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58A -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58A
KR20220023158A KR1020200104714A KR20200104714A KR20220023158A KR 20220023158 A KR20220023158 A KR 20220023158A KR 1020200104714 A KR1020200104714 A KR 1020200104714A KR 20200104714 A KR20200104714 A KR 20200104714A KR 20220023158 A KR20220023158 A KR 2022002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light receiving
vehicle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6473B1 (en
Inventor
오대성
유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옵틱스
Priority to KR102020010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73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for identifying an object provided in a vehicle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which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a laser output from a light source (1) toward a scan target; and a light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problem that beams changes according to arrangement and alignment of the plurality of lenses.

Description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nd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어 물체를 식별하기 위한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to identify an object,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

최근들어 자율주행 자동차 및 스마트카 분야에서는 보행자의 갑작스런 출현이나 장애물 사전 감지, 전조등 조명의 약화로 인한 장애물 감지와 같은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을 사전에 확인하여 돌발상황에 대한 차량의 능동적 대처기능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Recently, in the field of autonomous vehicles and smart cars, situations that threaten the safety of drivers and pedestrians such as sudden appearance of pedestrians, detection of obstacles in advance, and detection of obstacles due to weakening of headlights are checked in advance to proactively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It calls for strengthening coping skills.

이에 대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이 움직이는 경우 전방의 물체를 확인하여 사전에 운전자에게 경고함은 물론, 차량 스스로가 정지 또는 회피하는데 기초가 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스캐너라고 한다. In contrast, a scanner installed in front of a vehicle to check an object in front to warn the driver in advance when the vehicle is moving, as well as to acquire an image that is the basis for stopping or avoiding the vehicle itself is called a scanner.

종래 스캐너로서는, 레이더 장비가 사용되어 마이크로파(극초단파) 정도의 전자기파를 물체에 발사시켜 그 물체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물체와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알아냈으나, 가격이 고가이므로 다양한 차종에 보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As a conventional scanner, radar equipment is used to emit microwave (microwave)-like electromagnetic waves to an object,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find out the distance, direction, and altitude of the obje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spread.

이를 위해, 라이다 방식의 스캐너가 개발되고 있으나, 라이다는 펄스 레이저광을 발사해 반사체 또는 산란체를 이용하여 거리 또는 대기현상 등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차량 탑재용으로 360도 라이다가 개발 중에 있다.For this purpose, a lidar-type scanner is being developed, but lidar is a device that emits pulsed laser light and uses a reflector or scatterer to measure distance or atmospheric phenomenon, and a 360-degree lidar has been developed for vehicle mounting. is in the middle

한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의 경우,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확산 빔을 렌즈를 통해 세로 시트빔으로 구현하고, 구현된 시트빔을 회전하는 미러에 반사시켜 물체를 좌우로 스캐닝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canning lidar for vehicles, the diffused beam output from the high-power laser diode is implemented as a vertical sheet beam through a lens, and the implemented sheet beam is reflected on a rotating mirror to scan the object left and right.

이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세로 시트빔으로 구현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대칭렌즈를 적용하는 경우 세로 시트빔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laser diode light source must be implemented as a vertical sheet beam, but when a conventional symmetric lens is applie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vertical sheet beam.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세로 시트빔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원통형 렌즈를 사용하여 가로축 화각과 세로축 화각을 별개로 조절하였으나, 이 경우 복수의 렌즈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모듈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s of view were separately adjusted us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lenses to implement a laser diode light source as a vertical sheet beam, but in this case,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len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module increases.

특히,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라이다 스캐너의 경우, 차량의 헤드램프 또는 그보다 작은 구조에의 적용이 필요한 바, 복수의 원통형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부피가 커져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dar scanner for 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a vehicle headlamp or a structure smaller than that. When a plurality of cylindrical lenses ar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becomes large and cannot be applied.

또한, 반사미러를 이용한 라이다 스캐너의 경우, 송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가 반사미러를 통해 스캔대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곧바로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함으로써, 스캔대상의 위치를 오인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idar scanner using a reflecting mirror,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can target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but is reflected directly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피가 작으면서도 정밀한 스캔대상에 대한 스캔이 가능한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capable of scanning a small-volume and precise scan target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로서,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부(100)와;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nd a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hat transmits a laser output from a light source 1 toward a scan target. Wow; Disclosed is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상기 송광부(100)와 상기 수광부(2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송광부(100)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와 상기 수광부(200)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반사된 광은 서로 다른 광학축을 가질 수 있다.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may have different optical axes.

상기 송광부(1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일단에 상기 광원(1)이 설치되는 송광부하우징(110)과;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렌즈(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form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the light source 1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A light transmitting lens 12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nd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may be included.

