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700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700A
KR20220021700A KR1020200102587A KR20200102587A KR20220021700A KR 20220021700 A KR20220021700 A KR 20220021700A KR 1020200102587 A KR1020200102587 A KR 1020200102587A KR 20200102587 A KR20200102587 A KR 20200102587A KR 20220021700 A KR20220021700 A KR 2022002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rotation
unit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김영종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700A/ko
Priority to PCT/KR2021/010571 priority patent/WO2022035181A1/en
Priority to US17/401,776 priority patent/US2022004939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및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일방향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에 따른 회전이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각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LAU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내에 회전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드럼 내부에는 회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는 드럼 내부에서 회전되어 수류를 형성할 수 있고, 회전부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는 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기둥부의 외주면에는 기둥부의 회전 시 수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관련하여, 미국 등록특허 US 839,997 에는 일부 구간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되 나머지 구간에서 기둥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부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839,997의 회전부는 회전 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블레이드가 일부 구간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며, 해당 형상에서는 회전 시 물이 상승하는 상승수류 또는 물이 하강하는 하강수류는 형성되기 어렵다.
한편, 미국 등록특허 US 5,301,523 에는 회전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5,301,523 의 회전부는 교번하는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을 통해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고 세탁물을 분산시키며,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와 같이 블레이드를 이용한 입체적인 수류 형성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KR 10-2012-0082759 에는 회전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며 회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회전부의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KR 10-2012-0082759 는 회전부의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을 통해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고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블레이드의 형상을 통한 입체적인 수류 형성이나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을 이용한 수류 형성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물의 상승이나 하강이 유도되는 입체적인 수류가 형성되는 것은 세탁물과 물의 교반 효과가 증대되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전모션을 수행하는 것은 입체적인 수류 형성을 통한 세탁 효율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체적인 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세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부의 회전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개선하면서 입체적인 수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회전부의 다양한 회전모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회전부의 다양한 회전모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의류처리장치의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가 존재하는 경우, 회전부는 좌우교반 시의 좌우방향으로 구동부에 의한 회전부의 회전량, 예컨대 회전각도가 일정하거나 기어비율을 조절하여 감속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에 구비되는 회전부가 경사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에 따른 수류 특성을 활용하여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의 회전량에 편차를 두어 회전부의 승강모션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 로더(TOP LOADER)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일 수 있고, 회전부는 경사진 블레이드를 통해 수류가 상승 및 하강하는 입체적인 세탁이 진행될 수 있다.
탑 로더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간의 마찰을 일으키거나 수류가 세탁물을 통과하며 의류의 세탁이 진행될 수 있다. 탑 로더 방식은 평면세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세탁 시 세탁물의 손상 여지가 발생하나 세탁시간이 적고 세정비가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사진 형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회전부의 모션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상기 평면세탁에 따른 장점을 향상시키고 단점은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의 회전모션은 통상의 회전방식과 수류의 승강 및 하강을 고려한 모션이 제시될 수 있다. 일반모션에서 회전부는 구동부의 회전량, 즉 회전부의 회전각도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일정한 반복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모션 중 파워모션에서 회전부는 일방향 및 타방향, 즉 좌우교반의 각도가 강, 강, 약, 약으로 회전되어 세탁물의 유동과 수류를 강하게 하면서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억제하고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모션 중 바스켓모션은 회전부가 드럼과 함께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지며 회전되되, 좌우교반 회전각도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회전모션 중 알파모션은 회전부가 드럼과 함께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지며 회전되되 일방향 또는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모션은 승강모션을 포함할 수 있고, 승강모션은 상승모션 및 하강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션은 상승수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회전모션이며, 하강모션은 하강수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회전모션이다.
