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495A -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495A
KR20220023495A KR1020200105283A KR20200105283A KR20220023495A KR 20220023495 A KR20220023495 A KR 20220023495A KR 1020200105283 A KR1020200105283 A KR 1020200105283A KR 20200105283 A KR20200105283 A KR 20200105283A KR 20220023495 A KR20220023495 A KR 2022002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self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461B1 (ko
Inventor
기호
Original Assignee
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 filed Critical 기호
Priority to KR102020010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13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지면과 접촉하는 휠들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대차; 일측단이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표식판; 및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표시판이 상기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쇼바;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AUTONOMOUS VEHICLE PRACTICING DEVICE FOR TESTING OPERATION STATUS OF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규모는 오는 2035년까지 약 15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실제 자율주행 자동차를 사용한 실습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교육 효과가 높다.
그러나,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교육은 현재 거의 시행되고 있지 않으며, 실제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한 실습 또한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자율주행 차량의 실습을 위한 장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자율주행 차량 실습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거나 제품화된 자율주행 차량 실습 장치는 실제 도로와 같은 환경을 필요로 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있고,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실제 도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자율주행 차량 실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도로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적인 제약이 적으며, 사고의 위험성이 작은 자율주행 차량 실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지면과 접촉하는 휠들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대차; 일측단이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표식판; 및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표시판이 상기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쇼바;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표식판은,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이 이루는 제1 방향과 수직되는 제2 방향의 양측단 각각에서 상기 이동대차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들과, 상기 제1 연장부들 각각의 종단에서 상기 표식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식판의 상기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지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면(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의 반대면임)에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타이어와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표식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표식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도달하는 센서신호를 반사시키는 집중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대차의 상기 타측방의 상기 휠과 접촉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이동대차를 감속시키는 감속 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표식판을 상기 이동대차에 고정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해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표식판을 상기 이동대차로부터 해제시키는 락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락장치는, 상기 이동대차의 상기 타측방에 설치되는 제1 락장치;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락장치와 맞물림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2 락장치; 및 상기 제1 락장치와 상기 제2 락장치의 맞물림 방식에 의한 체결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시키는 락해제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락해제장치를 구동시키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재들; 상기 베이스 부재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주는 가변차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는, 물리적 가변차선이 릴에 감긴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며, 일측에 차선 출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이 외부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되는 차선 릴박스; 상기 차선 릴박스의 상기 차선 출입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선 릴박스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이 접히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의 풀림 또는 감김 동작을 유도하는 차선 유도부; 상기 차선 릴박스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선 릴박스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차선 고정롤러; 및 상기 차선 고정롤러의 회전 조작을 위한 롤러고정레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차선 영상을 프로젝션하는 레이저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직선 차선, 커브드 차선 및 컴바인드 차선(상기 컴바인드 차선은 상기 직선 차선 및 상기 커브드 차선이 혼합된 차선임)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가변차선을 생성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재들; 상기 베이스 부재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주는 가변차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다수의 학습자와 교수자가 확인 및 진단 가능하도록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다수의 학습자와 교수자가 확인 및 진단 가능하도록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실제 도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자율주행 차량 실습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도로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적인 제약이 적으며, 사고의 위험성이 작은 자율주행 차량 실습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자율주행 차량과 충돌했을 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차선을 생성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가 함께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모니터링부가 함께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는 하부면에 지면과 접촉하는 휠(111)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대차(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는 일측단이 이동대차(110)의 일측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표식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는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표식판(120)이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부터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쇼바(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쇼바(121)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쇼바(121)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으나, 쇼바(121)의 개수는 임의로 늘릴 수 있을 것이며, 쇼바(121)의 크기 및 위치, 형상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로, 이동대차(110)는 도 1에서와 같이 4개의 휠(111)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으나, 휠(111)의 개수는 임의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이동대차(110)의 형태 또한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표식판(120)은, 표식판(120)의 일측단 및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이루는 제1 방향과 수직되는 제2 방향, 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의 양측단 각각에서 이동대차(110)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122a)와, 제1 연장부(122a) 각각의 종단에서 표식판(120)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22b)를 포함하며,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에 위치할 경우 제2 연장부(122b)가 지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동 성능 실험에서 자율주행 자동차가 제동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표식판(120)에 충돌하더라도 표식판(120)이 이동대차(110)를 덮어 보호함으로써 자율주행 자동차에 의한 이동대차(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연장부(122a)의 길이 및 절곡된 각도는 도 2와 