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696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696A
KR20220026696A KR1020200107533A KR20200107533A KR20220026696A KR 20220026696 A KR20220026696 A KR 20220026696A KR 1020200107533 A KR1020200107533 A KR 1020200107533A KR 20200107533 A KR20200107533 A KR 20200107533A KR 20220026696 A KR20220026696 A KR 2022002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seating
refrigerato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696A/en
Publication of KR2022002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6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2Shelves made of glass or cera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frigerator in which a shelf of a shelf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rim frame, and through this, cleaning or washing of the shelf can b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shelf assembly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cabinet; and a cold air cover accommodated in the shelf assembly to open a front surface of a storage space positioned below it, or drawn out from the shelf assembly and block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ositioned below i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각 저장 공간 내의 냉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냉기커버가 구비된 선반 조립체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shelf assembly provided with a cold air cover for preventing leakage of cold air in each storage spac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이나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is provided to store various foods or beverages for a long time with cold air generated by using the circulation of a refrigerant according to a refrigeration cycle.

이와 같은 냉장고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은 각 저장품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구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 조립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refrigerator provides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stored goods such as food or beverage to be stored, and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a plurality of shelf assemblies so that the storage compartments can be sto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each stored product. done so as to

상기 선반 조립체는 그의 상측 저장 공간 혹은, 하측 저장 공간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판재로 선반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명 재질의 판재는 제품의 고급화 및 변형의 방지를 위해 유리선반(강화유리)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shelf assembly forms a shelf with a transparent plate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storage space or the lower storage space can be checked, and the transparent plate material is a glass shelf (tempered glass) to improve product quality and prevent deformation This is mainly used.

이와 함께, 상기 유리선반의 테두리 부위에는 냉장고의 고내 벽면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테두리 프레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상기 유리선반과의 기밀을 위해 이중 사출로 상기 유리선반에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있다.At the same time, an edge fram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glass shelf to prevent slipping while allowing it to be accurately se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or. At this time, the frame frame is formed to form an integral body with the glass shelf by double injection for airtightness with the glass shelf.

한편,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반 조립체는 유리선반의 상면에 음식물 등을 얹어서 보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식물로부터 넘친 수분이 상기 유리선반의 상면으로 흘러 내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el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food and the like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helf and stored, moisture overflowing from the food may flow do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helf.

하지만, 상기 흘러내린 수분은 유리선반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과의 결합 틈새로 침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이렇게 틈새로 침투된 수분은 빙결로 인한 팽창이 발생되면서 상기 유리선반과 테두리 프레임 간의 결합을 더욱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flowed moisture penetrated into the coupling gap with the edge frame coupled to the edge of the glass shelf, and the moisture that penetrated through the gap was expanded due to freezing,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glass shelf and the edge frame There was a problem that further weakened the

이에 따라, 상기 유리선반의 상면으로 흘러내린 수분은 바로 청소(혹은, 세척)를 하여야 함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청소를 위해서는 선반 조립체 전체를 이너케이스의 내벽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저장실 외부로 취출한 후 수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 청소가 어려울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immediately clean (or wash) the moisture that has flowed do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helf, but for such cleaning, the entire shelf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cleaning had to be difficult because it had to be done.

특히, 최근에는 각 선반 조립체에 냉기커버를 추가로 제공하여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에도 해당 저장 공간 내의 냉기가 유출됨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cold air cove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each shelf assembly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storage space even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이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11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6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28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38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8752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111165,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28616,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52826,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9-0133875,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As disclosed in Patent No. 10-2020-0008752, etc.

이러한 냉기커버가 구비되는 선반 조립체의 경우 저장물의 취출시 해당 저장 공간의 전방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냉기커버의 수납이나 취출을 위한 테두리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In the case of the shelf assembly provided with such a cold air cover, the structure of the frame frame for storing or taking out the cold air cover is inevitably complicated because it must be configured to open the front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when the stored material is taken out.

