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488A -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488A
KR20220022488A KR1020200102947A KR20200102947A KR20220022488A KR 20220022488 A KR20220022488 A KR 20220022488A KR 1020200102947 A KR1020200102947 A KR 1020200102947A KR 20200102947 A KR20200102947 A KR 20200102947A KR 20220022488 A KR20220022488 A KR 2022002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piece
jig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5611B1 (en
Inventor
이석우
김태곤
김효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0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2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 B23Q17/005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by measuring a force, a pressure or a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91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workpiece relative to the holder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and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device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and the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or maintaining excellent processing qualit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the device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comprising: a jig part provided in plurality at a lower part of a workpiece and provided to support the workpiece; a sensor part provided in the jig part and provided to measure a signal of a part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part; and a control par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part, and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abnormality of a processing part and the jig part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Description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A device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and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and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for maintaining excellent processing quality and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항공, 자동차, 선박 분야에서는 고강도 및 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로서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사용량 역시 점차 증대되고 있다.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 with high strength and elasticity in the fields of aviation, automobiles, and ships, and its usage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탄소섬유복합재(CFRP)는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비강도(比强度)는 철강의 6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2배, 비탄성률(比彈性率)은 철강의 3배이고, 정적(靜的) 강도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특성(疲勞特性)을 갖고 있으며, 내마찰(耐摩擦)ㆍ마모성이 뛰어나다. 또한, 기능적으로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 내식성, 진동 감쇠성(振動減衰性), X선 투과성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CFRP) has excellent properties as a lightweight structural material. For example, the specific strength (比强度) is 6 times that of steel, 2 times that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the specific modulus (比彈性率) is 3 times that of steel, and the static It has excellent fatigue characteristics as well as strength, and has excellent friction and abrasion resistance. In addition, functionally, sinc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small, it is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electrical conductivity, corrosion resistance, vibration damping property, X-ray transmittance, and the like.

이러한 탄소섬유복합재를 비롯하여 항공, 선박, 자동차 분야에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다양한 지그들이 마련된다. 특히,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 구조물을 가공하는 경우, 그 곡면에 대응하여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그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곡면 구조물의 경우, 중력이나 가공력에 의해 지그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되거나 또는 정밀한 공정이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공정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가공을 실시할 때, 가공 위치의 하측에 지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공력에 의해 곡면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곡면 구조물의 하측에 다수의 지그를 구비하여 곡면 구조물을 고정 및 지지했다.Various types of structures are required in the fields of aviation, ships, and automobiles, as well as such carbon fiber composites, and accordingly, various jigs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re provided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work. In particular, when processing a curved structure forming a curved surface, a plurality of jigs for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re provid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curved structure, a process error is highly likely to occur because it is broken away from the jig by gravity or processing force, or a precise process is not performed. And, when the processing is performed, if the jig does not exist at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position,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curved structure is deformed due to the processing force. Therefore, a plurality of jigs we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rved structure to fix and support the curved structure.

그러나, 가공 경로 및 지그의 위치에 따라 가공 품질 및 공구 수명이 달라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들을 신속하게 알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지그 및 공구의 교체 시기를 놓쳐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machining quality and tool life vary depending on the machining path and the position of the jig. In the prior art, since it is difficult to quickly find out these situati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chining qua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jig and the tool is mis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15108호 (1999.05.2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215108 (May 21, 1999)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for maintaining excellent processing quality and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공물의 하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그부; 상기 지그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pluralit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the jig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work;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jig unit and provided to measure a signal of a portion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unit;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sensors that measure signals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a portion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가공부의 가공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rives the processing position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ath and elapsed time of the processing unit, detects an abnormal signal from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negative is abnorm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몸체유닛; 상기 제1 몸체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몸체유닛; 상기 제2 몸체유닛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고정유닛; 및 상기 제2 몸체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 portion, the first body uni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nd provided to extend upwardly; a fix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and provided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second body unit and the fix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가공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un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 b) 상기 가공물이 가공될 때,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상기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omprising: a) moving the processing unit along a preset processing path and processing the workpiece; b)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the sensor unit measuring a signal from the jig unit; c)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measured signal; And d) the control unit provides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to determine whether the abnormality of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in the signal provid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b), the sensor unit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signals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a portion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제공받은 상기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가공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이상신호 발생시 가공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d3)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d) includes: d1)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d2) deriving a machining pos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path of the machining part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machining start time; and d3)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using the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복수의 상기 지그부 중 어느 하나의 지그부에 마련된 센서부에서만 이상 신호가 측정된 경우, 이상신호가 측정된 센서부가 마련된 상기 지그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d3), when an abnormal signal is measured only in the sensor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jig units, the jig unit provided with the sensor unit in which the abnormal signal is measured is replac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변위를 통한 상기 지그부의 진동 방향 및 크기를 도출하여 오차 발생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지그부를 교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itude of error occurren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by deriving the vibration direction and size of the jig part through the displacement measured from the sensor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replace the jig part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복수의 상기 지그부에 마련된 상기 센서부 전체에서 이상신호가 측정된 경우, 상기 가공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d3), when an abnormal signal is measured from all of the sensor unit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jig uni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unit. .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지그부 및 가공부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jig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are defective.