상이하게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연장부(122b)의 길이 또한 임의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 연장부(122b)가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제2 연장부(122b)의 상부면에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타이어와 접촉될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 패턴은 요철 무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율주행 자동차의 타이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식판(120)의 형상은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가 장애물로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건너는 보행자, 자전거, 오토바이, 퀵보드 또는 자동차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와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충돌 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자율주행 자동차와 충돌했을 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율주행 자동차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표식판(120)을 인식하여 제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가 표식판(120)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거나 적정 거리 이내에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표식판(120)이 자율주행 자동차와 충돌했을 때, 표식판(120)의 타측단은,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부터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식판(120)의 제1 연장부(122a) 및 제2 연장부(122b) 또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연장부(122b)는 지면에 맞닿게 되며,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 직후이므로, 자율주행 자동차는 제2 연장부(122b)의 상부면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표식판(120)의 일시적인 형태 변경으로 인하여, 표식판(120)은 자율주행 차량과의 충돌이 발생하여도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표식판(120)에는 일면에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범퍼부(130)는 표식판(1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록형태일 수 있다. 범퍼부(130)는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이 발생할 시 1차적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표식판(120)에는 일면에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도달하는 센서신호를 반사시키는 집중 반사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집중 반사부(140)는 자율주행 차량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더, 라이다 또는 초음파 등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반사시켜, 자율주행 차량이 표식판(120)을 장애물로서 인식하기 수월하도록,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집중 반사부(140)는 범퍼부(130) 상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될 수 있으나, 위치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대차(110)에는,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휠(111)과 접촉되도록 이동하여, 이동대차(110)를 감속시키는 감속 조절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속 조절판(150)은 이동대차(110)의 휠(111) 중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동대차(110)의 일측방과 타측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로 이동대차(110)가 이동하는 경우, 감속 조절판(150)은 감속 조절판(150)이 설치된 휠(111) 중 적어도 일부에 마찰을 가하여 이동대차(110)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감속 조절판(150)은 내부에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휠(111) 중 적어도 일부에 마찰을 가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가 표식판(120)과 충돌하였을 경우, 충돌력에 의해 이동대차(1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대차(110)에는,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표식판(120)을 이동대차(110)에 고정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해제 신호에 대응하여 표식판(120)을 이동대차(110)로부터 해제시키는 락장치(160)가 설치될 수 있다.
락장치(160)는,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에 설치되는 제1 락장치(161), 표식판(120)의 타측단이 이동대차(110)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제1 락장치(161)와 맞물림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표식판(12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2 락장치(162), 및 제1 락장치(161)와 제2 락장치(162)의 맞물림 방식에 의한 체결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시키는 락해제장치(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락장치(161)와 제2락장치(162)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서, 자율주행 자동차와 표식판(120)이 충돌하면, 표식판(120)의 타측단에 설치된 제2 락장치(162)가 제1 락장치(161)의 위치로 이동되고, 이때 제2 락장치(162)와 제1 락장치(161)가 맞물림 결합되어, 표식판(12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제2 연장부(122b)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락해제장치(163)를 해제시키는 사용자의 조작은 락해제장치(163)의 종단에 설치되는 락해제 손잡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동대차(110)는 락해제장치(163)를 작동시키기 위한 락 해제 액추에이터(미도시) 및 휠(111)을 구동시키기 위한 휠 구동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락 해제 액추에이터 및 휠 구동 액추에이터 각각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락해제장치(163) 및 휠(11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락해제장치(163) 및 휠(111)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합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락해제장치(163)와 휠(111) 각각에 대응되도록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통신부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는 리모컨,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락 해제 액추에이터 및 휠 구동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락해제장치(163)를 구동시켜 락장치(160)의 맞물림 체결을 해제하거나, 이동대차(110)의 휠(111)을 구동시켜 이동대차(110)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재(210) 및 베이스 부재(210) 각각에 설치되어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주는 가변차선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210)는 자중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거나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가변차선 사이의 주행 도로 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변차선 생성부는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220)를 포함하고,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220)는, 물리적 가변차선이 릴에 감긴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며, 일측에 차선 출입구를 구비하여 물리적 가변차선이 외부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되는 차선 릴박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가변차선은 백색, 황색 또는 청색일 수 있으며, 실제 차선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색상과 폭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220)는, 차선 릴박스(221)의 차선 출입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차선 릴박스(221)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물리적 가변차선이 접히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물리적 가변차선의 풀림 또는 감김 동작을 유도하는 차선 유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220)는, 차선 릴박스(221)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선 릴박스(221)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물리적 가변차선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차선 고정롤러(223) 및 차선 고정롤러(223)의 회전 조작을 위한 롤러고정레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차선 생성부는,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차선 영상을 프로젝션하는 레이저 영상기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영상기기(230)는 물리적 가변차선 설치부(220)와 같이 베이스 부재(210)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영상기기(230)는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210)에 의해 지지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기둥(231)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수직기둥(231)의 높이는 수직고정레버(232)를 통하여 조정되거나 모터(미도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변차선의 생성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가 가변차선을 생성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차선 생성부는 직선차선을 생성하여 자율주행 차량이 차선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변차선 생성부는, 직선차선, 커브드 차선 및 컴바인드 차선 중 적어도 일부의 상기 가변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컴바인드 차선은 직선 차선 및 커브드 차선이 혼합된 차선일 수 있다.
