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713A -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713A
KR20220022713A KR1020200103994A KR20200103994A KR20220022713A KR 20220022713 A KR20220022713 A KR 20220022713A KR 1020200103994 A KR1020200103994 A KR 1020200103994A KR 20200103994 A KR20200103994 A KR 20200103994A KR 20220022713 A KR20220022713 A KR 2022002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polycarbonate
carbon atoms
formula
rep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영
이기재
이다영
홍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0010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713A/en
Publication of KR2022002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713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 C08G64/226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an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9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6Aliphatic-aromatic or araliph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carbonate and a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The copolycarbonate exhibits very high surface hardness and improved fluidity while exhibit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existing polycarbonate due to a novel structure, thereby being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requiring high hardness and precision.

Description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carbonate and a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와 같은 방향족 다이올과 포스겐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축중합하여 제조되고, 우수한 충격강도, 수치안정성,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을 가지며,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부품, 건축 소재, 광학 부품, 의류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된다.Polycarbonate is produced by polycondensation of an aromatic diol such as bisphenol A and a carbonate precursor such as phosgene, and has excellent impact strength, dimensional stability,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 applied to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clothing materials.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나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나 유리 대체 소재로 주목 받고 있는데, 비스페놀 A로부터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낮은 표면 경도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In particular, polycarbonat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for automobiles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or as a replacement material for glass due to it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In the case of polycarbonate prepared from bisphenol A, its use is limited due to low surface hardness.

게다가,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유동성이 매우 낮아 정밀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사출 성형시 높은 사출 압력과 속도를 적용함으로써 성형물의 일부 부위에 매우 많은 잔류 응력을 남겨 내충격성이 크게 저하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eral polycarbonate, it has very low fluidity compared to thermoplastic resin, so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it to parts that require precis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mpact property was greatly reduced or deformed.

이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우수한 충격강도, 수치안정성,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을 나타내면서도 고유동성 및 고경도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new material capable of realizing high fluidity and high hardness while exhibit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dimensional stability,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such as polycarbonat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유동성 및 표면 경도를 가지는 새로운 구조의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structure of copolycarbonate having improved fluidity and surface hardness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carbonate.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lycarbonat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polycarbonate including a polyester repeating unit includ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and 2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 and 4.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In Formulas 1 to 4,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고,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Ar1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이고, Ar 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ene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l1 및 A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기이고, Al 1 and Al 2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L1은 단일 결합, -O-, -S-, -SO-, -SO2-, -CO-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L 1 is a single bond, -O-, -S-, -SO-, -SO 2 -, -CO-,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C 6 alkylene group,

R7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고, R 7 to R 1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but at least one is a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R15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R 15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본 명세서에서 "치환 혹은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R'로 치환 혹은 비치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R'는 중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일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ay mean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R', and R' is deuterium, halogen, hydroxy group, carboxyl group, cyano group, nitro group, amino group, or carbon number It may be an alkyl group of 1 to 12.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logen may be fluorine, chlorine, bromine or iodine.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알킬기; 혹은 탄소수 3 내지 12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iso-펜틸기, neo-펜틸기 또는 사이클로헥실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may be a straight chain, branched chain or cyclic alkyl group. Specifically, the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it may be a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having 3 to 12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a methyl group, ethyl group, n-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butyl group, iso-butyl group, t-butyl group, n-pentyl group, iso-pentyl group, It may be a neo-pentyl group or a cyclohexyl grou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콕시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알콕시기; 혹은 탄소수 3 내지 12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콕시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부톡시기, n-펜톡시기, iso-펜톡시기, neo-펜톡시기 또는 사이클로헥톡시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may be a straight chain, branched chain or cyclic alkoxy group. Specifically, the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a straight-chai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it may be a branched or cyclic alkoxy group having 3 to 12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a methoxy group, ethoxy group, n-propoxy group, iso-propoxy group, n-butoxy group, iso-butoxy group, t-butoxy group, n-pentoxy group, iso It may be a -pentoxy group, a neo-pentoxy group or a cyclohexoxy grou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4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는 탄소수 4 내지 20 사이클로알킬렌기, 탄소수 4 내지 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4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는, 사이클로부틸렌기,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헵틸렌기 또는 사이클로옥틸렌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30 carbon atoms may be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or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10 carbon atoms. Specifically, the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30 carbon atoms may be a cyclobutylene group, a cyclopentylene group, a cyclohexylene group, a cycloheptylene group, or a cyclooctylene grou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기는 사이클로알킬렌기의 1 개 이상의 탄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O, N, Si 또는 S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tero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may be one in which one or more carbons of the cycloalkylene group are each independently substituted with O, N, Si or S.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는 단환식 아릴렌기 또는 다환식 아릴렌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는 탄소수 6 내지 25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 아릴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 아릴렌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는 단환식 아릴렌기로서 페닐렌기, 바이페닐렌기 또는 터페닐렌기 등일 수 있고, 다환식 아릴렌기로서 나프틸렌기, 안트라세닐렌기 또는 페난트릴렌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may be a monocyclic arylene group or a polycyclic arylene group. Specifically, the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is a monocyclic or polycyclic arylene group having 6 to 25 carbon atoms; Or it may be a monocyclic or polycyclic arylene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the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may be a phenylene group, a biphenylene group or a terphenylene group as a monocyclic arylene group, and a naphthylene group, an anthracenylene group, or a phenanthrylene group as the polycyclic arylene group.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렌기는 아릴렌기의 1 개 이상의 탄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O, N, Si 또는 S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teroarylene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may be one in which one or more carbons of the arylene group are each independently substituted with O, N, Si or S.