지그부 및 가공부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교체하거나 가공 조건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promptly determining whether the jig part and the processing part are defective and replacing 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processing qua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가공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가공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통한 가공부의 이상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통한 불량발생지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ing path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steps provide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ing path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an abnormal timing of the processing unit through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 point of occurrence of a defect through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는 지그부(110),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 using a sensor array includes a jig unit 110 , a sensor unit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상기 지그부(110)는 가공물(10)의 하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jig part 110 is provided in plurality under the workpiece 10,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workpiece.

상기 지그부(110)는 제1 몸체유닛(111), 제2 몸체유닛(112), 고정유닛(113) 및 연결유닛(114)을 포함한다.The jig unit 110 includes a first body unit 111 , a second body unit 112 , a fixing unit 113 , and a connection unit 114 .

상기 제1 몸체유닛(111)은 상기 가공물(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unit 111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은 상기 제1 몸체유닛(111)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은 상기 제1 몸체유닛(111)과 다단 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절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부(110)는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의 연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공물(10)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공물(10)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body unit 11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11 and may be provided to extend upwardly. For example, the second body unit 1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ulti-stage boom with the first body unit 111 , or may be provided in a foldable manner. Accordingly, the jig part 110 can support the workpiece 1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piece 10 by adjusti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body unit 112 .

여기서 상기 가공물(10)은 탄소섬유복합재(CFRP)를 포함한 가공대상을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DFRP(Dyneema Fiber Reinforced Plastics), ZFRP(Zylon Fiber Reinforced Plastics), BFRP(Boron Fiber Reinforced Plastics), KFRP(Kevlar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M (Carbon Fiber Reinforced Metal) 등의 복합재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workpiece 10 may refer to a processing target including a carbon fiber composite (CFRP). The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DFRP (Dyneema Fiber Reinforced Plastics), ZFRP (Zylon Fiber Reinforced Plastics), BFRP (Boron Fiber Reinforced Plastics), KFRP ( Kevlar Fiber Reinforced Plastics) and CFRM (Carbon Fiber Reinforced Metal) may be used to include all composite materials.

또한, 상기 가공물(1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박판, 탄소섬유복합재와 금속이 적층된 판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piece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of a thin metal plate, a plate in which a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a metal are laminated.

상기 고정유닛(113)은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의 상측에 마련되며,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유닛(113)은 가공물(10)과 접촉하여 상기 가공물(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113)은 상기 가공물(10)에 대한 홀 가공을 수행하는 가공부(D)rk 상기 가공물(10)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유닛(113)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유닛(1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은 중공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13)의 종단면은 대략 상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유닛(113)은 대략 종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113)은 상기 가공부위에 발생하는 가공력에 의해 상기 가공물(10)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11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112, and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xing unit 1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1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piece 10 .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113 passes through the processing part Drk for performing hole processing on the workpiece 10 to prevent damage to the fixing unit 113.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xing unit 113 may be provided in a hollow shape. That is,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xing unit 113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For example, the fixing unit 113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ell shape.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13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workpiece 10 due to a processing force generated on the processing portion.

상기 연결유닛(114)은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몸체유닛(112)과 상기 고정유닛(113)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114)은 상기 고정유닛(113)이 상기 가공물(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13)은 상기 연결유닛(114)에 의해 상기 제2 몸체유닛(112)의 상측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가 제어되며, 상기 가공물(10)의 형상에 대응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114)은 볼 조인트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연결유닛(114)이 볼 조인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on unit 114 may be provided above the second body unit 112 to connect the second body unit 112 and the fixing unit 113 . In this case, the connection unit 114 may be provided rotatably so that the fixing unit 113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10 . That is, the fixing unit 113 is freely ang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112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connection unit 114 ,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10 . It is possible to support To this end, the connection unit 114 may be provided as a ball joint. However, the connection unit 114 is not limited to a ball joint.

