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862A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62A
KR20220028862A KR1020200110456A KR20200110456A KR20220028862A KR 20220028862 A KR20220028862 A KR 20220028862A KR 1020200110456 A KR1020200110456 A KR 1020200110456A KR 20200110456 A KR20200110456 A KR 20200110456A KR 20220028862 A KR20220028862 A KR 2022002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late
attached
tab
uncoat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응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862A/en
Publication of KR2022002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late formed with a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spaced apart from both end portions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 substrate tab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a second electrode plate formed with a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h end portion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tab cover tape attached to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where the substrate tab is formed; an uncoated portion cover tap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and an insulating tape attached onto the separator and attach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onto the separator without attaching the insulating tape onto the uncoated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a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le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lithium ion precipitation on the electrode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a cell thickness, improve flatness, and minimize energy density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flatness and uniformity.

Description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절연 구조가 개선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sulating structure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액을 구비한 셀을 포함한다.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cell including an electrolyte solution impregn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일반적으로 전극 조립체는 음극 활물질층이 박막 형태의 전극 집전체에 형성된 음극판 및 양극 활물질층이 박막 형태의 전극 집전체에 형성된 양극판을 구비한다. 음극판 및 양극판에는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무지부가 형성되고, 무지부 상에 음극 기재탭 및 양극 기재탭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다. 음극 기재탭 및 양극 기재탭은 음극판 및 양극판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형성되거나 중앙 쪽에 형성될 수 있다.In general,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a thin-film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a thin-film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 uncoated region on which an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is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tab and a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tab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ncoated region. The negative electrode substrate tab and the positive electrode substrate tab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edges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되면 양극판에서 발생하는 양이온이 음극판 상에 석출(deposition)되어 음극판의 무지부에 침투하거나, 양이온이 적층되어 세퍼레이터를 천공시켜 양음극 간 쇼트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극판 및 양극판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데, 전극 조립체를 권취할수록 절연 테이프의 겹침에 의해 셀의 두께가 증가되어 균일도가 저하되고 에너지 밀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s repeated, cations genera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re deposi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penetrate into the uncoated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r the positive ions are stacked and the separator is punctured, thereby caus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To prevent this, an insulating tape is attach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s the electrode assembly is wound, the thickness of the cell increases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insulation tap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iformity is lowered and energy density is lowered.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탭이 적용된 전극 조립체의 절연 구조를 개선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sulating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to which a center tab is applied,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1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2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의 사이에 개제되는 세퍼레이터;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상기 기재탭이 형성된 일면에 부착되는 탭 커버 테이프;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무지부 커버 테이프; 및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 second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tab cover tap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on which the substrate tab is formed; an uncoated area cover tap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and an insulating tape attached to the separator and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상기 제1 전극판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양극인 것이 특징이다.The first electrode plate is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a positive electrode.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전극판을 마주보는 일면에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tap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또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1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과,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2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의 사이에 개제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상기 기재탭이 형성된 일면에 부착되는 탭 커버 테이프와,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무지부 커버 테이프와,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외주연이 실링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또는 포켓 타입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a second electrode plate having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ab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tab cover tape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an uncoated area cover tap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and a pouch or pocket-type case in which the outer periphery is seal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제1 전극판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양극인 것이 특징이다.The first electrode plate is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a positive electrode.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전극판을 마주보는 일면에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tap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판의 무지부에는 절연 테이프를 생략하고 세퍼레이터 상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극판이나 기재 표면의 쇼트 및 리튬 이온의 석출을 방지하면서도 테이프 겹침에 의한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셀 두께를 감소시키고 평탄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평탄도 및 균일도의 개선에 따라 에너지 밀도 하락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tape is omitted on the uncoated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on the separator, thereby preventing short circuits and lithium ions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or the substrate and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ickness due to overlapping of the tapes. there is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ell thickness and improving the flatness, an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a decrease in energy density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flatness and uniform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A 방향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B 방향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구조 및 권취 시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두께 증가 별 에너지 밀도를 산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권취 시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판을 SEM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1 .