여기서, 직선차선, 커브드 차선 및 컴바인드 차선 중 적어도 일부의 가변차선은,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220) 및 레이저 영상기기(230)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는,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율주행 차량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다수의 학습자와 교수자가 확인 및 진단 가능하도록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링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300)는 자율주행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터치입력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고장 진단결과와 센서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모니터링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적어도 일부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가 함께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모니터링부가 함께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의 예시 이외에도, 제1 실시예와 모니터링부를 함께 사용하거나, 제2 실시예와 모니터링부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이동대차 111 : 휠
120 : 표식판 121 : 쇼바
122a : 제1 연장부 122b : 제2 연장부
130 : 범퍼부 140 : 집중 반사부
150 : 감속 조절판 160 : 락장치
161 : 제1 락장치 162 : 제2 락장치
163 : 락해제장치 210 : 베이스 부재
220 :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 221 : 차선 릴박스
222 : 차선 유도부 223 : 차선 고정롤러
224 : 롤러고정레버 230 : 레이저 영상기기
231 : 수직기둥 232 : 수직고정레버
300 : 모니터링부

Claims (17)

  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지면과 접촉하는 휠들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대차;
    일측단이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이동대차의 일측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표식판; 및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표시판이 상기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쇼바;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은,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이 이루는 제1 방향과 수직되는 제2 방향의 양측단 각각에서 상기 이동대차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들과, 상기 제1 연장부들 각각의 종단에서 상기 표식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식판의 상기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지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면 -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의 반대면임 - 에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타이어와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표식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부;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와 대면하는 상기 표식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도달하는 센서신호를 반사시키는 집중 반사부;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대차의 상기 타측방의 상기 휠과 접촉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이동대차를 감속시키는 감속 조절판;
    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표식판을 상기 이동대차에 고정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해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표식판을 상기 이동대차로부터 해제시키는 락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장치는, 상기 이동대차의 상기 타측방에 설치되는 제1 락장치;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이 상기 이동대차의 타측방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 락장치와 맞물림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표식판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2 락장치; 및
    상기 제1 락장치와 상기 제2 락장치의 맞물림 방식에 의한 체결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시키는 락해제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락해제장치를 구동시키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재들;
    상기 베이스 부재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주는 가변차선 생성부;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 생성부는,
    물리적 가변차선이 릴에 감긴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며, 일측에 차선 출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이 외부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되는 차선 릴박스;
    상기 차선 릴박스의 상기 차선 출입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선 릴박스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이 접히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의 풀림 또는 감김 동작을 유도하는 차선 유도부;
    상기 차선 릴박스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선 릴박스에서 풀려 나오거나 감겨 들어가는 상기 물리적 가변차선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차선 고정롤러; 및
    상기 차선 고정롤러의 회전 조작을 위한 롤러고정레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차선 영상을 프로젝션하는 레이저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차선 생성부는,
