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32A -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 Google Patents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32A
KR20220023132A KR1020200104675A KR20200104675A KR20220023132A KR 20220023132 A KR20220023132 A KR 20220023132A KR 1020200104675 A KR1020200104675 A KR 1020200104675A KR 20200104675 A KR20200104675 A KR 20200104675A KR 20220023132 A KR20220023132 A KR 2022002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er
protector
protection unit
disposed
magnetorhe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6926B1 (en
Inventor
오종석
김영춘
정준홍
박진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926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which not only increases range of motion of a wearer but also minimizes damage to the body of the wear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ody protective portion wrapping around the upper body of a wearer (rider); a lower body protective portion wrapping around the lower body of the wearer; guards that are disposed on the upper body protective portion and the lower body protective portion, respectively, and in which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that harden or soften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e encased; electromagnets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guards so as to form a magnetic field around the adjacent guards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a battery;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s.

Description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본 발명은 라이더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 관절 부위 등의 움직임이 원활함으로써 신체 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관절 부위 등에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원활함으로써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gear for riders,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enables easy physical activity by smooth movement of joints, etc., but also minimizes damage to the body by facilitating alleviation of shocks on joints when an accident occurs. It relates to a protective gear for riders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that makes it possible.

육상 교통 수단의 하나로 오토바이가 있다.A motorcycle is one of the means of land transportation.

오토바이는 자동차에 비해 소형이므로 좁은 길의 주행이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간적인 가속이 원활하므로 속도감을 만끽할 수 있다.Since a motorcycle is smaller than a car, it can be easily driven on a narrow road, and instantaneous acceleration is smooth, so you can enjoy a sense of speed.

이에 교통 수단 및 레저 수단으로 오토바이 라이딩을 즐기는 인구가 늘고 있다.Accordingly,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enjoy riding motorcycles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leisure.

그러나 오토바이의 차체는, 운전자를 감싸는 자동차 차체와 달리 라이더의 신체를 감쌀 수 없는바, 라이더의 신체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낙차 등의 사고 발생시 라이더의 신체가 지면과 곧바로 접촉하게 되어 이에 의해 신체 손상, 즉 부상 정도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unlike the car body that wraps around the driver, the body of a motorcycle cannot cover the rider's body, and since the rider's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such as a fall occurs, the rider's body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resulting in bodily damage, That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injury increased.

이러한 이유로 오토바이 라이딩을 즐기는 라이더의 상당수가 헬멧 외에 별도 보호구, 다시 말해 슈트 및 부츠를 착용하여 사고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For this reason, many of the riders who enjoy riding a motorcycle are preparing for an accident by wearing a separate protective gear, that is, a suit and boots, in addition to a helmet.

이때, 보호구는 라이더의 상체, 하체 및 발을 감싸므로 보호구에 의해 사고 발생시 라이더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라이더의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otective gear covers the rider's upper body, lower body and feet, the shock applied to the rider's bod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by the protective gear can be alleviat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rider's body.

그러나 통상의 보호구는, 상당 부분이 직물 또는 가죽 원단 등으로 제작되는바, 재질의 특성상 충격 완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rotective gear is made of fabric or leather fabric,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mpact mitigation effect did not meet expectation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보호구의 다수 지점에 경질의 보호대가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ard guard is applied to a number of points of the guard.

경질의 보호대는, 특히 라이더 신체의 관절 부위, 예컨대 어깨, 무릎, 팔꿈치 및 발목 등에 인접 배치되는바, 사고 발생시 보호대에 의해 특히 라이더 신체 중의 관절 부위에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원활할 수 있다.The hard protector, in particula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joint parts of the rider's body, such as shoulders, knees, elbows and ankles,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impact on the joints in the rider's body can be smoothly relieved by the protector.

다만, 보호구에 경질의 보호대가 적용됨으로써 라이더 신체의 관절 부위 움직임이 둔화되므로 평소의 활동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a hard protector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gear,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of the rider's body is slow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ual activities become uncomfortable.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평소 관절 부위 등의 움직임이 원활함으로써 신체 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관절 부위 등에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원활함으로써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더용 보호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field, not only can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s be smooth, so that physical activity can be made easily, but also when an accident occurs, the shock to the joint part is smoothly alleviated, so that the body damage can be minimized. We are trying to develop it, but so far, we have not been able to obtain satisfactory resul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554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5554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평소 관절 부위 등의 움직임이 원활함으로써 신체 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관절 부위 등에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원활함으로써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더용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not only enables easy physical activity by smooth movement of joints, etc., but also facilitates alleviation of shocks on joints when an accident occu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equipment for riders that can minimize damage to the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라이더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보호부; 상기 라이더의 하체를 감싸는 하체보호부; 상기 상체보호부 및 하체보호부 각각에 배치되되,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자기유변탄성체가 봉입된 보호대; 상기 보호대 각각에 인접 배치되어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에 따라 인접하는 상기 보호대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를 제안한다.Upper body protection that wraps the rider's upper body; a lower body protection unit surrounding the rider's lower body; Doedoe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a guard in which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that hardens or becomes soft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is encapsulated; Electromagne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protectors to form a magnetic field around the protectors adjacent 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상기 상체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목, 어깨 및 팔꿈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The protector disposed in the upper body protect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neck, shoulder and elbow.

