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169A -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169A
KR20220031169A KR1020200112767A KR20200112767A KR20220031169A KR 20220031169 A KR20220031169 A KR 20220031169A KR 1020200112767 A KR1020200112767 A KR 1020200112767A KR 20200112767 A KR20200112767 A KR 20200112767A KR 20220031169 A KR20220031169 A KR 2022003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articipant
time
nodes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794B1 (ko
Inventor
강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밋플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밋플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밋플레이스
Priority to KR102020011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임장소 추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모임장소 추천 장치는 복수의 참가자에 대한 출발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하고, 참가자 별로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고,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정하는 추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EETING POSITION}
본 발명은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은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나 문자 서비스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기능, 맛집 추천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모임 장소를 정할 때,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맛집 정보를 추천받은 후 모임에 참석하는 참석자의 취향, 연령 등을 고려하여 추천 받은 맛집 정보 중에서 적정한 장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참석자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모든 참석자의 이동 거리와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모두에서 공평한 위치를 정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의 경우,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므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206호(2012년 06월 13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든 참석자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모임 장소를 추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장치는 복수의 참가자에 대한 출발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하고, 참가자 별로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고,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정하는 추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추천 제어부는 참가자 별로 산출된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에 해당하는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예상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노드 중에서 일부 노드를 선택하고, 참가자 별로 출발 노드에서 선택된 각 일부 노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표준 편차를 추가로 산출하고, 상기 평균 소요 시간과 상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노드 선택 영역을 정하고, 상기 중간 노드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를 목적지 후보 노드를 선정하고, 각 목적지 후보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정할 수 있다.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은 평균 보행 속도, 평균 자전거 주행 속도, 시각에 따른 교통 혼잡도, 총 환승 회수에 대한 환승 시간 및 대중 교통의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추천 제어부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목적지 노드에 관련된 지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모임장소 추천 방법은 추천 제어부가 복수의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참가자 별로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제어부가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은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최단 소요 시간의 설정 단계는 참가자 별로 산출된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에 해당하는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 노드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위치를 이용하여 모든 노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은 추천 제어부가 상기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목적지 노드의 선정 단계는 상기 평균 소요 시간과 상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은 상기 추천 제어부가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노드 선택 영역을 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상기 중간 노드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를 목적지 후보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제어부가 각 목적지 후보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에 따르면, 이동 거리가 아닌 각 참가자의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모임 장소가 선택될 수 있도록 목적지 노드를 선정하므로, 시간적으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참가자의 평균 소요 시간이 뿐만 아니라 표준 편차를 고려하므로, 모든 참가자의 목적지 노드까지의 소요 시간이 비슷하게 발생하므로, 참가자의 시간적인 공평성이 향상된다.
이에 더해,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노드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 노드가 선정되므로, 본 예에 의해 추천되는 목적지 노드는 실질적으로 참가자가 도달할 수 없는 지점(예, 산이나 강)이 아닌 실제로 도달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지점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임장소 추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에서 모든 노드의 위치와 각 참가자의 출발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방법에서 중간 노드 선택 영역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모임장소 추천장치를 구비하는 모임장소 추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모임장소 추천 시스템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단말로서,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나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일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과 같은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나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한 예로, 도 2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13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정보 출력부(14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저장부(150) 및 위치정보 획득부(160)를 구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110-16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10)은 이들 구성 요소(110-160)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모임추천 장치, 또는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이나 사용자가 생각한 정답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모임 장소로의 출발을 위한 출발 위치뿐만 아니라 모임을 함께할 적어도 한 명(예, 친구)의 출발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와 친구의 이동 수단(예, 도보, 저전거, 대중교통 또는 자가 운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 출력부(1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1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의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한다.
