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818A -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 Google Patents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1818A KR20220031818A KR1020200113039A KR20200113039A KR20220031818A KR 20220031818 A KR20220031818 A KR 20220031818A KR 1020200113039 A KR1020200113039 A KR 1020200113039A KR 20200113039 A KR20200113039 A KR 20200113039A KR 20220031818 A KR20220031818 A KR 20220031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heel
- driving
- wheel unit
- spok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d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inc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andcart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단 등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승월할 수 있는 가변형 휠이 구비된 휠체어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robot equipped with a variable wheel that can easily climb obstacles such as stairs.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의자로서, 사용자 혼자 힘으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A wheelchair is a chair developed so that a person with reduced mobility can move while sitting, and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place by himself/herself.
그런데, 이러한 휠체어는 문턱이 있는 곳이나, 또는 계단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이동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However, such a wheelchair may be quite difficult to move when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threshold or stairs.
본 발명은 평지는 물론, 계단 등을 쉽게 오를 수 있는 가변형 휠이 구비된 휠체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robot equipped with a variable wheel that can easily climb stairs, etc., as well as on flat ground.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스포크를 구비하는 휠 유니트; 상기 휠 유니트의 사이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어부; 상기 휠 유니트가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휠 유니트의 이동중 장애물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휠 유니트의 각 스포크의 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로봇이 제공될 수 있다.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distance on both sides, the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spokes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hai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wheel units so that a user can ri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heel unit to move;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obstacle information while the wheel unit is moving; A wheelchair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each spoke of the wheel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로봇은 제어부에서 주행 노면 상황에 맞추어서 스포크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대응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크에 의해 평지를 이동할 때에는 원형 형상의 휠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장애물을 넘어야 할 때에는 제어부에서 각각의 스포크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계단 또는 험로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pon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spokes according to the driving road surface condition in the control unit, and can move in a circular shape when moving on flat ground by the spokes of variable length, and when crossing obstacles By varying the length of each spoke in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on stairs or on a rough ro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로봇은 감지부에 의해 거리 감지 및 수평 상태를 감지하여 장애물을 넘거나 경사로를 이동할 때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even when crossing an obstacle or moving a slope by detecting a distance and a horizontal state by a sensing unit, the user can mov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로봇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쪽 휠체어 로봇의 휠 유니트의 사시도로서, 평지에서 주행할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포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쪽 휠체어 로봇의 장애물 승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쪽 휠체어 로봇이 계단을 오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unit of one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when driving on a flat groun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o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bstacle climbing state of one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wheelchair robot climbs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로봇의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chai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로봇(1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휠 유니트(100)가 마련되고, 휠 유니트(100)의 사이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체어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1 and 2 , in the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로봇(10)은 2륜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체어부(200)의 자세와 휠 유니트(100)의 스포크(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감지부(300), 감지부(300)로부터 감지한 정보를 통해 휠체어 로봇(10)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휠 유니트(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휠 유니트(100)는 휠 허브(110), 휠 허브(1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스포크(120), 복수의 스포크(120)의 단부에 각각에 마련되는 접지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3 and 4 , th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포크(12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121), 구동 모터(1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 스크류(122), 볼 스크류(122)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면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이동 부재(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모터(121)는 스테핑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the
또한, 이동 부재(12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브래킷(124)이 마련되고, 고정 브래킷(124)의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봉(125)이 연결되며, 가이드봉(125)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봉(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 부재(123)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지지 브래킷(1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3)의 단부에는 접지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따라서, 구동 모터(121)가 구동하면, 볼 스크류(122)가 회전하고, 볼 스크류(122)의 외주면에 결합된 이동 부재(123)는 볼 스크류(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이때 이동 부재(123)와 결합된 지지 브래킷(126)도 동시에 이동하는데, 지지 브래킷(126)은 이동 부재(123)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된 가이드봉(125)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이동 부재(123)의 이동에 따라 접지부(130)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을 승월할때 적절하게 이동 부재(123)의 이동에 따라 접지부(130)가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면서 용이하게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또한, 휠 허브(110)에는 슬립링(미도시)이 내장되어서 제어부(400)로부터 스포크(120)로 신호를 전달하고, 스포크(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lip ring (not shown) is embedded in the