본 명세서에서 단일 결합은 별도의 원자 없이 서로 직접 연결된 결합을 의미하며, 화학식 2에서 L1이 단일 결합인 경우 Al1과 Al2가 별도의 원자 없이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ngle bond means a bond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atom, and when L 1 is a single bond in Formula 2, Al 1 and Al 2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atom.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 및 투명성 등으로 인해 자동차나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나 유리 대체 소재로 주목 받고 있는데, 비스페놀 A로부터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낮은 표면 경도 및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Existing polycarbonat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terior/exterior material for automobiles or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or as a replacement material for glass due to 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This was limited.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와 2 종 이상의 방향족 다이올로부터 유래한 상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우수한 고유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향상된 유동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the case of a copolycarbonate comprising the polyester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and 2 and the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3 and 4 derived from two or more aromatic diols, it is superior to the existing polycarbonate.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improved fluidity and surface hardness could be exhibited while exhibiting intrinsic physical propertie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이하,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데,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A 및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다이올과 하기 화학식 C 또는 D로 표시되는 산 성분(acid component)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olyester repeating unit, wherein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includes a di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A and B and an acid compone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C or D. It is derived from the polyester oligomer obtained through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화학식 A][Formula A]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화학식 B][Formula B]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화학식 C][Formula C]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화학식 D][Formula D]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A 내지 D에서, In the above formulas A to D,

R1 내지 R6, Al1, Al2, L1 및 Ar1은 화학식 1 및 2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X1 및 X2는 이탈기(leaving group)로서 하이드록시기, 할로겐, 알콕시기 또는 -OCO-알킬기 등일 수 있다. R 1 to R 6 , Al 1 , Al 2 , L 1 and Ar 1 are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s 1 and 2, and X 1 and X 2 are a leaving group and a hydroxyl group, halogen, alkoxy group, or -OCO-alkyl group or the like.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는 필수적으로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이올을 추가로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외의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essentially includes the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and 2, and, if necessary, additionally using a dio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and 2 It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including other ester bonds.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포함하여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의 고유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향상된 유동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may exhibit improved fluidity and surface hardness while exhibiting intrinsic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existing polycarbonate including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1,4:3,6-다이안하이드로헥시톨과 상기 화학식 C 또는 D로 표시되는 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included in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1,4:3,6-dianhydrohexitol represented by Formula A and Formula C or D It can be obtained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f an acid component.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1,4:3,6-다이안하이드로헥시톨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소바이드(isosorbide),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이다이드(isoidide),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만나이드(isomannide)일 수 있다. 각각의 다이올이 산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Th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1,4:3,6-dianhydrohexitol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sosorbide,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soidide,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t may be isomannide (isomannide). The repeating unit obtained through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each diol with an acid component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1 to 1-3.

[화학식 1-1][Formula 1-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화학식 1-2][Formula 1-2]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화학식 1-3][Formula 1-3]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1 내지 1-3에서, In Formulas 1-1 to 1-3,

R1 내지 R6 및 Ar1은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화학식 1-1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소바이드 유래의 반복 단위이고, 화학식 1-2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이다이드 유래의 반복 단위이며, 화학식 1-3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이소만나이드(isomannide) 유래의 반복 단위이다. R 1 to R 6 and Ar 1 are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1, Formula 1-1 i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hild carbide, and Formula 1-2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soidide-derived of a repeating unit, and Formula 1-3 i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somannide.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1-1 내지 1-3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이거나; 또는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이거나; 또는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또는 메틸기이거나; 또는 R1 내지 R6는 모두 수소일 수 있다. In Formulas 1 and 1-1 to 1-3,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or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hydroxy group, carboxyl group, methyl group, ethyl group, methoxy group or ethoxy group; or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 group or a methyl group; Alternatively, R 1 to R 6 may be all hydrogen.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상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지환족 다이올과 상기 화학식 C 또는 D로 표시되는 산 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2 included in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is obtained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f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icyclic diol represented by Formula B with an acid component represented by Formula C or D. can get

상기 화학식 2에서, Al1 및 A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실렌기 혹은 비치환된 사이클로헥실렌기이거나; 또는 Al1 및 Al2는 각각 독립적으로 1,4-사이클로헥실렌기 또는 1,3-사이클로헥실렌기일 수 있다. In Formula 2, Al 1 and Al 2 are each independently a cyclohexylene group or an unsubstituted cyclohexylene group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a hydroxyl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Alternatively, Al 1 and Al 2 may each independently be a 1,4-cyclohexylene group or a 1,3-cyclohexylene group.

