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187A -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187A
KR20220022187A KR1020200103068A KR20200103068A KR20220022187A KR 20220022187 A KR20220022187 A KR 20220022187A KR 1020200103068 A KR1020200103068 A KR 1020200103068A KR 20200103068 A KR20200103068 A KR 20200103068A KR 20220022187 A KR20220022187 A KR 20220022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rea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943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9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및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은 대상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는 관리 기기; 상기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INTER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 예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산업 시설 및 이동 수단으로부터 발생되고 배출되는 수많은 공해 물질로 인해 환경 오염이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환경 오염으로 인해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주는 해충의 번식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리 및 개선의 필요성이 나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관리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제 관리, 공기질 관리, 수질 관리 및 위생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리 기기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다양한 상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관리 기기들의 개발에 따라, 관리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 기기, 유저 및 서비스맨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관리 기기 주변에서 환경 변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환경 변화 이벤트에 대응하여, 관리 기기를 작동시키거나 유저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유저에게 필요한 행동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목적은,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목적은,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목적은 대상 구역 주변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대상 구역에 적합한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은, 대상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는 관리 기기; 상기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관리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관리부; 및 상기 선정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정보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대상 구역의 방제 정보, 공기질 정보, 수질 정보 및 위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정보는 상기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인자의 조합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각각의 인자에 대해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별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개별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대응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정의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개별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매트릭스로부터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분류된 환경 등급을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은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은, 상기 대상 구역의 위치, 상기 대상 구역의 크기, 상기 대상 구역의 사용 목적,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출입 인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환경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환경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을 결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환경 등급 각각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고, 상기 결정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을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 중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를 지오펜스로 설정하여 지오펜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지오펜스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오펜스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감시 구역의 환경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환경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환경 보정값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환경 보정값은, 상기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거리, 상기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오펜스 내에서 발생하는 환경 이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환경 이벤트가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이벤트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보정값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지오펜스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시간에 따른 예상 환경 지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환경 지수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대응 관리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에 상기 관리 서비스가 수행되면, 상기 수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재 평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대상 구역에 근접한 매니저 디바이스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기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환경 상태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환경 요소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해충 상태, 공기 상태, 수질 상태, 위생 상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설치된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관리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관리 기기가 센싱한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 및 상기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는 단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자를 조합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된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인자에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별 지표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인자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대응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개별 지표의 조합과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상기 매트릭스로부터 선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은 상기 대상 구역의 위치, 지리적 특성, 크기, 사용 목적, 출입 인원,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기준 환경 등급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 중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재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은 상기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구간별로 구획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통해 환경 지수의 