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798A -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 Google Patents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798A
KR20220028798A KR1020200110313A KR20200110313A KR20220028798A KR 20220028798 A KR20220028798 A KR 20220028798A KR 1020200110313 A KR1020200110313 A KR 1020200110313A KR 20200110313 A KR20200110313 A KR 20200110313A KR 20220028798 A KR20220028798 A KR 2022002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location
user terminal
terminal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4708B1 (en
Inventor
신기영
강동구
배영민
이원주
장민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70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guiding a walk on a diagonal crosswalk for the visually impaired. A walk guidance method in a user terminal for guiding a w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distances corresponding to strength of beacon signals from beacon terminal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walk signals, respectively;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least square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thereof, respectively; determining a position of a destination beacon terminal of the user with respect to a position of a departure beacon terminal of the user by tracking a route on which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leaves a predetermined crosswalk region;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if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leaves the crosswalk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a walk safely and rapidly without leaving the crosswalk region.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대각선 횡단보도 보행 안내 시스템 및 방법{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도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i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visually impaired to walk safely even in a diagonal crosswalk.

종래의 횡단보도 보행 안내 시스템은 보행 신호기(신호등 또는 소리 안내)에 비콘 단말기 기능을 내장하여 시각장애인의 접근 여부나 횡단보도 시작 시점과 끝 시점을 파악하는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횡단보도 보행 안내 시스템은 단순한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며, 시각장애인이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 대각선 방향으로의 보행에 대해 안전하고 빠르게 보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안내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 conventional crosswalk walking guidance system provided a service to the extent that a beacon terminal function was built into a walking signal (traffic light or sound guidance) to determine whether the visually impaired approached or the starting and ending time of the crosswalk.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osswalk walking guidance system provides a technique for walking in a simple crosswalk, and does not provide adequate guidance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safely and quickly walk diagonally in a diagonal crosswalk, etc. am.

종래의 관련 문헌으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2075646호(2020.02.10)에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횡단 서비스의 종료 시점을 파악하여 안내하지만, 시각장애인의 위치 파악 및 대각선 방향으로의 보행 경로에 대한 안내가 불가능하며, 특허등록번호 제10-1480958호(2015.01.09)에서는 신호등 컨트롤러가 GPS를 통한 시각장애인의 위치정보(평균속력)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녹색불이 켜지는 시기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지만,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상에서 위치 정확한 정보와 이를 통한 보행 경로의 안내에 대한 것은 아니며,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139716호(2019.12.18)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정확한 보행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닌 보행 경로상에 위치한 신호등을 검출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As a conventional related document, Patent Registration No. 10-2075646 (2020.02.10) identifies and guides the end time of the crossing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guides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walking path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480958 (2015.01.09), the traffic light controller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speed) of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GPS to start a technology to control when the green light of the traffic light turns on However, it is not about th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crosswalk and the guidance of the walking path through it,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9716 (2019.12.18) does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walking path of the visually impaired.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a traffic light located on a walking path.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이동시 정확한 이동 위치 계산을 통하여 보행 경로를 파악해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도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고 빠르게 보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walking path through accurate movement position calculation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moves at a crosswalk, so that even at a diagonal crosswalk, etc., do not deviate from the crosswalk are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i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guide them to walk safely and quickly.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보행 안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보행 안내 방법은,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guiding a walk in a user terminal for guiding a wal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ach beacon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 signals. calculating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for each location of the beacon terminal and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to do;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강도에 칼만 필터를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상기 강도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한다.In 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beacon terminal is calculated, and a Kalman filter is applied to the calculated intensity to remove noise from each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Calculate the distance of

상기 알람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ignal,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warning sound, warning message, or vibration.

상기 비콘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beac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may communicate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Bluetooth, Zigbee, Wi-Fi, etc.).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수학식

Figure pat00001
을 이용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d)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n은 전파손실도를 반영하는 계수, A는 소정의 오프셋값이다.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is in real time,
Figure pat00001
calculating each distance d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using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미리 룩업-테이블에 저장해 놓고,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매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respective distances may include, within a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The method may include storing the corresponding distances in a lookup-table in advance, and determining the respective distances mapped to the strengths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by referring to the lookup-table.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가장 유사한 복수의 엔트리들 중,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측정 위치에 대한 엔트리를 선택해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From among a plurality of entries most similar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the lookup-table, an entry for a measurement location closest to a location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may be selected to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s.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거리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한 해당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유지하고, 상기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하여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lculating of each distance may include, within a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strengths of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neural network learning for corresponding distances. , maintain in advance a learning model database storing a learning model hav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corresponding distance to the intensity of an arbitrary beacon signal, refer to the learning model database, and refer to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input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the respective distances by applying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l.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 중,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와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해당 위치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거한 후,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ocations, the location determined using a GPS module and th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after remo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rresponding locations and distance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tions of the user terminals is minimized.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는,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로부터의 비콘 신호들에 의해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 가능한 시점에서의 초기 GPS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position determined using the GPS module may correspond to an initial GPS position at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by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보행 안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보행 안내 방법은,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uiding a walk in a user terminal for guiding a walk of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 signals.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with respect to strength and positions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to do;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보행 안내 시스템은,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이탈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calculator for calculating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a loca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ocations,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walking guidance system;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a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강도에 칼만 필터를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상기 거리계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lking guidance system includes a noise filtering unit that calculates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beacon terminal and outputs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from which noise is removed by applying a Kalman filter to the calculated intensity to the distance calculator. may include more.

상기 알람부에서의 상기 알람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ignal in the alarm unit, the user terminal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as a warning sound, warning message, or vibration.