4A is a plan view in A direction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3 .
4B is a B-direction plan view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3 .
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winding thickness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in which the energy dens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5 is calculated.
7 is a graph illustrating a thickness during winding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M photograph of a first electrode plat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nected”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indirectly connected by interposing member C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 to the referenc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pecifies the presence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so that they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iscuss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refer to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hese space-related term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ag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below"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Accordingly, "lower"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차전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A 방향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B 방향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1 . 4A is a plan view in A direction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3 . 4B is a B-direction plan view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3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10) 전극 조립체(100)와,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1 ,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pouch-shaped case 30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0)는 박형 또는 막형으로 형성된 제1 전극판(110), 세퍼레이터(120) 및 제2 전극판(130)의 적층체가 권취되거나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판(110)은 음극일 수 있고, 제2 전극판(130)은 양극일 수 있으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전극 조립체(100)는 통상적으로 젤리 롤(Jelly Roll)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조립체(100)가 권취된 형태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1 to 3 ,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by winding or stacking a laminate of a first electrode plate 110 , a separator 120 ,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130 formed in a thin or film shape. can be Her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may be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an anode, but vice versa.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jelly roll.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is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인 제1 전극판(110)은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112)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1 전극 활물질(114)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집전체(112)의 일부 영역에는 제1 전극 활물질(114)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전극 무지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무지부(116) 상에는 제1 전극 집전체(112)의 폭 방향으로 제1 전극 기재탭(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무지부(116)가 제1 전극 집전체(1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또는 그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제1 전극 기재탭(118)을 센터탭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제1 전극 기재탭(118)은 제1 전극 집전체(11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도 2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됨). 제1 전극 기재탭(118)은 제1 전극판(110)과 캡 어셈블리(300)의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제1 전극 기재탭(118)에는 절연부재(119)가 부착되어 제1 전극 기재탭(118)이 케이스(300)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o 3,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which is the negative electrode, is made of graphite or carbon on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copper, copper alloy, nickel or nickel alloy.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4 may be applied and formed.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4 is not applied may be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 A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 Since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is formed at or adjacen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is also referred to as a center tab.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extends outwardly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extends upwar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serves as a passage for current flow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terminal of the cap assembly 300 . An insulating member 119 is attached to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from being shorted with the case 300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0)는 제1 전극판(110)과 제2 전극판(130)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1 전극판(110)과 제2 전극판(130)의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세퍼레이터(120)는 제1 전극판(110)과 제2 전극판(1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2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1 to 3 , the separator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 130) and enables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To this end, the separator 12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The separator 120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composite film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인 제2 전극판(13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 전극 집전체(132)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2 전극 활물질(134)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 집전체(132)의 일부 영역에는 제2 전극 활물질(134)이 도포되지 않은 제2 전극 무지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 무지부(136) 상에는 제2 전극 집전체(132)의 폭 방향으로 제2 전극 기재탭(13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 무지부(136)가 제2 전극 집전체(13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또는 그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제2 전극 기재탭(138)을 센터탭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제2 전극 기재탭(138)은 제2 전극 집전체(13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도 2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됨). 단, 제2 전극 기재탭(138)은 제1 전극 기재탭(118)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전극 기재탭(138)은 제2 전극판(130)과 캡 어셈블리(300)의 단자 사이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제2 전극 기재탭(138)에는 절연부재(139)가 부착되어 제1 전극 기재탭(138)이 케이스(300)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o 3,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which is the positive electrode, is formed of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with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a transition metal oxide ( 134) may be applied and forme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34 is not applied may be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 A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 Since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is formed in the center or adjacent theret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is also referred to as a center tab.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extends outwardly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extends upward with reference to FIG. 2 ).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is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serves as a passage for current flow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nd the terminal of the cap assembly 300 . An insulating member 139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to prevent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38 from being shorted with the case 300 .

