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919A -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919A
KR20220023919A KR1020200105542A KR20200105542A KR20220023919A KR 20220023919 A KR20220023919 A KR 20220023919A KR 1020200105542 A KR1020200105542 A KR 1020200105542A KR 20200105542 A KR20200105542 A KR 20200105542A KR 20220023919 A KR20220023919 A KR 2022002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tobacco
granules
wra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541B1 (ko
Inventor
장석수
한대남
김용환
윤성욱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0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541B1/ko
Priority to EP21858484.5A priority patent/EP4087416A4/en
Priority to US17/800,949 priority patent/US20230073657A1/en
Priority to CN202180017264.6A priority patent/CN115175577A/zh
Priority to JP2022564663A priority patent/JP7454702B2/ja
Priority to PCT/KR2021/009551 priority patent/WO202203939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24B15/14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made of tobacco and a binding agent not derived from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5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e.g. particle shape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85Forming the rod for cigarettes with an axial air 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31F1/10Creasing by rotary too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05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nly
    • D21H17/06Alcohols; Phenols; Ethers; Aldehydes; Ketones; Acetals; Ket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12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 D21H5/14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 D21H5/16Tobacco or cigarett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2201/00Mechanical deformation of paper or cardboard without removing material
    • B31F2201/07Embossing
    • B31F2201/0707Embossing by tools working continuously
    • B31F2201/0715The tools being ro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부, 클림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된 내부 래퍼 및 상기 주름에 흡착된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포함하여 에어로졸에 담배 성분을 부과하는 담배 충진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 및 상기 담배 충진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내부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 및 상기 담배 물질에 열을 전달하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이 주름이 형성된 내부 래퍼에 흡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일부 제품은 매질과 매질에 첨가된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매질 내의 판상엽 또는 담배 각초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판상엽 또는 담배 각초로 이루어진 매질은 에어로졸이 생성되어 유동할 때 흡연 저항성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담배 물질이 입자 형태로 제공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경우, 입자 형태의 담배 물질이 물품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래퍼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고, 주름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흡착시킨 담배 충진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이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부, 크림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된 내부 래퍼 및 상기 주름에 흡착된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포함하여 에어로졸에 담배 성분을 부과하는 담배 충진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 및 상기 담배 충진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내부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 및 상기 담배 물질에 열을 전달하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조방법으로서, 내부 래퍼에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내부 래퍼의 표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자유낙하 시켜 상기 그래뉼을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래퍼를 권취한 후 절단하여 담배 충진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담배 충진부의 일단에 에어로졸 생성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담배 충진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의 외주면을 열 전도성 래퍼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는 사항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담배 물질이 그래뉼 형태로 제공되어 부피나 무게 대비 높은 담배 성분의 이행률 및 흡연 지속성을 가질 수 있고, 풍부한 무화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을 위해 요구되는 온도가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비 담배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래퍼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바인더가 도포되고, 그 위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이 흡착되어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또한, 그래뉼의 직경에 따라 가장 적절한 범위의 열 전도성 래퍼의 두께를 설정하여 담배 성분의 이행률과 흡연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성으로부터 유추가능한 효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담배 충진부의 내부 래퍼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담배 충진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냉각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담배 충진부의 내부 래퍼에 바인더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일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10)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배터리(21), 제어부(22), 히터(23) 및 증기화기(24)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1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히터(2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21), 제어부(22), 증기화기(24) 및 히터(2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24) 및 히터(2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내부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21), 제어부(22), 히터(23) 및 증기화기(2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히터(23) 및/또는 증기화기(24)를 작동시켜, 궐련(10) 및/또는 증기화기(24)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23) 및/또는 증기화기(2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1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히터(23)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2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1)는 히터(23) 또는 증기화기(2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2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는 배터리(21), 히터(23) 및 증기화기(2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23)는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삽입되면, 히터(23)는 궐련(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23)는 궐련(1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23)는 전기 저항성 히터(2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3)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2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2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23)는 유도 가열식 히터(2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23)에는 궐련(10)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10)은 유도 가열식 히터(23)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1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는 히터(2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23)들은 궐련(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23)들 중 일부는 