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149A -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 Google Patents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149A
KR20220022149A KR1020200102966A KR20200102966A KR20220022149A KR 20220022149 A KR20220022149 A KR 20220022149A KR 1020200102966 A KR1020200102966 A KR 1020200102966A KR 20200102966 A KR20200102966 A KR 20200102966A KR 20220022149 A KR20220022149 A KR 2022002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air supply
outdo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우
임현수
황인수
박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10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149A/en
Publication of KR2022002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1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linked to a hood in the air supply device installed in a window frame and supplying air to an indoor space.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comprises: an air supply fan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a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cooking mode operating the air supply fan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hood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Description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본 발명은 창틀형 급기 장치로서,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며, 조리 시에 급기가 가능한 창틀형 급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a window frame to supply air to a room, and to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ir during cooking.

일반 가정 혹은 음식점 등 조리기구를 포함하는 장소의 경우에 요리 시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나 냄새가 실내로 퍼지지 않도록 요리기구에 후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요리 시에는 후드를 가동시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In the case of a place including cooking utensils such as general homes or restaurants, a hood is installed on the cooking utensils to prevent fine dust or odors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spreading into the room. .

후드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자연히 실내에는 급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는 요리 시에 창문을 개방한 상태로 후드를 동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Since the hood is a device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ir supply is naturally required indoors.

하지만, 창문의 개방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창문을 열지 않은 상태로 후드를 동작시켜, 후드가 정상적으로 공기를 빨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후드로 인하여 실내 기압이 점점 음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일정시간 이상이 지속되면 실내 창문 틈새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외기가 쉽게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However, since the user directly opens the window, in some cases, the hood is operated without the window open, so the hood cannot absorb air normally. Due to the hood, the indoor air pressure gradually becomes negative. If this state continues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outside air containing fine dust is easily introduced through the gaps in the indoor window, thereby contaminating the room.

또한, 창문을 개방하였다고 하더라도 공기의 공급량의 조절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거나, 다른 기류가 생성되어 요리 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후드가 아닌 실내로 날려버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window is opened,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e air is not supplied normally, or a different air current is generated, which blows fine dust generated during cooking into the room instead of the hood.

한편, 창틀에 직접 설치하는 환기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과 같은 장치가 창틀에 직접 설치되어 실내/실외 공기를 교환시키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directly on the window frame has been developed, and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Patent Document 1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window frame to exchange indoor/outdoor air has been develop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793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7938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급기 장치에서 후드와 연동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and having a cooking mode interlocked with a hood in an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ir to a room.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형 급기 장치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에 설치된 후드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급기팬을 동작시키는 요리모드를 수행하는 요리모드가 가능한 창틀형 급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the air supply fan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an,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capable of a cooking mode for performing a cooking mode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fa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hood installed in the roo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다른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후드의 동작 관련 신호에 따라서, 요리모드를 가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or stop the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related signal of the hood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supply fan and the exhaust fan to perform a ventilation mode in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exchang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서, 요리모드를 가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or stop the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일 실시예에서, 정화 또는 급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실내유입구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실내유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제2 실내유입구,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유입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배출구,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 및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실외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에는 상기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기유로에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제2 공기유로의 교차영역에는 열교환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first indoor in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purification or air supply, and at least one second indoor inlet different from the first indoor inlet while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ventilation, are provided. to the body; including, the first indoor inlet and the second indoor inlet, an outdoor in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 indoor outlet through which indoor air or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an outdoor out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e first indoor A first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door inlet and the indoor exhaust port, and a second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indoor inlet and the outdoor outlet are formed, and the air supply fan and the filter are mounted on the first air flow path, , an exhaust fan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air flow path, and a heat exchange element may be mounted on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first air flow path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일 실시예에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추가 실외유입구 및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를 통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추가 실내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와 추가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3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기유로에는 추가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outdoor in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an additional indoor out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nd a third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nd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is formed, and an additional air supply fan and filter may be mounted in the third air pass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내유입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 실내배출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indoor inlet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the second indoor inlet is disposed above the first indoor inlet, and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is disposed below the first indoor inlet.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급기팬은 서큘레이터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may be a circulat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배출구에는 공기 공급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베인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요리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제 2 베인은 공기 공급 방향을 수평보다 상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econd vane for adjusting the air supply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posed at the indoor outlet, and whe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cooking mode, the second vane guides the air supply direction upward rather than horizontally. ca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후드와 연동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interlocking with the hoo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창틀형 급기 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 는 창틀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창틀형 급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3의 창틀형 급기 장치가 청정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창틀형 급기 장치가 환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 창틀형 급기 장치가 요리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도 3의 창틀형 급기 장치에서 열교환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창틀형 급기 장치에서 상부지지체가 승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3 은 도 12 의 사용 개략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room in which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3 to 5 are views showing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6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whe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3 is operated in a clean mode.
7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whe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3 is operated in the ventilation mode.
8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whe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3 is operated in a cooking mode.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exchange element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upper support is raised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view of the use of Figure 12.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Note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급기 장치는 실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급기만 포함된다면, 다른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실내로 급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를 같이 하여 실내 환기를 수행하는 장치의 경우에도 급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기 장치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ir to a room, and if only the air supply is included, other operations are also performed.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indoor ventilation by exhausting air supply and indoor air into the room, it also includes air supply, and thus is included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창틀형 급기 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평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room in which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서 보이듯이, 주방에는 요리 시에 요리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H)가 설치되어 있으며, 창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가 창틀(1)에 설치되어 있다.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창틀형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창틀형 급기 장치(A)를 창틀형 공기조화기라고 부를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 a hood (H) is installed in the kitchen for discharging air generated from cooking during cooking, and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1) on the window frame. there is.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ncludes a window frame type air conditioner, and hereinafter,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may be referred to as a window frame type air conditioner.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에 연결되어 실내 중앙에 배치된 조작부(C)와 통신한다. 또한, 후드(H) 역시 상기 조작부(C)와 통신한다.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unit (C)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oom. In addition, the hood (H) also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unit (C).

