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711A -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711A
KR20220025711A KR1020217038812A KR20217038812A KR20220025711A KR 20220025711 A KR20220025711 A KR 20220025711A KR 1020217038812 A KR1020217038812 A KR 1020217038812A KR 20217038812 A KR20217038812 A KR 20217038812A KR 20220025711 A KR20220025711 A KR 2022002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s
plane
less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데니스 라피테
프랜신 베하르 코헨
크리스토프 무로
프랑코이스 카바우드
제롬 조셉 쉐퍼
트라비스 마이클 크라프트
벤자민 리 고
제이콥 윌리엄 슈베르트
마이클 디 올드
Original Assignee
아이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벤시스 filed Critical 아이벤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16Anode and cathode
    • A61N1/042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61N1/303Constructional details
    • A61N1/306Arrangements where at least part of the apparatus is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 A61F2009/0052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the instrument being supported on the patient's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10)를 포함하는 지지부(4)로서, 지지 베이스(10)는,
-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18), 및
- 림 평면(P20)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20)을 규정하는, 지지부(4); 및
-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로서,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으며 최대로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를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각각 제1 및 제2 바늘은 제1 및 제2 삽입 축(△8a; △8b)을 따라 연장하며, 이들의 팁은,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의해 분리되는 가상 구의 제1 및 제2 반구에 각각 속하는 제1 및 제2 삽입점(M8a; M8b) 상에 위치하며,
중앙 반경 평면과 임의의 삽입 축 사이의 각도(θ)는 70°와 110° 사이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본 발명은 눈에 바늘을 삽입하는, 특히 눈의 모양체근(ciliary muscle)에 생성물(product)을 주사하기 위한 전기 천공 장치의 전극 바늘을 삽입하는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출원 제WO2016/166172호는 눈의 모양체근에 생성물을 주사하기 위한 전기 천공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눈에의 전극 바늘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위치지정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각각의 바늘은 눈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삽입된다. 바늘이 표면과 충돌할 때 바늘의 충격은 그에 따라 눈의 회전을 야기하여, 바늘에의 삽입을 방해한다.
눈을 유지하기 위한 클램프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클램프는 크며 추가 조작자를 필요로 한다. 앞서 언급한 단점 없이, 바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해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에 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기 천공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지부로서, 지지 베이스는,
-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을 갖는 가상 구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 및
- 눈의 각막 변연부(limbus)와 일치하도록, X축을 갖고, 5mm 초과 및 8mm 미만의 반경을 갖는 림 평면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을 규정하는, 지지부; 및
- 제1 팁 및 제2 팁을 각각 갖는 제1 바늘 및 제2 바늘로서,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은,
-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1 및 제2 추출 위치와,
-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위치 사이를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각각 1 및 제2 바늘은 제1 및 제2 삽입 축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팁은 가상 구의 제1 및 제2 반구에 각각 속하는 제1 및 제2 삽입점 상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반구는, X축을 포함하고 림의 중간-길이에 중심점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의해 분리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서, 제1 및 제2 바늘은 지지부에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추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서 종료하는 삽입 동작 동안, 제1 및 제2 바늘은, 이들이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 도달할 때 림의 중간 반경 평면을 향해 가상 구를 압박 또는 "핀치(pinch)"한다.
바람직하게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제1 및 제2 삽입 축 중 임의의 축 사이의 각도(θ)가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및/또는 170°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40° 미만, 바람직하게는 130° 미만, 바람직하게는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서,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제1 및 제2 삽입 축 중 임의의 축 사이의 각도는 70° 초과 및 110° 미만이다. 이 실시예는, 제1 및 제2 바늘이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일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어떤 양상에서도, 구형 접촉면이 눈의 외표면 상에서 연장하고 있을 때, 제1 및 제2 팁은 그러므로 이들 팁이 눈의 외표면 상에서 푸쉬되고 있으므로 눈을 압박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명하게 될 바와 같이, 압박 작용은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바늘의 삽입 동안 눈의 회전 위험을 제한한다. 게다가, 눈의 압박은 눈 내부의 팁의 삽입에 동시에 일어날 수 도 있어서, 압박 동작과 삽입 동작은 한 명의 조작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장치는 다음의 선택적이며 바람직한 특성 중 하나나 여러 개를 가질 수 있다:
-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 제1 바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바늘 및/또는 제2 바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2 바늘의 삽입 축 사이의 각도가
70°, 80° 또는 85° 초과 및/또는 110°, 100° 또는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90°이고, 제1 및 제2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정렬되며;
- 림 평면과,
- 제1 바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바늘 및/또는 제2 바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2 바늘 사이의 각도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고;
- 장치는, 제1 및/또는 제2 바늘에 각각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제1 및/또는 제2 바늘을 각각 제1 및/또는 제2 추출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제1 및/또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 장치는, 제1 및 제2 바늘에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힘은 바람직하게는 1뉴턴 초과 및 10뉴턴 미만이고;
- 모든 제1 및 제2 바늘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제1 바늘은 제2 바늘과 인터레이스(interlaced)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가상 구 내부에서, 제1 바늘은 실질적으로 제2 바늘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거나,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바늘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제1 바늘의 제1 팁과 제2 바늘의 제2 팁 사이의 거리는 1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mm 미만이며;
- 장치는 전기 천공 장치이며, 전기 발생기, 전기 발생기의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포함하는 침습성(invasive) 전극을 포함하며, 지지부는 전기 발생기의 제2 단자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전극을 또한 포함하고 가상 구를 따라 연장하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을 규정하며 규정하며;
-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바늘 평면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 바늘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바늘 평면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 바늘을 포함하고, 모든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바늘 평면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 상기 제1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제2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공통 바늘 평면은,
-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함께 70°, 80° 또는 85° 초과 및/또는 110°, 100° 또는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90°의 각도 및/또는
- 림 평면과 함께 40° 초과 및 80°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고;
- 장치는
-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천공 발생기,
-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포함하는 침습성 전극,
- 지지부에 고정되고, 제2 단자에 연결되며, 가상 구를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을 규정하는 플레이트 전극을 포함하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이 일반적인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 제1 바늘 평면 및/또는 제2 바늘 평면 및/또는 공통 바늘 평면은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 플레이트 전극은 평면에서 연장하며, 제1 바늘 평면 및/또는 제2 바늘 평면 및/또는 공통 바늘 평면은 플레이트 전극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 제1 및 제2 바늘 모두가 그 삽입 위치, 즉 상기 바늘의 완전 삽입 구성에 있을 때, 바늘과 플레이트 전극 평면 사이의 거리는 2.0과 1.3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8과 1.5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7과 1.6mm 사이이며, 플레이트 전극의 어느 지점이 고려되고 있더라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 림과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어느 지점 사이의 거리가 2mm 초과 및 6mm 미만이고;
- 장치는, 주사 바늘을 포함하고, 지지 베이스는 회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 주사 바늘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주사 위치에서, 주사 바늘의 팁은 가상 구(S)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있고;
- 바람직하게는, 주사 위치에서, 가상 구 내부로 연장되는 주사 바늘의 일부는 공통 바늘 평면과 플레이트 전극 평면 사이의 평면, 바람직하게는 중간 평면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바늘에 평행하고;
- 플레이트 전극이 눈의 외표면과 접촉하여 연장 중이며 림이 눈의 각막 변연부 상에서 연장 중이고, 주사 바늘이 완전히 삽입(주사 위치)될 때, 주사 바늘의 배출 개구는 눈의 모양체근에서 개방되고;