상기 수광부(2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광부하우징(210)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부(220)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검출부(220)로 전달하는 수광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200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forming an inner space; a photodetector 22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to conver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lens 23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space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transmit it to the light detection unit 220 .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상기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검출부(220)에 전달하는 반사부(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200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reflects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 detecting unit 220 It further includes a reflecting unit 240 can do.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평면 상 상기 송광렌즈(120)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의 중심과 상기 수광렌즈(230)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반사된 광의 중심이 얼라인하도록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so that the center of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and the center of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on a plane are aligned. )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송광렌즈(120)는, 단일의 렌즈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may be a single lens.

상기 수광렌즈(230)는, 화각이 5도 이상 40도 미만일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lens 230 may have an angle of view of 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40 degrees.

또한 본 발명은, 광학계(3)와; 상기 송광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하여 반사하여 전달하고,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수광부(200)를 향해 반사하여 전달하는 반사미러(4)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를 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ystem (3); Vehicle scanning including a reflective mirror 4 that reflects and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oward the scan target, and reflects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Start the lidar.

상기 반사미러(4)는, 회전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할 수 있다.The reflective mirror 4 may be capable of at least one of rotation and vibration.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 및 그가 설치된 광원모듈은, 단렌즈를 통해서 회전 또는 상하좌우로 진동하는 미러 방식의 라이다 스캐닝을 위한 세로 또는 가로시트빔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lens for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a vertical or horizontal sheet beam for LiDAR scanning of a mirror type that rotates or vibrates up, down, left and right through a single le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 및 그가 설치된 광원모듈은, 단렌즈를 이용하여 라이다 스캐닝을 위한 세로 또는 가로시트빔을 구현함으로써, 컴팩트하고 부피가 작은 광원모듈의 적용이 가능하여 차량용 라이다 센서로서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ns for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a vertical or horizontal sheet beam for LiDAR scanning using a single lens, so that a compact and small-volume light source module can be appli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as a lidar sensor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 및 그가 설치된 광원모듈은, 단렌즈를 이용하여 라이다 스캐닝을 위한 세로 또는 가로시트빔을 구현함으로써, 복수의 렌즈의 배치 및 얼라인에 따라 빔이 달리지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세로 시트빔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ns for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a vertical or horizontal sheet beam for LiDAR scanning using a single lens, so that the beam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lignment of a plurality of len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is running problem is minimized and a stable vertical seat beam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단렌즈를 이용하여 광원모듈의 전체적인 제작비용이 감소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light source module by using a prime lens and have excellent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수광부와 송광부의 적절한 배치 및 수광렌즈의 적절한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반사미러를 통한 물체의 스캔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nd the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scan of the object through the reflection mirror by applying an appropriate arrangemen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an appropriate shape of the light receiving len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중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중 광학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중 광학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 중 렌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각각 횡축방향 단면도와 종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 중 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각각 횡축방향 단면도와 종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 중 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각각 횡축방향 단면도와 종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신호의 종축방향 및 횡축방향의 화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의 레이저 펄스신호의 종축방향 및 횡축방향의 화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ptical system of the vehicle scanning lidar according to FIG. 1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system of the vehicle scanning lidar according to FIG. 1 .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system of the vehicle scanning lidar according to FIG. 3 .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lens among the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of FIG. 5 , respectively, a cross-sectional view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ens among the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of FIG. 5 , respectively, a cross-sectional view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ens among the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of FIG. 5 , respectively, a cross-sectional view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9 is a graph showing angles of view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of a laser pulse signa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FIG. 10 is a graph showing angles of view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laser pulse signal of the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according to FIG. 5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scanning lida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3)와; 상기 송광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하여 반사여 전달하고,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수광부(200)를 향해 반사하여 전달하는 반사미러(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system 3; and a reflective mirror 4 that reflects and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oward the scan target, and reflects and transmits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차량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레이저 펄스 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측정 범위 내에 있는 스캔대상으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Here, the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emits a laser pulse signal in real time, so that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rrival time of the reflected pulse signals from the scan target within the measurement range.

이를 통해, 자동차의 자율주행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물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able object identification at a level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한편, 종래의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식별범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모듈이 포함되며, 이때의 광학모듈이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includes an optical module including a lens in order to properly adjust the identification range, and the optical module at this time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the overall volume.