상기 거리 계산부는, 실시간으로 수학식

Figure pat00002
을 이용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d)를 산출하고, 여기서, n은 전파손실도를 반영하는 계수, A는 소정의 오프셋값이다.The distance calculator, in real time,
Figure pat00002
is used to calculate each distance d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where n is a coefficient reflecting the degree of propagation loss, and A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미리 측정해 저장한 룩업-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매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in a plurality of locations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the respective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e walking guidance system It may further include a lookup-table that is measured and stored in advance, and the distance calculator may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s mapped to the strengths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with reference to the lookup-table.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가장 유사한 복수의 엔트리들 중,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측정 위치에 대한 엔트리를 선택해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The walking guid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and the position calculator may include, in the lookup-table, a measurement position closest to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among a plurality of entries most similar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You can determine each distance by selecting an entry for .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거리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한 해당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하여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거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The walking guidance system,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for the strengths and corresponding distances of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y beacon It may further include a learning model database storing a learning model hav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a corresponding distance to the signal strength, wherein the distance calculator refers to the learning model database,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intensity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l.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 중,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와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해당 위치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거한 후,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The walking guid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and the location calculator may include, among the locations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ocations, a location positioned using the GPS module and the minimu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 squares algorithm after remo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rresponding locations and distance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tions of the user terminals calculated using the squares algorithm is minimized.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는,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로부터의 비콘 신호들에 의해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 가능한 시점에서의 초기 GPS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position determined using the GPS module may correspond to an initial GPS position at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by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보행 안내 시스템은,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이탈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And,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location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a posi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walking guidance system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relative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a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이동시 정확한 이동 위치 계산을 통하여 보행 경로를 파악해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도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고 빠르게 보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앱)에서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횡단보도에 설치된 다수의 보행 신호기 내부의 비컨에서 송출되는 고유 식별코드와 수신 신호의 RSSI 강도를 토대로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 보행하는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계산하되, 룩업-테이블 방식이나 인공신경망을 통한 모델을 이용하여 더욱 더 정확히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보행 경로를 정확히 검출해 대각선 방향 이동 시에도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할 경우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을 통해 알람을 발생하여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gai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sually impaired move at a crosswalk, the walking path is determined through accurate movement position calculation, and guides to walk safely and quick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designated crosswalk area even at a diagonal crosswalk can d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alking in a diagonal crosswalk, etc.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beacons inside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installed in the crosswalk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pp) and the RSSI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However, by calculating the location more accurately using a lookup-table method or a model throug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accurately detects the walking pa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makes a warning sound and warning when moving in a diagonal direction and departs from the designated crosswalk area. An alarm can be generated through a comment or vibration to enable safe walking.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 전후의 시간에 따른 비콘 신호 강도(RSSI)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와 비콘 단말기 간의 거리 계산의 제1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와 비콘 단말기 간의 거리 계산의 제2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와 비콘 단말기 간의 거리 계산의 제3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교차로에서의 m=8인 비콘 단말기(B1, B2,..., Bm)에 대한 위치의 예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단말기의 전파 지향성과 보행자의 위치에 따른 비콘 신호 강도(RSSI)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라 GPS를 이용한 보행자의 위치를 계산하여 오차가 작은 전파 지향성 비콘 단말기의 선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계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통행 시의 본 발명의 경로이탈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시스템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 walking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of beacon signal strength (RSSI) over time before and after noise fil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method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beac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method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beac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method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beac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n example of positions for beacon terminals B1, B2, ..., Bm with m=8 at an intersection.
7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radio wave directivity of a beacon terminal and a beacon signal strength (RSSI)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pedestri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 radio directional beacon terminal having a small error by calculating a position of a pedestrian using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lculation o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block diagram of a walking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deviation of the ro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destrian passes a crosswalk.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the same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and/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he content disclosed below will focus on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of element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lso, so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so the contents described herein are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of the components drawn in each draw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in any way.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s used only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비콘신호수신부(110), 노이즈 필터링부(120), 거리계산부(130), 위치계산부(140), 경로이탈 판단부(150), 알람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con signal receiving unit 110 , a noise filtering unit 120 , a distance calculating unit 130 , a location calculating unit ( 140 ), a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150 , and an alarm unit 160 .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위와 같은 각부 구성 요소들은, 반도체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mounted on a user terminal is hardware such as a semiconductor processor, software such as an application (app) program, or their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시각장애인의 보행 안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시각장애인의 보행 안내 전용 포터블 단말기일 수도 있고,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무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mounted on a user terminal for guiding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a portable terminal dedicated to walking guidance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WiFi, WiBro, WCDMA, LTE, etc. It may include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wearable device, a tablet PC, and a notebook PC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소지한 위와 같은 보행 안내 시스템(100)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를 소지한 시각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횡단보도 주위에 진입하면, 비콘신호수신부(110)는 횡단보도의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S110). Referring to FIG. 2 , first, when a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user, who has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walking guidance system 100 in possession enters around the crosswalk, the beacon signal receiver 110 is a plurality of crosswalks.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the walking signal (S110).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보행자가 도로의 건너편 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를 포함하여 대각선 방향으로도 횡단할 수 있는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 복수의 보행 신호기, 즉, 교차로의 각 횡단보도로 보행자의 통행 가능 여부를 신호등 또는 소리로 알려주기 위한 제어기를 갖춘 보행 신호기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보행 신호기에는 본 발명이 보행 안내를 보조하기 위하여 비콘 단말기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비콘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WiBro, WCDMA, LTE 등 이동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 4와 같이 4거리 교차로의 횡단보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하나의 횡단보도가 있는 곳이나, 3거리 교차로에서의 횡단보다 등에서도 보행 안내를 위해 동작 가능하다. For example, at an intersection with a crosswalk that allows pedestrians to cross in a diagonal direction, including a crosswalk that allows pedestrians to cros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ad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pedestrian signals, that is, each crossing of the intersection A pedestrian signal having a controller for informing of whether pedestrians can pass on the sidewalk with a traffic light or sound may be installed. Each walking signal may be provided with a beacon terminal in order to assist the present invention walking guidance. It is preferable that each beac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Bluetooth, Zigbee, Wi-Fi, etc.), but in some case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Bro, WCDMA, LTE is not excluded . Hereinafter, a crosswalk of a four-way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operate for guiding walking in the back than when crossing in the .

