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080A -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 Google Patents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080A
KR20220028080A KR1020227003454A KR20227003454A KR20220028080A KR 20220028080 A KR20220028080 A KR 20220028080A KR 1020227003454 A KR1020227003454 A KR 1020227003454A KR 20227003454 A KR20227003454 A KR 20227003454A KR 20220028080 A KR20220028080 A KR 2022002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time location
transmission
tim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송신 방법은,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4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601043.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동일한 단말에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송수신기, 무선 인터넷(WIFI) 무선 송수신기,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송수신기,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무선 송수신기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지원하는 여러 송수신기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단말에 여러 송수신기가 장착되면 간섭이 쉽게 발생한다. 예컨대, 인접 주파수 또는 고조파 주파수 부분에서 UE의 수신기는 UE의 송신기로부터의 간섭을 받을 수 있어, 단말의 통신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간섭으로 인해 단말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는,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간섭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에 적용되는 송신 방법의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간섭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장비는 수신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여 간섭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단말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도면에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의 개략도 1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주기의 개략도 1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의 개략도 2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주기의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의 개략도 3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의 개략도 4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 1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성도 1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 2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성도 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 중의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분하기 위함으로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용어 ‘포함되다’ 및 ‘갖는다’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성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비는 명확히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하지 않고, 명확히 열거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비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 대상 중의 최소 하나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 및/또는 C는 A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상황, B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상황, C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상황, A 및 B를 동시에 포함하는 상황, B 및 C를 동시에 포함하는 상황, A 및 C를 동시에 포함하는 상황, 그리고 A, B 및 C를 동시에 포함하는 상황 이 7가지 상황을 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 측 장비(12)가 포함되며, 여기서 단말(11)과 네트워크 측 장비(12) 간에는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 단말(11)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상기 단말)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실제 적용에서,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장비(12)는 기지국, 릴레이 또는 접속점 등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일부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1. 단말내 공존(In-Device Coexistence, IDC).
하나의 UE에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송수신기, 5세대(5th Generation, 5G) 무선 송수신기, 무선 인터넷(WIFI) 무선 송수신기,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송수신기,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무선 송수신기 등과 같이 다양한 서로 다른 무선 송수신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인접 주파수 또는 고조파 주파수 부분에서, UE의 수신기는 UE의 송신기로부터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서 발생할 수 있다.
UE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작동하고, IDC 문제가 발생한 경우, UE는 네트워크 측에 자신이 요구(Desire)하는 하향링크 수신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3GPP 주파수에 대한 다른 RAT(예: WIFI)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파수 포인트와 주파수는 상호 대체 가능하고, 요구와 희망은 상호 대체 가능하다.
2.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5G 통신 시스템에서, UE는 비교적 작은 작동 대역폭(예: 5메가헤르츠(MHz))만 지원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의 1개 셀은 비교적 큰 대역폭(예: 100MHz)을 지원할 수 있다. 해당 큰 대역폭에서 UE가 작동하는 작은 대역폭 부분은 BWP로 간주된다.
UE 구성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UE 기능에 대해, BWP는 1개 셀의 BWP로 간주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BWP는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엔티티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측은 UE에 대해 하나 또는 다수의 BWP를 구성할 수 있고, BWP 스위칭(Switching) 명령(예: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지시 정보)을 통해 UE의 현재 활성화된 BWP를 변환할 수 있다. 즉, 새로운 BWP를 활성화하고 현재 활성화된 BWP를 비활성화한다. 현재 UE는 하나의 셀에 대해 하나의 BWP만 활성화할 수 있다. 상이한 BWP에는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와 같이 상이한 반송파 유형(Carrier Numerology)이 적용될 수 있다.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으로 인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부호 및/또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시간슬롯(Slot)의 시간대 길이와 시간 영역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3.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구성.
네트워크 측은 UE의 다수의 상이한 BWP에 대해 상이한 상하향링크 slot 및 부호 위치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하향링크 slot 위치 정보는,
상하향링크 위치 할당 주기(예: 5밀리초(ms) 주기로 반복);
하나의 주기에서 시작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하향링크 slot 및 부호의 수(예: 5ms에는 5개 slot이 있고, 처음 2개가 하향링크 slot임);
하나의 주기에서 종료위치로부터 거꾸로 연속된 상향링크 slot 및 부호의 수(예: 5ms에는 5개 slot이 있고, 마지막 2개가 상향링크 slot임); 를포함한다.
