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438A -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438A
KR20220031438A KR1020200113340A KR20200113340A KR20220031438A KR 20220031438 A KR20220031438 A KR 20220031438A KR 1020200113340 A KR1020200113340 A KR 1020200113340A KR 20200113340 A KR20200113340 A KR 20200113340A KR 20220031438 A KR20220031438 A KR 2022003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ice
pipe
hul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438A/ko
Publication of KR2022003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은, 선수부 영역에 바우 푸트(Bow foot)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선체; 및 바우 푸트와 선체의 선저에 마련되며, 선체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해수의 자유 흐름에 기초하여 빙편이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의 외측이나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빙편 이동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ICE BREAKER}
본 발명은,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의 외측이나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및 러시아 극지방을 포함하는 북극해 지역은 석유, 천연가스 등의 각종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1970년대 이후 북극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채굴한 자원의 수송과 저장을 위한 배후 거점 도시들이 북극해 연안을 따라 발달하고 있다.
또한, 이들 북극해 연안 지방과 동아시아, 북미, 유럽 등의 중위도 소비지역을 연결하는 항로로서 북극해 항로가 개설되어 있고, 최근에는 북극해 항로가 동아시아와 대서양의 서유럽 국가를 연결하는 최단 항로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1991년 러시아가 북극해 항로를 공식적으로 대외 개방하면서, 북극해 항로는 북유럽과 동아시아 주요 경제지 역을 연결할 최단 항로로 거리와 시간 단축을 통한 운항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북극해 항로를 운항하기 위해서는 영하 45℃ 이하의 외기 조건에서 두께가 대략 1.5m 이상인 얼음을 깨고 독자 항해가 가능한 선박, 즉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이 필요하다. 이러한 선박을 쇄빙선(ICE BREAKER)이라고도 하지만, 쇄빙선은 얼음을 깨면서 진행하는 선박이라는 점에서 일반 상선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한편, 선박, 즉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운항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픈 시(Open sea)뿐만 아니라, 특히, 북극해와 같은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선박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이스 존을 운항하는 선박에 미치는 저항은, 쇄빙 저항과 파단된 빙편(얼음 또는 얼음 조각)의 거동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모두 상당히 큰 저항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연하면, 선박이 아이스 존을 운항할 때는 선수부에 의해서 파단된 빙편이 선체의 하부로 유입된 후, 도 1처럼 선저에 정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선체와 빙편 간의 마찰에 의해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도 1처럼 폭/흘수비(B/T)가 크고 선저가 평평한 평저면(falt bottom)을 갖는 선박의 경우에는 선저 측으로 유입되는 빙편이 선저에 고착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선박에 상당히 큰 저항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이 아이스 존을 운항할 때,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빙편이 선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 선박에 있어는 쉽지 않은 상황이고, 또한 이를 위해 복잡한 장치나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을 비용상 또는 관리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701502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의 외측이나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수부 영역에 바우 푸트(Bow foot)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선체; 및 상기 바우 푸트와 상기 선체의 선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해수의 자유 흐름에 기초하여 빙편이 상기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상기 선저의 외측이나 상기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빙편 이동 유도부를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빙편 이동 유도부는, 상기 바우 푸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의 운항 시 해수가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해수 유입부; 상기 선저에 마련되며, 상기 해수 유입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배출되는 장소를 이루되 배출되는 해수의 압력으로 빙편이 이동되게 하는 해수 배출부; 및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되되 상기 해수 유입부와 상기 해수 배출부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선체의 운항 시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부를 통해 상기 해수 배출부로 자연 배출되게 유도함으로써 상기 선저에 빙편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 유입부의 면적이 상기 해수 배출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해수관은 상기 해수 유입부에서 상기 해수 배출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수 배출부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해수관은, 상기 해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메인 해수관; 상기 제1 메인 해수관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상기 제1 메인 해수관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고 상기 해수 배출부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1 서브 해수관; 상기 제1 메인 해수관 및 상기 제1 서브 해수관과 연통하되 상기 제1 메인 해수관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는 제2 메인 해수관; 및 상기 제2 메인 해수관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상기 제2 서브 해수관과 같은 유로를 이루고 상기 해수 배출부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2 서브 해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1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제2 메인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2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제1 서브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3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선저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젼;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의 외측이나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선저에 빙편이 고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박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100)으로서,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114)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100)이란 일반 상선에서 쇄빙, 즉 얼음을 깨거나 벌리기 위한 기능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상의 쇄빙선(ICE BREAKER)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와 선체(110)에 갖춰지는 빙편 이동 유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의 일측에는 거주구를 비롯하여 얼음(ice)의 쇄빙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113)이 탑재된다.
