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825A - D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ry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8825A KR20220028825A KR1020200110376A KR20200110376A KR20220028825A KR 20220028825 A KR20220028825 A KR 20220028825A KR 1020200110376 A KR1020200110376 A KR 1020200110376A KR 20200110376 A KR20200110376 A KR 20200110376A KR 20220028825 A KR20220028825 A KR 20220028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ar
- main body
- moving bar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목욕이나 샤워 또는 땀흘림 때문에 사람의 신체 각 부분에는 물기가 있을 수 있다. 이 물기가 적절하게 건조되어야 사람이 쾌적한 기분을 누릴 수 있고,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이 신체에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y part of a person's body can be wet from bathing, showering, or sweating. When this moisture is properly dried, a person can enjoy a pleasant feeling, and bacteria and mold can be prevented from inhabiting the body.
일반적으로 목욕이나 샤워 후에, 사람들은 수건으로 신체 각 부분의 물기를 제거한다. 수건으로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수건을 사용하고 나면, 수건을 대기 중에 두어 건조시키거나 세탁 후에 건조시켜 다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호텔이나 헬스클럽 등에서는 한 번 사용한 수건은 반드시 세탁하여 제공하여야 하므로, 수건의 세탁과 건조에 많은 인적 물적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fter bathing or showering, people dry each part of their body with a towel. Drying the body with a towel is a good method, but after using the towel, it is inconvenient to put the towel in the air to dry it or to dry it after washing and use it again. In hotels or health clubs, towels that are used once must be washed and provid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time to wash and dry the towels.
수건을 사용한 신체의 건조는 각 사람의 지식, 습관, 체형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발가락 사이, 겨드랑이, 모발 등의 경우 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보다 주의 깊게 관리되어야 하지만, 오히려 대충 물기를 제거하거나 아예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두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되면 물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부분에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기존에 있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서식하기에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문제가 발생한다.Drying the body using a towel is often not done properly depending on each person's knowledge, habits, body type, etc. For example, between the toes, armpits, hair, etc., should be managed more carefully than other parts of the body, but rath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water is removed roughly or not at all.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or mold develops in the part where the water is not properly removed, or a better environment is created for the existing bacteria or mold to liv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030(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9344호(선행문헌2)와 같은 신체 건조기가 제공되었다. 이들 신체 건조기는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면 사용자의 발이나 하체를 향해 신체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수건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1과 2는 사용자의 신체 전체에 대한 건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ody dryer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48030 (Prior Document 1)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9344 (Prior Document 2) has been provided. These body dryers supply air to dry the user's body toward the user's feet or lower body when the user stands on the footrest to remove moisture from the body without using a towel. However, these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2774호(선행문헌3)가 제시되었다. 여기서는 사용자의 신체 전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고, 신체의 전 부위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상관없이 강제기류를 제공하므로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As a way to overcome this,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2774 (Prior Document 3) has been proposed. Here, a space in which the entire body of the user is accommodated is provided, and drying is performed by spraying high-temperature air to all parts of the body.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forced air flow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33637(선행문헌4)에는 욕실용 건조부스가 개시되어 있는데, 욕실 등에 설치되어 샤워 후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프레임에 의해 내부가 외부와 구획되고 문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건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선행문헌4의 건조부스는 욕실 내에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33637 (Prior Document 4) discloses a drying booth for a bathroom, which is installed in a bathroom, etc. and used for drying after a shower. Here, the inside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by the frame, and the inside can be entered through the door to proceed with drying. However, the drying booth of Prior Document 4 has a problem in that it occupies too much space in the bathroom.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09634(선행문헌5)에는 스탠드형 바디 드라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욕실 등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부에서 하부로 머리부분으로 공기를 제공하고 또 다른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 각 부분에 공기를 제공하여 건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5에서는 욕실의 바닥에 세워서 설치하므로 여전히 욕실의 바닥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복수개의 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제공하므로 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09-0109634 (Prior Document 5) discloses a stand-type body dryer,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such as a bathroom to provide air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user's head and use another path. Air is provided to each part of the user's body to perform drying. However, in Prior Document 5, since i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it still occupies a lot of floor space of the bathroom and provides air by using a plurality of fans, so that the size of the entire device increas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00145호(선행문헌6)에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발판부를 가지고 사용자 신체로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서 공기를 배출하는데, 복수의 배출구에는 각각 송풍수단이 위치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어, 내부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6-0000145 (Prior Document 6) has a footrest o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discharges air to the user's body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and a blower means is locat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to discharge the air. Therefore,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very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is increased.
선행문헌7인 일본공개특허 평성 7-8412호에는 상하이동기구를 가지고 건조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는 온풍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단순히 온풍을 사용자 신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공하여 건조하는 방식이어서 상대적으로 물기 제거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8412, which is the preceding document 7, discloses a hot air dryer that removes moisture from a user's body while moving the dryer up and down with a vertical movement mechanism.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removing water is relatively poor because it is a method of drying by simply providing warm air while moving along the user's body.
선행문헌8인 일본공개특허 평성 4-266732호에는 온풍식 드라이어가 회동지지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있는 전방과 거울이 있는 후방을 향해 온풍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온풍식 드라이어가 여러방향을 향해 회동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상하방햐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온풍식 드라이어와 관련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여기서도 단순히 온풍을 사용자 신체에 제공하여 건조하는 방식이어서 상대적으로 물기 제거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4-266732, which is a prior document 8, the hot air dryer is configured to provide warm air toward the front where the user is and the rear with the mirror while the hot air dryer is rotated by the rotation support mean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warm air dryer is relatively complicated because the hot air dryer must be able to rotate in several directions and also move up and down, and here too, it is a method of simply providing hot air to the user's body and drying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removal effect is relatively poor.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92382(선행문헌9)에는 장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관의 끝단부에 체결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노즐부에서 공기를 토출하는 바디 드라이어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문헌9는 흡입팬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주름관을 통해 배출하는 만큼 건조할 수 있는 영역이 협소하고, 이로써 신체를 건조시키는데 긴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주름관을 이용하므로 원거리 건조는 가능하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한 위치의 건조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92382 (Prior Document 9) discloses a body dryer that discharges air from a nozzle formed integrally or fastened to the end of a longitudinally expandable corrugated pipe. However, in Prior Document 9, the area that can be dried is narrow enough to discharge the air from the suction fan through the corrugated pipe, and thus it takes a long time to dry the body. And since it uses a corrugated pipe, it is possible to dry it from a distan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ry in an accurate position for a part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dry the water in the user's body by spraying air.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복합적인 기류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remove moisture from a user's body using a complex airflow.
본 개시의 목적은 복합적인 기류를 사용하여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장치에서 본체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슬림화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implify and slim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in a drying device that removes moisture from a user's body using a complex airflow.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장치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moothly flow air in a drying device that removes moisture from a user's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장치에서 신체의 다양한 위치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allow air to be sprayed to various locations on the body in a drying device that removes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분배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distribute air sucked in by a fan assembly in a drying device to flow.
본 개시의 목적은 외부에서 건조장치의 본체를 통과하여 사용자 신체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공기의 유동거리를 보다 짧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horten the flow distance of air used for drying the user's bod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of the drying device.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팬조립체의 설치구조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i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an assembly used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자 신체의 몸통과 하체 부분으로 공기의 분사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ensure that air is well sprayed from the drying device to the torso and lower body parts of the user's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 본체의 상부와 하부까지 덕트를 통해 보다 공기가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better transmit air through the duct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rying apparatus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외부에서 건조장치의 본체를 통과하여 사용자 신체의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공기의 유동거리를 보다 짧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horten the flow distance of air used for drying the user's bod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of the drying device.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팬조립체의 설치구조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i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an assembly used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짧은 유동경로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기능으로 공기 정화를 수행하는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filter assembly that performs air purification with various functions while having a short flow path.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필터조립체를 건조장치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make a filter assembly used in a drying apparatus protrude to one side of a drying apparatus main body so that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본 개시의 목적은 필터조립체의 건조장치 본체에 대한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acilitate movement of a filter assembly with respect to a drying apparatus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riving assembly for moving a moving bar of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조립체의 설치를 최적화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of a drive assembly for movement of a moving bar of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조립체를 간소화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implify a driving assembly for moving a moving bar of a drying device.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이동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moving bar that removes moisture by discharging air to a user's body while moving along a main body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본체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여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는 이동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moving bar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user's body by discharging air obliquely towar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가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event a moving bar used in a drying apparatus from being affect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 내에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acilitate air flow in a moving bar that discharges air to a user's body while moving along a main body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에서의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minimize noise generation in a moving bar that discharges air to a user's body while moving along a main body in a drying apparatu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이동바아를 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make it possible to separate a moving bar from the main body by discharging air to the user's body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in the drying device to remove moisture.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이동바아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allow a moving bar of a drying device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a main body and used.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이동바아를 본체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mounting and separating the moving bar of the drying device to the main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본체에 이동바아가 설치되어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remove moisture by discharging air to a user's body while a moving bar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moves along the main body.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에서 사용자를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건조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a drying apparatus detects a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automatically proceed with drying according to preset drying conditions.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를 온시키면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건조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automatically proceed to the dryer according to preset drying condition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자 조작패널을 터치하여 건조조건을 선택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터치하지 않으면 조작패널에 표시되거나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elect a drying condition by touching a user's operation panel or to automatically select a drying condition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or preset if not touc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토출공기의 온도 및 풍량에 대응되는 온도 및 풍량으로 공기를 사용자 신체로 토출하도록 하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air to a user's body at a temperature and an air volum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requested by the us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목적은 본체 및 이동바아 중 공기가 토출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elect a position at which air is discharged among a body and a moving bar.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건조부위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이동바아가 이동하면서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to remove moisture from a user's body while a moving bar moves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a drying part requested by a user.
본 개시의 목적은 건조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that can dry the floor of a space in which the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 상반신, 하반신, 발 등의 일부 부위별로 구분하여 건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configured to allow drying by dividing the user's head, upper body, lower body, feet, etc. by some part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예:손 또는 발)에 이동바아에서 공기를 집중 토출하여 해당 부위만을 집중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that enable concentrated drying of only the relevant part by intensively discharging air from a moving bar to a part of the user's body (eg, hands or feet).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집중 건조할 때 상기 이동바아와 신체 일부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a moving bar and a body part to be kept constant when drying a user's body part intensivel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에 의해 사용자 신체로 전달할 수 있고 본체에 대해 승강하는 이동바아를 통해 또 다른 기류를 사용자 신체로 분사할 수 있다.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ransfer air sucked in by the fan assembly to the user's body throug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may inject another airflow to the user's body through a moving bar elevat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에 대해 승강하면서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기류를 제공하여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쓸어내리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 다른 기류를 제공하여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건조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provides an airflow inclined to the front and lower parts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o sweep away the moisture of the user's bo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nother airflow through the outlet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drain the moisture of the user's body. You can let it dr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의 외관을 선단프레임과 후단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에 덕트를 설치하면서 상기 덕트의 설치공간에 다른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어 본체의 전후 폭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can be configured with a front end frame and a rear end frame, and other parts can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uct while installing the duct in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main body is relatively can be reduc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전방 하부로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바아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는 선단 프레임과 후단 프레임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선단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전면판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에서 나오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제1 및 제2베인이 구비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 fan assembly position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ir, and the fan assembly. A duct for discharging the passed air through the outlet; may include a driving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first and second vanes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air coming out of the outlet.
본 개시에서는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덕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제1베인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바아의 양단에 있는 상기 구동조립체와의 연결부분이 이동되는 이동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ct. A moving channel through which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riving assembly at both ends of the moving bar moves may be formed between both edg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corresponding first vane.
본 개시에서는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팬조립체가 위치되는 팬수용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덕트가 위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상하로 길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fa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fan assembly is locate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frame.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duct is loca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end frame, and longitudinally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along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spac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바아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a fan assembly position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flow of air;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driving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lifting of the.
본 개시에서는 상기 팬조립체와 상기 덕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소정 거리 입출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positioned between the fan assembly and the duct to set a temperature of air sucked in by the fan assembly.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assembly installed in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having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by the fan assembly.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otor installed at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filter assembly into and ou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개시에서는 적어도 상기 팬조립체, 상기 이동바아, 상기 구동조립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최대 풍속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최대 풍속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at least the fan assembly, the moving bar, and the driving assembly may be further provided. The maximum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moving bar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덕트를 사용하여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하도록 하므로 본체 내에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uses a duct to flow air inside th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flows more smoothly in the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덕트의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하류에서 연결유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로에서 본체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하부토출유로가 구비된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with a lower discharge flow path such that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of the duc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flow passage downstream, an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onnection flow passag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덕트 내부를 제1유로와 제2유로로 분리되게 형성하여 흡입되어 전달된 공기를 제1유로와 제2유로로 나눠서 유동시켜 토출구로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side of the duct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nd the suctioned and delivered air is divided into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to flow, so that it can be delivered more uniformly and quickly to the outle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분리 유동되어 상기 토출구로 전달되게 구성된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a fan assembly position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flow of air; A duct communicated with the fan assembly to receive the sucked air and at least one flow path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air is separated and flowed to be delivered to the outlet, and a duct installed in the body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body while being sucked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moving bar for discharging ai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입구가 구획되고 외측 가장자리가 외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내측 가장자리가 내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를 덮어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외부와 구획하는 덕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에서 상기 외측벽에 인접하여서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유동단면적을 좁혀줄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제1유로와 제2유로는 하류부에서 연결유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유로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하부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uct includes a duct body in which the inlets of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an outer edge is formed by an outer wall, and an inner edge is formed by an inner wall; It may include a duct cover covering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to the outside and partitioning. An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in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to narrow a flow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outlet.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of the duc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flow path in a downstream part, and a lower discharge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덕트커버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베인과 제2베인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상기 본체의 전면 중심을 향해 소정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uct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vane and a second van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and thus may be exposed through the edge of the main body. The first vane and the second vane may exten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선단프레임과 후단프레임이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고 내부에 제1유로와 제2유로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공기가 분리 유동되어 상기 토출구로 전달되게 구성된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전방 하부로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나오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the front end frame and the rear end fram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locat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air flow a duc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an assembly to receive sucked air, and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re partitioned therein to separate and flow the air and deliver it to the outlet; It may include a moving bar installed and elevating along the main body to discharg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the front lower part, and first and second vane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air coming out of the outle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분리 유동되어 상기 토출구로 전달되게 구성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a fan assembly position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flow of air; and a duc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an assembly to receive the sucked air and to have at least one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air is separated and flowed and delivered to the outlet.
본 개시에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부에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본체 내부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상기 덕트 내부에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A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flow passage may be partitioned and formed inside the duct, wherein the first flow passage extends along one edge of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second flow passage extends along the other edge of the inside of the body. can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may b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formed inside the duct.
본 개시에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상기 외측벽에 인접하여서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향해 유동단면적을 좁혀줄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duct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to narrow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outle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조립체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어 본체의 후방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팬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덕트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최소화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sucked in through the rear of the main body is transmitted to the duct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fan assembly.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low distance of the air flowing inside the body is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 팬조립체의 팬하우징의 공기입구가 본체의 배면을 향하고 팬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팬모터가 본체의 선단 쪽에 위치될 수 있어 팬에 의해 본체의 배면 쪽에서 흡입된 공기가 팬의 방사방향중 팬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한 덕트로 이동하여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of the fan assembly, which can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aces the back of the main body, and the fan motor installed outside the fan housing can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he air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moves to the duc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an hous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so that the air flows smoothl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팬수용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y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and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may include, and the fan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a f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본 개시에서는 상기 팬하우징과 상기 덕트의 사이에는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의 팬은 그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진입해서 방사방향으로 토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팬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유동공간 내를 공기가 유동하여 상기 덕트입구를 향해 개방된 공기출구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heater fo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an housing and the duct. The fan of the fan assembly is configured such that air enters in the direction of its rotation axis and is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air flows in the air flow space of the fan housing by the fan and is delivered to the air outlet opened toward the duct inlet. can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팬수용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front,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and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may include, and the fan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a f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조립체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팬조립체의 하부에 있는 덕트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최소화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duc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an assembly.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low distance of the air flowing inside the body is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하우징의 공기입구가 본체의 배면을 향하고 팬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팬모터가 본체의 선단 쪽에 위치되어 팬에 의해 본체의 배면 쪽에서 흡입된 공기가 팬의 방사방향중 하나에 위치한 덕트로 이동하여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faces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the fan motor installed outside the fan housing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air sucked in by the fan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is in one of the radial directions of the fan. Move to the located duct to make the air flow smoothl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선단프레임과 후단프레임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단프레임에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선단프레임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 토출하도록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조립체가 상기 선단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팬수용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ront end frame and a rear end frame form an exterior, the rear end frame has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main body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around a front edge of the front end frame, and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uck air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o generate a flow of air, and communicates with the fan assembly so that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around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and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wherein the fan assembly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on the top of the front end frame. It may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팬수용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front,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and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may include, and the fan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a f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본 개시에서 상기 팬조립체는, 공기입구와 공기출구가 있고 내부에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입구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 필터조립체 측과 연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includes a fan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having an air flow space formed therein, a fan motor installed outside the fan housing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the fan rotated by the fan motor It may include a fan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rotat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may communicate with a side of the filter assembly configured to purify air.
본 개시의 필터조립체는 이동판을 사용하여 필터프레임과 필터 등을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조립체가 사용되는 위치에서 소정 거리 돌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필터를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low the filter frame and the filter to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a moving plate. Accordingly, the filter assembly protrude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filter.
본 개시의 필터조립체는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프레임이 있다. 따라서 필터프레임에 설치된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다양하게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filter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stalled. Accordingly, the air is purified in various way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s installed in the filter frame, so that more comfortable ai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본 개시의 필터조립체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필터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filter frame, a filter installed on the filter frame and purifying air passing through, and a moving plate on which the filter frame is detachably mount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lter frame.
본 개시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둘레프레임과, 상기 둘레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내측 윈도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1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는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제2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3관통공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3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lter frame includes a peripheral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an outer window fram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ripheral fram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and an outer window fram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rame. It may include an inner window frame in which three through-holes are formed. A first filter for purifying the intake air is insta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 second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is install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passes through A third filter to purify the air may be installed.