후드(H)는 팬과 외부와 연결된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팬의 전원을 동작시키는 것 혹은 후드(H)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요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팬의 전원을 동작시키는 것 중 어떤 것도 적용될 수 있다. The hood (H) includes a fan and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fan power or automatically operates the fan power by detecting cooking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hood (H). Any of these may apply.

이 실시예에서 후드(H)는 조작부(C)와 연결되고, 조작부(C)를 통하여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작부(C)를 통하지 않고 후드(H)가 WIFI 등을 통하여 직접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ood (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C) and connected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od ( It is also possible that 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rough WIFI or the like.

후드(H)의 동작 여부는 조작부(C)를 통하여 혹은 직접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전달되며, 이때, 창틀형 급기 장치(A)의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 통신부는 후드(H)로부터 직접 혹은 조작부(C)를 통해서 전달되는 후드(H) 동작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Whether the hood (H) operates is transmitted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or directly,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s the hood (H) The hood (H)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미도시)는 후드(H)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요리모드를 수행하도록 창틀형 급기 장치(A)를 조작하며, 그에 의해서 창틀형 급기 장치(A)의 급기팬(50; 도 3 참고)이 동작된다. 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hood (H),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o perform a cooking mode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room, whereby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e air supply fan 50 (refer to FIG. 3) is operated.

후드(H)의 동작이 종료되면, 조작부(C)를 통하여 혹은 직접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전달되며, 이때, 창틀형 급기 장치(A)의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 통신부는 후드(H)로부터 직접 혹은 조작부(C)를 통해서 전달되는 후드(H) 정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hood (H) is finished, it is transmitted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or directly,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s the hood ( The hood (H) stop signal transmitted from H) directly or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미도시)는 후드(H)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요리모드를 정지하도록 창틀형 급기 장치(A)를 조작하며, 그에 의해서 창틀형 급기 장치(A)의 급기팬(50; 도 3 참고)이 정지된다. 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stop signal of the hood (H),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o stop the cooking mode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to the room, whereby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he air supply fan 50 (refer to FIG. 3) is stopped.

도 1 에서는 창틀형 급기 장치(A)가 조작부(C)를 통하여 후드(H)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작부(C) 없이 직접 후드(H)와 연결되더 후드(H)의 동작/정지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다르게는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연결된 센서를 통하여 후드(H)의 동작/정지 신호를 받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형 급기 장치(A)에 유선 혹은 무선 연결된 온도 센서를 후드에 부착하여 후드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후드(H) 동작 신호를 전달하거나, 풍량 센서를 후드(H)에 부착하여 후드(H)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감지하여 후드(H) 동작 신호를 전달하는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1 ,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s shown in a manner that is connected to the hood (H) through the operation unit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od (H) without the operation unit (C) The hood The operation/stop signal of (H) may be received, and alternatively, the operation/stop signal of the hood (H) may be received through a sensor connected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For example, by attaching a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emperature sensor to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to the hood to detec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ood and transmitting the hood (H) operation signal, or attaching an airflow sensor to the hood (H)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the hood (H) by sensing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hood (H).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의 일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창틀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창틀형 급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An embodiment of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2 to 10 .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d 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of FIG. 2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창틀(1)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창틀(1)의 내부 일측면과 창문(2)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창틀(1)과 창문(2) 사이에 고정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1), specifically, it is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window frame (1) and one side of the window (2), and the window frame (1) ) and the window (2).

이러한 창틀형 급기 장치(A)는 본체(M)와, 지지구조물(1000)을 포함한다.This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ncludes a body (M) and a support structure (1000).

상기 본체(M)는 공기를 조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지구조물(1000)은 이러한 본체(M)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ain body (M) serves to condition the air, and the support structure 1000 serves to support the main body (M).

이러한 본체(M)는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거나,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면서 급기시키도록 구성된다.The main body M is configured to purify indoor air while supplying it back into the room after sucking it, ventilate while exchanging indoor air with outdoor air, or supply air while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즉, 본체(M)는 청정모드로 가동 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필터(60)링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하도록 구성되며, 환기모드로 가동 시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요리모드로 가동시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실내로 급기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main body (M) is configured to suck indoor air, filter (60), and supply air back to the room when operating in the clean mode.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o the outdoors, and is configured to introduce outdoor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air to the room when operating in the cooking mode.

