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431A -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431A
KR20220022431A KR1020210038348A KR20210038348A KR20220022431A KR 20220022431 A KR20220022431 A KR 20220022431A KR 1020210038348 A KR1020210038348 A KR 1020210038348A KR 20210038348 A KR20210038348 A KR 20210038348A KR 20220022431 A KR20220022431 A KR 2022002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cosmetic
makeu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Publication of KR2022002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레코그니션 유닛; 검출된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익스트랙팅 유닛; 추출된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이펙팅 유닛; 외부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오브젝트 소싱 유닛; 및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레코멘딩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System for applying selective makeup effect through recommending of cosmetic object}
본 발명은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저의 단말기로 촬영된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를 인식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 정보를 소싱하여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제 뷰티 메이크업과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안면 인식 시스템(facial recognition system)은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각 사람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컴퓨터 지원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는 살아 있는 이미지에 나타나는 선택된 얼굴 특징과 안면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안면 인식 기술은 AI기반의 생체인식 기술로서 사진이나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특징적인 형상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이를 비교 분석하여 안면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분야가 뷰티 업계에서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뷰티 테크의 핵심이 되는 안면 인식 기술은 사람들의 안면 기능의 위치를 감지해, 헤어스타일이나 컨투어링 등 여러 가지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은 사람들이 더욱 더 정교하고 과학적으로 뷰티 트렌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3D 얼굴인식 시스템 및 방법 (공개번호 제10-2020-0098875호, 이하 특허문헌1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서비스를 통해 의뢰 영상을 입력하여, 의뢰 영상에 대한 얼굴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 요청 단말기, 웹 서비스를 통해 얼굴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의뢰 영상에 대하여 매칭 조건을 설정하여, 의뢰 영상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 처리 단말기, 및 의뢰 영상에서 추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의 포즈 예측을 수행하여 생성한 예측 얼굴 포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차원 얼굴 모델링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얼굴 인식 과정에 따라 검색된 얼굴 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색 서버부를 포함하며, 검색 처리 단말기는 웹 서비스를 통해 얼굴 관련 정보와 얼굴 관련 정보에 대한 감정서를 검색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등록번호 제10-2158233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화장할 사용자 안면에 대응하는 안면 영역을 인식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인식된 안면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안면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안면 기하학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 상의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가능한 둘 이상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무선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안면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안면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서버에서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안면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 운영서버에서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안면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안면과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화장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운영서버에서 사용자의 실제 안면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화장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화장 데이터를 확인하고, 운영서버에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사용자 전용 화장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전용 화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안면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안면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안면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안면 영역에 사용자 전용 화장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증강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영상 컨텐츠 내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등록번호 제10-205526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영상 컨텐츠 내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영상 컨텐츠의 영상 어노테이션(Annot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출연진 및 등장인물의 얼굴 이미지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특징정보에 대한 유사도를 기반으로 영상 컨텐츠 내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199735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전자 기기들에 표시된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 기기들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들과 통신하는 단계, 전자 기기들 중 제1 전자 기기가 영상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에 적용한 효과 셋에 대한 공유 요청을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공유 요청에 포함된 효과 셋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효과 셋의 공유를 위한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특허문헌들의 경우, 단말기로부터 촬영되는 사진이나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며, 인식된 얼굴 부위에 뷰티 효과를 적용하는 기술을 포함하지만, 이때, 적용되는 뷰티 효과는 인식된 얼굴 부위에 이미지 보정 필터나 컬러 필터를 입히는 한정된 기술적 사상만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번호 제10-2020-0098875호 등록번호 제10-2158233호 등록번호 제10-2055262호 등록번호 제10-2199735호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유저의 단말기로부터 촬영되는 유저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유저의 얼굴을 인식하고자 한다.
둘째, 인식된 유저의 얼굴의 부위에 따라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고자 한다.