상기 센서부(120)는 복수로 마련된 상기 지그부(110)의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110) 중 상기 가공물(10)을 지지하는 부분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고정유닛(1130)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jig units 110 , and may be provided to measure a signal of a portion of the jig unit 110 supporting the workpiece 10 . That is, the sensor unit 120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signal of the fixing unit 1130 .

그리고,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지그부(110)의 상기 가공물(10)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sensors that measure signals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a portion of the jig unit 110 supporting the workpiece 10 .

일 예로, 상기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 변위 센서, 스트레인게이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센서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displacement sensor, a strain gauge, and the like, and the type of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어부(130)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110) 및 지그부(12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20 ,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unit 110 and the jig unit 120 are abnormal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가공부(D)의 가공 경로 및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가공부(D)의 가공 위치를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derive the processing position of the processing unit (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ath and elapsed time of the processing unit (D).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가공부(D) 및 상기 지그부(12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detect an abnormal signal from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unit D and the jig unit 120 are abnormal.

이하,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은, 먼저,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the sensor array, first, th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the step (S10) of processing the workpiece while moving along a preset processing path.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가공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ing path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S10)에서, 상기 가공부(D)는 기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공물(10)을 가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in the step (S10) of processing the workpiece while the processing part moves along a preset processing path, the processing part D processes the workpiece 10 while moving along the preset processing path. can be provided.

즉, 상기 가공부(D)는 기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공홀(11)들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machining portion D may be provided to form machining holes 11 while moving along a preset machining path.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S10) 이후에는, 가공물이 가공될 때, 센서부가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10) of processing the workpiece while the processing unit moves along a preset processing path,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a step (S20) of the sensor unit measuring a signal from the jig unit may be performed.

가공물이 가공될 때, 센서부가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지그부(110)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in the step (S20) of the sensor unit measuring a signal from the jig unit, the sensor unit 120 measures the signal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part supporting the work piece of the jig unit 110 may be arranged to do so.

구체적으로, 가공부(D)가 상기 가공홀(11)을 형성하며 가공을 할 때, 상기 지그부(110)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이때, 상기 지그부(110)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achining portion D forms the machining hole 11 and performs machining,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jig portion 110 .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20 may be provided to measure signals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jig unit 110 .

가공물이 가공될 때, 센서부가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제어부가 측정된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after the sensor unit measures the signal from the jig unit (S20),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step (S30) of receiving the measured signal.

제어부가 측정된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S30)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각각의 상기 지그부(110)에 결합된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지그부(110)별로 신호를 분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step (S30) of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measured signal,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measured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20 coupled to each of the jig units 110 to receive the jig unit 110. It may be arranged to analyze the signal separately.

제어부가 측정된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S30) 이후에는,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measured signal (S30),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 step (S40)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may be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steps provide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S40)는, 먼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41)를 수행할 수 있다.4 ,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abnormal signal in the received signal, the step S40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first,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in the received signal (S41) ) can be don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통한 가공부의 이상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통한 불량발생지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an abnormal time point of the processing unit through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 defect occurrence point through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41)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불균일한 피크가 발생하는 이상 신호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5 and 6 , in the step of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 S41 ), the controller 130 controls an abnormal signal in which a non-uniform peak occurs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20 .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41) 이후에는,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가공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이상신호 발생시 가공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S42)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41) of detecting the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the step (S42) of deriving the machining pos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ath of the processing unit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processing start time (S42) may be performed.

