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756A -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756A
KR20220026756A KR1020200107660A KR20200107660A KR20220026756A KR 20220026756 A KR20220026756 A KR 20220026756A KR 1020200107660 A KR1020200107660 A KR 1020200107660A KR 20200107660 A KR20200107660 A KR 20200107660A KR 20220026756 A KR20220026756 A KR 20220026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or
face
mentoring
group
us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영
Original Assignee
김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영 filed Critical 김애영
Priority to KR102020010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756A/ko
Publication of KR2022002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자격증이나 시험 관련 수험 정보나 노하우를 구매하는 멘티들을 포함한 이용자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자격증이나 시험 관련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하여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 사이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여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Exam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제 합격자게 제공하는 노하우 콘텐츠 및 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고시나 공무원 시험 등의 수험 공부를 하는 이용자들은 학원 등의 오프라인 현장에서 강의를 듣거나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면서 수험 과목의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라인/오프라인 강의에 더하여 이용자들은 합격자들의 수험 노하우 및 합격 수기 등을 통해 공부 방법, 면접 방법, 멘탈 관리 방법 등을 습득하게 된다.
그러나, 학교생활이나 직장인의 경우 합격자들의 생생한 노하우나 학습 방법들을 구하기 위해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인터넷 등을 통해 얻은 합격자 수기나 학습 방법, 면접팁들은 과거의 사례로서 가치가 낮거나 가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오히려 학습에 장애를 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실제 합격자가 제공하는 친절하고 신빙성 높은 고퀄리티 수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합격자 자신만의 살아있는 합격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부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의 취미나 특기 등을 공유하는 재능 공유 플랫폼이 출시되어 있으나, 입시, 취업, 자격증이나 시험 등의 합격 노하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개하는 플랫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에 대한 시장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신뢰도 높은 수험 정보 및 노하우를 얻기 원하는 이용자와 합격 노하우 및 팁을 제공하기 원하는 멘토 그룹을 매칭하여 수험 정보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제공할 수 있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자격증이나 시험 관련 수험 정보나 노하우를 구매하는 멘티들을 포함한 이용자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자격증이나 시험 관련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하여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 사이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여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의 자격 여부를 검증하는 멘토 검증부, 상기 텍스트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 사이의 1:1 또는 1:n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는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의 비용을 정산하는 비용 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 검증부는 상기 멘토가 보유한 자격증 종류, 자격증 취득일을 통한 멘토 자격 검증, 상기 멘토와의 설문지, 전화 및 인터뷰를 통한 상기 멘토의 인성 검증 결과 및 상기 멘토의 콘텐츠 및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리뷰를 통한 이용자 리뷰 검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멘토의 자격증 정보, 멘토링 매칭 가능 지역 및 멘토링 가능 스케줄을 토대로 상기 멘토들을 그룹화하여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가 제공하는 멘티의 관심 자격증이나 시험, 멘티의 거주 및 활동 지역, 멘토링 가능 스케줄을 토대로 동일 자격증이나 시험을 통해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하는 다른 멘티를 소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용 정산부는 상기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또는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카드 결제 수단, 현금 결제 수단, 연계 포인트 결제 수단 또는 연계 기프티콘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신뢰도 높은 수험 정보 및 노하우를 얻기 원하는 이용자와 합격 노하우 및 팁을 제공하기 원하는 멘토 그룹을 매칭하여 수험 정보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정보 제공에 더하여 이용자와 맨토간의 대면 멘토링 교육을 매칭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멘토 검증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멘토 검증부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멘토 그룹(110), 이용자 그룹(120) 및 멘토링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멘토 