참고로, 이하의 용어에서 유빙(流氷)은 물 위에 떠내려가는 얼음덩이를 의미하고, 빙하(氷河)는 흘러내리는 얼음을 말하며, 빙편은 얼음 조각을 일컫는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같은 의미로 간주한다.
선체(110)의 선수부(111) 영역에는 바우 푸트(112, Bow foot)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바우 푸트(112)는 선단부가 뽀족한 형태의 돌출형 구조물이며, 얼음을 헤치거나 깨는 용도로 활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선저(114)가 평평한 평저면(falt bottom)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이며, 선저(114)가 반드시 평평하지 않아도 무방한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선저(114) 후미에는 추진체(130)가 마련된다. 프로펠러(131)를 포함하는 추진체(130)는 선박(100)이 운항하거나 혹은 얼음을 깨고 나가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추진체(130)가 러더(120, rudder)의 앞쪽에 배치되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추진체(130)의 주변에는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러더(120)가 배치된다. 러더(120)는 러더 샤프트(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선체(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러더(120)의 방향에 따라 선박(100)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옆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러더(120)의 일측에는 경사진 형태로 가공된 러더 경사부(122)가 마련된다. 러더 경사부(122)는 아이스 나이프(135, ice knife)와 간섭되지 않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스 나이프(135)는 러더(120)에 인접하게 선체(110)에 마련되어 얼음으로부터 러더(120), 추진체(130) 또는 선체(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얼음을 깨고 진행함으로써 얼음덩어리가 러더(120), 추진체(130) 또는 선체(110)에 부딪혀 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이스 나이프(135)는 전술한 바우 푸트(112)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한편, 빙편 이동 유도부(140)는 바우 푸트(112)와 선체(110)의 선저(114)에 마련되며, 선체(110)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빙편이 도 1처럼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빙편 이동 유도부(140)는 선저(114)에서 빙편을 강제로 떼어내는 방식이 아닌, 해수의 자유 흐름에 기초하여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한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또한 시공 역시 간편하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빙편 이동 유도부(140)는 해수 유입부(141), 해수 배출부(142) 및 해수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이들을 한 개씩 도시했지만, 이들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해수 유입부(141)는 바우 푸트(112) 영역, 특히 바우 푸트(112)의 전면 벽체에 마련되며, 선체(110)의 운항 시 해수가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이룬다.
해수 유입부(141)는 단지 오픈(open)된 홀(hole)을 이루는데, 해수 유입부(141) 내로 얼음덩어리가 유입되어 해수관(150)을 막지 않도록 해수 유입부(141)에 그릴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해수 배출부(142)는 선저(114)에 마련되며, 해수 유입부(141)로 유입되는 해수가 배출되는 장소를 이룬다.
