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416A -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416A
KR20220022416A KR1020200103574A KR20200103574A KR20220022416A KR 20220022416 A KR20220022416 A KR 20220022416A KR 1020200103574 A KR1020200103574 A KR 1020200103574A KR 20200103574 A KR20200103574 A KR 20200103574A KR 20220022416 A KR20220022416 A KR 2022002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ed
room
hatchery
salmon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현
김병윤
윤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체리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체리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체리부로
Priority to KR102020010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416A/ko
Publication of KR2022002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8Chicken coops or houses for baby chicks; Brooder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200); 해당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을 이용 상기 QR코드 인식시 해당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day-old chick history}
본 발명은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생추란 부화한 지 얼마 안 되는 병아리를 의미한다.
부화 직후의 병아리는 아직 복강(腹腔) 속에 소화되지 않은 노른자의 나머지가 있으므로 부화 후 48시간은 그것을 영양원으로 한다. 따라서 이 기간의 병아리는 모이를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병아리의 수송은 이 초생추 기간에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초생추의 총배설강에는, 수컷에서는 웅성생식기의 퇴화기관인 생식 융기가 비교적 뚜렷하게 인정되므로 이것으로 암수감별을 할 수 있다.
한편, 산란계 농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과 생산성 저하현상은 처음 육추 1주일간 제대염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30일령 이전에 뉴캐슬병과 40일 이전에 감보로병, 60일령 이후에는 마렉, 70일령 이후의 CRD(만성호흡기 병)과 가금티푸스, 초산시 카니발리즘, 산란피크기에는 대장균증, 노계 때에는 식란벽, 살모넬라 양성계란 생산 등이 주요원인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초생추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금산업이 대형화됨에 따라 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초생추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염성 질병 중 후대 병아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난계대 질병에는 닭 아데노바이러스(FAdV), 전염성 빈혈증(CAV), 레오바이러스(Reovirus), 조류뇌척수염(AE), 살모넬라 감염증(Salmonella),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MS/MG) 등이 있다.
전염성 질병의 예방은 종계의 백신접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계로부터 모체이행항체가 초생추로 전달되는 정도에 따라 초생추의 품질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 전염성 질병 이외에 난계대를 통해 후대 병아리로 감염되는 질병은 생산농장의 방역 및 사양관리로는 통제가 불가능하며, 오직 종계농장의 차단방역 및 예방으로만 통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초생추를 받아 사육하는 실용계 농장에서는 종계군의 예방 혹은 질병감염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난계대 질병 중 살모넬라 감염증은 가장 대표적인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이며, 가금유래 식품에 의한 살모넬라 감염 발병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저 있다.
미국 CDC 2005년 통계에 따르면,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에 감염된 사람에게 분리된 살모넬라 중 9종의 살모넬라가 가금 유래의 살모넬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연구조사 결과에도 식중독에 감염된 사람에게 분리빈도가 가장 높은 살모넬라와 가금에서 분리빈도가 가장 높은 살모넬라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종계 및 부화장의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정보가 체계화되어 관리된다면, 식중독균 제어를 통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소비자의 가금육에 대한 신뢰도 상승과 동시에 공중보건학적 의미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최근 일어난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농장은 확진 308곳, 검사중이 27곳으로 집계됐다. 이 시기의 살처분 가금(家禽)은 641개 농장에서 3033만 마리에 이른다.
그동안 AI 발생에 따른 피해가 가장 컸던 시기는, 2014년 1월에 발생해 2015년 11월에 종식된 기간으로, 모두 669일이 걸렸다. 이때 살처분 규모는 809개 농장의 1937만2000마리에 이르렀다.
AI 바이러스 발병에 따라 계란 값이 올랐고, 닭고기 소비자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재 산란계 농장에 적체(積滯)돼 있는 계란의 출하를 시·도 단위로 제한하고, 농가당 1주일 중 하루에 한해 출하하도록 허가하고 있다.