특히, 레이저 펄스 신호를 송광하는 구성은 적절한 식별범위를 확보하고 최적의 스캔대상의 스캐닝을 위하여 화각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렌즈의 부피가 커지거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laser pulse signal,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appropriate identification range and to adjust the angle of view for optimal scanning of the scan targe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r the number of lenses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에 장착이 가능할 정도로 부피가 작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compact configuration that is small enough to be mounted on a headlamp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핵심 구성인 광학계(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optical system 3, which is a cor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반사미러(4)는, 송광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하여 반사하여 전달하고,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200)를 향해 반사하여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reflective mirror 4 reflects and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oward the scan target, and reflects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and has various configurations. possible.

즉, 상기 반사미러(4)는, 광학계(3)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어 전달되는 광을 광학계(3)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4 may transmit the laser output from the optical system 3 to the scan target, and may serve to transmit the light ref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can target to the optical system 3 .

이때, 상기 반사미러(4)는, 광학계(3)과 스캔대상의 사이에 배치되어 360도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송광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에 전달하고,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lective mirror 4 is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system 3 and the scan target and can be rotated 360 degrees. Through thi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scan target and from the scan target. The reflected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

예를 들면, 상기 반사미러(4)는, 2개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평면미러일 수 있으며, 스캔범위 및 대상에 따라 회전속도 및 반사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lection mirror 4 may be a plane mirror having two reflection surfaces, and the rotation speed and the reflection ang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can range and target.

또한, 상기 반사미러(4)는, 회전 뿐만 아니라 상하 및 좌우로 진동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on mirror 4 may be able to vibrat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s well as rot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미러(4)는, 회전이 가능하거나 진동이 가능하거나 회전 및 진동이 모두 가능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의 진동은 상하 또는 좌우로의 진동을 의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flective mirror 4 may be rotatable, vibrating, or both rotating and vibrating, and the vibration at this time may mean vertical or horizontal vibration.

상기 광학계(3)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적용되는 광학계로, 스캔대상에 레이저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The optical system 3 is an optical system applied to a vehicle scanning lidar, which outputs a laser pulse signal to a scan target and receives and detects reflected light, and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예를 들면, 상기 광학계는,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부(100)와,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tical system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a scan target, and a light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여기서 상기 광원(1)은, 스캔대상으로 출력되는 레이저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Here, the light source 1 is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 laser pulse signal output as a scan targe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광원(1)은, 레이저 다이오드로서, 송광경로에 따라 후술하는 송광렌즈(110)로 레이저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laser diode, the light source 1 may output a laser pulse signal to a light transmitting lens 11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light transmitting path.

상기 송광부(100)는,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송광부(1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일단에 상기 광원(1)이 설치되는 송광부하우징(110)과;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렌즈(1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form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the light source 1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A light transmitting lens 12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nd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may be included.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As long a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is configured to form an internal space, any configuration is applicable.

예를 들면,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 형상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는 구성일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송광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may have a cube-shaped inner space, and a light transmitting path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한편,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후술하는 수광부하우징(21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광부하우징(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more preferably,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하우징(210)의 상면에 수광부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수광렌즈(230)와 송광렌즈(120)가 평면상 정렬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s shown in FIG. 4,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nd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provi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are planar. 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ligned with the phase.

즉,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평면 상 송광렌즈(120)를 통해 출사되는 레이저의 중심과 수광렌즈(230)를 통해 입사되는 반사된 광의 중심이 얼라인하도록 수광부하우징(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ligns the center of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with the center of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on a plane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 can be provided in

이때,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일단에 광원(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에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렌즈(120)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the light source 1 may be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for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at the other end may be installed. .

이로써,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내부공간에 송광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the light transmitting path can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송광렌즈(120)는, 송광부하우징(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nd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송광렌즈(120)는, 송광부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단일의 렌즈로서, 송광렌즈(120)를 단일의 렌즈로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헤드램프에 설치 가능한 수준의 컴팩트하고 작은 부피의 광학계를 이룰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is a single lens provided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nd by providing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as a single lens, a compact and small volume optical system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송광렌즈(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광부(200)는,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light receiv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즉, 상기 수광부(200)는,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펄스 신호가 송광부(100) 및 반사미러(4)를 거쳐 스캔대상에 도달한 상태에서 반사되는 광이 다시 반사미러(4)를 거쳐 도달되는 구성일 수 있다.That is, in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the laser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passes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reflecting mirror 4 to reach the scan target, and the reflected light is again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4 It may be a configuration reached through .

예를 들면, 상기 수광부(2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광부하우징(210)과;내부공간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부(220)와; 내부공간의 타단에 설치되어,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광검출부(220)로 전달하는 수광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forming an inner space; a light detecting unit 22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and converting light reflected from a scan target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lens 23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space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transmit it to the light detection unit 220 .

또한, 상기 수광부(200)는, 수광부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을 반사시켜 광검출부(220)에 전달하는 반사부(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to reflec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to transmit to the light detecting unit 220 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ve unit (240) there is.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may have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forms an internal space.