셋째,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추천 정보를 제공받아, 유저의 얼굴에 가상의 메이크업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은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취득된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레코그니션 유닛(recognition unit); 상기 레코그니션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셜 파트(facial part)를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익스트랙팅 유닛(extracting unit); 상기 익스트랙팅 유닛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유저의 상기 페이셜 파트 각각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이펙팅 유닛(effecting unit); 외부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상기 이펙팅 유닛에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오브젝트 소싱 유닛(object sourcing unit); 및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레코멘딩 유닛(recommen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레코그니션 유닛은,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영상을 가져와서 스캔하는 스캔(scan)부; 상기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무브먼트가 포착되는 영역을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 인식하는 퍼시빙(perceiving)부; 및 상기 퍼시빙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을 분리하여,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디텍팅(detect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익스트랙팅 유닛은, 상기 디텍팅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검출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을 형성하는 쉐이핑(shaping)부; 상기 쉐이핑부로부터 형성된 상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트레킹(tracking)부; 및 상기 유저의 상기 소정의 무브먼트에 따른 상기 페이셜 파트의 앵글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에 반영하여 얼라이닝(align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이펙팅 유닛은, 상기 유저로부터 미리 결정된 액션과 상호 연동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상기 페이셜 파트가 선택되도록 하는 유저 액션(user action)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에 상기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어플라잉(apply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어플라잉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코, 입, 턱, 이마, 인중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에 메이크업 이펙트를 적용하는 메이크업(makeup)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어플라잉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코, 입, 턱, 이마, 인중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이 튜닝되도록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적용하는 피규레이션(figuration)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은, i)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상기 이펙팅 유닛에 제공하며, ii) 상기 이펙팅 유닛에 제공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며,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에는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상기 유저로부터 미리 입력된 유저의 프리퍼런스(preference) 정보에 따른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미리 결정된 사람에 의해 추천된 정보로부터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진행하는 소정의 마케팅 정보로부터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유저의 단말기로부터 유저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유저의 페이스 영역만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추출하고,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코스메틱 오브젝트 추천 정보를 제공받아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적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가상 메이크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레코그니션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익스트랙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익스트랙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스팟 커버링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이펙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오브젝트 소싱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오브젝트 소싱 유닛의 컨버팅된 스펙 인포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미리 결정된 사람에 의해 추천된 정보에 따른 레코멘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소정의 마케팅 정보에 따른 레코멘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레코그니션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익스트랙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익스트랙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스팟 커버링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이펙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오브젝트 소싱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오브젝트 소싱 유닛의 컨버팅된 스펙 인포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미리 결정된 사람에 의해 추천된 정보에 따른 레코멘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소정의 마케팅 정보에 따른 레코멘딩 유닛의 개념도이다.
종래 기술들은 풀 프레임(full frame)으로서 유저의 안면을 일정한 틀에 맞추어진 상태로 셋팅, 변형, 색 변형 등에 해당하는바, 본인의 얼굴을 왜곡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들은 유저의 얼굴을 그대로 살려 특정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원하는 색조 혹은 원하는 화장 테크닉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위 종래기술들에 비하여, 사용자 혹은 유저의 얼굴을 그대로 반영하되, 본인이 직접 화장하는 것과 같이 실제 화장을 시도해볼 수 있고, 화장을 덧바르는 등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모바일 유닛(1000)으로부터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 영역과 유저의 페이셜 파트(facial part)를 추출하며,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 정보를 제공받아,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제와 메이크업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모바일 유닛(1000)은 유저의 단말기(휴대폰, PC, 태블릿pc) 등에 제공되어, 유저로 하여금 카메라를 실행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앱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유닛(1000)에 포함되며 상호 연동된 레코그니션 유닛(100), 익스트랙팅 유닛(200), 이펙팅 유닛(300),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을 통해서 유저의 단말기로 촬영된 유저의 영상 또는 셀카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를 인식하고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소정의 이펙트를 적용하게 된다. 또한, 레코멘딩 유닛(500)을 통해서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추천 정보를 제공받아,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제 메이크업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그니션 유닛(recognition unit, 100), 익스트랙팅 유닛(extracting unit, 200), 이펙팅 유닛(effecting unit, 300), 및 오브젝트 소싱 유닛(object sourcing unit, 4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레코그니션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유닛(1000)으로부터 취득된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이다.
레코그니션 유닛(100)은 유저로부터 유저의 단말기를 통해서 카메라가 실행될 때,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 영역만을 인식하고 검출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레코그니션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scan)부(110), 퍼시빙(perceiving)부(120), 및 디텍팅(detecting)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스캔부(110)의 경우, 모바일 유닛(1000)으로부터 유저의 영상을 가져와서 스캔하는 구성이다.
스캔부(110)는 유저의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유저의 영상을 선별적으로 가져오며, 해당 영상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인식하기 위해 스캔하도록 한다.
