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265A -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265A
KR20220023265A KR1020200104942A KR20200104942A KR20220023265A KR 20220023265 A KR20220023265 A KR 20220023265A KR 1020200104942 A KR1020200104942 A KR 1020200104942A KR 20200104942 A KR20200104942 A KR 20200104942A KR 20220023265 A KR20220023265 A KR 2022002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uscle
user
smart fitnes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263B1 (ko
Inventor
최종인
이원경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션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션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베이션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되는 운동복과, 상기 운동복 상에 부착되어 상기 운동복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고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이러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Smart fitness wear and smart fitness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운동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보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센서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몸보다는 근육 있는 몸매를 선호하는 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운동을 통하여 근육이 발달된 멋진 몸매를 만들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운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잘못된 자세로 진행되는 운동을 통해서는 근육 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근육 발달을 체감하지 못한 사람들은 장기적으로 운동을 진행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전문 트레이너를 고용하거나,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전문 트레이너의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부담이 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없어 효율성 또한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여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재정적, 공간적 및 시간적 제약을 최소화 가능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280호(명칭: 운동시 근육자극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공개일: 2018.11.23) 특허문헌 2)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64082호(명칭: 저주파 자극 운동장치, 공개일: 2017.06.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증진 가능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해 줄 수 있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동 효과를 직접 확인 가능한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는, 인체에 착용되는 운동복(100); 상기 운동복(100) 상에 부착되어 상기 운동복(100)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200); 및 상기 센싱부(2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20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와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동작을 조절하는 데이터 처리부(320)와, 상기 센싱부(320)와 통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받은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근육 상태를 파악하는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진동 발생 시점과 위치를 결정하는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와, 상기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에서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와, 상기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에서 진동 발생 위치 및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00)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운동복(100) 상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부(20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는 상기 센싱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통신하는 관리부(1)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1)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파악하는 운동상태 파악부(2)와, 파악된 사용자의 운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동상태 파악부(2)는 수신받은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되는 근육을 파악하는 근육 사용 위치 파악부(2-1)와, 사용되는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소모되는 열량을 계산하는 칼로리 계산부(2-2)와, 소모되는 열량을 기반으로 운동 효율성을 검출하는 운동 효율 계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는, 센싱부를 통하여 운동복 착용자의 실시간 근육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운동상태 정보를 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운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되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근육이 잘못 사용되고 있을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보정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인이 행하고 있는 운동의 상태 및 효과를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운동 의지를 고취시켜 장기적인 운동을 실행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의 세부 구성과,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통신하며 사용자의 운동 관리를 보조하는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센싱부가 위치 조절 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체명 인식을 이용한 문장 분석 효율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와, 관리부(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S)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는 관리부(1)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 가능하며, 이러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착용되는 운동복(100)과, 상기 운동복(100) 상에 부착되어 상기 운동복(100)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200)와, 상기 센싱부(2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200)의 작동을 컨트롤 하는 제어부(300)와, 제어부(300)와 센싱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많은 사람들이 근육 발달, 다이어트 등의 이유로 운동을 시작하지만, 운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올바른 운동 자세를 취하지 못하여 충분한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은 전문 트레이너의 교육, 영상 및 책을 통한 지식 습득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으나, 전문 트레이너의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높은 수강료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영상 및 책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은 자신이 취하는 운동 자세를 스스로 보고 교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그 한계가 명확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 시 상기 센싱부(200)에서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 보조 방법을 결정한 후 상기 센싱부(200)를 작동시켜, 상기 센싱부(200)가 저주파 자극, 진동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 가능하게 한 것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미세한 전기근육자극(EMS :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은 운동 효과를 증대시키므로,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행하는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되는 시점에서 근육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인가하여 운동 효과를 증대시키고, 특정 운동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보다 올바르게 사용되어야 하는 근육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잘못된 근육이 사용되고 있을 경우 잘못된 근육이 사용되는 부위에 진동을 인가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은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의 세부 구성과,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와 통신하며 사용자의 운동 관리를 보조하는 관리부(1)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2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22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 및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동작을 조절하는 데이터 처리부(320)와, 상기 센싱부(320)와 통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받은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근육 상태를 파악하는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진동 발생 시점과 위치를 결정하는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와, 상기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에서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와, 상기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에서 진동 발생 위치 및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실행하면, 상기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에서 실시간으로 사용되는 사용자의 근육 수축 데이터를 센싱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후, 상기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어 근육이 수축 상태인 것으로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송신부(330)를 통하여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로 저주파 발생 지시를 내려, 자극을 통해 운동 과정에서의 근육 발달을 촉진시키고, 상기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는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되는 근육 수축상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운동에 대응되는 올바른 근육 수축상태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근육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시, 근육이 잘못 사용되는 영역에 위치된 상기 진동 발생부(230)를 작동시켜, 진동이 인가되는 위치의 근육이 잘못 사용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자세를 올바른 근육을 사용하는 자세로 보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의 작동 위치를 결정하는 저주파 발생 위치 결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발생 위치 결정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되어 근육이 수축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위치에, 상기 데이터 송신부(330)를 통하여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로 저주파 발생 지시를 내려, 원하는 위치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의 작동 세기를 조절하는 저주파 세기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저주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작동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 세기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부는 진동 발생부(230)의 작동 시에 작동하여 운동자에게 운동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외에도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와 통신하는 관리부(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부(1)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파악하는 운동상태 파악부(2)와, 파악된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운동을 하는 사용자는 운동 효과를 체감하지 못할 경우 운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그만두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동상태 파악부(2)에서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와 통신하여 근육 사용 상태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이러한 데이터를 정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운동상태 파악부(2)는 수신받은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되는 근육을 파악하는 근육 사용 위치 파악부(2-1)와, 사용되는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소모되는 열량을 계산하는 칼로리 계산부(2-2)와, 소모되는 열량을 기반으로 운동 효율성을 검출하는 운동 효율 계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육 사용 위치 파악부(2-1)는 수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되는 근육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영상을 만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칼로리 계산부(2-2)는 수신받은 근육 수축 정보를 기반으로 소모되는 칼로리 양을 계산하여 사용자가 운동 후 또는 운동 과정에서 소모한 칼로리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며, 상기 운동 효율 계산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실행하는 운동을 일정한 시간동안 진행 시 소모되는 칼로리 정보와, 사용자가 운동하며 소모한 칼로리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 효율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운동을 진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는 센싱부(200)가 위치 조절 플레이트(40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1000)는 상기 센싱부(200)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운동복(100) 상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부(20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센싱부(200)의 위치가 올바르게 위치되지 않을 경우 센싱부(200)로 인하여 사용자가 운동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자극 및 진동이 인가되는 위치가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위치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부(20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는 중앙에 상기 센싱부(200)가 결합되는 가이드부(410) 및 상기 센싱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싱부(200)가 상기 가이드부(410)를 타고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가 센싱부를 고정하여 운동 중에 센싱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 관리부 2 : 운동상태 파악부
2-1 : 근육 사용 위치 파악부 2-2 : 칼로리 계산부
2-3 : 운동 효율 계산부
3 : 디스플레이부
100 : 운동복
200 : 센싱부 210 : 근육 수축량 체크부
220 : 저주파 발생부 230 : 진동 발생부
300 : 제어부 310 : 데이터 수신부
320 : 데이터 처리부 321 :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
322 :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 323 :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
324 : 기준 데이터 저장부
330 : 데이터 송신부
400 :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
410 : 가이드부