예를 들면,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송광부하우징(110)과 같이 정육면체로서 일단에 수광렌즈(230)가 구비되고 타단에 광검출부(220)가 구비되는 형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as shown in FIG. 2, is a cube like the above-described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with a light receiving lens 230 at one end and a light detecting unit 220 at the other end. It may be a provided shape.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 사각형을 형성하며 끝단에 수광렌즈(230)가 구비되는 전단부(211)와, 반대측 끝단에 광검출부(220)가 구비되는 후단부(213)과 전단부(211)와 후단부(213)를 수광렌즈(230)와 광검출부(220)가 직각이 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has a front end 211 having a light receiving lens 230 at the end and forming a quadrangle on a plane, and the opposite end. The rear end 213, the front end 211, and the rear end 213 provided with the photodetector 220 are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nd the photodetector 220 so that they ar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can do.

이 경우,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은, 연결부(212)의 일측이 전단부(211)와 후단부(213)를 잇도록 직각으로 구비되고, 타측이 전단부(211)와 후단부(213)를 잇도록 평면상 대각선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평면상 대각선인 부분에 전술한 반사부(240)가 구비되어 수광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is provided at a right angle such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12 connects the front end 211 and the rear end 213 , and the other side is the front end 211 and the rear end 213 . It may be provided in a diagonal line on a plane to connect the , and the above-described reflector 240 may be provided in a diagonal portion on a plane to form a light receiving path.

이로써,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은, 전단부(211)의 수광렌즈(230)를 통해 입사된 광이 연결부(212)의 반사부(240)를 통해 반사되어 후단부(213)의 광검출부(220)에 전달되는 경로로서 수광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of the front end 211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ng unit 240 of the connecting unit 212, and the light detecting unit ( 220), a light receiving path may be formed.

상기 광검출부(220)는, 내부공간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hotodetector 22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ternal space to conver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즉, 상기 광검출부(220)는,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펄스 신호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캔대상의 위치와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hotodetector 220 det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time until the laser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arrives can be measured, and the scan target can be used to measure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예를 들면, 상기 광검출부(220)는, 복수의 광검출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광검출기를 통하여 서로 상이한 입사각을 가지는 복수의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otodetector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etectors, and may receive a plurality of reflected lights having different incident angles through the plurality of photodetectors.

또한, 상기 광검출부(220)는, 반사된 광의 도달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스캔대상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detector 220 may convert the arrival of the reflect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an external processor, there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scan target.

한편, 이 경우 상기 광검출부(220)는, 수광부하우징(210)의 실시예에 따라, 수광렌즈(230)로부터 직선거리의 대향지점에 배치되어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수광렌즈(230)로부터 반사부(240)를 통해 반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light detection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is disposed at a point opposite to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to detec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s another exampl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through the reflection unit 240 may be detected.

상기 수광렌즈(230)는, 내부공간의 타단에 설치되어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광검출부(22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light receiving lens 23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space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transmit it to the photodetector 220 ,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수광렌즈(230)는, 후술하는 송광렌즈(120)와 같이 아몰퍼스 면을 가지고 종축방향 또는 횡축방향으로 일부 왜곡, 즉 굴절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 지도록 구비되는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receiving lens 230, like the light-transmitting lens 120 to be described later, has an amorphous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some distortion, ie, refraction,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Lenses may be used.

다른 예로서, 상기 수광렌즈(230)는, 대칭의 구면렌즈가 활용될 수 있으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미러(4)를 거쳐 입사되는 광이 광검출부(2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symmetrical spherical lens may be used as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 and light incident from the scan target through the reflective mirror 4 may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photodetector 220 .

또한, 상기 수광렌즈(230)는, 평면 상 원, 사각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구면, 비구면, 원통형 타입 등 어떠한 형태의 렌즈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ght-receiving lens 230 may be a circle, a square, or a polygon on a plane, and any type of lens such as a spherical surface, an aspherical surface, or a cylindrical type is applicable.

한편, 이 경우, 상기 수광렌즈(230)는, 단일의 렌즈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화각이 5도 이상 40도 미만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case, the light-receiving lens 23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lens, and an angle of view of 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40 degrees may be applied.

이때, 상기 수광렌즈(230)는, 글래스,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 구성은 후술하는 송광렌즈(12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receiving lens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plastic, or silicon, and this material configura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light-transmitting lens 12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수광렌즈(230)는, 전술한 광검출부(220)의 복수의 광검출기 중 하나의 빔 스팟이 하나의 광검출기, 즉 하나의 채널에 맺힘으로써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receiving lens 230 may maintain resolution by focusing one beam spot among the plurality of photodetectors of the photodetector 220 on one photodetector, that is, on one channel.