승강모션에서 회전부는 일방향 회전 이후 타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고, 일방향 회전이 타방향 회전보다 큰 회전각도를 가질 수 있다. 하강모션에서 회전부는 타방향 회전 이후 일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고, 타방향 회전이 일방향 회전보다 큰 회전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다양한 회전모션을 통해 세탁행정에서 세탁물의 재질, 함습 특성 및 부하량에 따라 최적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부로는 구현할 수 없는 입체적인 수류 형성과 회전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드럼, 회전부,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일방향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일방향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에 따른 회전이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각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타방향 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션은 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상승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승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제1회전량만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량보다 적은 제2회전량만큼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승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된 이후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세제가 공급되고 의류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과정 시작 이후 제1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척과정 이후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하는 헹굼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헹굼과정 시작 이후 제2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종료 이후 제3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에 대한 분포균일도를 판단하는 분포판단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포판단과정에서 상기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이면, 상기 분포판단과정 이후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션은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강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타방향으로 제3회전량만큼 회전하고,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제3회전량보다 적은 제4회전량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 중 상기 터브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회전부가 상기 하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승강모션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각각으로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는 강회전모션 및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각각으로 상기 제5회전량보다 적은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는 약회전모션을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강회전모션을 수행한 이후 상기 약회전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고, 이후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며, 이후 상기 어느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고, 이후 상기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세제가 투입되고 의류의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는 헹굼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과정 또는 상기 헹굼과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션은 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상승모션을 포함하며,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종료 이후 제1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고, 상기 제1기준시간 이후 상기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션은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강모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부가 상기 급수량이 상기 기준급수량 미만인 경우에 수행되는 상기 파워모션의 적어도 1회 이상을 상기 하강모션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드럼 각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드럼이 함께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각각으로 제7회전량만큼 회전되는 바스켓모션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 및 기어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세트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1회전축을 상기 제2회전축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도록 마련되는 클러치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드럼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과정에서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가 함께 상기 바스켓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드럼이 함께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제8회전량만큼 회전되는 알파모션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과정에서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가 함께 상기 알파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 이후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하는 헹굼단계 및 상기 헹굼단계 이후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에 따른 회전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일방향의 회전량과 상기 타방향의 회전량이 상이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체적인 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세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회전부의 회전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꼬임 현상을 개선하면서 입체적인 수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회전부의 다양한 회전모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회전부의 다양한 회전모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축과 기어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회전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회전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일반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반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상승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상승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하강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하강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파워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파워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바스켓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바스켓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회전부의 알파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알파모션에 따른 회전부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의 세탁행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세척모션 수행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분포조절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상기 터브(20)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도 1은 상기 캐비닛(10)이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드럼(30)으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30)에 저장된 의류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의류개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의류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상면(11)에 의류개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11)에 상기 의류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의류개구(12) 및 의류도어(13)가 반드시 캐비닛(10)의 상면(11)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0)는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20)에는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되는 터브개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개구(22)를 형성할 수 있고, 터브개구(2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의류개구(12)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도 1에는 터브(20)의 상면이 개방되어 터브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개구(22)는 의류개구(12)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브(20)는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터브(20)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급수부(6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급수부(60)는 터브(20)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급수원과 터브(20)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독립적으로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거나, 타 구성을 통해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급수부(60)는 후술하는 세제공급부(25)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60)가 세제공급부(25)와 연결되는 경우, 급수부(60)는 세제공급부(25)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세제공급부(25)로 공급된 물이 터브(2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급수부(60)는 세제공급부(25)를 통해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급수부(60)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분사부는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터브(20) 내부로 직접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급수부(60)는 물분사부를 통하여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제가 저장되고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부(25)는 급수부(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부(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세제공급부(25)를 지나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25)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상면(11)에 설치되는 세제공급부(25)가 도시되어 있으나, 세제공급부(25)의 위치가 반드시 캐비닛(10)의 상면(1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0)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수부(65)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구비된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위해,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면(31)이 개방되어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방면은 상기 터브개구(22)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개구(2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30)의 내부와 외부, 즉 드럼(30)의 내부와 드럼(30)에 의해 구분되는 터브(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로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드럼(3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는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터브(20)의 외부에 고정되고,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30) 등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의류개구(12)는 캐비닛(10)의 상면(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개구(22)는 터브(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드럼(30)의 개방면은 드럼(30)의 상면(31)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 내부의 일정영역에 의류가 집중된 상태로 드럼(30)이 회전할 경우, 즉, 드럼(30) 내부에서 의류의 분포도 또는 분포균일도가 낮게 되면 상기 드럼(30)에 동적 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30)이 회전하면,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드럼(30)은 진동하면서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30)의 진동은 터브(20)나 캐비닛(10)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거나 감쇠시키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럼(30)의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밸런서(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세탁행정(P100)에서 급수부(60), 배수부(65), 구동부(50) 등을 제어하여 상기 세탁행정(P100)을 진행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행정(P100)은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의 포함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세탁행정(P100)에 포함될 각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세탁행정(P100)에서 수행되는 각 과정의 조합은 다양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은 세제공급부(25)로부터 터브(20)의 내부로 세제가 공급되고 급수부(6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의류, 즉 세탁물에 존재하는 이물을 세탁물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이다.
세척과정(P10)에서 세제가 공급되는 세제공급과정이나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P4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수로 진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시점에 진행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은 필요에 따라서 배수과정(P50)이나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판단하는 분포판단과정(P60)을 포함할 수 있다.
