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065A -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065A
KR20220024065A KR1020217041213A KR20217041213A KR20220024065A KR 20220024065 A KR20220024065 A KR 20220024065A KR 1020217041213 A KR1020217041213 A KR 1020217041213A KR 20217041213 A KR20217041213 A KR 20217041213A KR 20220024065 A KR20220024065 A KR 20220024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data
information
terminal
ca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료
슈쿤 왕
하오뤼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칩,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였고,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은 정보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칩,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예를 들어 호출 데이터와 같은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그중 한 가지 시나리오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이고, 호출 데이터를 송신해야 될 때,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도달하며,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을 페이징하는 것을 통해 단말을 연결 상태로 전이한 다음, 호출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데이터 송신 형태는, 호출 데이터의 더욱 빠른 송신을 보장할 수 없기에,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없고, 시스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칩,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4측면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제3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3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7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칩을 제공하고, 상기 칩은 상기 각 구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되어 있는 기기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방안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지시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의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에 대해 조기 송신을 실행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효율을 향상시켰고, 시스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였으며, 나아가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2이다.
도 4는 페이징 처리 흐름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3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흐름 예시도 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 2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과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다만 설명의 참조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하에 얻은 다른 전체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UE(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로 지칭됨)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UE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기기(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기기(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네트워크 기기(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UE(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UE”는 유선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 및/또는 다른 UE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UE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혹은 “모바일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120) 사이는 기기간(D2D, 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자주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다만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과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다만 설명의 참조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측 데이터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코어 네트워크의 기기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중의 기지국이다. 물론, 다른 엔티티 기기가 제1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기기로 존재할 수도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은, 단말이 RRC 연결 구축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도 4에서 도시된 단계 2 또는 단계 4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호출 데이터로 지칭된다.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다시 말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한 후,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정보에서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는, 간접적으로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단말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만약 단말이 지원하면,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없고;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에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를 결합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단말의 능력 정보를 결합하여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 능력을 구비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만약 지원하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함을 확인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실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우에, 두 개 조건을 만족해야만 확인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능력을 알아야 하고, 구체적인 단말의 능력을 획득하는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저장된 단말의 무선 능력 집합에서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첫 번째 형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비액세스 계층(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일 수 있고; 다시 말하면, 단말은 제1 네트워크 기기 즉 코어 네트워크에 NAS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자신이 호출 데이터의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제2 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것은, 등록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2 메시지를 획득하거나, 또는, 부착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2 메시지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제2 메시지는 등록 요청 메시지에 반송되거나, 부착 요청 메시지에 반송된다.
저장된 단말의 무선 능력 집합에서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두 번째 형태에서, 단말은 그 능력을 무선 능력 집합에 미리 추가한 다음,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무선 능력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자체 보존된 단말에 대응되는 무선 능력 집합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능력 정보를 검색하고, 나아가 이를 제1 정보에 반송하여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 것을 결정하면,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고; 만약 지원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말의 능력을 결정하는 형태는 전술된 내용과 동일하고,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다시 말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의 능력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지시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도 존재할 수 있고;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지시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기 제1 정보를 반송하고; 다시 말하면 제1 정보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반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1 정보를 획득한다.