궐련(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23)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2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1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2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2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1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2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210)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2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2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510),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51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23)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24)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배터리(21), 제어부(22), 히터(23) 및 증기화기(2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궐련(1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배터리(2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23)가 가열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궐련(1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는 궐련(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궐련(1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10)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1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1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1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15)을 통하여 궐련(1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10)은 담배 로드(11) 및 필터 로드(12)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11)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12)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12)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12)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12)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12)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1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래퍼(1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외부 래퍼(14)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10)은 하나의 외부 래퍼(1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10)은 2 이상의 외부 래퍼(14)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11)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12)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11) 및 필터 로드(12)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1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11) 또는 필터 로드(12)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1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1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1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11)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11)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11)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11)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11)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11)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1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1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11)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23)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11)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12)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1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12)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12)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12)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1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13)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13)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13)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1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11)에 있어서, 필터 로드(12)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1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11)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및 도 2의 2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배터리(21), 프로세서(25), 코일(27) 및 서셉터(26)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공동(43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10), 배터리(21) 및 프로세서(25)는 도 1 내지 도 3의 궐련(10), 배터리(21) 및 프로세서(25)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코일(27) 및 서셉터(26)는 히터(23)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코일(27)은 공동(430)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는 코일(27)이 공동(4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공동(430)에 수용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는 코일(27)이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코일(27)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코일(27)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서셉터(26)를 관통함에 따라 서셉터(26)가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 현상은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Faraday's Law of induction)으로 설명되는 공지된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서셉터(26) 내의 자기 유도가 변화하는 경우, 전기장이 서셉터(26) 내에 생성됨으로써, 와전류(eddy current)가 서셉터(26) 내에 흐르게 된다. 와전류는 서셉터(26) 내에서 전류 밀도 및 전도체 저항에 비례하는 열을 발생시킨다.
서셉터(26)가 와전류에 의해 가열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1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서셉터(26)에 의하여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배터리(21)는 코일(27)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코일(2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27)은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성 코일일 수 있다. 코일(27)은 공동(4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27)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공동(430)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서셉터(26)에 인가될 수 있다.
서셉터(26)는 코일(27)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관통됨에 따라 가열되며,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26)는 페라이트(ferrite), 강자성 합금(ferromagnetic 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aluminu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셉터(26)는 흑연(graphite), 몰리브덴(molybdenum),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니오븀(niobium), 니켈 합금(nickel alloy), 금속 필름(metal film), 지르코니아(zirconia) 등과 같은 세라믹, 니켈(Ni)이나 코발트(Co) 등과 같은 전이 금속 및 붕소(B)나 인(P)과 같은 준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서셉터(26)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의 공동(430)에 수용되면, 서셉터(26)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서셉터(26)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서셉터(26)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셉터(26)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는 서셉터(26)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서셉터(26)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서셉터(26)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셉터(26)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은 도 1 내지 도 3의 궐련(1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궐련(10)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은 에어로졸 생성부(100), 담배 충진부(200) 및 열 전도성 래퍼(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에어로졸 생성부(100)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글리세린을 혼합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충진부(200)는 생성된 에어로졸에 담배 성분을 부과하는 구성이다. 담배 충진부(200)는 내부 래퍼(220)와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담배 물질(210)이 그래뉼 형태로 흡착되고, 그래뉼이 흡착된 상태에서 권취된다.