상기 화학식 2에서, L1은 단일 결합, -O-, -S-, -SO-, -SO2-, -CO-, 메틸렌기, 1,1-에틸렌기, 1,2-에틸렌기, 1,3-프로필렌기, 2,2-프로필렌기, 페닐메틸렌기 또는 다이페닐메틸렌기이거나; L1은 -O-, -S-, -SO-, -SO2-, -CO-, 1,1-에틸렌기, 1,2-에틸렌기, 1,3-프로필렌기 또는 2,2-프로필렌기이거나; 또는 L1은 -O-, -S-, 1,1-에틸렌기 또는 2,2-프로필렌기일 수 있다. In Formula 2, L 1 is a single bond, -O-, -S-, -SO-, -SO 2 -, -CO-, methylene group, 1,1-ethylene group, 1,2-ethylene group, 1 , a 3-propylene group, a 2,2-propylene group, a phenylmethylene group, or a diphenylmethylene group; L 1 is -O-, -S-, -SO-, -SO 2 -, -CO-, 1,1-ethylene group, 1,2-ethylene group, 1,3-propylene group or 2,2-propylene group; Or L 1 may be -O-, -S-, 1,1-ethylene group or 2,2-propylene group.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Ar1은 상기 화학식 A 및 B로 표시되는 다이올과 에스테르화 반응에 참여하는 상기 화학식 C 또는 D로 표시되는 산 성분의 종류가 1 종류인 경우 1 종으로 동일하지만, 상기 산 성분의 종류가 2 종 이상인 경우 각 반복 단위의 Ar1은 2 종 이상으로 각 반복 단위마다 구조가 다를 수 있다. In Formulas 1 and 2, Ar 1 is the same as one type when the type of the acid component represented by Formula C or D participating i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ith the diol represented by Formulas A and B is one type, but When the type of the acid component is two or more, Ar 1 of each repeating unit may be two or more, and each repeating unit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Ar1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렌기 혹은 비치환된 페닐렌기이거나; 또는 Ar1은 1,4-페닐렌기, 1,3-페닐렌기 또는 1,2-페닐렌기일 수 있다. In Formulas 1 and 2, Ar 1 is a phenylene group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a hydroxyl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or an unsubstituted phenylene group; Alternatively, Ar 1 may be a 1,4-phenylene group, a 1,3-phenylene group, or a 1,2-phenylene group.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전체 반복 단위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1 내지 50 중량%, 1 내지 4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0 중량% 또는 3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 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유동성 및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comprises 1 to 50% by weight, 1 to 40% by weight, 1 to 30% by weight, 1 to 20% by weight or 3 to 15% by weight of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based on the total repeating un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owability and surface hardness while maintain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polycarbonate at an excellent level.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60 내지 99 중량% 또는 65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1 내지 40 중량% 또는 5 내지 35 중량%로 포함하여, 상술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includes 60 to 99% by weight or 65 to 95%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and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By including 1 to 40% by weight or 5 to 35% by weight, the above-described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방향족 다이올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may be prepared by reacting the above-described polyester oligomer, aromatic diol, and carbonate precursor.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방향족 다이올로 하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치환된 비스페놀 A와 비치환된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방향족 다이올을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의 제반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높은 표면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3 and 4 by using an aromatic diol including a substituted bisphenol A and unsubstituted bisphenol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E as the aromatic diol. By including, it is possible to exhibit high surface hardness while exhibit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화학식 E][Formula E]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E에서 R7 내지 R14는 화학식 3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In Formula E, R 7 to R 14 are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3.

