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562A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0562A KR20220030562A KR1020200112098A KR20200112098A KR20220030562A KR 20220030562 A KR20220030562 A KR 20220030562A KR 1020200112098 A KR1020200112098 A KR 1020200112098A KR 20200112098 A KR20200112098 A KR 20200112098A KR 20220030562 A KR20220030562 A KR 202200305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sensing device
- piezoelectric
- piezoelectric sensor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125 spi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34 in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76 intercos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75 quality assur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9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one single type of energy and measuring its conversion into another type of energ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H01L41/113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2—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바닥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과 함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로의 가압을 줄이는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이 체결된 체결부위의 이완 또는 수축에 대한 센싱값을 측정하는 압전센서를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전현상이란, 결정의 어느 방향에서 힘을 가한 경우 가해진 힘 즉, 응력에 의해 유전분극이 발생되어 응력에 비례하는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피에조 효과(Piezo effect)라고도 한다. 이러한 압전 현상을 이용하여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압전센서이다. 압전센서는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압력, 가속도, 스트레인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크기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품질보증, 제어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그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편,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자 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들은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생체 신호 중 호흡수는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활력 정도를 파악하는 바이탈 사인 중 하나로서, 호흡률, 즉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피검체의 호흡률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폐활량측정법(spirometry),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의 방식이 존재한다.
폐활량측정법(spirometry)은 폐활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폐에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식이고,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은 호흡에 따른 CO2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정확도는 비교적 높으나,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가의 장비가 없더라도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이 체결된 체결부위의 이완 또는 수축에 대한 센싱값을 측정할 수 있는 압전센서를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는 내부의 바닥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과 함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로의 가압을 줄이는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관통 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3 관통홀 및 제4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만곡면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의 바닥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탄성부재와 가압봉이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과 함께 상기 가압봉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로의 가압을 줄이는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면에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고, 상기 가압봉은 상기 압전센서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3 관통홀 및 제4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의 일 끝단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스트랩이 체결된 체결부위의 이완 또는 수축에 대한 센싱값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체결된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피검체의 흉부에 착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피검체의 호흡 중 발생하는 흉곽의 수축 또는 이완에 따른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호흡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승강부재가 승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승강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변형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탄성부재의 변형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승강부재가 승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승강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변형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의 탄성부재의 변형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 20, 30, 40)는 스트랩에 발생된 장력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생성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검체의 호흡을 감지하는데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 20, 30, 40)는 반드시 피검체의 호흡을 감지하는 진단용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 20, 30, 40)는 피검체의 대퇴부에 착용되고, 운동 동작 또는 운동 상태에 따라 대퇴부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스트랩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대퇴부의 근육 밀도 또는 근육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10)는 스트랩(101)에 의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고, 스트랩(101)이 감싸지 신체의 일부가 수축 또는 이완할 때 스트랩(101)에 발생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을 센싱할 수 있다.
피검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예를 들어, 강아지 또는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일 수 있으며,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의 착용 대상 즉, 피검체는 반드시 이들 동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는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람의 호흡을 센싱할 수도 있다.
호흡은 흡기와 호기로 구분된다.
흡기(Ins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이 수축하여 늑골(Rib)이 들리고, 횡격막(Diaphragm) 역시 수축함에 따라 내려가 흉강(Thoracic cage)의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호기(Ex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이 이완하여 늑골이 내려가고, 횡격막도 이완하여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호흡은 흡기와 호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좁은 의미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 좁은 의미로 폐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호흡이라는 정의는 흡기와 호기를 포괄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흉곽 또는 폐의 이완과 수축을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
압전 센싱 장치(10)는 피검체의 흉부 둘레를 감싸는 스트랩(101)에 의해 착용되고, 피검체가 호흡을 하면 들숨 날숨에 따라 스트랩(101)이 이완되거나 수축된다. 따라서 원활한 동작을 위해 압전 센싱 장치(10)는 피검체의 폐 부위(흉부)를 감싸도록 착용될 것이 권장된다. 또한, 피검체가 호흡함에 따라 폐를 심하게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텐션을 가진 상태로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장착 위치를 폐 부위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폐의 이완과 수축을 검출할 수 있다면 신체의 어느 부위라도 장착 가능하다.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신체 자체가 인간에 비해 작은 편이므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몸통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폐의 이완과 수축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몸통 부위 내라면 압전 센싱 장치(10)를 굳이 폐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착용해도 상관 없다.