내부 래퍼(220)의 표면은 크림핑에 의해 다수의 주름(221)이 형성되고, 주름(221) 사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흡착될 수 있다. 내부 래퍼(220)의 재질은 담배 성분이 없는 비 담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은 정형 또는 비정형의 그래뉼일 수 있다. 비정형의 그래뉼 형태인 경우 그 직경(211)은 균일하지 않고 2가지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그래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은 판상엽이나 담배 각초로 이루어진 담배 물질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에어로졸 제거능력이 낮아 풍부한 무화량을 구현할 수 있다. 그래뉼은 일반적인 판상엽 또는 담배 각초에 비하여 무게나 부피 대비 담배 물질(210)의 양이 풍부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그래뉼은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충분한 담배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도 담배 성분의 이행률이 우수하여 에어로졸에 풍부한 담배 물질(210)을 부과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약 300℃ 이상의 가열 온도가 요구되는 반면, 본 개시와 같이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의 경우 약 250℃ 이상의 가열 온도에서 충분히 담배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3)가 구비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 히터(23)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까지 가열되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21)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와 담배 충진부(200)는 서로 연결된 후 외부 래퍼(14)로 포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는 담배 충진부(200)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순서에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담배 충진부(200)로 유입되고, 담배 충진부(200)를 지나면서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로부터 담배 성분을 흡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내부 래퍼(220)에 형성된 주름(221)은 그래뉼 형태의 담배물질이 내부 래퍼(220)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름(221)에 의하여 형성된 굴곡에 그래뉼이 안착됨으로써 흔들리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담배 물질(210)이 내부 래퍼(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0)는 열전도 물질이 포함되어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0)는 에어로졸 생성부(100)와 담배 충진부(2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기질과 담배 물질(21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고분자 복합소재와 같이 열 전도성이 높은 물질일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0)를 구성하는 열 전도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열 전도율을 조절하여 담배 성분의 이행률을 조절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0)가 에어로졸 생성부(100)와 담배 충진부(200)의 외주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와 같은 유도 가열식 장치에 삽입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은 냉각부(400) 및 필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4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부(400)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을 통해 에어로졸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천공(4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천공(410)을 통해 냉각부(400)로 유입되어 에어로졸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부(400)는 종이 또는 아세테이트 튜브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400)는 순수한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냉각부(400)는 PLA가 별도의 세그먼트 또는 쓰레드(thread) 형태로 삽입될 수 있어서 냉각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희석율을 낮추어 풍부한 무화량을 구현할 수 있으며,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필터부(500)는 에어로졸이 유동하면서 여과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과하는 향미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향미제(510)는 필터부(500)에 가향액을 분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향미제(510)가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부(5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500)에 직접 향미제(510)가 도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은 에어로졸 생성부(100), 담배 충진부(200), 냉각부(400) 및 필터부(500)의 순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에서 에어로졸 생성 기질이 기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되어 담배 충진부(200)로 유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담배 충진부(200)를 통과하면서 담배 물질(210)에 의하여 담배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담배 성분이 첨가된 후 냉각부(400)를 유동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고, 필터부(5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부(500)를 통과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 있고, 필터부(500) 또는 냉각부(40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세그먼트가 복수 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는 담배 충진부(200)의 내부 래퍼(220)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은 내부 래퍼(220)의 주름(221) 사이에 흡착될 수 있다. 내부 래퍼(220)에 형성된 주름(221)은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을 견고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로졸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거나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은 담배 충진부(200)를 통과할 때 주름(221) 사이로 흐를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기질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담배 충진부(200)로 유입되어 통과할 때 내부 래퍼(220)에 형성된 주름(221)이 공기 채널을 형성하여 에어로졸이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주름(221)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름(221)이 형성될 수 있다. 판상엽 또는 담배 각초로 구성된 담배 물질의 경우 에어로졸이 유동할 때 장애물로 작용하여 흡연 저항성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본 개시의 경우 주름(221)이 공기 채널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판상엽 또는 담배 각초로 구성된 담배 물질에 비하여 에어로졸이 활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담배 물질(210)이 그래뉼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그래뉼의 직경(211)은 흡연 지속성과 담배 성분의 이행률과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흡연 지속성이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을 사용할 때 사용을 시작한 때부터 종료하는 때까지 일정한 양의 담배 성분을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연 지속성이 낮으면 사용 초기에는 풍부한 양의 담배 성분을 제공하지만 퍼프를 계속할수록 제공되는 담배 성분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담배 성분의 이행률이란 퍼프에 따라 제공되는 담배 성분의 함량을 의미한다. 담배 성분의 이행률이 낮으면 퍼프 시 담배 성분의 제공량이 낮으므로 흡연감이 떨어지게 된다.