특히,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유리선반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냉기커버가 구비되는 선반 조립체의 유리선반에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 수분이 흘러내린다면 해당 선반 조립체 전부를 취출한 후 전 부위를 세척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rim fram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glass shelf through injection molding, if moisture flows down, such as food pouring onto the glass shelf of the shelf assembly provided with the cold air cover, the entire shelf assembly is taken out.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ash the entire area after doing i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116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11116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61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86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28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28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387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387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875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8752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커버를 가지는 선반 조립체의 선반에 대한 청소나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form of cleaning or washing of a shelf of a shelf assembly having a cold air cover. A refrigerator is provi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선반 조립체는 상면에 안착부가 형성된 테두리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helf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dge frame having a seat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테두리 부위가 테두리 프레임의 안착부 상면에 얹히거나 혹은,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m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rim frame, or may include a shelf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top.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테두리 프레임에는 전방 안착턱이 형성되고, 선반부*에는 전방 안착턱에 안착되는 전방측 안착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seating jaw is formed in the frame frame, and the shelf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seating frame mounted on the front seating jaw.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전방 안착턱은 안착부의 전면으로부터 저부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eating step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front of the seating part to the bottom.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테두리 프레임에는 후방 안착턱이 형성되고, 선반부*에는 후방 안착턱에 안착되는 후방측 안착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seating jaw is formed on the edge frame, and the shelf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ear seating frame mounted on the rear seating jaw.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후방 안착턱은 전방 안착턱에 비해 더욱 낮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eating jaw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front seating jaw.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후방측 안착프레임은 선반의 후방측 테두리를 덮어 결합되는 결합단과, 결합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연장단과, 연장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안착턱의 상면에 얹히는 안착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eating frame includes a coupling end coupled to cover the rear edge of the shelf, an extended e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end, and a seating end extending from the extended end to res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ing jaw can be done by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연장단은 안착부의 후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ed end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안착단은 연장단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end may be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from the extension end.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후방측 안착프레임은 상하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eat frame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up and down.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테두리 프레임의 양 측 끝단에는 안착부에 얹힌 선반의 양 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단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end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helf placed on the seating unit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frame.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받침단은 선반의 상면 높이에 비해 더욱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end may be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shelf.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선반 조립체의 선반이 테두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시 상기 선반만 테두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혹은,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elf of the shelf assembly can be separated from the rim frame, it is possible to clean or wash only the shelf by removing the shelf from the rim frame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리로 제조된 선반이 파손되더라도 해당 선반만 교체할 수 있어서 전체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helf made of glass is damaged, only the shelf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replacement cost.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테두리 프레임에 형성되는 전방 안착턱 및 후방 안착턱에 의해 선반의 전후 유동이 방지됨과 더불어 받침단에 의해 선반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helf is prevented by the front and rear seating jaws formed on the frame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shelf can be prevented by the support en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케이스 내부에 선반 조립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케이스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를 이루는 선반과 테두리 프레임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 확대도
도 9는 도 6의 “C”부 확대도
도 10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를 이루는 선반과 테두리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부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F”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의 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G”부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H”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를 이루는 선반과 테두리 프레임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를 이루는 선반과 테두리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I”부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to explain an internal stat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to explain an internal stat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f assembly is not installed inside an inner cas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tate of an inner cas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f constituting a shelf assembly of a refrigerator and a frame fram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6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6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6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6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f constituting a shelf assembly of a refrigerator and a fram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 11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F” of FIG. 11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away view to explain the inner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the shelf assembl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G” part of FIG. 14
16 is an enlarged view of the “H” part of FIG. 14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f constituting a shelf assembly of a refrigerator and a frame fram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elf constituting a shelf assembly of a refrigerator and a fram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18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9.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각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1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exterior and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이너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 내부가 각각의 선반 조립체(30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면서 단독으로 제공될 수 있는 컨버터블형의 냉장고임을 그 예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rtible type that can be provided alone while the storage compartment formed by the inner case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each shelf assembly 300 . Take the refrigerator as an example.

특히,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선반 조립체(300)의 선반(310)이 테두리 프레임(3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선반(310)에 대한 청소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310 of the shelf assembly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edge frame 320 so that the shelf 310 can be easily cleaned or washed.

이러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넷(1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abinet 100 .