- 제1 및 제2 바늘은 각각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는, 제1 및 제2 바늘의 삽입 위치에서,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 제1 및 제2 바늘의 삽입 위치(즉, 완전 삽입 또는 "삽입 위치"인 구성)에서,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 수직인 관찰 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를 관찰할 때, 각각의 바늘은 전체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과 교차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상이한 양상의 특성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장치의 선택적 특성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 또는 제2 양상에 따른 장치는 다음의 선택적이며 바람직한 특성 중 하나나 여러 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 장치는,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단단히 고정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를 포함하며;
- 장치는 제1 및 제2 바늘(또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아암(arms)을 포함하고, 제2 아암은 축을 중심으로 제1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제1 및 제2 아암은 상이한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지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제1 및 제2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방향을 따라, 지지 베이스에 병진 이동(translate)하도록 장착되고된다;
- 장치는, 바늘들을 각각 제1 및 제2 추출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푸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 작용하고;
- 장치는, 상기 삽입 동작 동안 제1 및 제2 바늘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특히,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단단히 고정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 동기화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단단히 고정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브랜치(branches)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 제1 및 제2 브랜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guide rails)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핀을 규정하거나,
-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는 탄성 접합부에 의해 링크되고, 제1 및 제2 브랜치는, 탄성 접합부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를 푸쉬하기 위해, 각각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탄성 접합부는 함께 리프(leaf) 스프링을 구성하고;
-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바늘이 제1 및 제2 추출 위치에 있는 추출 구성으로 및/또는 제1 및 제2 바늘이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는 삽입 구성으로 동기화 메커니즘을 잠그기 위한 비활성 가능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 장치는, 조작자가 제1 및 제2 바늘을 동시에 움직이도록, 동기화 메커니즘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 장치는, 제1 및 제2 바늘이 삽입 동작 동안 이동할 수 없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위치를 규정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바늘 및/또는 제2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원을 따라 연장하기 위해, 만곡되며, 이러한 구성은 특히, 제1 및 제2 바늘이, 상기 삽입 동작 동안,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의 중심에 가깝거나 상기 중심을 포함하는 공통 회전 축을 중심으로 지지부 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때, 유리하다.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통 회전 축과 상기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제1 바늘의 삽입 위치에서,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는 상기 제1 바늘의 임의의 지점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0.8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9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mm 초과 및/또는 2.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9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7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만곡된 제1 바늘의 삽입 위치에서,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는 상기 제1 바늘의 임의의 지점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0.8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9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mm 초과 및/또는 2.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9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7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만곡된 제2 바늘의 삽입 위치에서,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는 상기 제2 바늘의 임의의 지점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0.8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9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mm 초과 및/또는 2.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9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7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바늘(들)의 삽입 위치에서,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는 상기 제1 바늘(들)의 임의의 지점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늘(들)은 만곡되며, 플레이트 전극은 만곡되어,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는 상기 제1 바늘(들)의 임의의 지점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특히, 플레이트 전극은 볼록할 수 있다. 즉, 가상 구 외부인 곡률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과 장점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을 읽고 비제한적인 첨부 도면을 검토하여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눈과 접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예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추출 위치에서의 이 장치의 2개의 빗살부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삽입 위치의 2개의 예에서의 장치의 2개의 빗살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전극과 발생기를 나타낸다.
도 7은, 피어싱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는 눈을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1 및 도 14 내지 도 17은, 동기화 메커니즘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구동 메커니즘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카운터 베이스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볼록 플레이트 전극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은 전극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A 내지 D)를 서비스 위치(상부 도면)로, 측면도(중간 도면)로, 및 사시도(하부 도면)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사 바늘은 상부 도면에만 나타낸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정의
"압박력"은, 상기 바늘이 추출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로 움직이고 있으며 눈을 피어싱하기(piercing) 전 그 표면에 푸쉬할 때 눈의 표면에 이 바늘이 가한 힘에 대응한다.
바늘의 "삽입점"은, 피어싱 위치에서, 상기 바늘이 연장하는 삽입 축이 접촉면을 포함하는 가상 구와 교차하는 지점이다.
2개의 바늘은 이들이 동일 축에서 연장할 때 "정렬"된다.
"반구의 1/4"은, 반구의 주 축을 따라 가로지르는 2개의 수직 평면에서 절단에 의해 획득되는 반구의 표면의 1/4을 나타낸다.
제1 및 제2 바늘의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서, 장치는 "삽입 구성" 또는 "완전 삽입 구성"에 있다. 제1 및 제2 바늘의 제1 및 제2 추출 위치에서, 장치는 "추출 구성"에 있다.
"제1" 및 "제2" 또는 "상부" 및 "하부" 또는 "오른편" 및 "왼편"은 대응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포함하다"는 배타성을 수반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전기 천공에 잘 적용된다. 본 출원에서,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는 의약조성물의 전기 천공을 위해 구성된 전기 발생기(2), 지지부(4), 및 슬라이딩 방향(△6)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는 각각 제1 및 제2 전극 바늘(8a 및 8b)을 포함한다. 모든 전극 바늘은 전기적으로 전기 발생기(2)의 제1 단자(9a)에 연결된다. 이들은 함께 침습성 전극을 규정한다.
지지부(4)는 지지 베이스(10)와, 지지 베이스 상에 고정되며 전기 발생기의 제2 단자(9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 전극(12)을 포함하며, 제2 단자는 제1 단자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을 갖는다.
전기 발생기는 그러므로 전기 천공을 가능케 하는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플레이트 전극과 침습성 전극이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개조된다., .
지지부
지지베이스
지지 베이스(10)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물질로 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이 아닌 물질로 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더 잘 관찰되도록 투명한 물질로 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18)을 규정하며, 이 구형 베이스 접촉면(18)은, 10mm와 15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1mm와 14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2mm와 13mm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2.5mm인 곡률반경(R)을 갖는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한다. 가상 구(S)는 눈(O)의 외표면에 대응하여, 서비스 구성에서, 베이스 접촉면을 이 외표면 상에서 가질 수 있다.
눈에서의 지지부의 안정성은 그러므로 매우 개선된다.
눈에서의 지지부의 안정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구형 베이스 접촉면(18)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스파이크(spikes)를 가지며, 이러한 스파이크는 이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며 눈에서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2 초과, 5 초과, 10 초과, 20 초과의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이크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1mm 초과 및/또는 0.5mm 미만 또는 0.3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접촉면(18)은 50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20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40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50mm2 초과, 바람직하게는 160mm2 초과, 및/또는 200mm2 미만, 바람직하게는 180mm2 미만인 표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접촉면(18)은 반구의 1/4 초과로 연장하지는 않는다.
정면에서 보면, 베이스 접촉면(18)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윤곽,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윤곽 또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베이스(10)는, 접촉면(18)의 한계를 부분적으로 규정하며 림 평면(P20)으로 연장하는 원형 림(20)을 규정한다.