상기 하체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골반 및 무릎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The protector disposed i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pelvis and knee.

상기 제어기는 차체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의 연결 해제에 따라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disconnection of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vehicle body.

상기 제어기는 상기 라이더의 착좌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로부터 생성되는 착좌 해제 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in response to obtaining a seat release signal generated from a sensing member for sensing the rider's seat rele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이더의 발을 감싸는 발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는 상기 발보호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foot protector surrounding the rider's foot; further comprising, the protector may be disposed in the foot protector.

상기 발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발목 및 발등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The protector disposed on the foot protect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ankle and instep.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는, 상체보호부 및 하체보호부에 배치되는 보호대를 포함하고, 보호대는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자기유변탄성체로 이루어지는바, 평소 보호대가 탄성을 유지함에 따라 관절 부위 등의 움직임이 원활함으로써 신체 활동이 용이할 수 있고, 사고 발생시 보호대가 전자석의 자기장 형성에 의해 굳어짐에 따라 관절 부위 등에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원활함으로써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protective gear for riders us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or disposed in the upper body protection part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part, and the protector is made of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that hardens or becomes soft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By maintaining elasticity, physical activity can be facilitated by smooth movement of joints, etc.,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s the protector hardens by the formation of a magnetic field of the electromagnet, the impact on the joints can be smoothly alleviat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body.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는,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차체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의 연결 해제 또는 라이더의 착좌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로부터 생성되는 착좌 해제 신호 획득에 따라 전자석을 작동시킬 수 있는바, 라이더 낙차 등의 사고 발생시에만 보호대가 굳어질 수 있으므로 평소 보호대의 굳어짐으로 인한 활동 둔화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release signal generated from a sensing member for which the controll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detects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from the vehicle body or the seat release of the rider. Since the electromagnet can be operated accordingly, the protector can be hardened on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rider's fall, so the slowdown of activity due to the hardening of the usual protecto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서 보호대 및 전자석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서 보호대의 평소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서 보호대의 사고 발생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서 연결부재에 의한 제어기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에서 감지부재에 의한 제어기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protector and the electromagnet in the rider's protective gea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ual state of the protector in the rider's protective gea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by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rider's protective gea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by the sensing member in the rider's protective gea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A)는, 상체보호부(10); 하체보호부(20); 보호대(40); 전자석(50); 및 제어기(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ider's protective gear (A)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guard (40); electromagnet 50; and a controller 60;

본 발명의 상체보호부(10)는 라이더의 상체를 감싼다.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raps the rider's upper body.

따라서 상체보호부(10)에 의해 라이더의 상체 보호가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upper body protection of the rider is made by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한편, 상체보호부(10)는 라이더의 상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직물 원단 또는 가죽 원단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it can wrap and protect the rider's upper body, and for example, it may be a fabric fabric or a leather fabric.

본 발명의 하체보호부(20)는 라이더의 하체를 감싼다.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lower body of the rider.

따라서 하체보호부(20)에 의해 라이더의 하체 보호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lower body of the rider is protected by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

한편, 하체보호부(20)는 라이더의 하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직물 원단 또는 가죽 원단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it can wrap and protect the rider's lower body, and for example, it may be a fabric fabric or a leather fabric.

또한, 하체보호부(20)는 상체보호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

하체보호부(20)가 상체보호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면 상체보호부(10)와 하체보호부(20) 사이를 통한 라이더 신체 노출이 방지될 수 있어 사고 발생시 신체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exposure of the rider's body through between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can be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body protection effect in case of an accident. there is.

본 발명의 보호대(40)는, 상체보호부(10) 및 하체보호부(20) 각각에 배치되되,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자기유변탄성체(41)(MRE : Magnetorheological Elastomer)가 봉입된다.The protecto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and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MR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that hardens or becomes soft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is enclosed. do.

따라서 사고 발생시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완화가 이루어져 라이더 신체의 보호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n accident occurs, as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hardens, th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is alleviated to protect the rider's body.