흡연 지속성 관점에서 보면, 담배 물질(210)의 그래뉼의 직경(211)이 증가할수록 담배 충진부(200)에 충진되는 담배 물질(210)의 양이 증가하여 흡연 지속성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담배 성분의 이행률 관점에서 보면, 그래뉼의 직경(211)이 감소할수록 담배 충진부(200)에 충진되는 그래뉼의 충진률이 증가하여 담배 성분 이행률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뉼의 직경(211)이 너무 크면 담배 성분 이행률이 부족하고, 너무 작으면 흡연 지속성이 부족하게 된다. 그래뉼의 직경(211)은 적절한 흡연 지속성과 담배 성분의 이행률을 가지는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흡연 지속성과 담배 성분의 이행률의 우수성을 위하여 그래뉼의 직경(211)은 약 0.1mm 내지 약 1.0mm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열 전도성 물질의 양이 증가하므로 담배 충진부(200)에 제공되는 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흡연 지속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 원형으로 권취하기 곤란하여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충분한 담배 성분 이행을 제공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두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는 약 20㎛ 이하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래뉼의 직경(211)과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는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래뉼의 직경(211)은 약 0.1mm 내지 약 1.0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는 그래뉼의 직경(211)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래뉼의 직경(211)이 약 0.1mm 내지 약 0.4mm 범위일 경우,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는 약 0.6 ㎛ 내지 약 12 ㎛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래뉼의 직경(211)이 약 0.5mm 내지 약 1.0mm 범위일 경우, 열 전도성 래퍼(300)의 두께는 약 12 ㎛ 내지 약 20 ㎛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담배 충진부(200)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담배 물질(210)이 그래뉼 형태로 내부 래퍼(220)에 흡착된 상태에서 담배 충진부(200)의 종"??*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래퍼(220)의 주름(221)은 크림핑에 의하여 물결 모양으로 요철이 형성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는 물결 모양의 요철에 의해 반복적인 굴곡이 형성되고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은 요철 사이에 흡착될 수 있다. 담배 물질(210)이 내부 래퍼(220)에 흡착된 상태에서 권취되어 절단된 후 열 전도성 래퍼(3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그래뉼의 직경(211)은 내부 래퍼(220)의 주름(221) 사이에 안정적으로 흡착되어야 하므로, 그래뉼의 직경(211)과 주름의 폭(222)은 적절한 상관관계가 요구된다. 그래뉼의 직경(211)이 너무 크면 주름(221) 사이에 삽입되지 않게 되고, 너무 작으면 주름(221) 사이에서 이탈하게 되기 때문이다.
담배 물질(210)이 내부 래퍼(220)의 주름(221)에 안정적으로 흡착되기 위해서 주름의 폭(222)이 그래뉼의 직경(211)의 약 1.4배 내지 약 1.6배 범위일 수 있다. 즉, 그래뉼의 직경(211)의 약 1.5배의 크기로 주름의 폭(222)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의 폭(222)이 그래뉼의 직경(211)의 약 1.4배 내지 약 1.6배인 경우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주름(221) 사이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을 안정적으로 흡착하기 위하여 내부 래퍼(220)의 표면을 개질하여 거칠기를 조절할 수 있다. 내부 래퍼(220)의 표면을 개질을 통해 거칠게 하면 표면에 미세한 요철, 홈 등이 생성될 수 있다. 거칠기가 증가된 표면은 마찰력이 증가하여 그래뉼이 잘 달라붙을 수 있다. 따라서 그래뉼이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흡착된 내부 래퍼(220)의 표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권취될 수 있다. 담배 충진부(200)의 단면에는 복수의 층으로 권취된 내부 래퍼(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냉각부(400)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4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천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이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외부 래퍼(14)에는 천공(41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공기가 유동하는 구멍(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담배 충진부(200)의 내부 래퍼(220)에 바인더(230)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래퍼(220)는 표면에 바인더(230)가 도포되고, 담배 물질(210)이 바인더(230) 상에 흡착될 수 있다. 바인더(230)는 흡착력을 가지는 물질로서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도포되어 접착력에 의해 그래뉼을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인더(230)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또는 향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230)에 의하여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내부 래퍼(220)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을 삽입하면 히터(23) 및/또는 증기화기(24)에 의하여 열 전도성 래퍼(300)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0)는 에어로졸 생성부(100)와 담배 충진부(2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열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과 담배 물질(2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되는 히터(23)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외부에서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며, 유도 가열식 히터(23)도 가능하다.