본 개시에서 본체의 일측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분리되는 필터조립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건조장치의 본체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유지보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t may have a filter assembly that is separat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filter assembly can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ying device, so that it is easy for the user to maintain i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조립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조립체를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소정 거리 입출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a fan assembly position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a flow of air; A filter assembly comprising: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discharge port; It may include a filter motor installed at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filter assembly into and ou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개시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프레임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main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bar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 filter assembly includes a filter frame, a filter installed on the filter frame and pur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rame being detachably mounted,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opening of the body,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ilter frame It may include a plat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 내에 리드스크류와 이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는 구동조립체에 의해 이동바아의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이동바아가 본체에서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ovement of the moving bar may be performed by a drive assembly including a lead screw in a main body and a transfer block moving along the lead screw.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ving bar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from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되는 구동조립체의 적어도 일부가 덕트의 설치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조립체의 설치 구조에 의하면 본체의 전후방향 폭을 최소로 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may be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uc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driving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can be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승강랙기어가 형성된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유니트가 이동하여 이동바아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승강조립체를 사용하면 건조장치에서 이동바아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moves along the lifting guide on which the lifting rack gear is formed to move the moving bar. If the lifting assembly having such a structure is used, the structur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oving bar in the drying device can be simplifi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승강랙기어가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이동바아와 함께 상기 승강가이드를 따라 승강되고 상기 승강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바아구동원을 가지는 승강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bar may include a driving assembly, wherein the driving assembly includes a lifting guide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having a lifting rack gear formed thereon, a driving gear that is raised along the lifting guide together with the moving bar and meshed with the lifting rack gear, and the drive It may include a lifting unit having a bar drive source for driving the gear.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 쪽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조립체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아구동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바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bar may include a driving assembly, wherein the driving assembly includes a bar driving source providing a driving force, a lead screw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rotated by the bar driving source, and a lead screw movably installed in the lead screw to rotate the lead screw It may include a transfer block that is moved along the lead screw by th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덕트에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and transferring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may be formed separately in the duct .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개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덕트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front,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pening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sucked in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a fan assembly configured to generate a flow of a, a duc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an assembly to deliver the sucked air to the outlet; It may include a moving bar for discharging the air,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bar, wherein the driving assembly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duc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가 본체를 따라 승강하면서 사용자 신체로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특히 이동바아가 토출하는 기류는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쓸어내려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moves moisture by discharging air to the user's body while the moving bar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main body. In particular, the airflow discharged by the moving bar can be removed by sweeping away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move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에 있는 노즐슬롯이 이동바아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신체의 물기가 보다 확실하게 쓸어내려져 제거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zzle slot in the moving bar is inclined to discharge air toward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bar. Accordingly, the moisture of the user's body can be wiped off more reliabl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의 외관을 하부가 개방된 바아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바아케이스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아커버가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바아에 외부에서 물기가 낙하되더라도 이동바아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이동바아 내부의 구성이 물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The exterior of the moving bar used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stituted by a bar case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bar cover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 bar case. Even if water falls from the outside to the moving ba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so th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ving bar is not affected by the moistur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일측에는 이동바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바아팬조립체가 이동바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아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이동바아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토출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It includes a fan assembly,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ving bar, and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and the airflow formed by the bar fan assembly is moved A discharge nozzle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이동바아에는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노즐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조립체에서 상기 토출노즐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 내부에는 가이드유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바아팬조립체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되는데, 상기 가이드유동공간의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가면서 유동단면적이 줄어들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be provided with a nozzle slot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clined towar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air guide for guiding air from the bar fan assembly to the discharge nozzle may be further provided. A guide flow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air guide so that the air delivered from the bar fan assembly flows, an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may be reduced from an upstream portion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guide flow spac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토출노즐은 상기 이동바아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바아팬조립체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하는 노즐유로가 토출노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charge nozzle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oving bar, and the nozzl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delivered from the bar fan assembly flows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scharge nozzle. there is.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바아팬조립체의 출구측에는 상기 토출노즐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heater for setting a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bar fan assembl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동바아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moving ba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uction por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바아의 외관을 하부로 개방된 바아케이스와 상기 바아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는 바아커버가 구성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It may include a fan assembly,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nd , the exterior of the moving bar may be configured by a bar case open downward and a bar cover for shield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 cas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바아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바아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바아공간에는 상기 바아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바아팬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아팬조립체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이동바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아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바아공간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케이스요철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요철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아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커버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요철과 바아요철 사이에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가스켓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bar space formed in the bar case and shielded by the bar cover,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outside air through a su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bar cover may be provided, and the bar fan assembly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external air sucked in by the moving bar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Case irregularities surrounding the entrance edge of the bar space formed inside the bar case may be provided, and cover irregularities surrounding the edge of the bar cover may be formed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ase irregularities. A gaske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case irregularities and the bar irregularities.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바아팬조립체와 상기 토출노즐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가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노즐에는 제1연통슬롯에 대응되게 제2연통슬롯이 토출노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bar fan assembly and the discharge nozzle. In the discharge nozzle, a second communication slot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nozzle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mmunication slo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일측에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슬롯이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a nozzle slo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one side is formed, and a nozzle slot for discharging air obliquely to the front and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nd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moving bar for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이동바아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노즐슬롯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바아팬조립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ar fan assembly that forms an airflow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discharge air through the nozzle slot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이동바아는 하부로 개방된 바아케이스와, 상기 바아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는 바아커버가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바아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노즐슬롯으로 전달하는 토출노즐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아팬조립체와 상기 토출노즐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include a bar case open downward and a bar cover for shield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 case, and the airflow formed by the bar fan assembly is directed to the nozzle slot. A discharge nozzle may be provided to transmit the air to the air, and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i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r fan assembly and the discharge nozzl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에서 공기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바아팬조립체가 바아의 흡입구에서 소정만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어, 바아팬조립체로 들어가는 기류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r fan assembly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air flow in the moving bar can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of the b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airflow entering the bar fan assembly is stably formed to prevent noise generation. can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의 전방 하부로 공기를 경사지게 토출하는 노즐슬롯이 이동바아의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소정의 상하 폭을 가질 수 있어서 노즐슬롯을 통한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zzle slot for discharging air obliquely to the front and bottom of the main body may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oving bar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so that th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slot smoothly. .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바아 내부에 설치되는 바아팬조립체의 외관에 탄성재질의 완충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완충커버를 둘러싸서 탄성재질의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가 있어서, 바아팬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astic material cushioning cover is covered on the exterior of the bar pan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bar, and there are first and second elastic material spacers and second spacers to surround the cushioning cover.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일측 단부에는 이동바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바아팬조립체가 상기 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동바아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아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안내하는 공기가이드가 상기 이동바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기가이드에서 전달된 공기를 상기 이동바아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It includes a fan assembly,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bar, and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dg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ar an air guide configured to form an air flow in the direction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아에는 상기 이동바아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이동바아 외부로 토출하는 바아팬조립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바아팬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팬케이스의 외면에는 완충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커버를 둘러싸도록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가 상기 이동바아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A fan assembly, a moving ba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slot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is installed on the moving bar, and a buffer cov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bar fan assembly A first spacer and a second spac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to surround the buffer cove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공기가이드에서 유동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하류부는 상기 바아팬조립체의 출구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와 상기 노즐슬롯의 사이에는 토출노즐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토출노즐의 일부는 상기 제2스페이서에 형성된 노즐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은 상기 이동바아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의 상하방향 폭은 1.8mm에서 2.2mm 정도일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ownstream portion having a relatively narrow flow cross-sectional area in the air guide may be located opposite the outlet of the bar fan assembly. A discharge nozzle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ir guide and the nozzle slot, and a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may be seated and fixed in a nozzl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pacer. The nozzle slot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clined toward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bar. The vertical width of the nozzle slot may be about 1.8 mm to 2.2 mm.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동바아가 분리되면 사용자가 이동바아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 대한 건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moving bar is separated, the user can move the moving bar relatively freely, thereby making it easier to dry the moving bar at various locations on the user's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의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두어 이동바아가 본체에서 분리되더라도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바아를 보다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eparate battery is placed inside the moving bar so that it can operate independently even when the mov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moving bar more freel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자석을 사용하여 이동바아를 구동조립체에 결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동바아를 본체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구조가 간소하게 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was coupled to the driving assembly using a magnet. Therefore, the structure of mounting and separating the moving bar to the main body can be simplifi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개구가 있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며 내부에 바아팬조립체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cks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A fan assembly,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moving along the main body, having a bar fan assembly provided therein for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detachably configur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bracket to which the moving bar is detachably coupled, and a driving assembly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상기 이동바아의 양쪽 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나란히 연장되어 연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쪽 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연결편과 결합되는 체결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연결편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연결편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과 금속물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의 내부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조립체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상기 이동바아의 연결편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된 전원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both ends of the moving bar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ng pieces extending side by side toward the rear. Both end portions of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pieces extending side by side toward the front a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s, respectively. The fastening piece and the connecting piece may be provided with magnet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iece and the connecting piece may have a magnet and a metallic material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separate batter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Power supply for driving the bar fan assembly may be performed with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connecting piece of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있는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바아팬조립체로 흡입하여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하며 양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편을 구비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a connecting piec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a suction port on one side to a bar fan assembly, and discharges it through a nozzle slot, and extends rearward from both ends. It may include a moving bar and a driving assembly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by having a connecting bracke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to which the moving bar is detachably coupled.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바아의 연결편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연결편의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일측 위치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연결편중 적어도 일측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지지단이 돌출되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fastening piece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s of the moving bar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rackets. A magnet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fastening piece and the connecting piece. A support en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at least one side of the fastening piece and the connecting piece so as to protrud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있는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바아팬조립체로 흡입하여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하며 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며 양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편을 구비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가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on one side to the bar fan assembly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nozzle slot, the battery is provided inside, and the battery is provided in the rear from both ends A moving bar having an extended connecting piece, and a driving assembly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by having a connecting bracke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bar by a magnetic force of a magnet can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 전면에 설치된 제1센서에서 사용자를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면 건조장치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건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건조장치 앞에만 서면 전자동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건조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utomatically operate the drying apparatus when the first senso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senses a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utomatically perform drying according to preset drying conditions. Accordingly, when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drying device, it operates in a fully automatic mode so that dry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건조장치가 온되면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건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건조장치를 온시키면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반자동으로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by a user, drying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preset drying conditions. Accordingly, when the user turns on the drying device, the drying can proceed semi-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사용자자 조작패널을 터치하여 건조조건을 선택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터치하지 않으면 조작패널에 표시되거나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조조건 변경시에만 조작패널을 터치하면 된다.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lect a drying condition by touching a user's operation panel, or may display a drying condition on the operation panel or automatically select a preset drying conditio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operation pane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user only needs to touch the operation panel when changing the drying conditions.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통해 원하는 온도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는 제1히터가 설치될 수 있고,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바아 내부에는 제2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예를 들어 송풍, 온풍, 열풍 등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송풍의 경우는 제1,2히터를 구동하지 않고, 온풍 또는 열풍의 경우는 제1,2히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The user can input or select the desired temperatur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A first heat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nd a second heat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input or selected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stages, such as blowing, warm air, and hot air, for example. In the case of blowing, the first and second heaters may not be driven, and in the case of warm air or hot air, the first and second heaters may be driven.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토출위치는 본체와 이동바아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통해 본체에서의 공기토출 및/또는 이동바아에서의 공기토출을 선택할 수 있다. 본체 및 이동바아의 동시 토출을 선택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할 수도 있다.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lect a discharge position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osition may be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The user can select the air discharge from the main body and/or the air discharge from the moving bar through the operation panel. Simultaneous discharge of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may be selected, and only one of them may be select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통해 원하는 풍량을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는 팬이 설치될 수 있고,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바아 내부에는 바아팬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팬은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바아팬은 바아팬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예를 들어 약풍, 중풍, 강풍 등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e user can input or select the desired air volum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A fa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nd a bar fa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And the fan may be rotated by the fan motor, and the bar fan may be rotated by the bar fan motor. The air volume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input or selected by dividing the air volume into a plurality of stages, such as a weak wind, a medium wind, a strong wind, for exampl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온도 및 풍량에 대응하여 제1히터 및 제2히터, 그리고 팬모터 및 바아팬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원하는 온도 및 풍량의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enables the control unit to discharge ai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air volume by driving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nd the fan motor and the bar fan motor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input or selected by the user. .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중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부위를 선택하여 건조할 수 있다. 조작패널을 통해 건조부위가 입력 또는 선택될 수 있다.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lect and dry a drying part of the user's body to be dried. The drying area can be input or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panel.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 및 이동바아에서 각각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이동바아는 건조부위에 대응하는 위치(높이) 범위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로서 원하는 건조부위만 건조시킬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le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respectively, the moving bar can move up and down within a position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the drying part. In this way, only the desired dry area can be dri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전신건조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바아는 사용자의 머리부터 발까지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바아구동원을 구동하여 이동바아가 미리 설정된 최상단 높이 및 최하단 높이의 범위 내에서 본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아의 이동은 설정된 횟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whole body drying is selected, the moving bar may discharge air while moving up and down from the user's head to the fee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bar driving source so that the moving b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within a range of a preset uppermost height and a lowermost height. Her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may be repeated a set number of times or for a preset tim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부분건조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바아는 그 선택된 부분건조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바아구동원을 구동하여 이동바아를 해당 높이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반신 건조가 선택되면 머리 또는 목부터 허리까지 이동바아가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아의 이동은 설정된 횟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partial drying is selected, the moving bar may discharge air while moving up and down within a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artial drying.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ving bar to move within a corresponding height range by driving the bar driving source. For example, when upper body drying is selected, air can be discharged while the moving bar moves from the head or neck to the waist. Her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may be repeated for a set number of times or for a preset time.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바닥건조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바아는 바닥 가까이로 이동하여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바아구동원을 구동하여 이동바아가 미리 설정된 최하단 높이까지 하강하도록 할 수 있고, 하강이 완료되면 이동바아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floor drying is selected, the moving bar may move closer to the floor to discharge ai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bar driving source to lower the moving bar to a preset lowest height, and when the lowering is completed, the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에서 토출되는 공기보다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동바아는 본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강한 공기를 토출하여 신체에 묻은 물기를 아래로 쓸어내리도록 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Since the moving bar can move along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weep down the moisture on the body by discharging strong air while mov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온도, 풍량, 건조부위 및/또는 공기의 토출위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조작패널에 온도버튼, 풍량버튼, 건조부위버튼, 토출위치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버튼을 터치하여 원하는 온도, 풍량, 건조부위 및 토출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조작패널에 온도, 풍량, 건조부위 및 토출위치가 표시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그 표시된 온도, 풍량, 건조부위 및 토출위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utomatically or manually input or select a temperature, an air volume, a drying portion, and/or a discharge position of air. The temperature button, air volume button, drying area button, and discharge position button are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an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temperature, air volume, drying area and discharge location by touching these buttons. And when the discharge position is displayed and the set time elapses, the displayed temperature, air volume, drying area and discharge position can be select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면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바아의 하면에는 이동바아의 하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될 수 있고, 제2센서는 신체 일부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해당 신체 일부에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여 해당 신체일부에 집중 건조가 가능할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tensively dry a part of the user's body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is sensed under the moving bar. To this e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part of the user's body located below the moving ba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bar, and the second sensor ma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body part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may intensively discharge air to the corresponding body part to enable intensive drying on the corresponding body part.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집중 건조하는 경우 이동바아와 해당 신체 일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센서에서 측정되는 실시간 측정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커지면 이동바아를 이동시켜 기준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최소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도 이동바아를 이동시켜 기준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바아와 신체 일부 간의 거리를 기준거리로 유지하도록 하여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corresponding body part when the user's body part is intensively dried on the moving bar. When the real-time measurement distanc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movement bar may be moved to maintain the reference dist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real-time measurement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set minimum distance, the moving bar may be moved to maintain the reference distance. In this way, the dry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body part as the reference distan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건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disclosed herei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개시된 건조장치에서는 본체의 전면에 있는 다수개의 토출구를 통해서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분사하고, 또한 상기 본체를 따라 승강되는 이동바아의 노즐슬롯을 통해서 공기를 사용자 신체에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건조시키고 쓸어내려서 신속하고 사용자 신체 전체를 꼼꼼하게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closed drying apparatus, air may be sprayed onto the user's body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ir may be sprayed onto the user's body through nozzle slots of a moving bar tha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drying and sweeping away the moisture of the user's body to quickly and meticulously dry the entire user's body.
개시된 건조장치에서는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제공되는 기류와 사용자 신체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이동바아에서 제공되는 기류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신체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제공되는 기류보다 풍속이 더 세게 설정하여 물기를 사용자 신체에서 쓸어내려 보다 신속하게 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closed drying apparatus, drying of the user's body can be performed using the airflow provided from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flow provided from the moving bar while moving up and down of the user's body at the same time or individually. In particular, by setting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to a higher wind speed than the airflow provided from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can be wiped down from the user's body and drying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개시된 건조장치에서는 본체를 선단프레임과 후단프레임이 형성하는데, 상기 선단프레임과 후단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덕트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활용하여 구동조립체와 제어부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여 건조장치 전체가 슬림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closed drying apparatus, the front end frame and the rear end frame form the main body, and the driving assembl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by utilizing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duct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end frame and the rear end fram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tire drying apparatus is slimmed by minimizing the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본체 내부에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가 사용된다. 본체 내에서 덕트를 통해서 공기가 유동되므로 공기가 본체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토출구로 보다 정확하게 유동될 수 있어 본체내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uct for forming a flow path of air inside the body is used. Since the air flows through the duct in the body, the air can flow more accurately to the outlet formed around the front edge of the body, thereby smoothing the flow of air in the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상기 덕트에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나누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하류부에서 연결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로로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전달된 공기는 하부토출유로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과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의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flow passage are dividedly formed in the duct, and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are connected in a downstream part by a connection flow passage. The air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to the connection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ass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moisture from the user's feet and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the drying device is installed.
그리고,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가 제1유로와 제2유로로 나눠져 있고, 이들 유로에서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의 토출구와 우측 가장자리의 토출구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 토출구로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공기를 전달할 수 있어서, 원하는 풍량과 풍속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nd,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uct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flow passage, and air can be delivered from these flow passages to a discharge port at the left edge and a discharge port at the right edge of the body. there i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ir can be delivered more uniformly and quickly to the discharge port o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at a desired air volume and speed, thereby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본 개시의 건조장치의 실시례에서는 본체의 하부에 있는 팬수용부에 팬조립체가 설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팬조립체의 상부에 있는 덕트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팬이 본체의 배면을 향해 위치되고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가 본체의 선단 쪽에 위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팬조립체를 통과해서 덕트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팬조립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경로가 최소화되고 본체의 하부 근처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보다 균일한 풍속과 풍량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 신체중에서 몸통과 하체에 대한 건조가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fan receiving part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be delivered to the duct at the upper part of the fan assembly. In particular, the fan is positio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an motor for driving the fan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directly pass through the fan assembly and flow into the duct. Therefore, the flow path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is minimized and the air discharged near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can have a more uniform wind speed and volume, so that drying of the trunk and lower body among the user's body can be made more smoothly. there is.
