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418A -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418A
KR20220027418A KR1020200108257A KR20200108257A KR20220027418A KR 20220027418 A KR20220027418 A KR 20220027418A KR 1020200108257 A KR1020200108257 A KR 1020200108257A KR 20200108257 A KR20200108257 A KR 20200108257A KR 20220027418 A KR20220027418 A KR 2022002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author
distributed network
distrib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575B1 (ko
Inventor
최화인
최윤일
Original Assignee
최화인
최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화인, 최윤일 filed Critical 최화인
Priority to KR102020010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575B1/ko
Priority to US17/406,835 priority patent/US20220067681A1/en
Priority to CN202110970313.XA priority patent/CN113656767A/zh
Publication of KR2022002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et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고, 상기 컨텐츠의 속성과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파일 형태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장소 등 환경에 관계없이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저장된 컨텐츠의 창작자를 객관적으로 오류 없이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AUTHOR VERIFYING APPARATUS / METHOD USING DECENTRALIZED NETWORK AND SELF-SOVEREIGN ID}
본 발명은 인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진정한 저작자가 누구인가를 인증 내지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은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네이버 밴드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s), 블로그, 유튜브(youtube) 등의 웹사이트에 수많은 컨텐츠(예를 들어 자신의 의견 등을 정리한 텍스트(text) 형태의 게시글, 자신이 작성한 그림, 자신이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 등)를 작성 및 게시하여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방대한 컨텐츠마다 그 컨텐츠의 창작자가 누구인가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SNS 등은 회원 가입 절차 진행 시 회원이 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까지는 요구하지 않으면서 몇몇 간단한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등)만 요구하므로, SNS 등에 해당 컨텐츠를 게시한 사용자의 신원을 정확하게 특정 내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용자가 오래 전에 자신의 SNS 등에 게시하였으나 그 후 삭제한 컨텐츠의 경우, 자신이 오래 전에 자신의 SNS 등에 해당 컨텐츠를 게시한 바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도 쉽지 않거니와, 그 컨텐츠를 게시한 자가 바로 자신임을 객관적으로 입증한다는 것은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더욱 어렵다.
나아가, 사용자가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 예를 들어,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작성한 컨텐츠를 SNS 등에 게시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만 저장한 경우, 이러한 컨텐츠는 이를 작성한 사용자만 보유하고 있었던 컨텐츠인바, 자신이 그에 대한 진정한 창작자로서 어느 시기에 이를 창작한 사실을 제3자도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객관적으로 입증하기가 어려운 것 역시 현실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파일 형태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장소 등 환경에 관계없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된 컨텐츠의 창작자를 객관적으로 오류 없이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는,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컨텐츠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의 속성과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한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게시한 컨텐츠를 그 게시 직후에 실시간으로 자동 전송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가 게시될 때마다 이를 상기 컨텐츠 입력부에게 푸시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가지는 사용자측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로부터 상기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는 상기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가 서로 매칭되어 포함되어 있는 상기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네트워크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일 수 있다.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컨텐츠 입력부가 전송받는 메타 데이터에 담긴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정형화하는 정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가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정형화된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분산 네트워크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하는 신원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신원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확인하여 주는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와는 다른 사람에게 또는 상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각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매각 관련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그 양도금액, 그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방법은,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게시한 컨텐츠를 그 게시 직후에 실시간으로 자동 전송받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이 수행되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가지는 사용자측 컴퓨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가 서로 매칭되어 포함되어 있는 상기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 컨텐츠 입력부가 전송받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담긴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정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가 상기 분산 네트워크상에 등록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정형화된 속성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 분산 네트워크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제공하는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확인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람에게 