상기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는 저장실을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cabinet 100 is configur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while providing a storage room therein.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실은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각종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The cabinet 100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opened to the front, and the storage chamber is used as a space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storage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100 .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캐비넷(100)은 외벽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20)와 내벽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5, the cabinet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20 forming an outer wall and an inner case 110 forming an inner wall.

이때,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이너케이스(110) 사이에는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단열재 혹은, 발포재가 충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캐비넷(100)의 아웃케이스(120)와 이너케이스(11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a foam material may be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 Of course,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of the cabinet 10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 내의 일부에는 증발기(170)가 구비된다.Meanwhile, an evaporator 170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formed by the inner case 110 .

상기 증발기(170)는 기계실(150)에 위치되는 압축기(151) 및 응축기(도시는 생략됨)와 함께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저장실 내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냉동 보관을 위해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evaporator 170 forms a refrigeration cycle together with a compressor 151 and a condenser (not shown) located in the machine room 150 to generate cold air supplied for refrigeration storage of the store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room.

이러한 증발기(170)는 이너케이스(110)가 형성하는 저장실 내의 저부측 후방(기계실의 상측)에 위치되며, 이 증발기(170)의 상측에는 팬모터 어셈블리(180)가 위치되면서 상기 증발기(170)를 경유한 냉기를 저장실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70)가 위치되는 공간은 그릴팬(160)에 의해 이너케이스(110)의 저장실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The evaporator 170 is located at the bottom side rear (upper side of the machine room) in the storage chamber formed by the inner case 110, and the fan motor assembly 18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70 while the evaporator 170 is located.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At this time, the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170 is located is made to be separated from the storage chamber of the inner case 110 by the grill pan 16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2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Nex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door 200 .

상기 도어(200)는 상기 캐비넷(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The door 20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cabinet 100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도어(200)는 회전식 도어가 될 수도 있고 서랍식 도어가 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도어(200)는 하나가 될 수 있고, 둘 이상의 복수가 될 수도 있다.The door 200 may be a rotary door or a drawer-type door. In addition, the door 200 may be one or a plurality of two or more.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0)가 회전식 도어로 이루어지면서도 하나만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door 200 is formed of a rotary door, only one is provided as an 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선반 조립체(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Nex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helf assembly 300 .

상기 선반 조립체(300)는 이너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선반 조립체(300)에 의해 저장공간 내부는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The shelf assembly 300 is configured to divide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inner case 110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at is,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may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the shelf assembly 300 .

상기 선반 조립체(300)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캐비넷(100)과 상기 선반 조립체(3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뿐 아니라 각 선반 조립체(300)들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wo or more shelf assemblies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abinet 100 and the shelf assembly 300 as well as a space between each shelf assembly 300 . there is.

상기한 선반 조립체(300)는 서로 분리 가능한 테두리 프레임(320) 및 선반(310)으로 구성됨을 제시한다.It is suggested that the above-described shelf assembly 300 is composed of a rim frame 320 and a shelf 310 that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즉, 종래의 선반 조립체는 선반과 테두리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반의 상면에 음식물이 흘러 내려 그 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 해당 선반 조립체 전부를 저장실로부터 분리하거나 혹은, 분리하지 않고 닦아내는 방식으로 청소할 수밖에 없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shelf assembly, since the shelf and the edge frame are integrally formed, when food flows down the top surface of the shelf to clean the shelf assembly, the entire shelf assembly may be remov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or cleaned by wiping without separation. had no choice but to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반 조립체(300)를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320) 및 선반(31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선반(310)의 상면에 음식물이 흘러 내릴 경우 상기 선반(310)만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혹은,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 320 ) and the shelf ( 310 ) constituting the shelf assembly ( 300 ) are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so that when food flows d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 310 ), the shelf ( 310)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or washed.

이러한 선반 조립체(300)를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320) 및 선반(3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frame 320 and the shelf 310 constituting the shelf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6 to 13 .