이와 같은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는,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소정의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비콘 신호에는 미리 저장된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위치정보(GPS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such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beacon signal for informing its loc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pre-store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lo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비콘신호수신부(110)가 이와 같은 보행 신호기들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노이즈 필터링부(120)는, 각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각각의 비콘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강도에 칼만 필터 등을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각각의 비콘 신호의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거리계산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칼만 필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대역필터 등 다른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When the beacon signal receiving unit 110 receives each beacon signal installed in such walking signals, the noise filtering unit 120 calculates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received from each beacon terminal, and the Kalman filter on the strength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of each beacon signal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by applying the same may be output to the distance calculator 130 (S120). Here, the Kalman filter is an example, and other filters such as a band filter for removing noise may be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필터링부(120)에서의 노이즈 필터링 전후의 시간에 따른 비콘 신호 강도(RSSI)의 그래프이다.3 is a graph of beacon signal strength (RSSI) according to time before and after noise filtering in the noise filter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와 같이, 각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각각의 비콘 신호(A, B, C, D)의 강도(RSSI)에 대한 칼만 필터 적용 전 로(raw) 데이터는 노이즈가 포함되어 안정적인 처리가 어려우므로, 도 3의 (b)와 같이, 칼만 필터를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각각의 비콘 신호의 강도(RSSI)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정확한 거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a) of Figure 3, the raw data before applying the Kalman filter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A, B, C, D) received from each beacon terminal contains noise and is stable Since processing is difficult, it is desirable to ensure stable and accurate distance measurement by using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from which noise is removed by applying a Kalman filter, as shown in FIG. 3B .

거리계산부(130)는 횡단보도 주위의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계산한다(S130). The distance calculator 130 calculates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RSSI)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around the crosswalk (S130).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비콘 단말기(B1, B2, B3, B4) 간의 거리 계산의 제1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200)를 소지한 시각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4 거리 교차로의 대각선 방향 횡단 보도를 보행할 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 각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B4)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user terminal 200 equipped with a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user walks a crosswalk in a diagonal direction of a four-way intersection, the user terminal 200 is a plurality of An example of receiving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and B4 installed in the walking signal is shown.

도 4를 참조하면, 거리계산부(130)는, 실시간으로 [수학식1]을 이용해,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d)(d1, d2, d3, d4)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산악, 도시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손실도를 반영하는 계수, A는 소정의 오프셋값(예, 1m 거리에서의 RSSI 값 등)이다. 도 4의 예에서,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 각각의 거리(d)(d1, d2, d3, d4)를 반경으로 하는 원들이 중첩되어 만나는 한점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distance calculator 130 corresponds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and B4 using [Equation 1] in real time. Each distance d (d1, d2, d3, d4) can be calculated. Here, n is a coefficient reflecting the degree of propagation loss that varies according to mountain or urban environments, and A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eg, RSSI value at a distance of 1 m, etc.). In the example of FIG. 4, a point where circles having a radius of each distance d (d1, d2, d3, d4)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and B4 overlap and meet the user terminal 200 ) can be the location of

[수학식1][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비콘 단말기(B1, B2, B3, B4) 간의 거리 계산의 제2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B4)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 각각의 거리(d)(d1, d2, d3, d4)를 결정하기 위하여 거리계산부(130)에 의해 참조되는 룩업-테이블(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B4) from each distance (d) (d1, d2, d3, d4) to determine It may further include a lookup-table 500 referenced by the distance calculator 130 .

룩업-테이블(500)은 횡단보도 등의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모든 비콘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영역) 내(300)에서, 복수의 측정 위치(P11,..Pij,..Pmn)(예, 수십 cm ~ 수 m 간격)에서의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미리 측정해 메모리 등에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도 5에서, 측정 위치 Pij에서 비콘 단말기(B1, B2, B3, B4)에서 각각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강도가 R1ij, R2ij, R3ij, R4ij인 경우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까지의 측정 거리 d1ij, d2ij, d3ij, d4ij인 예를 나타내었다. The lookup-table 500 is a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B1, B2, B3, B4)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such as a crosswalk (area in which beacon signals of all beacon terminals are received) ( 300),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B1, B2, B3, B4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P11,..Pij,..Pmn (eg, several tens cm to several m intervals). It may be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or the like by measuring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in advance. 5, each beac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for the case where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s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and B4 at the measurement location Pij is R1ij, R2ij, R3ij, and R4ij An example of measuring distances d1ij, d2ij, d3ij, and d4ij to the terminals B1, B2, B3, and B4 is shown.

