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268A - 분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268A
KR20220023268A KR1020200104950A KR20200104950A KR20220023268A KR 20220023268 A KR20220023268 A KR 20220023268A KR 1020200104950 A KR1020200104950 A KR 1020200104950A KR 20200104950 A KR20200104950 A KR 20200104950A KR 20220023268 A KR20220023268 A KR 2022002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tdd
radio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348B1 (ko
Inventor
김상문
심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콤
Priority to KR102020010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1Coherent receivers
    • H04B10/612Coherent receivers for optical signals modulated with a format different from binary or higher-order PSK [X-PSK], e.g. QAM, DPSK, FSK, MSK, A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라디오 유닛(RU)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허브 유닛(MHU)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TDD 신호처리부, 상기 라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TDD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가 결합된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로부터 상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를 포함하는 메인 허브 유닛.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일구성인 메인 허브 유닛(Main Hub Unit, MHU)과 라디오 유닛(Radio unit, RU)에 관한 것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은 안테나를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실내 환경의 높은 트래픽 용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안테나로 넓은 영역을 커버(cover)할 때 전파 음영 지역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을 갖는 안테나를 여러 곳에 분산하여 설치하는 것이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기지국측에 연결되는 메인 허브 유닛(MHU)과 무선단말기측에 연결되는 라디오 유닛(RU)이 서로 광케이블을 통해 통신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때 메인 허브 유닛과 라디오 유닛이 상호간 시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종래의 기술은 TDD신호를 데이터와 함께 광을 통해 전송할 때 변조 및 복조를 빠르게 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6656호(공개일자: 2006년 5월 2일, 발명의 명칭: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 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TDD신호의 변조 및 복조가 빠른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 허브 유닛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라디오 유닛(RU)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허브 유닛(MHU)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TDD 신호처리부, 상기 라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TDD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가 결합된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로부터 상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를 포함하는 메인 허브 유닛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MS신호를 주파수편이변조하여 변조된 NMS신호를 생성하는 NMS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바이너부는 상기 NMS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NMS신호가 더 결합된 상기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라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라디오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변조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인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허브 유닛은, 상기 변조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이되, 상기 변조된 TDD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인 메인 허브 유닛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라디오 유닛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메인 허브 유닛(MHU)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라디오 유닛(RU)에 있어서, 상기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 상기 광전환부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라디오신호 및 진폭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TDD신호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ASK복조부, 상기 A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TDD신호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신호 생성부 및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다운링크신호와 업링크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에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유닛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NMS신호를 더 분리하고,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NMS신호를 생성하는 FSK복조부, 및 상기 F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MS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상기 라디오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상기 변조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인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은, 상기 변조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이되, 상기 변조된 TDD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인 라디오 유닛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상호간 광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유닛(MU) 및 라디오 유닛(RU)을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허브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TDD 신호처리부, 상기 라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TDD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가 결합된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로부터 상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유닛은 상기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전환부, 상기 제2 광전환부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라디오신호 및 진폭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TDD신호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ASK복조부, 상기 A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TDD신호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신호 생성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주파수편이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편이변조된 NMS신호를 복조하는 FSK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다운링크신호와 업링크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에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TDD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업링크신호와 다운링크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메인 허브 유닛과 라디오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안테나를 공간적으로 분산시켜 실내 환경의 높은 트래픽 용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이다. 