‘하향링크 slot 및 부호’와 ‘상향링크 slot 및 부호’ 사이에 있는 slot 및 부호는 ‘유연 slot 및 부호’이다. ‘유연 slot 및 부호’는 네트워크 측의 제어/지시 정보를 통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slot 및 부호로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 5ms에는 5개 slot이 있고, 처음 2개가 하향링크 slot이고, 마지막 2개가 상향링크 slot인 경우, 세 번째 slot은 유연 slot이다.
4.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UE가 DC 모드에서 작동할 때, UE에 대해 2개의 셀 그룹, 즉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및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이 제공된다. 여기서, MCG는 적어도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을 포함하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할 수 있다. SCG는 적어도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을 포함하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희망 정보와 제2 희망 정보는 모두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제1 희망 정보와 제2 희망 정보에 대한 결정 방식이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1 희망 정보는 단말이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예컨대, 단말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자체의 요구사항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희망 정보는 단말이 선택을 통해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템플릿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각 템플릿에서 고정되며, 단말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희망 정보에 비해,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제1 지시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정 구현 시,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일 수 있다.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동일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모두 송신 시간 위치이다. 물론,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상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송 주기는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주기가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수요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실제 적용에서,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1 구현 방식: 상기 제1 희망 정보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전송 시간 위치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주기 정보;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시간 위치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송 주기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전송 시간 위치의 수가 5임을 지시하고, 전송 시간 위치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시작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2개의 전송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이고, 전송 주기에서 종료시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거꾸로 연속된 2개의 전송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이고, 전송 주기에서 시작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세 번째 위치는 유연 시간 위치음을 지시한다.
제2 구현 방식: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희망 정보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트맵은 KxN개 비트를 통해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N의 값은 전송 주기에서 전송 시간 위치의 수와 동일하고, K는 전송 주기에 포함된 전송 시간 위치와 관련된다. 예컨대, 전송 주기가 한가지 또는 두가지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K의 값은 1이고, 전송 주기가 세가지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K의 값은 2이다.
구체적으로, KxN개 비트를 N개 비트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각 비트그룹에 포함된 K개 비트는 비트맵에서 연속된다. N개 그룹은 N개 전송 시간 위치를 식별하고, 각 비트그룹과 전송 시간 위치는 일대일 대응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전송 주기가 세가지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K의 값이 2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특정 비트그룹의 2개 비트의 값이 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이고,
특정 비트그룹의 2개 비트의 값이 01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수신 시간 위치이고,
특정 비트그룹의 2개 비트의 값이 1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유연 시간 위치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은 5개 비트그룹을 포함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비트그룹의 값은 00이고, 제2 비트그룹의 값은 00이고, 제3 비트그룹의 값은 10이고, 제4 비트그룹의 값은 01이고, 제5 비트그룹의 값은 01이다.
위의 내용에서, 도 3에 도시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전송 주기가 5개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전술한 제1 비트그룹은 전송 주기에서의 첫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2 비트그룹은 두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3 비트그룹은 세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4 비트그룹은 네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5 비트그룹은 다섯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전송 주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송신 시간 위치이고, 세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유연 시간 위치이고,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수신 시간 위치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UL은 송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DL은 수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F는 유연 시간 위치를 나타낸다.
제2 구현 방식에서, 비트그룹과 전송 시간 위치의 대응 관계는 프로토콜에서 합의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2 구현 방식의 제1 지시 정보는 비트맵만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현 방식에 비해 제1 지시 정보의 정보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을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실제 적용에서, 특정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이면, 단말이 이 전송 시간 위치에서 전송하는 것을 희망함을 나타내고, 특정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이면, 단말이 이 전송 시간 위치에서 전송하는 것을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유연 시간 위치는 송신 시간 위치 또는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될 수 있음을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 또는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 전에, 유연 시간 위치는 송신 또는 수신에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연 시간 위치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희망 정보가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 및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제1 구현 방식에 대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구현 방식에 대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K+j)xN개 비트를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j는 전송 주기가 유연 시간 위치를 포함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컨대, 전송 주기가 유연 시간 위치를 포함하지 않으면, j의 값은 1일 수 있고, 전송 주기가 유연 시간 위치를 포함하면, j의 값은 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K+j)xN개 비트를 N개 비트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각 비트그룹에 포함된 K+1개 비트는 비트맵에서 연속된다. N개 그룹은 N개 전송 시간 위치를 식별하고, 각 비트그룹과 전송 시간 위치는 일대일 대응된다. 여기서, 각 비트그룹 내의 K개 연속된 비트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공동으로 지시하고, j개 연속된 비트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공동으로 지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전송 주기가 세가지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K의 값이 2이고, 전송 주기가 유연 위치를 포함하고, j의 값이 3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각 비트그룹 내의 처음 2개 연속된 비트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공동으로 지시하고, 마지막 3개 연속된 비트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공동으로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마지막 3개 비트 중의 첫 번째 비트는 희망함 또는 희망하지 않음을 지시하고, 마지막 3개 비트 중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비트는 유연 시간 위치의 설정 유형을 공동으로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000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송신 시간 위치이고, 해당 송신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001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송신 시간 위치이고, 해당 송신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010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수신 시간 위치이고, 해당 수신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011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수신 시간 위치이고, 해당 수신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0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유연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001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01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10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유연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101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내고,
특정 비트그룹의 비트 값이 10110이면, 해당 비트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이 유연 시간 위치이고, 해당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은 5개 비트그룹을 포함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비트그룹의 값은 00000이고, 제2 비트그룹의 값은 00100이고, 제3 비트그룹의 값은 10001이고, 제4 비트그룹의 값은 01000이고, 제5 비트그룹의 값은 01100이다.