초기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을 상기 초기값에 적용하여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 설정된 감시 구역의 환경이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서 발생한 환경 이벤트가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내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재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 상태를 재분석 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관리 서비스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수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재분석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각각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근접 정도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수행할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매니저의 디바이스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는 매니저의 스케쥴 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 매니저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시간에 따른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예상 환경 상태에 매칭되는 대응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범위를 지오펜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오펜스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특정 시간에 대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의 변화를 계산하여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흐름에 따른 상기 대상 구역의 예상 환경 상태와, 상기 예상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대응 관리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매니저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대응 관리 서비스가 수행되는 특정 시간에 상기 대상 구역에 인접한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매니저에게 상기 대응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따라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매니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대상 구역 주변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대상 구역에 적합한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기기가 관리하는 환경 분야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다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인자 추출 방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등급 분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선정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정보 전송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조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기기가 관리하는 환경 분야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은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은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작업 명령을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는 매니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은 관리 기기, 관제 서버 및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은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고, 선정된 관리 서비스를 매니저에게 제공함으로써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매니저는 대상 구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 기기는 대상 구역에 구비되어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기기는 하나 이상의 환경 분야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기기는 방제 분야, 공기질 분야, 수질 분야 및 위생 분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분야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제 분야의 관리 기기(11)는, 해충 포획 장치, 구서 포획 장치,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분야의 관리 기기(11)는, 공기청정기, 환풍기, 제습기, 가습기, 디스펜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질 분야의 관리 기기(11)는, 정수기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생 분야의 관리 기기(11)는 살균기, 소독기, 비데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 서버는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 기기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일정 구역을 하나의 관리 단위로 설정하고, 각각의 관리 단위에 설치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데이터 수집부, 분석부, 관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는 대상 구역의 환경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는 관리 기기를 통해 인식되는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대상 구역 내 방제, 공기질, 수질 및 위생과 같은 관리 기기가 관리하는 환경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제 정보는, 해충을 포획하는 해충 포획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 및 상기 해충 포획 장치에서 감지되는 해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 해를 주는 곤충 및 동물을 총칭할 수 있다. 해충 포획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라 함은, 해충 포획 장치가 구비된 구역의 온도, 습도, 풍향, 날씨, 시간, 기상청에서 발령하는 주의보나 경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해충 포획 장치에서 감지되는 해충 정보는, 해충의 종류, 유해성 정보, 계절 및 시간에 따른 행동 정보, 출입 정보, 동선 정보, 무게 정보 및 먹이 섭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정보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 대기환경지수 및 구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는, 장치가 구비된 구역의 온도, 습도, 풍향, 날씨, 시간, 기상청에서 발령하는 주의보나 경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정보는 현재 공기가 얼마나 오염되었고, 앞으로 오염 정도가 어떻게 변동될지에 대한 대기오염도 측정치를 포함한 대기환경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정보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 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에 대한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질 정보는,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 및 수질의 탁도, 색도, 탄산염경도, 총경도, pH, 냄새, 구성 성분, 용존 산소량 및 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질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는, 측정 장치가 구비된 구역의 온도, 습도, 풍향, 날씨, 시간, 기상청에서 발령하는 주의보나 경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성분은 TDS(Total Dissolved Solids)를 포함할 수 있다. TDS는 총 용존 고형물로, 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 염분, 금속, 양이온 및 음이온을 말한다. 또한, 심미적 영향 물질인 염소 이온, KMnO4 소비량, 총경도, 황산이온, 증발 잔류물, 세제, 철, 동, 아연, 망간, 알루미늄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인 수은, 시안, 비소, 6가 크롬, 카드뮴, 납, 불소, 셀레늄, 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보론이나,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인 페놀, THM(Tri-Halo Methane),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페니트로티온, 카바닐, 잔류 염소,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클로로포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랄하이드레이트, 트리클로로에틸렌,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1.1-디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할로아세틱에시드, 브로모디클로로메탄, 1.4-다이옥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FPA(Flavor Profile Analysis) 수치를 포함한 수질 정보일 수도 있다.