각 사용자 단말(10)의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 입력된 사용자의 친구의 출발 위치 및 이동 수단을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출발 위치는 위치정보 획득부(160)를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위치 정보는 위도와 경도의 좌표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130)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추천 위치의 정보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는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에서 추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지도도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보 출력부(140)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지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부(130)는 반도체 집적기술을 이용한 칩(chip)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저리장치(CPU)나 메인제어장치(MCU)일 수 있다
정보 출력부(140)는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출력부(140)는 동작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롬(read only memory, 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160)는 해당 사용자 단말(10)이 위치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16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GNSS는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획득부(160)는 사용자 단말(1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예, 경도값과 위도값)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정보 획득부(160)에 의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출발 위치로 정할 수 있다.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발 위치를 수신받고, 출발 위치에서부터 접근 가능한 모든 노드(node)까지의 이동 가능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목적지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210), 통신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추천 제어부(220), 추천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230) 및 저장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의 구성요소(210-2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구성 요소(21-240)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추천 제어부(220)는 장소 추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다.
이러한 추천 제어부(220)는 중앙저리장치(CPU)나 메인제어장치(MCU)일 수 있다.
저장부(240)는 추천 제어부(2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와 연결될 수 있고,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이다.
따라서,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접근하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30)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1), 노드정보 데이터베이스(32), 대중교통 시간 데이터베이스(33)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34)를 구비할 수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31)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에서 제공하는 모임장소 추천 애플리케이션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에 대한 정보(즉,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회원은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일 수 있다. 본 예에서, 회원 정보는 식별번호, 이름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노드정보 데이터베이스(32)는 이미 정해져 있는 복수 개의 노드에 대한 위치 정보(즉, 노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본 예에서, 하나의 노드는 참가자의 이동 경로를 구성하는 하나의 위치이고, 인접한 두 노드를 연결하는 선인 링크(line)는 하나의 이동 경로가 될 수 있다.
이때, 각 로드는 출발 노드에서 적어도 한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이며, 이에 따라, 모든 노드는 참가자가 실질적으로 접근하는 위치이다.
이러한 노드는 도로의 교차로 위치, 건물의 위치 및 공원의 위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노드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노드를 정하기 위한 지역의 범위는 역시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대중교통 시간 데이터베이스(33)는 시내버스, 고속버스 및 마을버스와 같은 버스의 운행 시간표 및 지하철과 같은 철도의 운행 시간표 및 비행기의 운행 시간표와 같은 모든 대중 교통의 시간표를 저장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34)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베이스(34)는 지도 정보뿐만 아니라 모임장소의 종류에 따른 모임 장소의 추천 순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에는 모임장소의 추천을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10)의 바탕 화면에는 모임장소의 추천을 위한 실행 아이콘(ic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실행 아이콘을 동작시켜 모임장소 추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모임장소 추천 동작이 행해지면,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모임장소 추천 동작이 시작된 상태로 판단하여 정보 출력부(140)로 출발 위치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발 위치 입력 화면에는 사용자 위치 입력 버튼, 친구 위치 입력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입력 버튼을 선택한 후,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해 자신의 출발 위치를 입력할 수 있고, 역시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친구 위치 입력 버튼을 선택한 후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해 적어도 한 명의 출발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자신과 친구의 이동 수단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출발 위치는 위치정보 획득부(160)에 의해 획득된 현재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출발 위치, 적어도 한 명의 친구 출발 위치 및 각 이동 수단을 판정한 후,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출발 위치, 적어도 한 명의 친구 출발 위치 및 각 이동 수단을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임장소 추천 장치(20)는 입력된 각 참가자의 출발 위치와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모임 장소의 추천 동작을 실시한다.
다음, 도 4를 참고하여, 모임장소 추천 장치(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한 예로서, 복수의 참가자는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와 두 명의 친구(예, 친구 1 및 친구2)로 가정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추천 제어부(220)는 동작이 시작되면(S10)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및 친구 1과 2의 출발 위치와 이동 수단을 판독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S11).
그런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할 수 있다.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링크의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고,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가진 노드를 목적지 노드로 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추천 제어부(220)는 노드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노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의 위치를 판정하고, 입력된 사용자 단말(10) 및 친구 1과 2의 출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2).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각 출발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노드 중 일부를 선택해 모든 노드 중에서 유효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S13).