헹굼과정(P20)은 급수부(60)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세탁물에 잔존하거나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을 터브(20) 내부로부터 배출하는 과정이다. 이물은 물이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과정(P50)에서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헹굼과정(P20)은 물이 급수되는 급수과정(P40)과 물이 배출되는 배수과정(P50)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수로 진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시점에 진행될 수 있다.
탈수과정(P30)은 드럼(30)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탈수과정(P30)에서 드럼(30) 및/또는 회전부(100)의 회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회수만큼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상기 세탁행정(P100)에서 급수부(60), 배수부(65), 세제공급부(25) 및 기어세트(45) 등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60)에 의한 급수량과 세제공급부(25)에 의한 세제공급량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통해 조절될 수도 있고, 세탁물의 양 또는 구동부(50)의 부하 등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회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30)의 바닥면, 즉 하면(33)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의 회전으로 수류가 형성되고 세탁물과의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 및 회전부(100)와 결합되는 회전축(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축(40)을 통해 구동부(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40)은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바닥면에 제1회전축(41)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며 상기 제1회전축(41)에 대해 별도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42)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축(42)은 제1회전축(4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동부(50)는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으로 동력을 분배하고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어세트(45)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의 구동축은 상기 기어세트(45)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세트(45)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각각 상기 기어세트(45)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41)은 중공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회전축(42)은 상기 제1회전축(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실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서로 나란한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에 효과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유성기어 방식의 기어세트(45)가 도시되어 있고,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이 각각 상기 기어세트(45)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50)의 구동축은 유성기어 방식의 기어세트(45)에서 중앙의 선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이 회전되면 기어세트(45)는 선기어의 회전에 의해 위성기어 및 링기어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드럼(3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41)은 기어세트(45)의 최외곽에 위치되는 링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00)와 결합되는 제2회전축(42)은 기어세트(45)에서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위성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세트(45)는 각 회전축(40)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제한할 수 있는 클러치요소(4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러치요소(46)는 제1클러치요소(47) 및 제2클러치요소(48)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세트(45)는 터브(20)에 고정되는 기어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클러치요소(47)는 기어하우징에 마련되어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41)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클러치요소(48)는 구동축과 링기어의 회전을 상호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링기어의 회전 또는 제1회전축(41)의 회전은 제2클러치요소(48)에 의해 구동축과 동기되거나 동기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클러치요소(47) 및 제2클러치요소(48)가 해제 상태에 있게 되면, 유성기어의 회전 관계에 따라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드럼(30)과 회전부(1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클러치요소(47)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링기어 및 제1회전축(41)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2회전축(4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드럼(30)은 정지 상태에 있고 회전부(100)만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부(100)의 회전 방향은 구동부(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클러치요소(48)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구동축과 제1회전축(41)간의 회전이 상호 구속되고, 유성기어의 회전 관계에 의해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즉, 드럼(30)과 회전부(10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클러치요소(47) 및 제2클러치요소(48)가 동시에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이 모두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제어부(70)는 세탁과정 및 헹굼과정(P20) 등에서 구동부(50), 제1클러치요소(47) 및 제2클러치요소(48)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필요한 운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100)는 바닥부(110), 기둥부(150) 및 블레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의 하면(33)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의 하면(33)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하면(33)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제2회전축(42)은 상기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41)은 드럼(30)에 결합되고, 중공 형태의 제1회전축(41) 내부에 중실축으로 마련되는 제2회전축(42)은 상기 드럼(30)의 하면(33)을 관통하여 회전부(100)의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축(42)에 결합되는 회전부(100)는 드럼(3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부(100)는 드럼(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방향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70) 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1회전축(41)은 드럼(30)의 하면(33)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의 상면(31)이 개방되어 개방면이 형성되고 하면(33)이 바닥면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딩 방식에 해당하며, 드럼(30)은 상면(31)과 하면(33)을 연결하는 측면, 즉 외주면을 가질 수 있고, 회전의 밸런싱을 위해 드럼(30)의 단면은 원 형상일 수 있다. 즉, 드럼(3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100)의 바닥부(110)는 중앙에 제2회전축(42)이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을 향하는 일면, 즉 하면에 제2회전축(42)이 결합될 수 있고, 제2회전축(42)은 드럼(30)의 중앙을 관통하여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회전의 밸런싱을 고려하여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110)는 중앙에 결합된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바닥부(110)의 중앙은 드럼(30)의 중앙과 일치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기본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내용과 같이 돌출부(130)와 기둥부(150) 등의 연결관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하면과 드럼(30) 사이가 이격되어 회전에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바닥부(110)와 드럼(30)의 바닥면 사이 이격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50)는 바닥부(110)로부터 상기 개방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기둥부(1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 제조되어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의 중앙으로부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둥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기둥부(150)는 단면이 원 형상일 수 있고, 바닥부(110)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다양할 수 있다. 기둥부(150)의 상단부(154)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캡부(165)가 마련될 수 있다.
