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946A -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 Google Patents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946A
KR20220028946A KR1020200110601A KR20200110601A KR20220028946A KR 20220028946 A KR20220028946 A KR 20220028946A KR 1020200110601 A KR1020200110601 A KR 1020200110601A KR 20200110601 A KR20200110601 A KR 20200110601A KR 20220028946 A KR20220028946 A KR 2022002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groove
auxiliar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228B1 (ko
Inventor
이병진
서동환
Original Assignee
서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환 filed Critical 서동환
Priority to KR102020011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2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의 일측에 시력보강 또는 보호 목적으로 구성되는 보조렌즈를 사용자의 선택에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조렌즈에 의한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렌즈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안경렌즈(12) 각각에 대하여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경테(14)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6)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경테(14) 일단 각각에 구성되는 귀걸이부(18)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14)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자성체(142) 및 상기 브릿지(16)의 일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62)이 형성되는 안경(1); 및 상기 안경(1)의 전면부에 착탈되게 구성되어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렌즈(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렌즈(2)는 복수의 보조렌즈(2)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보호하도록 하는 렌즈테(22)와, 상기 렌즈테(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피자성체(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안경(1)에 대한 1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222) 및 상기 렌즈테(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16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착탈되는 결합관계를 통해 2차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안착고리(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Attachment lens adhere type glasses}
본 발명은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일측에 시력보강 또는 보호 목적으로 구성되는 보조렌즈를 사용자의 선택에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조렌즈에 의한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렌즈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과 썬글라스는 공통적으로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경테, 및 상기 안경태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귀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렌즈 교체형 안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렌즈(8)의 외측양단부에 삽설된 영구자석봉(20a)(20b)을 렌즈테(4)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자석편 매설 삽입홈(22b)에 삽입 자력 부착시키고, 상기 렌즈테(4)와 일체화로 구성된 브릿지(6)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회전개폐식 홀더(10)의 들봉을 상기 통렌즈(8)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6)에 끼워 넣어줌으로써 상기 통렌즈(8)가 안경테에 장착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술된 안경은 안경의 일측에 회전개폐식 홀더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개폐식 홀더의 일측이 통렌즈에 형성된 통공에 착탈되도록 하는 고정관계를 구성하고 있으나, 심한 운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안경에서 통렌즈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렌즈에 영구자석봉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렌즈가 합성수지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구성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통렌즈가 유리로 형성될 경우, 연구자석봉을 고정시키기 어렵고, 설사 접착제로 고정한다하더라도, 여름철과 같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상기 연구자석봉이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50239호(2004.05.1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24017호(2006.08.14.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5375호(2007.01.1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의 일측에 시력보강 또는 보호 목적으로 구성되는 보조렌즈를 사용자의 선택에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조렌즈에 의한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렌즈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안경렌즈 각각에 대하여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경테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경테 일단 각각에 구성되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자성체 및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경; 및 상기 안경의 전면부에 착탈되게 구성되어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렌즈는 복수의 보조렌즈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보호하도록 하는 렌즈테와, 상기 렌즈테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피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안경에 대한 1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렌즈테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착탈되는 결합관계를 통해 2차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안착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홈의 하단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고리와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확장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렌즈테의 일측에는, 회동지지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하우징에 일단이 계합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측이 브릿지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경의 브릿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하우징과 회동지지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지지하우징이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경에 대하여 보조렌즈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힌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성되어, 안착홈에 안착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상기 안착홈에 대한 걸림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절개홈;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성되어, 회동지지하우징이 안정적으로 