위의 내용에서, 도 4에 도시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전송 주기가 5개 전송 시간 위치를 포함하고, 전술한 제1 비트그룹은 전송 주기에서의 첫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2 비트그룹은 두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3 비트그룹은 세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4 비트그룹은 네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하고, 제5 비트그룹은 다섯 번째 전송 시간 위치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전송 주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송신 시간 위치이고, 이는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이며, 두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송신 시간 위치이고, 이는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이며, 세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유연 시간 위치이고, 이는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이며, 네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수신 시간 위치이고, 이는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이며, 다섯 번째 전송 시간 위치는 수신 시간 위치이고, 이는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UL은 송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DL은 수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F는 유연 시간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 나아가,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여기서, 처리 능력은 단말의 전송 처리 능력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UE의 상향링크 송신 Slot이 Slot n이면, UE가 송신 후 피드백을 수신하는 시간 위치가 Slot n+k이고, UE의 하향링크 수신 Slot이 Slot n이면, UE가 수신 후 피드백을 송신하는 시간 위치가 Slot n+k이다.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이 대응된다는 것은, 전송 주기에서의 (희망)송신 시간 위치와 (희망)수신 시간 위치의 대응 관계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과 대응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주기에서 (희망)송신 시간 위치와 (희망)송신 시간 위치에 대응하는 (희망)수신 시간 위치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과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UE의 상향링크 송신 Slot이 Slot n이고, UE가 송신 후 피드백을 수신하는 시간 위치가 Slot n+k이면, 전송 주기에서 (희망)송신 시간 위치와 (희망)수신 시간 위치의 최소 간격은 k로 설정될 수 있다.
전송 주기에서 (희망)수신 시간 위치와 (희망)수신 시간 위치에 대응하는 (희망)송신 시간 위치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과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UE의 하향링크 수신 Slot이 Slot n이고, UE가 수신 후 피드백을 송신하는 시간 위치가 Slot n+k이면, 전송 주기에서 (희망)수신 시간 위치와 (희망)송신 시간 위치의 최소 간격은 k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이 대응되므로, 단말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반송파 유형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송파 유형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시간 입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시간 위치는 Slot, 부호 또는 서브 프레임 등이다.
특정 구현 시,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반송파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적용에서, 제1 정보에 포함된 특정 내용은 다음 몇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 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가 구성되어 있거나, 프로토콜에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가 합의된 경우, UE는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를 보고하지 않아도 된다.
구현 시,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합의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특정 SCS(예: SCS=15킬로헤르츠(KHz));
간섭이 발생한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SCS(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주파수 포인트 f1에 해당하는 SCS가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의 특정 BWP에 해당하는 SCS(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의 초기 BWP에 해당하는 SCS가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이 위치한 셀 그룹의 특정 셀에 해당하는 SCS(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이 MCG에 속하고, 이 MCG의 PCell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이 위치한 셀 그룹의 특정 셀의 특정 BWP에 해당하는 SCS(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이 MCG에 속하고, 이 MCG의 PCell의 초기 BWP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특정 BWP는 초기(Initial) BWP, 기본 BWP, 현재 활성화된 BWP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정 셀은 PCell, PSCel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 번째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단말에 의해 결정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합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구현 방식에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자율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방식에서, 단말은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의 지시에 기초하여,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구현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이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선택적인 단계에서, 구성 정보는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구현 시, 구성 정보에는 1비트가 실릴 수 있고, 이 비트의 값이 ‘0’이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됨을 나타내고, 이 비트의 값이 ‘1’이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구성 정보의 구체적인 구성 내용은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된다. 이로써, 간섭이 발생한 경우, 단말이 자율적으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비해 단말이 제1 정보를 보고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신 방법에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장비는 수신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여 간섭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단말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처리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1: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502: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한다.