이때, 상체보호부(10)에 배치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목, 어깨 및 팔꿈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고, 하체보호부(20)에 배치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골반 및 무릎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됨으로써 해당 부위가 집중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40 disposed in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neck, shoulder and elbow, and the protector 40 disposed i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is the rider's pelvis and kne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intensively protected.

한편, 보호대(40)에서 자기유변탄성체(41)는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폴리머 또는 실리콘 기반의 고무 및 철 입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guard 40,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may be of any general type as long as it hardens or becomes soft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an example thereof is a mixture of polymer or silicon-based rubber and iron particles. can

본 발명의 전자석(50)은 보호대(40) 각각에 인접 배치되어 배터리(51)를 통한 전원 공급에 따라 인접하는 보호대(40)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The electromagne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guards 40 to form a magnetic field around the adjacent guards 40 according to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51 .

따라서 전자석(50)의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지거나 물러진다.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magnetic field of the electromagnet 50 is formed,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of the guard 40 is hardened or softened.

한편, 전자석(50)은 배터리(51)를 통한 전원 공급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전자석(5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magnet 50 may have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ethod as long as it can form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51 ,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omagnet 50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어기(60)는 전자석(50)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

따라서 제어기(60)에 의해 전자석(50)의 작동 제어가 용이하다.Therefore, it is eas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by the controller 60 .

이때, 제어기(60)는 차체(100)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61), 예컨대 연결줄의 연결 해제(제어기의 기계적 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음)에 따라 전자석(50)을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50 according to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61 , for example, the connection string extending from the vehicle body 100 (which may lead to a mechanica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여기서, 연결부재(61)의 연결 해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60) 작동 상태에서 라이더 낙차와 같이 라이더가 의도하지 않게 차체(100)를 이탈할 때 연결부재(61)가 당겨지며 제어기(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결부재(61)의 연결 해제에 따라 전자석(50)이 작동됨으로써 사고 발생 즉시 전자석(50) 작동에 의해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지게 되므로 이에 의해 라이더의 신체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Here, in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61, the connection member 61 is pulled when the rider unintentionally leaves the vehicle body 100, such as a rider fall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60, as shown in FIG. Meaning of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roller 60, the electromagnet 5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61, and thus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is operated by the electromagnet 50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occurs is hardened, thereby protecting the rider's body.

만일, 라이더 하차와 같이 라이더가 의도를 갖고 차체(100)를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이탈에 앞서 제어기(60)를 미작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전자석(50) 작동으로 이어지는 연결부재(61)의 연결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If the rider intends to leave the vehicle body 100 with intention, such as when the rider gets off, dis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61 lea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by switching the controller 60 to a non-operational state prior to departure. can be prevented.

또한, 제어기(60)는 라이더의 착좌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재(62)로부터 생성되는 착좌 해제 신호(무선신호일 수 있음)를 획득함에 따라 전자석(50)을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50 as it obtains a seat release signal (which may be a wireless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ing member 62 for sensing the rider's seat release.

여기서, 착좌 해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60) 작동 상태에서 라이더 낙차와 같이 라이더가 의도하지 않게 차체(100)의 착좌면을 이탈할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 착좌 해제 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전자석(50)이 작동됨으로써 사고 발생 즉시 전자석(50) 작동에 의해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지게 되므로 이에 의해 라이더의 신체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eating release refers to when the rider unintentionally deviates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0, such as a rider fall,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60, as shown in FIG. 6, and obtaining a seating release signal Accordingly, since the electromagnet 50 is operated,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is harden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occurs, thereby protecting the rider's body.

만일, 라이더 하차와 같이 라이더가 의도를 갖고 차체(100)를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이탈에 앞서 제어기(60) 또는 감지부재(62)를 미작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전자석(50) 작동으로 이어지는 착좌 해제 신호 획득이 방지될 수 있다.If the rider intends to leave the vehicle body 100 with intention, such as when the rider gets off, the seat release lea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by switching the controller 60 or the sensing member 62 to a non-operational state prior to departure Signal acquisition can be prevented.

한편, 제어기(60)는 전자석(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제어기(6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60 may have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ethod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ler 60 will be omitted.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A)는, 라이더의 발을 감싸는 발보호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gear (A) for a rider us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foot protector 30 surrounding the rider's foot; may further include.

따라서 발보호부(30)에 의해 라이더의 발 보호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rider's feet are protected by the foot protection unit 30 .

한편, 발보호부(30)는 라이더의 발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직물 원단 또는 가죽 원단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t protection unit 3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it can wrap and protect the rider's feet, and for example, it may be a fabric fabric or a leather fabric.