먼저,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을 설명한다.First, the frame 320 will be described.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은 선반(310)이 얹힘과 더불어 후술될 냉기커버(400)가 수납 혹은,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rim frame 320 is configured to serve as a portion for guiding the shelf 310 to be placed and the cold air co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accommodated or drawn out.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은 이너케이스(110) 내의 양 측벽면에 양 단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110) 내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을 얹기 위한 선반얹음용 돌기(131) 및 선반장착용 홈(132)이 구비(첨부된 도 4 및 도 5 참조)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rame frame 320 are installed on both sidewalls in the inner case 110 . At this time,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inner case 110 are provided with shelf-mounting protrusions 131 and shelf-mounting grooves 132 for mounting the edge frame 320 (see attached FIGS. 4 and 5). can

상기 선반얹음용 돌기(131) 및 선반장착용 홈(132)은 이너케이스(110)의 양 측 벽면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너케이스(11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 혹은, 요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110)의 벽면과는 별개로 제조된 후 상기 벽면에 나사 혹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 설치될 수도 있다.The shelf-mounting protrusions 131 and shelf-mounting grooves 13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wal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inner case 110 so as to protrude or inden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 It may be formed, or it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n coupled and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using screws or adhesives.

이때,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양 측벽면 후방측 부위에는 상기 선반장착용 홈(13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322)(첨부된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coupling protrusions 322 (see attached FIG. 6 )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helf mounting grooves 132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portions of both sidewalls of the frame frame 3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프레임(320)은 선반(310)을 얹기 위한 안착부(3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The edge frame 3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323 for placing the shelf 310 on it.

이러한 안착부(323)는 내부가 개방된 사각틀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테두리 프레임(320)의 상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사각틀 형상의 안착부(323) 상면에 선반(310)의 네 테두리 부위가 각각 얹혀 설치되는 것이다.The seating part 323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frame 320 while having an open rectangular frame structure. That is, the four rim portions of the shelf 31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shaped seating portion 323 and installed.

특히,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양 측 끝단에는 상기 안착부(323)에 얹힌 선반(310)의 양 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단(324)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선반(310)은 양 측으로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support ends 324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helf 310 mounted on the seating part 32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dge frame 320 . Accordingly, the shelf 31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both sides.

상기 받침단(324)은 상기 선반(310)의 상면 높이에 비해 더욱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선반(310)에 구비되는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이 상기 받침단(324)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디자인 불만이 방지될 수 있다.The support end 324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310 . This is to ensure that the front side seating frame 330 provided on the shelf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inc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324, thereby preventing design complai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프레임(320)은 냉기커버(400)의 수납을 위한 가이드부(321)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dge frame 3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art 321 for accommodating the cold air cover 400 .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안착부(323)의 양 측 저부에 각각 형성되어 냉기커버(400)의 양 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안착부(323)로부터 이격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이격 부위 내로 냉기커버(4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part 3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323 to support both ends of the cold air cover 400 , and in particular, the guide part 321 is the seating part 323 . ) is formed so that the cold air cover 400 can be accommodated in this spaced-apart region.

상기 가이드부(321)의 내측 벽면에는 가이드홈(321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1a)에는 냉기커버(400)의 힌지(도시는 생략됨)가 수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 guide groove 321a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part 321 . A hinge (not shown) of the cold air cover 40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321a while being accommodated therein.

한편,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전방측 끝단 상면에는 전방 안착턱(325)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front seating sill 32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rim frame 320 .

상기 전방 안착턱(325)은 선반(310)에 결합되는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부위로써, 상기 받침단(324)의 전면으로부터 저부로 단턱지게 형성된다.The front seating jaw 325 is a portion provided to seat both ends of the front seating frame 330 coupled to the shelf 310 , and is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end 324 to the bottom.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안착턱(325)은 테두리 프레임(320)의 양 끝단 전방인 받침단(324)의 전면으로부터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의 양 끝단은 상기 전방 안착턱(325)에 안착된 상태로 그 후면이 받침단(324)의 전면에 밀착됨으로써 후방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seating protrusion 325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front of the support end 324 that is in front of both ends of the frame frame 320 . As a result, both ends of the front seating frame 330 are seated on the front seating jaw 325 and their rear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end 324 to prevent flow to the rear side.

이와 함께,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후방측 끝단에는 후방 안착턱(326)이 형성된다.At the same time, a rear seating jaw 32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edge frame 320 .

