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83A -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83A
KR20220027783A KR1020210112946A KR20210112946A KR20220027783A KR 20220027783 A KR20220027783 A KR 20220027783A KR 1020210112946 A KR1020210112946 A KR 1020210112946A KR 20210112946 A KR20210112946 A KR 20210112946A KR 20220027783 A KR20220027783 A KR 2022002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g
point
far
refractive index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226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ublication of KR2022002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9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노안 가입도 산출 방법은, 피검자가 단안으로 원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1 디옵터 값에 따라 원거리 반응점 Hf를 결정하는 단계와; 피검자가 단안으로 상기 근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2 디옵터 값에 따라 근거리 반응점 Hn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거리 반응점 Hf부터 근거리 반응점 Hn까지의 조절반응 범위 RA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안가입도 산출방법{Methods of Calculation for A Presbyopia Addition}
본 발명은 노안가입도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의 노화현상에 관련하여 근거리 작업 안경 제작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가입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노안 가입도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에 삽입되는 렌즈는 착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하며, 착용자의 시력은 각종 검사법에 의해 측정되고, 이를 바탕으로 안경 및 렌즈에 대한 각종 수치가 결정하는 것을 안경 처방검사라고 한다.
정적굴절상태에서의 굴절기능과 양안시 기능을 알아보는 원용안경 처방검사와 달리, 근용안경 처방검사는 눈의 굴절기능은 물론 눈의 동적 굴절상태에 관여하는 조절기능과 이에 관련된 양안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층 복잡하므로, 원거리 검사보다 더 심도 있는 검사를 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실제 안경원의 검안실에서 안경착용자인 피검자가 기성 돋보기를 골라 착용해보고 좋다고 판단되면 판매하는 경우가 많고, 또는 누진렌즈 등 멀티포컬렌즈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에는 원용 안경처방검사를 통해 시력을 교정한 후 신문 등 근거리 세자 시표를 이용하여 가장 잘 보이는 것으로 근용 안경의 구면 굴절력으로 택하여 피검사의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자각굴절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좀 더 전문적인 검안로서 근용안경 처방검사의 경우에는 십자시표의 가로선과 세로선의 선명도로 검사하는 크로스 실린더법이나, 적록시표 중 선명도 차로 검사하는 적록검사법 등 대부분 피검사자의 의견에 따른 자각굴절검사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근용안경 처방검사의 경우 체계적인 기준이 없고 대부분 판독정도를 피검사자인 안경 착용자의 의견만을 전달받아 조절하는 자각적 검사방법을 사용한다. 그러한 이유로 하여 정확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정되어 필요이상의 플러스 도수의 과도한 처방이 이루어져서 망막 내 열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높다.
성풍주(2018), 최신판 안경광학, 서울:현무사 William J. Benjamin(2007), 임상굴절검사, 서울:도서출판 한미의학
본 발명은 노안 가입도 검사에 있어서, 단안에서 조절력이 개입하지 않은 원방시에 대한 자극점과 조절력이 개입하는 작업 근방시의 자극점까지 범위를 이용하여 주시선의 망막을 기준으로 전과 후의 조절범위와 임계점을 정의함으로써 연령증가에 따른 근거리 작업을 위한 노안 가입도 산출을 피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하지 않는 타각적 검사방법을 통하여 객관적인 굴절처방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안 가입도 산출 방법은
피검자가 단안으로 원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1 디옵터 값에 따라 원거리 반응점 Hf를 결정하는 단계와;
피검자가 단안으로 상기 근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동일한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2 디옵터 값에 따라 근거리 반응점 Hn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거리 반응점 Hf부터 근거리 반응점 Hn까지의 조절반응 범위 RA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반응 범위 RA는 RA = 3-(Hf-Hn)의 식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반응 범위 RA가 결정되고, 원거리 교정이 필요한 경우,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0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 (RA-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 (RA-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 (RA-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3- RA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 (피검자 연령 × 0.012)
에 의해 조절랙 Lag을 결정하는 단계와;
허성상대조절력 nRA를 nRA = RA - |Lag| 식에 따라 구하는 단계와;
임계점 CP를 CP = 1 - Lag 식으로 구하는 단계와;
가입도 Add 는 Add= nRA - CP 식으로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 외 원거리부터 작업 근거리까지의 조절자극에 대한 안 내 반응점이 조절반응 범위를 이용한 검사방법으로 피검사자의 주관적인 자각굴절 검사방법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원거리 반응점 및 근거리 반응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피검자의 양안 중 단안을 각각 검사를 하는데, 검사하지 않은 단안을 가리고 편측 단안을 대상으로 조절력이 개입하지 않기 위해서 3 m이상의 원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여 동공 내로 선조광을 발산하게 하여 동공에 입사시킨다.