스트랩(101)은 피검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의 양 끝단은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로는 벨크로, 버클 또는 스냅 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는 신축성을 가지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검체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싱 장치(10)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10)는 본체(100), 스트랩(101) 및 승강부재(11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단면이 사각의 형태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단면은 사각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체(100)의 단면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5참조).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단면은 사각 외에 삼각, 오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이를 기초로 설명하지만, 본체(100)는 상부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체(100)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스트랩(101)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관통홀(102) 및 제2 관통홀(102')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102) 및 제2 관통홀(102')은 본체(100)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하는 승강부재(110)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본체(100) 측벽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압전센서(120)가 구비된다. 참고로, 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은 압전센서(120)가 구비된 일 면으로 정의되며, 본체(100)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 그 상부와 대향하는 면이 본체(100)의 바닥면일 수 있다. 압전센서(120)가 구비된 본체(100)의 일 면은 피검체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다.
압전센서(120)는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를 이용한 센서로서 진동을 전기로, 또는 그 역으로 전기적 펄스를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압전센서(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미도시) 또는 배터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재(110)는 본체(100)의 단면과 동일 또느 유사한 단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승강부재(110)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승강 및 하강한다.
승강부재(110)의 단면은 본체(100)의 단면과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나, 본체(100)의 내부에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110)는 도 2에서처럼 본체(100)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승강부재(110)는 본체(100)의 양 측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102) 및 제2 관통홀(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랩(101)이 체결되는 제3 관통홀(141) 및 제4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승강부재(110)의 하부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11)가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승강부재(110)의 하부면에서 본체(100)의 바닥면(즉, 압전센서(120)가 구비된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 및 이완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11)는 코일 스프링 외에도 승강부재(110)의 하부면에서 본체(100)의 바닥면(즉, 압전센서(120)가 구비된 면)을 향해 압축 및 이완될 수 있다면 어떠한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11)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승강부재(110)가 본체(100)의 내부에서 압전센서(120)가 구비된 바닥면을 향해 하강하면, 압전센서(120)가 탄성부재(111)로부터 가압받는 힘이 증가하고, 승강부재(110)가 본체(100)의 내부에서 바닥면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면 탄성부재(111)가 압전센서(120)로부터 가압받는 힘이 감소된다.
압전센서(120)는 이러한 탄성부재(111)의 가압하는 힘의 크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압전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크기는 피검체의 호흡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11)의 일 끝단에는 압전센서(120)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112)이 부착될 수 있다. 가압판(112)의 면적은 압전센서(120)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더 크거나 또는 다소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6에서처럼 탄성부재(111)가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면 가압판(112)은 판 스프링의 중앙 만곡면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무선통신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30)은 압전센서(120)에서 생성된 신호(즉, 측정값)를 외부로 송신한다. 여기서, 외부라 함은 피검체로부터 감지된 호흡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장치 또는 진단서버 등을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싱 장치(10)가 피검체의 호흡을 감지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의 승강부재(110)가 승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의 승강부재(110)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랩(101)은 본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102)을 통과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승강부재(110)의 제3 관통홀(141)을 통과하여 승강부재(110)의 상부면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스트랩(101)은 승강부재(110)의 제4 관통홀(141')을 통과하여 다시 본체(100)부의 내부로 인입되고, 최종적으로 본체(100)의 제2 관통홀(102')을 통과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렇게 본체(100) 및 승강부재(110)에 체결된 스트랩(101)은 피검체의 흉부를 감싸도록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된다.
도 3은 피검체의 호흡 중 호기 상태에서 흉곽이 수축된 상태이다. 피검체의 흉곽이 수축되면 스트랩(101)의 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탄성부재(111)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10)가 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승강한다. 승강부재(110)가 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탄성부재(111)는 이완되고 이로인해 가압판(112)이 압전센서(120)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진다. 즉, 압전센서(120)는 피검체가 흡기 상태일 때 보다 상대적으로 감소된 크기의 신호를 생성한다.
도 4는 피검체의 호흡 중 흡기 상태에서 흉곽이 이완된 상태이다. 피검체의 흉곽이 이완되면 스트랩(101)에 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된 장력이 발생(도 4의 화살표 방향)되고 스트랩(101)의 장력에 의해 승강부재(110)가 본체(100)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한다. 승강부재(110)가 하강하면 탄성부재(111)가 압축되면서 가압판(112)이 압전센서(120)를 가압하는 힘이 탄성부재(111)가 이완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즉, 압전센서(120)는 피검체가 호기 상태일 때 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크기의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10)는 스트랩(101)의 장력에 따른 압전센서(12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20)는 제1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10)에 비해 스트랩 체결방식이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200)에서 스트랩(201), 본체(200), 탄성부재(211), 가압판(212) 무선통신모듈, 및 압전센서(220)는 제1 실시예의 스트랩(101), 본체(100), 탄성부재(111), 가압판(112) 무선통신모듈(130), 및 압전센서(120)와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20)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재(210)는 본체(20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승강부재(210)는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승강 및 하강한다. 승강부재(210)의 단면은 본체(200)의 단면과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나, 본체(200)의 내부에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20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210)는 도면에서처럼 본체(200)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역할도 함께할 수 있다.