퍼시빙부(120)의 경우,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무브먼트가 포착되는 영역을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 인식하는 구성이다.
퍼시빙부(120)는 유저의 영상 중,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인식하기 위해 유저의 소정의 무브먼트를 포착하여 이를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퍼시빙부(120)에서는 서버로부터 미리 축적된 페이셜 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미리 축적된 페이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유저의 소정의 무브먼트를 감지하여 유저의 페이스 영역만을 인식하게 된다.
예컨대, 퍼시빙부(120)로부터 포착되는 소정의 무브먼트는 유저가 유저의 페이스를 촬영하거나 셀카를 찍을 때, 카메라를 실행한 상태에서 유저의 페이스가 잘 나오도록 하는 각도를 찾기 위해 유저의 페이스를 이리 저리 움직일 때의 무브먼트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가 유저의 페이스가 잘 나오도록 하는 각도를 찾은 후에, 유저의 페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유저의 눈동자는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저의 눈동자의 깜빡임, 움직임을 통해서 소정의 무브먼트를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디텍팅부(130)의 경우, 퍼시빙부(120)로부터 인식된 유저의 페이스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을 분리하여,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이다.
디텍팅부(130)에서는 유저의 영상 중 유저의 페이스 영역이 인식되면, 유저의 영상 중 페이스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백그라운드 영역으로 인식하고 분리하게 된다.
디텍팅부(130)에서는 유저의 페이스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이 각각 분리되면, 유저의 페이스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도록 한다.
익스트랙팅 유닛(2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그니션 유닛(100)으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셜 파트(facial part)를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이다.
익스트랙팅 유닛(200)에서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유저의 페이셜 파트는, 유저의 얼굴 부위 각각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익스트랙팅 유닛(200)에서 추출하는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는 유저의 눈, 눈썹, 속눈썹, 눈동자, 눈커풀, 애교살, 아이홀, 코, 콧망울, 콧대, 콧구멍, 인중, 입, 입술, 치아, 얼굴형, 피부, 볼, 턱, 광대뼈, 이마, 머리카락 또는 귀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익스트랙팅 유닛(20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핑(shaping)부(210), 트레킹(tracking)부(220), 얼라이닝(aligning)부(230), 및 어드레스(address)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쉐이핑부(210)의 경우, 디텍팅부(130)로부터 검출된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쉐이핑부(210)에서는 유저의 페이스를 3차원의 페이스 쉐입으로 형성하는 것은 유저의 페이스의 윤곽에 따른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트레킹부(220)의 경우, 쉐이핑부(210)로부터 형성된 3차원의 페이스 쉐입으로부터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이다.
트레킹부(220)에서 페이셜 파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추적하게 된다.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추적하기 위해서 서버에 미리 축적된 페이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추적하게 된다.
미리 축적된 페이셜 패턴 정보에는 통상적인 사람의 얼굴의 비율에 대한 정보와, 얼굴의 형상 정보와 같은 얼굴이 가지는 전형적인 패턴 정보로 정의한다.
예컨대, 미리 축적된 페이셜 패턴 정보에는 얼굴은 크게 두 개의 눈이 좌우에 대칭되어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코가 배치하고 하부에 입이 배치된다는 얼굴의 부위별 배치의 상호 관계가 포함된다. 또한, 얼굴에서 눈, 코, 입의 크기에 대한 비율, 눈과 코 사이의 거리 비율, 눈과 입 사이의 거리 비율, 코와 입 사이의 거리 비율, 이마로부터 눈과의 거리 비율 등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얼라이닝부(230)의 경우, 유저의 소정의 무브먼트에 따른 페이셜 파트의 앵글 변화를 감지하여 3차원 페이스 쉐입에 반영하는 구성이다.
얼라이닝부(230)는 유저가 유저의 페이스가 잘 나오도록 하는 각도를 찾기 위해 소정의 무브먼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저의 앵글 변화에 따른 유저의 페이셜 파트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어드레스부(240)의 경우, 트레킹부(220)로부터 추출된 페이셜 파트의 각각에 임의의 주소를 할당하여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어드레스부(240)는 추출된 페이셜 파트에 따라 임의로 분할하며, 분할된 페이셜 파트에 임의의 주소(A1, A2, A3, ??)를 랜덤하게 부여하여 유저의 페이셜 파트 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도록 한다.
이펙팅 유닛(300)의 경우, 익스트랙팅 유닛(200)으로부터 추출된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구성이다.