상기 화학식 3 혹은 화학식 E에서, 치환기는 R7 내지 R14 중 어느 위치에나 도입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R7, R9, R12 및 R14 위치에 도입될 수 있다. In Formula 3 or Formula E, a substituent may be introduced at any position of R 7 to R 14 , but among them, it may be introduced at positions R 7 , R 9 , R 12 and R 14 .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 혹은 화학식 E에서, R7, R9, R12 및 R14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할로겐, 카복실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프로폭시기이고, 나머지는 수소이며, R8, R10, R11 및 R13는 수소일 수 있다. Specifically, in Formula 3 or Formula E, at least one of R 7 , R 9 , R 12 and R 14 is a halogen, a carboxyl group,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or a propoxy group, The remainder may be hydrogen, and R 8 , R 10 , R 11 and R 13 may be hydroge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 혹은 화학식 E에서 R7 및 R12는 할로겐,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이고, R8, R9, R10, R11, R13 및 R14는 수소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Formula 3 or Formula E, R 7 and R 12 are halogen,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methoxy group, or an ethoxy group, and R 8 , R 9 , R 10 , R 11 , R 13 and R 14 are hydrogen. can

상기 방향족 다이올은 치환된 비스페놀 A와 비치환된 비스페놀 A를 포함하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향족 다이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방향족 다이올은 상기 치환된 비스페놀 A 및 비치환된 비스페놀 A 외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및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다이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의 다이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aromatic diol includes substituted bisphenol A and unsubstituted bisphenol A,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romatic diols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aromatic diol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substituted bisphenol A and unsubstituted bisphenol A, bis(4-hydroxyphenyl)methane, bis(4-hydroxyphenyl)ether, bis(4-hydroxyphenyl) )sulfone, bis(4-hydroxyphenyl)sulfoxide, bis(4-hydroxyphenyl)sulfide, bis(4-hydroxyphenyl)ketone, 1,1-bis(4-hydroxyphenyl)ethane, bisphenol A , 2,2-bis(4-hydroxyphenyl)butane, 1,1-bis(4-hydroxyphenyl)cyclohexane, 1,1-bis(4-hydroxyphenyl)-1-phenylethane and bis( It may further include one type of di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hydroxyphenyl) diphenylmethane.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방향족 다이올과 반응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다이에틸 카보네이트, 다이부틸 카보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다이페닐 카보네이트, 다이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다이-m-크레실 카보네이트, 다이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다이페닐) 카보네이트, 포스겐, 트리포스겐, 다이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을 사용할 수 있다.The type of carbonate precursor for reacting with the polyester oligomer and the aromatic diol to provide a copolycarbo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cyclohexyl carbonate, di Phenyl carbonate, ditoryl carbonate, bis(chlorophenyl) carbonate, di-m-cresyl carbonate, dynaphthyl carbonate, bis(diphenyl) carbonate, phosgene, triphosgene, diphosgene, bromophosgene and bishalophosgen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tes may be used. Preferably, triphosgene or phosgene can be used.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방향족 다이올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며, 상기 중합은 계면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계면 중합은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계면 중합은 일 예로 선중합(pre-polymerization) 후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다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고분자량의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을 수 있다.The copolycarbonate is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polyester oligomer, the aromatic diol, and the carbonate precursor, and the polymerization may be performed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Interfacial polymerization has the advantage that polymerization can be performed at normal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and molecular weight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ddition,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step of adding a coupling agent after pre-polymerization and then polymerization again, in this case, a high molecular weight copolycarbonate may be obtained.

상기 중합 온도는 0 ℃ 내지 40 ℃, 반응 시간은 10 분 내지 24 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중 pH는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0 °C to 40 °C, and the reaction time is preferably 10 minutes to 24 hours. In addition, the pH during the reaction is preferably maintained at 9 or more or 11 or more.

상기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olvent that can be used for the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olvent used for 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in the art. For example,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dichloromethane and chlorobenzene may be used.

또한, 상기 중합은 산결합제의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결합제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이나 또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n acid binder, and an alkali metal hydroxide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or an amine compound such as triethylamine and pyridine may be used as the acid binder.