위생 정보는, 위생을 측정하는 위생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 상기 위생 측정 장치 내부 및 외부의 세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생 측정 장치의 내부 및 외부 기상 정보는, 측정 장치가 구비된 구역의 온도, 습도, 풍향, 날씨, 시간, 기상청에서 발령하는 주의보나 경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균 정보는 위생 측정 장치에서 감지한 세균의 종류, 세균의 번식 정도, 세균의 수 등 잔존하는 세균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는 환경 정보와 더불어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가 수집하는 작동 정보는, 관리 기기의 작동 기능, 작동 시간, 작동 기간, 작동 빈도 및 작동 패턴, 관리 기기의 점검 및 교체에 대한 정보, 관리 기기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는 대상 구역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관리 기기를 통해 대상 구역의 실시간 환경 정보 및, 관리 기기의 기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외부 서버를 통해 대상 구역의 주변의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는 기상청, 소방방제청, 에어코리아,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물환경정보시스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대상 구역 주변의 환경 정보는, 대상 구역을 포함하는 지역 범위 내 환경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구역 주변의 환경 정보는 대상 구역에 영향을 주는 환경 변화 이벤트, 예를 들어, 해충 발생, 구서 발생, 화재 발생, 황사 특보, 미세먼지 특보, 초미세먼지 특보, 강풍 특보, 풍랑 특보, 호우 특보, 대설 특보, 건조 특보, 폭풍해일 특보, 태풍 특보, 폭염 특보, 한파 특보, 라돈 발생,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발생, 방사능 발생, 전염병 발생, 자연 재해 발생, 기상 변화 및 수질 변화와 같은 다양한 환경 변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벤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 구역에 환경 상태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분석부는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인자의 조합을 통해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가 공기질을 분석하는 경우, 분석부는 대상 구역 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미세먼지 농도, 라돈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등과 같은 각각의 인자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부는 분류된 각각의 인자에 대해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별 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지표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인자의 농도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분석부는 각 인자의 수치를 개별 지표로 수치화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는 각 인자의 개별 지표 중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높은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역 내의 일산화탄소 위험 지표가 다른 인자에 비해 높은 경우, 분석부는 대상 구역의 공기질을 위험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가 대상 구역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대상 구역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감은 대상 구역의 환기 행동을 요구하는 반면, 대상 구역의 미세먼지 농도 증감은 대상 구역의 창문 폐쇄 행동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부는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보다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확한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는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가 대상 구역의 공기질 분야를 분석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분석부는 대상 구역의 공기질 상태를 위험 상태, 안정 상태, 쾌적 상태와 같은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환경 등급의 구분은 대상 구역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대상 구역의 특성은 대상 구역의 위치, 크기, 사용 목적, 출입 인원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환경 등급은 대상 구역이 보다 세밀한 환경 상태를 요구하는 경우, 예를 들어, 대상 구역이 병원과 같은 높은 상태의 위생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세밀화된 복수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 대상 구역이 공장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의 위생을 요구하는 경우에, 기준 환경 등급의 분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분석부는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할 수 있다. 수치화된 환경 지수를 통해 복수의 환경 등급이 구분될 수 있다. 환경 등급은 수치화된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구분하도록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환경 등급의 설정은 대상 구역의 환경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분석부는 수치화된 환경 지수를 대상 구역 주변 환경 정보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를 지오펜스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분석부는 설정된 지오펜스 내의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지오펜스 내의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역이 식품 공장인 경우, 분석부가 설정한 감시 구역은 식품 공장에 인접한 화학 공장일 수 있다. 분석부는 감시 구역의 환경이 대상 구역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환경 보정값을 생성하고, 환경 보정값을 통해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 보정값은,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거리,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지리적 특성, 감시 구역의 환경 상태등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분석부는 지오펜스 내에서 발생하는 환경 이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환경 이벤트가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오펜스 내에서 산불이 발생한 경우, 분석부는 산불의 영향에 따른 대상 구역의 공기질 변화를 예측하여, 대상 구역의 공기질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인식된 환경 이벤트가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이벤트 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벤트 보정값을 통해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는 지오펜스 내 환경 정보를 통해 대상 구역의 시간에 따른 예상 환경 지수를 평가할 수 있다. 예상 환경 지수를 통해 관리부는 대상 구역의 시간에 따른 대응 관리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분석부는 대상 구역에 관리 서비스가 수행되면 수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재 평가할 수 있다.
관리부는 분석부가 분석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관리부는 관리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정할 수 있다.
관리부는 분석부가 평가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 각각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고, 결정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을 통해 대상 구역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는 수신된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 중,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역의 공기질이 위험 등급으로 판별된 경우, 대응되는 관리 서비스는 대상 구역의 환기, 오염원 제거, 관리 기기 점검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집된 정보 중 관리 기기의 오작동 정보가 수신된 경우, 관리부는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 중, 대상 기기의 점검이 적합한 관리 서비스라고 판별할 수 있다.