본 개시의 건조장치의 실시례에서는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팬수용부에 팬조립체가 설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팬조립체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덕트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팬이 본체의 배면을 향해 위치되고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가 본체의 선단 쪽에 위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팬조립체를 통과해서 덕트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팬조립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경로가 최소화되고 본체의 중간부분에서 본체의 상부와 하부로 공기가 전달되므로 본체 전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속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되어 사용자 신체의 건조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fan recei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imultaneously transferred to the ducts loca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an assembly. can transmit In particular, the fan is positio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an motor for driving the fan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directly pass through the fan assembly and flow into the duct. Therefore, the flow path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is minimized and the air is transferred from the middle part of the main body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Drying can be done better.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하우징의 공기입구가 본체의 배면을 향하고 팬하우징으로 팬의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의 방사방향중 하나인 본체의 상부 또는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덕트로 전달될 수 있어 공기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여 팬조립체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faces the back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ked into the fan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an's central axis of rotation is one of the radial directions of the fa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fan assembly by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caused by the air flow.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있는 팬수용부에 팬조립체가 설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팬조립체의 하부에 있는 덕트로 전달하도록 공기가 유동된다. 특히 팬이 본체의 배면을 향해 위치되고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가 본체의 선단 쪽에 위치되어 본체의 배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팬조립체를 통과해서 덕트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팬조립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경로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an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fan receiving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ir flows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transferred to the duct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an assembly. In particular, the fan is positio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an motor for driving the fan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directly pass through the fan assembly and flow into the duc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path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is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팬하우징의 공기입구가 본체의 배면을 향하고 팬하우징으로 팬의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가 팬의 방사방향중 하나에 위치한 덕트로 전달될 수 있어, 공기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여 팬조립체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faces the back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ked into the fan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fan can be delivered to a duct located in one of the radial directions of the fan. The efficiency of the fan assembly can be maximized by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개시된 필터조립체에서는 공기가 필터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시작해서 필터프레임에 있는 제1필터, 제2필터, 그리고 제3필터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짧은 유동경로에서 다수의 필터를 지나면서 공기중의 이물질과 이취 등을 쉽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closed filter assembly, air is purified while starting at the edge of the filter fram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in the filter frame in sequenc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in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in a short flow path.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건조장치에서 필터조립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건조장치 본체의 일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필터가 있는 필터프레임을 분리해서 유지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벽면에 설치된 건조장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필터프레임을 쉽게 분리해서 유지보수할 수 있어 항상 필터조립체의 성능이 최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And, in the drying devic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used, the filter assembly automatically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drying device body by a user's manipula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lter frame with the filter is separated so that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 Therefore, the filter fram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maintained while the drying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is left as it is,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assembly is always optimally maintained.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필터조립체는 건조장치 본체에 대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될 때, 제1이동가이드와 제1안내레일 쌍과 제2이동가이드와 제2안내레일 쌍의 안내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필터조립체의 본체에 대한 이동이 원활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nd, when the filter assembl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moved by the driving of a motor with respect to the drying apparatus body, it is stably guided by the first moving guide, the first guide rail pair, and the second moving guide and the second guide rail pair. Since it can be moved, the movement of the filte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facilitated,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구동조립체는 본체 내에 설치된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송블럭이 이동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이송블럭에 연결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 이동바아의 양단이 연결되어 이송블럭의 이동에 따라 이동바아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바아가 본체에 대해 승강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assembly used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uch that the transfer block moves along the lead screw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connec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transfer block, and both ends of the transfer ba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to move the transfer block. Accordingly, the moving bar may b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Accordingly, the moving bar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본체 내에 설치된 덕트의 설치공간에 구동조립체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덕트와 구동조립체가 겹쳐서 위치될 수 있어 본체의 전후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본체 내부의 부품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assembly is position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uc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refore, the duct and the driving assembly can be positioned to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of parts inside the body becomes easier.
본 개시의 건조장치의 실시례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승강랙기어가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이 승강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승강유니트를 구동조립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랙기어가 형성된 승강가이드를 사용하면 승강가이드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간소화되면서도 안정된 승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lifting guide having a lifting rack gea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a lifting unit moving along the lifting guide may be used as a driving assembly. When the elevating guide having the elevating rack gear is used as described above,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vating guide are simplified and stable elevating can be performed.
특히, 승강가이드를 다수개로 나눠서 구성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건조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보다 쉬워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elevating guid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it is relatively easy to manufacture, and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drying device.
또한,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승강가이드와 승강유니트를 사용하게 되면 승강유니트에 있는 안내롤러 쌍 들에 의해 승강유니트가 승강가이드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이동바아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fting guide and the lifting unit are used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can move more stably along the lifting guide by the pair of guide rollers in the lifting unit, thereby smooth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there is also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를 따라 승강하면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협력하여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 신체의 물기의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discharges air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cooperates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to more effectively remove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thereby making the removal of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more effectiv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바아나 본체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분사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분사됨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가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쓸어내려져서 보다 확실하게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is sprayed obliquely to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bar or the main body. In this way, as the air is sprayed, the water in the user's body is swept away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so that the water in the user's body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의 외관을 하부가 개방된 바아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바아케이스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아커버가 구성한다. 따라서, 바아케이스의 내부로 이동바아에 전달된 물기가 들어가는 것이 어렵게 되어, 이동바아 내부의 구성이 물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바아케이스와 바아커버가 결합되는 부분에 추가의 가스켓을 두게 되면 이동바아의 내부로 물기가 침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terior of the moving bar is constituted by a bar case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bar cover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 bar cas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water transferred to the moving bar to enter the inside of the bar case, so that the structure inside the moving bar is not affected by the water. In particular, if an additional gasket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ar case and the bar cover are coupl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이동바아의 저면에 해당되는 바아커버의 일측 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이동바아의 저면에 흡입구가 있으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물기가 이동바아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uction po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r cover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bar. As such, if there is a suction por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bar, external water is transferred to the moving bar through the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can be effectively blocked.
그리고, 이동바아 내부에 공기가이드를 설치하게 되면, 혹시라도 이동바아의 내부로 물기가 전달되더라도 상기 공기가이드의 차단에 의해 바아팬조립체나 히터 등으로 물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동바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And, if the air guide is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even if water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by blocking the air guide, the water is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ar fan assembly or heater,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moving bar. can be rais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이동바아가 사용자 신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내부에 바아팬조립체가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이동바아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고, 충분한 풍속과 풍량으로 노즐슬롯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바아팬조립체는 이동바아의 내부에 하나만을 채용하고 또한 이동바아의 일측 단부에 있는 흡입구에서 소정의 틈새를 가져서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되어 소음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dry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user's body, and a bar fan assembly is installed therein, so that external air can be sucked into the moving bar, an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nozzle slot with sufficient wind speed and air volume. It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bar fan assembly employs only one inside of the moving bar and has a predetermined gap at the inlet at one end of the moving bar, so that the air flows more smoothly and noise generation can be minimized.
그리고, 바아팬조립체의 출구에는 공기가이드가 설치되는데, 상기 공기가이드는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가면서 유동단면적이 줄어들도록 되어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확보하면서도 바아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하여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guide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bar fan assembly. The air guide reduce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stream part to the downstream part, so as to secure the wind speed and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slot. It can flow smoothly to reduce noise generation.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의 외면에 좌우로 길게 노즐슬롯이 형성되고 소정의 상하 폭을 노즐슬롯이 가져서 원하는 풍속과 풍량으로 공기를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할 수 있으면서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노즐슬롯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함에 의해 노즐슬롯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노즐슬롯을 통한 공기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long nozzle slot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ar, and the nozzle slots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slot at a desired wind speed and air volume, and noise can be reduced, By divid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 slots, the rigidity of the nozzle slots can be maintained, so that air can be smoothly sprayed through the nozzle slots.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의 내부에 설치된 바아팬조립체의 외관에 탄성재질을 가지는 완충커버를 씌우고 상기 완충커버를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내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바아팬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ushioning cover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laced on the exterior of the bar pan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and the cushioning cover is supported in the first spacer and the second spacer made of the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transmission of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bar fan assembly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토출노즐의 일단부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제2스페이서에 형성된 노즐홈 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토출노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토출노즐에서의 소음과 진동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end of the discharge nozzle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nozzl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pac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scharge nozzle is solid, so that the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the discharge nozzle can be minimized.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동바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이동바아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보다 다양한 위치로 보다 꼼꼼하게 건조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mov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position of the moving bar can be set in various ways, so that it can be dried more meticulously in more various positions of the user's bod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와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이동바아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될 수 있고, 전원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원선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사용 범위를 넓힐 수 있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바아의 사용 범위가 더 넓어지게 되어 사용자 신체의 건조가 보다 잘 될 수 있게 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operat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ar is separated,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power line or a separate battery may be placed therein. In this way, the use of the moving bar can be more convenient, and when a power line is used, the range of use can be extend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ower line, and when a battery is used, the range of use of the moving bar can be increased It becomes wider so that the user's body can be dried bette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의 구동조립체의 연결브라켓과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과 이동바아가 자석에 의해 결합되면, 자력보다 더 큰 힘을 사용자가 제공하면 이동바아를 연결브라켓에서 분리할 수 있어서, 이동바아의 장착과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driving assembly of the main body by a magnet. When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moving bar are coupled by a magnet, if the user provides a forc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the moving bar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bracket, thereby making mounting and detaching of the moving bar easie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가 본체 또는 본체의 전면을 따라 승강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협력하여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 신체의 물기의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ving bar may discharge air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or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cooperates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to more effectively remove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thereby making the removal of moisture from the user's body more effectiv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일정시간 동안 감지하면 자동으로 동작하여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 front is sen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drying apparatus automatically operates to perform drying.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건조장치의 전원만 온시키면 미리 설정된 건조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건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user only turns on the power of the drying apparatus, drying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drying condition.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조작패널에 건조조건을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건조조건이 터치되면 그 터치된 건조조건이 선택되고, 일정시간동안 터치되지 않으면 표시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ying condition is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and when the drying condition is touched within a preset time, the touched drying condition is selected. to provide.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바아나 본체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분사됨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가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쓸어내려져서 보다 확실하게 사용자 신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may be inclinedly sprayed toward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bar or the main body. In this way, as the air is sprayed, the water in the user's body is swept away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bar, so that the water in the user's body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온도 및 풍량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공기를 받을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nput or select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of the discharged air. Accordingly, the user can discharge ai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air volume, thereby receiving more comfortable air.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건조부위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건조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하여 해당 부위만 건조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리만 씻은 후 건조하고자 하는 경우 전신 건조를 할 필요 없이 다리 부분만 건조시킬 수 있다. 또는 머리만 감은 경우 머리 부분만 건조시킬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nput or select a drying part.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 body part to be dried and dry only the corresponding part. For example, if you want to dry only the legs after washing, you can dry only the legs without having to dry the whole body. Alternatively, if you only wash your hair, you can dry only the hair part.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본체와 이동바아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어, 원하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and the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m to discharge the air, thereby effectively drying a desired part.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에서는 본체와는 달리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공기를 토출하므로 강한 압력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부분 건조시 이동바아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unlike the main body, the moving bar sucks air and discharges compressed air, so air of strong pressure can be discharged. can be dried intensively.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본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바아의 하방에 위치한 신체 일부(예: 손, 발 등)을 감지하여 해당 부분과의 거리를 조정하여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y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detecting a body part (eg, hand, foot, etc.) located below the moving bar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and adjusting the distance to the part to dry it. there is.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의 하부에서 손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손이 상하로 움직여도 이에 대응하여 이동바아도 이동하여 손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hand moves up and down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hand under the moving bar, the moving bar also moves in response to it, so that the distance to the hand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so that quick drying is possible and the drying effect is improved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건조장치는 건조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 건조도 가능하다.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은 사용자의 신체에 묻은 물기를 아래로 쓸어 내려 물기를 제거하므로 바닥에는 물기가 존재할 수 있고, 물기가 장시간 존재하게 되면 곰팡이 발생 등 유해한 환경이 될 수 있으므로 빨리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건조장치에서는 이동바아를 바닥 가까이 하강시킨 후 공기토출을 하여 바닥건조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lso capable of drying the floor of the space in which the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the drying device is installed, water may be present on the floor as it sweeps down the moisture on the user's body to remove the moisture. there is. Accordingly, in this drying apparatus, the moving bar is lowered close to the floor, and then air is discharged so that the floor can be dried quickly.
도 1은 건조장치의 실시례를 보인 정면사시도.
도 2는 건조장치의 실시례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덕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D5-D5 선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1의 D6 영역을 화살표 방향으로 보인 정면도.
도 7은 건조장치의 제1베인, 제2베인 및 둘레벽의 구성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D8-D8 선 단면 사시도.
도 9는 건조장치 본체를 벽면에 장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팬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건조장치의 필터조립체와 팬수용부 내부의 팬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12는 건조장치의 필터조립체와 팬수용부 내부의 팬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13은 건조장치의 필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건조장치의 필터조립체에서 필터프레임과 이동판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건조장치에서 필터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필터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필터조립체가 건조장치의 본체 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필터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판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은 건조장치에서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건조장치에서 이동바아의 승강을 위한 구동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2는 건조장치에서 이동바아의 승강을 위한 구동조립체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구동조립체에서 내부의 구성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보인 배면도.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구동조립체에서 승강유니트와 승강가이드가 결합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25는 승강가이드와 승강유니트를 사용하는 구동조립체의 또 다른 예에서 내부의 구성을 점선으로 보인 배면도.
도 26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이동바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9는 건조장치의 이동바아에 있는 공기가이드와 토출노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D30-D30 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바아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도 31은 도 29의 D31-D31 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바아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도 32는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 평면도.
도 33은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동바아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이동바아가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5는 팬수용부가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선단사시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구성에서 내부 구성을 점선으로 표시한 배면도.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8은 팬수용부가 본체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선단사시도.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건조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점선으로 표시한 배면도.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1은 건조장치의 본체와 이동바아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2는 건조장치의 필터조립체와 팬조립체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3은 건조장치에서 후단프레임과 덕트본체의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4는 건조장치의 이동바아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5는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의 블럭도.
도 46에서 도 52는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들을 보인 흐름도.
도 53은 건조장치의 제1센서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설명도.
도 54는 건조장치에서 부분건조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를 보인 설명도.
도 55는 건조장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바아의 이동을 설명하는 설명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ying apparatus;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ying devi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constituting the drying devic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D5-D5 of FIG. 1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rea D6 of FIG. 1 in an arrow direc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vane, a second vane, and a peripheral wall of the drying apparatus.
Fig. 8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8-D8 of Fig. 1;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ounting the drying apparatus main body on a wall.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n assembly constituting a drying devic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and the fan assembly inside the fan accommodating part.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and the fan assembly inside the fan accommodating part.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lter frame and the moving plate in the filter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filter assembly in the drying devic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plate for moving the filter assembly;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ying device.
1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plate for movement of the filter assembly is operated;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including the driving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late is removed from the drying apparatus;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e assembly for lifting and lowering a moving bar in a drying device;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riving assembly for lifting and lowering a moving bar in a drying device;
23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embly shown in FIG. 22 by dotted lines;
24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lifting unit and the lifting guide are combined in the driving assembly shown in FIG. 22;
25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embly using the lifting guide and the lifting unit in a dotted lin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bar used in the drying apparatus.
2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bar used in the drying device.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bar shown in FIG. 26;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guide and the discharge nozzle on the moving bar of the drying device.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ing bar cu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ine D30-D30 of FIG. 29;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ing bar by cutting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ine D31-D31 of FIG. 29;
32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ving bar used in the drying apparatus;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ving bar used in a drying apparatus;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bar shown in FIG. 3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3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device in which the fan receiving par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IG. 36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35 by dotted lines;
3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35;
3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device in which the fan accommodating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main body;
Fig. 39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38 by a dotted line;
40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38;
4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of the drying device;
4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and the fan assembly of the drying device;
4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rear end frame and a part of the duct body are removed from the drying device and air flows from the inside.
4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air flows in the moving bar of the drying device.
45 is a block diagram of component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46 to 52 are flowcharts showing dry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5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detecting a user by the first sensor of the drying device.
5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partial drying in the drying apparatus;
5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body part in the dry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여기에 개시된 건조장치는, 일차적으로는 목욕 또는 샤워 후에 사람에게 있는 물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건조장치는 수건을 사용하는 건조에 대한 보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건조장치는 수건을 대체하는 대체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drying apparatus disclosed herein is primarily for drying water on a person after bathing or showering. The disclosed drying apparatus can be provided as a supplement to drying using a towel. Alternatively, the disclosed dry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as a substitute for towels.