또한, 상기 중합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을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 C1-20 알킬페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또는 트리아콘틸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개시 전, 중합 개시 중 또는 중합 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 예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방향족 다이올의 총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이고, 10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분자량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during the polymeriza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molecular weight modifier. C 1-20 alkylphenol may be used as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tert-butylphenol, p-cumylphenol, decylphenol, dodecylphenol, tetradecylphenol, hexadecylphenol, octadecylphenol, eico sylphenol, docosylphenol, or triacontylphenol is mentioned.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may be added before polymerization, during polymerization, or after polymerization.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is, for exampl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0.1 parts by weight or more, or 1 part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less, 6 parts by weight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oligomer and the aromatic diol is 100 parts by weight. or less, or 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a desired molecular weight can be obtained within this range.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의 촉진을 위하여,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차 아민 화합물, 4차 암모늄 화합물, 4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 촉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 reaction such as a tertiary amine compound such as triethylamine, tetra-n-butylammonium bromide, or tetra-n-butylphosphonium bromide, a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or a 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 Accelerators may additionally be used.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1 내지 50 중량%, 1 내지 4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0 중량% 또는 3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1 내지 80 중량%, 1 내지 60 중량%, 1 내지 5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1 내지 98 중량%, 30 내지 98 중량%, 5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5 중량%, 70 내지 95 중량% 또는 75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을 나타내면서 고유동성 및 고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comprises 1 to 50% by weight, 1 to 40% by weight, 1 to 30% by weight, 1 to 20% by weight or 3 to 15% by weight of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based on the total weight, 1 to 80% by weight, 1 to 60% by weight, 1 to 50% by weight, 1 to 30% by weight, 1 to 20% by weight or 1 to 10%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3, wherein Formula 4 1 to 98% by weight, 30 to 98% by weight, 50 to 95% by weight, 60 to 95% by weight, 70 to 95% by weight, or 75 to 90%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may be included. Within this range, it can exhibit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while exhibiting high fluidity and high hardness.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g/mol)이 20,000 내지 60,000, 혹은 30,000 내지 50,000 일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g/mol) of 20,000 to 60,000, or 30,000 to 50,000.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 조건에서 측정된 유동 지수(MI)가 30 내지 90 g/10min, 35 내지 90 g/10min, 40 내지 85 g/10min, 45 내지 75 g/10min 또는 50 내지 70 g/10min로 고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이로부터 형성된 시편에 대하여 ASTM D 3363에 의거하여 측정한 연필 경도가 F 이상으로 고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이로부터 형성된 시편에 대하여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350 내지 1050 nm 범위에서의 투과율이 85 % 내지 100 %, 87 % 내지 100 %, 88 % 내지 100 % 또는 89 %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유동 지수, 연필 경도 및 투과율의 상세한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The copolycarbonate has a flow index (MI) of 30 to 90 g/10min, 35 to 90 g/10min, 40 to 85 g/10min, 45 to 75 g measured at 300° C. and 1.2 kg according to ASTM D1238. High fluidity may be exhibited at /10min or 50 to 70 g/10min. In addition, the copolycarbonate may exhibit high hardness such that a pencil hardnes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363 with respect to a specimen formed therefrom is F or more. In addition, the copolycarbonate has a transmittance of 85% to 100%, 87% to 100%, 88% to 100% or 89% to 89% in the range of 350 to 1050 nm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with respect to the specimen formed therefrom It can be 100%. For detailed measurement methods of the flow index, pencil hardness, and transmittanc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est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carbonate.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copolycarbonat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composition may include various additives and solvents known in the art.

상기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함에 따라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우수한 고유 물성은 물론 향상된 유동성 및 표면 경도를 나타냄에 따라 고경도나 정밀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polycarbona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copolycarbonate,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requiring high hardness or precision as it exhibits improved fluidity and surface hardness as well as excellent intrinsic properties of the existing polycarbonate. do.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신규한 구조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지는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을 나타내면서도 매우 높은 표면 경도 및 향상된 유동성을 나타내 고경도나 정밀성 등을 요구하는 다양한 용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polycarbonate of a nov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very high surface hardness and improved fluidity while exhibit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existing polycarbonate, and various uses requiring high hardness or precision. expected to be used for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ny way by this.

제조예 1: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polyester oligomer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아이소소바이드 14.8 g (101 mmol), 4,4'-아이소프로필리덴 다이사이클로헥산올 2.7 g (12 mmol), 아이소프탈산 12 g (59 mmol), 테레프탈산 12 g (59 mmol),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넣고, 상기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트리에틸아민 32 mL (23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생성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회전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A (PE-A) 38 g을 수득하였다. In a 500 mL three-necked flask, 14.8 g (101 mmol) of isosorbide, 2.7 g (12 mmol) of 4,4'-isopropylidene dicyclohexanol, 12 g (59 mmol) of isophthalic acid, 12 g of terephthalic acid (59 mmol), 200 mL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and 32 mL (230 mmol) of triethylamine was slowly added to the flask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ing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obtain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sing a rotary vacuum distiller to obtain 38 g of polyester oligomer A (PE-A).

제조예 2: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polyester oligomer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아이소소바이드 15.7 g (107 mmol), 4,4'-아이소프로필리덴 다이사이클로헥산올 1.4 g (6 mmol), 아이소프탈산 12 g (59 mmol), 테레프탈산 12 g (59 mmol),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넣고, 상기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트리에틸아민 32 mL (23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생성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회전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B (PE-B) 39 g을 수득하였다. In a 500 mL 3-neck flask, 15.7 g (107 mmol) of isosorbide, 1.4 g (6 mmol) of 4,4'-isopropylidene dicyclohexanol, 12 g (59 mmol) of isophthalic acid, 12 g (59 mmol) of terephthalic acid mmol), 200 mL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and 32 mL (230 mmol) of triethylamine was slowly added to the flask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ing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obtain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sing a rotary vacuum distiller to obtain 39 g of polyester oligomer B (PE-B).