기둥부(150)는 측면이 곡면을 이루어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고, 회전부(100)는 블레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고,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기둥부(150)를 따라 연장되어 기둥부(150)의 회전 시 드럼(30) 내부에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부(110)측에서 상기 개방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70)는 대략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블레이드(170)가 기둥부(150)의 외주면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균등 배치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간의 이격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상호간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 또는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기둥부(150)의 외주면에서 바닥부(110)측으로부터 개방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연장된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블레이드(170)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회전부(100)가 회전되면 상기 기둥부(150)의 블레이드(170)에 의해 드럼(30) 내부의 물에는 상승 또는 하강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회전될 수 있고,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상기 타방향(C2) 측으로 경사지며 하단부(171)로부터 상단부(17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170)의 경사진 형태에 의해 상승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100)가 타방향(C2)으로 회전되면 블레이드(170)에 의해 하강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170)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수류 형성이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고, 블레이드(170)의 경사진 연장 형태에 의해 회전부(100)의 회전 시 단순한 회전형태의 수류가 아니라 드럼(30) 하부의 물이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상승수류 또는 드럼(30) 상부의 물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하강수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부(100)를 통해 입체적인 수류 형성이 가능하고, 따라서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를 적절히 활용하여 회전부(100)의 다양한 회전모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170)는 스크류 형태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110)를 향하는 하단부(171)로부터 상기 개방면을 향하는 상단부(173)까지 스크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부(150)는 상기 바닥부(110)를 향하는 하단부(152)에서 상기 개방면을 향하는 상단부(154)까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70)가 상기 외주면에 감겨지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상기 타방향(C2) 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하단부(171)에서 상기 상단부(17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는 바닥부(110) 또는 회전부(100)의 회전방향에 대해 경사각(A)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고, 블레이드(170)의 상단부(173)는 블레이드(170)의 하단부(171)보다 상기 타방향(C2)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경사방향이 연장 도중 타방향(C2)에서 일방향(C1)으로 변경되는 경우, 회전부(100)의 회전 시 블레이드(170)의 일부분은 상승수류를 발생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하강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물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170)가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상기 타방향(C2) 측으로만 경사지며 연장될 수 있으나,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이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방향(C1)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타방향(C2)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하단부(171)로부터 상단부(17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상기 하단부(171)로부터 상기 상단부(173)까지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연속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부분이 없이 전체로서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둥부(150)의 길이는 세탁성능과 구동부(50) 부하에 관계될 수 있다. 예컨대, 기둥부(150)의 길이가 증가되면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나 구동부(50)에 지나친 부하가 작용할 수 있고, 기둥부(150)의 길이가 감소되면 구동부(50)의 부하는 감소될 수 있으나 세탁성능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둥부(150)의 길이와 바닥부(110)의 직경간의 비가 결정될 수 있다. 기둥부(150)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게 되면 세탁물의 양이 많아 급수량이 많은 경우, 기둥부(150) 및 블레이드(170)에 의해 수류 등이 형성되는 영역이 전체 대비 감소되어 세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기둥부(15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게 되면 세탁과정에서 세탁물 및 물과 접촉되지 않는 기둥부(150)의 잉여길이가 과도하게 되므로 재료 손실로 이어지고 구동부(50)의 불필요한 부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0)는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수류 형성에 기여하고, 따라서 바닥부(110)와 기둥부(150)의 길이 관계는 바닥부(110)에 의한 수류의 영향과 기둥부(150)에 의한 수류의 영향을 결정하는 것에 해당된다.
돌출부(130)는 내측단부(133)가 기둥부(150)와 연결되며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는 메인돌출부(132), 한 쌍의 메인돌출부(132)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돌출부(132)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1서브돌출부(135) 및 제1서브돌출부(135)와 메인돌출부(132)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서브돌출부(135)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서브돌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의 직경은 기둥부(150)의 직경, 의류처리장치(1)의 터브(20)와 드럼(30)의 크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허용되는 세탁물의 용량 및 그에 따른 급수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기둥부(150)의 길이는 드럼(30)의 직경은 물론 드럼(30)의 높이, 기둥부(150)의 직경,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의 바닥면상에 위치되어 회전되므로, 드럼(30)의 직경에 대한 바닥부(110)의 직경이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바닥부(110)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 바닥부(110) 회전에 의한 수류의 영향이 지나치게 적을 수 있고, 바닥부(110)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 세탁물의 끼임 현상이 발생되기 용이하며 구동부(50) 부하 등에 따라 회전에 불리하게 된다.