상기 후방 안착턱(326)은 선반(310)에 결합되는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부위로써, 상기 안착부(323)의 배면으로부터 저부로 단턱지게 형성된다.The rear seating jaw 326 is a portion provided to seat both ends of the rear seating frame 340 coupled to the shelf 310 , and is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to the bottom.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안착턱(326)은 테두리 프레임(320)의 양 끝단 전방인 안착부(323)의 배면으로부터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의 양 끝단은 상기 후방 안착턱(326)에 안착된 상태로 그 전면이 안착부(323)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전방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ar seating protrusion 326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in front of both ends of the frame frame 320 . As a result, both ends of the rear seating frame 340 are seated on the rear seating jaw 326 and the front of the rear seating frame 3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to prevent flow to the front side.

특히, 상기 후방 안착턱(326)은 전방 안착턱(325)에 비해 더욱 낮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안착턱(326)에 안착되는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반(310)의 전방이 원치않게 들어올려져 전방 안착턱(325)으로부터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이 쉽게 이탈된다 하더라도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은 후방 안착턱(326)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rear seating jaw 326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seating jaw 325 so that the rear seating frame 340 seated on the rear seating jaw 326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do. That is, even if the front side of the shelf 310 is lifted undesirably and the front side seating frame 33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ront seating jaw 325, the rear side seating frame 340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ing jaw 326. made to keep it.

다음은, 상기 선반(310)을 설명한다.Next, the shelf 310 will be described.

상기 선반(310)은 저장물이 얹히면서 각 저장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부위이다.The shelf 310 is a portion that divides each storage space up and down while placing a storage item.

이러한 선반(310)은 평판의 판재로 형성되면서 그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안착부(323) 상면에 얹히거나 혹은,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helf 310 is made of a flat plate, and its rim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of the rim frame 320 or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top.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310)은 저장공간 내부의 확인을 위해 투시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 가능한 재질은 유리 혹은, 투명 플라스틱이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helf 3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o check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include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310)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에는 전방측 안착프레임(330) 및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이 각각 구비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6 , a front side mounting frame 330 and a rear side mounting frame 340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helf 310 ,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은 선반(31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유동을 제한하는 부위로써, 선반(310)의 전방측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선반(310)에 비해 양 측으로 더욱 길게 형성(첨부된 도 9 참조)되면서 상기 전방 안착턱(325)에 안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Here, the front seat frame 330 is a portion that restricts the flow so that the shelf 310 does not move backward,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310 and is positive compared to the shelf 310 . It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front seating jaw 325 while being formed longer to the side (see attached FIG. 9 ).

특히, 상기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의 경우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이나 선반(310)과는 다른 재질 혹은,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과는 다른 느낌의 재질감 혹은, 다른 느낌의 색상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ront seat frame 330 , the frame 320 or shelf 310 is made of a material or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ame 320 , so that the frame 320 has a different texture or feel. It may be configured to give a sense of color.

그리고,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은 선반(310)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유동을 제한함과 더불어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유동을 제한하는 부위이다.In addition, the rear seat frame 340 is a portion that restricts the flow so that the shelf 310 does not move left and right and also restricts the flow so that it does not move forward.

이러한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은 첨부된 도 10과 도 16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310)의 후방측 테두리를 덮어 결합되는 결합단(341)과, 상기 결합단(341)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안착부(323)의 후벽면에 밀착되는 연장단(342)과, 상기 연장단(342)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후방 안착턱(326)의 상면에 얹히는 안착단(3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ar mounting frame 340 has a coupling end 341 that covers the rear edge of the shelf 310 and is coupled thereto, and the coupling end 341 as shown in FIGS. 10 and 16 and 19 attached thereto. It includes an extension end 342 that extends downward from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23, and a seating end 343 that is extended from the extended end 342 and re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ing jaw 326. is done by

이때,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의 외면은 테두리 프레임(320)에 형성된 받침단(324)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을 이루는 안착단(343)의 저면은 상기 후방 안착턱(326)의 상면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을 이루는 연장단(342)의 전면은 안착부(323)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eating frame 340 is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324 formed in the frame frame 320 ,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end 343 constituting the rear seating frame 340 .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ing jaw 326 and the front of the extended end 342 constituting the rear seating frame 340 is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

특히, 상기 안착단(343)은 상기 연장단(342)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탄력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한 안착단(343)의 상하 탄력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인해 상기 후방 안착턱(326)에 정확히 안착되면서도 선반(310)의 각 테두리가 안착부(323)의 상면에 정확히 얹힐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seating end 343 is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from the extension end 342,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up and down. That i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ting end 343 is possible, each edge of the shelf 310 can be accurate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while being accurately seated on the rear seating jaw 326. .