조정된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는 매칭되므로,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심지어 간섭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 및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간섭이 발생한 경우,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 및 전송 시간 위치의 시간 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간섭 처리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수신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여 간섭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단말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현 방으로서,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선택적인 구현 방식은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계 1: 네트워크 측 구성은 UE가 간섭을 받을 때 요구하는 송수신 시간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예: 1bit의 값이 ‘0’이면 허용함을 나타내고, 값이 ‘1’이면 허용하지 않음을 나타냄).
단계 2: 간섭이 발생한 경우, UE는 네트워크 측 장비에 요구하는 송수신 시간 위치 정보를 보고하되, 송수신 시간 위치 정보는,
상향링크 송신의 시간 위치 정보 및/또는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 위치 정보;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예: SCS=15KHz);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셀 식별자(예: PCell 또는 SCell1);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자(예: MCG 또는 SCG);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BWP 식별자(예: BWP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간 위치 정보’는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방법 1: 상하향링크 Slot 및 부호 위치 구성 정보, 요구하는 상향링크 송신 위치 및/또는 하향링크 수신 위치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가 10ms인 ‘TDD-UL-DL-Pattern’ bit맵인 경우, 처음 4개 Slot은 하향링크 slot이고, 마지막 4개 slot은 상향링크 slot이고, 중간의 2개 slot은 유연 slot이며, 총 10bit로 각 slot의 번호 위치가 식별된다(예: 첫 번째 bit가 첫 번째 slot을 식별하고, 이와 같이 유추함).
UE는 bit의 값이 ‘0’일 때 요구하지 않는 수신 또는 송신 위치로 식별되고, bit의 값이 ‘1’일 때 요구하는 수신 또는 송신 위치로 식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연 slot에 대해, UE가 ‘0’으로 요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UE가 이 유연 slot에서 수신도 요구하지 않고 송신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유연 slot에 대해, UE가 ‘1’로 요구함을 지시하는 경우, UE가 이 유연 slot에서 수신도 요구하고 송신도 요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서, UL은 송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DL은 수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F는 유연 시간 위치를 나타낸다.
방법 2: bit맵을 통해 시간 위치를 식별하며, 특정 시간 위치에 대해 요구하는 것이 상향링크 송신인지 아니면 하향링크 수신인지 아니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인지를 식별하거나, 특정 시간 위치에 대해 요구하지 않는 것이 상향링크 송신인지 아니면 하향링크 수신인지 아니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인지를 식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가 10ms인 bit맵인 경우, 총 10bit로 각 slot의 번호 위치가 식별된다(예: 첫 번째 bit가 첫 번째 slot을 식별하고, 이와 같이 유추함). 추가로, 각 시간 위치에 대해, UE는 이 시간 위치에 해당하는 것이 상향링크인지 아니면 하향링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UE는 특정 slot에 대해 하향링크도 요구하지 않고 상향링크도 요구하지 않도록 식별할 수 있다(또는, 하향링크도 요구하고 상향링크도 요구함).
도 7에서, UL은 송신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DL은 수신 시간 위치를 나타낸다.