림(20)은 원(C20)의 호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원은 축(X)을 가지며, 5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5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8mm 초과, 및 8.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7.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6.0mm 미만인 반경(R20)을 갖는다. 그러한 림은 눈의 각막 변연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 림은 이 각막 변연부와 접촉하게 놓여 각막 변연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지지부의 안정성은, 림(20)이 눈의 각막 변연부에서 지지하도록 설계될 때 매우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림은 45°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 바람직하게는 120° 초과, 바람직하게는 130° 초과, 바람직하게는 135° 초과 및/또는 180° 미만, 바람직하게는 170°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40° 미만인 각 범위(α20)에 걸쳐 측방향으로 연장한다(도 2 참조).
지지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한 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 사이에서 쥐어질 지지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지지 핸들은 대안적으로는 빗살부에 구비된다.
플레이트 전극
플레이트 전극(12)은 지지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이 전극은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을 규정하며, 이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은 서비스 위치에서 눈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구(S)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연장한다.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3mm2 초과, 4mm2 초과, 5mm2 초과, 6mm2 초과, 8mm2 초과, 10mm2 초과, 11mm2 초과, 12mm2 초과, 15mm2 초과, 17mm2 초과 및/또는 90mm2 미만, 60mm2 미만, 30mm2 미만, 20mm2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은 반구의 1/4 을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은 림의 X축을 중심으로 각도 범위(α24) 내에서 연장하며(도 1 참조), 상기 각도 범위는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5°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바람직하게는 30°미만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이다.
정면도에서,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곡률반경(R)은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표면적에 비해 커서,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은 일반 플레이트 전극 평면(P24)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림(20)과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의 임의의 지점 사이의 거리는 2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5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5mm 초과, 바람직하게는 4.0mm 초과 및/또는 6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5mm 미만이다.
플레이트 전극(12)은 지지 베이스를 부분적으로 덮는 전기 전도성 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전극은 지지 베이스와 일체가 아니다. 즉, 초기에는 지지 베이스와 독립적이며, 그 후 지지 베이스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빗살부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는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지지부 상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빗살부와 그 배치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빗살부의 참조번호는 제1 빗살부의 참조번호와 동일하지만, "a" 대신 "b"로 첨자를 붙인다.
제1 빗살부(6a)는,
- 제1 빗살 베이스(30a),
- 제1 빗살 베이스(30a)에 고정되는 직선 제1 전극 바늘(8a),
- 제1 빗살 베이스(30a)에 고정되는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딩 로드(32a), 및
-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34a)이나 블레이드(blade) 스프링인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 부재 - 제1 전극 바늘에 그 추출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제1 전극 바늘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 바늘,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전극 바늘의 직경은 0.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4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35mm 미만이다. 이 특징은 특히, 전극 바늘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처럼, 눈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눈에 삽입될 때 특히 유리하다. 동일한 이유로, 제1 전극 바늘의 제1팁(36a),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전극 바늘의 제1 팁(36a)은 바람직하게는 경사지게 된다.
제1 빗살부는 하나 또는 여러 개, 바람직하게는 3개, 4개나 5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바람직하게는 동일 평면인 및 바람직하게는 직선인 제1 전극 바늘(8a)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평행 제1 전극 바늘(8a)의 축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5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6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7mm 초과, 바람직하게는 0.8mm 초과 및/또는 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9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 바늘(8a)은 제1 바늘 평면(P8)에서 연장하며, 제1 바늘 평면(P8)은 림(20)의 림 평면(P20)과 40° 초과, 45°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및/또는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인 각도를 형성한다.
제1 바늘 평면(P8)은 바람직하게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median radial plane of the rim)(Pm20)(도 1의 90°의 각도(θ)), 즉 X축을 포함하며 림의 중간 길이(mid-length)의 지점을 포함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달리 말해, 제1 전극 바늘들은 동일 평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전극 바늘은 림의 평면(P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1 전극 바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플레이트 전극(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1 바늘 평면(P8)과 플레이트 전극 평면(P24)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또는 5° 미만이다. 제1 바늘 평면(P8)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극 평면(P2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들 2개의 평면 사이의 거리(δ)는 바람직하게는 2.0과 1.3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8과 1.5mm 사이, 바람직하게는 1.7과 1.mm 사이, 바람직하게는 대략 1.65mm이다.
각각의 제1 전극 바늘(8a)은, 극단(즉, 받침대에 의해 제한됨)의 제1 삽입 위치와, 각각의 제1 전극 바늘이 각각 가상 구(S) 내에서 돌출하고 있는 및 돌출하고 있지 않은 제1 추출 위치 사이에서, 지지 베이스(10)의 가이드에서의 제1 가이딩 로드(32a)의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하며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삽입 위치에서, 임의의 제1 전극 바늘은, 눈의 외표면과,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인 각도(ω)를 형성한다. 제1 전극 바늘은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눈 내로 접선 방향으로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 바늘의 길이는, 삽입 위치에서, 정면도에서, 즉 제1 바늘 평면(P8)에 수직으로 관찰할 때, 제1 전극 바늘(8a)이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과 실질적으로 완전히 교차하게 보이도록(즉,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일 측으로부터 반대 측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 바늘의 길이는 4mm 초과, 바람직하게는 6mm 초과, 바람직하게는 8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1mm 초과 및/또는 1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4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3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빗살부(6a)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 제1 바늘 평면(P8)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빗살 핸들(38a)을 포함하여, 조작자는 환자의 코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도 지지부를 향해 제1 빗살부(6a)를 푸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34a)에 대해 제1 빗살부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이 1뉴턴 초과, 바람직하게는 4뉴턴 초과 및/또는 20뉴턴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뉴턴 미만이다. 유리하게도, 스프링(34a)은, 조작자가 이 장치를 조작할 때 부상의 위험을 제한한다.
제2 빗살부는 유사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빗살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도, 제1 빗살 베이스는, 제1 및 제2 바늘의 삽입 위치에서,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대해 제1 빗살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전극 바늘은, 제1 바늘 평면에 평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바늘 평면에 동일한 제2 바늘 평면에서 연장한다. 제1 전극 바늘과 제2 전극 바늘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이들 바늘의 각각의 축은 그 후 오프셋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바늘은 서로와 인터레이스(interlace)된다. 즉, 바늘 평면에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극 바늘은 제2 전극 바늘과 교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빗살부(6b)는 바람직하게는 제1 빗살 핸들(38a)에 평행한 제2 빗살 핸들(38b)을 포함한다. 2개의 빗살부의 지지부를 향한 수렴, 즉 빗살부들이 지지부를 향해 푸쉬되는 움직임은 용이하게 되며 한 손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빗살부는 지지부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어서,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을 눈의 외표면에 가지게 되고, 림(24)을 눈의 각막 변연부에 가지게 되며,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의 팁을 눈의 외표면에 가지고 있게 되는 피어싱 위치에서, 이 제1 및 제2 팁은, 제1 및 제2 빗살부가 지지부(4)를 향해 동시에 푸쉬될 때 눈을 압박할 수 있다.