하나의 안테나로 넓은 영역을 커버할 때 전파 음영 지역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을 갖는 안테나를 여러 곳에 분산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대역 주파수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 특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1)은 기지국(400)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메인 허브 유닛(100), 메인 허브 유닛(100)의 하위 단에서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200) 및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기지국(400)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메인 허브 유닛(100)과 라디오 유닛(200)은 기지국(400)의 음영지역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허브 유닛(100)은 기지국(400)과 광케이블(600) 또는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허브 유닛(100)은 자신의 상위 단에 해당하는 기지국(4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광케이블(600)을 통해서 하위 단에 해당하는 라디오 유닛(200)으로 하향 전송한다. 반대로, 메인 허브 유닛(100)은 하위 단의 라디오 유닛(200)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상위 단의 기지국(400)으로 상향 전송한다. 라디오 유닛(200)은 상위 단의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안테나(700)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신호를 하향 전송한다. 반대로, 라디오 유닛(200)은 하위 단의 모바일 디바이스(800)로부터 받은 신호를 상위 단의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 상향 전송한다. 메인 허브 유닛(100)과 라디오 유닛(200)은 건물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 허브 유닛(100)과 라디오 유닛(200)은 상호간 광케이블(60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허브 유닛(100)은 기지국(400)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110), 기지국(400)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는 TDD 신호처리부(120), 기지국(400)으로부터 NMS신호를 수신하는 NMS 신호처리부(150), 라디오신호 및 TDD신호를 결합하여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130) 및 컴바이너부(130)로부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허브 유닛(100)이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하는 라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허브 유닛(100)이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하는 라디오신호는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이렇게 라디오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송수신할 경우에는 모바일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지 않고 중간주파수 기반의 아날로그 파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디지털 샘플링에 의한 트래픽 증가 없이 실내(In-Building) 환경에서 음영지역 없는 밀리미터파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전 변환 소자(Light Source & Photo Detector)와 광섬유를 이용해 기저대역 모바일 신호를 중간주파수에 매핑(Mapping) 및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전송함으로써 부가적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디지털 프레임처리 과정 없이 원하는 곳까지 경제적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메인 허브 유닛(100)이 수신하는 라디오 신호는 기지국(400)으로부터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라디오 신호처리부(110)는 기지국(400)으로부터 라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라디오 신호처리부(110)는 수신한 라디오신호를 필터링하고 파워레벨을 조정한다. 라디오 신호처리부(110)는 수신한 라디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주파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허브 유닛(100)이 처리하기에 적합하도록 라디오신호의 파워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조정된 라디오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라디오 신호처리부(110)는 조정된 라디오 신호를 컴바이너부(130)로 송신한다.
TDD 신호처리부(120)는 기지국(400)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한다. TDD신호는 시분할 이중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신호로서, 하나의 전송선로에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송신과 수신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DD 기반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1)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향하는 다운링크(downlink)와 단말에서 통신 시스템으로 향하는 업링크(uplink) 구간의 시간 동기를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이때, 시간 동기가 정확하지 않으면, 다운링크와 업링크 간 신호의 간섭이 발생하며 시스템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분산안테나(700)시스에 포함되는 구성들이 알맞은 시간에 정확한 TDD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중요하다. TDD 신호처리부(120)는 수신한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Amplitude-Shift Keying(ASK) Modulation)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변조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진폭편이변조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DD신호처리부는 변조된 TDD신호를 컴바이너부(130)로 송신한다.
NMS 신호처리부(150)는 기지국(400)으로부터 NMS신호를 수신한다. NMS 신호처리부(150)는 수신한 NMS신호를 주파수편이변조(Frequency-Shift Keying(FSK) Modulation)하여 변조된 NMS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변조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변조된 TDD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TDD신호와 NMS신호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이다. 주파수편이변조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컴바이너부(130)는 라디오 신호처리부(110)로부터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TDD 신호처리부(120)로부터 변조된 TDD 신호를 수신하며 NMS 신호처리부(150)로부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한다. 컴바이너부(130)는 수신한 라디오신호와 TDD신호 및 NMS신호를 결합하여 결합신호를 생성한다. 컴바이너부(130)은 결합신호를 광전환부(140)으로 전송한다.