더 진일보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호출 데이터는 제1 정보에 반송되어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수 있고, 제1 정보에 반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호출 데이터가 제1 정보에 반송되는지 여부를 막론하고, 호출 데이터는 모두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형태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SMF 또는 S-GW일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1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것에 관한 형태는,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로컬 정책 또는 획득된 정책에 기반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획득된 것은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일 수 있고, 이때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직접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를 결정한 다음,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제3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직접 송신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된 규칙 또는 구성에 따라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기설정된 규칙 또는 구성은, 단말의 능력 및 자신이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의 능력이 지원될 경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형태는,
단말이 리포터 하는 능력을 획득 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을 통해 능력을 제3 네트워크 기기에 리포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NAS 계층 과정을 통해 제3 네트워크 기기에 리포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M NAS 메시지에서 리포터를 수행한다. 또는,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측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단말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및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의 요청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다음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단말의 능력 정보가 수신되고; 또 예를 들면, 제3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저장된 정보로부터 직접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나아가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신된 다음;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3 네트워크 기기가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 제1 지시 정보를 직접 송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4 네트워크 기기를 구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시는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송신하는 능력 또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더 진일보로,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호출 데이터 크기(Size)가 비교적 작을 경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일 때, 제3 네트워크 기기는 SMF 일 수 있고, 제4 네트워크 기기 즉 UPF가 SMF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조기 송신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SMF는 AMF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조기 송신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세션 구축의 과정에 있어서, UPF는 SMF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조기 송신할지 여부로 구성되고; SMF는 로컬 정책 또는 PCF로부터 획득된 정책에 따라 이 세션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조기 송신을 실행하면, 데이터를 AMF에 송신한다.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MME이고, 제3 네트워크 기기는 S-GW이며, 제4 네트워크 기기는 PDN-GW일 때; PDN-GW는 S-GW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조기 송신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S-GW는 MME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조기 송신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 여기서, PDN 연결 구축 과정에 있어서, PDN-GW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조기 송신할지 여부로 구성되고, PDN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따른 PDN 연결에 따라 조기 데이터 송신을 개시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S-GW는 로컬 정책 또는 PCF로부터 획득된 정책에 따라 이 PDN 연결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조기 송신을 실행하면, 데이터를 MME에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하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를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상응하게,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또는 PDN 연결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기기(AMF 또는 MME)는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및/또는 로컬 구성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또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를 지원하는 것에 따라, 이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응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3 네트워크 기기(SMF/S-GW 엔티티)에 지시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할 때, 제3 네트워크 기기(SMF/S-GW 엔티티)는 데이터에 따른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AMF 또는 MME)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는 PDU 세션의 식별자, PDN 연결의 식별자, EPS 베어러의 식별자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정보일 수도 있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PDU 세션, PDN 연결 또는 EPS 베어러를 유일하게 인식할 수만 있으면 된다.
다른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나아가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할 수 있으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호출 데이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능력을 획득하는 형태는 전술된 예시와 상이하고,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네트워크 기기(SMF/S-GW 엔티티)에 의해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제3 네트워크 기기(SMF/S-GW 엔티티)는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및/또는 로컬 구성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또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를 지원하는 것에 따라, 이 PDU 세션 또는 PDN 연결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응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할 때, 제3 네트워크 기기(SMF/S-GW 엔티티)는 데이터에 따른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AMF 또는 MME)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3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 정보에는 제1 지시 정보가 반송됨으로써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지시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페이징 응답 여부를 지시할 수도 있고, 구체적인 처리 형태는 하기와 같은 몇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4 지시 정보는 페이징(Paging) 지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는 페이징 지시 정보에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해야 하는지 여부의 지시 정보를 추가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페이징 지시 정보에서 단말의 빠른 릴리즈 여부를 지시하거나, 현재의 호출 데이터는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제4 지시 정보에 따라 페이징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단말의 응답이 필요하지 않으면,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가 수신되며, 제1 네트워크 기기 피드백 데이터에 성공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송신하고;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단말에 의해 송신된 preamble 메시지와 같은 단말의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기기(즉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단말이 업링크 RRC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제1 네트워크 기기 즉 코어 네트워크에 데이터 송신 성공을 피드백하거나 또는 단말이 이미 응답한 경우 등이다. 상응하게,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거나 또는 빠른 릴리즈를 하거나 또는 단일 다운 링크 데이터임을 지시할 때,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 송신 성공 정보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무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의 업무 타입을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조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에 의해 수신된 후, 예를 들어 service request 메시지와 같은 특정 타입의 메시지를 개시하고, 제1 네트워크 기기(코어 네트워크)는 특정 타입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번 업무 요청은 MT-EDT 타입에 대한 업무라고 간주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술된 MT-EDT 타입에 대한 업무는 단지 특정 타입의 업무의 일 예시일 뿐이고, 실제로 다른 특정 타입의 업무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전면적으로 열거하지 않을 뿐이다.