해수 배출부(142) 역시, 해수 유입부(141)처럼 오픈(open)된 홀(hole) 구조를 이룬다. 해수 배출부(142)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압력에 의하여 빙편이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빙편이 도 1처럼 선저(114)에 고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해수관(150)은 선체(110) 내에 마련되되 해수 유입부(141)와 해수 배출부(142)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는 파이프(pipe)이며, 선체(110)의 운항 시 해수가 해수 유입부(141)를 통해 해수 배출부(142)로 자연 배출되게 유도함으로써 선저(114)에 빙편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해수 유입부(141), 해수 배출부(142) 및 해수관(150)을 포함하는 빙편 이동 유도부(140)를 적용해서 운항할 경우, 해수가 해수 유입부(141)를 통해 유입된 후 해수관(150)을 거쳐 해수 배출부(14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해수압으로 인해 도 1처럼 선저(114)에 고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고착된 빙편으로 인한 저항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114)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200)의 선체(210)에도 빙편 이동 유도부(240)가 마련되어 선체(210)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빙편이 도 1처럼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2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빙편 이동 유도부(240) 역시, 해수 유입부(241), 해수 배출부(242) 및 해수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해수 유입부(241)의 면적이 해수 배출부(24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해수관(250)은 해수 유입부(241)에서 해수 배출부(242)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럴 경우, 해수가 해수 유입부(241)를 통해 유입된 후 해수관(250)을 거쳐 해수 배출부(24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커질 수 있게 되므로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114)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의 개략적인 저면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선박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300)의 선체(310)에도 빙편 이동 유도부(340)가 마련되어 선체(310)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빙편이 도 1처럼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3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빙편 이동 유도부(340)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해수 유입부(341), 해수 배출부(342) 및 해수관(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해수 유입부(341)는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1개 마련된다. 반면, 해수 배출부(342)가 복수 개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즉 1개의 해수 유입부(341)와 복수 개의 해수 배출부(342)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해수관(350)이 도시된 것처럼 여러 갈래로 분기된 구조를 취한다.
해수관(350)은 해수 유입부(341)에 연결되는 제1 메인 해수관(351)과, 제1 메인 해수관(351)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제1 메인 해수관(351)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고 해수 배출부(342)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1 서브 해수관(353)과, 제1 메인 해수관(351) 및 제1 서브 해수관(353)과 연통하되 제1 메인 해수관(351)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는 제2 메인 해수관(352)과, 제2 메인 해수관(352)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제2 서브 해수관(354)과 같은 유로를 이루고 해수 배출부(342)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2 서브 해수관(354)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제1 및 제2 메인 해수관(351,352)과 제1 및 제2 서브 해수관(353,354)의 구조로 해수관(350)이 적용되었으나, 배의 면적에 따라 제1 및 제2 메인 해수관(351,352)과 제1 및 제2 서브 해수관(353,354)의 개수는 적어질 수도 있고, 도면보다 많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박(300)은 제1 메인 해수관(351)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1 전자식 개폐밸브(361)와, 제2 메인 해수관(352)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2 전자식 개폐밸브(362)와, 제1 서브 해수관(353)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3)와, 선저(114)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젼(370)과,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부(380)와, 입력부(380)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390)를 더 포함한다.
비젼(370)에서 선저(114)의 영상을 촬영한 정보를 보내면 선주 혹은 작업자가 입력부(380)를 동작시킴으로써 컨트롤러(390)의 컨트롤에 의해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전부가 동작하게 컨트롤한다.