도 1은 건조장치의 실시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건조장치의 실시례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건조장치의 실시례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rying apparatus,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본 실시례의 건조장치에서 본체(10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욕실 등 실내공간의 벽면(F)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실내공간을 많이 차지 하지 않도록 전후방향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정면에서 볼 때의 폭에 비해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아서 적어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단의 팬수용부(104)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부분은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본체(100)의 외관을 선단프레임(102)과 후단프레임(106)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단프레임(102)은 주로 상기 본체(100)의 전면, 측면, 상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후단프레임(106)은 주로 상기 본체(10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선단프레임(102)과 후단프레임(106)이 상기 본체(100)의 외면을 도시된 것과 다르게 나눠서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이 주로 배면만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후단프레임(106)이 측면과 상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선단프레임(102)에는 개구부(10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판(11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를 통해서는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를 통해 공기의 토출은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의 토출구(136)를 통해서 이다. 상기 토출구(136)는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개구부(10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이다. 상기 개구부(102')는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인데, 네 모서리 부분은 곡선으로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02')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은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를 주위와 구획하도록 둘레벽(103)이 있다. 상기 둘레벽(103)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둘레벽(103)은 본체(100)의 양측면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 중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수용부(104)와 인접한다. 상기 팬수용부(104)가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에 대응되는 개구부(102')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개구부(10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다.There is a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상단에는 팬수용부(10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104)는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104)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팬조립체(160)가 설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진다. 상기 팬수용부(104)는 전면이 상기 둘레벽(103)보다는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104)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104)의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팬수용부(104)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면체 형상 등 다양하게 될 수 있다.A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상단 전면에는 본체(100)의 전면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10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는 건조장치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사람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센서(105)는 라이다(LiDAR),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센서(105)는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하 회전은 키가 큰 어른뿐만 아니라 키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또는 앉아 있는 사람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좌우 회전은 보다 넓은 영역으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하좌우 회전을 위한 구동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는 건조장치 앞에 사람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하로 회전하여 그 사람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키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복수회 회전할 수 있다. 상하로 복수회 회전하면서 키를 측정하고 평균값으로 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머리를 중심으로 작은 각도로 상하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센서(105)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의 높이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머리 부위의 높이만 측정하여도 사용자의 키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센서(105)에서 측정된 정보들은 후술될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A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상반신, 하반신, 발 등의 개략적인 높이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사람의 다양한 키별로 머리, 상반신, 하반신, 발 등의 높이정보를 미리 저장해놓고, 사용자의 키가 측정될 때마다 상기 저장된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높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건조장치에는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은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2)는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건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토출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감지 없이도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추운 겨울에 욕실에 들어가기 전에 욕실 내부의 온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 휴대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LTE, 5G 통신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단말을 통해 통신모듈에 사용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drying apparatus. The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상부에는 입구개구(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개부(108)는 상기 팬수용부(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개구(108)는 상기 팬수용부(104)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입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입구개구(108)를 통해서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팬수용부(104)에 있는 팬조립체(16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입구개구(108)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도 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착단(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08')에는 후술될 필터조립체(180)의 하단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08')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opening 108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후단프레임(106)에서 상기 입구개구(108)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는 경사면 또는 경사곡면(109)으로 된다. 상기 경사면(109)은 도 2 및 도 5에서 잘 볼 수 있다. 상기 경사면(109)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이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109)은 벽면(F)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09)이 있어서 본체(100)를 벽면(F)에 밀착시켰을 때, 본체(100)와 벽면(F)과의 사이에 틈새가 있을 수 있다. 이 틈새를 활용하여 작업자가 본체(100)를 벽면(F)에 걸거나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전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게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 제어부(122), 조작패널(124), 구동조립체(210)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경사면(109)이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0)의 전후 폭이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게 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도 5에서 볼 수 있다.An
전면판(112)이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개구부(10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은 상기 개구부(102')를 차폐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에 있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의 형상은 상기 개구부(102')의 형상과 같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은 평면부(114)와 곡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14)는 상기 둘레벽(103)의 내측에 해당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상기 곡면부(11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12)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16)는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팬수용부(104)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곡면부(116)는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팬수용부(104)가 상기 둘레벽(103)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에 대응되게 상기 평면부(114)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전면판(112)은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은 그 상단과 하단 부분이 덕트(130)에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의 중간부분은 상기 덕트(1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아(230)의 이동을 위한 구성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한다.The
상기 둘레벽(103)의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베인(11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의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개구부(10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제2베인(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의 사이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A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그 형상이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지고 단지 치수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의 내측에 상기 제2베인(120)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인(120)이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상기 전면판(112)의 평면부(114)와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곡면부(116)와 대응되는 부분이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에서 상기 전면판(112)의 평면부(114)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둘레벽(103)과 같은 형상이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에서 상기 전면판(112)의 곡면부(116)와 대응되는 부분은 곡면부(116)가 돌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나머지 부분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별개로 만들어져 있지만,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130)의 덕트커버(134)에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이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전체가 덕트(130)에 일체로 될 수도 있지만, 일부 구간만이 덕트(130)에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에 일체로 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의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서로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별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의 사이에 토출구(136)가 있어서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120)과 상기 전면판(112)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이동채널(12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121)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아(230)의 양단부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부분이다. 5 and 6 , there is a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에 있는 토출구(136)가 본체(100)의 정면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의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본체(100)의 정면 방향(화살표 A 방향)에 대해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의 선단이 연장되는 방향(화살표 B 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살표 B방향은 사용자 신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에 있는 토출구(136)가 본체(100)의 정면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표시된 점선 C는 상기 둘레벽(103), 제1베인(118), 제2베인(120)을 일체로 제작하는 금형 내에서 양측의 코어가 서로 접촉하는 선이다. 참고로, 상기 둘레벽(103), 제1베인(118), 제2베인(120)이 일체가 아니더라도, 도 7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들이 만들어지고 조립되면 토출구(136)가 본체(100)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제어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예를 들면, 각종 칩과 소자들이 실장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수용공간(110) 중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의 설치공간(150)의 최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A
상기 제어부(122)에는 전원공급회로, 마이콤 회로, 팬조립체(160)의 구동회로, 구동조립체(210)의 구동회로, 제1히터(174)의 구동회로, 바아팬조립체(250)의 구동회로, 제2히터(268)의 구동회로, 스피커회로, 조작패널(124)의 구동회로 및 통신회로, 센서 구동회로 등이 있을 수 있다.The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사용자의 조작입력 및 건조장치의 상태표시를 위한 조작패널(12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상기 전면판(112)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의 위치는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에서부터 대략 1600mm 이상으로 될 수 있다. 이 값은 평균 신장을 가진 사용자의 눈높이를 고려해서 설정할 수 있다.An
상기 조작패널(124)은 건조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124)에는 건조장치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버튼, 풍량버튼, 건조부위버튼, 토출위치버튼, 건조시작버튼, 건조종료버튼, 이동바아 승강버튼 등이 있을 수 있다. 온도버튼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선택(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송풍, 온풍, 열풍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온풍과 열풍은 후술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토출을 의미할 수 있고, 송풍은 히터의 동작 없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그대로 토출되는 것(예들 들어 가열되지 않은 바람 또는 시원한 바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풍량버튼은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선택(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강, 중, 약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건조부위버튼은 건조할 신체의 부위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신, 머리, 상반신, 하반신, 손, 발, 바닥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토출위치버튼은 본체(100)에서의 공기토출과 이동바아(230)에서의 공기토출을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기가 토출되는 위치는 둘 다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선택될 수도 있다. 건조시작버튼 및 건조종료버튼은 상기와 같이 항목들이 선택된 이후 건조를 시작하기 위해 터치하는 버튼 및 건조를 종료하기 위해 터치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들 각 버튼은 상기 건조장치의 사용 중에는 언제든지 터치될 수 있고 터치된 신호는 후술될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The
건조시작버튼과 건조종료버튼은 선택적으로 있을 수 있다. 건조시작버튼이 없는 경우는 선택된 후 설정시간(예:3초)이 경과하면 건조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온도버튼, 풍량버튼, 건조부위버튼, 토출위치버튼의 경우 초기에 디폴트로 특정 항목이 선택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124)이 온되면 토출공기의 온도는 열풍, 풍량은 약풍, 건조부위는 전신건조, 토출위치는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의 동시 토출로 디폴트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버튼을 터치하여 디폴트된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디폴트된 상태 또는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건조시각버튼이 터치되면 디폴트된 또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 건조가 시작될 수 있다. 건조종료의 경우 건조종료버튼이 터치되거나 또는 건조과정이 설정시간동안 진행되면 자동으로 건조종료가 진행될 수 있다.A drying start button and a drying end button may be optionally present. If there is no drying start button, dry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a set time (eg 3 seconds) has elapsed after being selected.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button, the air volume button, the drying part button, and the discharge location button, a specific item may be initially selected by default. For example, when the
이들 버튼들의 경우, 각 항목이 조작패널(124)에 표시되어 선택될 수 있고, 한번 터치시마다 각 항목들이 차례대로 표시 및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선택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송풍이 표시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온풍으로 변경되어 표시되고, 다시 한번 더 터치하면 열풍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예:3초)이 경과되면 표시된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se buttons, each item may be displayed and selected on the
상기 조작패널(124)은 상기 전면판(112)을 관통하여 전면이 노출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전면판(112)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패널(124)에 해당되는 전면판(112) 부분이 투명하게 되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을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은 터치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현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덕트(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0)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구부(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덕트(130)의 전면은 상기 개구부(102')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판(112)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A
상기 덕트(130)는 덕트본체(132)와 덕트커버(134)를 가진다. 상기 덕트본체(132)의 선단에 상기 덕트커버(134)가 장착된다. 상기 덕트커버(134)에는 토출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덕트커버(13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토출구(136)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36)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덕트커버(134)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덕트커버(134)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같은 높이에 토출구(1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36)들은 상기 덕트커버(134)의 상측 가장자리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134)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136)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134)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136)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등 신체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3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 신체의 폭방향 양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상기 토출구(136)는 상기 덕트커버(134)의 가장자리를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36)에서 나온 공기가 사용자 신체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퍼지게 되므로, 인접한 토출구(136) 사이의 거리를 어느 정도 둘 수 있다.The
상기 토출구(126)는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덕트(130)에 있고,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둘러 어느 정도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본체(100)에 토출구(135)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outlet 126 is in the
상기 덕트본체(132)의 일측에는 입구판(13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입구판(137)에는 덕트(13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는 덕트입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판(137)은 상기 팬수용부(104)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판(137)은 상기 팬수용부(104)의 하단부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구판(13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160)가 장착될 수 있다.There may be an
상기 덕트(130)의 내부에는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가 상기 덕트(130) 내에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140)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커버(134)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토출구(13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142)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커버(134)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토출구(13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Inside the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는 상기 덕트입구(138)에서 시작하는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가면서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유동단면적은 선형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고,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가면서 소정 구간에서 점차 줄어들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하류부에서 점차 유동단면적이 줄어든다.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최하류부에서는 유동단면적이 더 작아진다.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는 그 하류부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유로(14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45)에서는 유동단면적이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최하류부와 거의 같은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유동단면적이 유동의 상류부에 비해 하류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하는 것은 팬조립체(160)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의 하류부로 가더라도, 토출구(136)를 통해 전체적으로 같은 정도의 풍량과 속도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는 구획벽(14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44)은 상기 덕트입구(138)에서 시작해서 상기 덕트본체(132)의 내부에서 하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44)은 상기 덕트입구(138)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벽(144)에 의해 구획된 상기 덕트입구(138)에서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44)이 상기 덕트입구(138)를 구획하는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16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과 유동방향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The
상기 덕트(130)에는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를 연결하는 연결유로(14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45)는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하류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45)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하부토출유로(145')를 둘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145)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는 상기 덕트본체(132)의 외측벽(146)을 관통하고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둘레벽(103)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는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연결유로(145)의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가 형성된 폭은 사용자의 양쪽 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정도가 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유로(140), 제2유로(142) 그리고 연결유로(145)를 형성하도록 상기 덕트본체(132)에는 외측벽(146)과 내측벽(14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벽(146)은 상기 덕트본체(132)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벽(146)은 상기 입구판(137)에서 시작해서 상기 덕트본체(132)의 양쪽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연결유로(145)의 외측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벽(148)은 상기 제1유로(140), 제2유로(142), 그리고 연결유로(145)의 내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벽(148)은 폐곡선을 형성하면서 상기 덕트본체(132)에 설치공간(150)을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덕트(130)의 전체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다. 상기 덕트(130)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유동단면적은 하류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벽(148)중에서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하류부 쪽을 형성하는 구간으로 가면, 상기 내측벽(148)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서 상기 설치공간(150)이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50)은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의 유동단면적이 큰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가지고, 유동단면적이 작은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가지게 된다. The overall width of the
상기 덕트본체(132)의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에는 다수개의 결합보스(152)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152)는 상기 덕트커버(134)와의 체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134)를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보스(152)에 체결되면, 상기 덕트커버(134)를 상기 덕트본체(132)에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덕트본체(132)의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에는 각각 경사부(15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4)의 구성은 도 3에서 도 5에서 볼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4)는 상기 덕트(130)에서 덕트커버(13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13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54)는 상기 덕트본체(132)의 양단에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4)는 상기 토출구(136)로 가면서 점차 유동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적절한 풍량과 풍속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상기 덕트(130)의 전면을 구성하는 덕트커버(134)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덕트커버(134)의 외측 가장자리 형상은 상기 전면판(112)의 외측 가장자리 형상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134)에서 상기 전면판(112)의 평면부(114)와 마주보는 부분은 평평한 판형태로서 평면부(156)이다. 상기 평면부(156)의 상단에는 곡면부(15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곡면부(157)는 상기 전면판(112)의 곡면부(116)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134)의 평면부(156)에 형성된 토출구(136)는 사용자의 신체 양측 쪽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상기 덕트커버(134)의 곡면부(157)에 형성된 토출구(136)는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곡면부(157)가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에는 브라켓(158)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58)은 건조장치 본체(100)를 벽면(F)에 걸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58)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158')에 연결되어 걸이편(1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편(158")은 연결단차(158s)를 통해 상기 고정편(158')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단차(158s)가 있어서 상기 걸이편(158")은 상기 고정편(158')에 대해 단차진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걸이편(158")과 고정편(158')의 가상의 연장면은 소정의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158')이 고정된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과 상기 걸이편(158")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상기 걸이편(15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홈(158r)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홈(158r)에는 상기 벽면(F)에 고정된 앵커(159)가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앵커(159)의 머리부는 상기 걸이편(158")과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과의 사이 공간이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상기 본체(100)가 벽면(F)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와 바닥 사이의 거리는 대략 300mm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가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되면, 욕실 바닥에 있는 물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도 10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팬조립체(160)를 설명한다. 상기 팬조립체(160)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덕트(130)를 통해 유동되게 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160)는 상기 본체(100)의 팬수용부(1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160)의 외관을 팬하우징(16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62)의 일측에는 하우징커버(16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164)는 상기 팬하우징(162)의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62)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1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공간(166)은 팬(17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덕트(1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16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모터(170)가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팬하우징(162)의 일측에는 공기입구(168)가 있다. 상기 공기입구(168)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조립체(18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공간(166)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공기입구(168)는 벽면(F)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팬하우징(162)의 타측에는 공기출구(16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기출구(169)는 상기 팬하우징(162)의 내부에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덕트(130)로 전달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공기입구(168)의 방향과 상기 공기출구(169)의 개방 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입구(168)가 벽면(F)을 향하고 있으면서 상기 공기출구(169)는 본체(100)의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상기 공기출구(169)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162)에서 일측으로 약간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팬(172)의 회전중심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상기 공기출구(169)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공기출구(169)가 있다. 이는 상기 공기유동공간(166) 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이 이 방향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공기출구(169)는 상기 덕트(130)의 덕트입구(138)와 서로 직접 연통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공기출구(169)와 상기 덕트입구(138)가 별도의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상기 하우징커버(164)에는 팬모터(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7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136)로 토출되게 하는 팬(172)을 구동한다. 상기 팬모터(170)는 상기 팬수용부(104) 내에 위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162)과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170)의 모터축(170')에 설치되는 팬(172)은 상기 팬하우징(162)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입구(168)가 벽면(F)을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172)은 회전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방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팬(172)과 팬하우징(162)의 공기입구(168)와 공기출구(169)의 배치에 의해 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덕트(130)로 상대적으로 짧은 경로를 거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A
상기 팬조립체(160)를 통과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130)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제1히터(17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74)는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출구(169)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출구(169)에 상기 제1히터(17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74)는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출구(169)와 덕트(130)의 입구개구(1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74)로는 코일히터 또는 PTC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There may be a
도 13에서 도 17을 참고하여 필터조립체(180)를 설명한다.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입구개구(108)에는 필터조립체(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180)는 상기 팬하우징(162)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조립체(180)는 도 16에서 볼 수 있는 안착단(108') 상에 세워져 상기 입구개구(108)를 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조립체(180)의 골격을 필터프레임(18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82)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에서 안착단(108') 상부와 상기 입구개구(108) 전방에 해당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최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둘레프레임(18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83)의 외측 가장자리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판(190)의 일측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83)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경사면(109)과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83)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경사면(109)의 연장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83)은 후단프레임(106)의 배면을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상단 양측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된 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후단프레임(106)과 협력하여 본체(100)의 배면 형상을 미려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There may be a
상기 둘레프레임(183)에는 긴 슬롯 형태로 다수개의 제1관통공(18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둘레프레임(183)의 상단 일부와 우측 그리고 둘레프레임(183)의 상단 일부와 좌측에 걸처서 제1관통공(183')들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공(183')에는 제1필터(184)가 위치된다. 상기 제1필터(184)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프리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184)는 상기 필터프레임(182)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83)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제1관통공(18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둘레프레임(183)의 상단 중간부분에는 제1관통공(18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있을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through
상기 둘레프레임(183)의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배면을 바라볼 때, 상기 필터프레임(182)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은 상기 둘레프레임(183)과 같은 형상이나 치수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의 내측 후방(후단프레임(106)의 배면에서 볼 때)에는 내측 윈도우프레임(18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187)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판(190)에 형성된 관통공(19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 may be an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과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187)을 연결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는 제2관통공(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185')에는 제2필터(18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86)는 제1필터(184)와 같은 프리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2필터(186)는 제1필터(184)와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팬조립체(160)가 동작될 때,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관통공(183')의 제1필터(184)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관통공(185')의 제2필터(186)를 통과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이 벽면(F)에 밀착되었을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이 위와 같이 제1필터(184)와 제2필터(18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르게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의 내측 영역을 통해 공기가 직접 아래에서 설명될 제3필터(188)를 통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이 벽면(F)에 밀착되지 않은 경우이다.A portion connecting the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187)에는 제3관통공(18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187')은 도 14에서 잘 볼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187')은 상기 제1필터(184)와 제2필터(186)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팬조립체(160)로 들어가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187')에는 제3필터(18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필터(188)는 예를 들면, 탈취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필터(188)도 상기 제1필터(184)나 제2필터(186)와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3필터(18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조립체(160)의 팬하우징(162)으로 들어간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필터(184)와 제2필터(186)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필터(188)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필터(188)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즉, 제3필터(188)에 먼지제거기능, 탈취기능 등이 모두 있도록 하는 것이다.A third through
상기 필터프레임(18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판(190)에의 장착을 위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일측 상단에는 제1걸이편(18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편(189)은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프레임(184)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편(189)의 선단에는 걸이턱(189h)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The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일측 하단에는 제2걸이편(18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걸이편(189')은 상기 제1걸이편(189)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걸이편(189')의 선단에도 걸이턱(189'h)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A
도 16과 도 17을 참고하여, 이동판(19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판(190)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상기 입구개구(10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190)은 판형상이다. 상기 이동판(190)은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상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판(190)에는 관통공(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92)은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입구(168)와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제3관통공(187')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192)과 상기 제3관통공(187')은 같은 형상과 크기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상기 이동판(190)의 일측 표면에는 제1걸이리브(194)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리브(194)는 상기 이동판(190)의 좌우로 길게 연장되고 선단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리브(194)와 이동판(190)의 표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제1걸이채널(19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채널(196)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제1걸이편(189)에 있는 걸이턱(189h)이 삽입되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채널(196)은 상기 이동판(19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제1걸이리브(194)와 평행하게 상기 이동판(190)의 일측 표면에는 제2걸이리브(194')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리브(194')는 상기 제1걸이리브(194)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리브(194')와 이동판(190)의 표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제2걸이채널(19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채널(196')도 상기 이동판(19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리브(194)와 제2걸이리브(194')는 상기 필터프레임(18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이동판(190)의 타측 표면에는 제1랙기어(198)와 제2랙기어(19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랙기어(198)와 제2랙기어(198')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랙기어(198)와 제2랙기어(198')는 상기 이동판(19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랙기어(198)와 제2렉기어(198')가 형성된 구간의 길이는 상기 이동판(190)이 이동되는 거리보다 조금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제1걸이리브(194)와 제2걸이리브(194')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제1이동가이드(200)와 제2이동가이드(20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설치된 제1안내레일(202)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가이드(200')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설치된 제2안내레일(202')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와 제2이동가이드(200')는 상기 제1안내레일(202)과 제2안내레일(202')의 폭방향 양측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레일(202)과 제2안내레일(202')의 길이는 상기 이동판(190)이 이동되는 거리보다 조금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first moving