두 번째,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5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5 지시 정보를 통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AMF 또는 MEE)는 제2 네트워크 기기(액세스 네트워크)에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해야 하는지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고, 만약 제5 지시 정보에서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 빠른 단말 릴리즈,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필요하지 않다고 지시하면, 제2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제6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리턴 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MSG2에 의해 반송되거나, MSG4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아래에 도 6, 7을 결합하여 전술된 방안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도면에서의 AMF/MME이며, 제2 네트워크 기기는 도면에서의 RAN이고,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도면에서의 SMF/S-GW이며, 제4 네트워크 기기는 도면에서의 UPF/P-GW이다.
도 6은 평면 전송 데이터를 제어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형태이고, 도면에서 호출 데이터를 다운링크 데이터로 표시하며, 구체적으로, 1, 다운링크 데이터가 UPF/P-GW에 의해 획득되고; 2, 다운링크 데이터를 SMF/S-GW로 송신하며; 3, SMF/S-GW는 AMF/MME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서 PDU 세션 식별자를 반송할 수 있으며, 물론, 예를 들어 EBI와 같은 다른 내용을 반송할 수도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으며; 4, AMF/MME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PDU 세션을 패키징 하거나, NAS PDU에 EBI를 추가하고; 5, AMF/MME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NAS PDU를 반송하며, AMF/MME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제1 정보를 반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6, AMF/MME는 RAN에 페이징 요청을 송신하며; 7, RAN은 단말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제1 정보에 따라 결정된 조기 송신의 다운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평면 전송 데이터의 다운링크 데이터 조기 송신 형태이고, 여기서 도면에서의 DL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의 호출 데이터로 이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계 1, 2는 전술된 내용과 동일하고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3, SMF/S-GW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조기 송신이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형태는 단말의 능력에 기반하여, 단말의 능력은 예를 들어 ME-EDT 업무와 같은 특정 타입의 업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능력을 결정하는 형태는 로컬 구성에 따라 결정되고;
다음 두 가지 처리 형태가 존재할 수 있고,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4, SMF/S-GW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다운링크 데이터에 PDU 세션 식별자/EBI/MT-EDT 지시 등등을 반송할 수 있고; 5, AMF/MME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며; 6, AMF/MME는 RAN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에는 NAS PDU, PDU 세션 식별자/EBI 등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7, SMF/S-GW는 N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에는 MT-EDT 지시, PDU 세션 식별자/EBI가 포함될 수 있으며; 8, AMF/MME는 N2 정보를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추가하고; 9, AMF/MME는 RAN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10, RAN는 단말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방안을 사용하는 것을 통하면, 제1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지시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의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에 대해 조기 송신을 실행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 유닛(51)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유닛(61)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코어 네트워크의 기기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중의 기지국이다. 물론, 다른 엔티티 기기가 제1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2 네트워크 기기로 존재할 수도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뿐이다.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다시 말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고;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능력을 알아야 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저장된 단말의 무선 능력 집합에서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제1 처리 유닛(52)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느워크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제1 정보가 반송되고; 다시 말하면 제1 정보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반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1 정보를 획득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처리 유닛(52)은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지원되면, 제1 통신 유닛(51)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고; 만약 지원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더 진일보로,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통신 유닛(51)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호출 데이터는 제1 정보에 반송되어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수 있고, 제1 정보에 반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형태는,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유닛(51)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SMF 또는 S-GW일 수 있다.
상응하게,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3 통신 유닛(71) -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것에 관한 형태는, 제3 통신 유닛(71)이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또는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로컬 정책 또는 획득된 정책에 기반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처리 유닛(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제3 처리 유닛(72)은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3 처리 유닛(72)이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형태는,
제3 통신 유닛(71)을 통해 단말이 리포터 하는 능력을 획득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4 네트워크 기기를 구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시는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송신하는 능력 또는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더 진일보로,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제3 처리 유닛(72)은, 호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처리 유닛(72)은,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고;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결정한다.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제1 처리 유닛(52)은,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유닛(51)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제3 통신 유닛(71)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또는 PDN 연결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제3 처리 유닛(72)은,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또는 PDN 연결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한 가지 형태에 있어서,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나아가 제3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할 수 있으며,
제3 네트워크 기기의 제3 처리 유닛(72)은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통신 유닛(51)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호출 데이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페이징 응답 여부를 지시할 수도 있고, 구체적인 처리 형태는 하기와 같은 몇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통신 유닛(51)은,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4 지시 정보는 페이징(Paging) 지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통신 유닛(51)은,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처리 유닛(52)은, 상기 제1 업무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의 업무 타입을 결정한다.