반면, 관리부는 분석부가 분류한 복수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대응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정의하고, 추출된 인자의 개별 지표를 조합하여 매트릭스로부터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따라 대응되는 관리 서비스가 정의된 경우, 관리부는 각각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조합하여, 대상 구역에 대한 종합 관리 서비스 작업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는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매니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통해 매니저 디바이스를 보유한 매니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통신부는 관리부를 통해 대상 구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가 선정되면 대상 구역에 근접한 매니저 디바이스를 선정하여, 선정된 매니저 디바이스에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과 중복되는 범위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다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은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은, 관리 기기가 구비된 대상 구역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은 선정된 관리 서비스를 대상 구역을 관리하는 매니저에게 제공함으로써, 대상 구역의 환경과 관련한 서비스를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은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대상 구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은 대상 구역에 설치된 관리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기기가 관리하는 대상 구역의 환경 요소는 대상 구역에 대한 해충 상태, 공기 상태, 수질 상태, 위생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관리 기기가 센싱한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 및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7은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인자 추출 방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은 환경 상태 분석 단계의 등급 분류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는 단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인자를 조합하여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는 단계는, 분석하고자 하는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인자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하고자 하는 환경 요소가 해충 관련 요소인 경우, 수집된 정보는 해충의 종류, 단위 면적 당 해충의 숫자, 해충 포획 장치의 상태 등의 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분류된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설정 조건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개별 지표의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분류된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역이 식품 공장인 경우 해충에 대한 가중치가 공기질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개별 지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분류된 각각의 인자에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인자에 대한 개별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인자를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수치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인자에 따라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및,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통해 환경 지수의 초기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을 상기 초기값에 적용하여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 설정된 감시 구역의 환경이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서 발생한 환경 이벤트가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구간별로 구획하여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환경 등급의 설정은 대상 구역의 특성, 예를 들어, 대상 구역의 위치, 지리적 특성, 크기, 사용 목적, 출입 인원,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분석된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대상 구역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선정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정보 전송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기준 환경 등급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정보 전송 단계는 선정된 대상 구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대상 구역을 관리하는 매니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에 대한 작업 명령의 전송은 매니저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각각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근접 정도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수행할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매니저의 디바이스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는, 매니저의 스케쥴 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 매니저를 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Claims (45)

  1. 대상 구역에 구비되고,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을 관리하는 관리 기기;
    상기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작업 명령을 수신하는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관리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관리부; 및
    상기 선정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정보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대상 구역의 방제 정보, 공기질 정보, 수질 정보 및 위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수집 정보는 상기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인자의 조합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각각의 인자에 대해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별 지표를 생성하고,
    상기 개별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대응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정의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개별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매트릭스로부터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분류된 환경 등급을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은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따라 설정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은, 상기 대상 구역의 위치, 상기 대상 구역의 크기, 상기 대상 구역의 사용 목적,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출입 인원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환경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환경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을 결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환경 등급 각각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고, 상기 결정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을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 중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를 지오펜스로 설정하여 지오펜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지오펜스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오펜스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감시 구역의 환경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환경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환경 보정값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보정값은, 상기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거리, 상기 감시 구역 및 대상 구역 사이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지오펜스 내에서 발생하는 환경 이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환경 이벤트가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이벤트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보정값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보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구역에 상기 관리 서비스가 수행되면, 상기 수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지수를 재 평가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대상 구역에 근접한 매니저 디바이스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2.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환경 상태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환경 요소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해충 상태, 공기 상태, 수질 상태, 위생 상태 중 하나인,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설치된 관리 기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관리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관리 기기가 센싱한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 및 상기 관리 기기의 작동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인자로 분류하는 단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자를 조합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된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인자에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인자에 대한 개별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별 지표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일부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자 중 상충되는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는 인자를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인자의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자의 개별 지표에 대응하는 관리 서비스를 매트릭스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하고, 상기 추출된 인자의 개별 지표의 조합과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상기 매트릭스로부터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 중 하나의 환경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특성은,
    상기 대상 구역의 위치, 지리적 특성, 크기, 사용 목적, 출입 인원,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기준 환경 등급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대상 구역의 환경 등급에 매칭되는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 중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에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재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수치화된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환경 등급은 상기 환경 지수의 수치범위를 구간별로 구획하여 설정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지수로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정보를 통해 환경 지수의 초기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값을 상기 초기값에 적용하여 상기 환경 지수에 대한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 설정된 감시 구역의 환경이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범위 내에서 발생한 환경 이벤트가 상기 대상 구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오펜스 내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상태를 재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 상태를 재분석 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관리 서비스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수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를 재분석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3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대상 구역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각각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근접 정도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를 수행할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매니저의 디바이스로 상기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는,
    매니저의 스케쥴 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 매니저를 선정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시스템.