거리계산부(130)는, 이와 같은 룩업-테이블(500)을 참조해 입력되는 각 비콘 신호의 강도(R1ij, R2ij, R3ij,..)와 매핑되는 각각의 거리(d1ij, d2ij, d3ij,..)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비콘 단말기(B1, B2, B3,..)가 4개인 예를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거리계산부(130)는, 이와 같은 룩업-테이블(500)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R1ij, R2ij, R3ij,..) 중 계산에 불필요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주는 비콘 단말기들의 비콘 신호들의 영향을 제거해 각각의 거리(d1ij, d2ij, d3ij,..)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비콘 단말기들(B)은 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전파 지향성으로 비콘 신호 등을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향성으로 인해 또는 무지향성 비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신호등이나 보행 신호기 등이 설치된 지주로 인해 보행자가 비콘 단말기(B)의 인근에 있더라도 수신되는 RSSI 값이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행자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기(200)의 거리(d1ij, d2ij, d3ij,..)나 위치 X(x,y)의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GPS 위치 정보를 측위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ance calculator 130 refers to such a lookup-table 500, and each of the distances d1ij, d2ij, d3ij,. .) can be determined. In FIG. 5, although an example of four beacon terminals B1, B2, B3, .. is illustrated, a larger number may be installed. However,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130, such a lookup-table 500 of the strength (R1ij, R2ij, R3ij, ..) of each beacon signal of the beacon signals of the beacon terminals giving unnecessary or inaccurate information to the calculation. We can remove the influence to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s (d1ij, d2ij, d3ij,..).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B , the beacon terminals B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or the like with radio wave directivity by a directional antenna. Due to such directivity or even if an omni-directional beacon terminal is used, a received RSSI value may be reduced even if a pedestrian is near the beacon terminal B due to a prop installed with a traffic light or a walking signal. Due to this, an error may occur in the calculation of the pedestrian's position, that is, the distances d1ij, d2ij, d3ij, ..) or 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 To this end, if necessary,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for positioning GPS lo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B)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될 때, 거리계산부(130)는 비콘 신호 강도(RSSI) 값이 방해 받지 않는 비콘 단말기의 비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의 예에서, 비콘 단말기 B5, B6 주위로 보행자가 접근 시, 각각의 지주에 의해 보행자에 대해 가려진 비콘 단말기들 B3, B5, B6, B8의 비콘 신호 강도(RSSI)에 의한 영향은 제거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B, the distance calculator 130 selectively uses beacon signals of the beacon terminal in which the beacon signal strength (RSSI) value is not disturbed to determine the location.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7c, when a pedestrian approaches around the beacon terminals B5 and B6, the beacon terminals B3, B5, B6, and B8 of the beacon terminals B3, B5, B6, B8 are obscured by the respective props due to the RSSI The influence is removed.

이를 위하여, 거리계산부(130)가, 위와 같이 룩업-테이블(500)을 참조해 각 비콘 신호의 강도(R1ij, R2ij, R3ij,..)와 가장 유사한 복수의 엔트리들 중 어느 하나(엔트리)를 선택하여 상기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거리계산부(130)는 GPS 모듈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위도, 경도, 고도 등)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가 룩업-테이블(500)에서의 측정 위치들(P11,..Pij,..Pmn) 중 가장 가까운 위치에 대응된 엔트리를 선택해 해당 거리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엔트리는 도면에서 각 행의 정보, 즉, 측정 위치(P11,..Pij,..Pmn), 해당 비콘 신호의 강도(R1ij, R2ij, R3ij,..), 해당 거리(d1ij, d2ij, d3ij,..)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distance calculator 130 refers to the lookup-table 500 as above and refers to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R1ij, R2ij, R3ij, ..) and any one (entry) of the plurality of entries most similar to to determine the distance. That is, the distance calculator 130 receiv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of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GPS module, and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the measurement locations P11 in the lookup-table 500 . ,..Pij,..Pmn), the corresponding distance value can be determined by selecting the entry corresponding to the nearest position. The entry contains the information of each row in the drawing, that is, the measurement location (P11,..Pij,..Pmn),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beacon signal (R1ij, R2ij, R3ij,..), the corresponding distance (d1ij, d2ij, d3ij, ..) is included.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비콘 단말기(B1, B2,..., Bn) 간의 거리 계산의 제3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terminals (B1, B2, ..., B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n)로부터 각각의 거리(d1, d2,..., dn)를 결정하기 위하여 거리계산부(130)에 의해 참조되는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6,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 Bn) to determine each distance (d1, d2, ..., dn) For this purpose, it may further include a learning model database 600 referenced by the distance calculator 130 .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600)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300)에서, 미리 다수의 위치(예, 수십 cm ~ 수 m 간격)에서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 RSSIn) 및 해당 각각의 거리(d1, d2,..., dn)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R)에 대한 해당 거리(Y)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들)(W1, W2,..Wn)을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다.The learning model database 600 is, within the service coverage 300, the strength (RSSI1, RSSI2, ..., RSSIn) of each beacon signal at a plurality of locations (eg, several tens cm to several m intervals) in advance and each of them Parameter(s) (W1, W2,. .Wn) to save the learning model.

학습 모델은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R)에 대한 해당 거리(Y)를 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W1, W2,..Wn)와 관련된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RSSIn) 및 해당 각각의 거리(d1, d2,..., dn)를 만족시키기 위한 로지스틱 함수를 획득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 학습 과정의 회귀 계수 등을 위와 같은 파라미터로 가질 수 있다. The learning model may include a func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parameters (W1, W2, ..Wn) for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distance (Y) for the strength (R) of any beacon signal, for example, each beac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process to obtain a logistic function to satisfy the signal strength (RSSI1, RSSI2,..., RSSIn) and their respective distances (d1, d2,..., dn) are shown above. can have the same parameters.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심층 신경망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device for performing such a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process.

거리계산부(130)는, 이와 같은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600)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각 비콘 신호의 강도(R)에 대하여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n)로부터 각각의 거리(d1, d2,..., dn)를 산출할 수 있다. The distance calculator 130 refers to this learning model database 600, and applies the strength R of each beacon signal input in real time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l stored in the learning model database 600 to each Each distance d1, d2, ..., dn may be calculated from the beacon terminals B1, B2, ..., Bn.