계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경은 안착홈을 생략하고, 안경테의 일단에 제2계합홈을 형성하며, 브릿지의 일측에 복수의 원터치모듈이 매설되고, 상기 안경테의 귀걸이부 위치되는 전면에 피자성체 및 측면에 제3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렌즈는 복수의 보조렌즈 각각을 감싸도록 구성되면서 상호 양분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렌즈테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테는 일단에 상기 제2계합홈에 계합이 이루어지고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고정되는 계합돌기가 구성되고,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원터치모듈에 의해 걸림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테의 일측에는 상기 제2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테가 안경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될 때 피자성체 또는 제3피자성체 각각에 자착되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원터치모듈은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되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재차 렌즈테를 원터치모듈으로 밀면 걸림고리의 고정 해제가 이루어지는 원터치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터치모듈은, 브릿지에 매설상태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성되어, 걸림고리가 삽입되는 걸림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걸림고리와;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의 하단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밀림상태에 따라 상기 회동걸림고리의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핀; 및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회동걸림고리에 대한 승강을 안내하도록 중앙에 구성되는 승강홈; 및 상기 승강홈의 양측 각각에 구성되어, 복수의 회동걸림고리 각각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동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의 일측에 시력보강 또는 보호 목적으로 구성되는 보조렌즈를 사용자의 선택에 착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조렌즈에 의한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렌즈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안경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경의 일부 확대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의 일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버튼과 걸림고리의 작용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1), 및 상기 안경(1)의 전면부에 착탈형태로 탈,부착되는 보조렌즈(2)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렌즈(2)에 따라 시력보강 또는 눈 보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안경(1)은 복수의 안경렌즈(12)와, 상기 복수의 안경렌즈(12) 각각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복수의 안경테(14)와, 상기 복수의 안경테(14) 사이를 연결시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브릿지(16), 및 상기 복수의 안경테(14) 각각에서 연장되어 귀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귀걸이부(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경테(14) 각각에는 보조렌즈(2)와 자착에 의한 1차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지지하는 피자성체(14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피자성체는 자석과 자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자성체(142)는 안경테(14)의 외주연 즉, 귀걸이부(18)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경(1)와 보조렌즈(2) 사이에 자착에 의한 상호 1차 고정력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릿지(16)에는 보조렌즈(2)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하여, 2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62)을 포함한다.
보조렌즈(2)는 상기 안경(1)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시력보강용 예컨대, 안경렌즈를 실내용으로 맞춰주고 보조렌즈를 실외용으로 맞춰줌에 따라 실내에서는 안경만 착용한 상태이고, 외출할 경우 안경에 보조렌즈를 부착시켜 사용하도록 하거나, 또는 눈 보호용 예컨대, 보조렌즈를 썬글라스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시력보강 또는 보호 등으로 선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렌즈(2)에는 안경(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렌즈(2)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보조렌즈(2)의 보호기능을 수행하는 렌즈테(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테(22)에는 상기 안경(1)에 자착에 의한 1차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석(222)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자석(222)은 안경(1)의 피자성체(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222)은 상기 렌즈테(22)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구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자석(222)의 위치가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석(222)이 외부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테(22)에는 안경(1)의 안착홈(162)에 안착되어, 2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안착고리(224)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고리(224)는 상기 안착홈(16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브릿지(16)의 내측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안착홈(162)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16)의 두께 및 안착홈(162)의 깊이에 맞춰지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고리(224)는 상기 안착홈(162)과의 계합관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은 안경(1)을 기본으로 하고, 시력보강용 또는 보호용으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보조렌즈(2)의 자석(222)에 의한 1차 고정력 및 안착고리(224)에 의한 2차 고정력으로 상기 안경(1)에 보조렌즈(2)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안경(1)에 대하여 상기 보조렌즈(2)를 들어올리는 작용에 의해 상기 보조렌즈(2)의 탈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안경(1)의 브릿지(16)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62)에 삽입되는 보조렌즈(2)의 안착고리에 대한 확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확장걸림홈(164)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걸림홈(164)은 상기 안착홈(162)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그 끝단에서 하방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사선을 형성한 화살촉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걸림홈(164)에 의해 상기 안착홈(162)으로 삽입되는 안착고리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됨으로써, 심한 운동이나 레저 등으로 활동에도 안경(1)에서 보조렌즈(2)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안착홈(162)이 형성된 일측의 브릿지(16)에는 보조렌즈(2)와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유도하는 제2피자성체(1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렌즈(2)에는 렌즈테(22)의 일측에 구성되는 회동지지하우징(226)과,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지지부(24), 