  41. 대상 구역의 환경에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구역의 시간에 따른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예상 환경 상태에 매칭되는 대응 관리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범위를 지오펜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오펜스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현재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해 특정 시간에 대한 상기 대상 구역의 환경 상태의 변화를 계산하여 예상 환경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흐름에 따른 상기 대상 구역의 예상 환경 상태와, 상기 예상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대응 관리 서비스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매니저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대응 관리 서비스가 수행되는 특정 시간에 상기 대상 구역에 인접한 매니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매니저에게 상기 대응 관리 서비스에 따른 작업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관리 방법.
KR1020200103068A 2020-08-18 2020-08-18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068A KR102396943B1 (ko) 2020-08-18 2020-08-18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068A KR102396943B1 (ko) 2020-08-18 2020-08-18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187A true KR20220022187A (ko) 2022-02-25
KR102396943B1 KR102396943B1 (ko) 2022-05-13

Family

ID=8049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068A KR102396943B1 (ko) 2020-08-18 2020-08-18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9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78B1 (ko) * 2015-03-12 2016-06-10 주식회사 세스코 지수화를 통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7934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세스코 지오 펜스를 이용한 방제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949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933A (ko) * 2019-07-12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공기 청정기, 지능형 공기 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
KR20190121571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78B1 (ko) * 2015-03-12 2016-06-10 주식회사 세스코 지수화를 통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7934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세스코 지오 펜스를 이용한 방제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949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1571A (ko) *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190106933A (ko) * 2019-07-12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공기 청정기, 지능형 공기 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943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lio et al. Forecasting office indoor CO2 concentration using machine learning with a one-year dataset
Cobourn An enhanced PM2. 5 air quality forecast model based on nonlinear regression and back-trajectory concentrations
Sexton et al. Estimating human exposures to environmental pollutants: availability and utility of existing databases
CN101542266A (zh) 通过调节气流通风来估计和减少空气污染的系统和方法
Henshaw et al. Parameters for the assessment of odour impacts on communities
KR102175224B1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Naish et al. Estimating health related costs and savings from balcony acoustic design for road traffic noise
Valberg et al. Evaluating the health impacts of incinerator emissions
KR20220036737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통한 공기질 수준 예측방법
Broitman et al. Forecasting health effect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the relocation of a major air pollution source
CN116384748A (zh) 基于环境监测的工业企业环境健康风险分级方法
Wang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r occupants' operation of windows in apartments equipped with portable air purifiers
KR102396943B1 (ko) 인터렉티브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eshmukh et al. Intelligent Public Toilet Monitoring System Using IoT
KR102464990B1 (ko)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KR102484025B1 (ko)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Lin et al. Identifying and evaluating school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Onofrio et al. A review on the use of air dispersion models for odour assessment
KR102430117B1 (ko)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KR102468447B1 (ko)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KR102454088B1 (ko) 지오펜스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환경 관리 방법
KR20220022182A (ko)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 관리 방법
US20080126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teorological network for improved atmospheric modeling
Fong et al. A Prognostics Framework for Health Degradation and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Ho Living near trash: Testing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ontext of solid waste dispos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