제조예 3: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polyester oligomer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아이소소바이드 13.2 g (90 mmol), 4,4'-아이소프로필리덴 다이사이클로헥산올 5.4 g (23 mmol), 아이소프탈산 12 g (59 mmol), 테레프탈산 12 g (59 mmol),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넣고, 상기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트리에틸아민 32 mL (23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생성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회전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C (PE-C) 40 g을 수득하였다. In a 500 mL 3-neck flask, 13.2 g (90 mmol) of isosorbide, 5.4 g (23 mmol) of 4,4'-isopropylidene dicyclohexanol, 12 g (59 mmol) of isophthalic acid, 12 g of terephthalic acid (59 mmol), 200 mL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and 32 mL (230 mmol) of triethylamine was slowly added to the flask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ing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obtain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sing a rotary vacuum distiller to obtain 40 g of polyester oligomer C (PE-C).

비교 제조예 4: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polyester oligomer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아이소소바이드 16.4 g (112 mmol), 아이소프탈산 12 g (59 mmol), 테레프탈산 12 g (59 mmol),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넣고, 상기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트리에틸아민 32 mL (23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생성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회전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D (PE-D) 37 g을 수득하였다. Put 16.4 g (112 mmol) of isosorbide, 12 g (59 mmol) of isophthalic acid, 12 g (59 mmol) of terephthalic acid, and 200 mL of dichloromethane in a 500 mL 3-neck flask, and triethylamine at room temperature in the flask 32 mL (230 mmol) was added slowly. The resulting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obtain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sing a rotary vacuum distiller to obtain 37 g of polyester oligomer D (PE-D).

비교 제조예 5: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5: Preparation of polyester oligomer

500 mL의 3구 플라스크에 4,4'-아이소프로필리덴 다이사이클로헥산올 26.7 g (112 mmol), 아이소프탈산 12 g (59 mmol), 테레프탈산 12 g (59 mmol),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넣고, 상기 플라스크에 상온에서 트리에틸아민 32 mL (230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생성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회전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E (PE-E) 44 g을 수득하였다. 26.7 g (112 mmol) of 4,4'-isopropylidene dicyclohexanol, 12 g (59 mmol) of isophthalic acid, 12 g (59 mmol) of terephthalic acid, and 200 mL of dichloromethane in a 500 mL three-necked flask , 32 mL (230 mmol) of triethylamine was slowly added to the flask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ing mixture was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obtained produ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sing a rotary vacuum distiller to obtain 44 g of polyester oligomer E (PE-E).

실시예 1: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copolycarbonate

질소 퍼지와 콘덴서가 구비되고, 서큘레이터(circulator)로 상온 유지가 가능한 2 L 메인 반응기에 물 619.33 g,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BPC) 6.5 g (25 mmol), 비스페놀 A (BPA) 110 g (473 mmol),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A (PE-A) 16.5 g, 40 중량% NaOH 수용액 102.5 g, 다이클로로메탄 200 mL를 투입하고, 수 분간 교반시켰다.619.33 g of water, 2,2-bis(4-hydroxy-3-methylphenyl)propane (BPC) 6.5 g (25 mmol), bisphenol A (BPA) 110 g (473 mmol), 16.5 g of polyester oligomer A (PE-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102.5 g of 40 wt% NaOH aqueous solution, 200 mL of dichloromethane, and , and stirred for several minutes.

질소 퍼징을 멈추고 1 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트리포스겐 (TPG) 63 g (212 mmol)과 다이클로로메탄 120 mL를 넣고 트리포스겐을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트리포스겐 용액을 천천히 상기 메인 반응기에 투입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PTBP (p-tert-부틸페놀) 3.26 g을 넣고 10 여분간 교반시켰다. 이후 40 중량%의 NaOH 수용액을 넣은 후 커플링제로서 트리에틸아민 1.08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반응 pH는 11 내지 13을 유지하였다.Stop purging with nitrogen and put 63 g (212 mmol) of triphosgene (TPG) and 120 mL of dichloromethane in a 1 L round-bottom flask to dissolve triphosgene, and then slowly introduce the dissolved triphosgene solution into the main reactor, When this was completed, 3.26 g of PTBP (p-tert-butylphenol) was added and stirred for 10 minutes. Thereafter, 40 wt% of an aqueous NaOH solution was added, and then 1.08 g of triethylamine was added as a coupling agent. At this time, the reaction pH was maintained at 11 to 13.

충분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시간을 두고 반응을 종결하기 위해 HCl을 투입하여 pH를 3~4로 떨어뜨렸다. 그리고, 교반을 중지하여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한 다음 물층은 제거하고 순수한 H2O를 다시 투입하여 수세하는 과정을 3~5 회 반복 수행하였다.In order to complete the reaction with sufficient time to allow the reaction to take place, HCl was added to drop the pH to 3-4. Then, the stirring was stopped to separate the organic layer and the water layer, the water layer was removed, pure H 2 O was added again, and the process of washing with water was repeated 3 to 5 times.