이와 같이,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로부터 각각의 거리(d1, d2, d3,..)가 결정되면, 위치계산부(140)는 각 비콘 단말기(B1, B2, B3, ..)의 위치 및 해당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각각의 거리(d1, d2, d3, ..)에 대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least square algolithm)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계산한다(S140). In this way, when the respective distances d1, d2, d3,..)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For the location of B3, ..) and each distance (d1, d2, d3, ..)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using the least squares algorithm, the walking guid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the position X(x,y) of the mounted user terminal 200 is calculated ( S140 ).

도 4의 예에서,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3, B4)로부터 각각의 거리(d1, d2, d3, d4)를 반경으로 하는 원들이 중첩되어 만나는 한점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가 될 수 있지만, 이는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4, a point where circles having respective distances d1, d2, d3, and d4 as radiuses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B3, and B4 overlap and meet i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t can be X(x,y), but it can be computed using a least squares algorithm.

예를 들어, 비콘 단말기 m개의 위치가 (x1, y1), (x2, y2),...,(xm,ym)라고 하자.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각각의 비콘 단말기(B1, B2,..., Bm)까지의 거리가 (d1, d2,..., dm)라고 하자. 도 7a에서는 교차로에서의 m=8인 비콘 단말기 8개의 위치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비콘 단말기의 위치 (x1, y1), (x2, y2),...,(xm,ym)는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보행 안내 시스템(100) 또는 위치계산부(140)가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일 수도 있다. 각각의 비콘 단말기는,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소정의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비콘 신호에는 미리 저장된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위치정보(GPS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s of m beacon terminals are (x1, y1), (x2, y2), ..., (xm, ym). Also, suppose that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B1, B2, ..., Bm is (d1, d2, ..., dm). 7A illustrates the positions of eight beacon terminals with m=8 at the intersection. The positions (x1, y1), (x2, y2), ..., (xm, ym) of the beacon terminal may b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lking guidance system ( 100) or the location calculator 140 may b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beacon terminal. Each beacon terminal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beacon signal to inform its loc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beacon signal includes pre-stor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real time using GPS (GPS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는 최소자승 알고리즘에 따라 [수학식2]에서 (x,y)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된다. [수학식2]는 [수학식3]과 같이 X(x,y)를 산출하는 식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가 획득될 수 있다.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is obtained by calculating (x,y) in [Equation 2] according to the least-squares algorithm. [Equation 2] may be converted into an equation for calculating X(x,y) as in [Equation 3], and 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obtained using this. .

[수학식2][Equation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3] [Equation 3]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다만, 도 7b와 같이 비콘 단말기들(B)은 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전파 지향성으로 비콘 신호 등을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향성으로 인해 또는 무지향성 비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신호등이나 보행 신호기 등이 설치된 지주로 인해 보행자가 비콘 단말기(B)의 인근에 있더라도 수신되는 RSSI 값이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행자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의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7B , the beacon terminals B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or the like with radio wave directivity by a directional antenna. Due to such directivity or even if an omni-directional beacon terminal is used, a received RSSI value may be reduced even if a pedestrian is near the beacon terminal B due to a prop installed with a traffic light or a walking signal. Due to this, an error may occur in the calcul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that is, 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GPS 위치 정보를 측위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if necessary,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for positioning GPS lo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B)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될 때, 위치계산부(140)는 위치 X(x,y)의 계산을 위하여 GPS 모듈로부터, GPS 위치 정보(위도, 경도, 고도 등)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200)의 초기 GPS 위치 (xint, yint)를 수신할 수 있고, 초기 GPS 위치 (xint, yint)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 강도(RSSI) 값이 방해 받지 않는 비콘 단말기의 비콘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GPS 위치 (xint, yint)는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B)로부터 비콘 신호들이 수신될 때(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치 X(x,y) 계산이 가능한 시점)에 해당하지만, 비콘 신호들에 의해 위치계산부(140)가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치 X(x,y)를 계산할 수 있는 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B), the position calculator 140 receive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initial GPS position (x int , y int ) of the user terminal 200 consisting of altitude, etc.), and the beacon signal strength (RSSI) value is not disturbed by using the initial GPS position (x int , y int ). The location can be calculated by selectively using beacon signals of non-beacon terminals. Here, the initial GPS position (x int , y int ) corresponds to when beacon signals ar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B (a time point at which position X(x,y) can be calculated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but , may be any one of the positions where the position calculator 140 can calculate the position X(x, y) by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by the beacon signals.

즉, 위치계산부(140)는 위와 같은 최소자승알고리즘 방법으로 위치 X(x,y)를 계산하되,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 (xint, yint)와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 사이의 차이가 최소값, 즉, 최소값 Min|(xint-x)2+(yint-y)2|가 되도록 최적화 알고리즘, 유전자 알고리즘 등을 적용해,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기의 위치와 거리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위치 X(x,y)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X(x,y)의 계산에 불필요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주는 비콘 단말기들의 비콘 신호들의 영향을 제거해 정확한 위치 X(x,y)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7c의 예에서, 비콘 단말기 B5, B6 주위로 보행자가 접근 시, 각각의 지주에 의해 보행자에 대해 가려진 비콘 단말기들 B3, B5, B6, B8의 비콘 신호 강도(RSSI)에 의한 영향은 제거된다. That is, the position calculator 140 calculates the position X(x,y) by the least-squares algorithm method as described above, but using the position (x int , y int ) positioned using the GPS module and the least-squares algorithm. Optimization algorithm, genetic algorithm, etc. so that the calculated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becomes the minimum value, that is, the minimum value Min|(x int -x) 2 +(y int -y) 2 | By applying , the location X(x,y) may be calculated, excluding data related to the loc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one or more beacon termina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position X(x,y)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beacon signals of beacon terminals that give unnecessary or inaccurate information to the calculation of the position X(x,y).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7c, when a pedestrian approaches around the beacon terminals B5 and B6, the beacon terminals B3, B5, B6, and B8 of the beacon terminals B3, B5, B6, B8 are obscured by the respective props due to the RSSI influence is removed.