및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과 회동지지부(24) 사이를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핀(26)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은 상기 회동지지부(24)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고, 힌지핀(26)이 삽입되는 통공이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은 상기 회동지지부(24)를 기준으로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이 구성된 보조렌즈(2)가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렌즈(2)의 일측에는 안경(1)의 안착홈(162) 부분에 구성된 제2피자성체(166)와 자착에 의해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제2자석(228)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자석(228)은 상기 제2피자성체(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회동지지부(24)는 몸체(242)와, 상기 몸체(242)의 일단 하단부에 형성되어, 안착홈(162) 및 확장걸림홈(164)에 안착이 이루어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244)과, 상기 걸림턱(244)의 일측에 구성되어 일정폭을 가지도록 하는 절개홈(246), 및 상기 몸체(242)의 상단 타측에 구성되는 계합홈(248)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244)은 상기 안착홈(162) 및 확장걸림홈(16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162)에 용이한 삽입과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홈(246)은 걸림턱(244)이 확장걸림홈(164)에 삽입될 때, 탄력적인 작용에 의해 용이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합홈(248)은 보조렌즈(2)에 구성된 회동지지하우징(226)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힌지핀(26)에 의해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과 회동지지부(24)가 안정적인 계합상태를 이루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은, 안경(1)의 일측에 보조렌즈(2)가 위치되되, 상기 보조렌즈(2)의 일측에 구성된 회동지지하우징(226)에 힌지핀(26)에 의해 결합된 회동지지부(24)가 구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24)의 걸림턱(244)을 상기 안경(1)에 구성된 안착홈(162)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안경(1)에서 보조렌즈(2)를 탈락시키지 않고도, 상기 보조렌즈(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회동지지부(24)와 회동지지하우징(226) 사이에 구성된 힌지핀(26)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이 형성된 보조렌즈(2)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안경(1)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실시 예의 보조렌즈(2)는 안경(1)에 대하여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상탱고, 제2실시 예의 보조렌즈(2)는 안경(1)에 탈부착 및 상기 안경(1)에서 탈락시키지 않고 일정각도 회전시켜 안경(1)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안경(1)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4)와 귀걸이부(16)가 교차되는 부분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2계합홈(14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1)의 일측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보조렌즈(2)는 상기 보조렌즈(2)를 외주연을 감싸도록 하여 보호하는 렌즈테(22a)가 구성되되, 상기 렌즈테(22a)는 상호 양분되게 구성되어, 상기 안경(1)에 구성된 복수의 안경렌즈(12) 각각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테(22a)의 일단에는 상기 제2계합홈(144)에 안착이 이루어져 상호 계합상태 즉, 결합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계합돌기(2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계합홈(144)과 계합돌기(223)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2계합홈(144)이 형성된 안경(1)에 대하여 양분되게 구성된 렌즈테(22a) 각각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힌지핀(2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14)에는 렌즈테(22a)와 자착에 의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피자성체(142)가 구성되고, 또한, 귀걸이부(18)가 위치되는 측면에 제3피자성체(146)가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렌즈테(22a)의 일측에는 상기 피자성체(142)와 자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석(222)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렌즈테(22a)를 안경(1)의 전면부에 위치하면, 상기 피자성체(142)와 자착이 이루어져 고정력을 발휘하고, 힌지핀(28)을 중심으로 렌즈테(22a)를 회전시켜 귀걸이부(18)의 일단에 위치되도록 하면, 제3피자성체(146)와 자착이 이루어져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양분되게 구성되는 렌즈테(22a)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안경(1)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각각의 렌즈테(22a)를 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귀걸이부(18)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렌즈테(22a)에 구성된 보조렌즈(2)를 썬글라스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렌즈테(22a)를 귀걸이부(18)의 측면에 위치시키면, 측면으로 입사되는 태양 빛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보조렌즈(2)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안경(1)에는 각각의 렌즈테(22a)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원터치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원터치모듈(30)은 상기 안경(1)에 구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상기 렌즈테(22a)의 일단을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안경(1)에 대하여 렌즈테(22a)의 선택적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원터치모듈(30)은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내측에 상호 대응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와, 상기 회동걸림고리(34)의 하단 양측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링크핀(36), 및 상기 하우징(32)에 대하여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 각각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3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2)에는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 각각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승강홈(322), 및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 일측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회동홈(324)을 포함한다.
즉, 승강홈(322)에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 하단 일측이 중첩되게 위치시킨 후 링크핀(36)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링크핀(36)의 일단이 승강홈(322)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회동걸림고리(34)의 타측에 링크핀(36)이 위치됨과 함께 회동홈(324)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에, 상기 하우징(32)의 내측으로 밀림력이 작용되면,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가 타방으로 승강홈(3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동홈(324)의 안내에 따라 전면부가 상호 벌어지는 작용이 수행되고, 밀림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8)의 탄성으로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가 원위치되면서 전면부가 오므려지는 작용이 수행된다.