이러한 구조의 전극 조립체(100)는 전해액과 함께 권취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스(300) 내에 수용된다.The electrode assembly 100 having this structure is wound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and accommodated in the case 300 as shown in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는 파우치 또는 포켓 타입으로, 라미네이트 외장재, 파우치, 파우치 외장재, 파우치 케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케이스(300)는 판상의 외장재를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한 후, 프레스(press) 또는 드로잉(drawing) 가공 등을 통해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되는 리세스(310)를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310)의 외주연에는 실링부(330)가 형성되며, 리세스(310)에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링부(330)가 열융착 등으로 실링된다.As shown in FIG. 1 , the case 300 is a pouch or pocket typ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laminate exterior material, a pouch, a pouch exterior material, a pouch case, or the like. The case 300 may form a recess 31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ccommodated by bending the plate-shaped exterior material to face each other, and then performing a press or drawing process. A sealing part 3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ss 310 , and the sealing part 330 is sealed by thermal fusion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310 .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극 조립체의 주요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전극판의 길이 방향, 상하 방향을 전극판의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전극판의 폭 방향 중 하측 방향을 A 방향, 상측 방향을 A 방향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main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ownward direction is defined as the A direction, and the uppe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A dire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음극인 제1 전극판(110)과 양극인 제2 전극판(130)의 사이사이에 각각 세퍼레이터(120)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세퍼레이터(120)는 제1 전극판(110) 및 제2 전극판(130)에 비해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편의상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판(110)과 제2 전극판(130), 세퍼레이터(120)가 적층된 상태에서 권취되며, 권취된 전극 조립체(100)를 다른 말로 젤리 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As shown in FIG. 3 ,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or 12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s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s the positive electrode, respectively. is the structure in which it is placed. Since the separator 120 is thinner tha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it is illustrated with a dotted line for convenience.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nd the separator 120 are stacked, and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100 is also called a jelly roll.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110)의 제1 전극 집전체(112) 양면에는 제1 전극 활물질(114)이 도포되며, 일부 영역에 제1 전극 활물질(114)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전극 무지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3,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4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4 is not coated on some regions. An uncoated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may be formed.

제1 전극 무지부(116)는 제1 전극판(110)의 양면(A면 및 B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면에 제1 전극 기재탭(118)이 구비된다. 제1 전극 기재탭(118)이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 감소를 위해 제1 전극 기재탭(118)의 위치에 대향되는 부분에도 무지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절연 테이프(160)가 겹치는 부분의 셀 두께 감소를 위해 제1 전극 무지부(116)의 A, B면 모두 절연 소재의 테이프 부착 없이 노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대체하여 세퍼레이터(120) 상에 절연 테이프(160)가 부착된 구조를 제공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함).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is equally formed on both surfaces (side A and side B)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nd a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is provided on one surface.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is formed, the uncoated region is also formed in the por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tab 118 .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and B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are exposed without attaching an insulating material tape in order to reduce the cell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tape 160 overlaps. Instead of this, a structure in which an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on the separator 120 is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전극판(130)의 제2 전극 집전체(132) 양면에는 제2 전극 활물질(134)이 도포되며, 일부 영역에 제2 전극 활물질(134)이 도포되지 않은 제2 전극 무지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무지부(136)는 제1 전극 무지부(116)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 무지부(136)는 제2 전극판(130)의 양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면에 제2 전극 기재탭(138)이 구비된다. 제2 전극 기재탭(138)이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 감소를 위해 제2 전극 기재탭(138)의 위치에 대향되는 부분에도 무지부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34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32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34 is not applied in some regions. )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is equally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and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is provided on one surface.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is formed, the uncoated region is also formed in the por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tab 138 .

제2 전극 무지부(136)의 A면에는 탭 커버 테이프(140)가 부착되고, B면에는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가 부착된다. 탭 커버 테이프(140)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는 일반적으로 무지부 및 탭을 보호하고 절연하는 절연 소재의 접착 테이프이다. 탭 커버 테이프(140)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는 내열성이 강하고 고온에서도 수축 등의 변형이 없는 폴리프로필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마이드(PI)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탭 커버 테이프(140)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는 제2 전극 무지부(136)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tab cover tape 140 is attached to the A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136 ,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is attached to the B side. The tab cover tape 140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are generally adhesive tape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protect and insulate the uncoated area and the tab. The tab cover tape 140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sulfide (PPS) or polyamide (PI) that has strong heat resistance and does not undergo deformation such as shrinkage even at high temperatures. The tab cover tape 140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are formed to have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uncoated area 136 of the second electrode.

