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191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191A
KR20220031191A KR1020200112825A KR20200112825A KR20220031191A KR 20220031191 A KR20220031191 A KR 20220031191A KR 1020200112825 A KR1020200112825 A KR 1020200112825A KR 20200112825 A KR20200112825 A KR 20200112825A KR 20220031191 A KR20220031191 A KR 2022003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mask
breathing
blocking portion
mask charact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어앤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어앤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어앤서비스
Priority to KR102020011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191A/ko
Publication of KR2022003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는 물론 주변인의 위생을 확보하도록 하는 일회용을 포함한 위생 및 방역 마스크로서, 코와 입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여 해당 부분이 마스크와 접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들숨 시에 마스크가 수축되면서 내측 표면이 코와 입에 닿지 않도록 입체적(3D)으로 돌출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는 물론 주변인의 위생을 확보하도록 하는 위생 및 방역 마스크로서, 코와 입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여 해당 부분이 마스크와 접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들숨 시에 마스크가 수축되면서 내측 표면이 코와 입에 닿지 않도록 입체적(3D)으로 돌출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특히 호흡 관련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가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총칭하며, 일상생활 및 산업 전반에서 용도 및 용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회용 마스크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특히 의료 기관에서 위생상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의료 관련 감염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일반 근무자 등이 많이 사용하며,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환자와 접하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실습생, 자원봉사자 등 광범위한 인력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종사자들은 질병에 이환된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근로에 임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에 의해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염성 질환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파가 가능하다. 이 중 공기-매개감염(Air borne infection)으로 5μm를 초과하는 큰 입자들이 기침, 재채기, 또는 대화시 발생하여 다른 사람의 결막이나 비강 또는 구강 점막에 튀어 감염을 전파시키는 경우로, 이러한 비말은 1m 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며, 공기로 전파되는 미생물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홍역바이러스, 수두 바이러스가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에서는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을 만들어 감염을 유발하는 작은 입자(5μm 이하)가 공기 중 흡입에 의해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의 착용은 최근 팬데믹 상태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 대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6253호(2009.02.23) "일회용 마스크"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안면 부재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인체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로 형성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안면 부재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선행기술에 개시된 마스크는 착용시 마스크의 상하를 잡고 세로 방향으로 펼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코와 볼 및 턱 등 얼굴의 굴곡에 따라 마스크의 테두리 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및 유해 물질을 차단해주고, 사용자 본인의 바이러스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용 마스크 본연의 방역 목표를 상실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 마스크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착용자가 들숨을 쉴 때 마스크 내부 표면이 입술에 닿게 되므로,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땀과 습기는 물론 세균이 입술에 묻는 등 위생적인 부분에서도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상기 마스크와 관련된 선행 문헌을 예로 들자면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5480호(명칭 : 일회용 의료 라운드 마스크 ; 출원일 : 2017.06.01.자)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4885호(명칭 : 밀착 마스크 ; 출원일 : 2018.06.20.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착용자는 물론 주변인의 위생을 확보하도록 하는 일회용을 포함한 위생 및 방역 마스크로서, 코와 입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여 해당 부분이 마스크와 접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들숨 시에 마스크가 수축되면서 내측 표면이 코와 입에 닿지 않도록 입체적(3D)으로 돌출된 마스크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구분된 상태로, 콧등에서부터 입이 닿지 않게 돌출된 후 턱밑에 이르는 지지돌출부(11);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콧구멍과 입 및 입의 양측 볼을 외부와 차단하는 호흡차단부(12); 상기 콧등밀착부위(11a)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상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하향 연장되어, 코 양측 얼굴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상측차단부(13); 상기 턱선밀착부위(11c)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하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상향 연장되어, 턱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하측차단부(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을 포함한 위생 및 방역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져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진 부위는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수직 중간 부분이 접혀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는 동일체 단일 면이 접혀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상측차단부(1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절결되어 겹쳐지지 않고 동일체로 이루어진 부분이 접혀서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는 