만약,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의 이미지 상인 빔 스팟의 면적이 커져 광검출부(220)의 하나의 채널 면적보다 커지는 경우, 해상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area of the beam spot, which is the image image of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 becomes larger than the area of one channel of the photodetector 220 ,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solution is impaired.

이를 위하여, 상기 수광렌즈(230)는, 렌즈의 출사면으로부터 상까지의 거리 T와 유효 초점거리 f 사이의 비인 f/T 값이 0.9 이상이고 1.27 이하일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light-receiving lens 230 , the f/T value, which is the ratio between the distance T from the exit surface of the lens to the image and the effective focal length f, may be 0.9 or more and 1.27 or less.

즉, 렌즈의 출사면으로부터 상까지의 거리 T와 렌즈의 유효 초점거리 f 사이의 비인 f/T 값이 0.9 미만이거나 1.27 초과하는 경우,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의 상인 빔 스팟의 면적이 커져 해상도가 저해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T value, which is the ratio between the distance T from the exit surface of the lens to the image and the effective focal length f of the lens, is less than 0.9 or exceeds 1.27, the beam spot that is the image of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is As the area increases, resolution may be impaired.

상기 반사부(240)는, 수광부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을 반사시켜 광검출부(22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reflection unit 240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to reflec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nd transmit it to the light detecting unit 220 ,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반사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광부하우징(210)의 전단부(211)와 후단부(213)를 잇는 연결부(212)의 대각선 배치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수광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이 광검출부(2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unit 240 is disposed in a diagonal arran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212 connecting the front end 211 and the rear end 213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thereby reducing the light receiving path. can be formed, thereby stably transmitting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to the photodetector 22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송광부(100)와 수광부(2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즉, 단일의 광학계로서 송광부(100)와 수광부(200)를 구비하도록 송광부(100)와 수광부(2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부피를 줄이고 컴팩트하게 구성되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include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as a single optical system, thereby reducing the volume and having a compact configuration.

한편, 이 경우, 상기 송광부(100)를 통해 출사되는 레이저와 수광부(200)를 통해 입사되는 반사된 광은 서로 다른 광학축을 가지게 되고, 일예로, 송광부(100)의 광학축이 수광부(200)의 광학축에 비해 상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have different optical axes, and for example,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is the light receiving unit ( 20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at the upper end compared to the optical axi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송광하는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 및 그가 설치된 광원모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ns for a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that transmits a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for outputting a la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ght source module installed there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광원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원(1)과,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송광하는 렌즈(2)를 포함할 수 있다.5 , the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1 for outputting a laser and a lens 2 for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

한편, 이때 적용되는 렌즈(2)는, 전술한 송광렌즈(12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전술한 송광렌즈(120)의 구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s 2 applied at this tim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described above, it is of course also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

또한, 상기 광원(1)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source 1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상기 광원모듈은,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원(1)과 출력된 레이저를 스캔대상으로 송광하는 렌즈(2)의 입사면(10) 까지의 거리(G)가 0.3mm 이상 9.5mm 이하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light source module, the distance (G) from the light source (1) for outputting a laser and the incident surface (10) of the lens (2) for transmitting the output laser to the scan target may be 0.3 mm or more and 9.5 mm or less. there i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횡축화각을 0.5도 이하로 구현하기 위하여 횡축방향에 대하여는 평행광이 구현되야 하는 바, 평행광의 구현을 위해서는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 즉 광원(1)과 입사면(10) 까지의 거리(G)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allel light must be impleme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transverse angle of view to 0.5 degrees or less. and the distance G to the incident surface 10 is a very important factor.

만약 거리(G)가 0.3mm 미만인 경우 렌즈의 횡축화각이 원하는 목표치인 0.5도를 초과하여 넓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거리(G)가 9.5mm 이상일 경우 또한 마찬가지로 횡축화각이 원하는 목표치인 0.5도를 초과하여 넓어지고 통과 후 광 효율 또한 10% 이상 떨어지므로, 적정 범위인 0.3mm 이상 9.5mm 이하의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If the distance (G) is less than 0.3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of the lens exceeds the desired target value of 0.5 degrees. Since it becomes wider and the light efficiency also falls by more than 10% after passing, it can be arranged within a distance of 0.3 mm or more and 9.5 mm or less, which is an appropriate rang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는, 단일 렌즈를 통해서 종축화각과 횡축화각을 달리하여 시트빔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수의 원통형 렌즈를 적용한 광원모듈에 비해 부피가 작아져 그 활용도가 뛰어나고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에 설치 가능한 수준의 사이즈의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s for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heet beam by vary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view through a single lens, the volum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ight source module to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lenses are applied. Its utility is excellent, and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a siz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headlamp of a vehic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송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레이저가 입사되는 입사면(10)과; 상기 입사면(10)과 함께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광원(1)의 상기 레이저를 발산시키는 출사면(2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lens for the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as shown in FIG. 5 , and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is incident an incident surface 10 and; It forms a lens together with the incident surface 10 and includes an exit surface 20 for emitting the laser of the light source 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는, 입사면(10)과 출사면(20)의 사이에서 렌즈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for a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de portion 30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lens between the incident surface 10 and the emission surface 20 .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는, 어떠한 형상의 렌즈도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평면상 형상이 원, 타원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s for the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len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planar shape may be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al shape.