이펙팅 유닛(300)을 통해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적용되는 소정의 이펙트에는 메이크업 이펙트 또는 피규레이션 이펙트가 존재하며, 소정의 이펙트를 통해서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가상의 메이크업 또는 가상의 성형 또는 가상의 튜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이펙팅 유닛(3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액션(user action)부(310), 및 어플라잉(applying)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유저 액션부(310)의 경우, 유저로부터 미리 결정된 액션과 상호 연동되어,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페이셜 파트가 선택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유저 액션부(310)는 유저의 미리 결정된 액션에 따라서 소정의 이펙트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유저의 미리 결정된 액션은 유저가 유저의 단말기의 액정을 터치하거나, 음성 명령을 하거나, 단축어 등을 사용하여 유저로 하여금, 페이셜 파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유저가 유저의 단말기에 표시된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터치하면, 모바일 유닛(1000)은 유저의 터치를 인식하여 이펙팅 유닛(300)에 전달하여 유저의 액션에 따라 소정의 이펙트 효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저 액션부(310)에서는 하나의 페이셜 파트를 선택하여 소정의 이펙트가 단일 적용될 수 있으며, 다중의 페이셜 파트를 선택하여 소정의 이펙트가 다중 적용될 수도 있다.
어플라잉부(320)의 경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페이셜 파트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어플라잉부(32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이크업부(321), 피규레이션부(322), 리모델링부(323), 및 스팟 커버링부(324)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메이크업부(321)의 경우, 유저의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속눈썹, 눈동자, 눈커풀, 애교살, 아이홀, 코, 콧망울, 콧대, 콧구멍, 인중, 입, 치아, 턱, 볼, 광대뼈, 이마, 귀, 머리카락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에 메이크업 이펙트를 적용하는 구성이다.
메이크업부(321)는 미리 세팅된 가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페이셜 파트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메이크업 이펙트로 설정하게 된다.
메이크업부(321)에서 메이크업 이펙트를 설정하기 위한 미리 세팅된 가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코스메틱 유형을 가상의 오브젝트로 생성한 것이다. 미리 세팅된 가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에는 베이스 메이크업을 위한 프라이머, 베이스, 비비크림 씨씨크림, 파운데이션, 쿠션, 컨실러, 파우더, 립 메이크업을 위한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라이너, 립밤, 아이 메이크업을 위한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윤곽 메이크업을 위한 블러셔, 치크, 하이라이터, 쉐딩, 컨투어링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리 세팅된 가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유저에 의해 임의 선택되어,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미리 세팅된 가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페이셜 파트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집군의 하위 코스메틱 오브젝트가 제시되며, 유저에 의해 하위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위 코스메틱 오브젝트가 선택된 페이셜 파트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입술이 선택되면, 립 메이크업과 관련된 립스틱, 립 틴트, 립글로스, 립라이너, 립밤 등이 제시되고, 유저가 이중에서 립 틴트를 선택하면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입술에 유저가 선택한 립 틴트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이크업부(321)에서는 하위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컬러, 제형, 질감, 또는 피부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하위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택되도록 한다.
예컨대, 유저가 립 틴트를 선택하면, 메이크업부(321)에는 립 틴트의 컬러, 제형, 질감, 또는 피부톤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유저에게 제시하며, 유저가 코랄 컬러를 원할 경우, 컬러를 선택하여 코랄의 립 틴트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피규레이션부(322)의 경우, 유저의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속눈썹, 눈동자, 눈커풀, 애교살, 아이홀, 코, 콧망울, 콧대, 콧구멍, 인중, 입, 치아, 턱, 볼, 광대뼈, 이마, 귀, 머리카락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이 튜닝되도록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적용하는 구성이다.
피규레이션부(322)는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을 페이셜 파트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피규레이션 이펙트로 설정하는 구성이다.
피규레이션부(322)에서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설정하기 위한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은 페이셜 파트 중 피부를 매끈함, 톤업, 팔자 주름 삭제, 모공 삭제하거나, 페이셜 파트의 크기 조절, 선명도, 간격, 각도, 모양, 길이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은 유저에 의해 임의 선택되어, 페이셜 파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은 유저의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페이셜 파트와 관련된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 집군이 제시되고, 유저는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 집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유저의 페이셜 파트는 유저가 선택한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 집군 중 하나의 스타일로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유저가 페이셜 파트 중 입을 선택하면, 입과 관련된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의 집군 되는 입술 모양, 입꼬리, 치아 미백, 입크기 등이 제시된다. 유저가 입술 모양, 입꼬리, 치아 미백, 입 크기 중 입꼬리를 선택하게 되면 입꼬리의 모양이 튜닝될 수 있도록 한다.