두 번째,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1 통신 유닛(51)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제2 네트워크 기기의 제2 통신 유닛(61)은, 제1 네트워크 기기의 제5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5 지시 정보를 통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5 지시 정보에서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 빠른 단말 릴리즈,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필요하지 않다고 지시하면, 제2 네트워크 기기의 제2 통신 유닛(61)은,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제6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리턴 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MSG2에 의해 반송되거나, MSG4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상기 방안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지시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단말에 대해 호출 데이터의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에 대해 조기 송신을 실행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효율을 향상시켰고, 시스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였으며, 나아가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1900)의 예시적 구조도이고, 본 실시예에서의 통신 기기는 구체적으로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통신 기기(1900)는 프로세서(19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9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900)는 메모리(1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910)는 메모리(19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1920)는 프로세서(19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19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900)는 트랜시버(19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910)는 상기 트랜시버(1930)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19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930)는 안테나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9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칩(2000)은 프로세서(20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0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2000)은 메모리(2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10)는 메모리(20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2020)는 프로세서(20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20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2000)은 입력 인터페이스(2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20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2000)은 출력 인터페이스(2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20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직접 반영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하며,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설명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2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2100)은 UE(2110) 및 네트워크 기기(2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UE(2110)는 상기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21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런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디자인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해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함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일 뿐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로 사실상 구현될 때에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 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게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또한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87)

  1.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저장된 단말의 무선 능력 집합에서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기 제1 정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도착 데이터에 대응되는 PDU 세션 식별자, PDN 연결 식별자, EPS 베어러 식별자 중 하나에 기반하여, 도착 데이터에 대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호출 데이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거나 또는 빠른 릴리즈를 하거나 또는 단일 다운 링크 데이터임을 지시할 때,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 송신 성공 정보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무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의 업무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9.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 피드백 데이터에 성공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5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에 제6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리턴 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MSG2 또는 MSG4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0.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호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6.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로컬 정책 또는 획득된 정책에 기반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대응하는 호출 데이터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형태는,
    단말이 리포터 하는 능력을 획득 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3. 제1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 실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1 통신 유닛을 통해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저장된 단말의 무선 능력 집합에서 상기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제1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기 제1 정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1.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AMF 또는 M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제1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도착 데이터에 대응되는 PDU 세션 식별자, PDN 연결 식별자, EPS 베어러 식별자 중 하나에 기반하여, 도착 데이터에 대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3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호출 데이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4 지시 정보는 단말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거나 또는 빠른 릴리즈를 하거나 또는 단일 다운 링크 데이터임을 지시할 때,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 송신 성공 정보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무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의 업무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59.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5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60.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이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기기.
  61. 제2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정보는 제2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대한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조기 송신 적용 여부의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지원하는지 여부, 단말의 무선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5. 제6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네트워크 기기 피드백 데이터에 성공 또는 단말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8.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5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 상기 제5 지시 정보는 페이징에 응답 여부, 빠른 단말 릴리즈 여부, 단일 다운링크 데이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단말의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제6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리턴 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지시 정보는 MSG2 또는 MSG4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네트워크 기기.
  71. 제3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1 네트워크 기기에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3 통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제2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유닛은, 제4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호출 데이터 및 호출 데이터가 조기 송신될지 여부의 제1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유닛은,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유닛은, 호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고,
    호출 데이터 크기가 기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4 네트워크 기기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지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제3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6. 제7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로컬 정책 또는 획득된 정책에 기반하여,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7.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79.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의 능력 정보,
    로컬 구성 정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정책 정보,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업무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가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3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호출 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상기 호출 데이터의 PDU 세션, PDN 연결, EPS 베어러 중 하나의 정보에 따라, 호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3 통신 유닛을 통해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대응하는 호출 데이터는 호출 데이터 조기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81.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능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3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 유닛이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형태는,
    제3 통신 유닛을 통해 단말이 리포터 하는 능력을 획득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네트워크 기기.