도시된 실시례에서와는 달리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와 제2이동가이드(200')가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레일(202)과 제2안내레일(202')이 상기 이동판(19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안내레일(202)과 제2안내레일(202')은 서로 평행하고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는 이동판(19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이동판(190)의 폭방향에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와 제2이동가이드(200')의 설치 위치는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동판(190)의 폭방향의 위치에서 볼 때,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가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198,198')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200')는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198,198')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된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200)와 제2이동가이드(200')는 상기 이동판(190)의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될 수 있다.Unlike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상기 필터조립체(180)를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터모터(204)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필터조립체(180)가 장착된 이동판(190)을 이동시키는데, 다르게는 상기 필터조립체(180)를 직접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모터(204)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1랙기어(198)와 제2랙기어(198')가 상기 필터프레임(182)에 구비될 수 있고, 필터프레임(18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후단프레임(106) 또는 팬하우징(162) 쪽에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필터모터(204)는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터(204)의 출력축에는 제1피니언기어(20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206)는 상기 제1랙기어(198)와 맞물려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터(204)의 출력축과 동심으로 상기 제1피니언기어(206)와 일체로 회전되게 연동축(208)이 있고, 상기 연동축(208)에 제2피니언기어(20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피니언기어(206')는 상기 제2랙기어(198)와 맞물려 동작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모터(20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기어(206,206')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랙기어(198,198')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판(190)이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대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판(190)이 본체(100)의 우측면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190)이 상기 본체(100)에서 돌출되는 길이는 30mm 내외로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터프레임(184)을 잡아서 이동판(19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할 수 있는 최소값이라고 볼 수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06 and 206'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이동판(190)은 평상 시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입구개구(108)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다가(도 19의 (a)), 상기 필터조립체(18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서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도 19의 (b))The moving
상기 이동판(190)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84)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판(190)이 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필터프레임(184)의 분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84)이 분리되면, 상기 제1필터(184), 제2필터(186), 제3필터(188)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상기 이동판(190)에서 상기 필터프레임(184)이 분리되는 것은 상기 필터프레임(184)의 걸이턱(189h, 189'h)을 상기 이동판(190)의 제1 및 제2 걸이채널(196,196')에서 분리하면 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84)을 상기 이동판(190)이 본체(100)에서 돌출된 방향으로,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걸이턱(189h, 189'h)이 상기 이동판(190)의 제1 및 제2 걸이채널(196,19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걸이리브(194)와 제2걸이리브(19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필터프레임(184)이 이동판(190)에서 분리될 수 있다.Separation of the
상기 필터프레임(184)에 있는 필터(184,186,188)들에 대한 유지. 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필터프레임(184)을 다시 상기 이동판(190)에 장착한다. 상기 필터프레임(184)을 이동판(190)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걸이턱(189h)을 제1걸이채널(196)에 삽입하고, 상기 걸이턱(189'h)을 상기 제2걸이채널(196')에 삽입하여 이동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이턱(189h)이 상기 제1걸이리브(194)에 걸어지고, 상기 걸이턱(189'h)이 상기 제2걸이리브(194')에 걸어지는 위치로 필터프레임(184)이 이동하면 상기 필터프레임(184)이 상기 이동판(190)에 고정된다.retention of filters (184,186,188) in the filter frame (184). When the repair is completed, the
상기 이동판(190)이 도 19의 (a)의 상태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가 조작패널(124)을 조작하여 제어부(122)가 상기 필터모터(204)를 동작시키면 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터(204)가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기어(206,206')를 위에서 와는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206,206')와 상기 랙기어(198,198')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이동판(190)이 상기 입구개구(108)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는 도 19의 (a)와 도시된 바와 같다.The moving
도 20에는 상기 전면판(112)이 제거된 상태의 본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구동조립체(2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덕트(130)의 설치공간(15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아(230)의 승강을 위한 구동조립체(210)가 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50)은 상기 덕트(130)의 중간부분과 상단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하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이 넓게 형성된 설치공간(150)에는 상기 제어부(122)도 위치된다.20 shows the
상기 설치공간(150)에 설치되는 구동조립체(210)는 바아구동원(212)을 가진다. 상기 바아구동원(212)은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아구동원(212)에 인접하여서는 제1지지대(214)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214)의 반대쪽에는 제2지지대(21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4)와 제2지지대(214')에 의해 리드스크류(21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4)와 제2지지대(214')에는 각각 상기 리드스크류(216)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14')는 상기 제어부(122)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아구동원(212)은 상기 리드스크류(216)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제어부(122)에 인접할 수 있다.The driving
상기 리드스크류(216)에 형성된 나사부 구간만큼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아(230)가 승강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216)의 외면을 둘러서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와 연동되어 이동하게 이송블럭(218)이 있다. 상기 이송블럭(218)은 상기 리드스크류(21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216)를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이송블럭(218)에는 연결브라켓(2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이송블럭(218)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중앙 부분이 상기 이송블럭(218)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이송블럭(218)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덕트(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양쪽 단부는 상기 이동채널(121)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이동된다.A
도 22에서 도 24에는 위에서 설명된 구동조립체(210)와는 다른 실시례의 구동조립체(210')가 개시된다. 여기에 개시된 구동조립체(210')는 승강가이드(222)에 있는 승강랙기어(224)와 승강유니트(225)에 있는 구동기어(228,228')가 맞물려 동작하여 승강유니트(225)의 승강을 만들어 낼 수 있다.22 to 24, a driving assembly 210' of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상기 승강가이드(222)는 상기 설치공간(150)에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222)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서는 승강랙기어(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랙기어(224)가 형성되는 구간은 이동바아(230)의 승강행정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상기 승강가이드(222)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222)는 전체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몇 개로 나누어져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222)와 상기 전면판(112)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유니트(225)가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승강가이드(222)는 상기 전면판(112) 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elevating
상기 승강가이드(222)를 따라 승강되도록 승강유니트(225)가 있다. 상기 승강유니트(225)는 상기 승강가이드(222)를 따라 승강하고,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외면 일측에 상기 연결브라켓(2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이 상기 승강유니트(225)에 연결됨에 의해 상기 연결브라켓(220)이 승강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바아(230)를 승강하게 할 수 있다.There is an elevating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외관을 유니트케이스(225')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케이스(225')의 일측 외면에는 상하로 길게 가이드채널(2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225")은 상기 유니트케이스(225')의 일측 외면으로 전체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니트케이스(225')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채널(225")이 형성될 수도 있다.A
상기 가이드채널(225")의 양측 내면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제1안내롤러(226) 쌍과 제2안내롤러(226') 쌍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롤러(226) 쌍은 상기 가이드채널(225")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226') 쌍은 상기 가이드채널(225")의 타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롤러(226) 쌍과 제2안내롤러(226') 쌍 사이의 거리는 상기 유니트케이스(225') 내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승강유니트(225)가 상기 승강가이드(222)에 대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하다.There may be a pair of
상기 유니트케이스(225') 내부에 제1바아구동원(227)과 제2바아구동원(22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바아구동원(227)에는 출력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있고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리게 제1구동기어(2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228)는 상기 승강가이드(222)의 일측 승강랙기어(224)와 맞물려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바아구동원(227')에도 출력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있고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려서 제2구동기어(2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228')는 상기 승강가이드(222)의 타측 승강랙기어(224)와 맞물려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구동기어(228)와 제2구동기어(228')의 기어치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채널(225")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채널(225")에 있는 승강랙기어(224)와 맞물리게 된다.A first
상기 제1바아구동원(227)과 제1구동기어(228), 상기 제2바아구동원(227')과 제2구동기어(228')는 상기 가이드채널(225")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바아구동원(227)과 제1구동기어(228) 그리고 상기 제2바아구동원(227')과 제2구동기어(228')가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되면 제1구동기어(228)와 일측 승강랙기어(224) 그리고 제2구동기어(228')와 타측 승강랙기어(224)의 맞물림 동작이 보다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강유니트(225)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이 보다 크게 될 수 있다.The first
도 22에서는 상기 연결브라켓(220)이 승강유니트(225)에 연결된 쪽에 상기 가이드채널(225")이 있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가이드채널(225")이 승강유니트(225)의 반대쪽 면에 있고, 이 가이드채널(225")에 상기 승강가이드(222)가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덕트(130)의 설치공간(150)에 상기 승강가이드(222)가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다.22, the
한편, 도 25에는 승강가이드(222)의 일측 승강랙기어(224)만을 이용하여 승강유니트(225)의 승강을 수행하는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안내롤러(226) 쌍과 제2안내롤러(226') 쌍은 위의 실시례에서와 동일하게 사용되고, 단지 승강을 위한 구동력의 제공을 제1바아구동원(227)만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유니트(225) 내에 제1바아구동원(227)과 제1구동기어(228)를 통해서만 동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유니트케이스(225')의 폭을 줄일 수 있다. Meanwhile, FIG. 2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상기 승강유니트(225)가 상기 승강가이드(222)를 따라 승강되는 실시례에서 본체(1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설치공간(150)에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전후 두께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조립체(2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덕트(130)의 설치공간(150)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유니트(225)가 위치되어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상기 설치공간(150)의 폭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치공간(150)에 상기 승강가이드(222)가 위치되게 하거나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유니트케이스(225')의 전후방향 두께의 일부가 상기 설치공간(150)에 들어 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전후방향 두께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설치공간(150)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유니트(225)의 전후방향 두께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덕트(130)와 전면판(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덕트(130)의 전후방향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26에서 도 32를 참고하여 이동바아(2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팬조립체(160)에 의해 흡입되어 토출되는 공기와는 별도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최대 풍속은 상기 토출구(136)에서 토출되는 최대 풍속에 비해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대략 풍속의 차이는 2배 정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대략 10m/s 내외로 될 수 있고, 상기 토출구(13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대략 6m/s 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토출구(13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여러 단계로 나눠져 제어될 수 있다.The moving
도 26과 도 27에는 이동바아(23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전면판(1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양단부가 상기 이동채널(121)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220)과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양단부를 제외하면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바아(230)의 외관 형상은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바아(230)의 양단부를 제외하면 원기둥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형상이 다각기둥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26 and 27 show the exterior of 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의 외관을 바아케이스(23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아케이스(232)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전면, 상면, 배면,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여러 부품들이 위치될 수 있는 바아공간(23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아공간(234)은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바아공간(234)에서 개방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아커버(24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A
상기 바아공간(234)이 바아케이스(232)의 하부 외에 다른 부분으로도 개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바아케이스(232)의 배면으로 개방되고, 이 개방된 형상에 대응되는 바아커버로 바아공간(234)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아공간(234)이 개방되는 부분은 되도록 본체(100)가 설치되는 공간에 있는 수분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동바아(230)의 주변에서 전달된 물이 상기 이동바아(230) 내부의 바아공간(234)으로 들어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바아케이스(232)의 개방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The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전면(236)이 이동바아(23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236)은 본체(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우로 긴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면(236)의 양단은 곡면으로 되면서 바아케이스(232)의 측면(23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236)과 거의 직교하게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상면(23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면(237)은 상기 이동바아(23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면(237)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케이스(232)의 배면(238) 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237)이 이동바아(230)의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면, 상면(237)에 전달된 수분이 사용자 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동바아(230)의 후방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면(237)의 평면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아커버(242)의 평면형상과 같을 수 있다.The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배면(238)이 상기 이동바아(23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면(238)의 형상은 상기 전면(236)과 측면(236')을 합친 것과 같을 수 있다.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전면(236), 측면(236'), 상면(237) 그리고 배면(238)은 상기 바아공간(234)이 바아케이스(232)의 하부로 개방되게 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물이 바아공간(234)으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전면(236), 측면(236'), 배면(238)의 하부 끝부분에는 케이스요철(23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요철(239)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아커버(242)의 커버요철(244)과 서로 결합되도록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요철(239)에서 각각 돌출된 부분이 바아케이스(232)의 외측에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커버요철(244)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요철(239)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요철(239)에서 돌출된 부분이 외측에 있게 되면 바아케이스(232)와 바아커버(242)의 결합부분을 통한 수분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요철(239)과 커버요철(244) 사이에 별도의 가스켓을 더 둘 수도 있다. 상기 가스켓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바아케이스(232)와 바아커버(242)가 결합되었을 때, 압착되어 수밀작용을 할 수 있다. A separate gasket may be further placed between the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양측 단부에는 연결편(24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편(240)은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양단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이동채널(12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240)은 상기 바아케이스(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240)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2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편(240)과 연결브라켓(220)의 결합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자체의 스냅결합구조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하부에는 바아커버(2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커버(242)는 상기 바아케이스(232) 내부에 형성된 바아공간(234)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바아커버(242)는 판형상인데, 상기 바아케이스(232)의 바아공간(234) 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바아커버(24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커버요철(24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요철(244)은 상기 케이스요철(239)과 결합되는 것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상기 바아커버(242)의 내측에 있다. 따라서, 돌출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있는 케이스요철(239)과 서로 요철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A
상기 바아커버(242)의 선단에는 경사면(24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사면(245)은 상기 바아커버(242)의 양측단에까지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45)은 이동바아(230)가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45)에는 노즐슬롯(2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은 상기 경사면(245)을 따라 상기 이동바아(230)의 상기 전면(236)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은 상기 경사면(245)에 형성됨에 의해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을 통해서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The tip of the
상기 노즐슬롯(245')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개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노즐슬롯(245')은 전체가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노즐슬롯(245')은 상기 경사면(245) 부분의 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로 나눠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 사이의 간격은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경사면(245)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상기 노즐슬롯(245')은 좌우 폭이 200mm 내외일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의 좌우 폭은 사용자 신체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에서 분사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 신체로 퍼져서 전달되어 물기를 쓸어 내릴 수 있도록 노즐슬롯(245')의 좌우 폭이 설정될 수 있다.The
상기 노즐슬롯(245')의 상하 폭은 1.8mm에서 2.2mm 사이가 될 수 있고, 적절하기로는 2mm 정도로 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의 상하 폭은 노즐슬롯(245')에서 공기가 분사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노즐슬롯(245')의 상하 폭이 1.8mm보다 좁으면 공기가 토출되는 소음이 심하게 될 수 있다. 노즐슬롯(245')의 상하 폭이 2.2.mm보다 넓으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줄어들어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쓸어내리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상기 경사면(245)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아커버(242)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면(245)의 다른 구성으로는 상기 바아케이스(23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245)은 상기 바아케이스(232)나 상기 바아커버(242)와 별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245)은 상기 이동바아(230)의 전면(236) 하단에 상기 전면(236)의 폭과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노즐슬롯(245')이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245) 대신에 상기 이동바아(230)의 외면에 공기를 본체(100)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토출하기 위한 구조가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슬롯(245')이 상기 이동바아(230)의 외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전면(236)에 상기 노즐슬롯(245')의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저면인 바아커버(242)에 노즐슬롯(245')의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상기 바아커버(242)의 상면에는 체결보스(246)가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246)는 상기 바아케이스(232)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보스(246)를 관통하여 상기 바아커버(242)의 저면에서 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바아케이스(2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보스(246)에는 체결공(246')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46')은 상기 바아커버(242)의 저면으로 개방되고 상부는 상기 바아공간(234) 내부로 개방되므로 외부로부터 수분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A plurality of
상기 바아커버(242)의 일측에는 흡입구(2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48)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이동바아(2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흡입구(248)의 형성 위치는 상기 바아공간(234) 내에서의 공기 유동거리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48)를 통해 외부의 물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248)는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중력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상기 흡입구(248)가 상기 바아커버(242)에 형성되어 있다.A
그리고 상기 흡입구(248)는 좌우로 길게 연장된 이동바아(23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바아(230)의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바아팬조립체(250), 공기가이드(270), 토출노즐(278) 등이 설치되고, 공기가 유동되어 이동바아(230)의 노즐슬롯(245')을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동바아(230)를 슬림하게 설계하면서도 필요한 부품을 바아공간(234) 내에 배치하면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바아(230)의 일측 단부의 저면에 흡입구(248)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흡입구(248)와 관련해서 상기 이동바아(230)의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흡입구(248)를 이동바아(230)의 우측 단부에 해당되는 저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바아공간(234) 내에 설치되는 바아팬조립체(250), 공기가이드(270)의 배치가 도시된 실시례와는 반대로 된다.A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oving
상기 흡입구(248)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필터(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를 둘 수 있다. 상기 흡입구(248)에는 여러 종류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공기 중의 이취를 제거하는 필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입구(248)에 필터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A filter (not provided with a reference numeral) may be provided in the
상기 바아공간(234)에는 상기 흡입구(248)에 인접해서 바아팬조립체(250)가 설치된다. 상기 바아팬조립체(250)는 상기 흡입구(248)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노즐(245')을 통해 이동바아(23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A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와 상기 흡입구(24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도 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입구 측과 상기 흡입구(248)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간격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 의해 상기 흡입구(248)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바아팬(256)의 축방향과 나란히 바아팬(256)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은 바아팬(256)에서의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There may be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외관을 팬케이스(25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케이스(252)는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팬케이스(252)는 양단으로 개방되어 일측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케이스(252)의 내부에는 바아팬모터(2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모터(254)는 바아팬(256)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아팬모터(254)의 회전축에는 바아팬(25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256)은 상기 팬케이스(25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256)은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그 방향으로 그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팬케이스(252)의 일측 단부를 통해 공기가 들어와서 반대쪽 단부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A
상기 팬케이스(252)의 외면을 둘러서는 완충커버(25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258)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258)는 상기 팬케이스(252)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내면이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팬케이스(252)의 외면이 상기 완충커버(258)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커버(258)의 내면이 상기 팬케이스(252)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완충커버(258)의 외면도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르게는 상기 완충커버(258)의 외면은 상기 바아공간(234)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258)의 외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스페이서(260,260')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기를 둘 수도 있다.A
상기 이동바아(230)에서는 상기 완충커버(258)를 둘러싸는 제1스페이서(260)와 제2스페이서(26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260)에는 제1안착홈(2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260')에는 제2안착홈(2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홈(262)과 제2안착홈(264)은 상기 팬케이스(252)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안착홈(262)과 제2안착홈(264)을 합친 형상이 상기 팬케이스(252) 또는 상기 완충커버(258)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260)와 제2스페이서(26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260)와 제2스페이서(260')는 접착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260)와 제2스페이서(260')는 상기 바아케이스(232)나 바아커버(242)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제1스페이서(260)와 제2스페이서(260')를 둘러싸는 별도의 체결브라켓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2스페이서(260')의 일측에는 노즐홈(2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홈(266)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출노즐(278)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노즐홈(266)은 상기 토출노즐(278)이 압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홈(266)의 내면에는 상기 토출노즐(278)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 중 적어도 일부가 밀착될 수 있다. 노즐홈(266)에 토출노즐(278)의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됨에 의해 토출노즐(278)을 통한 공기 유동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A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타측 단부에는 제2히터(26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68)는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68)는 상기 팬케이스(252)의 타측 단부 내측에 원형으로 만들어져 설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팬케이스(252)와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가이드(270) 사이에 상기 제2히터(268)가 위치될 수 있다. A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서 공기가이드(2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270)는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서 나온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270)는 그 내부에 가이드유동공간(2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은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다.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서 멀어질 수도록 작아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일부는 원통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반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기가이드(270)는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의 유동단면적이 상류부(274)의 일정 구간 이후에서 하류부(275)로 가면서 점차 작아지도록 된다면, 그 형상은 상관이 없다.The
여기서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 인접한 가이드유동공간(272)의 상류부(274)의 유동단면적이 하류부(275)의 유동단면적보다 작게 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을 통과하여 토출노즐(278)의 노즐유로(282)로 전달되는 공기가 노즐유로(282)의 전체 구간에서 거의 같은 풍량과 풍속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에서 원활하게 유동되어야 바아팬조립체(250)에서 소음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의 하류부(275)로 가면서 유동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 구조는 기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Here, mak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상기 공기가이드(270)에는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에서 토출노즐(278)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해 제1연통슬롯(276)이 있다. 상기 제1연통슬롯(276)은 도 2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전체 길이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슬롯(276)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토출노즐(278)의 제2연통슬롯(280)과 대응된다. 즉,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제1연통슬롯(276)과 토출노즐(278)의 제2연통슬롯(280)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연통슬롯(276)의 형성영역이 상기 제2연통슬롯(280)의 형성영역보다 더 넓을 수도 있다. 상기 제1연통슬롯(276)은 상기 이동바아(230)를 정면에서 볼 때,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가이드(270)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제1연통슬롯(276)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노즐(278)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토출노즐(278)은 상기 이동바아(230)의 노즐슬롯(245')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출노즐(278)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고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토출노즐(276)은 상기 노즐슬롯(245') 전체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한다.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토출노즐(278)에는 상기 제1연통슬롯(276)과 연통되는 제2연통슬롯(28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연통슬롯(280)은 상기 노출노즐(278)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슬롯(280)은 상기 노즐슬롯(245')의 중심에서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토출노즐(278)의 전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노즐유로(2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로(282)는 상기 제2연통슬롯(280)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노즐(278)의 전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로(282)중에서 중간의 일정 영역은 상기 제2연통슬롯(28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로(282)의 양단 부분은 상기 제2연통슬롯(280)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연통슬롯(280)과 연통된 노즐유로(282)의 다른 부분을 통해 제2연통슬롯(28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유로(282)의 상하 폭과 좌우 폭은 각각 상기 노즐슬롯(245')의 상하 폭과 좌우 폭과 같을 수 있다.A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제1연통슬롯(276)의 좌우방향 중간과 상기 제2연통슬롯(280)의 좌우방향 중간 그리고 상기 노즐슬롯(245')의 좌우 방향 중간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슬롯(276)의 좌우방향 중간은 상기 가이드유동공간(272)에서 유동단면적이 좁아지기 시작하는 부분과 대응될 수 있다.The middle of the
상기 바아커버(242)의 상면 일측에는 구획벽(28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284)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 하부 그리고 일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공간을 상기 구획벽(284)이 만들고 있다. 상기 구획벽(284)에 의해 구획된 공간과 그 인접한 위치에는 예를 들면 이동바아(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제2센서(286)가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제2센서(286)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방에 위치한 물체의 존재 여부 및 그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손을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부로 갖다 대면 상기 제2센서(286)가 손을 감지할 수 있고, 손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센서(286)는 라이다(LiDAR),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86)에서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2센서(286)에서 측정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까지의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거리까지 접근하도록 상기 이동바아(2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손까지의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이내이면 현재 거리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거리가 되도록 상기 이동바아(2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86)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하면의 형성된 장착홈 내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이 승강되므로,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서,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이동바아(230)를 동작시킨다거나 이동시킨다거나 또는 승강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 또는 동작시켜 상기 이동바아(230)를 승강시킨다'는 것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승강은 상승과 하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상기 흡입구(248)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입구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출구 유동단면적은 상기 노즐슬롯(245')의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슬롯(245')의 유동단면적이 바아팬조립체(250)의 출구 유동단면적보다 작게 함에 의해 상기 노즐슬롯(245')에서의 풍속과 풍량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In the moving
도 33과 도 34에는 이동바아(23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본체(100)에서 분리해서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마치 헤어드라이어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100)에서 분리해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가 별도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바아팬조립체(2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있어야 한다.33 and 3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ing bar 230'. The moving
물론, 상기 본체(100)에서 연장되는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이동바아(2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바아(230')를 본체(100)에서 분리하면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어 나와서 사용자가 이동바아(230')를 본체(100)에서 분리해서 전원선의 연장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선은 상기 연결편(240)을 통과해서 상기 바아공간(234)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채널(121)을 거쳐 본체(10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을 자동으로 감고 풀기 위한 코드릴이 상기 이동바아(230')나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Of course, a power lin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상기 이동바아(230')가 본체(100)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바아공간(234) 내부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90)는 바아공간(234) 내에서 상기 바아팬조립체(250) 등이 설치된 쪽과는 반대쪽에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가 본체(100)에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브라켓(220')에 장착되는 것을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전체 또는 일부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이동바아(230')와 함께 이동되는 것이므로 되도록 무게가 가벼운 것이 좋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합성수지 재질로 전체를 형성하고, 일부에 금속 또는 자석을 둘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양단에는 체결편(221')이 각각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221')은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단부에 대략 직교하게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단부에 있는 상기 체결편(2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양단에 있는 연결편(240)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221') 사이에 상기 연결편(240)들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4 that the moving
이에 더해 상기 체결편(221')의 하단에는 지지단(22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단(221")은 상기 이동바아(230')의 연결편(240)의 하단을 지지하여 이동바아(230')가 연결브라켓(220')에 잘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221")의 다른 예로서는 지지단(221")의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되어 체결편(221')과 지지단(221") 사이에 이동바아(230')의 연결편(240)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르게는 상기 체결편(221')의 상단에도 지지단(221")과 유사한 구성을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연결편(2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편(221')의 지지단(221") 및 이와 같은 구성이 위치되어 연결편(240)을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지단(221") 및 이와 같은 구성이 상기 체결편(221')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일측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지단(221") 및 이와 같은 구성이 상기 연결편(240)에 구비되어 연결편(240)과 체결편(221') 사이의 결합을 위한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한편, 상기 지지단(221")과 함께 또는 지지단(221")과는 별도로 상기 체결편(221')과 연결편(240)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편(221') 전체 또는 그 일부에 금속을 두고, 상기 연결편(240)에 자석(241)을 두는 것이다. 또는 상기 체결편(221')과 상기 연결편(240) 모두에 자석(241)을 둘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연결편(240)에 금속을 두고 상기 체결편(221')에는 자석(241)을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바아(230')를 연결브라켓(220')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게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편(240)의 내부에 자석(241)을 설치하고, 상기 체결편(221')을 금속재질로 하고 있다. 상기 자석(241)을 상기 연결편(24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인서트몰드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자석을 상기 연결편(240) 일측에 만들어진 홈에 고정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도 35에서 도 37에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설명은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은 구조가 다르더라도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35 to 3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those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 structures are different.