승강부재(210)의 하부면에는 탄성부재(211) 및 가압판(212)이 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스트랩(201)이 가로질러 배치된다.
스트랩(201)은 본체(200)의 측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202)을 통과하여 본체(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승강부재(210)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다시 본체(200)의 내부에서 본체(200)의 제2 관통홀(202')을 통과하여 본체(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제2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20)는 피검체가 호흡을 하여 흉곽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면 본체(200)에 형성된 제1 체결홀 및 제2 체결홀의 외측 방향으로 스트랩(201)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스트랩(201)의 장력에 의해 승강부재(210)가 본체(200)의 내부에서 압전센서(220)를 향해 하강한다. 그리고 가압판(212)이 압전센서(220)를 가압하게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30)는 제2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20)에 비해 스트랩 체결방식이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3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30)는 스트랩(301), 본체(300), 탄성부재(311), 승강부재(310), 가압판(312) 무선통신모듈, 및 압전센서(320)는 제2 실시예의 스트랩(201), 본체(200), 탄성부재(211), 승강부재(210), 가압판(212) 무선통신모듈, 및 압전센서(220)와 동일한 기술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3 실시예의 본체(300)에는 관통홀(302)이 하나만 형성된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싱 장치(30)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체(300)는 어느 일 방향의 측벽에 스트랩(301)이 체결되는 관통홀(302)이 형성된다.
스트랩(301)의 일단은 관통홀(302)이 형성된 본체(300)의 측벽과 마주보는 측벽의 외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트랩(301)의 타단은 본체(300)의 외측에서 관통홀(302)을 통과하여 본체(300)의 내부로 인입된다. 본체(300)의 내부로 인입된 스트랩(301)은 승강부재(310)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관통홀(302)이 형성된 본체(300)의 측벽과 마주보는 측벽의 내측에 연결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30)는 피검체가 호흡을 하여 흉곽이 이완 또는 수축하게 되면 본체(300)에 형성된 관통홀(302)의 외측 방향으로 스트랩(301)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스트랩(301)의 장력에 의해 승강부재(310)가 본체(300)의 내부에서 압전센서(320)를 향해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판(312)이 압전센서(320)를 가압하게 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40)는 제2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20)에 비해 압전센서의 가압 방식이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4 실시예의 스트랩(401), 본체(400), 승강부재(410), 무선통신모듈, 가압판(412) 및 압전센서(420)는 제2 실시예의 스트랩(201), 본체(200), 스트랩(201), 승강부재(210), 가압판(212), 무선통신모듈 및 압전센서(120)와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싱 장치(40)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부재(411)는 승강부재(41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411)가 두 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탄성부재(411)의 배치 개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탄성부재(411)는 배치 위치는 본체(400)의 내부에 인입된 스트랩(40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랩(401)이 체결되는 본체(400)의 제1 관통홀(402) 및 제2 관통홀(40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벽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11)는 압전센서(420)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가압봉(412)은 봉 형태로 형성되고, 승강부재(410)의 하부면에서 압전센서(1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봉(412)의 끝단은 압전센서(42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가압봉(412)의 일 끝단에는 압전센서(120)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413)이 부착될 수 있다.
가압판(413)은 선택적으로 가압봉(412)의 끝단에 부착될 수 있으며, 만약 가압판(413)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가압봉(412)이 끝단이 압전센서(1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봉(412)의 끝단에는 압전센서(4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충격방지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40)는 피검체가 호흡을 하여 흉곽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면 본체(400)에 형성된 제1 관통홀(402) 및 제2 관통홀(402’)의 외측 방향으로 스트랩(401)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스트랩(401)의 장력에 의해 탄성부재(111)가 수축되면서 승강부재(410)가 본체(400)의 내부에서 압전센서(120)를 향해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봉(412) 또는 가압판(413)이 압전센서(120)를 가압하게 된다.