또는 상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각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그 양도금액, 그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속성과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자 인증방법을 컴퓨터를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형태의 컨텐츠가 저장되는 장소 등 환경에 관계없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된 컨텐츠의 창작자를 객관적으로 오류 없이 인증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에서 수행되는 저작자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a부터 도 1d까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 시스템 및 저작자 인증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contents)라 함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정보 내지 그 내용물’을 의미하며, 그 형태는 ① 텍스트(text) 형태의 게시 글, ② 그림, 사진 등의 정지영상, ③ 동영상 등 다양할 수 있다. 저작권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인데, 컨텐츠는 창작성이 있는 표현물로서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저작물’일 수도 있고, 인간이 아닌 주체{예컨대 인공지능(AI: Aritificial Intelligence), 동물 등}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하거나 단순한 아이디어에 불과하거나 창작성이 없어 저작물이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직접 창작한 컨텐츠를 의미한다고 가정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저작자 인증”장치 또는 “저작자 인증”시스템이라 함은 컨텐츠의 창작자(만일 컨텐츠가 저작물이라면, 저작권법은 이를 ‘저작자’라 명명함)라고 주장하는 자가 있을 때 바로 그가 그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인증하여 주는 장치 내지 시스템을 말한다. 이 때 ‘저작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고 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컨텐츠가 저작물인 경우’에 한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컨텐츠가 저작물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도 1a 내지 도 1d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110)는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게시(저장)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데, 그는 온라인(online) 또는 오프라인(offline)에 자신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110)가 온라인에 컨텐츠를 저장하는 경우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110)는 자신의 스마트폰(112)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등을 이용하여 ①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 ② 블로그, 까페, ③ 유튜브 등의 웹사이트(120)에 로그인하여 컨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인터넷 환경에서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게시할 수 있으며, SNS 등에 컨텐츠를 게시한다는 것은 SNS 등의 서버(122)에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에 반해, 사용자(110)는 오프라인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단적인 예로, 사용자(110)는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그 누구와도 통신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이하 ‘사용자측 컴퓨터(114)’라 한다)로 문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작자 인증시스템’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내용을 통칭하는데,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그 일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인증 서비스(notary servic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자 인증장치(13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저작자 인증장치(13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마다 저작자 인증장치(130)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이하 ‘인증 서비스용 아이디’라 합니다)가 필요하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회원제로 운영될 수도 있지만, 익명의 누구라도 이용 가능하도록 운영될 수도 있다.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입력부(132), 정형화부(133),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 검색부(136), 및 신원정보 제공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자 인증장치(130)의 구성요소들 중 먼저 컨텐츠 입력부(132), 정형화부(133),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이 3개의 구성요소들 모두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을 하기 위해 사전에 필요한 준비 작업들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다.
컨텐츠 입력부(132)는 사용자(110)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다. 사용자(110)가 SNS 등(120)에 게시한 즉, SNS 등의 서버(122)에 저장한 컨텐츠는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의 예시이고,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자측 컴퓨터(114)에 저장해 놓은 컨텐츠는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의 예시이다.
컨텐츠 입력부(132)는 사용자(110)가 온라인에서 게시한 컨텐츠를 그 게시 직후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사용자의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122)와 통신하고, 서버(122)는 사용자(110)의 컨텐츠가 게시될 때마다 이를 컨텐츠 입력부(132)에게 전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SNS 등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이하 ‘SNS 등 아이디’라 한다)를 인증 서비스용 아이디와 매칭하여 놓았고(예를 들어 SNS에 자신의 인증 서비스용 아이디를 친구(1촌)로 등록하였고), SNS 등은 컨텐츠가 게시될 때마다 이를 자신의 친구(1촌)들에게 푸시(push) 기능을 통해 전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자 인증장치(130)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 놓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컨텐츠들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입력부(132)는 사용자(110)가 ‘오프라인’에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사용자(110)의 사용자측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고, 컨텐츠 입력부(132)는 사용자측 컴퓨터(114)와 연결된 때 사용자측 컴퓨터(114)로부터 그 오프라인에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받는다.
위와 같이 컨텐츠 입력부(132)가 SNS 등의 서버(122)나 사용자측 컴퓨터(114)로부터 전송받는 컨텐츠는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컨텐츠이고, 그 형태는 xml 또는 json 형식의 메시지 형태일 수도 있으며, 파일 형태일 수도 있다.