이에 따라, 제2 전극 무지부(136)의 A면 및 B면을 마주보는 세퍼레이터(120) 상에는 절연 테이프가 생략될 수 있다. 제2 전극 무지부(136)의 A 및 B면에 절연 소재의 테이프가 부착되므로 리튬 이온의 석출이 일어나지 못해 제1 전극판(110)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세퍼레이터(120)의 절연 테이프를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ulating tape may be omitted on the separator 120 facing the A side and the B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 Since the insulating material tape is attached to the A and B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 lithium ions do not occur and do not affect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so the insulating tape of the separator 120 can be omitted. can

한편, 제1 전극 무지부(116)의 위치에 대응하여 세퍼레이터(120) 상에 절연 테이프(160)가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sulating tape 160 may be attached on the separator 12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테이프(160)는 제1 전극 무지부(116)의 위치에 대응하는 세퍼레이터(120) 상에 부착되되, 제1 전극판(110)과 직접 마주보는 면이 아닌 다른 면 상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3 , the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on the separator 1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but not on the surface that directly face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It is attached on the other side.

편의상 도 3에서 제1 전극판(110) 하측에 위치한 세퍼레이터(120)와 상측에 위치한 세퍼레이터(12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제1 전극판의 상하에 모두 제2 전극판이 구비되므로 세퍼레이터 역시 제1 전극판의 상하에 모두 구비된다).For convenience, in FIG. 3 , the separator 120 positioned below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parator 120 ′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since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first electrode plate) Separators are also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first electrode plat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110)의 하측에 위치한 세퍼레이터(120)의 경우, 절연 테이프(160)가 제1 전극판(110)을 직접 마주보는 B면이 아닌 제2 전극판(130)을 마주보는 A면 상에 부착된다. 절연 테이프(160)는 제1 전극 무지부(116)의 A면 쪽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A , in the case of the separator 120 located below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the insulating tape 160 is the second electrode instead of the B surface directly fac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It is attached on the A side facing the plate 130 . The insulating tape 160 is formed in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A sid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110)의 상측에 위치한 세퍼레이터(120')의 경우, 절연 테이프(160)가 제1 전극판(110)을 직접 마주보는 A면이 아닌 제2 전극판(130)을 마주보는 B면 상에 부착된다. 절연 테이프(160)는 제1 전극 무지부(116)의 B면 쪽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B , in the case of the separator 120 ′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the insulating tape 160 has the second second surface instead of the A-side directly fac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It is attached on the B side facing the electrode plate 130 . The insulating tape 160 is formed in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B sid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되면 양극인 제2 전극판(130)으로부터 리튬 이온이 음극판 상에 석출되어 무지부에 침투하거나, 석출된 리튬 이온이 적층되어 세퍼레이터(120)가 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테이프(160)가 세퍼레이터(120) 상에 부착될 때 양극인 제2 전극판(130)을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is repeated, lithium ions may be deposi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from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which is the positive electrode, and penetrate into the uncoated area, or the deposited lithium ions may be stacked and the separator 120 may be perforated. Therefore, when the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to the separator 120 , it is preferable to be attached to face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which is the positive electrode.

본 발명에서는 제2 전극판(130)이 양극인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므로 절연 테이프(160)가 하측 세퍼레이터(120)의 A면, 상측 세퍼레이터(120')의 B면에 부착된 것이다. 그러나 제1 전극판(110)이 양극인 경우에는 세퍼레이터(120) 상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160)의 방향 및 위치가 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is a positive electrode as an example, the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to the A side of the lower separator 120 and the B side of the upper separator 120 ′. However, w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a positive electrode,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insulating tape 160 attached to the separator 120 may vary accordingly.

전술한 전극 조립체(100)의 절연 테이프(160) 부착 구조는 전극 조립체(100)의 권취 시 절연 테이프(160)가 겹치는 부분의 셀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제1 전극 무지부(116)에 탭 커버 테이프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를 생략하지 않았을 때와 생략했을 때 셀의 두께를 비교해 설명하기로 한다(도 5 및 도 6에서, X축은 전극 조립체의 P1~P2 구간을 P1 지점에서부터 화살표 방향을 따라 P2 지점까지 임의의 간격(예를 들어, 0.5mm 등)으로 구획한 후 번호를 붙인 것이며, 이를 '구간단위'로 정의하였다).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attaching the insulating tape 16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thickness of a cell in a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tape 160 overlaps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Hereinafter, the thickness of the cell when the tab cover tape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are not omitt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will be compared and described (in FIGS. 5 and 6 , the X axis is the electrode assembly) Sections P1~P2 are divided at random intervals (eg, 0.5mm, etc.) from point P1 to point P2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numbered, which is defined as 'section unit').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구조 및 셀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a thickness of a cell according to a compar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음극인 제1 전극판(110), 양극인 제2 전극판(130), 이들 사이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세퍼레이터(12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110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plate 130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120 that is inserted between them, respectively. is composed of