이외에도, S140 단계에서, 위치계산부(140)는 소정의 위치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횡단보도 주위의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추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tep S140, the location calculator 140 refer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and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RSSI)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around the crosswalk. The position X(x,y) of the terminal 200 may be estimated.

도 8a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계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lculation o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결정하기 위하여 위치계산부(140)에 의해 참조되는 위치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300)에서, 미리 다수의 위치(예, 수십 cm ~ 수 m 간격)에서 복수의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RSSIn)에 대응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로 입력되는 복수의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RSSIn)에 대한 해당 위치 X(x,y)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들)(W1, W2,..Wn)을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8A ,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referenced by the location calculator 140 to determine the loca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 )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within the service coverage 300, in advance of a plurality of positions (eg, several tens cm to several m intervals) of the strength of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RSSI1, RSSI2, ..., RSSIn) )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for 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X( Store the learning model with parameter(s) (W1, W2, ..Wn) for calculating x,y).

학습 모델은 임의로 입력되는 복수의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RSSIn)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W1', W2',..Wn')와 관련된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RSSIn) 및 해당 위치 X(x,y)를 만족시키기 위한 로지스틱 함수를 획득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 학습 과정의 회귀 계수 등을 위와 같은 파라미터로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심층 신경망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계산부(140)는, 이와 같은 위치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비콘 신호의 강도(RSSI1, RSSI2, ..., RSSIn)에 대하여 위치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earning model is one or more parameters (W1', W2)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X (x, y)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respect to the strengths (RSSI1, RSSI2, ..., RSSIn) of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that are arbitrarily input ',..Wn') and related functions, for example, a logistic function for satisfying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RSSI1, RSSI2,..., RSSIn)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X(x,y). A regression coefficient of a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process for obtaining . If necessary,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device for performing such a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process. The location calculation unit 140 refers to the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as such,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stored in the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with respect to the intensity (RSSI1, RSSI2, ..., RSSIn) of the beacon signal input in real time. The posi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model.

이와 같은 위치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를 이용하는 경우, 도 1의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에서, 거리계산부(130)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90)의 블록도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90)은, 비콘신호수신부(110), 노이즈 필터링부(120), 위치계산부(140), 경로이탈 판단부(150), 알람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such a loca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 the distance calculator 130 may be omitted. A block diagram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9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rresponds to this case, is shown in FIG. 8B . Referring to FIG. 8B ,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9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con signal receiving unit 110 , a noise filtering unit 120 , a location calculating unit 140 , and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It may include a unit 150 and an alarm unit 16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90)에서의 위치계산부(140)는, 기계 학습 장치를 이용해 심층 신경망 학습에 기초한 위치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즉시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calculator 140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9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posi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using a machine learning device, and the user The position X(x,y) of the terminal 200 can be calculated immediatel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에서의, 위치계산부(140)는 위와 같은 거리계산부(130)에서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의 계산에 기초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계산하는 것과, 위치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700)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즉시 산출할 수도 있다.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alculator 140 corresponds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 terminal in the distance calculator 130 as above. Calculating the position X (x, y) of the user terminal 200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based on the calculation of each distance, and referring to the position learning model database 700 , the user terminal 200 It is also possible to immediately compute the position X(x,y) of

도 8b에서 위치계산부(140) 이외에 비콘신호수신부(110), 노이즈 필터링부(120), 경로이탈 판단부(150), 알람부(16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에서의 해당 유닛의 기능 및 동작과 동일하다.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beacon signal receiving unit 110, the noise filtering unit 120, the path deviation determining unit 150, and the alarm unit 160 in addition to the position calculating unit 140 in FIG.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unit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the same.

이와 같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가 실시간으로 획득됨에 따라, 이를 토대로 경로이탈 판단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3)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1)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향으로의 도로를 횡단하기 위한 각 횡단보도마다, 출발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3)와 목적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1) 사이의 경로이탈 판단을 위한 횡단보도 구역이 미리 정의되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3)와 목적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1)를 잇는 중심선인 목표보행경로(xref, yref) 수직 방향의 좌우로 소정의 폭(예, 3m)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As the location X (x, y)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route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150 tracks the route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oves based on th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B1 in the example of FIG. 4)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origin beacon terminal (B3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crosswalk area whe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pre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depart (S150). For each crosswalk for crossing the road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a crosswalk for determining departure from the route between the source beacon terminal (B3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destination beacon terminal (B1 in the example of FIG. 4) The zone may be predefined and defined. For example, the target walking path (x ref , y ref ), which is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source beacon terminal (B3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destination beacon terminal (B1 in the example of FIG. 4), has a predetermined width ( For example, 3m), etc. may be determined.

경로이탈 판단부(150)는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통한 이동 경로의 추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알 수 있으며, 해당 이동 방향에 놓인 출발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3)와 목적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1)를 판단할 수 있다. 출발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3)와 목적지 비콘 단말기(도 4의 예에서 B1)가 결정되면, 경로이탈 판단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X(x,y)를 추적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정의된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route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150 can know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user by tracking the movement route through the location X (x, y) of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igin beacon terminal placed in the movement direction. (B3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destination beacon terminal (B1 in the example of FIG. 4) may be determined. When the source beacon terminal (B3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destination beacon terminal (B1 in the example of FIG. 4) are determined, the rout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150 tracks the location X(x,y) of the user terminal 200 . While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real time whether or not to depart from the crosswalk zone defin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도 9는 보행자의 횡단 보도 통행 시의 본 발명의 경로이탈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deviation of the ro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destrian passes a crosswalk.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모든 비콘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비콘 신호 지역인,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수학식3]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실시간 위치 X(x,y)와 목표보행경로(xref, yref) 간의 차이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dthres)(예, 좌우로 3m 등)를 초과할 경우 횡단보도 구역의 이탈로 판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in the service coverage, which is a beacon signal area in which beacon signals of all beacon terminals are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s shown in [Equation 3] If the difference between X(x,y) and the target pedestrian path (x ref , y ref )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d thres ) (eg, 3 m left and right), it may be judged as a departure from the crosswalk area. there is.