이 기간에 해당 농가가 출하하더라도 출하 정체는 해소되지 않기 때문에, 출하제한지역을 군(郡)단위로 좁히기를 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시적이라도 출하 계란에 산란 일자를 표기해 유통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현재 48개의 계란유통센터를 확대해 투명한 유통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해당 기술 분야에서 초생추를 포함한 닭고기 가공의 일반적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의 경우, 닭고기 가공은 대규모 자동 도계가공 설비(대부분이 수입 설비)를 통하여 시중에 공급되고 있으며, 도계의 품질 판별 및 규격화 관련 자동 설비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단지 로드셀을 이용한 중량 선별장치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대부분의 도계 가공업체는 수작업으로 선택적 품질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품질 검사를 위한 주요 인자로는, 외형; 질병에 의한 도체 외관의 손상여부; 가슴과 다리 부위 등에서 부피에 대한 고기의 양을 판단하기 위한 살붙임; 피부의 지방층 발달량을 측정하는 지방부착; 표피에서 뽑히지 않은 깃털의 부착 정도; 피부색의 좋고 나쁨; 피부 광택 및 육질의 탄력성 등 신선도; 피부 상처로 인한 외상; 피부의 멍ㆍ상처로 인한 응혈에 의한 변색; 뼈의 상태; 이물질 부착 여부; 악취; 도계과정에서 내장의 제거 상태와 위 속 내용물, 분변, 혈액, 담즙에 의한 오염 여부 등이 있다.
한편, 국내 닭고기의 유통구조는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구조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으며, 육계의 경우 브랜드화를 통한 상품성 제고가 가속화되고 있다. 또 향후에는 주관적 판단에 의거한 매매 및 유통구조로부터, 닭고기의 품질과 관련한 물성계측을 통하여 정량화된 객관적인 품질을 추출하고 정보화 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을 바탕으로 개체별 또는 단위 그룹별로 그 추출된 품질정보를 명시하여 유통하는 구조로 변환하게 될 것이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보급에 따라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소비자가 구매 장소에서 닭고기의 품질 및 생산정보를 바로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유통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유통 정보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 유통구조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닭고기 가공라인에서 품질정보를 규격화하고 공정상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생력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닭고기 가공공정에 있어서 품질의 규격화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닭고기 품질검사 시스템 관련 설비연구 및 연구결과의 현장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농무부 산하 안전성 검사요원들이 닭고기 가공공정에서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산되는 닭고기의 전량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정상 닭의 여부를 판별하는 전수 검사를 최종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농무부 산하 벨츠빌 연구소와 러셀연구소 그리고 죠지아 대학 주도 하에 닭고기 가공 관련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10여년 전부터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결과를 이용한 상용화 설비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일부 연구결과를 실험실 수준의 설비로 제작하여 현장 적응시험을 수행하고 있을 뿐이다.
상기와 같은 미국의 연구개발은 주로 닭고기 가공공정에 있어서 식품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근적외 반사 스펙트럼을 도계 가공라인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들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비정상 닭을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다분광(multispectral) 및 초분광(hyperspectral) 영상시스템을 이용한 오염물질 검출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KR 10-2013-0127512 (2013.10.25)
본 발명은 1)종계농장, 부화장, 육계농장의 이력 정보 전산 프로그램화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2)또한, 모계 정보, 질병, 약품사용 이력 등 조회 가능한 프로그램이 구현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3)더 나아가 QR코드 혹은 바코드를 사용한 병아리 인수 시스템 도입을 그 목적으로 하며, 4)이러한 정보들을 병아리 분양농가에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200); 해당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을 이용 상기 QR코드 인식시 해당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서버(100)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혈청검사, 위생검사, 살모넬라 검사, 백신접종 및 약품 사용에 대한 이력이 기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QR코드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고유의 계군 코드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 해당 코드 번호에는 질병유무, 약품사용유무, 살모넬라검사 유무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초생추를 운송하는 차량번호 및 운반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초생추를 부화시키는 부화장 내에서의 살모넬라검사 유무 및 일반세균감염유무에 대한 정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초생추 분양시 사용되는 상기 인수증정보시트(300)에 부여된 상기 QR코드 스캔시 해당 코드 번호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QR코드 스캔시 해당 초생추의 인수 승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에 송신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종계장 및 부화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 주령, 병아리 품질 및 건강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화장에 대한 정보에는 부화장명, 부화장 주소, 부화일, 위생검사 및 살모넬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농장명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농장명 하의 약품투약, 질병검사, 살모넬라 및 백신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별도의 기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약품투약 기능창 선택시, 사용일자, 약품명, 약품 구분 및 사용목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질병검사 기능창 선택시, ND, IBV, AI, MSMG, SE, CAV, REO 및 IBD, EDS, APV, AE, IBH 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살모넬라 기능창 선택시, 해당 농장 내에 위치한 동 마다 살모넬라 감염 여부에 대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백신 기능창 선택시, 접종일, 주령, 백신 및 관리사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화장에 대해서도 부화장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부화장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부화장 내에 설치된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위생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부화장 내의 살모넬라에 대해서도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그 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1)중앙서버에 구축된 관리자 페이지 부분에서 혈청검사, 위생검사, 살모넬라 검사, 백신접종 및 약품 사용 여부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고, 2)계군 코드 번호 부여, 이러한 코드에 질병, 약품, 살모넬라 검사 등 정보가 부여됨은 물론이고, 3)종란 이동시 사용되는 차량의 정보가 중앙서버에서 관리되며, 4)부화장 검사 결과 역시 중앙서버와 병아아리를 부양받는 기관의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모두 공유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중앙서버를 나타내는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를 나타내며,
도 4는 해당 QR 코드에 담겨지는 정보 및 QR 코드 인식시 인수 승인 정보가 중앙서버에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종계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
도 10 내지 도 12는 부화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중앙서버(100), 중앙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200), 해당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300)를 포함하되,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을 이용 상기 QR코드 인식시 해당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중앙서버(100)를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혈청검사, 위생검사, 살모넬라 검사, 백신접종 및 약품 사용에 대한 이력이 기 저장되어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고,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이 관리된다.