도 11는 일 예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제조방법은, 먼저 내부 래퍼(220)에 물리적 처리 및 화학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는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내부 래퍼(220)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물리적 처리는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주름(221)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종이 등 비담배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래퍼(220)를 준비하고,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압인롤러로 롤링함으로써 주름(221)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적 처리는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바인더(230)를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보습제 등 접착력을 가지는 바인더(230)를 도포할 수 있다.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수행한 후,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물질을 자유낙하 시켜 그래뉼을 흡착시키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래뉼 형태의 담배물질은 래퍼에 흡착시킬 때 정전기에 의하여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래퍼(220)의 표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을 자유낙하 시킴으로써 고르고 안정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다.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210)이 흡착된 내부 래퍼(220)를 권취한 후 절단하여 담배 충진부(200)를 준비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래뉼이 흡착된 내부 래퍼(220)의 표면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권취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면 담배 충진부(200)가 완성될 수 있다.
완성된 담배 충진부(200)의 일단에 에어로졸 생성부(100)를 연결하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담배 충진부(20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양자를 연결한다.
담배 충진부(200) 및 에어로졸 생성부(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열 전도성 래퍼(300)로 둘러싸는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로졸 생성부(100) 및 담배 충진부(20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0: 에어로졸 생성부
200: 담배 충진부
210: 담배 물질
220: 주름
300: 열 전도성 래퍼
400: 냉각부
410: 천공
500: 필터부
510: 향미제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기질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부;
    클림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된 내부 래퍼 및 상기 주름에 흡착된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포함하여 에어로졸에 담배 성분을 부과하는 담배 충진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 및 상기 담배 충진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내부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질 및 상기 담배 물질에 열을 전달하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의 직경은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열 전도성 래퍼의 두께는 상기 그래뉼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의 직경은 0.1mm 내지 0.4mm이고, 상기 열 전도성 래퍼의 두께는 0.6 ㎛ 내지 12 ㎛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의 직경은 0.5mm 내지 1.0mm이고, 상기 열 전도성 래퍼의 두께는 12 ㎛ 내지 20 ㎛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는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되고, 상기 담배 물질이 상기 바인더 상에 흡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는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을 형성하여 배열됨으로써 복수의 공기 채널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는 표면을 개질하여 거칠기를 조절함으로써 그래뉼을 상기 주름에 흡착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의 주름은 물결 모양으로 요철이 형성된 패턴을 가지고, 상기 그래뉼은 상기 요철에 흡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의 재질은 비 담배 재질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래퍼의 주름의 폭은 상기 그래뉼의 직경의 1.4배 내지 1.6배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이 유동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이 형성된 냉각부; 및
    상기 에어로졸이 유동하면서 여과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 상기 담배 충진부, 상기 냉각부 및 상기 필터부가 연결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
  13. 내부 래퍼에 물리적 처리 및 화학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내부 래퍼의 표면에 그래뉼 형태의 담배 물질을 자유낙하 시켜 상기 그래뉼을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래퍼를 권취한 후 절단하여 담배 충진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담배 충진부의 일단에 에어로졸 생성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담배 충진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의 외주면을 열 전도성 래퍼로 둘러싸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처리는 상기 내부 래퍼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압인롤러로 롤링함으로써 주름을 형성하는 것인 담배 충진부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처리는 내부 래퍼의 표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것인 담배 충진부의 제조방법.