피어싱 위치에서,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제1 및 제2 삽입 축(△8a 및 △8b)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및 제2 삽입점(M8a 및 M8b) 상에서 가상 구(S)에 갖게 된다.
제1 전극 바늘의 모든 제1 팁(36a)은 함께 제1 압박력(F36a)을 가하며, 이러한 제1 압박력(F36a)은 제1 압박 축(△36a)을 따라 제1 압박점(M36a)에 작용한다.
제2 전극 바늘의 모든 제2 팁(36b)은 함께 제2 압박력(F36b)을 가하며, 이러한 제2 압박력(F36b)은 제2 압박 축(△36b)을 따라 제2 압박점(M36b)에 작용한다.
제1 및 제2 압박 축(△36a 및 △36b)은 제1 및 제2 삽입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및 제2 압박 축에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다. 제1 및 제2 압박 축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압박 축과 제2 압박 축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압박 축은 정렬된다.
전극 바늘의 삽입 동안 눈의 회전의 위험은 그에 따라 매우 감소한다.
주사 바늘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주사 바늘(42)을 포함한다. 주사 바늘은 특히, 참조로서 인용되는 PCT/EP2016/058138, WO2009/122030 또는 US12/921,979에 개시한 주사 바늘의 하나 또는 여러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에는 배출 개구를 갖는 주사 채널을 포함한다.
주사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제1 또는 제2 전극 바늘이 아니다.
주사 바늘은 회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 지지 베이스(10)에 의해 안내된다. 주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배출 개구가 제1 바늘 평면(P8)과 플레이트 전극 평면(P24) 사이에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이들 평면 사이의 중간 길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면하도록 규정된 받침대 위치(abutment position)이다. 주사 바늘의 주사 위치에서, 주사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전극 바늘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사 바늘은, 플레이트 전극이 눈의 외표면과 접촉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림이 눈의 각막 변연부 상에서 연장 중이고 주사 바늘이 완전히 삽입될 때, 주사 바늘의 배출 개구는 눈의 모양체근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의약조성물
주사된 생성물은 특히 참조로서 인용된 WO/2006/123248에 기재한 의약조성물 중 임의의 조성물, 및 특히 해당 치료핵산, 바람직하게는 데옥시리보핵산(DNA: DesoxyriboNucleic Acid) 분자(cDNA, gDNA, 합성 DNA, 인공 DNA, 재조합 DNA) 또는 리보 핵산(RNA) 분자(mRNA, tRNA, RNAi, RNAsi, 촉매 RNA, 안티센스 RNA, 바이러스성 RNA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 조성물은 원형 DNA 조각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생물학적 활동을 갖는 생성물을 인코딩하는, 플라스미드(plasmid)와 같은 이중-가닥의 원형 DNA이다. 바람직한 생물학적 활성제는, WO/2006/123248에 개시한 생물학적 활성 폴리펩타이드나 단백질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 천공 장치는 특히 유전자 교체를 실행하는데 적절하다. 그에 따라, 핵산은, 당연히 타겟 조직으로 표현되는 결함 단백질을 교체하도록 활성 단백질을 위해 인코딩할 수 있다. 통상, 교체될 수 있는 결함 유전자는 WO/2006/123248에 개시된 질병을 책임지는 유전자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키트
본 발명에 따라, 키트를 상정한다. 그러한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의약조성물, 및 선택적으로 사용을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의약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앞서 기재한 의약조성물 중에서 선택된다.
키트 내에서, 의약조성물은 개별적으로 포장되거나 담길 수 있다.
지침은 비디오나 오디오 형태로 기록될 수 있으며, 종이에, 전자 매체에 또는 심지어 웹사이트나 참조 매뉴얼과 같은 다른 출처에의 참조로서 담길 수 있다.
첨가제, 매개체, 기타 약물이나 보조제, 활성 물질이나 조성물의 투여를 위한 명령, 및 투여 또는 주사 장치와 같은 기타 구성요소를 또한 키트에 공급할 수 있다.
방법
본 발명의 방법은 피험자의 안과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의약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앞서 여기서 기재한 의약조성물 중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천공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조작자는 다음의 단계에 의해 진행할 수 있다.
첫째, 조작자는 의약조성물로 채워진 저장소를 주사 바늘에 결합하고, 제1 전극(전극 바늘(8a 및 8b) 모두)과 제2 전극(플레이트 전극(12))을 전기 발생기(2)의 제1 및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초기에,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제1 및 제2 추출 위치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베이스(10) 내에 부분적으로 있다. 스프링(34a 및 34b)의 강성은,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이 특히 조작자가 핸들(38a 및 38b)에 의해 장치를 조작할 때 추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결정된다.
장치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조작자는 림(20)을 눈(O)의 각막 변연부에 놓는다. 각막의 모서리 상에 림(20)을 놓는 것과 공막(sclera) 상에 구형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을 갖는 것은 장치의 우수한 안정성과 매우 정밀한 위치지정을 보장한다. 안정화는 본 특정 응용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는 한편으로는 전극 바늘(8a 및/또는 8b) 및/또는 주사 바늘(42)과 다른 한편으론 구형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 사이의 각도가 삽입점에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즉, 바늘이 이 표면에 거의 접선 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이며, 이 점은 삽입을 어렵게 한다.
조작자는 그 후, 각각 제1 및 제2 스프링(34a 및 34b)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를 서로를 향해 피어싱 구성까지 푸쉬하며, 피어싱 구성에서, 전극 바늘은 그 각각의 피어싱 위치에 있으며, 그 각각의 팁은 눈의 외표면과 접촉한다.
피어싱 구성에서, 조작자가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를 서로를 향해 계속 푸쉬한다면, 조작자는 눈에 압박을 가한다. 압박은 제1 전극 바늘의 작용으로 인해 야기되며, 이러한 작용은, 제2 전극 바늘의 반작용으로 제1 압박 축(△36a)을 따라 제1 압박점(M36a)에 작용하는 제1 압박력이며, 이 반작용은 제2 압박 축(△36b)을 따라 제2 압박점(M36b)에 작용하는 제2 압박력이다.
스프링 강성은,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의 팁 모두가 이들 중 임의의 바늘이 눈을 피어싱하기 전 눈의 외표면과 접촉하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빗살부(6a)에 제1 스프링(34a)에 의해 가해진 힘은 제2 빗살부(6b)에 제2 스프링(34b)에 의해 가해진 힘과 동일하여, 제1 및 제2 전극 바늘 모두의 팁은 눈의 외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접촉한다. 피어싱 구성에서, 이들 바늘은 그러므로 이 외표면을 압박하여, 지지 베이스(10)에 대한 눈의 임의의 회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조작자는 그 후, 전극 바늘이 눈의 외표면을 피어싱할 때까지 제1 및 제2 빗살부(6a 및 6b)를 서로를 향해 계속 푸쉬한다.
가이딩 로드(32a 및 32b)는 지지 베이스(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극 바늘이 그 각자의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들 바늘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그 후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의 전체 길이를 따라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그리드를 함께 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도 5a, 도 23의 B 또는 도 2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된다.