그리고, 본체(M)는 정화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 is configured in plurality so that the inlets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purification and ventil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본체(M)는 정화 시(청정모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환기 시(환기모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되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서, 제1 실내유입구(11)와 제2 실내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M is configured in plurality so that the in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purification (clean mode) and the in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ventilation (ventilation mo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wo,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second indoor inlet 12 may be formed.

이하, 본체(M)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in body 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본체(M)는 제1 실내유입구(11), 제2 실내유입구(12), 실외유입구(20), 실내배출구(30), 실외배출구(40), 제1 공기유로(P1), 제2 공기유로(P2)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M includes a first indoor inlet 11, a second indoor inlet 12, an outdoor inlet 20, an indoor outlet 30, an outdoor outlet 40, a first air flow path P1, and a second air A flow path P2 is formed.

상기 제1 실내유입구(11)는 정화 시(청정모드)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제2 실내유입구(12)는 환기 시(환기모드)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The first indoor inlet 11 is a portion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during purification (cleaning mode), and the second indoor inlet 12 is a portion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during ventilation (ventilating mode).

이때 제1 실내유입구(11)는 본체(M)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실내유입구(12)는 제1 실내유입구(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door inlet 11 may be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M, and the second indoor inlet 12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indoor inlet 11 .

일례로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대체적으로 공기보다 무거워서 실내의 하부에 정체되는데, 급기 장치(A)의 청정모드 가동 시 본체(M)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원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실내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As an example, pollutants contained in indoor air are generally heavier than air and are stagn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om. It can be sucked from the room smoothly and effectively.

그리고, 상기 실외유입구(20)는 공기조화기(A)의 환기모드 가동 시 혹은 요리모드 가동시에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In addition, the outdoor inlet 20 is a portion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when the air conditioner (A) operates in the ventilation mode or in the cooking mode.

또한, 실내배출구(30)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부분인데, 즉 청정모드 시에는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출(급기)되고, 환기모드/요리모드 시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급기)된다.In addition, the indoor exhaust port 30 is a part through which indoor air or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at is, indoor air is discharged (supplied) into the room in the clean mode, and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n the ventilation mode/cooking mode. (supply air) becomes

이러한 실내배출구(30)는 제2 실내유입구(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door outlet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indoor inlet 12 .

이와 같은 배치구조로 인하여,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실내의 상부 공간으로 급기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급기되는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기되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는 바람이 부는 것처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경우에 따라서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다.Due to this arrangement, the air (indoor air and outdoor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outlet 30 may be supplied to the upper space of the room. This can prevent users in the room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and affected by the supplied air. For example, the user may feel as if the wind is blowing by the supplied air, which may cause discomfort in some cases.

이에 따라, 실내배출구(30)를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급기되는 공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or prevent the influence of the supplied air by locating the indoor outlet 30 at the relatively upper portion.

나아가, 실외배출구(40)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환기모드 시 본체(M)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urthermore, the outdoor outlet 40 is a par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serves to discharg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M to the outside in the ventilation mode.

그리고,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에는 각각 공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실내댐퍼(91)와 실외댐퍼(92)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실내댐퍼(91)는 제1 실내유입구(11)를 개폐하고 실외댐퍼(92)는 실외유입구(20)를 개폐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may be equipped with an indoor damper 91 and an outdoor damper 92 configured to selectively allow the inflow of air, respectively. That is, the indoor damper 91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damper 92 may open and close the outdoor inlet 20 .

한편, 상기 제1 공기유로(P1)는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와 실내배출구(30)를 연결하는 유로인데, 청정모드 시 제1 실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와, 환기모드/요리모드 시 실외유입구(20)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기 위해 상측의 실내배출구(30)까지 유동되는 통로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ir flow path P1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and the indoor outlet 30. It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inlet 20 in the ventilation mode/cooking mode flow to the indoor outlet 30 on the upper side to be supplied to the room.

또한, 제2 공기유로(P2)는 제2 실내유입구(12)와 실외배출구(40)를 연결하는 유로인데, 환기모드 시 제2 실내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기 위해 상측의 실외배출구(40)까지 유동되는 통로이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flow path P2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indoor inlet 12 and the outdoor outlet 40. In the ventilation mode,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second indoor inlet 12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It is a passage that flows to the outdoor outlet 40 on the upper side.

이와 같은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는 상호 교차하는 구조로서, 구체적으로 제2 공기유로(P2)가 제1 공기유로(P1)를 가로지르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air flow path P1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P2 intersect each other, and specifically, the second air flow path P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ir flow path P1 crosses.

아울러,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는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실내배출구(30)와 실외배출구(40)는 제2 실내유입구(12)의 상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door outlet 30 and the outdoor outlet 40 are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door inlet 12 . can be placed as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유로(P1)에는 급기팬(50)과 필터(6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fan 50 and the filter 60 are mounted in the first air passage P1.