KR1020200105542A 2020-08-21 2020-08-21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2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42A KR102425541B1 (ko) 2020-08-21 2020-08-21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EP21858484.5A EP4087416A4 (en) 2020-08-21 2021-07-23 AEROSOL GENERATION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7/800,949 US20230073657A1 (en) 2020-08-21 2021-07-23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02180017264.6A CN115175577A (zh) 2020-08-21 2021-07-23 气溶胶生成制品及其制造方法
JP2022564663A JP7454702B2 (ja) 2020-08-21 2021-07-23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21/009551 WO2022039397A1 (en) 2020-08-21 2021-07-23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42A KR102425541B1 (ko) 2020-08-21 2020-08-21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919A true KR20220023919A (ko) 2022-03-03
KR102425541B1 KR102425541B1 (ko) 2022-07-26

Family

ID=8032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542A KR102425541B1 (ko) 2020-08-21 2020-08-21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73657A1 (ko)
EP (1) EP4087416A4 (ko)
JP (1) JP7454702B2 (ko)
KR (1) KR102425541B1 (ko)
CN (1) CN115175577A (ko)
WO (1) WO2022039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068A (ko) * 2022-04-04 2023-10-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시스템
GB202215645D0 (en) * 2022-10-21 2022-12-07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nsum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5935A1 (en) * 2007-09-20 2010-11-04 Richard Fiebelkorn Smoking article with modified smoke delivery
US20150027476A1 (en) * 2011-04-15 2015-0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Ventilated smoking article including sorbent material
US20170055576A1 (en) * 2015-08-31 2017-03-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KR20200004698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773B2 (en) * 2005-07-29 2010-06-29 Philip Morris Usa Inc. Over-wrap for smoking article
TWI605764B (zh) 2012-05-31 2017-11-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混合桿、形成此種混合桿的方法、氣溶膠產生物品、氣溶膠產生基體及包含電操作氣溶膠產生設備及氣溶膠產生物品的系統
CN115191655A (zh) 2017-03-30 2022-10-18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以及托架
CN207912030U (zh) * 2018-01-29 2018-09-28 浙江华丰纸业科技有限公司 一种咖啡香卷烟纸
KR102414658B1 (ko) * 2018-07-05 2022-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CN111436647A (zh) * 2020-04-17 2020-07-2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植绒技术制造的非燃烧型烟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5935A1 (en) * 2007-09-20 2010-11-04 Richard Fiebelkorn Smoking article with modified smoke delivery
US20150027476A1 (en) * 2011-04-15 2015-0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Ventilated smoking article including sorbent material
US20170055576A1 (en) * 2015-08-31 2017-03-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KR20200004698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397A1 (en) 2022-02-24
KR102425541B1 (ko) 2022-07-26
CN115175577A (zh) 2022-10-11
JP2023523287A (ja) 2023-06-02
JP7454702B2 (ja) 2024-03-22
EP4087416A4 (en) 2023-10-25
US20230073657A1 (en) 2023-03-09
EP4087416A1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29611B (zh) 包括外部包装纸的卷烟
JP7173667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JP7477118B2 (ja) 液状組成物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330306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2822953B (zh) 气溶胶生成制品、气溶胶生成装置以及气溶胶生成系统
CN111757679A (zh) 气溶胶生成装置用卷烟以及使用该卷烟的气溶胶生成装置
CN112739225B (zh) 外部加热式气溶胶生成装置及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卷烟
KR102425541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N113597264B (zh) 卷烟
JP7396581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542600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60715B1 (ko)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40818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302B1 (ko) 매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행량이 증대되도록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3286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87085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4364270B (zh) 气溶胶生成物品、气溶胶生成物品用冷却组件以及空气量调节装置
KR102503840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쓰레드 필터, 및 쓰레드 필터를 포함한 냉각 물품
JP2023517125A (ja) 多孔性タバコ固形物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多孔性タバコ固形物の製造方法
JP2023512897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KR20210155686A (ko)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담배 요소의 제조 방법
CN118102895A (zh) 烟以及用烟生成气溶胶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