[수학식3][Equation 3]

(xref-x)2+(yref-y)2 > dthres (x ref -x) 2 +(y ref -y) 2 > d thres

알람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위와 같은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S160). 도 9에서, A, B, C 의 위치에서 알람 신호가 발생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알람부(160)는 알람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경고음(예, '삐삐' 등의 소리), 경고 멘트(예, '경로 이탈입니다' 등의 멘트)이나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60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as above (S160). In FIG. 9, the positions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at positions A, B, and C are shown. As the alarm unit 160 generates an alarm signal, the user terminal 200 recognizes the user with a warning sound (eg, a sound such as 'beep'), a warning message (eg, a message such as 'out of the route') or vibration can make it happe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를 처리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100)(또는 사용자 단말기)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시스템(100)은 위와 같은 기능/단계/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도 10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1000)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ait guidance system 100 (or user terminal) for processing gait guid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ing system 1000 as shown in FIG. 10 having at least one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steps/processes or a server on the Internet. .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 a memory 1300 ,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 a storage 1600 connected through a bus 1200 , and a network An interface 1700 may be included.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0 and/or the storage 1600 . The memory 1300 and the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1310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1320 .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 등 무선 단말에서의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모뎀 등의 통신 모듈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뎀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이 컴퓨터 등 장치로 판독 가능한 저장/기록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코드)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코드)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1700 i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modem that supports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WiFi, WiBro, etc.,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WCDMA and LTE in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s described above, or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 Bluetooth, Zigbee, Wi-Fi, etc.)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modem supporting communication. Accordingly,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directly implemented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 software module may be a storage/recording medium (i.e., memory 1300 and/or memory 1300) readable by a device, such as a computer,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or CD-ROM. Alternatively, it may reside in storage 1600 .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 the processor 1100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code) from, and writing information (code)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with the processor 1100 .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user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100)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이동시 정확한 이동 위치 계산을 통하여 보행 경로를 파악해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도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고 빠르게 보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앱)에서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횡단보도에 설치된 다수의 보행 신호기 내부의 비컨에서 송출되는 고유 식별코드와 수신 신호의 RSSI 강도를 토대로 대각선 횡단보도 등에서 보행하는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계산하되, 룩업-테이블 방식이나 인공신경망을 통한 모델을 이용하여 더욱 더 정확히 위치를 산출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보행 경로를 정확히 검출해 대각선 방향 이동 시에도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할 경우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을 통해 알람을 발생하여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lking guidance system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moves at a crosswalk, the walking path is determined through accurate movement position calculation, so that even at a diagonal crosswalk,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designated crosswalk area It can guide you to walk safely and quick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alking in a diagonal crosswalk, etc.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beacons inside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installed in the crosswalk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pp) and the RSSI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However, by calculating the location more accurately using a lookup-table method or a model throug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accurately detects the walking pa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makes a warning sound and warning when moving in a diagonal direction and departs from the designated crosswalk area. An alarm can be generated through a comment or vibration to enable safe walk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비콘신호수신부(110)
노이즈 필터링부(120)
거리계산부(130)
위치계산부(140)
경로이탈 판단부(150)
알람부(160)
Beacon signal receiver 110
Noise filtering unit 120
Distance calculator 130
Position calculator 140
Deviation of path determination unit 150
Alarm unit 160

Claims (20)