대안적으로, 그 각각의 삽입 위치에서,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도 5b, 도 23의 A 또는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되기 보다는, 서로 인접하다. 제1 전극 바늘의 팁 또는 "제1 팁"과 제2 전극 바늘의 팁 또는 "제2 팁"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mm 미만, 1mm 미만, 0.5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2mm 미만이다. 제1 전극 바늘의 제1 팁은, 도 5b 및 도 23의 C에서처럼 제2 전극 바늘의 제2 팁에 면하고 있을 수 있거나,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조작자는 그 후, 대응하는 주사 위치까지 대응하는 삽입 가이드에서 주사 바늘을 삽입한다. 전극 바늘의 이전 삽입은 주사 바늘의 삽입 동안 지지부의 매우 안정된 위치를 가능케 한다.
일실시예에서, 주사 바늘은, 전극 바늘의 그리드 앞에, 바람직하게는 그리드의 중심 앞에, 배출 개구(들)가 모양체근에서 개방되는 주사 위치를 결정하는 바늘 스탑(stop)을 포함한다.
조작자는 그 후 조성물을 주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치는 서비스 구성에 있고, 작업자는 주사 구역 내에서, 전기 천공을 촉진하는 전기장을 만드는 방식으로, 전기 발생기에 의해, 적절한 전기 신호, 예컨대 적절한 전기 임펄스를 전송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 펄스(들)에 의해 구성된 전기장은 PCT/EP2016/05813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인가한다.
생성물의 전기 천공이 완료될 때, 조작자는 전극과 발생기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 바늘이 눈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 눈의 어떠한 회전을 제한 또는 심지어 억제하게 하고;
- 한 명의 조작자의 개입을 허용하고;
- 정밀하고 안정적인 전극의 위치지정을 허용하고;
- 침습성 전극이 눈에 관통하고 있는 동안 이 전극의 정밀한 안내를 허용하고;
- 각막 변연부에 대한 눈 내로의 정밀한 주사를 허용하고;
- 효율적이고 균일한 큰 전기장의 생성을 허용한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에 의해 제공되었던,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여러 실시예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PCT/EP2016/058138에서 개시한 장치의 임의의 특성은, 본 발명과 호환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들링 수단은 앞서 설명한 빗살 핸들(38a)로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1 및 제2 추출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삽입 위치로의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메커니즘(5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동기화 메커니즘(50)은 각각 제1 및 제2 삽입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추출 위치로의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움직임을 또한 동기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는 공통 축(Y)을 중심으로 지지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장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링크하기 위한 동기화 링크를 포함한다.
동기화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54),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커넥터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 각각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56) 상에서(도 8, 도 9) 또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제1 및 제2 표면(571 및 572) 외부에서(도 10, 도 11) 동시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54)는 바람직하게는 "Y"자 형상을 갖는다. 특히, 커넥터(54)의 제1 및 제2 브랜치는 제1 및 제2 빗살의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56)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핀(58)을 규정할 수 있다(도 8).
특히, 도 8의 장치는 지지 베이스(10), 지지 베이스(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및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푸쉬 버튼(60), 버튼(60)에 단단히 고정되는 "Y"자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협력하는 제1 및 제2 핀(58)을 포함하는 커넥터(54)를 포함하여, 버튼(60)의 슬라이딩 움직임은 제1 및 제2 삽입 위치와 제1 및 제2 추출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 각각의 움직임과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정밀하게는, 제1 및 제2 베이스는 공통 축(Y)을 중심으로 지지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커넥터(54)의 제1 및 제2 브랜치, 즉 뒤집힌 "V"자를 형성하는 브랜치의 제1 및 제2 핀(58)을 위한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56)을 규정한다. 지지 베이스(10)에 대한, 로드(54)의 그 축(Z)을 따른 병진 이동은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의 동기화된 회전 움직임을 변환된다.
장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아암(611 및 612)을 포함하며, 제2 아암의 움직임은 제1 아암에 대해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아암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한 쌍의 가위의 2개의 아암과 같이, 축(W)을 중심으로, 제1 아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 아암의 움직임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아암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및 상이한 축(W1 및 W2)을 중심으로 지지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아암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공통 방향(도 16 및 도 17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지지 베이스에 대해 병진 이동하도록 지지 베이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은 원의 형상 이다. 즉, 원(C)을 따라 연장한다(도 11을 참조). 축(Y)은 바람직하게는 이 원의 중심과 교차한다. 만곡된 전극 바늘의 삽입 축은 삽입점에서 전극 바늘의 국소 방향이다. 축(Y)이 이 원의 중심과 교차할 때,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의 삽입 축은 그러므로 삽입 동작 동안 변하지 않아,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의 관통은 환자에게 덜 해롭다.
조작자는 도 9의 예에서처럼 빗살 베이스에 바로 작용할 수 있으며(화살표 참조) 및/또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동기화 메커니즘을 제어하거나(예컨대, 도 8 또는 도 9)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 바로 작용하기 위한(도 14 내지 도 17) 액추에이터(6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또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을 각각 제1 및 제2 추출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스프링(62)을 포함한다. 스프링의 작용은 그러므로 바로 또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빗살 베이스 상의 조작자의 임의의 작용과 반대가 되어,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을 삽입한다.
스프링(62)은 동기화 메커니즘과 지지 베이스 사이에, 예컨대 액추에이터(60)와 지지 베이스(10) 사이(도 8)나 제1 빗살 베이스와 제2 빗살 베이스 사이에 개삽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스프링(62)은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를 링크하는 탄성 접합부(62')이다.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탄성 접합부는 리프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동기화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60)나 커넥터(54),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을, 구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추출 구성 및/또는 삽입 위치에서 잠그기 위한 비활성 가능 잠금 장치(64)를 포함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64)는, 조작자가 탭(65)을 당길 때 활성화되어, 커넥터(54)의 비드(67)는 베이스 지지부의 개구(69)를 통해 힘을 받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전극 바늘을 눈에 삽입하는 동안 전극 바늘의 삽입 깊이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66)을 포함한다.
도 12는, 커넥터(54)의 톱니(70)와 협력하여 이 커넥터를 미리 규정된 위치에서 잠그도록 구성되는 래쳇(rachet)(68)을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66)의 예를 예시한다. 미리 규정된 위치의 개수, 즉, 래쳇 톱니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 5 또는 10 초과 및/또는 1000, 500, 100 또는 50 미만이다. 커넥터(58)는, 지지 베이스(10)의 개구(74)를 통해 조작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버튼(60)에의 압력(도 12에서 수직 화살표 참조)에 의해 잠금이 풀릴 수 있다. 개구(74)는 지지 베이스(10)에 대한 커넥터(58)의 병진 이동을 허용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변화시킨다(도 12에서 수평 화살표 참조).
도 13은, 커넥터(54) 상에 형성되며 제1 피니언(78)의 톱니에 의해 병진 방향으로 구동되는 랙(76)을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66)의 예를 예시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제2 피니언(80)은 제1 피니언(78) 및 액추에이터(60)(즉, 썸 휠(thumb wheel)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액추에이터(60)는 지지 베이스(60)의 개구(74)를 통해 조작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 조작자가 액추에이터(60)를 돌리며, 그리하여 제2 피니언(80)을 돌릴 때(도 13에서 화살표 참조), 커넥터(54)는 병진 방향으로 움직인다.
