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942A -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942A
KR20220026942A KR1020200108107A KR20200108107A KR20220026942A KR 20220026942 A KR20220026942 A KR 20220026942A KR 1020200108107 A KR1020200108107 A KR 1020200108107A KR 20200108107 A KR20200108107 A KR 20200108107A KR 20220026942 A KR20220026942 A KR 2022002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hopping
top box
input
button
z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440B1 (ko
Inventor
김주선
안혜정
안지은
박수영
박유록
이용성
정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0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은, 홈쇼핑 전용 버튼을 탑재한 리모컨과의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IP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SETTOP-BOX AND OPPERATING METHOD OF THEREOF}
실시예는,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홈쇼핑의 경우, 생방송을 보면서 ARS 주문 전화를 하거나 모바일 앱으로 방송 중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최근, TV 홈쇼핑은 TV를 보면서 리모컨 버튼으로도 바로 원하는 상품에 대해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까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인터넷을 지원하는 IPTV에서 홈쇼핑의 물품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양방향 통신 기술 등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검색 또는 구매를 위하여 리모컨의 방향키를 이용해 TV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메뉴에 도달하게 한 후에 선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인터넷 정보 검색 및 상품의 검색, 구매가 가능하도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홈쇼핑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접근이 용이하고 편의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홈쇼핑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접근이 용이하고 편의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의 예시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IP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제공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제공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의 예시이다.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일부 공간을 홈쇼핑 전용 버튼들(100)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홈쇼핑 전용 리모컨이 제공되거나, 도 1(b)와 같이 일반 리모컨에 홈쇼핑 전용 버튼이 구비된 홈쇼핑 특화 리모컨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버튼들(100) 각각은 홈쇼핑을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버튼이며, 각 버튼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홈쇼핑 전용 버튼들(100) 각각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홈쇼핑 투어" 버튼(101)을 통해 IPTV에서 제공되는 모든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재핑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버튼(101)의 입력에 대응하여 셋톱박스는 홈쇼핑 채널의 방송을 모아서 둘러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1)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해당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서, IP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210)에서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블루투스 등 홈쇼핑 전용 버튼을 탑재한 리모컨과의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이 감지되는 버튼은 "홈쇼핑 투어" 버튼으로, 모든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IP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쇼핑 채널의 채널 번호의 순서대로 재핑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셋톱박스 사용자의 홈쇼핑 채널 선호도 또는 사용 빈도에 따라 재핑 시퀀스가 결정되거나 상품 선호도에 따라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셋톱박스에서 결정된 방법에 기초하여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즐겨찾기되어 있거나, 주문 횟수가 높은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주문 횟수가 높은 상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재핑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주문 이력이 없는 홈쇼핑 채널이나 상품 선호도와 관련이 없는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는 홈쇼핑의 채널 번호의 순서대로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셋톱박스에서 사용자를 구분하여 각 사용자 맞춤형의 재핑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홈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해서는 A 홈쇼핑의 홈쇼핑 채널이 재핑 시퀀스의 첫번째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품에 대한 주문 이력이 많은 제2 사용자에 대해서는,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식품 카테고리가 방송 중인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서 먼저 노출이 되도록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셋톱박스는, 홈쇼핑 채널들을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하나의 홈쇼핑 채널의 방송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이 출력되는 시간이 10초로 설정되어 있다면, 셋톱박스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A 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 출력한 후 재핑하여 B 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 출력하고, 이후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들의 각 방송 화면을 TV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의 방송이 출력되는 동안, 리모컨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방향키 또는 채널 및 음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의 입력에 기초하여 재핑 시퀀스의 이전 홈쇼핑 채널 또는 다음 홈쇼핑 채널로 재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홈쇼핑 채널이 재핑되는 동안, 홈쇼핑 방송의 화면 내 주문을 위한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주문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확인' 버튼 등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IPTV에서 도 3과 같은 채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채널 내지 ㅂ채널을 제공하고, A홈쇼핑 채널 내지 F홈쇼핑 채널을 제공하며, 그 이상 많은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사용자에게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재핑 시퀀스는 홈쇼핑 채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재핑 시퀀스(310)는 홈쇼핑 채널의 채널 번호 순으로 생성된 일례이다.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따라 재핑 시퀀스(310)의 상위부터 아래로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핑 시퀀스(310)의 첫번째 순서인 2번 채널의 'A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하고 이후 4번 채널의 'B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할 수 있으며, 이후 6번 채널의 'C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리모컨의 방향키 또는 채널 및 음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된 버튼의 방향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홈쇼핑'의 방송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 'ㄴ채널'이 아닌 재핑 시퀀스(310)의 'A홈쇼핑'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B홈쇼핑'의 방송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홈쇼핑 채널들이 재핑 시퀀스(310)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출력되는 동안에도, 리모컨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재핑 시퀀스(310)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홈쇼핑 채널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재핑 시퀀스(320)를 생성할 수 있다. 