여기에서 급기팬(50)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되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Here, the air supply fan 5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no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door outlet 30 in the first air passage P1.

구체적으로, 급기팬(50)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의 하측에 위치된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supply fan 50 may be built in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outlet 30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급기팬(50)을 작동 시 작동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거주자에게 작동소음이 직접적으로 크게 들릴 수 있으며, 반대로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되지 않고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의 아래에 장착된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된 경우에는 실내거주자에게 작동소음이 상대적으로 작게 들리게 된다.When the air supply fan 50 is operated, operating noise is generated. When the air supply fan 50 is disposed on the indoor outlet 30 side, the air suppli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outlet 30 operates to the indoor occupants. The noise can be heard directly, and on the contrary, the air supply fan 50 is not disposed on the indoor outlet 30 side,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is mounted under the indoor outlet 30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If it is built in the lower part, the operating noise is relatively low for indoor residents.

즉,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거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인데 반하여,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배출구(30)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되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내장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본체(M)의 케이스에 의해 작동소음이 차단되며, 나아가 작동소음이 실내배출구(3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함께 나아가는 과정에서 열교환소자(8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소음크기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ir supply fan 50 is disposed on the indoor outlet 30 side, it is almost exposed to the outside, whereas when it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 it is relatively far from the indoor outlet 30 . As it is positioned and has a built-in structur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operating noise is blocked by the case of the main body (M), and further, the heat exchange element ( 80), the noise level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필터(60)는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filter 6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

이러한 필터(60)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 먼지 등을 걸러내어 실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lter 60 may filter out contaminants, dust, etc. contained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to block the in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room.

구체적으로, 필터(60)는 제1 공기유로(P1)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는 구조로서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lter 60 has a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ir flow path P1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나아가, 필터(6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lter 60 may be detachably mounted for easy replacement.

그리고, 상기 제2 공기유로(P2)에는 배기팬(70)이 장착되는데, 일례로서 실외배출구(40) 측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exhaust fan 70 is mounted on the second air passage P2,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door exhaust port 40 side as an example.

한편, 상기 열교환소자(80)는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의 교차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may be moun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ir flow path (P1)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P2).

이러한 열교환소자(80)는 환기모드 시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상호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서로 상이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하며 서로 열을 교환하도록 하여, 콜드 드래프트와 같은 찬 외기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난방 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element 80 may be configured so that air (outdoor air and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second air passage P2 in the ventilation mode exchanges hea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by allowing outdoor air and indoor air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to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and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the influence of cold outdoor air such as a cold draft can be minimized, and energy can be saved during heating.

구체적으로, 열교환소자(80)는 내부가 제1 채널(81)과 제2 채널(82)로 구획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annel 81 and a second channel 82 .

상기 제1 채널(81)은 제1 공기유로(P1)와 연결되고, 제2 채널(82)은 제2 공기유로(P2)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채널(81)과 제2 채널(82)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hannel 81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second channel 8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P2, and 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81 and The second channels 8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disposed.

아울러, 제2 채널(82)은 제2 실내유입구(12) 측에 배치되어 제2 실내유입구(12)와 연결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hannel 8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indoor inlet 12 side and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econd indoor inlet 12 .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1 채널(81)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 채널(82)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를 따라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을 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81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nnel 82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P2, respectively. ) and exchanging heat with each other.

그리고,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 측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향하여 배치된 자외선램프(U)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ltraviolet lamp U disposed towar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may be mounted.

즉, 자외선램프(U)는 제1 공기유로(P1)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ultraviolet lamp U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first air flow path P1.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pposite first indoor inlet 11 and outdoor inlet 20 .

이에 따라 청정모드 시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환기모드 시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자외선램프(U)가 발산되는 자외선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산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해가스 및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door ai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indoor inlet 11 in the clean mode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 through the outdoor inlet 20 in the ventilation mode are treated by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by the ultraviolet lamp U. It can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oxidize pollutants, and remove harmful gases and odors.

아울러, 상기 필터(60)는 자외선램프(U)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ltraviolet lamp (U).

필터(60)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60)링하면서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곰팡이 생성될 수 있는데, 자외선램프(U)의 자외선에 의하여 이와 같은 세균증식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60 filters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through the filter 60 so that bacteria can proliferate and mold can be generated. This can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and the formation of mold.

그러면, 상술된 본체(M)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창틀형 급기 장치(A)의 청정모드, 환기모드 및 요리모드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clean mode, the ventilation mode, and the cooking mode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M)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먼저, 창틀형 급기 장치(A)에서 청정모드가 가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내유입구(11) 측의 실내댐퍼(91)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내의 실내공기가 제1 실내유입구(11)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내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다시 실내로 급기된다.First, when the clean mode is activated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s shown in FIG. 6 , the indoor damper 91 on the first indoor inlet 11 side is opened and the air supply fan 50 operates, so that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Specifically, in the first air passage P1, as the indoor air rises, the filter 60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are connected. After passing through, air is supplied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outlet 30 on the upper side.