코의 콧날과 턱에서부터 각각 전방으로 경사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호흡면돌출부위(11b)를 지지하는 것으로, 입이 위치한 부분에서 돌출 정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턱선밀착부위(11c)는 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하측차단부(14)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는 좌우 양측 선단에 각각 귀걸이 끈(1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귀걸이 끈(15)은 별도의 와이어 양단이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호흡차단부(12)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귀걸이 끈(15)은 호흡차단부(12)의 좌우 양측 선단이 귀에 걸수 있도록 연장된 부분이 천공되어서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상측차단부(13)는 콧등 위치에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콧등의 굴곡에 따라 휘어지며 밀착력을 제공하는 콧등가압밀착부(16)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는 콧등을 가로지르는 와이어(16a)를 감싸는 고정패드(16b)가 상측차단부(1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고정패드(16b)는 상측차단부(13)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와이어(16a)는 2겹의 상측차단부(13)가 겹쳐지는 부위에 내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은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혀서 확장면(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 접힌 확장면(12a,12b) 중 상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상방으로 재차 접혀 상측차단부(13)를 이루고, 하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하방으로 재차 접혀 하측차단부(14)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확장면(12a,12b)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는 호흡차단부(12)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고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이루어진 지지돌출부(11)가 마스크 전면에서 기준을 잡으며 수직 방향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마스크(10)가 외압 또는 들숨에 의해 콧구멍과 입술 방향으로 눌리거나 수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마스크(10) 내부면에 포집되는 땀과 습기는 물론 세균이 입술과 코 및 그 주변 얼굴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쾌적함과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이루어진 지지돌출부(11)가 마스크 전면에서 기준을 잡으며 돌출된 상태로 수직방향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가 콧구멍과 입 주변에 대해 폭넓은 이격(d)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호흡이 이루어지는 코와 입 주변에 공간을 최대한 확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편안하고 여유로운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돌출됨으로써, 마스크(10)의 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태로 수직 지지부위를 형성하면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이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혀서 확장면(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12a,12b)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가 호흡차단부(12)에 부분적으로 접합 고정됨으로써, 마스크(10) 착용 시 확장면(12a,12b)이 호흡차단부(12)로부터 벌어지면서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는 코와 입 주변에 더욱더 공간을 최대한 확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편안하고 여유로운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장면(12a,12b)이 호흡차단부(12)로부터 벌어지면서 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 시 상기 확장면(12a,12b) 부분이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수축 및 팽창하게 되므로, 마스크(10)의 내측 면에 착용자의 입과 입 주변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펼친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펼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착용 상태 및 마스크 내측면과 입 사이의 간격이 넓게 확보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마스크(100)는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구분된 상태로, 콧등에서부터 입이 닿지 않게 돌출된 후 턱밑에 이르는 지지돌출부(11);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콧구멍과 입 및 입의 양측 볼을 외부와 차단하는 호흡차단부(12); 상기 콧등밀착부위(11a)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상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하향 연장되어, 코 양측 얼굴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상측차단부(13); 상기 턱선밀착부위(11c)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하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상향 연장되어, 턱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하측차단부(14);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져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수직 중간 부분이 접혀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는 동일체 단일 면이 접혀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상측차단부(13)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절결되어 겹쳐지지 않고 동일체로 이루어진 부분이 접혀서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는 코의 콧날과 턱에서부터 각각 전방으로 경사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호흡면돌출부위(11b)를 지지하는 것으로, 입이 위치한 부분에서 돌출 정점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턱선밀착부위(11c)는 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하측차단부(14)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는 좌우 양측 선단에 각각 귀걸이 끈(15)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측차단부(13)는 콧등 위치에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콧등의 굴곡에 따라 휘어지며 밀착력을 제공하는 콧등가압밀착부(16)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는 콧등을 가로지르는 와이어(16a)를 감싸는 고정패드(16b)가 상측차단부(13)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패드(16b)는 상측차단부(13)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와이어(16a)는 고정패드(16b)가 배제된 상태로 2겹의 상측차단부(13)가 겹쳐지는 부위에 내제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은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각각 접힌 부분 중 상단은 상방으로 재차 접혀 상측차단부(13)를 이루고, 하단은 하방으로 재차 접혀 