단안 동공 내로 입사된 선조광의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한다. 이때 망막반사가 동행에서 역행으로 변경되는 렌즈를 고를 수 있게 되는데, 이 렌즈의 굴절력을 제 1 디옵터 값이라 하며 제 1 디옵터 값을 원거리 반응점 Hf 로 한다.
다음으로, 피검자의 양안 중 단안을 각각 검사를 하는데, 검사하지 않은 단안을 가리고 편측 단안을 대상으로 조절력이 개입하지 않기 위해서 0.33 m의 근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여 동공 내로 선조광을 발산하게 하여 동공에 입사시킨다. 근거리 점은 피검사자의 작업 근거리로 설정되며, 0.33~0.50 m 의 범위 내에서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단안 동공 내로 입사된 선조광의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한다. 이때 망막반사가 동행에서 역행으로 변경되는 렌즈를 고를 수 있게 되는데, 이 렌즈의 굴절력을 제 2 디옵터 값이라 하며 제 2 디옵터 값을 근거리 반응점 Hn 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는 기존의 자동굴절검사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검영기 및 판부렌즈를 통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난시가 있는 경우, Hf 및 Hn은 약주경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원거리 반응점 Hf와 근거리 반응점 Hn을 나타내는 제 1,2 디옵터 및 원거리 점 Pf 및 근거리 점 Pn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안구 내 망막을 기준으로 우측은 +이고 좌측은 -로 된 절대 좌표는 근거리 반응점 Hn을 나타낸 것이고, 원거리 반응점 Hf는 절대좌표를 기준으로 3 Diopter 만큼 차이가 난다.
따라서, 단안의 원거리 반응점 Hf와 근거리 반응점 Hn은 사람마다 다르게 측정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원거리 자극에서부터 작업 근거리까지의 자극에 대응하여 조절반응인 원거리 반응점 Hf에서 부터 근거리 반응점 Hn의 범위를 조절반응 범위 RA로 정의하고, RA = 3-(Hf-Hn)의 식으로 정의된다.
도 1에서 정상의 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원거리 반응점 Hf이 +2.00D인 경우 3.00D의 차이로 근거리 반응점 Hn도 동일한 +2.00D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도 1의 좌표계에 조절반응 RA의 범위는 3.00D으로 계산된다.
본 발명은 단안 맹(盲)이거나, 백내장과 라식 및 라섹 등 각막 절삭술 환자와 통계오류가 심한 가성근시자(pseudomyopia)와 정상인이지만 잠복성 원시(latent hyperopia)로 인하여 가입도가 필요한 자 등 통계적 오류를 일으키는 자는 제외하고, 혈관 내과질환인 당뇨나 고혈압이 심하지 않고 중심와반사(foveal reflex)가 비교적 좋은 굴절이상자를 대상으로 총 181명을 선정하여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통계적 기법에 따라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근시(myopia)자는 남 68명 여 57명으로 총 125명이며, 남성은 68% 여성은 57%이며 10~60대로 다양한 연령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현성원시(manifest hyperopia)자는 남 30명 여 26명으로 총 56명이며, 남성 53.6% 여성은 46.4%로 이루어져 있다.
Frequency analysis of participant demographics(myopia=125, hyperopia=56)
Myopia
(31.0 year)
Age Frequency Percent(%) Cumulative Percent(%)
- 19 22 17.6 17.6
20 - 29 35 28.0 45.6
30 - 39 14 11.2 56.8
40 - 49 24 19.2 76.0
50 - 59 23 18.4 94.4
60 - 7 5.6 100.0
Sub Total 125 100.0
Manifest
Hyperopia
(55.7 year)
40 - 49 4 7.1 7.1
50 - 59 16 28.6 35.7
60 - 36 64.3 100.0
Sub Total 56 100.0
Total 18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시모델에서 정시안(emmetropia)과 비정시안 (ametropia) 모두 음(-)의 조절랙 Lag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50대 이후 잠복원시 등 안내의 기질적 원인으로 안와 내 조절반응 범위 RA에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조절력의 변화에 따른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안와 내 조절인 조절반응 범위 RA의 범위를 근시와 현성원시로 별도 분리하여 평가하였다.