이를 위해, 추천 제어부(220)는 입력된 각 출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노드만을 선택하여 유효 노드로서 선택하거나, 각 출발 위치가 속한 지역에 해당하는 노드만을 선택하여 유효 노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유효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지역은 출발 위치가 속하는 나라, 도시 또는 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친구 1 및 2의 출발 위치가 서울시인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대한민국 전체에 대해 정해진 노드 중에서 서울시에 위치한 노드만이 유효 노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출발 위치는 서울시이고, 친구 1 및 2의 출발 위치는 경기도인 경우, 추천 제어부(220)에 의해 선택된 유효 노드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는 모든 노드일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입력된 출발 위치를 이용한 유효 노드 선택 동작(S13)은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노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노드를 유효 노드로 이용하여 모임 장소의 추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하나의 예로서, 복수 개의 노드와 사용자 및 친구 1과 2의 출발 위치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한 예로서, 사용자의 출발 위치[예, 사용자 단말(10)의 현재 위치]는 노드 18(n18)일 수 있고, 친구 1의 출발 위치는 노드 22(n22)에 인접한 위치(P11)일 수 있고, 친구 2의 출발 위치는 노드 38(n38)일 수 있다.
이처럼, 전송된 참가자의 출발 위치는 노드 위치와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된 참가자의 출발 위치와 노드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출발 위치는 출발 노드로 정할 수 있다.
하지만, 친구 1과 같이, 입력된 출발 위치가 노드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출발 위치와 가장 인접한 노드를 출발 노드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제어부(220)는 친구 1의 출발 노드를 입력된 위치(P11)가 아닌 가장 인접한 노드(n22)를 출발 노드로 정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제어부(220)는 참가자의 입력된 출발 위치 중에서 노드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출발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출발 위치에 인접한 주변의 노드 중에서 직선 거리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노드를 해당 참가자의 출발 노드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친구 1의 출발 노드는 전송된 출발 위치(P11)가 아닌 제22 노드(n22)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참가자 각각의 출발 노드(n18, n22, n40)에서부터 각 유효 노드(예, n1-n45)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해, 참가자 별로 출발 노드(n18, n22, n40)에서 모든 유효 노드(예, n1-45)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4).
이때, 이동 시간은 모든 이동 수단을 통해, 각 출발 노드(n18, n22, n40)에서 각 유효 노드(n1-n45)에 도달할 수 있는 예상 이동 시간일 수 있다.
모든 이동 수단은 도보, 자전거, 대중 교통 및 자가 운전일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제어부(220)는 현재 사용자의 출발 노드인 제18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8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 모든 이동 수단을 이용한 모든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출발 노드인 제18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 도보와 자전거로 이동 가능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도보와 자전거로의 예상 이동 시간은 출발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의 거리와 성인의 평균 보행 속도 및 평균 자전거 주행 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노드 사이의 거리는 해당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있고, 평균 보행 속도와 평균 자전거 주행 속도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추천 제어부(220)는 제18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의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할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시각에 따른 교통 혼잡도, 총 환승 회수에 대한 환승 시간 및 대중 교통의 대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교통비가 고려될 수 있다.
이때, 각 시각에 따른 가중치는 이미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추천 제어부(220)는 현재 시각에 따른 해당 가중치를 산출된 예상 이동 시간에 적용하여 최종적인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노선의 지하철로의 환승을 위한 환승 시간과 다른 버스 정류장으로의 이동을 위한 환승 시간은 환승을 위한 이동 거리에 따라 이미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추천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대중 교통에 해당하는 환승 시간을 적용하여 해당 노드(n1)로의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대중 교통의 대기 시간은 대중교통 시간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어 있는 대중 교통의 시간표, 예를 들어, 출발 시간 및 배차 간격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제18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로 이동할 때, 시내버스 420번->지하철2호선-지하철 3호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런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이들 대중 교통(시내버스 420번, 지하철 2호선, 지하철 3호선)의 이동 시간뿐만 아니라 시내버스 420번을 탑승하기 위해 인접한 버스정류장까지의 도보 이동 시간, 해당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시내버스 420번을 탑승하기 위한 해당 버스 정류장까지의 이동 시간 및 시내버스 420번의 도착 예정 시간, 시내버스 420번을 하차한 후 인접한 지하철 2호선역까지의 도보 이동 시간, 지하철 2호선에서 지하철 3호선으로의 환승 시간, 지하철 3호선의 도착 예정 시간 및 지하철 3호선을 하차한 후 제22 노드(n22)까지의 도보 이동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자가 운전을 이용하여 출발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까지 이동할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출발 노드(n18)에서 제1 노드(n1)의 거리, 시각에 따른 교통 혼잡도를 이용하여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추천 제어부(220)는 모든 참가자의 출발 노드(n18, n22, n38)에서 모든 유효 노드(n1-n45)에 대해 모든 이동 수단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추천 제어부(220)는 각 노드(n1-n15)에 대한 모든 이동 수단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므로, 각 링크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에서 모든 노드(n1-n45)에 관련된 모든 링크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예상 이동 시간이 산출되면(S14), 추천 제어부(220)는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고려한 각 링크의 최단 소요 시간(즉, 각 노드에 대한 최단 소요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천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판정할 수 있다(S15)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각 참가자의 각 노드(n1-n45)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판정된 이동 수단에 해당하는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S16).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 수단은 대중 교통이고, 친구 1의 이동 수단은 자가 운전이며, 친구 2의 이동 수단은 도보로 가정한다.