리모델링부(323)의 경우, 유저 액션부(310)로부터 선택된 페이셜 파트를 선택적으로 삭제하며, 삭제된 페이셜 파트에는 미리 세팅된 가상의 파트 쉐입을 인풋하는 구성이다.
스팟 커버링부(324)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페이셜 파트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스팟 포인트를 찾아내며, 유저로 하여금 스팟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팟 포인트는 익스트랙팅 유닛(200)으로부터 추출된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그레이 레벨(gray level) 전형적인 패턴으로부터 벗어나 그레이 레벨의 변화가 있는 부분을 스팟 포인트라고 정의하게 된다.
예컨대, 유저의 페이스에 존재하는 점, 기미, 주근깨, 여드름, 잡티, 검버섯, 모공 또는 흉터 등이 스팟 포인트로 검출될 수 있다.
스팟 커버링부(324)에서는 어플라잉부(320)로부터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스팟 포인트가 검출되면, 유저로 하여금 해당 스팟 포인트는 다른 페이셜 파트와는 상이한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팟 커버링부(324)는 해당 스팟 포인트에는 다른 페이셜 파트와는 다르게 메이크업 이펙트 또는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강화시켜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스팟 커버링부(324)는 스팟 포인트에 상이한 적용을 하는 것은 유저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유저의 페이스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의 점이 콤플렉스가 된다면 메이크업 이펙트 또는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강화시켜 커버할 수 있지만, 만약 이 점이 유저의 페이스의 트레이드 마크일 경우, 유저는 이 스팟 포인트를 커버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저의 선택에 의해서 스팟 포인트에 상이한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의 경우, 도1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s)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이펙팅 유닛(300)에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먼저,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에서는 외부 서버(s)와 이펙팅 유닛(30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외부 서버(s)는 이펙팅 유닛(300)으로 온라인 웹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로 판매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펙팅 유닛(300)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을 통해 이펙팅 유닛(300)으로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종류, 브랜드 등의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화 되어 유저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코스메틱 오브젝트에는 피부, 눈, 눈썹, 속눈썹, 눈동자, 눈커풀, 애교살, 아이홀, 코, 콧망울, 콧대, 콧구멍, 인중, 입, 치아, 턱, 볼, 광대뼈, 이마, 귀, 머리카락에 메이크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메이크업 제품, 메이크업 소품 등의 유형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는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유저에게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에는 코스메틱 오브젝트 스펙 인포가 포함되도록 한다.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실제 판매되는 코스메틱 유형물의 컬러 정보, 발색 컬러 정보, 그레이 레벨 정보, 명도 정보, 채도 정보, 레이어링 컬러 정보, 그라데이션 정보, 톤 정보, 제형 정보, 성분 정보, 중량 정보, 브랜드 정보, 가격 정보, 지속력 정보, 향 정보, 디자인 정보, 제품명 정보 또는 제품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반영되는 코스메틱 유형물의 컬러 정보, 발색 컬러 정보, 그레이 레벨 정보, 명도 정보, 채도 정보, 레이어링 컬러 정보, 그라데이션 정보, 톤 정보, 제형 정보, 성분 정보, 중량 정보, 브랜드 정보, 가격 정보, 지속력 정보, 향 정보, 디자인 정보, 제품명 정보 또는 제품 코드 정보들은 실제 판매되는 코스메틱 유형물의 포장지 또는 온/오프 판매처에 명시되어 있는 상용화된 정보라고 준하기로 한다.
또한, 유저는 이펙팅 유닛(300)으로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유저가 원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직접 검색하여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 하여금 유저가 원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원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를 알고 있다면, 스펙 인포 중 하나를 키워드로 하여 유저가 원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서칭할 수 있다.
서칭된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을 통해서 소싱되며, 유저의 페이셜 파트의 각각에 적용하여 유저가 평소에 관심 있었던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쉽게 체험해보고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에서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유저는 이펙팅 유닛(300)의 메이크업부(321)를 통해서 유저의 페이셜 파트 각각에 복수 적용 또는 중복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의 메이크업부(321)는, 컴페어링(comparing)부(321-1) 및 레이어링(layering)부(322-2)를 포함하게 된다.