추가 개선
추가 개선의 개요
추가 개선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지부로서, 지지 베이스는,
-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을 갖는 가상 구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 및
- 눈의 각막 변연부와 일치하도록, X축을 갖고, 5mm 초과 및 8mm 미만의 반경을 갖는, 림 평면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을 규정하는, 지지부; 및
- 제1 팁을 갖는 제1 바늘로서, 제1 바늘은,
- 제1 바늘이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1 추출 위치와,
- 제1 바늘이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1 삽입 위치 사이를
제1 팁이 가상 구의 제1 반구에 속하는 제1 삽입점에 위치하는 제1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제1 바늘을 포함하며,
장치는 가상 구의 제2 반구를 따라 연장하는 카운터 접촉면을 규정하는 카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반구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의해 분리되며,
제1 바늘은 지지부에서 이동하여, 제1 추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제1 삽입 위치에서 종료하는 삽입 동작 동안, 제1 바늘 및 카운터 접촉면은, 제1 바늘이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 도달할 때 림의 중간 반경 평면을 향해 가상 구를 압박 또는 "핀치(pinch)"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 개선에 따른 장치는 다음의 선택적 및 바람직한 특성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 카운터 접촉면은,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대해 제1 바늘의 삽입점에 대칭인 지점을 포함한다;
- 카운터 접촉면은, 가상 구와 제1 삽입 축 사이의 교차점에 있는 지점을 포함하며, 제1 삽입 축을 따라, 제1 바늘은, 제1 삽입점에서,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연장한다;
- 카운터 접촉면은, 이 카운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눈에서의 지지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크를 가지며, 이 스파이크는 0.1mm 초과 및 0.5mm 미만의 높이를 갖는다;
- 카운터 베이스는 지지 베이스에서 이동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지지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며, 카운터 베이스는 가능하게는 지지 베이스의 일부이다;
- 장치는, 제1 삽입 위치에서, 지지 베이스 상에서 고정되는 플레이트 전극에 의해 규정되며 가상 구를 따라 연장하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공통 제1 바늘 평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공통 제1 빗살 베이스에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개의 제1 바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제1 바늘을 포함한다;
- 장치는, 삽입 동작 동안, 카운터 베이스 및 제1 바늘(들)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나 또는 여러 특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개선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기반은, 전극 바늘의 삽입 동작 동안, 눈에서 지지부를 움직이지 않게 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눈의 "압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빗살부가 이 압박에 사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치의 모든 전극 장치는 제1 빗살 베이스가 갖게 되며, 제2 빗살부는 카운터 베이스에 의해 대체되어 눈에서의 제1 전극 바늘의 작용에 카운터로 작용한다. 즉 이 작용에 대한 반응에 반대가 되게 한다.
카운터 베이스는, 도 18 내지 도 20의 실시예에서처럼, 적어도 삽입 동작 동안, 지지부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를 도 18에 예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2 빗살부는 카운터 베이스(90)에 의해 대체된다. 제2 전극 바늘은 없다.
제2 바늘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이미 설명한 특성 모두는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카운터 베이스(90)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바늘의 삽입점(M8a)에 대칭인 지점(M92)을 포함하는 카운터 접촉면(92)을 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공통 제1 빗살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여러 개의 평행 제1 전극 바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 바늘은, 예컨대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삽입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극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레이트 전극(12)에 면하는 평면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삽입 위치에서 제1 전극 바늘의 일반 평면(P8)(제1 바늘 평면)에 수직인 방향(D)을 따라, 카운터 접촉면(92)은 바람직하게는 삽입점(M8a) 너머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바늘의 임의의 삽입점 너머로 연장한다(도 19 참조). 바람직하게는, 이 삽입점과 카운터 접촉면(92)의 극단(93) 사이에서, 이 방향(D)을 따른, 거리(d93)는 1mm 초과, 바람직하게는 2mm 초과, 바람직하게는 3mm 초과 및/또는 1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mm 미만이다.
카운터 접촉면(92)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의 구형 베이스 접촉면(18)의 일부이며,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R)을 갖는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한다.
카운터 접촉면(92)은, 바람직하게는 눈의 표면에 대해 해롭지 않은 물질, 예컨대 실리콘, 스폰지, 특히 합성 스폰지, 폴리에스터, 폴리오소에스터(polyorthoest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또는 임의의 다른 탄력적인 의료-등급 고분자로 만든 물질로, 어떠한 거칠기도 없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접촉면은 이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눈에서 지지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설계되는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스파이크(94)를 갖는다(도 19). 카운터 접촉면(92)은 바람직하게는 2개 초과, 5개 초과, 10개 초과, 20개 초과 및/또는 1000개 미만, 500개 미만 또는 100개 미만의 스파이크(94)를 포함한다. 이 스파이크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1mm 초과 및/또는 0.5mm 미만 또는 0.3mm 미만이다.
도 20은 눈(O) 상의 서비스 위치에서, 카운터 접촉면(92)을 갖는 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지지 베이스(10)가 조작자의 눈에서 유지되며 조작자가 제1 빗살부(6a)를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을 향해 푸쉬할 때, 즉 제1 빗살부와 지지 베이스가 서로를 향해 눌려질 때(도 20에서 큰 수직 화살표를 참조), 카운터 접촉면(92)은 제1 바늘에 의해 가해진 힘에 반응하여 눈에 적어도 부분적인 대항력(antagonist force)을 제공한다.
카운터 베이스는, 도 21의 실시예에서처럼, 적어도 삽입 동작 동안, 지지 베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1 전극 바늘(들) 및 카운터 베이스의 움직임이 앞서 설명한 메커니즘과 유사한 동기화 메커니즘과 어떻게 동기화될 수 있어서 삽입 동작 동안 제1 및 제2 전극 바늘의 움직임을 동기화할 수 있는지를 또한 예시한다.
실시예에서, 장치는 이 카운터 베이스를 포함하지만, 또한 제2 전극 바늘을 포함하며, 제2 전극 바늘은 특히 제2 추출 위치와 제2 삽입 위치 사이에서 카운터 베이스에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모든 특성은 또한 이 마지막 실시예에 가능하게는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공되었던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여러 실시예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경우,
- X축에 수직인 평면과,
- 제1 삽입 위치에서 제1 바늘(들)의 일반적인 방향에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70° 초과 및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및 10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의 경우,
- X축을 포함하고,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 제1 바늘의 제1 삽입점에서,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의 국소 방향,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바늘의 국소 방향 및/또는 제1 삽입 위치에서 제1 바늘(들)의 일반적인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0°이다.
플레이트 전극(12)이 구형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할 때(도 8), 이 전극은 눈의 표면과 일치하여, 눈과의 접촉은, 제한된 부상 위험을 갖고, 균일하며 편안하다.
그러나 플레이트 전극(12)은 반드시 구형 가상 구를 따라 연장하지는 않는다. 특히, 이 전극이,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또는 제2 바늘에 평행하게 연장한다는 점, 즉 이들 바늘이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고 있는 제1 및/또는 제2 바늘의 일부분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1 및 제2 바늘이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또는 제2 바늘이 플레이트 전극에 면하고 있는 영역은 도 8 및 도 22에서 수직 점선(L1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유리하게도, 제1 및/또는 제2 바늘로 만든 침습성 전극과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전기장의 균일성은 개선된다.