그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300)를 나타내며, 도 4는 해당 QR 코드에 담겨지는 정보 및 QR 코드 인식시 인수 승인 정보가 중앙서버(100)에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프로세스의 일 예이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혈청검사, 위생검사, 살모넬라 검사, 백신접종 및 약품 사용에 대한 이력이 기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QR코드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고유의 계군 코드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 해당 코드 번호에는 질병유무, 약품사용유무, 살모넬라검사 유무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200)을 이용해서 해당 초생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분양받는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초생추를 운송하는 차량번호 및 운반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운반과정의 투명화가 이루어지며, 운반과정 중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 그 이력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추후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해당 초생추를 부화시키는 부화장 내에서의 살모넬라검사 유무 및 일반세균감염유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시 이를 통해 어느 부화장에서 해당 검사를 하였는지 손쉽게 알 수 있으며, 해당 초생추 분양시 사용되는 상기 인수증정보시트(300)에 부여된 상기 QR코드 스캔시 해당 코드 번호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QR코드 스캔시 해당 초생추의 인수 승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에 송신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간단한 스캔만으로도 해당 초생추에 대한 인수 정보가 중앙서버(100)에 저장되어, 해당 초생추 관련된 사용자들이 손쉽고도 정확하게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종계장 및 부화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 주령, 병아리 품질 및 건강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화장에 대한 정보에는 부화장명, 부화장 주소, 부화일, 위생검사 및 살모넬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구체적으로는 해당 병아리를 받은 농장의 관리자들이 QR 코드 인식하는 경우 사용하는 스마트폰(200)에 도 4와 같은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를 통해 해당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알아볼 필요 없이 손쉽게 모든 정보들을 알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앱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해당 되는 노동력 감소 및 정보의 투명화가 이루어져 추후 문제점 발생시 보완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계장 및 부화장으로 구분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세보기' 클릭시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는 종계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농장명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농장명 하의 약품투약, 질병검사, 살모넬라 및 백신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별도의 기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투약 기능창 선택시, 사용일자, 약품명, 약품 구분 및 사용목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병검사 기능창 선택시, ND, IBV, AI, MSMG, SE, CAV, REO 및 IBD, EDS, APV, AE, IBH 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모넬라 기능창 선택시, 해당 농장 내에 위치한 동 마다 살모넬라 감염 여부에 대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신 기능창 선택시, 접종일, 주령, 백신 및 관리사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화장에 대해서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장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부화장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부화장 내에 설치된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위생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부화장 내의 살모넬라에 대해서도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그 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중앙서버 200 : 스마트폰
300 : 인수증정보시트

Claims (5)

  1.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저장되는 중앙서버(100);
    상기 중앙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200);
    해당 초생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QR코드가 부여된 인수증정보시트(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을 이용 상기 QR코드 인식시 해당 초생추에 대한 이력이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100)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혈청검사, 위생검사, 살모넬라 검사, 백신접종 및 약품 사용에 대한 이력이 기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QR코드에는,
    해당 초생추에 대한 고유의 계군 코드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 해당 코드 번호에는 질병유무, 약품사용유무, 살모넬라검사 유무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초생추를 운송하는 차량번호 및 운반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초생추를 부화시키는 부화장 내에서의 살모넬라검사 유무 및 일반세균감염유무에 대한 정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해당 초생추 분양시 사용되는 상기 인수증정보시트(300)에 부여된 상기 QR코드 스캔시 해당 코드 번호에 저장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QR코드 스캔시 해당 초생추의 인수 승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100)에 송신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종계장 및 부화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 주령, 병아리 품질 및 건강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화장에 대한 정보에는 부화장명, 부화장 주소, 부화일, 위생검사 및 살모넬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종계장에 대한 정보에는,