컴페이링부(321-1)의 경우,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을 통해서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유저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 각각을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적용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컴페어링부(321-1)에서는 유저로부터 하나 이상 또는 복수 개의 코스메틱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각각은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유저는 적용된 복수 개의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유저에게 어울리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유저가 A, B, C 브랜드의 립스틱을 선택하면, 유저의 페이셜 파트 중 입술에 A, B, C 브랜드의 립스틱을 선택적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이때, 실시간으로 A, B, C 브랜드의 립스틱을 비교 분석하여, 유저의 페이스에 더 어울리는 립스틱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컴페어링부(321-1)를 통해서 유저가 평소에 관심있던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비교 분석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여, 유저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레이어링부(321-2)의 경우,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을 통해서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유저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레이어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레이어링부(321-2)에서는 유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스메틱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 각각은 유저의 페이셜 파트에 중복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레이어링부(321-2)는 유저가 A브랜드의 핑크 립스틱을 선택할 경우, A브랜드의 핑크 립스틱을 유저의 입술에 적용한 후, A브랜드의 코랄 립스틱이 적용된 유저의 입술 위에 A 브랜드의 코랄 립스틱을 중복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레이어링부(321-2)를 통해서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발색 정도를 콘트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어링부(321-2)는 유저가 시중에 판매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 가운데 원하는 색을 찾지 못할 경우, 여러가지 컬러를 레이어링하여 유저가 원하고자 하는 원하는 컬러를 커스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핑크 컬러가 적용된 유저의 입술에 레드 컬러를 레이어링하면 핑크레드 컬러를 커스텀할 수 있으며, 핑크 컬러가 적용된 유저의 입술 위에 오렌지 컬러를 레이어링 하면 탠저린 코랄 컬러를 커스텀할 수 있으며, 핑크 컬러가 적용된 유저의 입술 위에 플럼 컬러를 레이어링하면 마젠타 컬러를 커스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랜드에 따라서 컬러 레이어링이 가능하므로, 유저가 원하는 컬러 조합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로부터 소싱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는 1과 0의 바이너리 시퀀스(binary sequence)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컨대, 컬러 정보, 발색 컬러 정보, 그레이 레벨 정보, 명도 정보, 채도 정보, 레이어링 컬러 정보, 그라데이션 정보, 톤 정보, 제형 정보, 성분 정보, 중량 정보, 브랜드 정보, 가격 정보, 지속력 정보, 향 정보, 디자인 정보, 제품명 정보 또는 제품 코드 정보를 바이너리 시퀀스로 컨버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에서 바이너리 시퀀스로 컨버팅된 컨버팅 인포는 i) 일렬로 나열하며, ii) 컨버팅 인포 중 소정의 인포를 설정하고 소정의 인포를 선택적으로 누락시켜 오미팅 인포를 생성하며, iii) 오미팅 인포의 소정의 인포가 누락된 컨버팅 인포를 각각 병렬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인포를 선택적으로 누락시키기 위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포 어레잉부(410), 인포 롤링부(420), 인포 로테이팅부(430), 인포 셀렉팅부(440)를 포함하게 된다.
인포 어레잉부(410)는 바이너리 시퀀스로 컨버팅된 컨버팅 인포를 일렬로 나열하는 구성이다.
이때, 인포 어레잉부(410)는 일렬로 나열된 컨버팅 인포의 각각에 순서를 부여하게 된다.
인포 롤링부(420)의 경우, 순서가 부여된 컨버팅 인포를 롤링하여 원형으로 나열하는 구성이다.
인포 로테이팅부(430)의 경우, 원형으로 나열된 컨버팅 인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로테이팅하는 구성이다. 이때, 원형으로 나열된 컨버팅 코드의 로테이팅 방향과 회전 횟수는 랜덤하게 결정된다.
인포 셀렉팅부(440)의 경우, 인포 로테이팅부(430)로부터 로테이팅된 컨버팅 인포 중 소정의 영역을 임의로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을 누락시켜 오미팅 인포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인포 셀렉팅부(440)로부터 생성된 오미팅 인포와, 소정의 영역이 누락된 컨버팅 인포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버에 전송된다. 이때, 오미팅 인포와 소정의 영역이 누락된 컨버팅 인포와, 인포 셀렉팅부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영역의 정보는 송신단과 수신단만이 공유하여,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에 대한 해킹이나 정보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레코멘딩 유닛(500)의 경우, 도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으로부터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구성이다.