또한, 입사면(10)의 평면상 형상과 출사면(20)의 평면상 형상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incident surface 10 and the planar shape of the exit surface 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 광원모듈용 렌즈는, 발산되는 레이저가 종축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시트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for the scanning lidar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itted laser may be formed of a sheet beam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는 종축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횡축방향으로 종축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화각을 가지는 시트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aser output through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sheet beam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latively small angle of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mpar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출력되는 레이저는, 횡축화각이 0.2도 종축화각이 10도를 갖는 시트빔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laser may be implemented as a sheet beam having a horizontal angle of view of 0.2 degrees and a vertical angle of view of 10 degrees.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횡축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종축방향으로 횡축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화각을 가지는 시트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output through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sheet beam having a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relatively small angle of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때, 출력되는 레이저는, 횡축화각이 10도, 종축화각이 0.2도를 갖는 시트빔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laser may be implemented as a sheet beam having a horizontal angle of view of 10 degrees and a vertical angle of view of 0.2 degrees.

이를 위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출사면(20)이 횡축방향의 굴절과 종축방향의 굴절 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아나몰픽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n anamorphic surface such that the emitting surface 20 has different degrees of refra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refra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대하여는 출사면(2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후술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hile explaining the exit surface 20 .

상기 입사면(10)은,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가 입사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출사면(20)과 함께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cident surface 10 i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is incident, and may form a lens together with the emission surface 20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면, 상기 입사면(10)은, 광원(1)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가 입사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cident surface 10 may be provided in a planar shape so that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is incident.

다른 예로서, 상기 입사면(10)은, 종축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이 출사면(20)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와 오목부(11)의 양 끝단에서 수평하게 확장되는 확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cident surface 10 extends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cave portion 11, the center of which is concave toward the exit surface 2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a portion 12 .

즉, 상기 입사면(10)이 종축방향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출사면(20)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목부(11)의 양 끝단에서 수평하게 확장되는 확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cident surface 10 may include concave portions 11 that are concavely formed toward the exit surface 2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and are horizontal at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11 .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2 that is extended to

이 경우, 오목부(11)와 확장부(1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부(12)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expanded portion 12 , and more specifically, the step may be provided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xpanded portion 12 .

한편, 이 경우, 상기 입사면(10)은, 횡축방향으로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incident surface 10 may be maintained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입사면(10)이 횡축방향으로는 오목부(11)보다는 작은 곡률의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Also, of course, the incident surface 10 may b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having a smaller curvature than the concave portion 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때, 상기 입사면(10)은, 후술하는 출사면(20)과 대응되어, 출사면(20)이 횡축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입사면(10)이 종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ident surface 10 corresponds to the exit surface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exit surface 20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the entrance surface 1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here is.

즉, 입사면(10)과 출사면(20)은 횡축방향 또는 종축방향의 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incident surface 10 and the exit surface 2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and convex, respectively, by changing direction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상기 출사면(20)은, 단일의 렌즈를 통해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적용되는 시트빔을 형성하기 위하여, 횡축방향의 굴절과 종축방향의 굴절 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아나몰픽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it surface 20 may be formed as an anamorphic surface so that the degree of refra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degree of refra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form a sheet beam applied to the vehicle scanning lidar through a single len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하는 횡축방향과 종축방향의 특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예에 불과하며 서로 반대의 특징을 가질 수도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direc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it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also a matter of course that they may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상기 출사면(20)은, 발산되는 레이저의 횡축방향의 화각이 종축방향의 화각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축방향의 화각이 0.5도, 종축방향의 화각이 10도를 가지는 시트빔을 형성할 수 있다.The emission surface 20 may be formed so that the angle of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mitted laser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angle of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0.5 degrees and the angle of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10 degrees. A sheet beam can be formed.

이를 위하여, 상기 출사면(20)은, 횡축방향의 곡률(Cx)과 종축방향의 곡률(Cy)의 비(Cx/Cy)가 6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emission surface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atio (Cx/Cy) of the curvature Cx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curvature C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greater than 6.