    직선 차선, 커브드 차선 및 컴바인드 차선 - 상기 컴바인드 차선은 상기 직선 차선 및 상기 커브드 차선이 혼합된 차선임 - 중 적어도 일부의 가변차선을 생성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행 경로 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부재들;
    상기 베이스 부재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경로 상의 지면에 가변 차선을 생성하여 주는 가변차선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다수의 학습자와 교수자가 확인 및 진단 가능하도록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서 전송되는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결과 및 센서 데이터를 다수의 학습자와 교수자가 확인 및 진단 가능하도록 영상으로 표출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KR1020200105283A 2020-08-21 2020-08-2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KR10242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83A KR102427461B1 (ko) 2020-08-21 2020-08-2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83A KR102427461B1 (ko) 2020-08-21 2020-08-2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495A true KR20220023495A (ko) 2022-03-02
KR102427461B1 KR102427461B1 (ko) 2022-07-29

Family

ID=8081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83A KR102427461B1 (ko) 2020-08-21 2020-08-21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9499A1 (de) 2021-04-29 2022-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öntgenröhre
CN117330331A (zh) * 2023-10-30 2024-01-02 南方(韶关)智能网联新能源汽车试验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智能驾驶测试平台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574A (ko) * 2011-09-02 2013-03-12 교통안전공단 모의 추돌 시스템
CN104316331A (zh) * 2014-10-16 2015-01-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通过性动态自动测量装置
KR101702319B1 (ko) * 2015-05-15 2017-0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충돌 시험용 간이 충돌 더미
CN109682613A (zh) * 2019-01-31 2019-04-26 上海淞泓智能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驾驶汽车测试的行人模拟控制装置
KR101979146B1 (ko) * 2018-02-23 2019-05-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충돌 테스트에 사용되는 대차 제동 시스템
KR20190123522A (ko) * 2018-04-24 2019-11-01 자동차부품연구원 도로 마킹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574A (ko) * 2011-09-02 2013-03-12 교통안전공단 모의 추돌 시스템
CN104316331A (zh) * 2014-10-16 2015-01-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通过性动态自动测量装置
KR101702319B1 (ko) * 2015-05-15 2017-0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충돌 시험용 간이 충돌 더미
KR101979146B1 (ko) * 2018-02-23 2019-05-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충돌 테스트에 사용되는 대차 제동 시스템
KR20190123522A (ko) * 2018-04-24 2019-11-01 자동차부품연구원 도로 마킹 조명 장치
CN109682613A (zh) * 2019-01-31 2019-04-26 上海淞泓智能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驾驶汽车测试的行人模拟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9499A1 (de) 2021-04-29 2022-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öntgenröhre
CN117330331A (zh) * 2023-10-30 2024-01-02 南方(韶关)智能网联新能源汽车试验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智能驾驶测试平台系统
CN117330331B (zh) * 2023-10-30 2024-03-12 南方(韶关)智能网联新能源汽车试验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智能驾驶测试平台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61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61B1 (ko) 자율주행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실습장치
JP6033794B2 (ja) テスト装置並びに方法
US858335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US8447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US842886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JP6671438B2 (ja) 力を吸収する装置
ES2638924T3 (es) Dispositivos, sistemas y métodos para probar tecnologías de evitación de accidentes
US9046440B2 (en) Device for testing a safety and/or driver assistance system
CN111562118B (zh) 一种夜间环境下aeb vru性能的测试方法
KR101723551B1 (ko) 보행자 도로횡단 교통사고 재현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2564719A (zh) 一种防正碰系统侧向来车标定试验方法及装置
US20200207301A1 (en) Energy absorbing nets
GB2496442A (en) Dummy test vehicle
WO2021251058A1 (ja) 衝撃吸収装置
US20120196252A1 (en) Tailgating Scenario Safety Training Device And Methods
KR101469132B1 (ko) 충돌 예방 시스템 시험 평가 시스템
KR102537705B1 (ko)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KR102600646B1 (ko) 더미 및 그 이송로봇
CN219175073U (zh) 一种智能道路桥梁隧道多维限高装置
CN217505216U (zh) Aebs测试时行人横穿测试系统
CN214955630U (zh) 一种演示汽车自动刹车功能的辅助道具
CN113463528B (zh) 一种基于公路的便携式醒目标识牌
CN211815765U (zh) 防冲撞的停车道闸
JP2022109763A (ja) 逆走防止装置
PL213837B1 (pl) Stanowisko do badania zachowań kierowców w sytuacjach wypadkow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