제1 전극판(110)은 제1 전극 무지부(116)의 A 및 B면에 각각 탭 커버 테이프(140)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가 부착된다. 제2 전극판(130)은 제2 전극 무지부(136)의 A 및 B면에 각각 탭 커버 테이프(140)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150)가 부착된다. 또한, 제2 전극판(130)은 제1 전극 무지부(116)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연 테이프(160)가 부착된다. 제2 전극판(130)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160)는 제1 전극판(110)을 마주보는 면 상에 부착된다.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the tab cover tape 140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A and B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116 . I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 the tab cover tape 140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15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A and B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136 . In addition, the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The insulating tape 160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비교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가 전술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절연 테이프(160) 4장이 겹치는 1영역 및 2영역이 생기게 된다. 전극 조립체(100)를 권취할 때 제2 전극 무지부(136) 쪽은 절연 소재의 테이프(탭 커버 테이프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가 2장이 겹치게 되고, 1영역 및 2영역은 4장이 겹치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1영역 및 2영역의 두께는 제2 전극 무지부(136) 쪽 보다 절연 테이프 2개의 두께만큼 더 증가하게 된다. 즉, 1영역 및 2영역의 두께가 제2 전극 무지부(136) 쪽 두께보다 두꺼우므로 셀 두께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셀 평탄도 역시 감소된다.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mbodiment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gions 1 and 2 where four insulating tapes 160 overlap are formed as shown in FIG. 5 .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wound, two sheets of insulating material tape (a tab cover tape and an uncoated area cover tape) overlap on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side, and 4 sheet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 Accordingly,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 the thickness of regions 1 and 2 increases by the thickness of two insulating tapes compared to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 That is, since the thicknesses of the regions 1 and 2 ar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 an imbalance occurs in the cell thickness and the cell flatness is also reduced.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두께 증가 별 에너지 밀도를 산출한 표이다.6 is a table in which the energy dens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FIG. 5 is calculated.

도 6은 용량 2000mAh, 길이 50mm, 폭 50mm인 셀을 도 5의 구조로 구성했을 때, 절연 테이프 2장의 두께가 증가할 때마다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절연 테이프의 두께가 0.01mm 증가하면 2장이 겹치는 부분의 두께는 2배로 증가한다. 절연 테이프의 두께 증가로 셀의 두께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고, 에너지 밀도 역시 감소하게 된다. 6 is a table showing the extent to which the energy density decreases whenever the thickness of two insulating tapes increases when a cell having a capacity of 2000 mAh, a length of 50 mm, and a width of 50 mm is configured in the structure of FIG. 5 . As shown in FIG. 6 , whe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tape increases by 0.01 mm,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two sheets overlap is doubled. A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tap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cell increases that much, and the energy density also decreases.