즉, 본 발명에 따른 목표치인 횡축화각과 종축화각의 비율이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횡축화각과 종축화각의 비율이 1:20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횡축방향의 곡률(Cx)과 종축방향의 곡률 (Cy)의 비인 (Cx/Cy)가 6보다 커야하고, 6이하인 경우에는 세로방향의 시트빔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ratio of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to the vertical angle of view, which is the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5, and mor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orizontal axis to the vertical angle of view is 1:20 or more, the curvature (Cx)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he ratio (Cx/Cy) of the curvature (Cy) of must be greater than 6, and when it is less than 6,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eet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not be implemented.

따라서, 상기 출사면(20)은, 횡축방향의 곡률(Cx)과 종축방향의 곡률(Cy)의 비(Cx/Cy)가 6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6.31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exit surface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atio (Cx/Cy) of the curvature (Cx)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curvature (C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6, and more specifically, a value of 6.31 or more. can have

한편 다른 예로서, 가로방향의 시트빔을 구현하기 위하여 횡축화각과 종축화각의 비율이 5:1, 보다 바람직하게는 횡축화각과 종축화각의 비율이 20:1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축방향의 곡률(Cy)과 횡축방향의 곡률(Cx)의 비인 (Cy/Cx)가 6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6.31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realize a horizontal sheet beam, the ratio of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to the vertical angle of view is 5:1, and mor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to the vertical angle of view is 20:1 or more. (Cy/Cx), which is the ratio of (Cy) to the curvature (Cx)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6, and more specifically, may have a value of 6.31 or more.

상기 출사면(20)은, 중심이 횡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종축방향으로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mission surface 20 may be formed to be convex with a center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at this time, may be formed to remain horizontal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한편, 다른 예로서, 중심이 횡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종축방향으로는 곡률을 달리하고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the center may be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formed to be convex while changing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o be convex.

이때, 종축방향으로의 곡률은 횡축방향으로의 곡률보다 작다.At this time, the curvature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한편, 상기 출사면(20)은, 다른 예로서, 발산되는 레이저의 종축방향의 화각이 횡축방향의 화각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emitting surface 20 may be formed such that an angle of view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of the emitted laser is smaller than an angle of view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즉, 상기 출사면(20)은, 송광부(100)를 통과하여 출사되는 레이저가 전술한 세로방향이 아닌 가로방향의 시트빔을 가지도록 발산되는 레이저의 종축방향의 화각이 횡축방향의 화각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emitting surface 20 , the angle of view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of the laser emitted so that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has a sheet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ead of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s greater than the angle of view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be small.

이로써, 발산되는 레이저가 횡축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시트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mitted laser can be formed into a sheet beam having a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를 위해서, 상기 출사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횡축방향의 곡률과 종축방향의 곡률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축방향의 곡률(Cy)과 횡축방향의 곡률(Cx)의 비(Cy/Cx)가 6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exit surface 20 may have different curvatur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the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y) and the curva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x). The ratio (Cy/Cx) may be greater than 6.

즉, 상기 출사면(20)은, 전술한 세로방향의 시트빔을 가로방향의 시트빔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조건의 횡축방향과 종축방향의 조건이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emitting surface 20, in order to form the above-mentioned longitudinal sheet beam into a transverse sheet beam,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pplied opposite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원모듈을 이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effect of using the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때 파란색 선은 종축방향의 화각을 나타내고 초록색 선은 횡축방향의 화각을 나타낸다. In the case of outputting a laser through a conventional laser diode, as shown in FIG. 9 , in this case, a blue line indicates an angle of view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a green line indicates an angle of view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이 경우, 종축방향으로 11도의 화각을 가지고 횡축방향으로 25도의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가 형성되어 세로방향의 시트빔을 형성하지 못하는 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an image having an angle of view of 11 degrees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and an angle of view of 25 degrees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is formed, so that a seat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not be formed.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원모듈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화각이 9.8도를 유지하면서도 횡축화각이 0.15도를 가지는 세로방향의 시트빔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0 , it was confirmed that a sheet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ing a horizontal angle of view of 0.15 degrees while maintaining a vertical angle of view of 9.8 degrees can be realized. di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라이다용 광원모듈은 최적의 스캐닝 라이다에 적용이 가능한 세로방향의 시트빔을 구현하면서도 단일의 렌즈를 적용하여 부피가 작고 컴팩트하여 차량용 헤드램프에 설치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light source module for scanning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in a vehicle headlamp because of its small volume and compactness by applying a single lens while implementing a vertical sheet be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optimal scanning lidar.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광원 2: 렌즈
3: 광학계 4: 반사미러
10: 입사면 20: 출사면
100: 송광부 200: 수광부
1: Light source 2: Lens
3: Optical system 4: Reflective mirror
10: entrance side 20: exit side
100: light transmitting unit 200: light receiving unit