위 전송받는 컨텐츠에는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메타(meta) 데이터’가 있다. 그런데, SNS 등의 서버(122)가 전송해 주는 컨텐츠 속 메타 데이터의 형식 내지 포맷(format)은 그 SNS 등마다 다를 수 있다. 메타 데이터에 담기는 속성은 사람이 인지 가능한 속성으로, 거기에는 생성 일자, 생성 시각, 파일 크기 등 여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는데, 메타 데이터에 그와 같은 속성들 중 어느 속성에 관한 정보를 어떠한 순서와 형태로 담을지가 SNS 등마다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필요한 것이 정형화부(133)이다. 정형화부(133)는 컨텐츠 입력부(132)가 전송받는 컨텐츠마다,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담긴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일정한 포맷으로 정형화한다. 다만, 정형화부(133)는 저작자 인증장치(130)에서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고, 이러한 정형화 작업은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은 아니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① ‘컨텐츠 입력부(132)가 SNS 등의 서버(122) 또는 사용자측 컴퓨터(114)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정형화부(133)를 거친 컨텐츠일 수도 있으며 아닐 수도 있음)의 해시값 및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그 자체’ 중 적어도 일부 및 ②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한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만들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135)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시값이란 컨텐츠의 지문과 같은 정보를 말하고,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컨텐츠의 창작자를 객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해시값으로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컨텐츠를 창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분산형 아이디로 한 서명을 해당 컨텐츠의 해시값으로서 그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가 처리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는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그 컨텐츠의 해시값도 포함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블록체인 등 분산 네트워크(135)에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등록할 수도 있지만, 컨텐츠 자체를 등록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의 경우, 종전의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 및 연결하고자 하면 블록체인에 연결된 모든 노드(node)들이 그 새로운 블록의 장부내용에 동의하고 그 새로운 블록을 추가 및 연결하기로 합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합의가 이루어지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른바 블록 타임(block time)이 현재까지는 매우 길다(평균적으로 비트코인의 경우 10분, 이더리움의 경우 15초). 또한, 현재까지의 상황만 놓고 볼 경우, 통상적으로 블록체인 노드의 저장 용량은 PC 등의 저장 용량에 비해 작다.
그런데, ‘컨텐츠’ 자체(특히 동영상 컨텐츠 등과 같이 용량이 매우 큰 컨텐츠 그 자체)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보다 용량이 커서 이를 블록체인 노드에 등록하기를 희망하더라도 그 저장이 어려울 수 있고 설령 저장을 하게 된다 하더라도 그 블록 타임이 더욱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컨텐츠’ 자체가 아닌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135)에 등록한다. 또한 컨텐츠의 내용이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공개되는 것을 꺼려하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하여도,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컨텐츠’ 자체가 아닌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135)에 등록할 수 있다.
반면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블록체인 노드의 저장 용량이 커지고 평균적인 블록 타임이 지금보다 짧아지는 경우, 컨텐츠 입력부(132)가 전송받은 컨텐츠가 사용자가 그 내용의 공개를 바라는 경우 등(이러한 경우들은 모두 예시에 불과함)에는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46)가 컨텐츠 자체를 분산 네트워크(135)에 등록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분산 네트워크(135)에 메타 데이터만 등록할 수도 있고, 컨텐츠 자체를 등록할 수도 있으며, 컨텐츠 자체 및 그 메타 데이터 모두를 등록할 수도 있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분산 네트워크에 컨텐츠 자체 및 그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등록함에 있어, 이를 해당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DID: Decentralized ID)와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분산형 아이디라 함은, 공인인증서 또는 주민등록증과 같이 중앙기관에서 관리하는 증명수단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소유하고 관리하는 탈중앙 신원인증수단으로 ‘모바일 신분증’, ‘자기주권형 아이디’라 불리기도 한다.