참고로, 도면부호 RA는 리턴공기(Return Air)이고, SA는 공급공기(Supply Air)이다.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RA denotes return air, and SA denotes supply air.

그리고, 창틀형 급기 장치(A)에서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70)이 작동함으로써, 실내의 실내공기가 제2 실내유입구(12)로 유입되어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외배출구(40)를 통해 실외로 배기EA)된다.And, when the ventilation mode is operated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s shown in FIG. 7 , the exhaust fan 70 operates, so that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door inlet 12 and the secon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2, it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outdoor outlet 40 on the upper side.

아울러 이러한 배기와 함께 급기도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때 급기에 대해 설명하면, 실외유입구(20) 측의 실외댐퍼(92)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외의 실외공기가 실외유입구(20)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외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exhaust, and when the air supply is described, the outdoor damper 92 on the outdoor inlet 20 side is opened and the air supply fan 50 operates, so that the outdoor air is transferred to the outdoor inlet 20. It flows into the air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Specifically, in the first air passage P1, the outdoor air rises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and then the upper indoor outlet 30.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참고로, 도면부호 OA는 외부공기(Outdoor Air)이고, EA는 배출공기(Exhaust Air)이다.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OA denotes outdoor air, and EA denotes exhaust air.

그리고, 창틀형 급기 장치(A)에서 요리모드가 가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유입구(20) 측의 실외댐퍼(92)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외의 실외공기가 실외유입구(20)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외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다만 요리모드에서 실내공기의 외부 배출이 없어서, 열교환소자(80)에서 열교환은 없다.And, when the cooking mode is activated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s shown in FIG. 8, the outdoor damper 92 on the outdoor inlet 20 side is opened and the air supply fan 50 operates,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outdoor inlet 2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flow path P1. Specifically,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the outdoor air rise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60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and then on the upper 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outlet (30) of the. However, since there is no external discharge of indoor air in the cooking mode, there is no heat exchange in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

한편, 상기 지지구조물(1000)은 상술된 본체(M)의 하부에 조립되어, 본체(M)를 받쳐서 상방지지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tructure 1000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body (M),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dy (M) and to support upward.

이러한 지지구조물(10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된 상부지지체(200)와 하부지지체(3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부지지체(200)는 개방된 하부로부터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공(200a)을 가지며, 하부지지체(300)는 상부지지체(200)의 중공(200a)에 삽입체결되어 상부지지체(200)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structure 1000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200 and a lower support 300 connected in a telescopic structure to be slidably movable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upper support 200 is an open It has a hollow 200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and the lower support 30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hollow 200a of the upper suppor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200 in a telescopic structure.

이에 따라, 상부지지체(200)와 하부지지체(300)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높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지지구조물(1000)의 상부에 조립된 본체(M)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창틀형 급기 장치(A)가 다양한 창틀(1)의 높이에도 호환되게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support 200 and the lower support 30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verall length (height) is variable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M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structure 1000 . As can be adjusted, the window frame-type air supply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compatible with the height of various window frames (1).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는 본체(M)가 창틀(1)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고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창틀(1)과 창문(2)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정화와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1) to suck in indoor air and then purify it while supplying it back into the room or ventilate while exchanging indoor air with outdoor air It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window frame (1) and the window (2), or by being configur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indoor room, it is possible to smoothly purify and ventilate the indoor ai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화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하부의 공기를 정화 시(청정모드 시) 하측의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고온의 실내 상부의 공기를 환기 시(환기모드 시) 상측의 제2 실내유입구(12)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lets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ar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ring purification and ventilation, so that when purifying the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room containing contaminants (in the clean mode), the lower first room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ck in air from the room through the inlet 11 and efficiently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upper air from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inlet 12 on the upper side when ventilating (in ventilation mode).

또한, 본 발명은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이 아닌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되게 구성됨으로써, 실내배출구(30)에서 직접적으로 급기팬(50)의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아울러 작동소음이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서 실내배출구(30) 측으로 공기와 함께 나아가는 과정에서 열교환소자(80)에 의해 걸러짐에 따라, 소음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supply fan 50 is built in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rather than the indoor outlet 30 side, the operation noise of the air supply fan 50 is generated directly at the indoor outlet 30 . In addition, as the operating noise is filtered out by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to the indoor outlet 30 side along with the air, the noise level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 측에 자외선램프(U)가 구성됨으로써,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자외선에 의해 처리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산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해가스 및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V lamp U is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in the first air flow path P1, so that the first indoor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20 are provided. By treating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UV rays, it is possible to steriliz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and oxidize contaminants, and also remove harmful gases and odors.

나아가, 본 발명은 필터(60)가 자외선램프(U)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외선램프(U)의 자외선에 의하여 필터(60)의 세균증식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60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ltraviolet lamp U,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growth and mold generation of the filter 60 by the ultraviolet rays of the ultraviolet lamp U.