또한, 발보호부(30)는 하체보호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t protection unit 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

발보호부(30)와 하체보호부(20)가 일체로 형성되면 하체보호부(20)와 발보호부(30) 사이를 통한 라이더 신체 노출이 방지될 수 있어 신체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foot protection unit 3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are integrally formed, exposure of the rider's body through betwee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and the foot protection unit 30 can be prevented, thereby enhancing the body protection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A)가 발보호부(30)를 더 포함할 때 보호대(40)는 발보호부(30)에도 배치될 수 있다.And when the protective gear (A) for riders us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foot protector 30 , the protector 40 may also be disposed in the foot protector 30 .

따라서 사고 발생시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완화가 이루어져 라이더의 발 보호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n accident occurs, as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hardens, th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is alleviated to protect the rider's feet.

이때, 발보호부(30)에 배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발목 및 발등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됨으로써 해당 부위가 집중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40 disposed in the foot protector 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ankle and instep, thereby protec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intensively.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A)를 통한 라이더 신체 보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ody protection of the rider through the protective gear (A) for the rider us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상체보호부(10) 및 하체보호부(20)를 포함하는바, 라이딩 과정에서 낙차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 라이더 신체가 지면 등에 접촉할 때 상체보호부(10) 및 하체보호부(20)에 의해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므로 신체 보호가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a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and when an accident such as a fall occurs during the riding process and the rid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 20), the shock is mitigated, so body protection is achieved.

다만, 사고 발생시의 충격에 따라서는 상체보호부(10) 및 하체보호부(20)에 의한 충격 완화가 미흡할 수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impact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e shock mitigation by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may be insufficient.

그러나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체보호부(10) 및 하체보호부(20) 각각에 배치되는 보호대(40)를 포함하고, 보호대(40)는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자기유변탄성체(41)가 봉입된 것인바, 보호대(40)가 자기장 형성에 의해 굳어짐,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에 의해 자기유변탄성체(41)를 이루는 철 입자 등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면서 굳어짐으로써 사고 발생시의 충격이 완하되므로 사고 발생으로 인한 라이더의 신체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or 40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in the form shown in FIG. 2 , and the protector 40 is hardened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which loses or becomes soft, is enclosed, and the guard 40 is hardened by the formation of a magnetic field, that is, iron particles constitut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by the formation of a magnetic field as shown in FIG. By being arranged in a certain shape and being hardened, the impact at the time of an accident is relieved, so that damage to the rider's body due to an accident can be minimized.

이때, 상체보호부(10)에 배치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목, 어깨 및 팔꿈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고, 하체보호부(20)에 배치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골반 및 무릎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바, 해당 부위가 집중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40 disposed in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neck, shoulder and elbow, and the protector 40 disposed in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20 is the rider's pelvis and knee. Since the bar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the corresponding portion may be intensively protected.

여기서, 보호대(40)가 사고 발생 이외의 상황, 즉 평소에 굳어지면 라이더의 신체 활동이 둔화될 수 있다.Here, when the protector 40 is hardened in situations other than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at is, the rider's physical activity may be slowed.

그러나 본 발명은, 보호대(40)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고, 제어기(60)는 차체(100)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61)의 연결 해제 또는 라이더의 착좌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재(62)로부터 생성되는 착좌 해제 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전자석(50)을 작동시킬 수 있는바, 제어기(60) 작동 상태에서 라이더 낙차와 같이 라이더가 의도하지 않게 차체(100)를 이탈할 때, 다시 말해 사고 발생 상황에서만 전자석(50)이 작동하여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질 뿐 평소 보호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유변탄성체(41)를 이루는 철 입자 등이 불규칙적으로 분포함으로써 무른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에 의해 라이더의 신체 활동이 원활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6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50 that forms a magnetic field around the protector 40 , and the controller 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61 connected from the vehicle body 100 . The electromagnet 50 can be operated by obtaining the seat release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ing member 62 for sensing release or the rider's seat release. When the vehicle body 100 is unexpectedly departed, that is, on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electromagnet 50 operates so that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is hardened, and the usual protector 40 is as shown in FIG. As the iron particles constitut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41 are irregularly distributed to maintain a soft state, thereby, the rider's physical activity can be smooth.

한편,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라이더 발 또한 보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tect the rider's feet in case of an accident.

즉,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A)는, 라이더의 발을 감싸는 발보호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보호대(40)는 발보호부(30)에도 배치될 수 있는바, 사고 발생시 발보호부(30)에 배치되는 보호대(40)의 자기유변탄성체(41)가 굳어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완화가 이루어져 라이더의 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rider's protective gear (A) using the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ot protection unit (30) surrounding the rider's foot; As the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41 of the protector 40 disposed on the foot protector 30 hardens when an accident occurs, th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is alleviated to protect the rider's foot.