이런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참가자의 한 명(예, 사용자)의 출발 노드(n18)에서 모든 노드(n1-n45)에 대한 복수 개의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대중 교통을 이용한 예상 이동 시간을 모두 선택한다.
다음, 다른 참가자(예, 친구 1)의 출발 노드(n18)에서 모든 노드(n1-n45)에 대한 복수 개의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자가 운전을 이용한 예상 이동 시간을 모두 선택하며, 마지막 참가자인 친구 2의 출발 노드(n18)에서 모든 노드(n1-n45)에 대한 복수 개의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대중 교통을 이용한 예상 이동 시간을 모두 선택한다.
그런 다음, 각 참가자의 모든 노드(n1-n45)에 대해, 해당 이동 수단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하여 각 링크의 최단 소요 시간(즉, 각 노드에 대한 최단 소요 시간)으로 정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S17).
예를 들어, 대중 교통을 이동 수단으로 선택한 참가자인 사용자의 경우,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출발 노드(n18)에서 노드(n1)까지 이동하는데 예상 소요 시간이 각 경로에 따라 10분, 12분, 15분 및 20분으로 산출되는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제1 노드(n1)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을 10분으로 정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추천 제어부(220)는 대중 교통을 이용한 사용자의 출발 노드(n18)에서 모든 노드(n1-n45)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을 정하고, 자가 운전을 이용한 친구 1의 출발 노드치(n22)에서 모든 노드(n1-n45)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을 정하며, 도보를 이용한 친구 2의 출발 노드(n38)에서 모든 노드(n1-n25)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을 정한다.
따라서,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에서 해당 이동 수단을 이용해 각 노드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을 한 개이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적어도 한 명의 참가자의 이동 수단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각 노드(즉, 각 유효 노드)(n1-n45)에 대한 최단 소요 시간은 이동 수단에 관계없이 각 노드(n1-n4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각 노드(n1-n45)에 대한 모든 참가자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노드(n1-n45)의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S18, S19).
표 1에, 모든 참가자인 사용자, 친구 1 및 2의 각 출발 노드에서 몇 개의 노드(예, n1-n3)에 대한 최단 소요 시간과 평균 소요 시간의 한 예를 도시한다.
노드 최단 소요 시간(분) 평균 소요 시간
(분)
사용자(n18) 친구1(n22) 친구2(n38)
n1 30 25 40 31
n2 25 20 35 26
n3 23 17 32 24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이용하여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을 정할 수 있다(S20).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은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고, 한 예로, 모든 참가자의 출발 노드의 정보값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의 출발 노드가 (x1, y2)이고, 친구 1의 출발 노드가 x2, y2)이며, 친구 2의 출발 노드가 (x3, y3)인 경우, x값(예, 위도)의 최소값은 x1이고 최대값은 x3이며, y값(예, 경도)의 최소값은 y1이고 최대값은 y3이다. 따라서, 이들 최소값(x1, y1)과 최대값(x3, y3)의 조합에 따른 위치(x1, y1), (x1, y3), (x3, y1), (x3, y3)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영역을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으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 내에 포함되는 노드는 중간 노드인 목적지 노드의 후보(이하, 목적지 노드의 후보를 '목적지 후보 노드'라 함)가 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중간 노드는 참가자의 최단 소요시간을 고려할 때 거의 비슷한 소요 시간을 갖는 등시 위치에 위치한 노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복수 개의 노드중에서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 내에 포함된 노드인 목적지 후보 노드를 선정하고(S21),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선정된 각 목적지 후보 노드에 대한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를 읽어와 목적지 노드를 정할 수 있다(S22).