에너지 밀도는 단위 면적당 에너지 생산 용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셀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된다는 것은 셀의 에너지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셀 두께의 불균형으로 인한 셀 평탄도 감소가 셀의 에너지 용량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셀의 에너지 용량 감소 최소화 및 용량 감소 방지를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The energy density refers to the energy production capacity per unit area, and a decrease in the energy density of a cell means a decrease in the energy capacity of the cell. In addition, this means that the reduction in cell flatness due to the cell thickness imbalance affects the reduction in the energy capacity of the cel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reduction in the energy capacity of the cell and preventing the capacity reduc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리튬 이온 석출이 발생하지 않는 제1 전극판(110)의 제1 전극 무지부(116)의 양면(A 및 B면)에 부착되는 탭 커버 테이프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를 생략한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 탭 커버 테이프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를 생략하는 대신, 세퍼레이터(120) 상에 절연 테이프(160)를 부착함으로써 리튬 이온 석출이 발생할 때 제1 전극 무지부(116)에 침투할 수 있는 제2 전극판(130)의 석출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 cover tape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attached to both surfaces (A and B sid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116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n which lithium ion precipitation does not occur are omitted. A structure is proposed. Instead of omitting the tab cover tape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the second electrode plate capable of penetrating in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116 when lithium ion precipitation occurs by attaching the insulating tape 160 on the separator 120 . (130) to cover the precipitation por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권취 시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7 is a graph illustrating a thickness during winding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제1 전극판(110)의 제1 전극 무지부(116)에 절연 소재의 테이프 구조를 삭제하고 세퍼레이터(120)에만 절연 테이프(160)를 부착한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00) 구조 및 셀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7 shows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sulating tape 160 is attached only to the separator 120 with the tape structure of the insulating material remov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nd a graph showing the thickness of the cell.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00)는 제2 전극 무지부(136) 쪽의 셀 두께와 1영역 및 2영역의 셀 두께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는 양쪽 모두 절연 테이프(160)가 2장만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비교 실시 예의 전극 조립체(100) 구조 대비 셀의 평탄도가 높으며, 에너지 밀도의 감소를 최소화 또는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thickness on th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36 and the cell thicknesses of regions 1 and 2 are the same or similar. This is because both of them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two insulating tapes 160 are disposed. Therefore,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the comparative embodiment shown in FIG. 5 , the flatness of the cell is high, an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or preventing a decrease in energy densit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판을 SEM 촬영한 사진이다.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극판(110)을 촬영한 결과, 제1 전극 무지부(116) 상에 리튬 이온 석출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 무지부(116)의 양면에 탭 커버 테이프 및 무지부 커버 테이프를 생략하고 세퍼레이터(120)에 절연 테이프(160)를 부착함으로써 리튬 이온 석출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8 is a SEM photograph of a first electrode plate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photograph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ing, it was found that lithium ion precipitation did not occur on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 Able to know.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lithium ion precipitation can be prevented by omitting the tab cover tape and the uncoated area cover tape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6 and attaching the insulating tape 160 to the separator 120 .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parted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is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이차전지 100: 전극 조립체
110: 제1 전극판 120: 세퍼레이터
130: 제2 전극판 140: 탭 커버 테이프
150: 무지부 커버 테이프 160: 절연 테이프
10: secondary battery 100: electrode assembly
110: first electrode plate 120: separator
130: second electrode plate 140: tab cover tape
150: uncoated area cover tape 160: insulation tape

Claims (8)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1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2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의 사이에 개제되는 세퍼레이터;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상기 기재탭이 형성된 일면에 부착되는 탭 커버 테이프;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무지부 커버 테이프; 및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a first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 second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and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tab cover tap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on which the substrate tab is formed;
an uncoated area cover tap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and
and an insulating tape attached to the separator and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양극인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an an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전극판을 마주보는 일면에 부착되는 전극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insulating tap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1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과,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이격되어 제2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일면에 기재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의 사이에 개제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상기 기재탭이 형성된 일면에 부착되는 탭 커버 테이프와, 상기 제2 전극 무지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무지부 커버 테이프와, 상기 세퍼레이터 상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절연 테이프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과 함께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외주연이 실링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또는 포켓 타입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is formed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a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is formed spaced apart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plate having a substrate ta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ncoated reg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tab cover tap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on which the substrate tab is formed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 uncoated area cover tap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and an insulating tape attached to the separator and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uch or pocket type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by sealing the outer periphery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양극인 이차전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a positive electr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2 전극판을 마주보는 일면에 부착되는 이차전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ulating tape is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는 상기 제1 전극 무지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The insulating tap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KR1020200110456A 2020-08-31 2020-08-31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20028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56A KR20220028862A (en) 2020-08-31 2020-08-31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56A KR20220028862A (en) 2020-08-31 2020-08-31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62A true KR20220028862A (en) 2022-03-08

Family

ID=8081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56A KR20220028862A (en) 2020-08-31 2020-08-31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8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543B2 (en) Secondary battery
EP2276091B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an insulating layer for short-circuit protection
US8637182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aligne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US20110104541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US20060008701A1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H11214027A (en) Secondary battery compensating capacity ratio of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US870963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515833B1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US2021035144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0966604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107615558B (en) Winding type battery
US20200251783A1 (en) Secondary battery
CN115513607B (en) Low-loss and high-space utilization rate lithium ion battery full-tab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00605B1 (e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20230253659A1 (en) Secondary battery
US898686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20028862A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20059905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21174726A (en) Power storage cell and power storage device
US2023029941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battery, and battery intermediate
KR102515054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20230411806A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155164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External Shape Fixation Fr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4122567B2 (en)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4648B1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