Claims (11)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로서,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부(100)와;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A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light transmitt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광부(100)와 상기 수광부(2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ar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광부(100)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와 상기 수광부(200)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반사된 광은 서로 다른 광학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nd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have different optical ax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광부(1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일단에 상기 광원(1)이 설치되는 송광부하우징(110)과;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해 송광하는 송광렌즈(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a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form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the light source 1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and a light transmitting len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and transmitting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1) toward the scan targe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2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광부하우징(210)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부(220)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검출부(220)로 전달하는 수광렌즈(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a light receiving load housing 210 forming an inner space;
a photodetector 22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to conver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light receiving lens (23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space to receiv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and transmit it to the photodetector (22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상기 수광렌즈(230)를 통과한 반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검출부(220)에 전달하는 반사부(2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Vehicle scan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and further comprises a reflecting unit 240 to reflect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to transmit it to the light detecting unit (220) lidar optic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광부하우징(110)은,
평면 상 상기 송광렌즈(120)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의 중심과 상기 수광렌즈(230)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반사된 광의 중심이 얼라인하도록 상기 수광부하우징(2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transmitting unit housing 110,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housing 210 so that the center of the laser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and the center of the reflect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on a plane are aligned.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광렌즈(120)는,
단일의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transmitting lens 120,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ingle le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230)는,
화각이 5도 이상 4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광학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receiving lens 230,
A vehicle scanning lidar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view is more than 5 degrees and less than 40 degrees.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광학계(3)와;
상기 송광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상기 스캔대상을 향하여 반사하여 전달하고, 상기 스캔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수광부(200)를 향해 반사하여 전달하는 반사미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10. An optical system (3)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 reflective mirror 4 that reflects and transmits the laser output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00 toward the scan target, and reflects and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can target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200 It is a scanning lidar for vehicl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4)는,
회전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캐닝 라이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flective mirror (4) is,
A scanning lida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rotation and vibration is possible.
KR1020200104714A 2020-08-20 2020-08-20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486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14A KR102486473B1 (en) 2020-08-20 2020-08-20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14A KR102486473B1 (en) 2020-08-20 2020-08-20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58A true KR20220023158A (en) 2022-03-02
KR102486473B1 KR102486473B1 (en) 2023-01-09

Family

ID=8081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14A KR102486473B1 (en) 2020-08-20 2020-08-20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4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373A (en) * 2016-12-31 2019-08-05 웨이모 엘엘씨 Optical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LIDAR) device with off-axis receiver
JP2019132723A (en)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Lidar device
JP6676974B2 (en) * 2016-01-14 2020-04-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Object de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6974B2 (en) * 2016-01-14 2020-04-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Object detection device
KR20190091373A (en) * 2016-12-31 2019-08-05 웨이모 엘엘씨 Optical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LIDAR) device with off-axis receiver
JP2019132723A (en)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Lid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73B1 (en)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641806U (en) Laser radar
KR102564681B1 (en) Transmission device with a scanning mirror covered by a collimating cover element
CN113567994B (en) Optical system of laser radar and laser radar system
KR101665938B1 (en) Optical system of multi lidar scanner using mirror rotation
WO2021051722A1 (en) Lidar and autonomous driving device
KR102235710B1 (en) Scanning lidar having optical structures with transmission receiving single lens
US20180252513A1 (en) Range-finder Apparatus, Methods, and Applications
KR20180053376A (en) Rider sensor
JPH09113262A (en) Scanning method using scanning range finder and range finder
KR101867967B1 (en) Polyhedron optical structure for 360˚ laser scanning and 3d lidar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211236225U (en) Large-view-field laser radar optical-mechanical system
CN110531369B (en) Solid-state laser radar
US20200150418A1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mobile body
CN110312947B (en) Lidar sensor for detecting objects
CN211718520U (en) Multi-line laser radar
CN114636985A (en) Laser radar
KR102181862B1 (en) A lida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axis and a light receiving axis coincide
KR102486472B1 (en) Lens for lighting source module, and lighting source module having the same
KR102486473B1 (en) Optical system and LIDAR senso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WO2021035427A1 (en) Lidar and autonomous driving device
KR20180052379A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4814791A (en) Laser radar
KR102158956B1 (en) Multi Scanner
CN114415149A (en) Large-angle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ous laser radar optical system
KR102145931B1 (en) Scanning lidar having concave reflective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