하측차단부(14)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는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구분된 상태로, 콧등에서부터 입이 닿지 않게 돌출된 후 턱밑에 이르는 지지돌출부(11);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콧구멍과 입 및 입의 양측 볼을 외부와 차단하는 호흡차단부(12); 상기 콧등밀착부위(11a)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상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하향 연장되어, 코 양측 얼굴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상측차단부(13); 상기 턱선밀착부위(11c)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하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상향 연장되어, 턱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하측차단부(14); 를 포함하는 마스크(10)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스크(10)는 일회용을 포함한 위생 및 방역 마스크를 적용 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마스크(10)는 단층 또는 다층의 부직포 또는 부직포 사이에 멜트블로운 필터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하며, 이때,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디드 패브릭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중 부직포 사이에 멜트블로운 필터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마스크 패드(110)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하는 보건용 마스크의 하나로, 바이러스까지 차단할 수 있는 방역용 마스크 수준의 필터 패드이며, 이때, 상기 부직포가 스펀디드 패브릭인 경우 방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마스크(10)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이루어진 지지돌출부(11)가 마스크 전면에서 기준을 잡으며 수직 방향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마스크(10)가 외압 또는 들숨에 의해 콧구멍과 입술 방향으로 눌리거나 수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마스크(10) 내부면에 포집되는 땀과 습기는 물론 세균이 입술과 코 및 그 주변 얼굴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쾌적함과 위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이루어진 지지돌출부(11)가 마스크 전면에서 기준을 잡으며 돌출된 상태로 수직방향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가 콧구멍과 입 주변에 대해 폭넓은 이격(d)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호흡이 이루어지는 코와 입 주변에 공간을 최대한 확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편안하고 여유로운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져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수직 중간 부분이 접혀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는 동일체 단일 면이 접혀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마스크 패드 원단을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접어서 제조하고, 사용 시에는 좌우로 펼쳐서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상측차단부(13)를 지지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콧등밀착부위(11a)가 콧등 부분에서 좌측과 우측에 대칭으로 위치한 상측차단부(13)를 꺾이거나 뒤틀리지 않게 견고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절결되어 겹쳐지지 않고 동일체로 이루어진 부분이 접혀서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되면, 콧등 부분에 이질감이나 마찰이 생겨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는 코의 콧날과 턱에서부터 각각 전방으로 경사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호흡면돌출부위(11b)를 지지하는 것으로, 입이 위치한 부분에서 돌출 정점을 이루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턱선밀착부위(11c)는 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하측차단부(14)를 지지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진 부위는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그 밖의 접합 내지 접착을 통한 결합이면 만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돌출됨으로써, 마스크(10)의 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태로 수직 지지부위를 형성하면서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는 좌우 양측 선단에 각각 귀걸이 끈(15)이 마련되어야만 착용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귀걸이 끈(15)은 별도의 와이어 양단이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호흡차단부(12)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그 밖의 접합 내지 접착을 통한 결합이면 만족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귀걸이 끈(15)은 호흡차단부(12)의 좌우 양측 선단이 귀에 걸 수 있도록 연장된 부분이 천공되어서 동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기 귀걸리 끈(15)이 호흡차단부(12)에 동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조시 펀칭을 통해 용이한 제조가 이루어지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측차단부(13)는 콧등 위치에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콧등의 굴곡에 따라 휘어지며 밀착력을 제공하는 콧등가압밀착부(1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되어야만 콧등 부분에 상측차단부(13)를 밀착시켜 외부공기가 마스크(10) 내로 유입되거나 날숨이 마스크(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는 콧등을 가로지르는 와이어(16a)를 감싸는 고정패드(16b)가 상측차단부(13)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고정패드(16b)는 콧등을 가로지르는 와이어(16a)를 감싸서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상측차단부(13)에 고정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인 마스크(10)의 원단 두 겹을 겹쳐서 제조 시에, 그 사이에 와이어를 인입시켜 접착 내지 접합하는 것에 비해, 와이어가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유동없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와이어(16a)는 고정패드(16b)가 배제된 상태로 2겹의 상측차단부(13)가 겹쳐지는 부위에 내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은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혀서 확장면(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 접힌 확장면(12a,12b) 중 상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상방으로 재차 접혀 상측차단부(13)를 이루고, 하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하방으로 재차 접혀 하측차단부(14)를 이루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확장면(12a,12b)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는 호흡차단부(12)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고정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이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혀서 확장면(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면(12a,12b)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가 호흡차단부(12)에 부분적으로 접합 고정됨으로써, 마스크(10) 착용 시 확장면(12a,12b)이 호흡차단부(12)로부터 벌어지면서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는 코와 입 주변에 더욱 더 공간을 최대한 확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편안하고 여유로운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확장면(12a,12b)이 호흡차단부(12)로부터 벌어지면서 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 시 상기 확장면(12a,12b) 부분이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수축 및 팽창하게 되므로, 마스크(10)의 내측 면에 착용자의 입과 입 주변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 11 : 지지돌출부