물론, 상기 원터치모듈(3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터치방식으로 작용함과 아울러, 고정 및 해제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렌즈테(22a)의 타측에는 상기 원터치모듈(30)에 의한 걸림 및 해제작용으로 안경(1)에 대하여 상기 렌즈테(22a)의 고정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걸림고리(229)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안경(1)의 전면에 양분된 렌즈테(22a)를 위치시키면, 상기 렌즈테(22a)의 일측에 구성된 걸림고리(229)가 원터치모듈(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모듈(30)의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에 의해 걸림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테(22a)의 일측 즉, 걸림고리(229)가 구성된 부분을 눌러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가 승강홈(3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짐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229)의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렌즈테(22a)를 제2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안경 12: 안경렌즈
14: 안경테 142: 피자성체
144: 제2계합홈 146: 제3피자성체
16: 브릿지 162: 안착홈
164: 확장걸림홈 166: 제2피자성체
18: 귀걸이부 2: 보조렌즈
22, 22a: 렌즈테 222: 자석
224: 안착고리 226: 회동지지하우징
228: 제2자석 229: 걸림고리
24: 회동지지부 242: 몸체
244: 걸림턱 246: 절개홈
248: 계합홈 26: 힌지핀
28: 제2힌지핀 30: 원터치모듈
32: 하우징 322: 승강홈
324: 회동홈 34: 회동걸림고리
36: 링크핀 38: 스프링

Claims (5)

  1. 복수의 안경렌즈(12) 각각에 대하여 외주연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경테(14)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6)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경테(14) 일단 각각에 구성되는 귀걸이부(18)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14)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자성체(142) 및 상기 브릿지(16)의 일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62)이 형성되는 안경(1); 및
    상기 안경(1)의 전면부에 착탈되게 구성되어 시력보강 또는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보조렌즈(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렌즈(2)는 복수의 보조렌즈(2)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보호하도록 하는 렌즈테(22)와, 상기 렌즈테(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피자성체(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안경(1)에 대한 1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222) 및 상기 렌즈테(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16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착탈되는 결합관계를 통해 2차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안착고리(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62)의 하단부에는,
    상기 안착홈(162)에 안착되는 안착고리와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확장걸림홈(1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테(22)의 일측에는, 회동지지하우징(226)이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에 일단이 계합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측이 브릿지(16)의 안착홈(162)에 삽입되어, 안경(1)의 브릿지(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지지부(24); 및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과 회동지지부(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24)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지지하우징(226)이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경(1)에 대하여 보조렌즈(2)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힌지핀(26)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24)는, 몸체(242)와;
    상기 몸체(242)의 일단에 구성되어, 안착홈(162)에 안착되는 걸림턱(244)과;
    상기 걸림턱(244)에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상기 안착홈(162)에 대한 걸림턱(24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절개홈(246); 및
    상기 몸체(242)의 타단에 구성되어, 회동지지하우징(226)이 안정적으로 계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합홈(24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경(1)은 안착홈(162)을 생략하고, 안경테(14)의 일단에 제2계합홈(144)을 형성하며, 브릿지(16)의 일측에 복수의 원터치모듈(30)이 매설되고, 상기 안경테(14)의 귀걸이부(18) 위치되는 전면에 피자성체(142) 및 측면에 제3피자성체(146)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렌즈(2)는 복수의 보조렌즈(2) 각각을 감싸도록 구성되면서 상호 양분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렌즈테(22a)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테(22a)는 일단에 상기 제2계합홈(144)에 계합이 이루어지고 제2힌지핀(28)에 의해 힌지고정되는 계합돌기(223)가 구성되고,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원터치모듈(30)에 의해 걸림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고리(229)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테(22a)의 일측에는 상기 제2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테(22a)가 안경(1)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될 때 피자성체(142) 또는 제3피자성체(146) 각각에 자착되도록 하는 자석(222)을 포함하고;
    상기 원터치모듈(30)은 상기 걸림고리(229)가 삽입되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재차 렌즈테(22a)를 원터치모듈(30)으로 밀면 걸림고리(229)의 고정 해제가 이루어지는 원터치방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모듈(30)은,