재핑 시퀀스(320)는 예컨대 사용자의 홈쇼핑 채널 선호도나 사용 빈도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따라 재핑 시퀀스(320)의 상위부터 아래로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핑 시퀀스(320)의 첫번째인 2번 채널의 'C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하고 이후 10번 채널의 'E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할 수 있으며, 이후 2번 채널의 'A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모컨의 방향키 또는 채널 및 음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된 버튼의 방향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홈쇼핑'의 방송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 재핑 시퀀스(320)에 기초하여 'A홈쇼핑'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D홈쇼핑'의 방송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400)는, 메모리(410) 및 프로세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42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400)는 블루투스 등 홈쇼핑 전용 버튼을 탑재한 리모컨과의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이 감지되는 버튼은 "홈쇼핑 투어" 버튼으로, 모든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IP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400)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쇼핑 채널의 채널 번호의 순서대로 재핑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셋톱박스 사용자의 홈쇼핑 채널 선호도 또는 사용 빈도에 따라 재핑 시퀀스가 결정되거나 상품 선호도에 따라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셋톱박스에서 결정된 방법에 기초하여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즐겨찾기되어 있거나, 주문 횟수가 높은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주문 횟수가 높은 상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재핑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주문 이력이 없는 홈쇼핑 채널이나 상품 선호도와 관련이 없는 홈쇼핑 채널에 대해서는 홈쇼핑의 채널 번호의 순서대로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셋톱박스(400)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각 사용자 맞춤형의 재핑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홈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해서는 A 홈쇼핑의 홈쇼핑 채널이 재핑 시퀀스의 첫번째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품에 대한 주문 이력이 많은 제2 사용자에 대해서는,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식품 카테고리가 방송 중인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서 먼저 노출이 되도록 재핑 시퀀스가 결정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홈쇼핑 채널들을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400)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하나의 홈쇼핑 채널의 방송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이 출력되는 시간이 10초로 설정되어 있다면, 셋톱박스(400)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A 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 출력한 후 재핑하여 B 홈쇼핑의 방송 화면을 10초 출력하고, 이후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들의 각 방송 화면을 TV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400)는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홈쇼핑 채널의 방송이 출력되는 동안, 리모컨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채널을 재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400)는 리모컨의 방향키 또는 채널 및 음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의 입력에 기초하여 재핑 시퀀스의 이전 홈쇼핑 채널 또는 다음 홈쇼핑 채널로 재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400)는 홈쇼핑 채널이 재핑되는 동안, 홈쇼핑 방송의 화면 내 주문을 위한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주문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확인' 버튼 등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셋톱박스는 홈쇼핑 전용 리모컨에 구비된 홈쇼핑 전용 버튼들(100)의 입력에 반응하여 각각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기능은 도 4를 통해 설명된 셋톱박스(4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2)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셋톱박스에서 버튼(102)의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의 로그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예컨대, N분 이상 시청한 상품에 대해서, 해당 시청 이력 및/또는 구매 이력에 해당하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태그하고,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관련 상품에 대한 홈쇼핑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상품은, 해당 상품 및 다른 브랜드의 상품 및 파생 상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관련 상품이 홈쇼핑 방송 편성표의 실시간 방송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홈쇼핑 채널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고,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관련 상품의 판매 방송에 대해서 자동으로 시청 예약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3)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버튼(103)은 예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홈쇼핑 방송의 출력 중에 버튼(103)이 입력되면, 셋톱박스는 해당 채널에서 방송 중인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설정하고,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다음 방송에 대해서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기초하여 예약을 설정할 시, 홈쇼핑 방송 편성에 대한 정보를 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부터 획득하거나 홈쇼핑 방송 편성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4)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버튼(104)의 입력에 대응하여 셋톱박스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및 카테고리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과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판을 포함하는 소프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검색 결과로 검색 상품의 홈쇼핑 편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현재 타임라인에 검색 상품을 판매 중인 홈쇼핑 채널이 검색되면, 해당 채널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5)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버튼(105)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방송 편성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편성표는 IPTV에서 제공하는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의 방송 편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5)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버튼(106)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인기 상품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판매량 및/또는 판매 금액을 기준으로 일별 혹은 주별 등 특정 기간 내 상품의 판매 순위를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는 상품의 목록, 홈쇼핑 채널 정보,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기 상품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상품에 대한 방송 편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6)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버튼(106)은 홈쇼핑 주문을 위한 버튼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제공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버튼(501)의 입력을 통해 셋톱박스는 홈쇼핑 주문을 위한 화면(510)을 TV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버튼(501)의 입력에 대응하여 홈쇼핑 주문을 위해 세 가지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각 메뉴는 리모컨의 방향키 등을 커서로 이용하여 움직임으로써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주문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리모컨으로 주문하기' 메뉴가 입력되면 리모컨으로 주문하기 위한 화면이 팝업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해당 화면을 통해 주문 상품, 주문자, 결제 정보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 플랫폼에 연결되어 해당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화면(510) 내 '간편 주문'을 위한 메뉴로 '모바일로 주문하기' 메뉴와 '자동 주문 전화 받기'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모바일로 주문하기' 메뉴에 의하면, 모바일로 주문하기 위한 URL 정보를 전송 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제공될 수 있다. 해당 메뉴에 대해서 사용 로그가 있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입력창에 미리 출력될 수 있으며, 해당 전화 번호는 수정이 가능하도록 입력창이 활성화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입력창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URL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동 주문 전화 받기' 메뉴가 입력되면, 홈쇼핑 구매를 위한 자동 주문 전화를 수신할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제공될 수 있다. 해당 메뉴에 대해서 사용 로그가 있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입력창에 미리 출력될 수 있으며, 해당 전화번호는 수정이 가능하도록 입력창이 활성화될 수 있다. 