11a : 콧등밀착부위 11b : 호흡면돌출부위
11c : 턱선밀착부위 12 : 호흡차단부
12a,12b : 확장면 13 : 상측차단부
14 : 하측차단부 15 : 귀걸이 끈
16 : 콧등가압밀착부 16a : 와이어
16b : 고정패드

Claims (18)

  1.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로 구분된 상태로, 콧등에서부터 입이 닿지 않게 돌출된 후 턱밑에 이르는 지지돌출부(11);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로 확장되어, 콧구멍과 입 및 입의 양측 볼을 외부와 차단하는 호흡차단부(12);
    상기 콧등밀착부위(11a)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상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하향 연장되어, 코 양측 얼굴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상측차단부(13);
    상기 턱선밀착부위(11c) 좌우에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 양측 하방 선단면에 이르도록 상향 연장되어, 턱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하는 하측차단부(14);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0)는 일회용을 포함한 위생 및 방역 마스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좌우 대칭면으로 마련되는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져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일측 선단부가 겹쳐진 부위는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11)를 구성하는 콧등밀착부위(11a)와 호흡면돌출부위(11b) 및 턱선밀착부위(11c)는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의 수직 중간 부분이 접혀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차단부(12)와 상측차단부(13) 및 하측차단부(14)는 동일체 단일 면이 접혀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콧등밀착부위(11a)는 동일체로 이루어진 부분이 접혀서 콧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하향 돌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면돌출부위(11b)는 코의 콧날과 턱에서부터 각각 전방으로 경사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호흡면돌출부위(11b)를 지지하는 것으로, 입이 위치한 부분에서 돌출 정점을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턱선밀착부위(11c)는 턱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하측차단부(14)를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차단부(12)는 좌우 양측 선단에 각각 귀걸이 끈(15)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끈(15)은 별도의 와이어 양단이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호흡차단부(12)에 일체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끈(15)은 호흡차단부(12)의 좌우 양측 선단이 귀에 걸 수 있도록 연장된 부분이 천공되어서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차단부(13)는 콧등 위치에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콧등의 굴곡에 따라 휘어지며 밀착력을 제공하는 콧등가압밀착부(16)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는 콧등을 가로지르는 와이어(16a)를 감싸는 고정패드(16b)가 상측차단부(13)에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고정패드(16b)는 상측차단부(13)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콧등가압밀착부(16)의 와이어(16a)는 2겹의 상측차단부(13)가 겹쳐지는 부위에 내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차단부(12)의 상단과 하단은 호흡면돌출부위(11b)에서 좌우측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경사지게 내측으로 접혀서 확장면(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 접힌 확장면(12a,12b) 중 상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상방으로 재차 접혀 상측차단부(13)를 이루고, 하단부에 위치한 부분은 하방으로 재차 접혀 하측차단부(14)를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12a,12b)의 좌우측 양단 중 상측차단부(13)와 하측차단부(14)로 절곡되는 부위는 호흡차단부(12)에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고정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112825A 2020-09-04 2020-09-04 마스크 KR20220031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25A KR20220031191A (ko) 2020-09-04 2020-09-04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25A KR20220031191A (ko) 2020-09-04 2020-09-04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91A true KR20220031191A (ko) 2022-03-11

Family

ID=8081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825A KR20220031191A (ko) 2020-09-04 2020-09-04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2261B (zh) 具有透明塑料片的面罩
JP5374586B2 (ja) 鼻部クッション付きマスク
EP2566584B1 (en) Mask
KR102273386B1 (ko)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JP2019183346A (ja) 使い捨てマスク
KR200389356Y1 (ko) 위생마스크
WO2022040760A1 (en)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US20220062670A1 (en) Multiple Layer Mask
KR20220031191A (ko) 마스크
JP2011030884A (ja) 透明部付きマスク
JP3121985U (ja) 襞付き立体マスク
US20220400786A1 (en) Protective mask
KR20210107450A (ko) 마스크
JP2007021032A (ja) マスク
KR102304914B1 (ko) 보건용 엠보싱 마스크
JP7076164B1 (ja) フェイスシールド
KR102605051B1 (ko)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
JP3233675U (ja) 拡張部要素を備える折畳み可能保護マスク
CN211935250U (zh) 一次性医用防护鼻罩
JP3231416U (ja) 鼻出し着用や顎着用を予防するマスク
KR102221198B1 (ko) 착용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
US20230404188A1 (en)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US20230240391A1 (en)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US20230109115A1 (en) Wash-durable and reusable respiratory face mask
KR20220037215A (ko) 마스크용 코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