  83.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84. 칩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8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86.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7.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41213A 2019-06-18 2019-09-30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KR20220024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91720 WO2020252659A1 (zh) 2019-06-18 2019-06-18 一种数据发送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
CNPCT/CN2019/091720 2019-06-18
PCT/CN2019/109683 WO2020252981A1 (zh) 2019-06-18 2019-09-30 一种数据发送方法、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065A true KR20220024065A (ko) 2022-03-03

Family

ID=7404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13A KR20220024065A (ko) 2019-06-18 2019-09-30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0252B2 (ko)
EP (1) EP3879874B1 (ko)
JP (1) JP2022537302A (ko)
KR (1) KR20220024065A (ko)
CN (2) CN113329396B (ko)
WO (2) WO2020252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2659A1 (zh) * 2019-06-18 2020-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4920B2 (en) * 2012-02-23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on of false packet decodes due to early decoding
KR102053229B1 (ko) * 2017-04-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Edt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
EP3471457B1 (en) * 2017-04-28 2021-03-10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edt
US20180324869A1 (en) * 2017-05-04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early data transmission
WO2019032222A1 (en) * 2017-08-11 2019-02-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ARLY DATA TRANSMISSION IN UPLINK
US20190104553A1 (en) 2017-09-29 2019-04-04 Media Tek Inc. High Reliability and Early Data Transmission
EP3701760A1 (en) * 2017-10-26 2020-09-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d disabling early data transmission
WO2019098118A1 (en) * 2017-11-17 2019-05-23 Nec Corporation Early data transmission authorization control
US11102764B2 (en) * 2018-02-07 2021-08-24 Apple Inc. Minimization of padding and resource wastage in message 3 (MSG3) for early data transmission (EDT)
CN114666845A (zh) * 2018-03-26 2022-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设备
CN110351833B (zh) * 2018-04-02 2024-02-20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执行的方法、基站执行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1190989B2 (en) * 2018-05-22 2021-11-30 Apple Inc. Mobility management for inter-gNB (next generation node-b) handover in new radio (NR) systems
EP3806557A4 (en) * 2018-06-06 2021-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TRANSMISSION OF RADIO MESSAGES AND RELATED EQUIPMENT
US11917695B2 (en) * 2018-09-24 2024-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arly mobile-terminated data transmission
TWI695646B (zh) * 2018-11-27 2020-06-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用於釋放預配置的上行鏈路資源配置的方法和設備
CN109526008A (zh) * 2018-12-24 2019-03-26 广州微智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系统传输模式的选择方法
KR20200088161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2 단계 랜덤 엑세스 과정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26931A (zh) * 2019-05-01 2022-02-08 苹果公司 控制平面和用户平面解决方案中的移动终止(mt)早期数据传输(edt)
CN113785653A (zh) * 2019-05-02 2021-12-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组合mo edt过程与mt edt过程的方法和设备
WO2020252659A1 (zh) * 2019-06-18 2020-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
WO2021074859A1 (en) * 2019-10-16 2021-04-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downlink data measurement at mobile terminating early data transmission (mt-ed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29396B (zh) 2023-05-09
US11540252B2 (en) 2022-12-27
EP3879874A1 (en) 2021-09-15
WO2020252659A1 (zh) 2020-12-24
CN112740743A (zh) 2021-04-30
US20210289469A1 (en) 2021-09-16
EP3879874B1 (en) 2023-05-10
JP2022537302A (ja) 2022-08-25
EP3879874A4 (en) 2022-01-19
WO2020252981A1 (zh) 2020-12-24
CN113329396A (zh)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2178B1 (en) Paging method and device
KR20210031973A (ko) 세션 관리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1885640B (zh) 一种控制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和存储介质
US202300380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inactive state, and user equipment
US2022011691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US2022006107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CN11524497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1935853B (zh) 协议数据单元会话状态指示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4270935A (zh) 一种小区连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0519076A (ja) 輻輳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機器
CN112715038B (zh) 一种参数配置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2789891B (zh) 无线通信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2804759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网络设备
US1154025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EP3618558A1 (en) Method for enabling network to fall back,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KR20210154165A (ko) 핸드오버 처리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1918357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RU274133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доступа к услуге
CN112889257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