보행 안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보행 안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방법.
In the gait guidance method in a user terminal for gait guidance,
calculating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calculating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for each location of the beacon terminal and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to do;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A walking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강도에 칼만 필터를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상기 강도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보행 안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beacon terminal is calculated, and a Kalman filter is applied to the calculated intensity to remove noise from each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A walking guidance method to calculate the distanc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하는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walking guidance meth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warning sound, warning message, or vib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수학식
Figure pat00008
을 이용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d)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n은 전파손실도를 반영하는 계수, A는 소정의 오프셋값인 보행 안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is,
real-time math
Figure pat00008
calculating each distance d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using
Here, n is a coefficient reflecting the degree of propagation loss, and A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측정해 룩업-테이블에 저장해 놓고,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매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is,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is measured and looked-up- Determining the respective distances mapped to the strengths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by storing them in a table and referring to the lookup-table
A walking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가장 유사한 복수의 엔트리들 중,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측정 위치에 대한 엔트리를 선택해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하는 보행 안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lookup-table, from among a plurality of entries most similar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an entry for a measurement location closest to a location received from a GPS module is selected to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거리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한 해당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유지하고, 상기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하여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each distance is,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corresponding distances for the strength of any beacon signals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Maintaining in advance a learning model database storing a learning model having a parameter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referring to the learning model database, and applying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input in real time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l Steps to calculate the distance
A walking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 중,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와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해당 위치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거한 후,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보행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ositions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determined using the GPS module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is minimized. , a walking guidance method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after remo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rresponding locations and distan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는,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로부터의 비콘 신호들에 의해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 가능한 시점에서의 초기 GPS 위치인 보행 안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determined using the GPS module is an initial GPS position at a point in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by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보행 안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보행 안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방법.
In the gait guidance method in a user terminal for gait guidance,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the strength of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location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step;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to do;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A walking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보행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이탈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a distance calculator for calculating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a loca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ocations, using a least-squares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walking guidance system;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a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A wal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강도에 칼만 필터를 적용해 노이즈를 제거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를 상기 거리계산부로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noise filtering unit that calculates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beacon terminal and outputs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from which noise is removed by applying a Kalman filter to the calculated intensity to the distance calculator
A walking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에서의 상기 알람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경고음, 경고 멘트,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walking guidance system for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as a warning sound, warning message, or vib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ignal in the alarm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계산부는,
실시간으로 수학식
Figure pat00009
을 이용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RSSI)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d)를 산출하고,
여기서, n은 전파손실도를 반영하는 계수, A는 소정의 오프셋값인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tance calculator,
real-time math
Figure pat00009
Calculate each distance d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RSSI) of each beacon signal using
Here, n is a coefficient reflecting the degree of propagation loss, and A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of the walking guidance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로부터의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응되는 각각의 거리를 미리 측정해 저장한 룩업-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매핑되는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eac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of each beacon signal from each beacon terminal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s measured and stored in advance. further comprising a lookup-table;
The distance calculato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s mapped with the strengths of the respective beacon signals by referring to the lookup-tab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와 가장 유사한 복수의 엔트리들 중,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측정 위치에 대한 엔트리를 선택해 상기 각각의 거리를 결정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lking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 GPS module,
The location calculator, from among a plurality of entries most similar to the intensity of each beacon signal in the lookup-table, selects an entry for a measurement location closest to the location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to determine the respective distance guidance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상기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거리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임의의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한 해당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갖는 학습 모델을 저장한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학습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실시간으로 입력된 상기 각 비콘 신호의 강도에 대하여 해당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거리를 산출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walking signals,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corresponding distances for the strength of any beacon signals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Further comprising a learning model database storing a learning model with parameters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refers to the learning model database, and applies the strength of each of the beacon signals input in real time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model to calculate the respective distan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은,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상기 비콘 단말기 각각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위치에 대응된 상기 각각의 거리 중,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와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나 이상의 해당 위치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거한 후,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lking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 GPS module,
The location calculator, between the location of each of the beacon terminals and the respective distan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ocations, between the location measured using the GPS modul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A walking guidance system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after remo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corresponding locations and distance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is minimiz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는, 복수의 비콘 단말기들로부터의 비콘 신호들에 의해 상기 최소자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 가능한 시점에서의 초기 GPS 위치인 보행 안내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osition determined using the GPS module is an initial GPS position at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east-squares algorithm by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보행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보행 신호기에 설치된 각각의 비콘 단말기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의 비콘 신호들의 강도 및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들에 대하여 신경망 학습을 통해, 상기 보행 안내 시스템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비콘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비콘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이탈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횡단보도 구역을 이탈하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시스템.
In the walking guidance system,
Within the service coverage defined by each beacon terminal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alking signal devices, a user equipped with the walking guidance system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about the strength of beacon signals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location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a loca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s destination beac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source beacon terminal by tracking the path along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crosswalk area a path devi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crosswalk area
A wal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KR1020200110313A 2020-08-31 2020-08-31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KR102494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3A KR102494708B1 (en) 2020-08-31 2020-08-31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3A KR102494708B1 (en) 2020-08-31 2020-08-31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98A true KR20220028798A (en) 2022-03-08
KR102494708B1 KR102494708B1 (en) 2023-02-02

Family

ID=8081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13A KR102494708B1 (en) 2020-08-31 2020-08-31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70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14A1 (en) * 2012-06-25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network and device therefor
KR101480299B1 (en) * 2013-04-17 2015-01-08 주식회사 이도링크 A system for preventing vehicular negligent accidents by incorporating smart watches and the method thereof
KR20170126085A (en) * 2016-05-04 2017-11-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KR20190070639A (en) * 2017-12-13 2019-06-21 김윤순 Smart traffic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75646B1 (en) * 2019-07-08 2020-02-10 (주)휴먼케어 method for guiding pedestrian crossing route for the blind
KR20200043146A (en) * 2018-10-17 2020-04-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daptive distace measurement base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414A1 (en) * 2012-06-25 201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network and device therefor
KR101480299B1 (en) * 2013-04-17 2015-01-08 주식회사 이도링크 A system for preventing vehicular negligent accidents by incorporating smart watches and the method thereof
KR20170126085A (en) * 2016-05-04 2017-11-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KR20190070639A (en) * 2017-12-13 2019-06-21 김윤순 Smart traffic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43146A (en) * 2018-10-17 2020-04-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daptive distace measurement base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KR102075646B1 (en) * 2019-07-08 2020-02-10 (주)휴먼케어 method for guiding pedestrian crossing route for the bl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708B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KR101730266B1 (en) IoT-based Road Guid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and Method thereof
US20180306910A1 (en) Position estimation method, position estimation device, and position estimation system
US2017026504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door positioning
US20200182624A1 (en) Providing constraint to a position
KR20170125337A (en) Management of activitie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ro-queued mobile devices
US2019009433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frastructure sensor self-calibration
US11553452B2 (en) Position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60142216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of vehicle using user mobile terminal
JP7288589B2 (en) Cooperative positioning
CN103636260A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ssisted aiming for wireless links
KR20110032304A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KR10213441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location using signal strength of access point and method thereof
KR102163339B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recognization of local information
EP35437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er based mobile device monitoring in crowd- sourced pedestrian localization
US118712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ation-based data connectivity transitioning
KR102494708B1 (en) Pedestria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diagonal crosswalk
KR1024489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using weight learing based on particle filter
KR2016011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lking navigation
KR102297436B1 (en) Server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using beacon
KR101917362B1 (en)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impaired person
US20220196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navigable area of an indoor space using location trace snippets
CA3065025C (e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device sequencing for localization
KR102178152B1 (en) Smart braille block system
KR101223049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zone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