    브릿지(16)에 매설상태를 유지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내측에 구성되어, 걸림고리(229)가 삽입되는 걸림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와;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의 하단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밀림상태에 따라 상기 회동걸림고리(34)의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핀(36); 및
    상기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38)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2)에는,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에 대한 승강을 안내하도록 중앙에 구성되는 승강홈(322); 및
    상기 승강홈(322)의 양측 각각에 구성되어, 복수의 회동걸림고리(34) 각각이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동홈(3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1020200110601A 2020-08-31 2020-08-31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10243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01A KR102430228B1 (ko) 2020-08-31 2020-08-31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01A KR102430228B1 (ko) 2020-08-31 2020-08-31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46A true KR20220028946A (ko) 2022-03-08
KR102430228B1 KR102430228B1 (ko) 2022-08-08

Family

ID=8081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601A KR102430228B1 (ko) 2020-08-31 2020-08-31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22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968A (ja) * 1998-05-07 2000-01-28 Masunaga Gankyo Kk 眼鏡における付加レンズの簡易着脱機構
JP2002182168A (ja) * 2000-12-12 2002-06-26 Hakugan:Kk 眼鏡フレームおよび眼鏡部品
JP2002244086A (ja) * 2001-02-21 2002-08-28 Hasegawa Bikoo:Kk 着脱式補助サングラス
KR200301225Y1 (ko) * 2002-10-25 2003-01-17 박헌양 자석의 힌지기능을 이용한 보조안경을 가지는 안경
KR200350239Y1 (ko) 2004-01-13 2004-05-13 이휘재 렌즈 교체형 안경
KR200424017Y1 (ko) 2006-05-24 2006-08-14 김태규 안경부착용 썬글라스 렌즈
KR200435375Y1 (ko) 2006-09-20 2007-01-18 김태규 안경부착용 썬글라스
JP2010197683A (ja) * 2009-02-25 2010-09-09 Excel Gankyo:Kk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及び前掛けフロント部
KR20150087652A (ko) * 2014-01-22 2015-07-30 박영화 안경테 탈착 구조체
US20170199398A1 (en) * 2013-03-15 2017-07-13 William Bush Eyeglasses with movable lenses
KR2018012108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비아리코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KR102114424B1 (ko) * 2018-11-26 2020-05-26 태영산업 주식회사 헬멧용 안경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968A (ja) * 1998-05-07 2000-01-28 Masunaga Gankyo Kk 眼鏡における付加レンズの簡易着脱機構
JP2002182168A (ja) * 2000-12-12 2002-06-26 Hakugan:Kk 眼鏡フレームおよび眼鏡部品
JP2002244086A (ja) * 2001-02-21 2002-08-28 Hasegawa Bikoo:Kk 着脱式補助サングラス
KR200301225Y1 (ko) * 2002-10-25 2003-01-17 박헌양 자석의 힌지기능을 이용한 보조안경을 가지는 안경
KR200350239Y1 (ko) 2004-01-13 2004-05-13 이휘재 렌즈 교체형 안경
KR200424017Y1 (ko) 2006-05-24 2006-08-14 김태규 안경부착용 썬글라스 렌즈
KR200435375Y1 (ko) 2006-09-20 2007-01-18 김태규 안경부착용 썬글라스
JP2010197683A (ja) * 2009-02-25 2010-09-09 Excel Gankyo:Kk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及び前掛けフロント部
US20170199398A1 (en) * 2013-03-15 2017-07-13 William Bush Eyeglasses with movable lenses
KR20150087652A (ko) * 2014-01-22 2015-07-30 박영화 안경테 탈착 구조체
KR2018012108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비아리코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KR102114424B1 (ko) * 2018-11-26 2020-05-26 태영산업 주식회사 헬멧용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228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8894B (zh) 具磁性鏡片附件之眼鏡框
US9964779B2 (en) Interchangeable glasses system
US6939003B2 (en) Multi-faceted detachable magnetic hinge system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ES2949635T3 (es) Lente de gafas sustituible por medio de un pestillo magnético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BR112016009219B1 (pt) Fachadas modulares permutáveis para óculos
US5980036A (en) Eyeglass devices with removable auxiliary lenses or frames
US20040046930A1 (en) Configurable eyewear
US2452159A (en) Spectacles with readily removable lenses
KR102430228B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CA2537967C (en) Multi-faceted detachable magnetic hinge system
US20050157249A1 (en) Multipurpose eyeglass device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CN211318900U (zh) 一种眼镜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JP3122065B2 (ja) 多機能サングラス
US6974213B1 (en) Monoblock assembly for eyewear
US11796835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system
US11112596B1 (en) Arc shaped visual aid
CN210294724U (zh) 光学防护安全眼镜
KR20210141231A (ko) 선글라스 착탈 안경
KR200199595Y1 (ko) 차양판이 구비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