본 예에서는 모든 노드에 대한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추천 제어부(220)는 목적지 후보 노드에 대한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만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추천 제어부(220)의 목적지 후보 노드에 대한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 산출 동작(S, S)은 본 예와 달리, 목적지 후보 노드가 정해진 후 행해진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중간 노드 선택 영역(AR1)의 선정 동작(S20)은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모든 노드에 대한 평균 소요 시간과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를 선정할 수 있다.
추천 제어부(220)는 목적지 후보 노드 중에서 목적지 노드를 정하기 위해, 평균 소요 시간 중에서 표준 편차가 설정값 이하인 목적지 후보 노드 중에서 가장 짧은 평균 소요 시간을 갖는 목적지 후보 노드를 최종적인 목적지 노드로 정할 수 있다.
이처럼, 평균 소요 시간뿐만 아니라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를 선정함에, 모든 참가자의 출발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최단 소요 시간을 비슷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참가자의 공평성이 향상된다.
또 다른 예에서, 추천 제어부(220)는 교통비를 고려하여 목적지 노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편차에 의해 정해진 복수 개의 평균 소요 시간 중에서 평균 소요 시간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인 경우, 추천 제어부(220)는 교통비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목적지 후보 노드를 최종적으로 목적지 노드로 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참가자의 교통비가 절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에 따라, 모든 참가자에 대한 소요 시간의 공평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소요 시간만을 고려하여 목적지 노드를 선정할 때, 경우에 따라 최단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참가자와 최단 소요 시간이 가장 긴 참가자의 시간차에 따라 최단 소요 시간이 가장 긴 참가자에게 매우 불리한 목적지 노드가 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에서는 표준 편차를 고려함에 따라 이러한 불평등한 경우가 크게 감소하여, 소요 시간면에서 참가자 모두에게 공평한 중간 노드가 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대인적인 예에서, 표준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단지 평균 소요 시간만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표준 편차의 산출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간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가자의 출발 노드와 소요 시간을 고려한 목적지 노드가 정해지면, 추천 제어부(22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목적지 노드에 관련된 지도 정보를 읽어오거나 수신받아 획득하고, 획득된 지도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S23). 이때, 지도 정보는 목적지 노드를 중심으로 하여 설정 반경 이내의 지도 정보일 수 있고, 추천 제어부(220)는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각 참가자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추천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가 표시된 목적지 노드 관련 지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인 해당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4).
추천 제어부(220)는 이미 사용자의 정보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되어있고, 해당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발 위치와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송 받는다. 따라서, 추천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로의 정보 전송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추천 제어부(220)는 지도 정보뿐만 아니라, 각 참가자가 목적지 노드까지 이동할 때의 선택된 이동 수단을 이용할 때의 최단 소요 시간이 걸리는 이동 과정과 이에 따른 교통비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사용자 단말(10)의 동작 제어부(130)는 통신부(110)의 해당 통신 모듈(예, 112)를 통해 전송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 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를 정보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각 참가자에 대한 이동 과정도 전송되는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전송된 각 참가자의 이동 과정도 함께 정보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로 출력되는 지도를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 이동 경로 및 이동 과정과 교통비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모임 목적에 맞게 목적지 노드에 위치하는 모임 장소를 추천받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임 장소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모임 장소의 종류는 식당, 카페, 술집, 도서관, 당구장 등과 같이, 모임의 종류에 맞게 먹거리 장소, 즐길거리 장소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 입력되는 모임 장소의 종류를 판정하여, 통신부(11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모임 장소의 종류를 장소 추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천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모임 장소의 종류가 전송되면(S25),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의 설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모임 장소 중에서 해당 종류에 해당하는 모임 장소를 선택하여, 해당 지도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6, S27).