수세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유기층만 추출하고 메탄올, H2O 등을 이용한 비용매를 사용하여 재침전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 When water washing was completed, only the organic layer was extracted and copolycarbonate was obtained by reprecipitation using a non-solvent using methanol, H 2 O, and the like.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Examples 2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Preparation of co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종류, "?향?* 다이올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A copolycarbon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ype of polyester oligomer and the type and content of "?hyang?* diol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polyester oligomer BPCBPC BPABPA PE-APE-A PE-BPE-B PE-CPE-C PE-DPE-D PE-EPE-E 실시예 1Example 1 12.412.4 4.94.9 82.782.7 실시예 2Example 2 12.412.4 4.94.9 82.782.7 실시예 3Example 3 12.412.4 4.94.9 82.782.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2.412.4 4.94.9 82.782.7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2.412.4 4.94.9 82.782.7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2.412.4 87.687.6

(단위: 중량%)(Unit: % by weight)

시험예: 코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 평가Test Exampl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copolycarbonat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시편의 제조><Preparation of specime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폴리카보네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스(2,4-다이-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050 중량부를 첨가하여, 벤트 부착 Φ19 ㎜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한 후, HAAKE Minijet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00 ℃, 금형 온도 90 ℃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To 1 part by weight of the copolycarbonate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0.050 parts by weight of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was added, and pelletized using a vented Φ19 mm twin-screw extruder. After that, the specimen was prepared by injection molding at a cylinder temperature of 300 °C and a mold temperature of 90 °C using a HAAKE Minijet injection molding machine.

1) 중량 평균 분자량(Mw): Agilent 1200 series를 이용하여 PS 스탠다드(Standard)를 이용한 GPC로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1)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copolycarbonate was measured by GPC using PS standard (Standard) using Agilent 1200 series.

2) 유동성(Melt Index; MI): ASTM D1238 (300℃, 1.2 kg 조건)에 의거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의 MI 값을 측정하였다.2) Fluidity (Melt Index; MI): The MI value of the copolycarbonat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300° C., 1.2 kg conditions).

3) 표면 경도: ASTM D 3363에 의거하여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연필의 각도를 45°로 고정시킨 후 시편의 표면을 6.5 mm 정도 긁어 육안으로 긁힘이 관찰되는지 평가하였으며, 연필의 강도를 바꾸어 반복 실험하였다. 3) Surface hardness: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 3363. Specifically, after fixing the angle of the pencil at 45°, the surface of the specimen was scraped by about 6.5 mm to evaluate whether scratches wer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strength of the pencil was evaluate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4) 투명도: ASTM D1003에 의거하여 UltraScan PRO (HunterLab사 제조)를 사용하여 약 350 내지 1050 nm 범위에서의 투과율(transmittance)을 측정하였다. 4) Transparency: Transmittance in the range of about 350 to 1050 nm was measured using UltraScan PRO (manufactured by HunterLab) according to ASTM D1003.

Mw (g/mol)Mw (g/mol) MI (g/10min)MI (g/10min) 표면 경도surface hardness 투명도 (%)transparency (%) 실시예 1Example 1 43,00043,000 4747 FF 8989 실시예 2Example 2 42,00042,000 4040 FF 8888 실시예 3Example 3 42,00042,000 6565 FF 898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3,00043,000 2222 FF 8888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43,00043,000 8080 BB 8989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1,00041,000 5252 HBHB 878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와 2 종 이상의 방향족 다이올로부터 유래한 상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40 g/10min 이상의 고유동성 및 높은 표면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Referring to Table 2, an embodiment comprising a copolycarbonate including the polyester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and 2 and the repeating unit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3 and 4 derived from two or more aromatic diols In the case of 1 to 3, it was confirmed that high fluidity of 40 g/10 min or more and high surface hardness were exhibited.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에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가 없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 고유동성과 고경도를 동시에 충족하지 못하였으며,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가 없는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수준의 고경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 확인된다.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does not have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or 2, high fluidity and high hardness were not simultaneously satisfied, and the polyester repeating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and 2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without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 even if all units are included,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 hardness of the Example level is not exhibited.

이로써,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반복 단위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고유동성 및 고경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된다.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high fluidity and high hardness by including all of the repeating units of Chemical Formulas 1 to 4.