도 35에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6에는 도 35에 도시된 실시례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배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7에는 도 35에 도시된 실시례의 측단면도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3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FIG. 3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5, and FIG. 37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the example are shown.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수용부(104)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있을 수 있다. 도 3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팬수용부(104)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선단프레임(102)에서 팬수용부(104)가 있는 하부와 선단프레임(102)의 상부가 각각 돌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상부에는 도 37의 상측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선단프레임(102)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 하부에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이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를 통해 덕트(130)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로는 상기 덕트(130)의 덕트커버(134)에 형성된 토출구(13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판(112)의 구성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곡면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upper enlarged view of FIG. 37, the
상기 팬수용부(104)의 내부에는 팬조립체(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160)의 팬하우징(162)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공기출구(169)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출구(169)를 통해 상기 덕트(130)의 내부로 팬조립체(16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덕트(130)의 덕트입구(138)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덕트(130)와 비교할 때, 본체(100) 내에 덕트(130)가 거꾸로 설치될 수 있다.A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1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거의 유사하며 설치방향이 거꾸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의 덕트(130)는 도 37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에서 상기 선단프레임(102)이 돌출된 것과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폭이 크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토출구(136)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조립체(160)는 그 공기출구(169)가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와 같다. 상기 필터조립체(180)는 설치위치가 상기 팬수용부(104)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12)을 따라 이동바아(230)가 승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을 위한 구동조립체(210,21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구동조립체(210,2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따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사용자 신체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는 상기 구동조립체(210)의 연결브라켓(22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220)의 승강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The moving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수용부(104)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를 도 37의 하측 확대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확대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출구(169)와 덕트(130)의 덕트입구(138)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덕트입구(138)에 인접한 토출구(136)에서 나온 공기를 안내하는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수평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이는 팬수용부(104)가 본체(100)의 하부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부분으로 건조를 위한 공기가 최대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 structure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본 실시례에서 사용자의 발 부분을 건조하는 것은 상기 이동바아(230)를 최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할 수 있다. 이동바아(230)의 경사면(245)이 전방 하부를 향하고 있고, 상기 경사면(245)에 있는 노즐슬롯(245')을 통해서 공기가 전방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drying the user's foot can be don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도 38에서 도 40에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38 to 40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도 38에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례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9에는 도 38에 도시된 실시례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배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0에는 도 38에 도시된 실시례의 측단면도와 확대도들이 도시되어 있다.3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apparatus, FIG. 3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8, and FIG. 40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Side sectional and enlarged views of the example are shown.
본 실시례에서는 팬수용부(104)가 상기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있을 수 있다. 도 3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는 팬수용부(104)가 본체(100)의 중간부분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수용부(104)가 본체(100)의 중간부분에 있게 되면, 선단프레임(102)의 중간부분과 상부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수용부(104)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별도의 전면판(112)이 본체(100)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의 배면에 해당되는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팬수용부(104)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별도의 덕트(130)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eparate
또한, 상기 팬수용부(104) 내에 설치되는 팬조립체(160)의 팬하우징(162)은 공기출구(169)가 상방향과 하방향 양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상부에 있는 덕트(130)와 본체(100)의 하부에 있는 덕트(130)로 동시에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건조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부의 덕트(130)로만 공기를 보내거나, 하부의 덕트(130)로만 공기를 보내거나, 또는 상부와 하부의 덕트(130) 모두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상기 선단프레임(102)의 상부에는 도 40의 상측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선단프레임(102)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 하부에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이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를 통해 덕트(130)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로는 상기 덕트(130)의 덕트커버(134)에 형성된 토출구(13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upper enlarged view of FIG. 40, the
여기서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면판(112)의 구성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곡면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면판(112)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전면판(112)의 구성과 같이 상단에만 곡면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공기출구(169)를 통해 상기 덕트(130)의 내부로 팬조립체(16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덕트(130)가 상기 팬조립체(160)를 기준으로 상부에 하나 하부에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덕트(130)는 도 35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한 구조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덕트(13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한 구조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Air passing through the
본 실시례에서 필터조립체(180)는 상기 팬수용부(104)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중간 부분 배면에 필터조립체(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12)을 따라 이동바아(230)가 승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면판(112)을 따라서 이동되게 이동바아(230)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전면판(112)을 따라서도 별도의 이동바아(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을 위한 구동조립체(210,21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들 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The moving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수용부(104)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를 도 40의 2번째 확대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확대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팬하우징(162)의 공기출구(169)와 덕트(130)의 덕트입구(138)가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덕트입구(138)에 인접한 토출구(136)에서 나온 공기를 안내하는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수평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될 수도 있다.Meanwhile, a structure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수용부(104)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를 도 40의 3번째 확대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수평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를 통해 본체(100) 하부에 설치된 덕트(130)의 토출구(136)에서 나온 공기가 본체(100)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본체(100)의 최하부에는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된 덕트(130)의 하부에서 본체(10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토출유로(14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는 본체(100)의 하단부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발을 향해 공기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본 실시례에서는 하부에 있는 이동바아(23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건조할 수도 있다. 즉 하부에 있는 이동바아(230)를 본체(100)의 최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발 부분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ser's feet may be dried using the mov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건조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시된 건조장치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12) 가장자리를 둘러 있는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를 통해 토출구(136)에서 나온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되어 물기를 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1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사용자 신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해 양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건조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36)에서 나오는 공기는 물기를 건조시키는 작용도 하지만 물기를 사용자 신체의 중심 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the drying apparatus shown, the air from the
상기 토출구(136)를 통해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은 상기 본체(100)의 팬수용부(104) 내에 있는 팬조립체(160)의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팬조립체(160)가 동작되면 외부의 공기가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조립체(18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상기 팬조립체(160)의 팬하우징(16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팬하우징(162)에서 팬(172)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공기출구(169)와 제1히터(174)를 통과해서 덕트(130)로 들어간다. 상기 제1히터(174)는 상기 덕트(130)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팬조립체(160)에서 상기 덕트(130)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은 도 4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덕트(130)에서는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로 분리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를 분리해서 공기가 유동됨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과 풍량이 균형있게 형성 될 수 있다.The flow of air from the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는 그 하류부에서 연결유로(14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유로(145)에서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로 공기가 전달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토출유로(14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발 부분으로 분사되어 발 부분을 건조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로 전달되어 토출구(136)로 공기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에서 토출구(136)로 갈수록 상기 경사부(154)의 존재에 의해 유동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36)를 통해 공기가 보다 집중적으로 토출되면서 일정 이상의 풍량과 풍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in which the air is delivered to the
다시 도 42를 참고하여, 상기 필터조립체(180)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가 벽면(F)에 설치되면 상기 필터조립체(180)는 벽면(F)에 밀착되거나 인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180)의 배면이 벽면(P)에 밀착되면, 필터조립체(180)의 배면으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고, 상기 필터프레임(182)의 둘레프레임(183)에 형성된 제1관통공(183')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공(183')에 있는 제1필터(184)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진다.Referring again to FIG. 42 , the passage of air through the
상기 제1필터(184)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프레임(182) 내에서 유동하여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85)의 제2관통공(185')에 있는 제2필터(186)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187)의 제3관통공(187')에 있는 제3필터(188)를 통과하면서 탈취되어 공기입구(168)를 통해 팬하우징(162)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62)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공기출구(169)와 제1히터(174)를 거쳐 덕트(130) 내부로 들어간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다음으로, 이동바아(230)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는, 도 41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245)의 노즐슬롯(245')을 통해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노즐슬롯(245')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폭방향 대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나오는 공기는 본체(100)의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나오는 공기는 사용자 신체의 물기를 건조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물기가 많은 경우에는 물기를 쓸어 내려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판(112)을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사용자 신체의 원하는 위치에 공기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Next, it will be described that air is discharged by the moving
도 44를 참고하여 이동바아(230)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는 상기 바아팬조립체(250)가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24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동바아(23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48)에는 프리필터와 같은 필터들이 위치될 수 있어서 공기가 정화된다. 상기 바아팬조립체(2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히터(268)을 거쳐서 상기 공기가이드(270)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제2히터(268)를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의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만들어진다.The air flow in the moving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상기 제1연통슬롯(276)을 통해서 상기 토출노즐(278)로 전달된다. 상기 제1연통슬롯(276)은 상기 공기가이드(270)의 상류부(274)에서 하류부(275)에 걸쳐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좌우로 넓은 폭에 걸쳐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토출노즐(278)의 제2연통슬롯(28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entered the
상기 토출노즐(278)의 제2연통슬롯(280)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노즐(278)의 노즐유로(282)를 지나 상기 노즐슬롯(245')을 통해 이동바아(230)의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노즐슬롯(245')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좌우로 넓은 폭을 가져서 사용자 신체의 폭 거의 전체로 전달되어 물기를 쓸어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도 45는 상기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의 블럭도이고, 도 46 내지 도 52는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들을 보인 흐름도이다.45 is a block diagram of component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and FIGS. 46 to 5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dry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건조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온(ON)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조작패널(124)에서 전원버튼을 터치하여 건조장치를 온시킬 수 있고, 다른 예로, 제1센서(105)에서 본체(1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하면 상기 건조장치가 자동으로 온될 수도 있다. [S10 : 건조장치 온(ON) 단계]45 and 46 , the drying apparatus may be turned on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the user may touch the power button on the
상기 건조장치가 온되면 건조조건이 선택 또는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건조조건은 토출될 공기의 토출위치, 온도, 풍량, 그리고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조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 또는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건조조건은 디폴트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장치가 온되면 디폴트값으로 설정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될 수 있고, 상기 건조장치는 자동 선택된 건조조건에 따라 건조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건조장치가 온되면 상기 조작패널(124)이 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124)을 통해 건조조건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작패널(124)에 토출위치, 온도, 풍량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조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조건이 표시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예:3초) 내에 적어도 하나의 건조조건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그 터치된 건조조건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가 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건조조건의 선택은 상기 제어부(122)가 건조조건을 최종 확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20 : 건조조건 입력 단계]When the drying device is turned on, drying conditions may be selected or input. The drying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charge location of air to be discharged, a temperature, an air volume, and a drying area. The drying conditions may be selected or input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rying condition may be preset as a default value. Accordingly,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a drying condition set as a default valu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the drying apparatus may perform a drying process according to the automatically selected drying con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the
상기와 같이 건조조건이 선택되면, 선택된 건조조건에 따라 본체(100) 또는 이동바아(2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건조조건에 대응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팬모터(170) 또는 바아팬모터(254)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팬(172) 또는 바아팬(256)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선택된 건조조건에 따라 이동바아(230)가 본체(100)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위치가 이동바아(230)로 선택되고 전신건조 또는 부분건조가 선택된 경우 이동바아(230)는 건조부위의 높이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S30 : 공기토출 단계] When the drying condition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ir may be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of the
건조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122)를 타이머(107)를 이용하여 경과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107)는 건조장치에 전원이 온된 이후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S40 : 건조시간 판단 단계]When drying starts, the
미리 설정된 건조시간이 경과되면 건조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타이머(107)를 이용하여 공기 토출 후 건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팬모터(170) 및 바아팬모터(25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바아구동원(212)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S50 : 건조종료 단계]When the preset drying time elapses, the drying process may be terminated. To this end, the
한편,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서,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본체(100)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본체(100)를 동작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팬모터(170)를 구동 또는 동작시켜 상기 팬(172)을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Meanwhile,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that the
이와 더불어, 또한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서,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이동바아(230)를 동작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이동바아(230)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바아팬모터(254)를 구동 또는 동작시켜 상기 바아팬(256)을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lso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the
도 45 및 도 47을 참조하면, 건조를 위해 건조장치가 온될 수 있다. 도 46에서와 같이 건조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건조장가 온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가 온되면 상기 건조장치는 기설정된 상태로 초기화될 수 있다. 초기화 상태에서는 모터, 센서, 조작패널, 제어부 등을 비롯하여 각종 장치, 전자회로, 부품 등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건조장치가 동작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준비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22)는 각종 모터의 구동을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124)을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제1센서(105)를 동작시킬 수 있다. [S101 : 건조장치 온 단계]45 and 47 , the drying apparatus may be turned on for drying. 46 , the drying apparatus may turn on the drying field in various way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the drying apparatus may be initialized to a preset state. In the initialization state, power required for various devices, electronic circuits, parts, etc., including a motor, a sensor, an operation panel, a control unit, etc., is supplied, and a preparation process for operating the drying apparatus may be performed. In this preparation process, the
상기 제1센서(105)가 동작되면 건조장치의 전방에 사용자(1)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건조장치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도 53). 이때 상기 제1센서(105)는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하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22)는 감지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는 연속해서 진행될 수 있고,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될 수도 있다. [S103 : 사용자 감지 단계] When the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를 온시킬 수 있고, 모터는 계속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건조장치에 대한 안내정보, 상태정보, 건조진행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제어부(122)는 조작패널(124)을 온시킬 수 있다. 조작패널(124)이 온되면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한 건조를 시작합니다'라는 안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조작패널(124)에는 음성출력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상기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S105 : 조작패널 온 단계]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상기 조작패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키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사용자의 머리부터 발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확한 신체정보 측정을 위해 상기 거리센서(105)는 상하 회전을 수차례 반복할 수도 있다. When the operation panel is turned on, the
상기 제어부(122)는 이와 같이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정보 측정 과정 중 상기 제1센서(105)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안내정보 및/또는 안내음성을 상기 조작패널(12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만약 사용자가 건조장치의 전방 중앙에 서 있지 않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서 있는 경우는 상기 제1센서(105)에서 정확한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가 신체로 효과적으로 닿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S107 : 사용자 신체 측정 단계]The
상기 제어부(122)는 사용자의 신체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조작패널(124)에서 사용자 조작을 위한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버튼으로는 온도, 풍량, 건조부위, 토출위치 등을 입력, 선택 또는 변경(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이 될 수 있다. When the user's body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온도버튼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송풍, 온풍, 열풍 등을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 한 항목이 터치되면 그 터치된 해당 온도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는 온도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송풍이 표시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온풍이 표시되고, 또 다시 한번 더 터치하면 열풍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따르게는, 각 항목이 표시된 이후 설정시간, 예를 들어 3초가 경과하면 그 표시된 온도가 자동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선택된 온도는 역시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온도에 대한 항목은 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온풍과 열풍은 히터를 동작시켜 일정이상의 온도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둘 다 따뜻한 공기이지만 둘을 서로 비교하면 열풍이 상대적으로 더 고온의 공기가 될 수 있다. 반면, 송풍은 히터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button select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nd may input or select, for example, blowing, warm air, hot air, and the like. And when one of these items is touched, the touched temperature may be selected. The selected tempera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풍량버튼은 토출공기의 세기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강(강풍), 중(중풍), 약(약풍) 등이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 한 항목이 터치되면 그 터치된 해당 풍량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선택과 마찬가지로 한번 터치할 때마다 강, 중, 약이 순서대로 표시되고 설정시간(예:3초) 경과하면 그 표시된 풍량이 자동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선택된 풍량은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풍량에 대한 항목도 역시 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The air volume button selects the intensity of the discharged air, and for example, strong (strong wind), medium (medium wind), weak (weak wind), etc. may be input or selected. And when one of these items is touched, the touched air volume may be selected. As with the temperature selection, high, medium, and low are displayed in order each time a touch is made, and when a set time (eg, 3 seconds) has elapsed, the displayed air volum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The automatically selected air volume may be transmitted to the