광전환부(140)는 컴바이너부(130)으로부터 결합신호를 수신한다. 광전환부(140)은 수신한 결합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하여 라디오 유닛(200)으로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디오 유닛(200)은 다른 라디오 유닛(200)으로 신호를 다중화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부,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전환부(210), 광전환부(210)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를 분리하는 분리부(230),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240),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ASK복조부(250),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신호 생성부(270), 다운링크신호와 업링크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80), 복조된 NMS신호를 생성하는 FSK복조부(260) 및 라디오 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장분할 다중화부는 복수개의 라디오 유닛(200)으로 광신호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할 수 있다.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신호 중에서 주파수 파장별로 다중화하여 라디오 유닛(200)과 연결된 또다른 라디오 유닛(200)으로 광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파장분할 다중화부(220)가 속하는 라디오 유닛(200)이 λ1 파장의 광신호를 사용하고, 그와 연결된 별개의 라디오 유닛(200)이 λ2 파장의 광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λ1 과 λ2 가 결합된 광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λ1 파장의 광신호는 하위 단인 광전환부(210)로 송신하고, λ2 파장의 광신호는 별개의 라디오 유닛(200)으로 송신한다. 이는 다운링크에 해당하는 하나의 예로서 업링크도 이와 동일하게 파장대별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광전환부(210)는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라디오 유닛(200)이 수신한 광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광전환부(210)(140)가 수신하는 광신호는 아날로그 광신호로 형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 광신호는 디지털 광신호에 비해 주파수 확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낮은 전파지연으로 우수한 통화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광전환부(210)(140)는 메인 허브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분리부(230)는 광전환부(210)(14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분리부(230)가 수신한 전기신호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라디오신호, 진폭편이변조방식으로 변조된 TDD신호 및 주파수편이변조방식으로 변조된 NMS신호가 결합되어 있다. 결합된 신호로는 각각의 신호를 변조되기 전의 신호로 복조 할 수 없으므로, 분리부(230)는 전기신호를 라디오신호, TDD신호 및 NMS신호로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라디오신호는 중간주파수 대역의 라디오신호이다. 이때 분리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분리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TDD신호와 NMS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다. 분리부(230)는 라디오신호를 주파수 변환부에 송신하고, 변조된 TDD신호를 ASK복조부(250)에 송신하며, 변조된 NMS신호를 FSK복조부(260)에 각각 송신한다.
주파수변환부(240)는 분리부(230)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주파수변환부(240)가 수신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된 라디오신호는 스위칭부(280)로 송신한다.
ASK복조부(250)는 분리부(230)로부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한다. ASK복조부(250)가 수신한 TDD신호는 진폭편이변조된 신호이므로, ASK복조부(250)는 변조된 TDD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한다. 진폭편이변조된 신호의 복조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SK복조부(250)는 복조된 TDD신호를 스위칭신호 생성부로 송신한다.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ASK복조부(250)로부터 복조된 TDD신호를 수신한다.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복조된 TDD신호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위칭 신호는 스위칭부(280)로 송신되며, 스위칭부(280)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스위칭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복조된 TDD신호에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DD신호는 메인 허브 유닛(100)과 라디오 유닛(200)이 이격되는 거리 등에 의해 시간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이러한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신호가 정확하게 동기화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복조된 TDD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조된 TDD신호는 메인 허브 유닛(100)에서 송신했을 때에 비하여 전압 등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는 복조된 TDD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스위칭부(280)는 주파수변환부(240)로부터 밀리미터파대역의 라디오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스위칭신호 생성부(270)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수신한다. 스위칭부(280)는 수신한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신호와 다운링크신호를 스위칭한다. 스위칭부(280)는 다운링크신호를 안테나(700)에 송신하고, 안테나(700)는 수신한 다운링크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송신한다.
FSK복조부(260)는 분리부(230)로부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한다. FSK복조부(260)가 수신한 NMS신호는 주파수편이변조된 신호이므로, FSK복조부(260)는 변조된 NMS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NMS신호를 생성한다. 주파수편이변조된 신호의 복조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SK복조부(260)는 복조된 NMS신호를 제어부(290)로 송신한다.
제어부(290)는 FSK복조부로(260)부터 복조된 NMS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90)는 수신한 NMS신호를 이용하여 라디오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분산 안테나 시스템
100: 메인 허브 유닛
110: 라디오 신호처리부
120: TDD 신호처리부
130: 컴바이너부
140: 광전환부
150: NMS 신호처리부
200: 라디오 유닛
210: 광전환부
220: 파장분할다중부
230: 분리부
240: 주파수변환부
250: ASK복조부
260: FSK 복조부
270: 스위칭신호생성부
280: 스위칭부
290: 제어부
300: 동축케이블
400: 기지국
500: 네트워크관리서버
600: 광케이블
700: 안테나
80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4)

  1.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라디오 유닛(RU)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허브 유닛(MHU)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TDD 신호처리부;
    상기 라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TDD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가 결합된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로부터 상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
    를 포함하는 메인 허브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MS신호를 주파수편이변조하여 변조된 NMS신호를 생성하는 NMS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바이너부는 상기 NMS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NMS신호가 더 결합된 상기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허브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 메인 허브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메인 허브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메인 허브 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인 메인 허브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이되, 상기 변조된 TDD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인 메인 허브 유닛.