이와 함께, 상기 안착단(343)에는 과도한 상하 압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돌기(3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한돌기(344)는 상기 안착단(343)의 서로 대향되는 상면이나 저면 중 어느 한 면(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면)으로부터 다른 한 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과도한 압축력의 제공시 그 압축을 제한하도록 작용된다.In addition, a limiting protrusion 344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end 343 to prevent excessive vertical compression deformation. At this time, the limiting protrusion 344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ther surface from either the opposit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end 343 (the upper surfa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erves to limit compression.

한편, 선반(310)과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을 이루는 결합단(341) 간의 접촉면 사이에는 씨일부재(3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6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a seal member 345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helf 310 and the coupling end 341 constituting the rear mounting frame 340 . This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16 and 1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커버(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Nex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d air cover (400).

상기 냉기커버(400)는 각 공간(복수의 선반 조립체 사이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아 해당 공간 내에 존재하는 냉기의 원치않는 유출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The cold air cover 400 serves to block the open front of each space (a space created by a plurality of shelf assemblies) to minimize the unwanted outflow of cold air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space.

이러한 냉기커버(400)는 평판의 판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간 내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d air cover 400 is formed of a flat plate material, and preferably,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so that the inside of the space can be checked.

상기 냉기커버(400)는 상기 각 선반 조립체(300)에 수납 혹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cold air cover 400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or withdrawn from each shelf assembly 300 .

즉, 상기 냉기커버(400)는 선반 조립체(300)의 안착부(323)와 가이드부(321) 사이의 공간으로 수납(첨부된 도 14 내지 도 18 참조)되면서 그 아래에 위치되는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그 아래에 위치되는 저장 공간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기능을 한다.That is, the cold air cov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ating part 323 and the guide part 321 of the shelf assembly 300 (refer to attached FIGS. 14 to 18 ) and is located under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to opening the front, it functions to block the open front of the storage space that is drawn out from the space and located below it.

이때, 상기 냉기커버(400)의 후방측 양 측면에는 힌지(도시는 생략됨)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부(321)의 가이드홈(321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32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hinges (not shown) ar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cold air cover 400 an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321a of the guide part 321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s 321a. configured to be installed.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 조립체에 대한 청소시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cleaning the shelf assembl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선반 조립체(300)를 이루는 테두리 프레임(320)의 안착부(323) 상면에 선반(310)이 안착된 상태로 제공된다.First, in general use, the shelf 310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of the edge frame 320 constituting the shelf assembly 300 .

이때, 상기 선반(310)은 그 저면의 네 테두리 부위가 상기 안착부(323) 상면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선반(310)의 전방측 끝단에 구비된 전방측 안착프레임(330)은 테두리 프레임(320)의 전방 안착턱(325)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선반(310)의 후방측 끝단에 구비된 후방측 안착프레임(340)은 테두리 프레임(320)의 후방 안착턱(326)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shelf 310 is maintained in a state that the four edge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323, and the front seating frame 330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helf 310 is the edge The rear seating frame 34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helf 31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front seating jaw 325 of the frame 320 , and the rear seating jaw 326 of the rim frame 320 is maintained. ) and remain seated.

이에 따라, 상기 선반(310)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의 안착부(323)에 전후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얹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helf 310 maintains a stat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323 of the edge frame 320 in a state in which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prevented.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310)에 상관없이 냉기커버(400)가 안착부(323)와 가이드부(321) 사이에 수납되거나 혹은, 상기 안착부(323)와 가이드부(321)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In this state, regardless of the shelf 310 , the cold air cover 40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eating part 323 and the guide part 321 or withdrawn from between the seating part 323 and the guide part 321 . can be

그리고, 전술된 상태로 사용 중 사용자의 부주의나 여타의 원인에 의해 선반(310)의 상면으로 음식물이 흐르거나 혹은,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use in the above-described state, food or moisture may flow do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310 due to user's carelessness or other causes.