레코멘딩 유닛(500)은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유저가 코스메틱 오브젝트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레코멘딩 유닛(500)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저에게 코스메틱 오브젝트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레코멘딩 유닛(500)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으로부터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유저로부터 미리 입력된 유저의 프리퍼런스(preference) 정보에 따른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입력된 유저의 프리퍼런스 정보는 유저가 평소에 선호하는 코스메틱의 브랜드 정보, 코스메틱의 가격 정보, 컬러 정보, 디자인 정보, 향 정보, 성분 정보, 피부 상태 정보(건성, 복합성, 지성), 톤 정보(웜톤, 쿨톤, 뉴트럴톤), 유저의 연령 정보, 검색 정보(포털 사이트 검색 정보), 관심 정보, sns 구독 정보 또는 구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미리 입력된 유저의 프리퍼런스 정보를 분석하면, 유저가 선호할 만한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추천할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유저에 따라 유저 맞춤형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코멘딩 유닛(500)의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으로부터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미리 결정된 사람에 의해 추천된 정보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결정된 사람은 소위 말하는 유명인, 인플루언서, 또는 셀러브리티 같은 사람과, 코스메틱과 관련된 에디터, 리뷰어, 컨슈머, 프로듀서, 메이커 등과 샅은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레코멘딩 유닛(500)에서는 인플루언서 또는 셀러브리티 같은 사람이 사용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노출된 트렌디한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스메틱 관련 업계 종사자인 에디터, 리뷰어, 컨슈머, 프로듀서, 메이커 등과 같은 사람을 통해서 선정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레코멘딩 유닛(500)의 경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멘딩 유닛(500) 오브젝트 소싱 유닛(400)으로부터 소싱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진행하는 소정의 마케팅 정보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마케팅 정보는, 실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진행하는 세일 정보, 프로모션 정보, 제휴 정보, 신제품 런칭 정보, 스폰서 정보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레코멘딩 유닛(500)에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A브랜드의 전제품 50% 세일이 진행되면, A 브랜드에 포함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제공하여, 유저로 하여금 세일하는 제품을 이펙팅 유닛(300)을 통해서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코멘딩 유닛(500)에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B 브랜드의 신제품 런칭이 진행될 경우, B 브랜드의 새로 런칭된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면, 유저는 새로 나온 제품을 매장에 가지 않고 적용해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레코멘딩 유닛(500)에서는 모바일 유닛(1000)을 통해서 스폰서 또는 제휴된 C 기업이 존재할 경우, C 기업에서 제공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 정보를 선별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모바일 유닛 100: 레코그니션 유닛
110: 스캔부 120: 퍼시빙부
130: 디텍팅부 200: 익스트랙팅 유닛
210: 쉐이핑부 220: 트레킹부
230: 얼라이닝부 240: 어드레스부
300: 이펙팅 유닛 310: 유저 액션부
320: 어플라잉부 321: 메이크업부
321-1: 컴페어링부 321-2: 레이어링부
322: 피규레이션부 323: 리모델링부
324: 스팟 커버링부 400: 오브젝트 소싱 유닛
410: 인포 어레잉부 420: 인포 롤링부
430: 인포 로테이팅부 440: 인포 셀렉팅부
500: 레코멘딩 유닛 c: 코스메틱 오브젝트
s: 외부 서버

Claims (10)

  1.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취득된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레코그니션 유닛(recognition unit);
    상기 레코그니션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셜 파트(facial part)를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익스트랙팅 유닛(extracting unit);
    상기 익스트랙팅 유닛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유저의 상기 페이셜 파트 각각에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이펙팅 유닛(effecting unit);
    외부 서버로부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상기 이펙팅 유닛에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오브젝트 소싱 유닛(object sourcing unit); 및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레코멘딩 유닛(recommen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그니션 유닛은,
    상기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영상을 가져와서 스캔하는 스캔(scan)부;
    상기 유저의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무브먼트가 포착되는 영역을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 인식하는 퍼시빙(perceiving)부; 및
    상기 퍼시빙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을 분리하여,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디텍팅(detect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트랙팅 유닛은,
    상기 디텍팅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검출된 상기 유저의 페이스 영역으로부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을 형성하는 쉐이핑(shaping)부;
    상기 쉐이핑부로부터 형성된 상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페이셜 파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트레킹(tracking)부; 및
    상기 유저의 상기 소정의 무브먼트에 따른 상기 페이셜 파트의 앵글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3차원의 페이스 쉐입에 반영하여 얼라이닝(align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팅 유닛은,