그룹(110)은 멘토링 시스템(130)을 통해 이용자 그룹(120)에게 생생한 수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자로서, 멘토 그룹(110)은 이용자 그룹(120)이 원하는 자격증을 취득시 경험, 팁, 노하우, 교육 정보, 입시 노하우, 취업 노하우, 면접 노하우를 비롯하여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멘토 그룹(110)은 멘토링 시스템(130)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멘토링 시스템(130)에 저장하게 되며, 이용자 그룹(120)은 멘토 그룹(110)이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멘토 그룹(110)에 속하는 다양한 멘토들의 정보를 선택하거나 면대면 오프라인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멘토 그룹(110)이 멘토링 시스템(130)에 제공하는 정보는 자격 정보(111), 텍스트 콘텐츠(112), 동영상 콘텐츠(113), 멘토링 계획 정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자격 정보(111)는 멘토 그룹(110)에 속하는 각 멘토들이 자신이 보유한 자격증에 대한 정보, 멘토의 이력사항(신분증, 나이, 성별, 주거지역, 활동지역), 인성 평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멘토링 시스템(130)은 멘토가 제공한 자격 정보(111)를 기초로 멘토의 적격 여부를 철저히 검증하게 되며, 특히 취득한 자격증의 취득일을 기준으로 멘토를 평가하여 최신의 생생한 수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멘토 그룹(110)의 멘토는 1년 이내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에 멘토로서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멘토링 시스템(130)은 멘토의 이력사항을 통해 멘토의 주거지역이나 활동지역을 분류하여 이용자 그룹(120)과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진행할 시 매칭 지역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멘토링 시스템(130)은 멘토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멘토의 인성을 평가하고 인성 평가 결과를 이용자 그룹(120)에게 공개함으로써 면대면 멘토링 수업시 이용자 그룹(120)이 참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텍스트 콘텐츠(112)는 멘토가 작성하여 멘토링 시스템(130)에 제공하는 문서 형식의 콘텐츠로서, 자격증이나 시험의 합격 후기, 취업 노하우, 합격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면접 PT자료 또는 포트폴리오 자료, 기출문제, 케이스 스터디 자료, 우수 레포트 및 기타 참고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콘텐츠(112)는 이용자 그룹(120)이 확인하여 참고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첫 페이지가 샘플로 이용자 그룹(120)에게 공개될 수 있고, 이용자 그룹(120)이 비용을 지불하여 텍스트 콘텐츠(112)를 구매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113)는 멘토가 직접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로서, 자격증이나 시험의 합격 노하우, 면접 및 인터뷰 예시 영상, 시험 대비 방법, 에피소드, 면접 팁, 동영상 교육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113)도 이용자 그룹(120)이 확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약 30초에서 1분 정도의 샘플 영상을 이용자 그룹(120)에게 공개하거나, 동영상 콘텐츠(113)의 요약이나 커리큘럼이 포함된 썸네일을 이용자 그룹(120)에게 공개할 수 있다.
멘토링 계획 정보(114)는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들과 면대면 오프라인 멘토링 교육시 실시할 멘토링 계획서, 커리큘럼이나 정보, 멘토링 결과보고서, 멘토링 일지 등을 포함하며, 이때 멘토링 계획 정보(114)는 멘토가 선호하는 이용자 그룹(120)의 성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멘토가 20대 여성인 경우 비슷한 연령대의 여성 이용자(여성 멘티)를 선호함이 포함될 수 있고, 멘토의 주거지역이나 활동지역 또는 멘토가 이동할 수 있는 지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멘토 그룹(110)은 멘토의 자격증 정보, 이력사항 등을 통해 선별된 멘토들에게만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자격을 부여하게 되며,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를 이용자 그룹(120)에서 구매하게 되면 해당 콘텐츠에 해당하는 서비스 수수료를 지급받아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또한 멘토 그룹(110)은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와 1:1 또는 1:n 대면 멘토링 수업을 진행할 시에도 서비스 수수료를 지급받아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한편, 멘토 그룹(110)의 멘토들은 콘텐츠나 멘토링 수업을 이용한 이용자 그룹(120)의 리뷰를 통해 멘토로서의 자격을 검증받게 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들이 구매한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의 별점, 이용 후기 등을 통해 멘토의 자격을 검증하거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의 멘티들의 이용 후기를 통해 멘토의 자격이 검증될 수 있다. 이용자 그룹(120)의 리뷰를 이용한 멘토의 검증은 매우 엄격히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면대면 멘토링 수업의 이용자 리뷰는 부적격 멘토를 검증하는 데 가장 높은 최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용자 그룹(120)은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자격증이나 시험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 및 구매하고자 하는 멘티 그룹으로서, 멘토 그룹(110)이 제공하는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를 구매하거나, 멘토 그룹(110)의 멘토링 계획 정보(114)를 통해 해당 멘토와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이용자 그룹(120)은 멘토링 시스템(130)에 이용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을 진행하고, 멘토 그룹(110)이 제공하는 콘텐츠 및 멘토링 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여 구매할 수 있다.