Claims (14)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고,
Ar1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이고,
Al1 및 A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3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기이고,
L1은 단일 결합, -O-, -S-, -SO-, -SO2-, -CO-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R7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고,
R15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A polyester repeating unit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and 2, and
A copolycarbonate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 and 4:
[Formula 1]
Figure pat00013

[Formula 2]
Figure pat00014

[Formula 3]
Figure pat00015

[Formula 4]
Figure pat00016

In Formulas 1 to 4,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Ar 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ene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l 1 and Al 2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ene group having 4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L 1 is a single bond, -O-, -S-, -SO-, -SO 2 -, -CO-,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C 6 alkylene group,
R 7 to R 1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but at least one is a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R 15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인, 코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 1-1]
Figure pat00017

[화학식 1-2]
Figure pat00018

[화학식 1-3]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1-1 내지 1-3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또는 -0COR15이고,
Ar1은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이고,
R15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i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1 to 1-3:
[Formula 1-1]
Figure pat00017

[Formula 1-2]
Figure pat00018

[Formula 1-3]
Figure pat00019

In Formulas 1-1 to 1-3,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0COR 15 ;
Ar 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ene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R 15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1 및 A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사이클로헥실렌기이거나 혹은 비치환된 사이클로헥실렌기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l 1 and Al 2 are each independently a cyclohexylene group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a hydroxyl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or an unsubstituted cyclohexylene group. Gin, copolycarbon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1은 단일 결합, -O-, -S-, -SO-, -SO2-, -CO-, 메틸렌기, 1,1-에틸렌기, 1,2-에틸렌기, 1,3-프로필렌기, 2,2-프로필렌기, 페닐메틸렌기 또는 다이페닐메틸렌기인, 코폴리카보네이트.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L 1 Is a single bond, -O-, -S-, -SO-, -SO 2 -, -CO-, methylene group, 1,1-ethylene group, 1,2-ethylene group , 1,3-propylene group, 2,2-propylene group, phenylmethylene group or diphenylmethylene group, copolycarbon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r1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렌기이거나 혹은 비치환된 페닐렌기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r 1 is a phenylene group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a hydroxyl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or an unsubstituted phenylene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전체 반복 단위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를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polycarbonate comprises 1 to 50% by weight of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based on the total repe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6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1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is 60 to 99% by weight and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2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40% by weight, copolycarbon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7, R9, R12 및 R14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할로겐, 카복실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프로폭시기이고, 나머지는 수소이며, R8, R10, R11 및 R13는 수소인, 코폴리카보네이트.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R 7 , R 9 , R 12 and R 14 is a halogen, a carboxyl group,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or a propoxy group, the rest is hydrogen , R 8 , R 10 , R 11 and R 13 are hydrog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반복 단위는 1 내지 50 중량%,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1 내지 80 중량%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1 내지 98 중량%로 포함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According to claim 1,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carbonate,
The polyester repeating unit is 1 to 50% by weight,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3 is 1 to 80% by weight and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4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98% by weight, copolycarbonate.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및 1.2 kg 조건에서 측정된 유동 지수(MI)가 30 내지 90 g/10min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index (MI) measured at 300° C. and 1.2 kg according to ASTM D1238 is 30 to 90 g/10 m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형성된 시편은 ASTM D 3363에 의거하여 측정된 연필 경도가 F 이상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men formed from the copolycarbonate has a pencil hardness of F or more 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 336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형성된 시편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350 내지 1050 nm 범위에서의 투과율이 85 % 내지 100 %인, 코폴리카보네이트.
The copolycarbo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men formed from the copolycarbonate has a transmittance of 85% to 100% in a range of 350 to 1050 nm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제 1 항의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A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polycarbonate of claim 1.
KR1020200103994A 2020-08-19 2020-08-19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200227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94A KR20220022713A (en) 2020-08-19 2020-08-19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94A KR20220022713A (en) 2020-08-19 2020-08-19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13A true KR20220022713A (en) 2022-02-28

Family

ID=8049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94A KR20220022713A (en) 2020-08-19 2020-08-19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7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5819B2 (en) Hydroxy capping monomer, its polycarbonate and articles containing it
EP3187523B1 (en) Co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758962B1 (en) Diol monomer, its polycarbonate and article containing the same
EP3628699B1 (en) Co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20022714A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KR102407792B1 (en) Diol compound, 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20022713A (en)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229664B1 (en) 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55674B1 (en) Co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4335889A1 (en) Polycarbonate copolymer
EP3808790B1 (en) 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617881B1 (en) Polycarbonate
KR102426547B1 (en)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293211B1 (en) 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4234608A1 (en) Polycarbonate copolymer
KR102086051B1 (en) Copolycarbonate and molded article prepared by using the same
KR102077795B1 (en) Co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293310B1 (en) 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30166901A (en) Polycarbonate copolymer
KR20220166115A (en) Polycarbonat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30732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20220081818A (en) Polycarbonate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KR101955673B1 (en) Copolycarbo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40014713A (en) Polycarbonat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7480198A (en) Polycarbonate co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