이 부분 내용을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과 연관지어 설명해 보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분산 네트워크에 ‘사용자의 컨텐츠’별로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생성 및 등록하고, 본 명세서에서 ‘검증 가능 주장’이란 분산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과 같은 ‘자격 증명 데이터’를 의미한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가 생성 및 등록하는 ‘검증 가능 주장’은 ① ‘컨텐츠 그 자체 및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② 해당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이 부분 ②번 관련하여,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122)에 로그인을 하기 위한 사용자(110)의 아이디 즉, ‘SNS 등 아이디’”, “인증 서비스용 아이디{저작자 인증장치(130)가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및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서로 매칭시키며 이 아이디들을 포함한 검증 가능 주장을 생성하여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자면, SNS 등의 서버(122)가 ‘해당 컨텐츠의 창작자가 누구인가를 인증’하는 내용 즉, SNS 등 아이디를 포함하는 내용의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laim, 이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laim)은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가 생성하여 등록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의 일부를 구성하게 될 것으로서 그 두 개의 검증 가능 주장은 서로 구별되어야 함]을 생성하여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에게 제공하고,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SNS 등의 서버(122)로부터 받은 위 검증 가능 주장 등을 이용하여, 그 컨텐츠에 대한 검증 가능 주장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가 사용자 및 컨텐츠별로 검증 가능 주장을 등록하는 공간인 분산 네트워크(135)는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일 수도 있고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일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란 폐쇄형 블록체인인데 반하여, 퍼블릭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모델과 같이 누구라도 접근 가능한 개방형 블록체인인데, 그 원리가 투명해야 하며 국제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분산형 아이디에 보다 어울리는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는 어떠한 컨텐츠의 창작자가 누구인지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인증하거나 검증하기 위한 장치인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주어졌을 때 이루어지는 인증 내지 검증 작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드릴 것이고, 지금까지 설명드린 바는 그 같은 인증 내지 검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필요한 준비 작업이다.
검색부(136)는 분산 네트워크(135)에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들과 그 각각에 대한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그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matching)된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한다. 여기서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라 함은, 소송 등에서 어떠한 컨텐츠의 저작자가 누구인지가 문제될 때의 바로 그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손해배상청구를 한 소송에서 “원고 자신이 창작한 A라는 컨텐츠(저작물)가 있는데, 피고가 이를 무단으로 복제하여 원고의 저작권을 침해하였다”는 주장을 하는데, 과연 원고가 A라는 컨텐츠의 창작자(저작자)인지 여부가 다투어지는 때, 법원의 명령으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130)는 컨텐츠 A의 창작자가 누구인지 매우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줄 수 있는 것이고, 여기서 컨텐츠 A가 바로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인 것이다.
검색부(136)에게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는 검증부(140)인데, 위 예시에서는 법원의 서버가 검증부(140)에 해당하는 것이다.
검색부(136)의 검색 결과는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 및 그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와 그에 매칭된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이고, 신원정보 제공부(137)는 검증부(140)에게 그 검색된 결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한다.
검증부(140)는 신원정보 제공부(137)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바로 해당 컨텐츠의 창작자(저작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자 인증장치(130)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사전에 자신의 ‘분산형 아이디’를 갖고 있어야 하고, 자신이 바로 그 분산형 아이디의 소유자임을 입증하기 위해 공개 키(public key) 및 개인 키(private key)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공개 키는 개인 키를 이용해 생성되며 누구에게나 공개되는 키인데 반해, 개인 키는 어느 누구에게도 공개되어서는 아니 되고 본인만 알고 있어야 하는데, 검증부(140)는 공개 키를 통한 검증으로 해당 컨텐츠의 창작자가 누구인지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d에서는 검증부(140)가 저작자 인증장치(13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검증부(140)는 저작자 인증장치(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신원정보 등록부(150)는 모든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들, 각 분산형 아이디에 대한 공개 키(public key)를 블록체인 등 분산 네트워크(152)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검증부(140)는 예컨대 어떤 사용자 갑(甲)이 검색된 분산형 아이디의 주인임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갑(甲)으로부터 신원정보 등록부(150)를 통해 그 분산형 아이디의 공개 키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확인 작업을 할 수 있다.