  8.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메인 허브 유닛(MHU)과 광케이블로 연결된 라디오 유닛(RU)에 있어서,
    상기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환부;
    상기 광전환부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라디오신호 및 진폭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TDD신호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ASK복조부;
    상기 A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TDD신호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신호 생성부; 및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다운링크신호와 업링크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에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유닛.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NMS신호를 더 분리하고,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NMS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NMS신호를 생성하는 FSK복조부; 및
    상기 F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MS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라디오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라디오 유닛.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신호에 대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라디오 유닛.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TDD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인 라디오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NMS신호는 1M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대역이되, 상기 변조된 TDD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인 라디오 유닛.
  14. 상호간 광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유닛(MU) 및 라디오 유닛(RU)을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허브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 및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조정된 라디오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D신호를 진폭편이변조하여 변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TDD 신호처리부;
    상기 라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TDD 신호처리부로부터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정된 라디오신호 및 상기 변조된 TDD신호가 결합된 결합신호를 생성하는 컴바이너부; 및
    상기 컴바이너부로부터 상기 결합신호를 수신하고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유닛은 상기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전환부;
    상기 제2 광전환부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라디오신호 및 진폭편이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TDD신호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라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라디오신호를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변조된 TDD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TDD신호를 생성하는 ASK복조부;
    상기 ASK복조부로부터 상기 복조된 TDD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조된 TDD신호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신호 생성부;
    상기 분리부로부터 주파수편이변조된 NMS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편이변조된 NMS신호를 복조하는 FSK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변환부로부터 밀리미터파 대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여 다운링크신호와 업링크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조된 TDD신호에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0200104950A 2020-08-20 2020-08-20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239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50A KR102398348B1 (ko) 2020-08-20 2020-08-20 분산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50A KR102398348B1 (ko) 2020-08-20 2020-08-20 분산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68A true KR20220023268A (ko) 2022-03-02
KR102398348B1 KR102398348B1 (ko) 2022-05-16

Family

ID=8081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950A KR102398348B1 (ko) 2020-08-20 2020-08-20 분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56A (ko) 2004-10-26 2006-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KR101745669B1 (ko) * 2016-01-15 2017-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Das의 tdd 스위칭 제어장치
KR20180060859A (ko) * 2016-11-29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용량의 데이터 트래픽을 지원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리모트 라디오 헤드 장치 및 호스트 장치
KR20180083454A (ko) * 2017-01-12 2018-07-23 (주)에프알텍 5g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신호 및 관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리모트 유닛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56A (ko) 2004-10-26 2006-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KR101745669B1 (ko) * 2016-01-15 2017-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Das의 tdd 스위칭 제어장치
KR20180060859A (ko) * 2016-11-29 2018-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용량의 데이터 트래픽을 지원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리모트 라디오 헤드 장치 및 호스트 장치
KR20180083454A (ko) * 2017-01-12 2018-07-23 (주)에프알텍 5g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신호 및 관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의 리모트 유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348B1 (ko)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3594B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and central control station with unified transmission format
US5323255A (en) Transceiver arrangement using TDM to transmit assigned subcarrier waveforms
US9246557B2 (en) Multiple data services ove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0270553B2 (en) TdDD switching control apparatus of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8897648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passive optical networks OFDMA TDMA PON architecture for 4G and beyond mobile backhaul
US10027415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 in analog radio-over-fiber (ROF)-based mobile fronthaul
CN101166068A (zh) 用于控制传输时间的光纤无线电系统和方法
KR20010055088A (ko) 광 중계 장치
EP2860887B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CN102136877A (zh) 高铁内基于60GHz毫米波的宽带接入系统和方法
US201800484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in passive optical network
JPH05327569A (ja) ダイバーシチ送受信方式
KR102398348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JPH0448832A (ja) 光リンク無線通信方式
Martí et al. Hybrid CAP/mm-wave OFDM Vector Modulation for Photonic Frequency Conversion in a Single-Sideband Feeder
WO2009145013A1 (ja) 中継局装置、マルチホップシステム、および中継方法
KR102398351B1 (ko) 라디오 유닛
JP469627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783248B2 (ja) 無線基地局ネットワーク
KR102474910B1 (ko) 차량용 무선 통신 증폭 시스템
CN115426010B (zh) 一种5g mimo信号传输系统及方法
KR102469181B1 (ko)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JPH05102894A (ja) ダイバーシチ送受信方式
Suga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remote beamforming scheme with fixed wavelength allocation in IF-over-fiber systems
KR20020011180A (ko)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과 무선주파수 유닛간의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