    농장명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농장명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농장명 하의 약품투약, 질병검사, 살모넬라 및 백신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별도의 기능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약품투약 기능창 선택시, 사용일자, 약품명, 약품 구분 및 사용목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질병검사 기능창 선택시, ND, IBV, AI, MSMG, SE, CAV, REO 및 IBD, EDS, APV, AE, IBH 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살모넬라 기능창 선택시, 해당 농장 내에 위치한 동 마다 살모넬라 감염 여부에 대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백신 기능창 선택시, 접종일, 주령, 백신 및 관리사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화장에 대해서도 부화장의 이름, 주소, 연락처 및 해당 부화장 이름하의 인증사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부화장 내에 설치된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위생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부화장 내의 살모넬라에 대해서도 종란보관실, 발육실, 발육기, 발생실, 발생기, 이란실 및 분양실을 포함하는 각 실마다 그 검사 결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KR1020200103574A 2020-08-18 2020-08-18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KR20220022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74A KR20220022416A (ko) 2020-08-18 2020-08-18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74A KR20220022416A (ko) 2020-08-18 2020-08-18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16A true KR20220022416A (ko) 2022-02-25

Family

ID=8049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74A KR20220022416A (ko) 2020-08-18 2020-08-18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512A (ko) 2011-04-03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트래픽 우회 서비스 이동성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7512A (ko) 2011-04-03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트래픽 우회 서비스 이동성 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cobs et al. Broiler chickens dead on arrival: associated risk factors and welfare indicators
Marchewka et al. The transect method: a novel approach to on-farm welfare assessment of commercial turkeys
Schelling et al. Epidemiological study of Newcastle disease in backyard poultry and wild bird populations in Switzerland
EFSA Panel on Biological Hazards (BIOHAZ), EFSA Panel on Contaminants in the Food Chain (CONTAM) and EFSA Panel on Animal Health and Welfare (AHAW) Scientific Opinion on the public health hazards to be covered by inspection of meat (poultry)
Haslam et al.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t, of birds dead on arrival at the slaughterhouse and other rejection conditions in broiler chickens
Valros et al. Intact tails as a welfare indicator in finishing pigs? Scoring of tail lesions and defining intact tails in undocked pigs at the abattoir
Tabassum et al. Phenotypic and morphometric characterization of indigenous chickens at Jhenaigati Upazila of Sherpur district in Bangladesh.
Edmew et al. Assessing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chickens reared under traditional management system
Bar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rearing enrichments, range use, and an environmental stressor for free-range laying hen welfare
Council Opinion on osteoporosis and bone fractures in laying hens
Szentirmai et al. Comparison of changes in production and egg composition in relation to in vivo estimates of body weight and composition of brown and white egg layers during the first egg-laying period
Osborne et al. Effects of radio tags on captive northern bobwhite (Colinus virginianus) body composition and survival
Lloveras et al. Monastic meals: The role of birds in the diet of the Poor Clares at the Monastery of Santa Maria de Pedralbes (Barcelona, Spain) from medieval to modern periods (14th to 19th centuries AD)
Lupo et al. Risk factors for sanitary condemnation in broiler chickens and their relative impact: application of an original multiblock approach
Valkova et al. Traumatic injuries detected during Post-Mortem slaughterhouse inspection as welfare indicators in poultry and rabbits
Freick et al. Incubation characteristics,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Saxonian Chicken and German Langshan bantam breeds in a free‐range rearing system
Wani et al. Morphological, reproductive and 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Sudanese native chicken
Vohra et al. Multivariate analysis of biometric traits and their shared variance in Chhattisgarhi buffalo
KR20220022416A (ko) 초생추 이력 관리 시스템
Vasdal et al. Associations between animal-based measures at 11 wk and slaughter data at 20 wk in turkey toms (Meleagris gallopavo)
Drain et al. Warm weather transport of broiler chickens in Manitoba. I. Farm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loss in transit to slaughter
Das et al.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revalence of Newcastle disease and infectious bursal disease in poultry at Kishoreganj
Wurtz et al. Associations of range use with individual behaviour, clinical welfare indicators, fear response and gastrointestinal characteristics of two laying hen hybrids
Islam et al. Biochemical analysis on blood and crop contents of household chickens along with their production and health status in Bangladesh
Litt et al. Influence of dietary strategy on progression of health and behaviour in mule ducks reared for fatty liver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