각 모델별로 안와 내 조절반응 범위 RA가 다르므로 조절랙 Lag과 허성상대조절력 nRA 그리고 가입도 ADD의 범위의 변화는 간과할 수 없는 것으로 근시와 현성원시 모델의 주요 변수인 조절반응 범위 RA, 허성상대조절력 nRA, 조절랙 Lag 그리고 가입도 ADD를 모수 평가를 하여 임상굴절검사에 유효하게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변수간 경로 분석에 앞서 통계분석 패키지인 SPSS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변수들을 공분산하여 Analysis Moment Structure(ver. 18) 베이지안(bayesia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기법으로 평균값을 사후분석(show posterior)을 하여 모수 평가하였으며, 표 2는 AMOS를 이용하여 각 변수들의 공분산분석을 통하여 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Covariances and correlations(myopia & manifest hyperopia)
Model Covariances Correlations
Myopia Variable Estimate P Estimate
△RA ↔ △nRA .12 .02 7.38 *** .88
△nRA ↔ △Lag -.04 .01 -4.75 *** -.47
△nRA ↔ △ADD .04 .01 4.59 *** .45
△RA ↔ △Lag -.10 .01 -7.00 *** -.81
△RA ↔ △ADD .05 .02 3.72 *** .36
△Lag ↔△ADD .02 .01 2.48 .013* .23
Manifest
Hyperopia
△RA ↔ △nRA .15 .03 5.18 *** .98
△nRA ↔ △ADD .15 .03 5.18 *** .98
△RA ↔ △ADD .16 .03 5.17 *** .97
* Difference between groups is significant at p<0.05*, p<0.01**, p<0.001***.
상기와 같은 통계 분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가입도 ADD 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구하게 되었다.
검사자의 약 80%정도는 조절반응 범위 RA 가 2.75D ∼ 3.00D의 범위에 있었으며, 그보다 작은 범위인 2.5D이하, 그보다 큰 범위인 3.25D이상은 비정상으로 보고 구분하여 정리되었다.
또한 원거리 반응점 Hf가 1.75D보다 작은 경우는 근시이며, 3.25D보다 큰 경우는 현성원시이고, 2.00D ~ 3.00D 사이는 정상시력으로 간주하였다.
안경학에서는 렌즈의 굴절도를 0.25D 간격으로 하고 있으므로 시력 평가에서도 0.25 간격으로 그 수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단안의 노안 가입도 산출을 위한 단안의 안 내 원거리 반응점 Hf에서 근거리 반응점 Hn까지의 범위를 결정하는 조절반응 RA의 범위는 RA = 3-(Hf-Hn)의 식에 의해 결정된 후,
원거리 굴절 교정이 필요한 경우, 원거리 교정 굴절도는,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0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 -2) + (RA -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 -2) + (RA -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 -3) + (RA -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3- RA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 (피검자 연령 × 0.012)
에 의해 조절랙 Lag을 결정하는 단계와;
허성상대조절력 nRA를 nRA = RA - |Lag| 식에 따라 구하는 단계와;
임계점 CP를 CP = 1 - Lag 식으로 구하는 단계와;
가입도 Add 는 Add= nRA - CP 식으로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음(-)의 Lag은 항상 0보다 같거나 작아야 되는데, 양으로 계산되는 경우 Lag는 0으로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주시선을 따라 단안 외 원거리 자극점 Pf와 근거리 자극점 Pn에 대응하는 단안 내 원거리 반응점 Hf에서부터 근거리 반응점 Hn까지의 범위인 조절반응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근시 및 원시 그리고 정시로 구분하여 원용안경처방을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조절이 개입되지 않은 경우의 음(-)의 Lag와 조절력이 개입되는 경우 허성상대조절력 nRA의 조절범위 그리고 허성상대조절력 nRA 내 근거리 작업을 할 수 있게 식별이 가능한 지점인 임계점을 구하는 식을 구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가입도를 산출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검사법에 의해서 제작된 안경은 피검자들에게 과도한 굴절처방을 방지하면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상기 설명한 방법의 각 단계는 전부 또는 일부가 자동화된 기기에 의해 이루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방법이 구현되는 기기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피검자가 단안으로 원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1 디옵터 값에 따라 원거리 반응점 Hf를 결정하는 단계와;
    피검자가 단안으로 상기 근거리 점을 응시하게 하고 동일한 근거리 점에서 발광되며 발산된 선조광을 동공 내로 입사시키는 단계와;
    망막반사를 관찰하면서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하나씩 각막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동행에서 역행으로의 망막반사가 변경되는 렌즈의 굴절력인 제 2 디옵터 값에 따라 근거리 반응점 Hn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거리 반응점 Hf부터 근거리 반응점 Hn까지의 조절반응 범위 RA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 가입도 산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반응 범위 RA는 RA = 3-(Hf-Hn)의 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 가입도 산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반응 범위 RA가 결정되고, 원거리 교정이 필요한 경우,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0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 (RA-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2) + (RA-3)
    2) Hf ≥ 3.25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Hf-3) + (RA-3)
    3) 2.00D ≤ Hf ≤ 3.00D 이면
    원거리 교정 굴절도 = RA-3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 가입도 산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반응 범위 RA와 원거리 반응점 Hf에 따라 가입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A) 2.75D ≤ RA ≤ 3.0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B) RA ≤ 2.50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 -1+(3-RA)
    2) Hf ≥ 3.25D 이면
    Lag = 0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C) RA ≥ 3.25D 이고,
    1) Hf ≤ 1.75D 이면
    Lag =((-1+(3-RA)) + (피검자 연령 × 0.012)
    2) Hf ≥ 3.25D 이면
    Lag = 3-RA
    3) 2.00D ≤ Hf ≤ 3.00D 이면
    Lag = (Hf-3) + (3-RA) + (피검자 연령 × 0.012)
    에 의해 조절랙 Lag을 결정하는 단계와;
    허성상대조절력 nRA를 nRA = RA - |Lag| 식에 따라 구하는 단계와;
    임계점 CP를 CP = 1 - Lag 식으로 구하는 단계와;
    가입도 Add 는 Add= nRA - CP 식으로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 가입도 산출방법.