신원정보 등록부(150)가 분산형 아이디 등을 등록하는 분산 네트워크(152) 역시 위에서 본 분산 네트워크(135)와 같이, 퍼블릭 블록체인일 수도 있으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일 수도 있고 그 밖의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그리고 분산 네트워크(152)는 분산 네트워크(135)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참고로 분산형 아이디에 대한 개인 키(private key)는 신원정보 등록부(150)에 의해 관리되지 아니한다. 공개 키와 달리, 개인 키는 커스터디 서비스(custody service)를 제공하는 저작자 인증장치(130) 중 신원정보 제공부(137)가 사적인 저장 공간(private storage)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분산형 아이디란 자신이 소유 및 관리하는 증명수단이라는 점에서, 이를 보유하는 별도의 기관이 신원정보 제공부(137)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아도 무방하기는 하다. 다만 블록체인이 더욱 더 대중화된 미래에도 현실적으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 키를 관리하여 주는 신원정보 제공부(137)에 해당하는 기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개인 키는 실수로 분실할 경우에 대비해 수시로 백업을 하는 등 관리해야 하며 한 번 분실하면 영원히 다시 찾을 수가 없는데, 일반 개인들이 이처럼 철저하게 개인 키를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가 컨텐츠의 창작자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거나 인증하여 주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는 아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컨텐츠의 창작자뿐만 아니라 그 컨텐츠의 후속 거래에 따른 권리자도 확인 내지 인증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확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저작재산권의 양도에 관한 일반 법리에 대한 약간의 소개가 필요하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컨텐츠는 저작물일 수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가 저작물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컨텐츠를 창작한 순간 그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귀속되는데, 저작권에는 재산권으로서의 ‘저작재산권’과 인격권으로서의 ‘저작인격권’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저작재산권은 타인에게 양도가 가능한 권리인데 반해, 저작인격권은 일신전속적인 권리로서 양도가 불가능한 권리이다.
예를 들어 X가 'A'라는 컨텐츠를 창작한 후, 그 컨텐츠를 Y에게 매각하였다. 이 경우 Y는 A에 대하여 어떠한 권리를 갖고 있는 것인지 설명하도록 한다. X가 A를 담은 유형물(예를 들어 CD)을 Y에게 매각한 것에 대한 권리관계는 크게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해당한다.
첫 번째 경우는, X가 여전히 A에 대한 저작재산권을 가지고 있으면서(물론 X는 A의 저작자로서 A에 대한 저작재산권 및 저작인격권 모두를 가지고 있다) Y에 대하여는 A에 대한 이용을 허락하기만 한 경우이다. 이 경우, Y는 A에 대한 저작재산권을 갖지 못하며, 그저 A에 대한 이용권을 가질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Y가 X의 저작재산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는 Y가 그 이용 허락에 관한 조건 및 범위를 준수해 A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두 번째 경우는, X가 (자신은 저작인격권만 가지면서) Y에게 A에 대한 저작재산권을 양도한 경우이다. 이 경우, A에 대한 저작재산권자는 더 이상 X가 아니고 Y이다. Y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첫 번째 경우보다는 두 번째 경우를 희망할 것이나, 두 번째 경우에 필요로 하는 매각대금(저작재산권 양도대금)은 첫 번째 경우에 필요로 하는 매각대금(이용허락을 받기 위해 지불하여야 하는 이용료)보다 비싸기 마련이어서, 이처럼 컨텐츠의 매각을 둘러싸고 여러 당사자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는 컨텐츠(설명의 편의상 저작물이라 가정함)를 창작한 자가 누구인지를 인증 내지 검증할 수 있지만, 그의 매각에 따른 후속 권리자가 누구인지도 인증 내지 검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본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사용자(예를 들어 X)의 컨텐츠별로 ‘검증 가능 주장’을 만듦에 있어, ‘컨텐츠가 사용자(X)와 다른 사람에게 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각된 경우’, 사용자(X)의 검증 가능 주장을 그 매각에 관한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각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컨텐츠의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그 양도금액, 그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앞서 본 신원정보 제공부(137)는 해당 컨텐츠가 매각된 컨텐츠인지 여부 및 만일 그러하다면 위 매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검증 가능 주장을 제공할 수 있고, 검증부(140)는 그 컨텐츠에 대한 현재 저작재산권자가 누구인지 등까지도 확인 내지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2를 도 1a 내지 도 1d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컨텐츠 입력부(132)는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다(제210 단계).