이때, 발보호부(30)에 배치되는 보호대(40)는 라이더의 발목 및 발등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됨으로써 해당 부위가 집중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or 40 disposed on the foot protector 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ankle and instep, thereby intensively protec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can be changed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changes are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0 : 상체보호부 20 : 하체보호부
30 : 발보호부 40 : 보호대
41 : 자기유변탄성체 50 : 전자석
51 : 배터리 60 : 제어기
61 : 연결부재 62 : 감지부재
100 : 차체 A : 라이더용 보호구
10: upper body protection unit 20: lower body protection unit
30: foot protection 40: protector
41: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50: electromagnet
51: battery 60: controller
61: connection member 62: sensing member
100: Body A: Protective equipment for riders

Claims (7)

라이더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보호부;
상기 라이더의 하체를 감싸는 하체보호부;
상기 상체보호부 및 하체보호부 각각에 배치되되, 자기장 형성 여부에 따라 굳어지거나 물러지는 자기유변탄성체가 봉입된 보호대;
상기 보호대 각각에 인접 배치되어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에 따라 인접하는 상기 보호대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Upper body protection that wraps the rider's upper body;
a lower body protection unit surrounding the lower body of the rider;
Doedoe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body protection unit and the lower body protection unit, a guard in which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material that hardens or becomes soft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is encapsulated;
Electromagne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protectors to form a magnetic field around the protectors adjacent 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목, 어깨 및 팔꿈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or disposed in the upper body protection portion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neck, shoulder and elb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골반 및 무릎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or disposed in the lower body protection portion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pelvis and kn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체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의 연결 해제에 따라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a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from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라이더의 착좌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재로부터 생성되는 착좌 해제 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a protective gea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characterized in that by operating the electromagnet in response to obtaining a seating release signal generated from a sensing member for sensing the rider's seating rel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의 발을 감싸는 발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는 상기 발보호부에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According to claim 1,
A foot protector for wrapping the rider's foot; further comprising, the protecto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lso disposed in the foot prot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보호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대는 상기 라이더의 발목 및 발등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라이더용 보호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tector disposed in the foot protector for a rider us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ic body,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der's ankle and instep.
KR1020200104675A 2020-08-20 2020-08-20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KR102456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75A KR102456926B1 (en) 2020-08-20 2020-08-20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75A KR102456926B1 (en) 2020-08-20 2020-08-20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32A true KR20220023132A (en) 2022-03-02
KR102456926B1 KR102456926B1 (en) 2022-10-21

Family

ID=8081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75A KR102456926B1 (en) 2020-08-20 2020-08-20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92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42B1 (en) * 2017-12-15 2019-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shoes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KR20190070605A (en) * 2017-12-13 2019-06-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ead rest system utiliz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MRE)
KR102055543B1 (en) 2019-04-30 2019-12-13 동빈 박 A rider suit with an air tunnel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05A (en) * 2017-12-13 2019-06-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ead rest system utiliz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MRE)
KR101957442B1 (en) * 2017-12-15 2019-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shoes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KR102055543B1 (en) 2019-04-30 2019-12-13 동빈 박 A rider suit with an air tunnel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926B1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182B2 (en) Molded gasket for footwear
CA2484680C (en) Garment with energy dissipating conformable padding
US6839910B2 (en) Protective athletic equipment
US7958655B2 (en) Fold-over thermal laminate for footwear
US20200205488A1 (en) Improved protective garment with airbags
ITVR20120114A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US20140020157A1 (en) Soft safe helmet
KR102456926B1 (en) protective gear for rider u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KR100749958B1 (en) Shock-absorbing member for articulated joint protector and articulated joint protector having the same
US20170136340A1 (en) Shock absorbing element for the body
GB2449268A (en) Knee protectors
KR20080093430A (en) Male genital protection device
CN202490414U (en) Inflatable football leg guard
US20020022419A1 (en) Life jacket
CA2263028A1 (en) Protective guard
KR200222318Y1 (en) Shoulder and lap protector enclose air bag
JP3207308U (en) Safety shoes with TPU protective layer
CN218245956U (en) Foot-protecting sports shoes
KR200395557Y1 (en) leg protective device
KR200381576Y1 (en) a protective equipment for a motorcycle rider
KR100723039B1 (en) leg protective device
KR100681890B1 (en) A protective equipment for a motorcycle rider
KR200325778Y1 (en) Sportswear with the knee protector
KR200217530Y1 (en) Motorcycle shoes
KR200247201Y1 (en) Protector of motorcycle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