이용자 그룹(120)이 멘토링 시스템(130)에 제공하는 정보는 가입 정보(121), 결제 수단 정보(122), 대면 계획 정보(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 정보(121)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을 위해 제공하는 정보로, 이용자(멘티)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거지역 및 활동지역, 관심분야 또는 관심 자격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122)는 멘토가 제공하는 콘텐츠나 멘토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 지불 수단에 대한 것으로, 카드 결제를 위한 카드 번호, 현금 결제를 위한 은행 계좌, 연계 포인트나 연계 기프티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카드 결제나 현금 결제를 기본으로 하되, 연계된 기업이나 서비스의 포인트 및 기프티콘을 활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k 캐쉬백 포인트, L 포인트, H 포인트 등의 다양한 잠자고 있는 포인트를 활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유효기간이 가까운 커피나 간식 기프티콘, 온라인 콘텐츠 기프티콘, 구글플레이 기프트 카드 등을 활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대면 계획 정보(123)는 멘티와 멘토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 시 필요한 정보로, 멘티가 선호하는 멘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대면 계획 정보(123)는 멘티가 원하는 자격증이나 시험 정보, 대면 가능 스케줄, 대면 가능 지역, 선호 멘토 연령이나 성별, 원하는 커리큘럼이나 수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면 계획 정보(123)는 이용자, 즉 멘티들을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파라미터로 사용되게 되며, 관심 자격증이나 시험이 동일하거나,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 매칭 지역이 유사한 멘티들을 분류하여, 멘토와 함께 1:n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할 수 있게 한다. 즉, 멘토와의 1:1 멘토링 수업이나 서비스 비용이 부담되는 멘티는 다른 멘티들의 대면 계획 정보(123)를 참고로 단체 멘토링 수업을 신청하거나 매칭할 수 있다.
멘토링 시스템(130)은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들과 멘토 그룹(110)의 멘토들을 매칭하도록 중개하거나 멘토 그룹(110)의 콘텐츠를 이용자 그룹(120)에서 구매하도록 중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멘토링 시스템(130)은 멘토 검증부(131), 정보 제공부(132),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 및 비용 정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멘토 검증부(131)는 멘토 그룹(110)의 멘토들이 제공하는 자격 정보(111)를 기반으로 멘토들에 대한 자격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멘토 검증부(131)는 멘토들이 보유한 자격증 및 해당 자격증의 취득일을 통해 최근 1년 이내에 자격증을 취득하였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이를 통해 검증된 자격증 취득 노하우 및 생생한 수험 후기들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멘토 검증부는 멘토의 이력사항, 예를 들면 멘토의 신분증, 나이, 성별, 주거지역이나 활동지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해당 멘토를 검증 및 분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멘토들이 업로드한 텍스트 및 동영상 콘텐츠 이외에 멘티와 멘토간 오프라인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기 때문에, 멘토의 나이와 성별 및 주거/활동지역을 파라미터로 하여 멘토를 분류하게 된다. 또한, 멘토 검증부(131)는 해당 멘토가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멘토의 인성을 평가하게 된다. 멘토의 인성 평가는 전화, 설문지, 인터뷰 등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멘토의 인성 평가 결과는 이용자(멘티)들에게 공개되어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택 및 판단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또한, 멘토 검증부(131)는 해당 멘토의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의 구매자 또는 면대면 멘토링 수업 참여자의 이용후기를 통하여 해당 멘토의 자격을 검증하게 된다.