한편, 이 실시예에서, 급기팬(50)과 배기팬(70)의 용량, 즉 풍량이 서로 일치하지는 않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창틀형 급기장치(A)가 요리모드를 포함하며, 요리모드에서는 급기팬(50)은 후드(H)에 대응되는 급기를 제공해야 한다. 반면에 환기모드에서는 배기팬(70)에 대응되는 공기량만 제공하면 되므로, 급기팬(50)의 최대 용량이 배기팬(70)의 최대 용량보다 큰 것을 적용하여 요리모드에서 원활한 급기량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capacity of the air supply fan 50 and the exhaust fan 70, that is, the air volume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includes a cooking mode, and in the cooking mode, the air supply fan 50 should provide air supply corresponding to the hood (H). On the other hand, in the ventilation mode, only th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fan 70 needs to be provided, so the maximum capacity of the supply fan 50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apacity of the exhaust fan 70 to provide a smooth air supply amount in the cooking mode. it can be advantageous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의 다른 실시예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창틀(1; 도 2 참고)에 설치되며, 기본적 구조는 도 2 내지 10 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에서 제3 공기유로(P3)가 형성된 추가 급기부(100)를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1 .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1 (refer to FIG. 2 ), and the basic structure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2 to 10 . Specifically,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S. 2 to 10 except for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in which the third air flow path P3 is formed in FIG. 11 ,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will be omitted.

추가 급기부(100)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추가 실외유입구(105) 및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105)를 통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추가 실내배출구(1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105)와 추가 실내배출구(102)를 연결하는 제3 공기유로(P3)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기유로(P3)에는 추가 급기팬(101)과 필터(103)가 장착된다.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outdoor inlet 105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an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105, wherein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 third air flow path P3 connecting the 105 and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is formed, and the third air flow path P3 is equipped with an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and a filter 103 .

추가 실내배출구(102)는 댐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서, 추가 급기팬(1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추가 실내배출구(102)가 개폐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may be configured as a damper, and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may be opened and clos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

도 11 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 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청정모드, 환기모드, 요리모드를 포함하며, 그에 추가하여 요리모드2를 더 포함한다.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1 will be described. 11 includes a clean mode, a ventilation mode, and a cooking mo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10 , and further includes a cooking mode 2 in addition thereto.

청정모드, 환기모드, 요리모드의 경우에 도 2 내지 도 10과 동일하게 동작하되 상기 추가 급기부(100)의 추가 실내배출구(102)는 닫혀 있으며, 추가 급기팬(101)은 동작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clean mode, ventilation mode, and cooking mod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in FIGS. 2 to 10 , but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of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is closed, and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does not operate.

요리모드2의 경우에 추가 급기부(100)를 제외하고는 요리모드와 동일하다. 요리모드2 는 후드(H)의 배기량에 비하여 급기량이 부족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가 후드(H)의 동작 단수에 따라서 혹은 실내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추가 급기부(100)를 동작시키는 요리모드2 를 수행할지 아니면 요리모드를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oking mode 2, except for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it is the same as the cooking mode. Cooking mode 2 may be performed when the air supply amoun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exhaust amount of the hood (H),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 stages of the hood (H) or a change in room pressur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cooking mode 2 or to perform cooking mode.

창틀형 급기 장치(A)에서 요리모드2가 가동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유입구(20) 측의 실외댐퍼(92)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외의 실외공기가 실외유입구(20)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외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When cooking mode 2 is activated in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as shown in FIG. 11, the outdoor damper 92 on the outdoor inlet 20 side is opened and the air supply fan 50 operates, so that the outdoor air It flows into the outdoor inlet 2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P1. Specifically, in the first air passage P1, the outdoor air rises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60 and the heat exchange element 80, and then Air is supplied in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outlet (30).

또한, 추가 급기부(100)의 추가 실내배출구(102)가 열리며, 추가 급기팬(101)이 작동함으로써, 실외의 실외공기가 추가 실외유입구(110)로 유입되어 제3 공기유로(P3)를 통과하여, 추가 실내배출구(102)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of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is opened, and as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operates, outdoor outdoor air flows into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110 and a third air flow path (P3) Through the ,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102).

이때, 추가 급기팬(101)은 급기팬(50)과는 상이한 타입의 급기팬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기를 멀리 보낼 수 있는 서큘레이터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may be a different type of air supply fan than the air supply fan 50 may be appli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irculator that can send air far away.

도 11 의 실시예에서는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추가 급기부(100) 및 요리모드2 를 포함하여, 후드(H)의 배기량에 대응되는 공기량을 공급할 수 있다. 통상 환기모드를 포함하는 급기 장치의 경우에 실내로 흡입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량이 동일하도록 동일한 용량의 급기팬(50), 배기팬(70)을 사용하는데, 급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배기팬까지 용량이 증가되는 것은 비용적으로도 불필요하므로, 추가 급기팬(10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기팬(70)의 용량에 상관없이 급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1 ,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may supply an air amount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amount of the hood (H), including the additional air supply unit 100 and the cooking mode 2 . In the case of the ai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normal ventilation mode, the air intake fan 50 and the exhaust fan 70 of the same capacity are used so that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room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are the same. Since it is not necessary in terms of cost to increase the capacity to the fan,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ir supply amount can b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capacity of the exhaust fan 70 when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is used.