건조부위버튼은 건조하고자 하는 신체부위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신, 머리, 상반신, 하반신, 손, 발, 바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 한 항목이 터치되면 그 터치된 해당 건조부위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및/또는 풍량 선택과 동일하게 터치시마다 상기 복수의 건조부위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표시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예:3초)이 경과되면 그 표시된 건조부위가 자동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선택된 건조부위도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위에 대한 항목도 역시 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The dry part button selects a body part to be dried, and for example, the whole body, head, upper body, lower body, hands, feet, floor, etc. may be displayed. And when one of these items is touched, the touched dry part may be selected. As with the temperature and/or air volume selection, the plurality of drying parts are sequentially displayed each time a touch is made, and when a set time (eg, 3 seconds) has elapsed in the displayed state, the displayed drying parts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The automatically selected drying part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토출위치버튼은 공기가 토출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본체(100)에서의 공기토출 및/또는 이동바아(230)에서의 공기토출을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다. 토출위치버튼에는 일례로 본체 토출 버튼과 이동바아 토출 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 토출위치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본체 토출이 선택되고 한번 더 터치되면 이동바아 토출이 선택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sition button is for selecting a position at which air is discharg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or select air discharge from the
또는 다르게는, 상기 조작패널(124)에 토출공기의 온도, 풍량, 토출위치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조건이 표시되고, 상기 건조조건이 표시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예:3초) 내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그 터치된 건조조건이 선택되고, 상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ying condi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air, the air volume, the discharge position, or the drying part is displayed on the
그외 다른 정보 및 기능의 선택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바아(230)의 승강속도, 건조부위 고정(이동바아의 고정) 등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도 추가로 표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각 버튼들은 건조장치의 동작 중에 언제라도 터치되어 건조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S109 : 건조조건 선택 단계]Selection of other information and functions may also be possible. For example, a button for selecting an ascending/lowering speed of the moving
건조조건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선택된 건조조건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건조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건조조건이 선택된 후 조작패널(124)에서 건조시작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건조장치가 동작하여 건조를 시작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상기 건조조건이 선택된 후 설정시간(예:3초)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상기 건조장치가 동작하여 건조를 시작할 수도 있다. When the drying condition is selected, the
건조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풍량에 대응되는 공기의 풍량이 되도록 팬모터(170) 또는 바아팬모터(25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는 선택된 토출위치 및/또는 건조부위에 따라 동시에 구동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동될 수 있다. 즉, 선택된 토출위치가 상기 본체(100)이면 상기 팬모터(170)를 구동하고, 선택된 토출위치가 상기 이동바아(230)이면 상기 바아팬모터(254)를 구동할 수 있으며, 선택된 토출위치가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이면 상기 팬모터(174)와 바아팬모터(254)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팬모터(170) 및 바아팬모터(254)를 각각 구동시켜 상기 팬(172)와 바아팬(256)이 각각 회전되므로,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서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팬(172) 및 바아팬(256)를 각각 동작시킨다거나, 구동시킨다거나, 제어한다거나 또는 회전시킨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122)가 상기 팬모터(170) 및 바아팬모터(254)를 구동시켜 각각 상기 팬(172) 및 바아팬(256)을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함을 밝혀둔다.To start drying, the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온도에 대응되는 공기의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1히터(174) 또는 제2히터(268)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74)와 제2히터(268)도 역시 선택된 온도, 토출위치 등에 따라 동시에 구동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동될 수 있다. 즉, 선택된 건조조건이 상기 본체(100)의 토출과 온풍 또는 열풍이면 상기 제1히터(174)를 구동하고, 선택된 건조조건이 이동바아(230)의 토출 및 온풍 또는 열풍이면 상기 제2히터(268)를 구동시킬 수 있다. 만약,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의 동시 토출시 온풍 또는 열풍이면 상기 제1히터(174) 및 제2히터(268)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송풍으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제1히터(174) 및 제2히터(268)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때, 온풍보다는 열풍이 더 높은 온도가 될 수 있다. 온풍과 열풍의 각 온도에 맞도록 각각 히터를 다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건조부위에 따라 토출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신건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동시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팬모터(170) 및 상기 바아팬모터(254)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르게는 전신건조의 경우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이동바아(230) 중 어느 하나에서만 공기가 토출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팬모터(170) 또는 상기 바아팬모터(254) 중 어느 하나만 구동시킬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토출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변경된 토출위치에 따라 상기 팬모터(170) 또는 바아팬모터(25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의 선택적 구동여부는 전신건조뿐만 아니라 부분건조에도 동일하게 해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osition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drying part. For example, when whole body drying is selected, it may be preset so that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the
상기 이동바아(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신체에 묻은 물기를 아래로 쓸어내릴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체(100)의 토출공기로 신체를 건조시키고, 이와 동시에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바아(230)의 토출공기로 신체에 묻은 수분을 아래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111 : 공기 토출 단계]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ving
건조과정에서 상기 팬모터(170) 및/또는 바아팬모터(254)의 동작과, 상기 제1히터(174) 및/또는 제2히터(268)의 동작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가 설정된 높이(위치)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하로 승강이동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선택된 건조부위에 따라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위치 및 이동범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신건조의 경우 미리 설정된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은 미리 설정된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상기 S107 단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머리부터 발까지의 범위 내에서 승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승강도 역시 미리 설정된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분 건조의 경우 각 부위별로 설정된 높이 범위에서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반신 건조의 경우 상반신에 해당되는 목부터 허리까지의 높이 범위 내에서 상하 승강될 수 있다. [S113 : 이동바아 승강 단계]In the drying process,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건조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122)를 타이머(107)를 이용하여 경과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107)는 건조장치에 전원이 온된 이후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건조부위마다 건조시간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조부위가 넓을수록 건조시간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된 건조시간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선택된 건조가 시작된 이후, 상기 타이머(107)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건조부위에 따라 설정된 건조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15 : 건조시간 판단 단계]When drying starts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설정된 건조시간에 도달하면 건조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건조과정의 종료시에는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팬모터(170), 바아팬모터(254), 제1히터(174) 및 제2히터(268)의 동작을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물론 제1,2히터(174,268)은 송풍인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았으므로 이미 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에 상기 사용자 조작입력에 의해 선택된 건조의 종료를 알리는 안내정보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S117 : 건조 종료 단계]The
한편, 상기 단계들(S101~S117)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103 단계는 실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S101 단계에서 바로 상기 S105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S109 단계도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some selected steps among the steps S101 to S117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For example, step S103 may not be performed. If not carried out, the step S101 may proceed directly to the step S105. 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step S109 may also be selectively performed.
도 48은 건조장치에서 공기토출위치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 4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6 및 도 47과 중복되는 설명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48 is a dry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ir discharge position in the dry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the description of FIG. 48,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of FIGS. 46 and 47 may be selectively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장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온되면 제어부(122)는 각종 모터의 구동을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124)을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동작시킬 수 있다. [S201 : 건조장치 온 단계]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in various ways, the
상기 제1센서(105)가 동작되면 건조장치 주변에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감지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3 : 사용자 감지 단계] When the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고, 건조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이에 추가로 건조장치에 대한 안내정보, 상태정보, 건조진행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S205 : 조작패널 온 단계]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상기 조작패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키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상하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머리부터 발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S207 : 사용자 신체 측정 단계]When the operation panel is turned on, 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조작패널(124)에서 건조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24)에서 온도버튼, 풍량버튼, 건조부위버튼 또는 토출위치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여 토출공기의 온도, 풍량, 토출위치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상기 조작패널(124)에 표시된 온도, 풍량, 토출위치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시간(예:3초) 내에 터치되면, 그 터치된 건조조건이 선택되고, 설정시간 내에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될 수 있다. [S209 : 건조조건 선택 단계]When the
상기와 같이 건조조건이 수동 또는 자동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토출위치가 본체 토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공기의 토출위치는 본체(100)와 이동바아(230)가 될 수 있다. 본체 토출은 상기 본체(100)의 형성된 토출구(136)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말하고 이동바아 토출은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노즐슬롯(245')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말한다. [S211 : 본체 토출 여부 판단 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ying condition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ed, the
본체 토출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본체(100)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팬모터(17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터(1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172)이 회전하여 본체(100)의 토출구(136)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S213 : 팬모터 구동 단계]When the main body discharge is selected, the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온도가 온풍 또는 열풍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는 다양한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송풍과 온풍의 2단계로, 또는 송풍, 온풍, 열풍의 3단계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다르게는 더 많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송풍은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S215 : 온풍/열풍 선택 판단 단계]Also, the
온풍 또는 열풍이 선택되었으면 제어부(122)는 제1히터(174)를 구동시켜 본체(100)의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기 선택된 온풍 또는 열풍에 대응하는 온도로 맞출 수 있다. [S217 : 제1히터 구동 단계]When warm air or hot air is selected, the
만약, 온풍 또는 열풍이 아니라 송풍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히터(174)를 정지(off)시킬 수 있다. 송풍은 히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온풍 또는 열풍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원한 바람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은 여름철에 사용할 수 있고 온풍 또는 열풍은 가을이나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다. [S219 : 제1히터 정지 단계] If blowing is selected instead of warm air or hot air, the
여기서, 상기 S215 내지 S219 단계는 상기 S211 및 S213 단계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S215 내지 S219 단계는 상기 S211 및 S213 단계의 이전에 실시될 수도 있고, 상기 S211 및 S213 단계와 동일한 시점에 실시될 수도 있다.Here, steps S215 to S219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steps S211 and S213. Alternatively, steps S215 to S219 may be performed before steps S211 and S213, or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steps S211 and S213.
상기 S211 단계에서 본체 토출이 선택되지 않으면 이동바아 토출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221 : 이동바아 토출 판단]If the main body discharge is not selected in step S211,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oving bar discharge is selected. [S221: Moving bar discharge judgment]
이동바아 토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22)는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바아팬모터(25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팬모터(170)는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바아팬모터(254)의 구동에 의해 바아팬(172)이 회전하여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S223 : 바아팬모터 구동 단계]When the moving bar discharge is selected, the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온도가 온풍 또는 열풍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는 다양한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S225 : 온풍/열풍 선택 판단 단계]Also, the
온풍 또는 열풍이 선택되었으면 제어부(122)는 제2히터(268)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기 선택된 온풍 또는 열풍에 대응하는 온도로 맞출 수 있다. [S227 : 제2히터 구동 단계]When warm air or hot air is selected, the
만약, 온풍 또는 열풍이 아니라 송풍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2히터(268)를 정지(off)시킬 수 있다. [S229 : 제2히터 정지 단계] If blowing is selected instead of warm air or hot air, the
여기서, 상기 S225 내지 S229 단계는 상기 S221 및 S223 단계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S225 내지 S2290 단계는 상기 S221 및 S223 단계의 이전에 실시될 수도 있고, 상기 S221 및 S223 단계와 동일한 시점에 실시될 수도 있다.Here, steps S225 to S229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steps S221 and S223. Alternatively, steps S225 to S2290 may be performed before steps S221 and S223, or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steps S221 and S223.
상기 S221 단계에서 이동바아 토출이 선택되지 않으면 본체 및 이동바아의 동시 토출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231 : 본체/이동바아 동시 토출 판단 단계]If discharge of the moving bar is not selected in step S221,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simultaneous discharge of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is selected. [S231: Simultaneous discharge judgment step of main body/moving bar]
상기 본체 및 이동바아의 동시 토출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도록 상기 팬모터(170) 및 바아팬모터(254)를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터(170) 및 바아팬모터(2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172) 및 바아팬(256)이 모두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에서 동시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S233 : 팬모터/바아팬모터 동시 구동 단계]When the simultaneous discharge of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bar is selected, the
또한,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온도가 온풍 또는 열풍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235 : 온풍/열풍 선택 판단 단계]Also, the
온풍 또는 열풍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히터(174) 및 제2히터(268)를 모두 구동시켜 상기 본체(100) 및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기 선택된 온풍 또는 열풍에 대응하는 온도로 맞추도록 할 수 있다. [S237 : 제2히터 구동 단계]When hot air or hot air is selected, the
만약, 온풍 또는 열풍이 아니라 송풍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히터(174) 및 제2히터(268)를 모두 정지(off)시킬 수 있다. [S239 : 제1,2히터 정지 단계] If blowing is selected instead of warm air or hot air, the
이후에, 선택된 토출위치 및/및 건조부위에 따라 상기 이동바아(23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선택된 건조부위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에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S241 : 이동바아 승강 단계] Thereafter, the moving
이와 같이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의 구동여부는 토출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의 구동속도는 풍량과 관련될 수 있다. 즉,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의 구동속도는 각각 팬(172) 및 바아팬(256)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As such, whether the
도 49에는 건조장치에서 건조부위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 49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6 내지 도 48과 중복되는 설명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49 discloses a dry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drying part in the drying apparatus. In the description of FIG. 49 ,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of FIGS. 46 to 48 may be selectively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장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모터를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124)을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동작시킬 수 있다. [S301 : 건조장치 온 단계]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the
상기 제1센서(105)가 동작되면 건조장치의 전방에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감지를 계속해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3 : 사용자 감지 단계] When the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건조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건조장치에 대한 안내정보, 상태정보, 건조진행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S305 : 조작패널 온 단계]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상기 조작패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키가 될 수 있다. [S307 : 사용자 신체 측정 단계]When the operation panel is turned on, 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신체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조작패널(124)에서 건조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패널(124)에서온도버튼, 풍량버튼, 건조부위버튼 또는 토출위치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여 토출공기의 온도 및 풍량, 토출위치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조작패널(124)에 표시된 온도, 풍량, 토출위치 또는 건조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시간(예:3초) 내에 터치되면, 그 터치된 건조조건이 선택되고, 상기 설정시간 내에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건조조건이 자동 선택될 수 있다. [S309 : 건조조건 선택 단계]When the
상기 건조조건이 수동 또는 자동 선택되면 건조부위가 전신건조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신건조는 머리부터 발까지 사용자의 몸 전체로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S311 : 전신건조 선택 판단 단계]When the drying conditions are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rying area is selected for whole body drying. Whole body drying is to remove moisture by discharging air from the head to the feet all over the user's body. [S311: Whole body dry selection judgment step]
상기 전신건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조작패널(124)을 통해 선택된 토출위치에서 선택된 풍량에 대응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팬모터(170) 및/또는 바아팬모터(254)를 동시에 또는 둘 중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선택된 온도에 대응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1히터(174) 및/또는 제2히터(268)를 동시에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미동작시키거나 또는 둘 중 하나만 구동시킬 수 있다. [S313 : 제1 공기 토출 단계]When the whole body drying is selected, the
이러한 공기의 토출과 함께 전신건조를 위한 이동바아(230)의 승강이 시작될 수 있다. 전신건조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머리부터 발까지 공기가 토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아(230)는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상부위치부터 사용자의 발에 대응되는 하부위치까지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에서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위치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높이(최상단)가 될 수 있고, 상기 하부위치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하강할 수 있는 최저높이(최하단)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수직방향 승강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킬 수 있다. [S315 : 이동바아 승강 단계]The lifting of 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의 승강은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시간은 전신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전신건조가 시작된 이후 상기 타이머(107)에서 카운트된 시간을 이용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17 : 건조시간 판단 단계]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ving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1,2히터(174,268), 상기 팬모터(170)와 바아팬모터(254), 그리고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정지시켜 전신건조 과정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신건조의 종료 과정에서는 상기 이동바아(230)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미리 설정된 위치로 상기 이동바아(230)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패널(124)에 건조종료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전신건조 과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S319 : 건조 종료 단계]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한편, 상기 S311 단계에서 건조부위가 전신건조가 아니라 부분건조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분건조에는 예를 들어 머리 건조, 상반신 건조, 하반신 건조, 발 건조, 바닥건조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S311 단계에서 이들 복수의 부분건조 중 어느 부분에 대한 부분건조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21 : 부분건조 선택 단계]On the other h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rying part is selected as partial drying rather than whole body drying in step S311. The partial drying may include, for example, hair drying, upper body drying, lower body drying, foot drying, floor drying, and the like. The
상기 부분건조가 선택되면 부분건조를 위한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2)는 조작패널(124)을 통해 선택된 토출위치에서 선택된 풍량에 대응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팬모터(170) 및/또는 바아팬모터(254)를 동시에 또는 둘 중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선택된 온도에 대응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제1히터(174) 및/또는 제2히터(268)를 동시에 동작시키거나, 동시에 미동작시키거나, 또는 둘 중 하나만 동작시킬 수 있다. [S323 : 제2 공기 토출 단계]When the partial drying is selected, an operation for partial drying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이러한 공기의 토출과 함께 부분건조를 위한 이동바아(230)의 승강이 시작될 수 있다. 부분건조를 위해서는 상기 선택된 건조부위에만 공기가 토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아(230)는 해당 건조부위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 내에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범위는 건조부위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다(도 54). 이러한 승강에서는 복수회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4와 같이, 머리 건조의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는 머리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R1) 내에서 승강될 수 있고, 상반신 건조의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는 목부터 허리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R2) 내에서 승강될 수 있고, 하반신 건조의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는 허리부터 발목까지에 대응하는 높이 범위(R3) 내에서 승강될 수 있고, 발 건조의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는 발목부터 바닥까지의 높이 범위(R4)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바닥건조의 경우는 최하단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승강을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킬 수 있다. [S325 : 이동바아 승강 단계]The lifting of the moving
이후는 S317 단계로 진행되어 상기 선택된 건조부위에 대응하는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경과되면 S319 단계로 진행하여 건조가 종료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7 to determine whether a set ti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rying part has elapsed, and if s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9 to end drying.