제210 단계 후에 정형화부(133)는 제210 단계가 전송받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담긴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정형화한다(제220 단계).
제220 단계 후,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134)는 ‘제210 단계가 전송받은 컨텐츠의 속성(제220 단계에서 그 포맷이 정형화된 속성)과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와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만들고, 이를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한다(제230 단계).
제230 단계 후에, 검색부(136)는 분산 네트워크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된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한다(제240 단계).
제240 단계 후에, 신원정보 제공부(137)는 제240 단계에서 검색된 결과를 그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한다(제250 단계).
제250 단계 후에, 검증부(140)는 제250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그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확인하여 준다(제260 단계).
한편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위 저작자 인증방법(도 2 참조)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설명은 일부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서 위 일부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위 일부 실시예의 내용으로 청구범위를 제한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은, 저작자 인증 내지 검증업에 이용될 수 있다.
110: 사용자 112: 사용자 스마트폰
114: 사용자측 컴퓨터 120: SNS 등
122: 서버 130: 저작자 인증장치
132: 컨텐츠 입력부 133: 정형화부
134: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 135: 분산 네트워크
136: 검색부 137: 신원정보 제공부
140: 검증부 150: 신원정보 등록부
152: 분산 네트워크

Claims (22)

  1.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컨텐츠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를 포함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게시한 컨텐츠를 그 게시 직후에 실시간으로 자동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가 게시될 때마다 이를 상기 컨텐츠 입력부에게 푸시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가지는 사용자측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로부터 상기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는
    상기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가 서로 매칭되어 포함되어 있는 상기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컨텐츠 입력부가 전송받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담긴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정형화하는 정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가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정형화된 속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분산 네트워크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하는 신원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장치는
    상기 신원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확인하여 주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 등록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람에게 또는 상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각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를 반영해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그 양도금액, 그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12.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속성 및 해시값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포함하는 검증 가능 주장(verifiable credential)을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게시한 컨텐츠를 그 게시 직후에 실시간으로 자동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이 수행되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컨텐츠를 가지는 사용자측 컴퓨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측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저장한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게시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가 서로 매칭되어 포함되어 있는 상기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분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네트워크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 컨텐츠 입력부가 전송받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담긴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정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가 상기 분산 네트워크상에 등록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정형화된 속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 분산 네트워크 중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되는 컨텐츠와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및 그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의 분산형 아이디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증 가능 주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자 인증방법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로부터 제공받은 검증 가능 주장 속의 분산형 아이디가 상기 검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창작자임을 확인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람에게 또는 상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매각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검증 가능 주장을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를 반영해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매각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재산권의 양도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그 양도금액, 그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자 인증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08257A 2020-08-27 2020-08-27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KR10238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57A KR102384575B1 (ko) 2020-08-27 2020-08-27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US17/406,835 US20220067681A1 (en) 2020-08-27 2021-08-19 Author verifying apparatus / method using decentralized network and self-sovereign id