특히,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바늘은, 이들 바늘이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공통 평면에서 연장하며, 플레이트 전극은, 제1 및/또는 제2 바늘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한다.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바늘은, 이들이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공통 구(C14)를 따라 연장하며(도 22나 도 23의 D), 플레이트 전극(12)은 공통 구(C14)와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C12)를 따라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전극(12)은 그러므로 볼록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0.1mm, 0.2mm 또는 0.5mm 초과의 거리만큼 가상 구(S) 내부로 돌출한다. 제1 및/또는 제2 바늘과 플레이트 전극(12) 사이의 거리(δ)는 일정하며, 구(C14)와 구(C12)의 반경 사이의 차이이다.

Claims (43)

  1.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10)를 포함하는 지지부(4)로서, 상기 지지 베이스(10)는,
    -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R)을 갖는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18), 및
    - 눈의 각막 변연부(limbus)와 일치하도록, X축을 갖고, 5mm 초과 및 8mm 미만의 반경을 갖는, 림 평면(P20)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20)을 규정하는, 상기 지지부(4); 및
    - 제1 팁 및 제2 팁(36a; 36b)을 각각 갖는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로서, 상기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은,
    -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1 및 제2 추출 위치와,
    -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위치 사이를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각각 상기 1 및 제2 바늘은 제1 및 제2 삽입 축(△8a; △8b)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팁은 상기 가상 구의 제1 및 제2 반구에 각각 속하는 제1 및 제2 삽입점(M8a; M8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는, X축을 포함하고 림의 중간-길이에 중심점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축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각도(θ)는 70° 초과 110° 미만인, 장치.
  2.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80° 초과 및 100° 미만인, 장치.
  3.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정렬되어 있는, 장치.
  4.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림 평면과,
    - 상기 제1 바늘 및/또는 제2 바늘
    사이의 각도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인, 장치.
  5.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바늘에 각각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바늘을 각각 상기 제1 및/또는 제2 추출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제1 및/또는 제2 탄성 부재(34a; 34b)를 포함하는, 장치.
  6.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늘에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힘은 바람직하게는 1뉴턴 초과 및 10뉴턴 미만인, 장치.
  7.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바늘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바늘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바늘의 제1 팁과 상기 제2 바늘의 제2 팁 사이의 거리는 1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mm 미만인, 장치.
  9.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바늘 평면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 바늘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바늘 평면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 바늘을 포함하고, 모든 제1 바늘 및 제2 바늘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바늘 평면 (P8)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장치.
  10.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제2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공통 바늘 평면은,
    -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과 함께 70°, 80° 또는 85° 초과 및/또는 110°, 100° 또는 95° 미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90°의 각도 및/또는
    - 상기 림 평면(P20)과 함께 40° 초과 및 80°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장치.
  11. 직전 선행하는 두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제1 및 2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바늘은 상기 제2 바늘과 인터레이스(interlaced)되는, 장치.
  12.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1 및 제2 단자(9a, 9b)를 포함하는 전기 천공 발생기 (2),
    -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포함하는 침습성 전극,
    -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가상 구를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을 규정하는 플레이트 전극(12)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이 일반적인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장치.
  13.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제9항 및 제12항이 적용되고,
    - 상기 제1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제2 바늘 평면 및/또는 상기 공통 바늘 평면은 상기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및/또는
    - 상기 림과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어느 지점 사이의 거리가 2mm 초과 및 6mm 미만인, 장치.
  14.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베이스는 회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사 바늘(4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 위치에서, 상기 주사 바늘의 팁은 상기 가상 구(S)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있는, 장치.
  15.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제9항 및 제12항이 적용되고,
    상기 주사 위치에서, 상기 가상 구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주사 바늘의 일부는 상기 공통 바늘 평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극 평면 사이의 평면, 바람직하게는 중간 평면으로 연장되는, 장치.
  16.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축(X)을 포함하며,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수직인 평면, 및
    - 상기 제1 바늘의 제1 삽입점에서, 상기 제1 바늘의 국소 방향,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1 바늘의 국소 방향 및/또는 상기 제2 바늘의 제2 삽입점에서, 상기 제2 바늘의 국소 방향,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제2 바늘의 국소 방향이
    45°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의 각도를 형성하는, 장치.
  17.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10)를 포함하는 지지부(4)로서, 상기 지지 베이스(10)는,
    -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R)을 갖는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18), 및
    - 눈의 각막 변연부와 일치하도록, X축을 갖고, 5mm 초과 및 8mm 미만의 반경을 갖는, 림 평면(P20)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20)을 규정하는, 상기 지지부(4); 및
    - 제1 팁 및 제2 팁(36a; 36b)을 각각 갖는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로서, 상기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은,
    -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1 및 제2 추출 위치와,
    -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위치 사이를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1 바늘 및 제2 바늘(8a; 8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각각 상기 1 및 제2 바늘은 제1 및 제2 삽입 축(△8a; △8b)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팁은 상기 가상 구의 제1 및 제2 반구에 각각 속하는 제1 및 제2 삽입점(M8a; M8b)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는, X축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중간-길이에 중심점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상기 지지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추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서 종료하는 삽입 동작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이들 바늘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피어싱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을 향해 상기 가상 구를 압박하는, 장치.
  18.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만곡된, 장치.
  19.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공통 원(C)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장치.
  20.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은 공통 회전축(Y)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원(C)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인, 장치.
  21. 직전 선행하는 세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바늘(들)은 만곡되고, 상기 플레이트 전극은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향하는 상기 제1 바늘(들)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및/또는
    - 상기 제2 바늘(들)은 만곡되고, 상기 플레이트 전극은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향하는 상기 제2 바늘(들)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플레이트 전극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치.
  2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아암(611, 612)을 포함하고,
    - 상기 제2 아암은 축(W)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상이한 각각의 축(W1, W2)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은 공통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베이스에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장치.
  23.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추출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푸쉬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하는, 장치.
  2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동작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장치.
  25.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각각 단단히 고정되는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브랜치를 갖는 커넥터(54)를 포함하는, 장치.
  26.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및 제2 브랜치는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56)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핀(58)을 규정하거나,
    -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는 탄성 접합부(62')에 의해 링크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랜치는, 상기 탄성 접합부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를 푸쉬하기 위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에서 슬라이딩하는, 장치.
  27.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빗살 베이스와 상기 탄성 접합부는 함께 리프(leaf) 스프링 을 구성하는, 장치.
  28. 직전 선행하는 네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상기 제1 및 제2 추출 위치에 있는 추출 구성으로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이 상기 제1 및 제2 삽입 위치에 있는 삽입 구성으로 동기화 메커니즘을 잠그기 위한 비활성 가능 잠금 장치(64)를 포함하는, 장치.
  29. 직전 선행하는 다섯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자가 상기 제1 및 제2 바늘을 동시에 움직이도록, 상기 동기화 메커니즘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60)를 포함하는, 장치.