가공부(D)는 기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공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가공 시작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통해 가공부(D)가 위치한 가공 위치를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achining part D is provided to perform machining while moving along a preset machining path.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derive the machining position at which the machining unit (D) is located through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time of machining.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가공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이상신호 발생시 가공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S42) 이후에는, 신호를 이용하여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를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S42) of deriving the machining position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path of the machining section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machining start time (S42), the step (S43)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chining section and the jig section are abnormal using the signal is performed. can

신호를 이용하여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에서는, 복수의 상기 지그부(110) 중 어느 하나의 지그부(110)에 마련된 센서부(120)에서만 이상 신호가 측정된 경우, 이상신호가 측정된 센서부(120)가 마련된 상기 지그부(110)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step S43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re abnormal using the signal, the abnormal signal is measured only in the sensor unit 120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jig units 110 . In this case, it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place the jig unit 110 provided with the sensor unit 120 for which the abnormal signal is measured.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a)의 센서부의 신호, 제2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b)의 센서부의 신호, 제3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c)의 센서부의 신호는 균일하되, 제4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d)의 센서부의 신호가 불균일한 지점이 발생할 경우, 제4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100d)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of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a using the first sensor arra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of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b using the second sensor array, the third sensor array using The signal of the sensor part of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c is uniform, but when the signal of the sensor part of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d using the fourth sensor array is non-uniform, the fourth sensor array using the workpiece fixing device 100d (100d) It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그리고,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측정된 변위를 통한 상기 지그부(110)의 진동 방향 및 크기를 도출하여 오차 발생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지그부(110)를 교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size of the jig unit 110 are derived through the displacement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120 and the error occurrence siz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jig unit 110 is provided to be replaced. can be

반면에, 도출된 오차 발생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지그부(110)의 위치 또는 가공조건을 변경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rived error generation size does not exceed a preset reference value, it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or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jig unit 110 .

또한, 복수의 상기 지그부(110)에 마련된 상기 센서부(120) 전체에서 동시에 이상신호가 측정된 경우, 상기 가공부(D)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ignal is simultaneously measured from all of the sensor units 12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e jig units 110 ,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unit D.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지그부(110)의 홀 가공시 진동 방향 및 크기에 따라 가공물(10)의 어느 층에서 가공의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더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further determine in which layer of the workpiece 10 the processing abnormality occurr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magnitude during hole processing of the jig unit 110 .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물(10)은 복수의 소재가 적층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공물(10)은 금속층상에 탄소섬유복합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D)가 홀 가공을 수행할 때, 금속층을 통과할 때와 탄소섬유복합재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지그부(110)의 가속도 및 변위가 달라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workpiece 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terials are stacked. For example, the workpiece 1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carbon fiber composite on a metal layer. In this case,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processing part (D) performs hole processing, when it passes through the metal layer and when it passes through the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jig unit 110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may vary.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하나의 홀 가공시 발생하는 신호를 층별로 세분화하여 인식하고, 각 층에 대한 가공 상태에 대해서도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가공 조건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to subdivide and recognize a signal generated during processing of one hole for each layer,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cessing state for each layer, and adjust the processing conditions if necessary.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은 지그부 및 가공부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교체하거나 가공 조건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processing quality by quickly determining whether the jig part and the processing part are defective and replacing 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110: 지그부
111: 제1 몸체유닛
112: 제2 몸체유닛
113: 고정유닛
114: 연결유닛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00a: 제1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100b: 제2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100c: 제3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100d: 제4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100: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110: jig unit
111: first body unit
112: second body unit
113: fixed unit
114: connection unit
120: sensor unit
130: control unit
100a: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the first sensor array
100b: Fixing the workpiece using the second sensor array
100c: Fixing device using the third sensor array
100d: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the fourth sensor array

Claims (11)