CN202110970313.XA CN113656767A (zh) 2020-08-27 2021-08-23 利用分布式网络及分布式id的作者认证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57A KR102384575B1 (ko) 2020-08-27 2020-08-27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18A true KR20220027418A (ko) 2022-03-08
KR102384575B1 KR102384575B1 (ko) 2022-04-07

Family

ID=7848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57A KR102384575B1 (ko) 2020-08-27 2020-08-27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67681A1 (ko)
KR (1) KR102384575B1 (ko)
CN (1) CN1136567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2147A1 (en) * 2021-11-10 2023-05-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communication using proof of presence
WO2023242173A1 (en) * 2022-06-14 2023-12-21 Tintra 3.0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GB202208742D0 (en) 2022-06-14 2022-07-27 Tintra 3 0 Ltd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and method of obfuscating senstive personal data in processes requiring personal identification
WO2023242175A1 (en) * 2022-06-14 2023-12-21 Tintra 3.0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obfuscating senstive personal data available on an unregulated platforms
WO2023241800A1 (en) * 2022-06-16 2023-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supporting authentication
WO2024029582A1 (ja) * 2022-08-03 2024-02-08 株式会社ワコム 判定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7969A1 (en) * 2006-03-22 2007-09-2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Intersystem single sign-on
KR20150142081A (ko) * 2014-06-09 2015-12-22 한국과학기술원 비정형 문화관광 데이터 수집 및 정형화를 통한 맞춤형 문화관광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983530B1 (ko) * 2019-01-08 2019-05-29 김보언 블록체인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등록 시스템
KR102139645B1 (ko) * 2020-04-13 2020-07-30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증명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549B2 (en) * 2013-10-09 2018-05-08 Foxwordy Inc. Excerpted content
WO2015110846A1 (en) * 2014-01-24 2015-07-30 Google Inc. Native creative generation using hashtagged user generated content
US10997244B2 (en) * 2017-07-14 2021-05-04 Phylot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discovering relationships between disparate datasets from multiple sources
US11348099B2 (en) * 2018-07-01 2022-05-31 Artema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content engagement platforms utilizing media wallets
US20200159890A1 (en) * 2018-11-15 2020-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ly storing digital content using a distributed ledger
US11012426B2 (en) * 2018-11-30 2021-05-18 EMC IP Holding Company LLC Secure data pools
JP7172709B2 (ja) * 2019-02-21 2022-1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7969A1 (en) * 2006-03-22 2007-09-2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Intersystem single sign-on
KR20150142081A (ko) * 2014-06-09 2015-12-22 한국과학기술원 비정형 문화관광 데이터 수집 및 정형화를 통한 맞춤형 문화관광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983530B1 (ko) * 2019-01-08 2019-05-29 김보언 블록체인에 저작물을 저장하는 등록 시스템
KR102139645B1 (ko) * 2020-04-13 2020-07-30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증명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575B1 (ko) 2022-04-07
US20220067681A1 (en) 2022-03-03
CN113656767A (zh)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75B1 (ko) 분산 네트워크 및 분산형 아이디를 활용하는 저작자 인증장치 및 방법
US117752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ublic software component ecosystem using a distributed ledger
Bamakan et al. Patents and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as non-fungible tokens; key technologies and challenges
TWI706368B (zh) 基於區塊鏈的服務租賃方法、裝置、系統及電子設備
Ocheja et al. Managing lifelong learning records through blockchain
Huckle et al. Fake news: A technological approach to proving the origins of content, using blockchains
US11652605B2 (en) Advanced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architecture
Konashevych General concept of real estate tokenization on blockchain: The right to choose
US9491150B2 (en) Document-authorized access to a shared workspace
WO2020001105A1 (zh) 基于区块链的数据验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
WO2021143497A1 (zh) 一种基于存证区块链的侵权存证方法、装置及设备
US20200012676A1 (en) Media at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302686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0069526A1 (en) Smart contracts
Bamakan et al. A decentralized framework for patents and intellectual property as nft in blockchain networks
CN115829559A (zh) 向nft添加附加价值
EP3800601A1 (en) Collaboration hub with blockchain verification
US20190171848A1 (en) Distributed data management and verification
CN112418851A (zh) 数字版权登记、交易、保护方法与系统
US20220092104A1 (en) System for automatic management and depositing of documents (images) hash in block-chain technology
Kim et al. A Usag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and inquiry method for theme, background and signal music based on hyperledger fabric
Odeh et al. Digital Identity Using Hyperledger Fabric as a Private Blockchain-Based System
KR20090112845A (ko) 컨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TWI506578B (zh) 媒體資源之交易系統及方法與內儲媒體資源交易程式之電腦程式產品
CN111382991B (zh) 基于第三方应用的图片版权收益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