리모컨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예컨대,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홈쇼핑사의 자동주문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해당 전화번호를 홈쇼핑 플랫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된 전화번호의 단말로 수신되는 전화를 통해 자동 주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셋톱박스는 버튼(107)의 입력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 화면을 생성하고 TV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버튼(107)은 홈쇼핑 종합 차트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 도 6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실시예에서, 홈쇼핑 전용 리모컨을 통해 제공되는 홈쇼핑 전용 서비스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홈쇼핑 상품 모아' 버튼(601)의 입력에 대응하여 모든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된 상품들에 대해 인기 상품에 대한 정보 및 판매 추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종합 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화면(610)은 주간 홈쇼핑 판매 순위 및 판매 순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610)에 의하면, 6월 2주에는 'PP사의 인버터 창문형 에어컨'의 판매 순위가 가장 높고, 6월 3주에도 'PP사의 인버터 창문형 에어컨'의 판매 순위가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LL사의 2in1 에어컨'의 판매 순위나 'II사의 에어 서큘레이터'의 판매 순위가 높은 결과에 기초하여 "더워진 날씨 날씨에 따라 계절 가전 상품의 판매가 증가"한 현상에 대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공하고, 실시예에 따라서 코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의 판매 순위 및 매출의 변화, 과거 일정 기간 동안의 판매 동향에 기초하여 종합적인 분석 및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주 단위 뿐만 아니라, 월 단위나 분기 단위 등으로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종합한 분석 및 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홈쇼핑 전용 리모컨 및 이에 구비되는 홈쇼핑 전용 버튼 각각에 대응하여 홈쇼핑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홈쇼핑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로 하여금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접근이 용이하고 편의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IP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홈쇼핑 전용 버튼을 탑재한 리모컨과의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P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노출 시간 단위 및 미리 정해진 순서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입력 버튼의 방향에 대응하는 홈쇼핑 채널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쇼핑 채널들의 채널 번호 순서대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통해 미리 결정된 채널 선호도에 기초하여 상기 홈쇼핑 채널들의 선호도 순서대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홈쇼핑 구매를 위한 구매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구매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전화번호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로 자동 주문 전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주문을 위한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홈쇼핑 예약을 위한 예약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전용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품의 편성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홈쇼핑 방송에 대한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홈쇼핑 검색을 위한 검색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검색 전용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품 검색창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셋톱박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홈쇼핑 전용 버튼을 탑재한 리모컨과의 무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전용 버튼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P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들 중 홈쇼핑 채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노출 시간 단위 및 미리 정해진 순서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채널들을 상기 재핑 시퀀스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핑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의 입력 버튼의 방향에 대응하는 홈쇼핑 채널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쇼핑 채널들의 채널 번호 순서대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통해 미리 결정된 채널 선호도에 기초하여 상기 홈쇼핑 채널들의 선호도 순서대로 상기 재핑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KR1020200108107A 2020-08-26 2020-08-26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43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07A KR102434440B1 (ko) 2020-08-26 2020-08-26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07A KR102434440B1 (ko) 2020-08-26 2020-08-26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942A true KR20220026942A (ko) 2022-03-07
KR102434440B1 KR102434440B1 (ko) 2022-08-19

Family

ID=8081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107A KR102434440B1 (ko) 2020-08-26 2020-08-26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97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Iptv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비교 정보 제공방법
KR20100123124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어니언텍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5495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97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Iptv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비교 정보 제공방법
KR20100123124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어니언텍 아이피 티비 주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5495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40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182B1 (ko)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US9973818B2 (en)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nd purchasing
US83870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authorized use of a user equipment device
US9414130B2 (en) Interactive content overlay
US20150012939A1 (en) System And Method In A Television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User-Selected Object In A Television Program
KR101298823B1 (ko) 구두 피드백을 프로세싱하고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dvr) 기록 패턴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설비
EP319716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170397A (zh) 用于娱乐系统的用户界面
CN101578862A (zh) 具有集成的内容搜索的媒体系统
CN101001355A (zh) 与电视系统和媒体源交互的控制设备
US118385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ap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150382077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US8341677B2 (en) Interactive product / service listing
CN11082707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20140195647A1 (en) Bookmarking system
KR102434440B1 (ko)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00649A (ko) 방송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10771848B1 (en) Actionable contents of interest
CN111309428A (zh)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052315A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KR102467018B1 (ko)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9914B1 (ko)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906990B1 (ko) 샵채널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러한 운영 시스템
US100576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bookmarked content
KR20220085574A (ko) 셋톱박스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