추가로, 방법 1 또는 방법 2인 경우, 이하 규칙:
요구하는 하향링크 수신 위치가 ‘유연 slot 또는 부호’ 위치인 경우, UE가 이 위치가 하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고, 상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냄;
요구하지 않는 하향링크 수신 위치가 ‘유연 slot 또는 부호’ 위치인 경우, UE가 이 위치가 하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지 않고, 상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함을 나타냄;
요구하는 상향링크 송신 위치가 ‘유연 slot 또는 부호’ 위치인 경우, UE가 이 위치가 상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고, 하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냄;
요구하지 않는 상향링크 송신 위치가 ‘유연 slot 또는 부호’ 위치인 경우, UE가 이 위치가 상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하지 않고, 하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함을 나타냄;
‘유연 slot 또는 부호’가 요구하지 않는 위치로 지시되고, 상하향링크로 지시되지 않은 경우, 이 ‘유연 slot 또는 부호’에서 UE는 하향링크를 요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향링크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냄;
‘유연 slot 또는 부호’가 요구하는 위치로 지시되고, 상하향링크로 지시되지 않은 경우, 이 ‘유연 slot 또는 부호’에서 UE는 임의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로 설정되기를 요구함을 나타냄; 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합의될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셀 식별자’,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셀 그룹 식별자’ 또는 ‘시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BWP 식별자’에 대해 특정 값(예: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합의될 수 있으므로, UE가 추가로 해당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합의된 특정 값’은,
특정 부반송파 간격(예: SCS=15KHz);
간섭이 발생한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주파수 포인트 f1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의 특정 BWP(예: 초기 BWP, 기본 BWP, 현재 활성화된 BWP)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의 initial BWP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이 위치한 셀 그룹의 특정 셀(예: 프라이머리 셀(PCell) 또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이 MCG에 속하고, 이 MCG의 PCell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간섭이 발생한 셀이 위치한 셀 그룹의 특정 셀(예: 프라이머리 셀(PCell) 또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의 특정 BWP(예: 초기 BWP, 기본 BWP, 특정 셀의 현재 활성화된 BWP)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예: UE에 간섭이 발생한 셀 1이 MCG에 속하고, 이 MCG의 PCell의 initial BWP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임);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3: 네트워크 측은 UE에 의해 보고된 간섭 보조 정보에 근거하여, 상하향링크 송수신에 대해 해당 조정을 수행한다(예: UE의 요구에 따라 상하향 slot 및 부호의 위치 구성 정보를 변경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가 보고할 수 있는 시간 영역 송수신 요구 정보는 해당 반송파 유형 정보를 지정하고, 특정 시간 영역 송수신 요구 bit맵은 5G의 상하향링크 slot 및 부호의 위치 구성 정보와 대응된다. 이로써, UE에 의해 보고된 요구하는 상향링크 송신 및 하향링크 수신의 시간 위치는 네트웨크 측의 이해와 일치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송수신의 손실을 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 1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800)은,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8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802)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800)은,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송신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모듈(801)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이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800)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성도 1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장비(900)는,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901);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902);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900)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정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 및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900)는,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 및 전송 시간 위치의 시간 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9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도 2로서, 해당 단말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10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1001), 네트워크 모듈(1002), 오디오 출력 장치(1003), 입력 장치(1004), 센서(1005), 디스플레이 장치(1006), 사용자 입력 장치(1007), 인터페이스 장치(1008), 메모리(1009), 프로세서(1010) 및 전원(10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용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또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이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시간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010)로 전달하고, 또한, 송신 시간 위치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002)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접속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9)는 무선 주파수 장치(10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02)에서 수신하거나 메모리(10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009)는 단말(10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예: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9)는 스피커, 부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0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10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041)와 마이크로폰(10042)이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10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0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00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1000)이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10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6)는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0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007)는 터치 패널(10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0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10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0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0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0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0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10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10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10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10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0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10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0에서 터치 패널(10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0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1008)는 외부 장치와 단말(10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000)의 하나 이상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단말(10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0)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10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10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0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1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1000)은 또한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011)(예: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10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0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010), 메모리(1009) 및 메모리(10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0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0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성도 2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장비(1100)에는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사용자 인터페이스(1109), 송수신기(1104) 및 버스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1100)에는 메모리(11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송수신기(1104)을 통해,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를 구현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102)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04)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9)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102)에는 프로세서(26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다음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희망 정보와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은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송수신기(1104)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미리 설정된 규칙 및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때,
송수신기(1104)를 통해, 상기 단말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 및 전송 시간 위치의 시간 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110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송신 방법 실시예 또는 간섭 처리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특정 구현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특정 구현 방식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발명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0)

  1. 단말에 적용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이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면,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3.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간섭 처리 방법에 있어서,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은 송신 시간 위치, 수신 시간 위치 및 유연 시간 위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주기에서 동일한 유형의 전송 시간 위치는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희망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의 처리 능력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전송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전송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유연 시간 위치인 경우, 상기 희망 식별 정보는,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
    상기 전송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 중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비트맵을 통해 상기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부반송파 간격(SCS), 사이클릭 프리픽스(CP), 셀 식별 정보, 셀 그룹 식별 정보, 대역폭 부분(BWP) 식별 정보, 주파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희망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규칙 및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수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송신 시간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지 않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하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단말이 유연 시간 위치가 희망하는 위치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유연 시간 위치가 수신 시간 위치 또는 송신 시간 위치로 설정되기를 희망함을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는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 및 전송 시간 위치의 시간 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처리 방법.