따라서, 사용자 단말(10)의 동작 제어부(130)는 통신부(112)를 통해 전송된 모임 장소를 해당 지도에 표시하여 정보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140)에 출력되는 추천 장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임 목적에 맞는 모임 장소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20: 모임장소 추천 장치
210: 통신부
220: 추천 제어부
230: 정보 출력부
240: 저장부
31: 회원 데이터베이스
32: 노드정보 데이터베이스
33: 대중교통 시간 데이터베이스
34: 지도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복수의 참가자에 대한 출발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하고, 참가자 별로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고,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정하는 추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추가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추천 제어부는 참가자 별로 산출된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에 해당하는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예상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위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노드 중에서 일부 노드를 선택하고, 참가자 별로 출발 노드에서 선택된 각 일부 노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표준 편차를 추가로 산출하고, 상기 평균 소요 시간과 상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선정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제어부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노드 선택 영역을 정하고, 상기 중간 노드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를 목적지 후보 노드를 선정하고, 각 목적지 후보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정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은 평균 보행 속도, 평균 자전거 주행 속도, 시각에 따른 교통 혼잡도, 총 환승 회수에 대한 환승 시간 및 대중 교통의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제어부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목적지 노드에 관련된 지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모임장소 추천 장치.
  8. 추천 제어부가 복수의 참가자에 출발 위치와 복수 개의 노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참가자의 출발 노드를 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참가자 별로 정해진 각 출발 노드에서부터 모든 노드 중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각 노드에 대한 복수 개의 최단 소요 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제어부가 모든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임장소 추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을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단 소요 시간의 설정 단계는,
    참가자 별로 산출된 적어도 일부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각 참가자의 이동 수단에 해당하는 예상 이동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참가자 별로 각 노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 중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최단 소요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임장소 추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노드는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위치를 이용하여 모든 노드 중에서 선택되는 모임장소 추천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추천 제어부가 상기 평균 소요 시간에 대한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노드의 선정 단계는 상기 평균 소요 시간과 상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선정하는 모임장소 추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제어부가 상기 참가자의 각 출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노드 선택 영역을 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제어부가 상기 중간 노드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를 목적지 후보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제어부가 각 목적지 후보 노드의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노드를 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임장소 추천 방법.
KR1020200112767A 2020-09-04 2020-09-04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43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67A KR102432794B1 (ko) 2020-09-04 2020-09-04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67A KR102432794B1 (ko) 2020-09-04 2020-09-04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69A true KR20220031169A (ko) 2022-03-11
KR102432794B1 KR102432794B1 (ko) 2022-08-16

Family

ID=808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767A KR102432794B1 (ko) 2020-09-04 2020-09-04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7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327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KR20120061206A (ko)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479A (ko) * 2013-05-22 2014-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간지점의 모임장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799973B1 (ko) * 2016-10-31 2017-11-21 주식회사 위밋 모임 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327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KR20120061206A (ko)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479A (ko) * 2013-05-22 2014-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간지점의 모임장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799973B1 (ko) * 2016-10-31 2017-11-21 주식회사 위밋 모임 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794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505B2 (en)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US10103934B2 (en) Setting a reminder that is triggered by a target user device
US9264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location-based meeting
US2006004440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a picture and picture-ta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the same
US20100205242A1 (en) Friend-finding system
KR101675485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88411A1 (en) Setting a Reminder that is Triggered by a Target User Device
KR100709750B1 (ko) 위치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78177B1 (ko)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KR102529913B1 (ko) 여정 스케줄링을 위한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20020083749A (ko) 원격 관광 안내 시스템
KR102432794B1 (ko)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1312011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130187A (ja) 移動通信端末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2347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 방법
KR2008000348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예약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JP748467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7290031B2 (ja) 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方法
AU2013203926B2 (en)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JP2005241344A (ja) 施設情報提供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施設情報提供装置。
KR20130088429A (ko)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정보 및 채팅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493607A (zh) 路径规划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309159A (zh)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以及非临时性的计算机可读介质
AU2016228186A1 (en)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