KR1020210112946A 2020-08-27 2021-08-26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KR102645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8459 2020-08-27
KR1020200108459 2020-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83A true KR20220027783A (ko) 2022-03-08
KR102645226B1 KR102645226B1 (ko) 2024-03-08

Family

ID=8081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946A KR102645226B1 (ko) 2020-08-27 2021-08-26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8951A (ko) * 2011-03-09 2014-03-31 아이오엘 이노베이션즈 에이피에스 Iol 의 수술후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KR20140120928A (ko) * 2012-02-03 2014-10-14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노안 대상체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관련 방법 및 용도
KR20190087404A (ko) * 2016-12-15 2019-07-24 주식회사 에덴룩스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8951A (ko) * 2011-03-09 2014-03-31 아이오엘 이노베이션즈 에이피에스 Iol 의 수술후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KR20140120928A (ko) * 2012-02-03 2014-10-14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노안 대상체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관련 방법 및 용도
KR20190087404A (ko) * 2016-12-15 2019-07-24 주식회사 에덴룩스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lliam J. Benjamin(2007), 임상굴절검사, 서울:도서출판 한미의학
성풍주(2018), 최신판 안경광학, 서울:현무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226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plegate et al. Corneal aberrations and visual performance after radial keratotomy
US9055890B2 (en) Eyeglass prescription method
Hashemi et al. Distribution of angle kappa measurements with Orbscan II in a population-based survey
US115211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ens prescription
EP1597623B1 (en) Methods for designing custom lenses for improved vision and corresponding lenses
Tabernero et al. Optical modeling of a corneal inlay in real eyes to increase depth of focus: optimum centration and residual defocus
Camellin et al. A new formula for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after refractive corneal surgery
US80071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on of visual aids
Courtin et al. Changes to corneal aberrations and vision after monovision in patients with hyperopia after using a customized aspheric ablation profile to increase corneal asphericity (Q-factor)
US20160135681A1 (en) Methods for Objectively Determining the Visual Axis of the Eye and Measuring Its Refraction
JP2003144387A (ja) 眼内レンズの選択用情報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Piñero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sual performance and aberrometric outcomes with a new hybrid and two silicone hydrogel multifocal contact lenses: a pilot study
Choi et al. Accuracy of total corneal power calculation for multifocal tor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swept-source OCT-based biometer vs scheimpflug tomographer
US105556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raocular lens power
HN Prevalence and types of corneal astigmatism in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Rosa et al. Clinical results of a corneal radius correcting factor in calculating intraocular lens power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R102645226B1 (ko) 노안가입도 산출방법
EP2605696B1 (en) Customized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system
Alpins et al. Assessing total keratometry astigmatism, simulated keratometry, and total corneal topographic astigmatism against manifest refractive cylinder
KR102645227B1 (ko) 단안의 조절반응 범위의 차를 이용한 프리즘 처방 방법
Labiris et al. Mix & Match versus bilateral trifocal and bilateral extended-depth-of-focus intraocular lenses implantation. The spline curves battle.
WO2013159076A2 (en) Vision enhancement systems and methods
Feizi et al. Agreement between total corneal astigmatism calculated by vector summation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measured by ray tracing using Galilei double Scheimpflug analyzer
Taalas Comparison of Assessment of Refractive Error by Autorefraction and Manual Refraction with Digital Visual Acuity Chart
Nguyen Repea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co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