이의 경우에는, 상기 선반(310)을 테두리 프레임(320)으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선반(310)에 얹혀진 저장물이나 물품(예컨대, 음식물이 보관된 통 등)이 있다면 해당 물품을 치운 후 선반(310)을 분리한다.In this case, the shelf 310 is lifted upward from the edge frame 320 . At this time, if there is a storage item or item (eg, a container in which food is stored) placed on the shelf 310 , the shelf 310 is separated after removing the item.

이로써, 선반(310) 및 이 선반(310)의 전방측 끝단과 후방측 끝단에 고정된 각 안착프레임(330,340)은 테두리 프레임(3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첨부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Accordingly, the shelf 310 and each of the seating frames 330 and 340 fix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helf 310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frame 320 . This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7 .

이때, 상기 테두리 프레임(320)은 이너케이스(1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선반얹음용 돌기(131)에 얹힌 상태 및 선반장착용 홈(132)에 결합돌기(322)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선반(310)과 함께 들림은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frame 320 is placed on the shelf mounting projection 131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coupling projection 322 is coupled to the shelf mounting groove 132 to be maintained. Therefore, lifting together with the shelf 310 is prevented.

그리고, 상기 분리한 선반(310)은 세척하거나 혹은, 청소한 후 첨부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320)의 안착부(323)에 안착시킨다.Then, the separated shelf 310 is washed or, after cleaning,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23 of the rim frame 320 as shown in FIGS. 18 and 19 .

이로써, 선반(310)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helf 310 can always maintain a clean sta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선반 조립체(300)의 선반(310)이 테두리 프레임(3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시 상기 선반(310)만 테두리 프레임(320)으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혹은,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elf 310 of the shelf assembly 30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rim frame 320 , only the shelf 310 is separated from the rim frame 320 when necessary. It can be cleaned or wash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선반(310)이 파손되더라도 해당 선반(310)만 교체할 수 있어서 전체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helf 310 is damaged, only the shelf 310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replacement cost.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테두리 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전방 안착턱(325) 및 후방 안착턱(326)에 의해 선반(310)의 전후 유동이 방지됨과 더불어 받침단(324)에 의해 선반(31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helf 310 is prevented by the front seating jaws 325 and the rear seating jaws 326 formed on the frame 320, and the shelf 310 is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support end 324. 3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100. 캐비넷 110. 이너케이스
120. 아웃케이스 131. 선반장착용 돌기
132. 선반장착용 홈 150. 기계실
151. 압축기 160. 그릴팬
170. 증발기 180.팬모터 어셈블리
200. 도어 300. 선반 조립체
310. 선반 320. 테두리 프레임
321. 가이드부 321a. 가이드홈
322. 결합돌기 323. 안착부
324. 받침단 325. 전방 안착턱
326. 후방 안착턱 330. 전방측 안착프레임
340. 후방측 안착프레임 341. 결합단
342. 연장단 343. 안착단
344. 제한돌기 345. 씨일부재
100. Cabinet 110. Inner case
120. Outer Case 131. Shelf Mounting Protrusion
132. Shelf mounting groove 150. Machine room
151. Compressor 160. Grill Pan
170. Evaporator 180. Fan Motor Assembly
200. Door 300. Shelf assembly
310. Shelf 320. Border Frame
321. Guide portion 321a. guide home
322. coupling protrusion 323. seating part
324. Support end 325. Front seating jaw
326. Rear seating jaw 330. Front seating frame
340. Rear side seating frame 341. Combination end
342. Extension end 343. Landing end
344. Limiting projection 345. Seal member