만약, 스트랩(401)에 장력이 약해지면(호기 상태) 탄성부재(111)의 이완과 함께 가압봉(412) 또는 가압판(413)이 압전센서(120)를 가압하는 힘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부재(410)는 제1 실시예의 승강부재(410)처럼 스트랩(401)이 체결되는 제3 관통홀(도 3의 141) 및 제4 관통홀(도 3의 1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50)는 제1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10)에 비해 탄성부재(111), 가압판(112) 및 압선센서(120)의 위치가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5 실시예에서 스트랩(501), 본체(500), 제1 실시예의 스트랩(101), 본체(100), 승강부재(510)는 제1 실시예의 스트랩(101), 본체(100), 승강부재(110)와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5 실시예의 압전 센싱 장치(50)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압전센서(520)는 승강부재(51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압전센서(520)는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를 이용한 센서로서, 진동을 전기로, 또 역으로 전기적 펄스를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체(5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511)가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본체(500)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부재(510)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11)는 코일 스프링 외에도 압축 및 이완될 수 있다면 어떠한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511)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참조)
탄성부재(511)의 일 끝단에는 압전센서(520)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512)이 부착될 수 있다. 가압판(512)의 면적은 압전센서(5520)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더 크거나 또는 다소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11)는 스트랩(501)에 장력이 가해져 승강부재(510)가 하강하면 수축과 함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520)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501)에 장력이 약해져 상기 승강부재(510)가 상승하면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520)의 가압을 줄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압전 센싱 장치
100: 본체
101: 스트랩
110: 승강부재
111: 탄성부재
112: 가압판
120: 압전센서
100: 본체
101: 스트랩
110: 승강부재
111: 탄성부재
112: 가압판
120: 압전센서
Claims (13)
- 내부의 바닥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과 함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로의 가압을 줄이는 승강부재
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관통 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3 관통홀 및 제4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일 끝단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 만곡면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내부의 바닥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탄성부재와 가압봉이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과 함께 상기 가압봉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로의 가압을 줄이는 승강부재
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면에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고,
상기 가압봉은 상기 압전센서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트랩을 체결하기 위한 제3 관통홀 및 제4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의 일 끝단에는 상기 압전센서를 고르게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이 부착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부를 향해 수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부재가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대향하는 하부면에 압전센서가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스트랩이 가로질러 배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가해져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면 수축과 함께 일단이 상기 압전센서를 가압하고, 상기 스트랩에 장력이 약해져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면 이완과 함께 상기 압전센서의 가압을 줄이는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098A KR102456242B1 (ko) | 2020-09-03 | 2020-09-03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098A KR102456242B1 (ko) | 2020-09-03 | 2020-09-03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0562A true KR20220030562A (ko) | 2022-03-11 |
KR102456242B1 KR102456242B1 (ko) | 2022-10-19 |
Family
ID=8081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2098A KR102456242B1 (ko) | 2020-09-03 | 2020-09-03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62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67346A1 (ko) * | 2022-03-03 | 2023-09-07 | 젠트리 주식회사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99306A (ja) * | 1995-04-28 | 1996-11-19 | Gabish Benjamin | 呼吸監視用ストレス検出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
US6491647B1 (en) * | 1998-09-23 | 2002-12-10 | Active Signal Technologies, Inc. |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
KR20080114160A (ko) | 2007-06-27 | 2008-12-31 | 큐렉소 주식회사 | 장력 보상 내압 측정 장치 |
-
2020
- 2020-09-03 KR KR1020200112098A patent/KR102456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99306A (ja) * | 1995-04-28 | 1996-11-19 | Gabish Benjamin | 呼吸監視用ストレス検出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
US6491647B1 (en) * | 1998-09-23 | 2002-12-10 | Active Signal Technologies, Inc. |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
KR20080114160A (ko) | 2007-06-27 | 2008-12-31 | 큐렉소 주식회사 | 장력 보상 내압 측정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67346A1 (ko) * | 2022-03-03 | 2023-09-07 | 젠트리 주식회사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6242B1 (ko) | 2022-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7760B2 (en) | Respiration detecting means | |
CN107997768A (zh) | 一种穿戴式呼吸测量装置和呼吸测量方法 | |
WO2007069111A2 (en) | Device for assess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person | |
US20190046087A1 (en) | Breath volu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1734667B1 (ko) | 진동 검출 장치 | |
KR102456242B1 (ko)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
ES2665309B1 (es) | Sensor de fuerza a tracción para el registro y la monitorización del ejercicio físico | |
KR102550296B1 (ko) |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 |
CN208740982U (zh) | 一种穿戴式呼吸测量装置和呼吸传感器 | |
KR102597396B1 (ko) |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 |
CN218304899U (zh) | 监测人体呼吸和胸腹运动的装置 | |
WO2023167346A1 (ko) | 스트랩을 이용한 압전 센싱 장치 | |
CN212972956U (zh) | 一种适用于ct扫描的自主呼吸控制装置 | |
JP4895017B2 (ja) | 体動検知センサー及び体動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
KR102630110B1 (ko) | 민감도 조절이 가능한 맥박 및 음성 측정장치 | |
CN220141649U (zh) | 一种呼吸门控系统 | |
KR20230130487A (ko) |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진단 시스템 | |
KR102420171B1 (ko) | 동물 진단용 웨어러블 센싱 장치, 동물용 웨어러블 진단 장치 및 동물용 생체 진단 시스템 | |
TWM650940U (zh) | 穿戴式調息訓練器 | |
KR20230091378A (ko) | 적정 착용을 점검하는 웨어러블 센싱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적정 착용 알람 방법 | |
AU2013200497B2 (en) | Respiration Detecting Means | |
KR20220160931A (ko) | 유선 타입의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센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