  26. 단말에 있어서,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네트워크 측 장비에 있어서,
    간섭 발생 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위치의 관련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제1 희망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희망 정보는 전송 주기에서 각 전송 시간 위치의 유형을 포함함 - ;
    반송파 유형 정보 -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제1 희망 정보에 해당하거나, 상기 반송파 유형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된 제2 희망 정보에 해당함 -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28.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프로세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간섭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30.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송신 방법의 단계, 또는 제1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간섭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03454A 2019-07-04 2020-06-24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KR20220028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01043.8 2019-07-04
CN201910601043.8A CN111800878B (zh) 2019-07-04 2019-07-04 发送方法、干扰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CT/CN2020/097979 WO2021000775A1 (zh) 2019-07-04 2020-06-24 发送方法、干扰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080A true KR20220028080A (ko) 2022-03-08

Family

ID=7280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454A KR20220028080A (ko) 2019-07-04 2020-06-24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4742A1 (ko)
EP (1) EP3996450A4 (ko)
JP (1) JP7399195B2 (ko)
KR (1) KR20220028080A (ko)
CN (1) CN111800878B (ko)
WO (1) WO2021000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4098A (zh) * 2022-03-31 2023-1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消除时分干扰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5591B2 (ja) * 1998-03-13 2004-07-21 株式会社東芝 タイムスロット割り当て方法
JP3947770B2 (ja) * 2001-03-12 2007-07-25 直樹 末広 多種拡散系列を用いたcdma通信方式
CN104852778B (zh) * 2014-02-18 2020-03-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开销信息传输方法,基站、终端和系统
US20160295579A1 (en) * 2015-03-31 2016-10-06 Alcatel-Lucent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real-time quality of experience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s networks
CN109792701B (zh) * 2016-08-10 2022-12-3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降低等待时间的系统中的定时提前和处理能力
CN108093487B (zh) * 2016-11-22 2020-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度方法、终端及基站
EP3603270B1 (en) * 2017-03-23 2024-05-15 Nokia Technologies Oy Opportunistic and interference aware usage of tdd band
US11032844B2 (en) * 2017-06-22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shared channel transmission to acknowledgement delay optimization
WO2019001684A1 (en) * 2017-06-26 2019-01-03 Nokia Technologies Oy TECHNIQUES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UPLINK CHANNEL AND ADJACENT CHANNEL TDD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S
SG11201912988SA (en) * 2017-07-19 2020-01-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2019096273A1 (zh) * 2017-11-17 2019-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接收的方法及装置
CN108683487B (zh) * 2018-01-12 2019-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终端设备能力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US11343064B2 (en) * 2018-05-03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co-existence between fixed wireless access and short range devices in 802.11ay
CN109644334B (zh) * 2018-10-30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自干扰处理方法及装置
WO2020258193A1 (zh) * 2019-06-27 2020-12-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共存干扰上报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4742A1 (en) 2022-04-21
EP3996450A1 (en) 2022-05-11
JP7399195B2 (ja) 2023-12-15
CN111800878B (zh) 2023-04-18
JP2022539742A (ja) 2022-09-13
EP3996450A4 (en) 2022-08-03
WO2021000775A1 (zh) 2021-01-07
CN111800878A (zh)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8219B2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CN110022197B (zh) 参考信号的处理方法、网络设备和终端
CN109842917B (zh) 系统信息块的传输方法和用户终端
JP7259021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端末
JP7073583B2 (ja) Csi処理ユニット及び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並びにシステム
US11979893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JP2021530914A (ja) ページング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11447686B (zh) 一种harq-ack反馈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11452081B2 (en) Spatial relationship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210146398A (ko) 자원 구성 방법, 자원 구성 획득 방법, 정보 송신 방법 및 장비
EP3799498B1 (en) Command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7436685B2 (ja) 周波数領域リソース処理方法、周波数領域リソース構成方法及び関連機器
JP7278397B2 (ja) 伝送リソース指示方法、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
KR20220044977A (ko) 랜덤 액세스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KR20220028080A (ko) 송신 방법, 간섭 처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비
CN111132355B (zh) 半静态调度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2583544A (zh) 确定源参考信号信息的方法和通信设备
CN113498088B (zh) 资源确定方法及终端
CN113543215B (zh) 一种冲突资源判断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1836377B (zh) 一种调度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0381582B (zh) 一种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20220043176A (ko) 경로 변경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