  30.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늘에 대한 복수의 미리 결정된 위치를 규정하는 구동 메커니즘(66)을 포함하는, 장치.
  31. 장치로서
    - 지지 베이스(10)를 포함하는 지지부(4)로서, 상기 지지 베이스(10)는,
    - 눈의 외표면과 일치하도록 10과 15mm 사이의 반경(R)을 갖는 가상 구(S)를 따라 연장하는 구형 베이스 접촉면(18), 및
    - 눈의 각막 변연부와 일치하도록, X축을 갖고, 5mm 초과 및 8mm 미만의 반경을 갖는, 림 평면(P20)에서 연장하는 원형 림(20)을 규정하는, 상기 지지부(4); 및
    - 제1 팁(36a)을 갖는 제1 바늘(8a)로서, 상기 제1 바늘(36a)은,
    - 상기 제1 바늘이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1 추출 위치와,
    - 상기 제1 바늘이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1 삽입 위치 사이를
    상기 제1 팁이 상기 가상 구의 제1 반구에 속하는 제1 삽입점(M8a)에 위치하는 제1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1 바늘(36a)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가상 구의 제2 반구를 따라 연장하는 카운터 접촉면을 규정하는 카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반구는, X축을 포함하고 림의 중간-길이에 중심점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제1 바늘은 상기 지지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 추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삽입 위치에서 종료하는 삽입 동작 동안, 상기 제1 바늘 및 상기 카운터 접촉면은, 상기 제1 바늘이 상기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을 향해 상기 가상 구를 압박 또는 "핀치(pinch)"하는, 장치.
  32.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접촉면(92)은,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Pm20)에 대해 상기 제1 바늘의 삽입점(M8a)에 대칭인 지점(M92)을 포함하는, 장치.
  33.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접촉면(92)은, 상기 가상 구와 제1 삽입 축(△8a) 사이의 교차점에 있는 지점(M9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 축(△8a)을 따라, 상기 제1 바늘은 상기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연장되는, 장치.
  34. 직전 선행하는 세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접촉면(92)은, 상기 카운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눈에 대한 지지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크(94)를 가지며, 상기 스파이크는 0.1mm 초과 및 0.5mm 미만의 높이를 갖는, 장치.
  35. 직전 선행하는 네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베이스는 상기 지지 베이스(10)에서 이동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지지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카운터 베이스는 가능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인, 장치.
  36.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동작 동안, 상기 카운터 베이스 및 상기 제1 바늘(들)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장치.
  37. 직전 선행하는 여섯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팁(36b)을 갖는 제2 바늘(8b)로서, 상기 제2 바늘(8b)은,
    -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2 추출 위치와,
    -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2 삽입 위치 사이를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제2 삽입 축(△8b)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2 팁이 상기 제2 반구에 속하는 제2 삽입점(M8b)에 위치하는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2 바늘(8b)을 포함하는, 장치.
  38.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팁(36b)을 갖는 제2 바늘(8b)로서, 상기 제2 바늘(8b)은,
    -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가상 구 외부에 있는 제2 추출 위치와,
    -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가상 구에 최대로 삽입되는 제2 삽입 위치 사이를
    상기 제2 바늘이 상기 제2 삽입 축(△8b)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제2 팁이 상기 제2 반구에 속하는 제2 삽입점(M8b)에 위치하는 제2 중간 피어싱 위치를 통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2 바늘(8b)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1 및 제2 단자(9a, 9b)를 포함하는 전기 천공 발생기(2),
    -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늘(들) 및, 제37항이 적용될 때 상기 제2 바늘(들)을 포함하는 침습성 전극,
    -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가상 구를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을 규정하는 플레이트 전극(12)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이 일반적인 "플레이트 전극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장치.
  40.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 전극 접촉면(2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공통 제1 바늘 평면(P8)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여러 개의 제1 바늘을 포함하는, 장치.
  4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X축에 수직인 평면과,
    - 상기 제1 삽입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들)의 일반적인 방향에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가 70° 초과 및 100° 미만인, 장치.
  4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X축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 상기 제1 바늘(들)의 제1 삽입점(들)에서, 상기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들)의 국소 방향 및/또는 상기 제1 삽입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들)의 일반적인 방향 사이의 각도가 45° 미만인, 장치.
  43. 직전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 X축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중간 반경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 상기 제1 바늘(들)의 제1 삽입점(들)에서, 상기 제1 중간 피어싱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들)의 국소 방향 및/또는 상기 제1 삽입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늘(들)의 일반적인 방향 사이의 각도가 10° 미만인, 장치.
KR1020217038812A 2019-04-26 2020-04-24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KR20220025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1399.9A EP3730102A1 (en) 2019-04-26 2019-04-26 Needle insertion device for the electroporation of a product into an eye
EP19171399.9 2019-04-26
PCT/EP2020/061481 WO2020216915A1 (en) 2019-04-26 2020-04-24 Needle insertion device for the electroporation of a product into an ey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711A true KR20220025711A (ko) 2022-03-03

Family

ID=6629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812A KR20220025711A (ko) 2019-04-26 2020-04-24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02612A1 (ko)
EP (2) EP3730102A1 (ko)
JP (1) JP2022532037A (ko)
KR (1) KR20220025711A (ko)
CN (1) CN113727684A (ko)
AU (1) AU2020262240A1 (ko)
BR (1) BR112021021442A2 (ko)
CA (1) CA3133329A1 (ko)
IL (1) IL287350A (ko)
WO (1) WO2020216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8002A1 (en) * 2022-05-24 2023-11-30 Janssen Biotech, Inc. Ocular needle guide and method to facilitate access to an ey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9374B1 (en) * 1998-08-03 2001-10-30 Insite Vision Incorporate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EP2266656B1 (en) 2005-04-18 2020-10-28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Devices for delivering a biologically active agent to the ocular sphere of a subject
FR2928536B1 (fr) * 2008-03-14 2012-04-27 Inst Nat Sante Rech Med Dispositif d'injection dans l'oeil
EP2744562A1 (en) 2011-08-16 2014-06-25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edical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n ocular disease
EP2767307A1 (en) * 2013-02-18 2014-08-20 Eyevensys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n ocular disease
EP3081198A1 (en) * 2015-04-14 2016-10-19 Eyevensys Elektroporation device for the eye with a support and with a needl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21442A2 (pt) 2021-12-21
CA3133329A1 (en) 2020-10-29
WO2020216915A1 (en) 2020-10-29
EP3730102A1 (en) 2020-10-28
EP3958803A1 (en) 2022-03-02
CN113727684A (zh) 2021-11-30
JP2022532037A (ja) 2022-07-13
US20220202612A1 (en) 2022-06-30
IL287350A (en) 2021-12-01
AU2020262240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4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needle in vivo electroporation
JP5410847B2 (ja) 治療薬を送達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391659B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US200800458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needle in vivo electroporation
CN107708623B (zh) 电穿孔装置
CN113633852A (zh) 皮内射流注射型电穿孔装置
KR20220025711A (ko) 생성물을 눈에 전기 천공하기 위한 바늘 삽입 장치
EP214872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needle in vivo electroporation
RU28086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глы для электропорации продукта в глаз
KR200492506Y1 (ko) 약물 전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