구동부와 스포크(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는 구동부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구동부는 모터 및 양측의 휠 허브(110)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박스 형태의 케이스로 모터와 회전축을 내장할 수 있다. 회전축은 양측의 휠 허브(110)에 각각 연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하여 휠 허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rotating shaft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motor and the
복수의 접지부(130)는 타이어와 같은 재질의 고무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스포크(120)의 갯수는 휠 유니트(100)의 이동시 최적의 이동 조건이 이루어지는 갯수로 구비할 수 있다. The number of
또한, 스포크(120)는 다른 예로서, 실린더, 실린더에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로드, 실린더의 내부이면서 실린더와 이동 로드의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이동 로드의 바깥쪽 단부에는 접지부(130)가 결합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서 반발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예를 들어,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을 이동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해당 접지부(130)가 눌려지면, 이동 로드가 실린더안으로 삽입되어서 길이가 감소되며, 이때 실린더 내부에 탄지된 탄성 부재는 압축되고, 계단을 지난 후에는 압축된 탄성 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이동 로드는 원래의 위치로 늘어날 수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따라서, 이러한 스포크(120)는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구동 수단이 필요 없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휠 유니트(100)는 휠 허브(110)의 외주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림 부재(140)와, 제1 림 부재(140)로부터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림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the
스포크(120)는 제1 림 부재(140)와 제2 림 부재(15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림 부재(140)와 제2 림 부재(150)는 스포크(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휠 유니트(100)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감지부(300)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310), 체어부(2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사도 감지 센서(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거리 감지 센서(310)는 휠체어 로봇(10)의 주행 거리 및 장애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또한, 거리 감지 센서(310) TOF(Time of Flight) 방식의 TOF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TOF 센서를 사용하여 지형을 계산하고, 이러한 계산 결과를 토대로 능동적으로 휠 유니트(10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6을 참조하면,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접지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또한, 경사도 감지 센서(320)는 휠체어 로봇(10)의 주행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를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드리프트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속도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400)는 거리 감지 센서(310)로부터 얻은 정보와, 경사도 감지 센서(320)로부터 얻은 정보를 연산하고, 휠체어 로봇(10)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휠 유니트(1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제어부(400)는 휠 유니트(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이루는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로봇(1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체어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부에 의해 휠체어 로봇(10)을 작동시키면, 구동부의 모터 구동으로 체어부(200)의 양측에 마련된 휠 유니트(100)가 회전하여 주행할 수 있다. In the
여기서, 본 발명은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 장애물을 승월하기 위해 휠 유니트(100)의 스포크(120)가 가변될 수 있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stacle such as stairs is encountered, the
스포크(120)는 휠 허브(110)의 외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고, 각 스포크(120)는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계단(S)의 턱(S1)을 넘을때, 감지부(300)의 거리 감지 센서(310)가 이러한 턱을 감지하고, 제어부(400)에 해당 정보를 전달하며, 그러면 제어부(400)에서는 계단(S)의 제1 길이(d1)와 제2 길이(d2)를 토대로 연산하여 해당 스포크(120)의 구동 모터(121)를 제어하여 길이가 가변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다시 말해서, 구동 모터(121)가 구동하면, 볼 스크류(122)가 회전하고, 볼 스크류(122)와 결합된 이동 부재(123)가 볼 스크류(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길이가 축소되며, 그러면 이동 부재(123)의 단부에 결합된 접지부(130)가 휠 허브(110)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계단(S)의 턱(S1)을 넘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로봇(10)은 제어부(400)에서 주행 노면 상황에 맞추어서 스포크(120)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대응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크(120)에 의해 평지를 이동할때에는 원형 형상의 휠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장애물을 넘어야 할때에는 제어부(400)에서 각각의 스포크(120)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계단 또는 험로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로봇(10)은 감지부(300)에 의해 거리 감지 및 수평 상태를 감지하여 장애물을 넘거나 경사로를 이동할때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10... 휠체어 로봇
100... 휠 유니트
110...휠 허브
120... 스포크
121... 구동 모터
122... 볼 스크류
123... 이동 부재
124... 고정 브래킷
125... 가이드봉
126... 지지 브래킷
130... 접지부
140... 제1 림 부재
150... 제2 림 부재
200... 체어부
300... 감지부
310... 거리 감지 센서
320... 경사도 감지 센서
400... 제어부
d1... 제1 길이
d2... 제2 길이
S... 계단
S1... 턱10... wheelchair robot
100
120... spoke 121... drive motor
122... ball screw 123... moving element
124... Fixing
126...
140... first rim member 150... second rim member
200...
310...
400... control
d1... first length d2... second length
S... Stairs S1... Chin
Claims (5)
상기 휠 유니트의 사이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어부;
상기 휠 유니트가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휠 유니트의 이동중 장애물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휠 유니트의 각 스포크의 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로봇.
a wheel unit provided at intervals on both sides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okes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hai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wheel units so that a user can ri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heel unit to move;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obstacle information while the wheel unit is mov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ength of each spoke of the wheel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A wheelchair robot comprising a.