Claims (6)

  1. 인체에 착용되는 운동복(100);
    상기 운동복(100) 상에 부착되어 상기 운동복(100)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200); 및
    상기 센싱부(2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20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운동복(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220); 및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근육 수축량 체크부(21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 및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동작을 조절하는 데이터 처리부(320)와,
    상기 센싱부(320)와 통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받은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근육 상태를 파악하는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주파 발생부(22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와,
    상기 근육 수축상태 파악부(321)에서 파악된 근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발생부(230)의 진동 발생 시점과 위치를 결정하는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와,
    상기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부(322)에서 저주파 발생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와, 상기 진동 발생 시점 및 위치 결정부(323)에서 진동 발생 위치 및 시점 결정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00)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운동복(100) 상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부(20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6. 제1항의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와 통신하는 관리부(1)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1)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파악하는 운동상태 파악부(2)와, 파악된 사용자의 운동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1020200104942A 2020-08-20 2020-08-20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10251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42A KR102516263B1 (ko) 2020-08-20 2020-08-20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42A KR102516263B1 (ko) 2020-08-20 2020-08-20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65A true KR20220023265A (ko) 2022-03-02
KR102516263B1 KR102516263B1 (ko) 2023-03-30

Family

ID=8081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942A KR102516263B1 (ko) 2020-08-20 2020-08-20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397A (ko) * 2015-11-13 2017-05-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에 기반한 웨어러블 프리웨이트 운동 강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4082A (ko)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진성메디 저주파 자극 운동장치
KR20180003280U (ko) 2017-05-15 2018-11-23 원희주 운동시 근육자극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133682A (ko) * 2017-06-07 2018-12-17 (주)유즈브레인넷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6336A (ko) * 2019-02-01 2020-08-12 남승종 인체 밀착 수트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397A (ko) * 2015-11-13 2017-05-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에 기반한 웨어러블 프리웨이트 운동 강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4082A (ko)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진성메디 저주파 자극 운동장치
KR20180003280U (ko) 2017-05-15 2018-11-23 원희주 운동시 근육자극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133682A (ko) * 2017-06-07 2018-12-17 (주)유즈브레인넷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6336A (ko) * 2019-02-01 2020-08-12 남승종 인체 밀착 수트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263B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1595A1 (en) Automated training and exercise adjustments based on sensor-detected exercise form and physiological activation
US10335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interpreting repetitive motions
US11338174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 parameters
WO2018214526A1 (zh) 健身运动的指导方法及装置
US9754158B2 (en) Training device
JPWO2019008771A1 (ja) 治療及び/又は運動の指導プロセス管理システム、治療及び/又は運動の指導プロセス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並びに方法
US20090269728A1 (en) Athlete training system
CN110870970A (zh) 智能健身装置及其应用
US119839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299217B1 (ko) 클라우드 기반 암 재활환자 통합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148977B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运动康复训练方法
JP2023168557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Mahendran Deep learning for fitness
KR20220023265A (ko) 스마트 피트니스 웨어 및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20160068154A (ko) 원격 ems 트레이닝 시스템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00133458A (ko) 전기적 근육 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JP6811349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CN210575125U (zh) 一种智能运动器材
KR20220098064A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훈련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5997A (ko) 전기 자극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2593B1 (ko) 비대면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JP7150387B1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230103209A (ko) 모션캡쳐 및 햅틱 피드백을 이용한 자세교정, 재활 및 운동치료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