정보 제공부(132)는 멘토 그룹(110)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가 비용을 지불하고 콘텐츠를 구매하게 된다. 정보 제공부(132)는 각 멘토별로 텍스트 콘텐츠(112)나 동영상 콘텐츠(113)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각 콘텐츠들은 정보 제공자인 멘토 또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결정한 금액을 가질 수 있다. 즉, 정보 제공부(132)에 저장된 다양한 콘텐츠들은 각각 차별화된 금액을 가지게 되며, 예를 들면 텍스트 콘텐츠(112)는 정보를 제공하는 멘토가 가격을 결정하고, 동영상 콘텐츠(113)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32)에서 각 콘텐츠에 부여된 가격(금액)은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수익과 정보 제공자(멘토)에게 부여되는 정보 제공자 수익을 포함하는 금액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콘텐츠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사가 20%의 수익을 가져가고 정보 제공자(멘토)가 80%의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사가 50%의 수익을 가져가고 정보 제공자(멘토)가 50%의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 이러한 수익 배분 비율은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사와 정보 제공자(멘토) 사이의 계약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와 달리 정보 제공자(멘토)의 실적이나 이용자 후기에서 우수 멘토로 선정되는 경우 수익 배분 비율이 조정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로,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이용자 그룹(120)의 멘티와 멘토 그룹(110)의 멘토 사이의 오프라인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기 위한 것이다.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멘토 그룹(110)의 멘토가 제공하는 멘토링 계획 정보(114)를 기초로 다양한 멘토들을 그룹화하여 이용자 그룹(120)에게 공개할 수 있다.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멘토가 보유한 자격증의 종류, 교육을 위한 멘토링 계획서, 멘토링 결과보고서, 멘토링 일지, 멘토의 멘토링 수업 가능 일정, 매칭 가능 지역, 멘토의 이력사항(성별, 나이, 선호 멘티 성향) 등의 정보를 공개하며, 이들 정보를 토대로 그룹화될 수 있다.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최근 1년 이내에 동일 자격증을 취득한 멘토들을 그룹화하고, 이 멘토들의 멘토링 매칭 가능 지역을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그룹화하고, 동일 행정구역 내 멘토들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 가능 일정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용자(멘티)가 서울 강남구 서초동에 거주하는 경우,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멘티가 건축기사 자격증을 보유한 멘토 그룹에서 서초동에 거주하거나 서초동에서 활동하는 멘토들을 필터링한 후, 멘토들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 가능 요일이나 시간 등을 검토하여 멘토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133)는 동일한 자격증에 관심이 있으며 멘토링 가능 지역이 유사한 다른 이용자(멘티)를 소개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자격증에 대하여 한명의 멘토와 복수의 멘티 사이의 1:n 멘토링 수업을 매칭할 수 있도록, 멘티에게 다른 멘티를 소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매칭된 멘토와 멘티 사이에서 면대면 멘토링 수업이 체결되게 되며, 이때 면대면 멘토링 수업의 비용(수강료)가 결정되게 된다. 멘토링 수업 수강료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결정되게 되며,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사는 수강료의 20%를 수익으로 하고, 멘토는 80%의 수익을 가져가게 된다. 이러한 수익 배분 비율은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사와 멘토 사이의 계약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와 달리 멘토의 실적이나 이용자 후기에서 우수 멘토로 선정되는 경우 수익 배분 비율이 조정될 수도 있다.