상기 스포크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와 결합되면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고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spoke is
A wheelchair robot comprising a driving motor, a ball screw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a moving member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while being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a grounding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grounded to the ground.
상기 감지부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상기 체어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사도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A wheelchair robot comprising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and a tilt sensor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chair part.
상기 복수의 접지부는 상기 휠 유니트가 평지에서 이동할때에는 서로 근접되고, 장애물을 만나서 승월시에는 상기 스포크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서로 벌어지는 휠체어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grounding parts com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wheel unit moves on a flat ground, and when climbing over an obstacle, the length of the spokes is varied and widened from each other.
상기 이동 부재의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 브래킷이 마련되는 휠체어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A guide ro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member at intervals, and a support brack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to slide along the guide r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039A KR102422354B1 (en) | 2020-09-04 | 2020-09-04 |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039A KR102422354B1 (en) | 2020-09-04 | 2020-09-04 |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1818A true KR20220031818A (en) | 2022-03-14 |
KR102422354B1 KR102422354B1 (en) | 2022-07-20 |
Family
ID=8082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3039A KR102422354B1 (en) | 2020-09-04 | 2020-09-04 |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23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862B1 (en) | 2022-09-02 | 2023-10-0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Wheel for Electric Motor Vehicle |
KR20240030316A (en) | 2022-08-30 | 2024-03-07 | 정선곤 | Wheels for stairs and rough road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3357A (en) * | 2008-03-28 | 2009-10-01 | 이병규 | Wheelchair for climbing the stairs and the wheels thereof |
KR20160028309A (en) * | 2014-09-03 | 2016-03-1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Convertible wheel for wheelchair |
KR20170083854A (en) | 2016-01-11 | 2017-07-19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Mobile robot with the transformable wheels |
KR20190103852A (en) * | 2018-02-28 | 2019-09-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poke wheel of amphibious boat |
KR20200069605A (en) * | 2018-12-07 | 2020-06-17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Non-pneumatic cylinder tire |
KR20200071481A (en) * | 2018-12-11 | 2020-06-1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Transform Wheel and Robot having the transform wheel |
-
2020
- 2020-09-04 KR KR1020200113039A patent/KR1024223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3357A (en) * | 2008-03-28 | 2009-10-01 | 이병규 | Wheelchair for climbing the stairs and the wheels thereof |
KR20160028309A (en) * | 2014-09-03 | 2016-03-1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Convertible wheel for wheelchair |
KR20170083854A (en) | 2016-01-11 | 2017-07-19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Mobile robot with the transformable wheels |
KR20190103852A (en) * | 2018-02-28 | 2019-09-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poke wheel of amphibious boat |
KR20200069605A (en) * | 2018-12-07 | 2020-06-17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Non-pneumatic cylinder tire |
KR20200071481A (en) * | 2018-12-11 | 2020-06-1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Transform Wheel and Robot having the transform whee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0316A (en) | 2022-08-30 | 2024-03-07 | 정선곤 | Wheels for stairs and rough roads |
KR102585862B1 (en) | 2022-09-02 | 2023-10-0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Wheel for Electric Mot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2354B1 (en) | 202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2354B1 (en) | Wheel Chair Robot with Variable Type Wheel Unit | |
US11572117B2 (en) | Obstacle traversing mobile robot | |
US1200575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versing vertical obstacles | |
KR20170083854A (en) | Mobile robot with the transformable wheels | |
JP4572594B2 (en) | Parallel motorcycle | |
US11260717B2 (en) | Chassis | |
US11052002B2 (en) | Vehicle wheel assembly | |
KR20010093179A (en) | Self-propelled drive wheel | |
EP3851800A1 (en) | Travel route creation system | |
US9060911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including a stand-up wheel chair having automatic stability control | |
KR102610327B1 (en) | flexible wheel | |
JP6328077B2 (en) | wheelchair | |
KR101886843B1 (en) | A safety diagnosis apparatus by using transformaable wheel | |
WO2006103787A1 (en) | Traveling device | |
KR102512920B1 (en) | Running performance test apparatus for electric auxiliary device | |
JP2023137980A (en) | vehicle | |
JP3141156B2 (en) | Moving vehicle tires | |
EP3300711A1 (en) | Electromechanical walking aid | |
US9308968B2 (en) | Leg type traveling apparatus | |
KR102393474B1 (en) | Wheelchair carrier | |
CN208693638U (en) | The assembly device of universal wheel | |
WO2019193303A1 (en) | Movable chassis | |
WO2022190118A1 (en) | A mechanism for maneuvering a wheelchair | |
Sahoo et al. | Research on Optimization, Dynamics and Stability of Stair-climbing Wheel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