따라서, 제1 서브 해수관(353)과 제2 서브 해수관(354)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로 해수가 통과하면서 해당 해수 배출부(342)를 통해 빙편을 밀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선저(114)에서 빙편이 많은 지역에 대응하는 서브 해수관(353,354)만을 열어 해수가 유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390)는 입력부(380)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한다. 즉 제1 서브 해수관(353)과 제2 서브 해수관(354)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로 해수가 통과하면서 해당 해수 배출부(3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90)는 중앙처리장치(391, CPU), 메모리(3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3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9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380)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91)와 연결된다. 메모리(3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3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90)는 입력부(380)의 동작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361~363)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3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3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해수관(350)이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빙편이 선저(114)에 고착되지 않고 선저(114)의 외측이나 선체(110)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선저(114)에 고착된 다량의 빙편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항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체
111 : 선수부 112 : 바우 푸트
114 : 선저 120 : 러더
122 : 러더 경사부 130 : 추진체
140 : 빙편 이동 유도부 141 : 해수 유입부
142 : 해수 배출부 150 : 해수관

Claims (5)

  1. 선수부 영역에 바우 푸트(Bow foot)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선체; 및
    상기 바우 푸트와 상기 선체의 선저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의 아이스 존(Ice zone) 운항 시 해수의 자유 흐름에 기초하여 빙편이 상기 선저에 고착되지 않고 상기 선저의 외측이나 상기 선체의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빙편 이동 유도부를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빙편 이동 유도부는,
    상기 바우 푸트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의 운항 시 해수가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이루는 해수 유입부;
    상기 선저에 마련되며, 상기 해수 유입부로 유입되는 해수가 배출되는 장소를 이루되 배출되는 해수의 압력으로 빙편이 이동되게 하는 해수 배출부; 및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되되 상기 해수 유입부와 상기 해수 배출부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선체의 운항 시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부를 통해 상기 해수 배출부로 자연 배출되게 유도함으로써 상기 선저에 빙편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관을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부의 면적이 상기 해수 배출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해수관은 상기 해수 유입부에서 상기 해수 배출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배출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해수관은,
    상기 해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메인 해수관;
    상기 제1 메인 해수관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상기 제1 메인 해수관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고 상기 해수 배출부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1 서브 해수관;
    상기 제1 메인 해수관 및 상기 제1 서브 해수관과 연통하되 상기 제1 메인 해수관보다 좁은 유로를 이루는 제2 메인 해수관; 및
    상기 제2 메인 해수관의 단부에서 복수 개의 갈래로 경사지게 분기되되 상기 제2 서브 해수관과 같은 유로를 이루고 상기 해수 배출부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2 서브 해수관을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1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제2 메인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2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제1 서브 해수관에 마련되고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3 전자식 개폐밸브;
    상기 선저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젼;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식 개폐밸브의 동작을 원격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KR1020200113340A 2020-09-04 2020-09-04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KR20220031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40A KR20220031438A (ko) 2020-09-04 2020-09-04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40A KR20220031438A (ko) 2020-09-04 2020-09-04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38A true KR20220031438A (ko) 2022-03-11

Family

ID=8081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40A KR20220031438A (ko) 2020-09-04 2020-09-04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4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2290A (ja) 船舶の砕氷特性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構成した船舶
CN201380950Y (zh) 一种兼港口破冰作业的全回转拖船
KR101871885B1 (ko) 결빙된 천해에서 작업을 위한 쇄빙선
KR20220031438A (ko) 쇄빙 기능을 갖는 선박
KR20110021335A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해빙촉진수단이 구비된 쇄빙선
KR20130055869A (ko) 선박용 쇄빙칼날
KR20130057834A (ko) 극지운항용 선박
Kuehnlein SS: Testing in the Offshore: Philosophies for dynamic positioning in ice-covered waters
KR102438941B1 (ko) 쇄빙선
KR20100008569U (ko) 수염효과 방지를 위한 고압 노즐 장치를 갖춘 쇄빙선
US4864950A (en) Icebreaker
DK178596B1 (en) Ice breaking ship
KR20100008320U (ko) 수염효과 방지를 위한 워터 커튼 장치를 갖춘 쇄빙선
KR101422182B1 (ko) 쇄빙선
KR20100008568U (ko) 쇄빙을 위한 고압 워터 노즐 장치를 갖춘 쇄빙선
KR101857876B1 (ko) 쇄빙 기능을 구비한 선박
KR20230041533A (ko) 쇄빙선
Gudmestad et al. Implementation of experience from the Arctic seal hunter expeditions during the late 19th and the 20th century.
Sayed et al. Simulations of the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ce Direction on Stationkeeping of Drillships
KR20230045401A (ko) 흘수선 변동으로 유빙 파쇄가 가능한 아이스 선박
KR20220057231A (ko) 쇄빙선
KR101805492B1 (ko) 쇄빙 장치
KR102327625B1 (ko) 선박
KR20230045200A (ko) 쇄빙선
KR101958365B1 (ko) 빙저항 감쇄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