비용 정산부(134)는 이용자 그룹(120)에 의해 소비되는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에 대하여 비용을 정산하기 위한 것이다. 비용 정산부(134)는 이용자 그룹(120)에 대하여 다양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며, 결제되어 이용된 컨텐츠의 정보 제공자(멘토)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완료하거나 진행 중인 멘토에게 일정 수준의 수수료를 제외한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비용 정산부(134)는 카드 결제, 현금 결제, 포인트나 기프티콘 결제와 같은 결제 수단을 이용자 그룹(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용 정산부(134)는 멘토 그룹(110)의 각각의 멘토에 대하여 수익을 정산하게 되며 멘토가 제공한 텍스트 콘텐츠(112), 동영상 콘텐츠(113),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 각각에 대하여 일정 수수료를 제외한 수익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자격증을 보유한 멘토가 제공하는 텍스트/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통해 멘토에게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고,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멘토에게 최근 합격자의 살아있는 수험 및 합격 노하우, 수험 정보, 수험 팁, 교육 자료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6)

  1. 자격증이나 시험 관련 수험 정보나 노하우를 구매하는 멘티들을 포함한 이용자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자격증이나 시험, 취업 및 입시 관련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 그룹;
    상기 이용자 그룹으로부터 제공된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하여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 사이의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여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의 자격 여부를 검증하는 멘토 검증부, 상기 텍스트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와 상기 멘토 그룹의 멘토 사이의 1:1 또는 1:n 면대면 멘토링 수업을 매칭하는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및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의 비용을 정산하는 비용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멘토 검증부는 상기 멘토가 보유한 자격증 종류, 자격증 취득일을 통한 멘토 자격 검증, 상기 멘토와의 설문지, 전화 및 인터뷰를 통한 상기 멘토의 인성 검증 결과 및 상기 멘토의 콘텐츠 및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리뷰를 통한 이용자 리뷰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멘토의 자격증 정보, 멘토링 매칭 가능 지역 및 멘토링 가능 스케줄을 토대로 상기 멘토들을 그룹화하여 상기 이용자 그룹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멘토링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용자 그룹의 멘티가 제공하는 멘티의 관심 자격증이나 시험, 멘티의 거주 및 활동 지역, 멘토링 가능 스케줄을 토대로 동일 자격증이나 시험을 통해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하는 다른 멘티를 소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용 정산부는 상기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또는 면대면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카드 결제 수단, 현금 결제 수단, 연계 포인트 결제 수단 또는 연계 기프티콘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107660A 2020-08-26 2020-08-26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026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60A KR20220026756A (ko) 2020-08-26 2020-08-26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60A KR20220026756A (ko) 2020-08-26 2020-08-26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56A true KR20220026756A (ko) 2022-03-07

Family

ID=8081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60A KR20220026756A (ko) 2020-08-26 2020-08-26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6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10B1 (ko) * 2023-02-17 2023-10-06 엄흥수 비대면 입시생-멘토 매칭 플랫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10B1 (ko) * 2023-02-17 2023-10-06 엄흥수 비대면 입시생-멘토 매칭 플랫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 et al.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 2
Sandfort et al. Effective implementation in practice: Integrating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LaRocque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basic education: An international review
Yoong et al. A toolkit for the evaluation of financial capability progra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Conrad et al. Report on the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earners using OER
EP3789952A1 (en) Talent and work experience-centered credit recognition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using same
Henderson et al. Bridging the high school-college gap: The role of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s
CN106372979A (zh) 一种在线教育产品交易方法及交易平台
Anderson et al. Virtual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business coaching: Examining the impact on marketing strategies and sales
US201502062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ndraising
KR20220026756A (ko) 수험 정보 제공 시스템
Conrad et al. Report on the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earners using Open Education Resources (OER)
Deming et al. Navigating Public Job Training
Ward Effective grants management
Bateman et al. Quality assurance arrangements related to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s in ASEAN and their impact on higher education
Sikayu A Study of Tax Authority Information Assistance in Malaysia: Determinants of Its Usage and Impacts on Tax Compliance
Okoli et al. Business Models for Online Education and Open Educational Resources
Shaya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Systems in Lebanon: Prospects and Barriers
Evans Jr Implementing Financial Literacy in K-12 Schools: A Survey of School Leaders’ Beliefs and Knowledge
Manchanda Quality issues and challenges: a study of the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in Singapore
Dang et al. BECO (Business,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Other) Framework for Providing Effective and Comprehensive Supportive Services to Disadvantaged Business Enterprises in the United States
Mathur An Exploratory Study on Perceived Usefulness of Selected e-Governance Initiatives in Value Creation in the State of Gujarat
Chang et al. Fly agency: Business plan
Brisbois et al. Lessons from other countries regarding incentives for employer-sponsored training
Horton Ed D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ies: State Education Policy Influence on Student Diversity in Dual Credit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