    상기 유저로부터 미리 결정된 액션과 상호 연동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상기 페이셜 파트가 선택되도록 하는 유저 액션(user action)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에 상기 소정의 이펙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어플라잉(apply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잉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코, 입, 턱, 이마, 인중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에 메이크업 이펙트를 적용하는 메이크업(makeup)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잉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액션에 의해 선택된 상기 페이셜 파트 중 피부, 눈, 눈썹, 코, 입, 턱, 이마, 인중 또는 얼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형이 튜닝되도록 피규레이션 이펙트를 적용하는 피규레이션(figuration)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은,
    i)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소싱하여 상기 이펙팅 유닛에 제공하며,
    ii) 상기 이펙팅 유닛에 제공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는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며,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에는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스펙 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상기 유저로부터 미리 입력된 유저의 프리퍼런스(preference) 정보에 따른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미리 결정된 사람에 의해 추천된 정보로부터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멘딩 유닛은,
    상기 오브젝트 소싱 유닛으로부터 소싱된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 중,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진행하는 소정의 마케팅 정보로부터 상기 코스메틱 오브젝트를 선별하여 상기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KR1020210038348A 2020-08-18 2021-03-24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KR20220022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2979 2020-08-18
KR1020200102979 2020-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31A true KR20220022431A (ko) 2022-02-25

Family

ID=8049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348A KR20220022431A (ko) 2020-08-18 2021-03-24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43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262B1 (ko) 2017-07-20 2019-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컨텐츠 내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00098875A (ko)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3d 얼굴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233B1 (ko) 2018-01-11 2020-09-21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9735B1 (ko) 2016-10-18 2021-01-07 스노우 주식회사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35B1 (ko) 2016-10-18 2021-01-07 스노우 주식회사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55262B1 (ko) 2017-07-20 2019-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컨텐츠 내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158233B1 (ko) 2018-01-11 2020-09-21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98875A (ko)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3d 얼굴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6389B2 (ja)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
JP5085636B2 (ja) 化粧顔画像生成装置、その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7020626B2 (ja) メイクアップ評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CN108932654B (zh) 一种虚拟试妆指导方法及装置
US119782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facial attribute classification and use thereof
CN111783511A (zh) 美妆处理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KR102567266B1 (ko) 인공지능 가상 화장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152028A1 (ja) 化粧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1719927B1 (ko) 립 모션을 이용한 실시간 메이크업 미러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72524B1 (ko) 메이크업 이펙트의 선택적 적용과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바잉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72522B1 (ko)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소싱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KR102066892B1 (ko) 메이크업 평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22431A (ko)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레코멘딩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KR20200107488A (ko) 가상화장 합성 처리 방법
KR102435893B1 (ko) 유저의 페이셜 인식을 통한 선택적 메이크업 이펙팅 적용 시스템
KR102372521B1 (ko) 유저의 페이셜 인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중 웨어링 이펙트 실시간 반영 시스템
KR102372523B1 (ko) 메이크업 이펙트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이미지의 포스팅에 대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KR20220080685A (ko) 유저의 프리퍼런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저의 맞춤형 오브젝트 서제스팅 시스템
KR20220080686A (ko) 유저의 프리퍼런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오브젝트 위치 제공 시스템
KR20220019611A (ko) 메이크업 이펙트의 선택적 적용과 클래시파잉텀을 활용한 이미지 포스팅 시스템
KR20220019612A (ko) 유저의 페이셜 인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중 메이크업 이펙트 제공 시스템
KR20220022432A (ko) 메이크업 이펙트의 선택적 적용과 소정의 마크가 삽입된 이미지 포스팅 시스템
KR20220054177A (ko) 유저의 페이셜 인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중 프리퍼런스 조사를 위한 리서칭 시스템
KR20230122708A (ko) 유저의 동선 트레이싱을 통한 오브젝트의 이동이 가능한 스마트 매장 시스템
KR102465456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얼굴 나이 및 주름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화장법 추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