도 50에는 건조장치에서 이동바아에서 토출되는 공기로 손 건조시 건조장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 5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6 내지 도 49와 중복되는 설명은 선택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50 disclos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ying device when hand drying with air discharged from a moving bar in the drying device. In the description of FIG. 50 , descriptions overlapping those of FIGS. 46 to 49 may be selectively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장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124)을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 및 제2센서(286)를 동작시킬 수 있다. [S401 : 건조장치 온 단계]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the
상기 제1센서(105)가 동작되면 건조장치 주변에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S403 : 사용자 감지 단계] When the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건조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건조장치에 대한 안내정보, 상태정보, 건조진행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S405 : 조작패널 온 단계]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상기 조작패널(124)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제2센서(286)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방에 인체의 일부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인체의 일부를 손이라 한다(도 55). 물론 다른 부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S407 : 신체일부 감지 단계]When the
상기 제2센서(286)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방에 있는 손(2)을 감지하면(도 55), 상기 손(2)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손(2)까지의 측정거리는 상기 제어부(122)로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S409 : 거리측정 단계]When the
상기 제어부(122)는 손까지의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크다는 것은 상기 이동바아(230)로부터 손이 상기 기준거리보다 멀리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411 : 거리 판단 단계]The
건조장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이동바아(230)로부터 손이 기준거리 이상 멀리 떨어져 있으면 손 건조의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건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이동바아(230)와 손(2) 간의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바아(230)를 하강시킬 수 있다(도 55). 도 55에는 일례로 상기 이동바아(230)와 손(2)의 측정거리(Y1)가 기준거리(Y2)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이 하강될 수 있고, Y1=Y2가 되면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토출공기에 의해 손(2)이 건조되는 효과가 가장 크게 되는 거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거리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최소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바아(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작다는 것은 손(2)이 상기 이동바아(230)에 너무 근접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되는 공기가 손(2)의 일정 위치에만 분사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건조의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아(230)와 손(2)의 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커지도록 상기 이동바아(230)가 이동될 수 있다. [S413 : 이동바아 이동 단계]If the hand is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away from the moving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최소거리보다 커지면 상기 바아구동원(212)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는 손 건조를 위한 상기 이동바아(230)와 손(2) 간의 거리가 최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S415 : 이동바아 정지 단계]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reaches the reference distance or become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the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미리 설정된 온도 및 풍량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온도 및 풍량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2)는 선택된 풍량에 따라 바아팬모터(254)를 구동시키고, 이와 함께 선택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2히터(268)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인 경우 상기 제2히터(268)를 구동시키지 않고, 열풍 또는 온풍인 경우만 상기 제2히터(268)를 구동시킬 수 있다. [S417 : 공기토출 단계] When the movement of the moving
상기 공기의 토출이 시작된 이후에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 경과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19 : 설정시간 경과 판단 단계]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discharge of the air is started. [S419: Set time elapsed judgment step]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손 건조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손 건조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S421 : 손 건조 종료 단계]When the set time elapses, the hand drying process may be terminated. When the hand drying process is finished,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손 건조를 진행하는 동안 손 위치의 변경에 동적으로 상기 이동바아(23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바아(230)와 손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도 51에는 건조장치에서 손 건조 중에 손의 이동에 따른 건조장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상기 이동바아(230)의 하방에 감지된 손(2)을 건조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S501 : 이동바아의 공기토출 단계]51 disclos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 during hand drying in the drying apparatus. Referring to the drawings,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에도 상기 제2센서(286)에서 상기 손(2)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손(2)까지의 실시간 거리 측정은 손(2)의 상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정된 거리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S503 : 제1 거리 측정 단계]Even while air is discharged from the moving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실시간 측정거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비교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와 같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이동바아(230)로부터 상기 기준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505 : 제1 판단단계]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비교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크면 상기 이동바아(230)가 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므로 상기 이동바아(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기 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바아(230)는 하강될 수 있다(도 55). [S507 : 이동바아의 제1 이동 단계]??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in the comparison, the
상기 S507 단계에서 상기 이동바아(230)이 이동하는 도중에도 상기 제2센서(286)에서 실시간으로 손까지의 거리를 계속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측정거리는 상기 제어부(122)로 실시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는 실시간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509 : 제2 판단 단계]Even while the moving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실시간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의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동은 상기 실시간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S511 : 이동바아 정지단계]When the real-time measurement distance reaches the reference distance, the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비교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최소거리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손이 상기 이동바아(230)에 너무 가까이 접근한 상태이므로 건조의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바아(230)를 손으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준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S513 : 제3 판단단계]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in the comparison, the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최소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아(230)의 이러한 이동은 상기 실시간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S515 : 이동바아의 제2 이동 단계]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the
이후에는 상기 S509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센서(286)에서 실시간으로 손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S511 단계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바아(230)는 정지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9 and the
이러한 과정에 의해 손 건조시 상기 이동바아(230)는 사용자의 손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동바아(230)는 손의 위치 변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By this process,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도52에는 건조장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건조가 아니라 건조장치가 놓인 장소, 예를 들어 욕실의 바닥 건조시 건조장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 5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6 내지 도 51과 중복되는 설명은 선택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52 disclos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when drying the floor of the drying apparatus, for example, in a place where the drying apparatus is placed, rather than drying the user's body in the drying apparatus. In the description of FIG. 52 , the description overlapping those of FIGS. 46 to 51 may be selectively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장치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124)을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상기 제1센서(105)를 동작시킬 수 있다. [S601 : 건조장치 온 단계]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turned on, the
상기 제1센서(105)가 동작되면 건조장치 주변에 사용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05)에서 감지된 결과는 상기 제어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 [S603 : 사용자 감지 단계] When the
상기 제1센서(105)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조작패널(124)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4)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건조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건조장치에 대한 안내정보, 상태정보, 건조진행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S605 : 조작패널 온 단계]When the presence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상기 조작패널(124)이 온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24)에서 바닥건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르게는 조작패널(124)에 바닥건조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설정시간(예:3초) 내에 바닥건조를 터치하면 그 터치된 바닥건조가 선택되고, 설정시간 내에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바닥건조가 자동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122)는 자동 선택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선택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S607 : 바닥건조 선택 단계]When the
상기 바닥건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바닥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최하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바아(2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바닥건조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S609 : 이동바아 최하단 이동 단계]When the floor drying is input, the
상기 이동바아(230)가 최하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의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바아(230)의 최상단 위치 및 최하단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S611 : 이동바아 정지 단계]When the moving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기 최하단 위치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토출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토출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 및 풍량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 및/또는 이동바아(230)에서 동시에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고, 온도는 열풍 또는 온풍으로, 풍량은 중으로 토출될 수 있다. 물론, 토출위치, 온도 및 풍량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건조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토출되는 공기는 바닥에 도달할 수 있다. [S613 : 공기토출 단계]When the moving
상기 공기의 토출이 진행된 이후에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 경과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615 : 건조시간 판단 판단 단계]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discharging progresses. [S615: Drying time judgment judgment step]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바닥건조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바닥건조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바아구동원(212)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아(230)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S617 : 바닥건조 종료 단계]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floor drying process may be terminated. When the floor drying process is finished,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어부(122)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되었으나, 상기 제어부(122)의 전체 기능 또는 적어도 일부 기능을 본체(100) 외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네트워크의 서버가 상기 제어부(122)의 기능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토출구(136)가 덕트(130)의 덕트커버(134)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제1베인(118)과 제2베인(120) 사이를 통해 노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토출구(136)가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선단프레임(102)에 있는 구조에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덕트커버(134)에 형성된 토출구(136)와 상기 선단프레임(102)에 있는 토출구는 서로 직접 연통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토출구(136)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토출구(136)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 등 전면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의 둘레벽(103)을 따라 토출구가 있으면서, 이 토출구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동바아(230)가 상기 본체(100) 전면의 이동채널(121)을 통해 내부의 구동조립체(210,210')와 연결되고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측면이나 배면에 이동채널(121)과 같은 구성이 있어 상기 이동바아(2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ving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덕트(130)의 내부에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가 구획벽(14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가 구획벽(144)에 의해 구획되는 구성과는 달리 상기 팬조립체(160)의 공기출구(169)에 제1유로(140)와 제2유로(142)를 형성하는 별도의 파이프나 튜브 등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별도의 파이프나 튜브에는 상기 토출구(136)와 연통되거나, 직접 토출구(136)가 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이동바아(230)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공기를 사용자 신체로 토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이동바아(230)가 없이 상기 본체(100)의 토출구(136)를 통해 공기가 사용자 신체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ving
도시된 실시례의 이동바아(2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건조장치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이동바아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이나 배면 등을 통해 본체(100)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본 건조장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바아는 상기 이동바아(2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설치의 형태와 외관의 구성이 달리 될 수 있다.The moving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100)의 내부로 상기 흡입개구(10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데, 상기 흡입개구(108)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으로부터 필터조립체(180)를 지나서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 여기서 본체(100)의 후방은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측면 후단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측면 후단에는 상기 후단프레임(106)의 경사면(109)이 있어서, 실질적으로 본체(100)의 후방으로부터 필터조립체(180)로 공기가 흡입된다고 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100: 본체
102: 선단프레임
102': 개구부
103: 둘레벽
104: 팬수용부
105: 제1센서
106: 후단프레임
107: 타이머
108: 입구개구
108': 안착단
109: 경사면
110: 수용공간
112: 전면판
114: 평면부
116: 곡면부
118: 제1베인
120: 제2베인
121: 이동채널
122: 제어부
124: 조작패널
130: 덕트
132: 덕트본체
134: 덕트커버
136: 토출구
137: 입구판
138: 덕트입구
140: 제1유로
142: 제2유로
144: 구획벽
145; 연결유로
145': 하부토출유로
146: 외측벽
148: 내측벽
150: 설치공간
152: 결합보스
154: 경사부
156: 평면부
157: 곡면부
158: 브라켓
158': 고정편
158": 걸이편
158r: 걸이홈
158s: 연결단차
159: 앵커
160: 팬조립체
162: 팬하우징
164: 하우징커버
166: 공기유동공간
168: 공기입구
169: 공기출구
170: 팬모터
170': 모터축
172: 팬
174: 제1히터
180: 필터조립체
182: 필터프레임
183: 둘레프레임
183': 제1관통공
184: 제1필터
185: 외측 윈도우프레임
185': 제2관통공
186: 제2필터
187: 내측 윈도우프레임
187': 제3관통공
188: 제3필터
189: 제1걸이편
189h: 걸이턱
189': 제2걸이편
189'h: 걸이턱
190: 이동판
192: 관통공
194: 제1걸이리브
194': 제2걸이리브
196: 제1걸이채널
196': 제2걸이채널
198: 제1랙기어
198': 제2랙기어
200: 제1이동가이드
200': 제2이동가이드
202: 제1안내레일
202': 제2안내레일
204: 필터모터
206,206': 피니언기어
208: 연동축
210, 210': 구동조립체
212: 바아구동원
214: 제1지지대
214': 제2지지대
216: 리드스크류
218: 이송블럭
220, 220': 연결브라켓
221': 체결편
221”: 지지단
222: 승강가이드
224: 승강랙기어
225: 승강유니트
225': 유니트케이스
225”:가이드채널
226: 제1안내롤러
226': 제2안내롤러
227: 제1바아구동원
227': 제2바아구동원
228: 제1구동기어
228': 제2구동기어
230, 230': 이동바아
232: 바아케이스
234: 바아공간
236: 전면
237: 상면
238: 배면
239: 케이스요철
240: 연결편
241: 자석
242: 바아커버
244: 커버요철
245: 경사면
245': 노즐슬롯
246: 체결보스
246': 체결공
248: 흡입구
250: 바아팬조립체
252: 팬케이스
254: 바아팬모터
256: 바아팬
258: 완충커버
260: 제1스페이서
260': 제2스페이서
262: 제1안착홈
264: 제2안착홈
266: 노즐홈
268: 제2히터
270: 공기가이드
272: 가이드유동공간
274: 상류부
275: 하류부
276: 제1연통슬롯
278: 토출노즐
280: 제2연통슬롯
282: 노즐유로
284: 구획벽
286: 제2센서
290: 배터리
100: body 102: tip frame
102': opening 103: peripheral wall
104: fan receiving unit 105: first sensor
106: rear frame 107: timer
108: entrance opening 108': seating end
109: slope 110: accommodation space
112: front plate 114: flat part
116: curved portion 118: first vane
120: second vane 121: mobile channel
122: control unit 124: operation panel
130: duct 132: duct body
134: duct cover 136: outlet
137: entrance plate 138: duct entrance
140: 1st Euro 142: 2nd Euro
144:
145': lower discharge passage 146: outer wall
148: inner wall 150: installation space
152: coupling boss 154: inclined portion
156: flat portion 157: curved portion
158: bracket 158': fixed piece
158":
158s: connection step 159: anchor
160: fan assembly 162: fan housing
164: housing cover 166: air flow space
168: air inlet 169: air outlet
170: fan motor 170': motor shaft
172: fan 174: first heater
180: filter assembly 182: filter frame
183: perimeter frame 183': first through hole
184: first filter 185: outer window frame
185': second through hole 186: second filter
187:
188: the third filter 189: the first hook piece
189h: Hanging jaw 189': Second Hanging Edition
189'h: hanging jaw 190: moving plate
192: through hole 194: first hook rib
194': second hanging rib 196: first hanging channel
196': second hook channel 198: first rack gear
198': second rack gear 200: first movement guide
200': second movement guide 202: first guide rail
202': second guide rail 204: filter motor
206,206': pinion gear 208: interlocking shaft
210, 210': drive assembly 212: bar drive source
214: first support 214': second support
216: lead screw 218: transfer block
220, 220': connection bracket 221': fastening piece
221”: support end 222: elevating guide
224: lifting rack gear 225: lifting unit
225':
226:
227: 1st bar driven source 227': 2nd bar driven source
228: first drive gear 228': second drive gear
230, 230': moving bar 232: bar case
234: bar space 236: front
237: top 238: back
239: case unevenness 240: connecting piece
241: magnet 242: bar cover
244: cover unevenness 245: inclined surface
245': nozzle slot 246: fastening boss
246': fastener 248: intake port
250: bar fan assembly 252: fan case
254: bar fan motor 256: bar fan
258: buffer cover 260: first spacer
260': second spacer 262: first seating groove
264: second seating groove 266: nozzle groove
268: second heater 270: air guide
272: guide flow space 274: upstream part
275: downstream 276: first communication slot
278: discharge nozzle 280: second communication slot
282: nozzle flow path 284: partition wall
286: second sensor 290: battery
Claims (20)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아의 일측 단부에는 이동바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바아팬조립체가 상기 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동바아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아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안내하는 공기가이드가 상기 이동바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기가이드에서 전달된 공기를 상기 이동바아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노즐이 구비되는 건조장치.
a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 fan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uck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discharge it to the outlet;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bar, and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dg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ar An air guide configured to form an airflow in the end direction, and install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moving bar to the other side,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flow formed by the bar fan assembly is installed, and the air delivered from the air guide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A drying device provided with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to a furnace.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movable bar is constituted by a bar case open downward and a bar cover for shield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 case.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bar cover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moving bar.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flow space is formed inside the air guide to guide the flow of air, an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an upstream portion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guide flow space.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communication slo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from the upstream part to the downstream part of the air guide, so that the air in the guide flow space is directed to the discharge nozzle. A drying device configured to be delivered.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slot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obliquely toward the front and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ar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ing bar.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ozzle slot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ing bar.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nozzle slot is formed to extend from a middle portion of the moving ba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both ends of the moving bar.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게 구성된 팬조립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노즐슬롯을 통해 토출하는 이동바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바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아에는 상기 이동바아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이동바아 외부로 토출하는 바아팬조립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바아팬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팬케이스의 외면에는 완충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커버를 둘러싸도록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가 상기 이동바아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장치.
a body having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a discharge port discharging the sucked air forward;
a fan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uck air through the inlet opening and discharge it to the outlet;
a moving bar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slot while moving along the main body;
and a driving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bar,
A bar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bar is installed on the moving bar. A buffer cov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a fan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bar fan assembly, A drying device in which a first spacer and a second spacer ar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r to surround the .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uffer cover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buffer cov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cas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case.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first seat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cover is formed in the first spacer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cover is seated, and the remaining outer surface of the buffer cover is seated on the second spacer. A drying device in which a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outer surface of the buffer cover is formed.
[10] The suction port of claim 9, wherein an exterior of the movable bar is formed by a bar case open downward and a bar cover for shield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 case, and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by the bar fan assembly passes through. is a drying device located at one end of the bar cover.
The air guid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 exiting the bar fan assembly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r, and a guide flow space is formed inside the air guide to guide the flow of air, and the guide flow A drying devic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stream part to the downstream part of the space.
15.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in the bar fan assembly, an inle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one edge of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moving bar.
15.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first communication slot is formed lo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from the upstream part to the downstream part of the air guide.
15.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guide having a relatively narrow flow cross-section is located opposite the outlet of the bar fan assembly.
15.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discharge nozzle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ir guide and the nozzle slot, and a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is seated and fixed in a nozzl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pacer.
[10]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nozzle slot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lower front of the moving bar.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vertical width of the nozzle slot is between 1.8 mm and 2.2 m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0376A KR20220028825A (en) | 2020-08-31 | 2020-08-31 | Dry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0376A KR20220028825A (en) | 2020-08-31 | 2020-08-31 | Dry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825A true KR20220028825A (en) | 2022-03-08 |
Family
ID=8081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0376A KR20220028825A (en) | 2020-08-31 | 2020-08-31 | Dry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882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290003A1 (en) * | 2020-03-19 | 2021-09-23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US20210289999A1 (en) * | 2020-03-19 | 2021-09-23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66732A (en) | 1991-02-22 | 1992-09-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Body drying device |
KR960000145B1 (en) | 1993-05-31 | 1996-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pread spectrum system |
KR200232774Y1 (en) | 2001-02-21 | 2001-10-06 | 이미화 | Processing equipment for grinding part of v-cutting bite |
KR20030092382A (en) | 2002-05-29 | 2003-12-06 |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Improved Gain Slope Characteristic |
KR20090109634A (en) | 2008-04-16 | 2009-10-21 | 한선영 | Stand-type body dry equipment |
KR100948030B1 (en) | 2009-08-28 | 2010-03-19 |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 Body dryer |
KR101749344B1 (en) | 2015-07-26 | 2017-06-22 | 구자천 | High efficiency human body drying equipment |
KR20180033637A (en) | 2016-09-26 | 2018-04-04 | 백종수 | Dry booth for bathroom |
-
2020
- 2020-08-31 KR KR1020200110376A patent/KR2022002882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66732A (en) | 1991-02-22 | 1992-09-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Body drying device |
KR960000145B1 (en) | 1993-05-31 | 1996-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pread spectrum system |
KR200232774Y1 (en) | 2001-02-21 | 2001-10-06 | 이미화 | Processing equipment for grinding part of v-cutting bite |
KR20030092382A (en) | 2002-05-29 | 2003-12-06 |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 Variable Gain Amplifier Having Improved Gain Slope Characteristic |
KR20090109634A (en) | 2008-04-16 | 2009-10-21 | 한선영 | Stand-type body dry equipment |
KR100948030B1 (en) | 2009-08-28 | 2010-03-19 |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 Body dryer |
KR101749344B1 (en) | 2015-07-26 | 2017-06-22 | 구자천 | High efficiency human body drying equipment |
KR20180033637A (en) | 2016-09-26 | 2018-04-04 | 백종수 | Dry booth for bathroom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선행문헌7) 일본공개특허 평성 7-8412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290003A1 (en) * | 2020-03-19 | 2021-09-23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US20210289999A1 (en) * | 2020-03-19 | 2021-09-23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US11596278B2 (en) * | 2020-03-19 | 2023-03-07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US11903533B2 (en) * | 2020-03-19 | 2024-02-20 | Lg Electronics Inc. |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28829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25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24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27A (en) | Dr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20028828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32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30A (en) | Filter assembly and dr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EP3967195B1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23A (en) | Drying apparatus | |
KR20220028826A (en) | Drying apparatus | |
KR101344421B1 (en) | Device of drying for hair and body | |
KR20220028831A (en) | Drying apparatus | |
KR102193169B1 (en) | A Foot Dryer for a Human Body with a Structure of Toe Separation | |
KR200339415Y1 (en) | Dryer | |
KR20170017400A (en) | Drying apparatus for hair and body | |
KR101267215B1 (en) | Skin dry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