또한, 요리모드2에서만 추가 급기팬(101)이 동작하므로, 통상의 급기팬과 다른 급기팬, 예를 들면 서큘레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기모드에서는 공기를 멀리 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큘레이터를 급기팬(50)을 적용하는 것이 불필요하나, 추가 급기팬(101)이 동작한다는 것은 요리모드2가 가동된 것으로 후드(H)에서 많은 양의 공기를 빨아드리고 있다는 것이므로, 빠른 공기 공급을 위하여 추가 급기팬(101)에 서큘레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operates only in cooking mode 2, it is possible to apply an air supply fan different from a normal air supply fan, for example, a circulator. In the ventilation mode, it is unnecessary to apply the air supply fan 50 to the circulato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end the air far away, but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means that the cooking mode 2 is activated, and a large amount of Since the air is sucked in, it may be advantageous to apply a circulator to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101 for fast air supply.

도 12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창틀형 급기 장치(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의 창틀형 급기 장치(A)의 경우 기본 구조는 도 2 내지 10 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12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ase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of FIG. 12,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10, so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도 12 의 창틀형 급기 장치(A)는 실내배출구(30)에 복수의 베인(31, 32)이 설치된다. 베인(31, 32)은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공기의 흐름을 좌우로 변경시키는 제 1 베인(31)과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공기의 흐름을 상하로 변경시키는 제 2 베인(32)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베인(31, 32)은 복수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of FIG.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nes (31, 32) at the indoor outlet (30). The vanes 31 and 32 include a first vane 3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hanging the flow of air to the left and right, and a second vane 32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hanging the flow of air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vanes 31 and 32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nes.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베인(31, 32)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의 방향은 일정주기로 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31 and 32 is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at regular intervals.

도 13 에는 도 12 의 실시예에 따라서, 요리모드가 수행될 때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도시되 개략도이다. 도 13 에서 보이듯이, 제 2 베인(32)에 의해서 창틀형 급기 장치(A)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향(I) 및 하향(II)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베인(31)을 통하여 공급 공기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요리모드에 들어가면,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베인(31, 32)을 조절하여 후드(H)로 공기가 공급되기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재실자를 고려하여 실 중앙 및 상부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 구동부가 없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베인(31, 32)이 실 중앙 및 상부 방향을 향하게 안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방향은 수평을 기준으로 상향을 의미한다.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when the cooking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 13, the air supplied from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by the second vane 32 can be adjusted upward (I) and downward (II).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supply air through the first vane (31). When entering the cooking mod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vanes 31 and 32 to switch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advantageously supplied to the hood H, preferab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the occupants. can be adjusted, and when there is no separate driving unit, it may be advantageous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vanes 31 and 32 toward the center of the chamber and the upper direction. In this case, the upward direction means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도 14 에는 요리모드를 동작하기 위한 창틀형 급기 장치(A)의 제어부(미도시)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1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A for operating the cooking mode.

도 14 에서 보이듯이, 제어부는 후드(H)의 동작을 감시한다(S100). 이때 동작을 감시한다는 것은 적극적으로 센서를 통하여 후드(H)의 동작을 감시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될 후드(H) 동작신호를 대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14, the control unit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hood (H) (S100). At this time, monitoring the operation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actively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H through the sensor, but also waiting fo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hood H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후드(H)의 동작을 감시하다가 후드(H)가 동작되는 경우(S110)에는 요리모드를 동작시킨다(S120), 후드(H)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S110)에는 후드(H)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While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H), when the hood (H) is operated (S110), the cooking mode is operated (S120), and when the hood (H) is not operated (S110), the hood (H) is continuously operated (S110). monitor

요리모드의 정지에도 상기 제어와 유사한 제어가 수행된다. 즉, 후드(H)의 동작을 감시하고, 후드(H)가 정지되는 경우에 요리모드를 중지하게 된다. Control similar to the above control is performed even when the cooking mode is stopp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hood (H) is monitored, and when the hood (H) is stopped, the cooking mode is stopp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 : 창틀 2 : 창문
A : 공기조화기 M : 본체
11 : 제1 실내유입구 12 : 제2 실내유입구
20 : 실외유입구 30 : 실내배출구
40 : 실외배출구 P1 : 제1 공기유로
P2 : 제2 공기유로 50 : 급기팬
60 : 필터 70 : 배기팬
80 : 열교환소자 81 : 제1 채널
82 : 제2 채널 U : 자외선램프
91 : 실내댐퍼 92 : 실외댐퍼
1000 : 지지구조물 100 : 추가 급기부
101: 추가 급기팬 102 : 추가 실내배출구
103: 필터 105 : 추가 실외유입구
200 : 상부지지체 300 : 하부지지체
1: window frame 2: window
A : Air conditioner M : Main body
11: first indoor inlet 12: second indoor inlet
20: outdoor inlet 30: indoor outlet
40: outdoor outlet P1: first air flow path
P2: second air flow path 50: air supply fan
60: filter 70: exhaust fan
80: heat exchange element 81: first channel
82: second channel U: UV lamp
91: indoor damper 92: outdoor damper
1000: support structure 100: additional air supply
101: additional air supply fan 102: additional indoor outlet
103: filter 105: additional outdoor inlet
200: upper support 300: lower support

