and the bacterial penetration is further increased. can be prevented

또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10)를 치조골에서 분리하여 크라운(30)을 교체하는 과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퍼티 매터리얼(200)과 인레이 성형체(300)에 의하여 채워진 잉여 공간(s)을 천공하는 작업 과정이 요구된다.In addition, a process of replacing the crown 30 by separating the fixture 10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from the alveolar bone may occur. At this time, a work process of drilling the excess space (s) filled by the putty material 200 and the inlay molded body 300 is required.

그러나, 시술자의 육안으로 잉여 공간(s)을 향해 천공과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퍼티 매터리얼(200)은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술자가 크라운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퍼티 매터리얼(200)에 부여된 색상으로 천공 정확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at the drilling process is accurately made toward the excess space (s) with the naked eye of the operat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putty material 200 has a color. That is, the operator can easily determine the drilling accuracy by the color given to the putty material 200 in the process of drilling the crown.

따라서, 퍼티 매터리얼(200)은 식별이 용이한 유채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tty material 200 has a color of a chromatic color series that is easy to identif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퍼티 매터리얼(200)과 기성형된 인레이 성형체(300)가 인공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치에 형성된 홈부에 퍼티 매터리얼(200) 또는 기성형된 인레이 성형체(300)가 삽입되어 홈부의 공간을 채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tty material 200 and the pre-formed inlay molded body 300 are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as being applied to the artificial teeth,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 and (b), the putty material 200 or the pre-formed inlay molded body 3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natural tooth to fill the space of the groove. am.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 픽스츄어 20 : 어버트먼트
30 : 크라운 31 : 홀
40 : 스크류 100 : 임플란트
200 : 퍼티 매터리얼 300 : 인레이 성형체
310 : 파지부재
10: fixture 20: abutment
30: Crown 31: Hall
40: screw 100: implant
200: putty material 300: inlay molded body
310: holding member

Claims (8)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크라운 및 상기 크라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에 적용되며,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홀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된 후 상기 크라운의 내측에 형성되는 잉여 공간애 채워지고,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로 구성된 채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A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ixture, a crow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and a screw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rown to be fastened with the fixture Applied to dental implants,
After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fixture via the hole, the exces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is filled,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while being composed of an inlay molded body in a solid state to fill the excess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 성형체는 상기 홀의 평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평단면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ay molded body is inserted into the hole whil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e to fill the excess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 성형체의 하단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잉여 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크라운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end of the inlay molded body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disposed in the excess space formed inside the crown,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ow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 성형체보다 상기 잉여 공간에 우선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 일부를 채우는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을 더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4. The method of claim 3,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further comprising a putty material that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ess space rather than the inlay molded body and fills a part of the excess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퍼티 매터리얼은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utty material is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l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 성형체는, 결정화 유리(glass ceramic), 하이브리드 레진(hybrid resin), 백류석(leuci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ay molded body is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a crystallized glass (glass ceramic), a hybrid resin (hybrid resin), and a leucite (leucite).
자연치에 형성된 홀 또는 홈부에 적용되어 자연치의 내측에 발생된 잉여 공간을 채우는 기성형 인레이로서,
상기 기성형 인레이는 고체 상태의 인레이 성형체로 구성된 채 상기 홀 또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A ready-made inlay that is applied to a hole or groove formed in a natural tooth to fill the surplus space generated inside the natural tooth,
The ready-made inlay is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or the groove portion while being composed of a solid inlay molded body to fill the excess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 성형체보다 상기 잉여 공간에 우선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잉여 공간 일부를 채우는 퍼티 매터리얼(putty material)을 더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되는 기성형 인레이.
8. The method of claim 7,
A ready-made inlay applied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further comprising a putty material that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excess space rather than the inlay molded body and fills a part of the excess space.
KR1020200114027A 2020-09-07 2020-09-07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KR102410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27A KR102410508B1 (en) 2020-09-07 2020-09-07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PCT/KR2020/016953 WO2022050503A1 (en) 2020-09-07 2020-11-26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 and natural 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27A KR102410508B1 (en) 2020-09-07 2020-09-07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358A true KR20220032358A (en) 2022-03-15
KR102410508B1 KR102410508B1 (en) 2022-06-20

Family

ID=8049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027A KR102410508B1 (en) 2020-09-07 2020-09-07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0508B1 (en)
WO (1) WO2022050503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630A (en) * 2013-02-19 2014-08-27 윤장훈 Plug type dental implant
KR101781087B1 (en) * 2015-12-10 2017-10-10 엄상호 Zirconia implant fixture
JP2019217180A (en) * 2018-06-22 2019-12-26 昌義 古谷 Artificial tooth structure and filler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0263A1 (en) * 2008-02-13 2009-08-19 Straumann Holding AG Abutment with inlay for dental implants
KR20170020728A (en) * 2015-08-16 2017-02-24 박철우 Implant abutment internal hole filler inserted an identifiable marker or the rfid tag or a radiopaque substance
CN110368114B (en) * 2019-08-05 2021-06-22 四川大学 Digital design method for closing dental implant upper repair screw hole by preformed in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630A (en) * 2013-02-19 2014-08-27 윤장훈 Plug type dental implant
KR101781087B1 (en) * 2015-12-10 2017-10-10 엄상호 Zirconia implant fixture
JP2019217180A (en) * 2018-06-22 2019-12-26 昌義 古谷 Artificial tooth structure and filler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508B1 (en) 2022-06-20
WO2022050503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6904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0799368B1 (en) Dental implant appratus
US8419429B2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KR101160121B1 (en) dental implant
WO2001085048A2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CA2609100A1 (en) Improvements i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US20100151421A1 (en) Dental implant
KR20100128433A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965332B1 (en) The lower part for two piece healing abutment and the healing abutment including the same
US20150216635A1 (en) Blank and process for producing a dental restoration by subtractive machining
KR102068525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1307411B1 (en) Dental implant
KR101250493B1 (en) A guide device and a surgical procedure method for implant
WO2016143978A2 (en) Ball-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overdentures to which ball-type attachment is applied
KR20130117174A (en) An implant device
KR102410508B1 (en) Pre-formed inlay applicable to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101067484B1 (e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KR20160071279A (en) Guide device for drilling occlusal hall in dental implant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N214231577U (en) Prefabricated inlay suitable for dental implant and natural tooth
CN208625882U (en) A kind of dentistry implant reparation impression taking component
KR20200002558U (en)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JP7201717B2 (en) Artificial tooth and its CAD/CAM milling method
US20190223989A1 (en) Surgical hand drill
KR102159525B1 (en) Operation method of the fixture for surface-reformed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