Claims (10)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의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선반 조립체;
상기 선반 조립체에 수납되어 그 아래에 위치되는 저장 공간의 전면을 개방하거나 혹은, 상기 해당 선반 조립체로부터 인출되어 그 아래에 위치되는 저장 공간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냉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조립체는
상기 캐비넷 내의 양 측벽면에 양 단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냉기커버의 수납을 위한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면에는 내부가 개방된 사각틀 구조의 안착부가 형성된 테두리 프레임과,
테두리 부위가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안착부 상면에 얹히거나 혹은,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저장물이 얹히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냉장고.
cabinets forming a storage room;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shelf assembly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cabinet;
and a cold air cover accommodated in the shelf assembly to open a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ositioned below it, or a cold air cover drawn out from the shelf assembly and block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ositioned below it;
The shelf assembly is
A rim frame having both ends installed on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cabinet and a guid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ld air cover,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of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with an open interior;
A refrigerator configured to include a shelf on which stored items are placed while the edge par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of the edge frame or is detachably installed to the t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전방측 끝단 상면에는 전방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의 전방측 테두리에는 상기 전방 안착턱에 안착되는 전방측 안착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front seating jaw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rame fram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ont side mounting frame mounted on the front mounting jaw is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shel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안착턱은 테두리 프레임의 양 끝단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안착프레임은 양 끝단이 선반의 양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면서 상기 전방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seating jaw is formed in front of both ends of the frame frame,
and wherein both ends of the front mounting frame protrude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shelf to be seated on the front mounting jaw.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후방측 끝단에는 후방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의 후방측 테두리에는 상기 후방 안착턱에 안착되는 후방측 안착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A rear seating jaw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fram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ar seating frame is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shelf to be seated on the rear seating jaw.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안착턱은 상기 전방 안착턱에 비해 더욱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eating jaw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seating jaw.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은
상기 선반의 후방측 테두리를 덮어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안착부의 후벽면에 밀착되는 연장단과,
상기 연장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후방 안착턱의 상면에 얹히는 안착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mounting frame is
a coupling end that covers the rear edge of the shelf and is coupled;
an extension end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coupling en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eating end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end and re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ating jaw.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은 상기 연장단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ating end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from the extension e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안착프레임은 상하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seat fram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양 측 끝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얹힌 선반의 양 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support end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helf mounted on the seating part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fra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단은 상기 선반의 상면 높이에 비해 더욱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end is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KR1020200107533A 2020-08-26 2020-08-26 refrigerator KR202200266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33A KR20220026696A (en) 2020-08-26 2020-08-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33A KR20220026696A (en) 2020-08-26 2020-08-26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696A true KR20220026696A (en) 2022-03-07

Family

ID=8081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533A KR20220026696A (en) 2020-08-26 2020-08-2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6696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165A (en) 2006-05-30 2008-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KR20100128616A (en)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shelf assembly for the rerfigerator
KR20110052826A (en)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파세코 Shelf for refrigerator
KR20190133875A (en)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shelf with cold cover for refrigerator
KR20200008752A (en)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obility of a cold cover is improv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165A (en) 2006-05-30 2008-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KR20100128616A (en)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shelf assembly for the rerfigerator
KR20110052826A (en)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파세코 Shelf for refrigerator
KR20190133875A (en)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shelf with cold cover for refrigerator
KR20200008752A (en)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A refrige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obility of a cold cover is improv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693B2 (en) Cooling receptacle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EP2314965A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US6484529B2 (en) Cabinet construction for an ice maker or other refrigeration appliance
KR20130045538A (en) Refrigerator
KR101677611B1 (en) Refrigerator with sliding doors
US20050132740A1 (en) Cosmetic storing unit of refrigerator
KR20220026696A (en) refrigerator
KR20060126002A (en) Kimchi vessel with sealing press plate
KR101342175B1 (en) A shelf for refrigerator
US2114170A (en) Refrigerator cabinet
KR101857655B1 (en) Refrigerator
CN11156642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rench double doors for freezer compartments
KR101803625B1 (en) A refrigerator
KR101884349B1 (en) Refrigerator
KR100766565B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20220022195A (en) refrigerator
KR100821560B1 (en) Refrigerator
KR100792053B1 (en) Drawer-car used in a refrigerator
CN214892045U (en) Embedded refrigeration utensil that practicality is high
KR20130053215A (en) Refrigerator
KR200240646Y1 (en) An assembly structure of built in type Kim-Chi storage
KR200240645Y1 (en) A cover panel assembly structure of built in type Kim-Chi storage
KR100737425B1 (en) Supporter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refrigerator and frame assembler
KR200297195Y1 (en) A door pocket of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