Claims (13)

창틀에 설치되는 창틀형 급기 장치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에 설치된 후드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급기팬을 동작시키는 요리모드를 수행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It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n air supply fan that supplies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an;
The control unit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for performing a cooking mode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fa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od installed in the 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다른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후드의 동작 관련 신호에 따라서, 요리모드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he control unit operates or stops the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related signal of the hood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동작시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supply fan and the exhaust fan to perform a ventilation mode in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ex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서, 요리모드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The control unit operates or stops the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정화 또는 급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실내유입구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실내유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제2 실내유입구,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유입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배출구,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 및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실외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에는 상기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기유로에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제2 공기유로의 교차영역에는 열교환소자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body having at least one first indoor in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purification or air supply, and at least one second indoor inlet different from the first indoor inlet while indoor air is introduced from the room during ventilation; includes,
The first indoor inlet and the second indoor inlet, an outdoor in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 indoor outlet through which indoor air or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an outdoor outle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e first indoor inlet and the outdoor inlet and a first air passage connecting the indoor outlet and a second air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indoor inlet and the outdoor outlet are formed;
The air supply fan and the filter are mounted on the first air flow path, the exhaust fan is mounted on the second air flow path, and a heat exchange element is mounted at an intersection area of the first air flow path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제 5 항에 있어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추가 실외유입구 및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를 통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추가 실내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와 추가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3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기유로에는 추가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outdoor in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an additional indoor out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 third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nd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is formed,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an additional air supply fan and a filter are mounted in the third air passa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는 상기 제2 실내유입구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door inlet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indoor inle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내유입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 실내배출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indoor inlet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indoor inlet is disposed above the first indoor inlet,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low the first indoor inl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급기팬은 서큘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dditional air supply fan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tor.
제 3 항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실외유입구.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실내배출구,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실내유입구 및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실외배출구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 및 상기 실내유입구와 상기 실외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n outdoor inlet for introducing outdoor air. A body having an indoor outle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 indoor inlet for introducing indoor air, and an outdoor outlet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air passage connecting the outdoor inlet and the indoor outlet and a second air passage connecting the indoor inlet and the outdoor outlet are formed.
제 10 항에 있어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추가 실외유입구 및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를 통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추가 실내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외유입구와 추가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3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공기유로에는 추가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outdoor in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an additional indoor outle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 third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additional outdoor inlet and the additional indoor outlet is formed,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an additional air supply fan and a filter are mounted in the third air passa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배출구에는 공기 공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1 베인 및 공기 공급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베인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first vane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vane for adjusting the air supply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posed at the indoor outl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배출구에는 공기 공급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베인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요리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제 2 베인은 공기 공급 방향을 수평보다 상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모드를 가지는 창틀형 급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vane for adjusting the air supply direction up and down is disposed at the indoor outlet,
When the controller performs the cooking mode, the second vane is a window frame type air supply device having a cook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guiding the air supply direction upward rather than horizontally.
KR1020200102966A 2020-08-18 2020-08-18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KR202200221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6A KR20220022149A (en) 2020-08-18 2020-08-18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6A KR20220022149A (en) 2020-08-18 2020-08-18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149A true KR20220022149A (en) 2022-02-25

Family

ID=8049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966A KR20220022149A (en) 2020-08-18 2020-08-18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14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938A (en) 2012-08-02 2014-02-12 동 규 김 A ventil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938A (en) 2012-08-02 2014-02-12 동 규 김 A ventil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696B1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having bypass and recirculation function
KR101943629B1 (en) A Aentilation System of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KR102242771B1 (en) Window type Air cleaner
KR101959671B1 (en) Combined Type Fan Coil Unit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ion and Air purifier
KR101115314B1 (en) Ventilating apparatus with smoke removal function on fire
KR100580288B1 (en) Inhalation unit for ventilation with steriliz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function
KR101931726B1 (en) A Aentilation System of a Convergence Heat Exchanger
KR20190050879A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N108302685B (en) Air circulation system having internal air circulation, discharge and suction functions
KR20180045896A (en) A window ventilation system equipped having a heat exchange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090022638A (en) A ventilating apparatus
KR102319017B1 (en) Ventilation apparatus with function of preventing condensation of total heat exchanger and notifying operation of outside air cooling and heating
US20200049367A1 (en) Air blowing device and indoor air conveying system using same
KR20220008560A (en) A Ventilator
KR20180014122A (en) Ventilator
KR20190044032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0582457B1 (en) Transfering heat exchanger with purification mode
KR102394171B1 (en) Heat recovering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sterilization means
KR20000056583A (en) Air-conditioner
KR102136361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KR20220022149A (en) Window Frame Type Air Supplier Having Cooking Mode
KR100845836B1 (en) ventil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353104Y1 (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troducing air clean ventilation system with high filtering efficiency for saving energy
KR102266306B1 (en) Generation ventilation system using fan separated type range hood
KR20140025212A (en) Eco-master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