가공물의 하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그부;
상기 지그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A jig portion provided in pluralit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provided to support the workpiece;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jig unit and provided to measure a signal of a portion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unit;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a processing unit and a jig unit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provided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processing unit using a sensor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jig part consists of sensors for measuring signals for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a part supporting the work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가공부의 가공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derive the machining position of the machining section according to the machining path and elapsed time of the machining section, and to detect an abnormal signal from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s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machining section and the jig section are abnormal. Workpiece holding device using an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몸체유닛;
상기 제1 몸체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몸체유닛;
상기 제2 몸체유닛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고정유닛; 및
상기 제2 몸체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ig unit,
a first body uni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body unit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nd provided to extend upwardly;
a fix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and provided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second body unit and the fix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가공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unit is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un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제 1 항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
b) 상기 가공물이 가공될 때,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상기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In the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the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the sensor array according to claim 1,
a) processing the workpiece while the processing unit moves along a preset processing path;
b)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the sensor unit measuring a signal from the jig unit;
c)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measured signal; and
d) The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being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abnormal when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in the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step b),
The sensor unit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measure the signal for the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part supporting the workpiece of the ji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제공받은 상기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가공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이상신호 발생시 가공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d3)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tep d) is,
d1) detecting an abnormal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d2) deriving a machining pos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path of the machining part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machining start time; and
d3) Using the signal, the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bnormality of the processing unit and the jig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복수의 상기 지그부 중 어느 하나의 지그부에 마련된 센서부에서만 이상 신호가 측정된 경우, 이상신호가 측정된 센서부가 마련된 상기 지그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step d3),
Fixing a workpie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abnormal signal is measured only in the sensor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jig units, the sensor unit for which the abnormal signal is measured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jig unit Process control method using equipm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변위를 통한 상기 지그부의 진동 방향 및 크기를 도출하여 오차 발생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지그부를 교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By deriving the vibration direction and size of the jig part through the displacement measured from the sensor part, when the error occurrence siz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replace the jig part Process control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복수의 상기 지그부에 마련된 상기 센서부 전체에서 이상신호가 측정된 경우, 상기 가공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step d3),
Processing control method using a workpiece fixing device using a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determin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unit when an abnormal signal is measured in the entir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jig units.
KR1020200102947A 2020-08-18 2020-08-18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2465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47A KR102465611B1 (en) 2020-08-18 2020-08-18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47A KR102465611B1 (en) 2020-08-18 2020-08-18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88A true KR20220022488A (en) 2022-02-28
KR102465611B1 KR102465611B1 (en) 2022-11-14

Family

ID=8049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947A KR102465611B1 (en) 2020-08-18 2020-08-18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61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856A (en) * 1984-10-16 1986-05-1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Machine tool control device having machining condition sensing function
JPH0572354U (en) * 1992-03-13 1993-10-05 中央電子工業株式会社 Damage detection device
KR100215108B1 (en) 1996-12-30 1999-08-16 추호석 Steel plate curved-surface machining method and its apparatus
KR20190048163A (en) * 2017-10-30 2019-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system for controlling load of machine depending on tool wea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 of machin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856A (en) * 1984-10-16 1986-05-1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Machine tool control device having machining condition sensing function
JPH0572354U (en) * 1992-03-13 1993-10-05 中央電子工業株式会社 Damage detection device
KR100215108B1 (en) 1996-12-30 1999-08-16 추호석 Steel plate curved-surface machining method and its apparatus
KR20190048163A (en) * 2017-10-30 2019-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system for controlling load of machine depending on tool wea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 of machin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611B1 (en)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5579B2 (en) Tool holder and stepwise sheet forming method using the tool holder
EP26131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test article with a load
JP2017166870A (en) Balance for wind tunnel test and wind tunnel test device
EP3812734A1 (en) Fatigue test assessment method
WO2011092831A1 (en) Shot apparatus for improving fatigue characteristics of welded joint, method for improving fatigue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welded joint having improved fatigue characteristics
US8950270B2 (en) Short beam shear test fixture
KR20220022488A (en) Fixing device using sensor array and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CN104034522A (en) Experiment table for detecting static rigidity of rolling linear guide rail pair
JP2015055313A (en) Linear guide device
Battley et al. Effects of panel stiffness on slamming responses of composite hull panels
JP6299633B2 (en) Axis adjusting device and material testing machine
CN102615352B (en) Leveling method of circular saw web base body
US20160236313A1 (en) Method and test assembly for determining machine parameters
US20240003795A1 (en) Instrumented pendulum for miniaturized charpy impact test and charpy impact machine comprising the instrumented pendulum
CN110281078B (en) Multi-parameter sensor for tip of boring blade
JP5375771B2 (en) Axis adjuster for material testing machine
JP5375772B2 (en) Axis adjuster for material testing machine
US20230017106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tubulars employing flexible inspection shoes
Abidi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milling and abrasive water jet cutting technologies on the tensile behavior of composite carbon/epoxy laminates
CN109100215B (en) Centering device and centering method for clamp of tension-torsion material testing machine
Sepe et al. Fatigue behavior of hybrid and bonded single lap joints made of composite material
Hamdoun et al. Influence of the drilling quality on the fatigue compression behaviour of carbon epoxy laminates
KR101616740B1 (en) Controlling method of machine tool considering material directionality
US11709043B1 (en) Resilient mount gage tools
JP2020003233A (en) Compression testing jig, material testing machine, and parallelism adjustment method in material t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