드럼(30)의 직경은 의류처리장치(1)에서 허용되는 세탁물의 용량이나 급수량 및 터브(2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70)의 높이는 블레이드(170)에 의한 수류의 상승량 및 하강량과 구동부(50)의 부하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높이는 블레이드(170) 하단으로부터 불레이드(170) 상단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블레이드(170)의 높이가 낮을수록 블레이드(170)가 형성되는 영역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수류의 상승량 및 하강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70)의 높이가 높을수록 블레이드(170)에 의한 수류의 형성력이 강해지지만 구동부(50)의 부하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70)의 높이는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 기둥부(150)의 직경 등과 관계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높이는 드럼(30)의 크기, 바닥부(110)의 직경, 기둥부(150)의 높이, 돌출부(130)의 높이, 캡부(165)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연장방향을 따라 하단부(171)로부터 상단부(173)까지 연장된 길이는 블레이드(170)의 연장길이로 정의될 수 있고, 블레이드(170)의 하단부(171)에서 상단부(173)까지 높이는 블레이드(170)의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블레이드(170)의 높이에서 블레이드(170)가 기둥부(150)에 감기는 턴수가 증가되면 블레이드(170)의 연장길이는 늘어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높이에 따른 블레이드(170)의 연장길이가 길어지면 블레이드(170)와 물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물의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의 형성력이 증가될 수 있으나 회전부(100)의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수류의 형성력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 블레이드(170)의 연장길이가 지나치게 감소하면 회전부(100)의 회전 시 발생되는 구동부(50) 부하가 증가될 수 있고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의 형성력이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므로 세탁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연장길이는 블레이드(170)의 높이, 기둥부(150)의 직경,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 구동부(50)의 부하량, 수류 형성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에 대한 경사각(A)이 일정하게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바닥부(110)를 향하는 하단부(171)로부터 드럼(30)의 상면(31)을 향하는 상단부(173)까지 연장되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 또는 원주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연장되고,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에 대한 경사각(A)이 일정하게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이 변화하는 경우 기둥부(150)의 높이별로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이 변화하여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의 발생 수준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70)를 기둥부(150)의 외주면상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 변화에 의해 제조상 불리할 수 있고 제조방식에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170)의 경사각(A)이 일정하게 마련되면 기둥부(150)의 길이 전체에서 일정한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 형성이 기대될 수 있고, 기둥부(150) 및 블레이드(170)를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으로부터 상기 기둥부를 단순 회전시키며 분리 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상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20), 드럼(30), 급수부(60), 세제공급부(25), 회전부(100) 및 구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구비되고, 상면(31)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며,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60)는 상기 터브(20)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세제공급부(25)는 상기 터브(20)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하면(33)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상기 회전부(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회전부(100)와 상기 드럼(30) 각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50)는 회전축(40)을 통해 상기 회전부(100) 및/또는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40)은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회전축(41)은 상기 드럼(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회전축(42)은 상기 회전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어세트(45)는 상기 구동부(50)와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41) 및 상기 제2회전축(4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50)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41) 및 상기 제2회전축(42)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1회전축(41)을 상기 제2회전축(42)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도록 마련되는 클러치요소(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클러치요소(46)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30) 및 상기 회전부(1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클러치요소(46) 중 제2클러치요소(48)를 제어하여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을 상호 동기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하여 회전부(100) 및 드럼(30)의 회전모션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하면(33)상에 위치되는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170)가 마련되는 기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C2)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100)는 다양한 회전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션에는 일반모션 및 승강모션이 포함될 수 있고, 승강모션은 상승모션(M1) 및 하강모션(M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100)의 일반모션(M0)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모션(M0)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이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회전모션은 1회 사이클에서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이 각각 1회씩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회전모션의 1회 사이클에서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 회수는 각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수와 타방향(C2) 회전수가 동일할 수 있고,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은 서로 교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0회전량(R0)만큼 회전될 수 있고, 타방향(C2)으로 제0회전량(R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즉,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은 서로 동일한 회전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일반모션(M0)에서 시간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에서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0회전량(R0)만큼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제0회전량(R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의 최대RPM과 회전시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서 회전량은 회전부(100)의 회전시간과 RPM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관계일 수 있다. 즉, 도 6에서 회전부(100)의 RPM과 가로축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면적이 제0회전량(R0)에 해당될 수 있다.
일반모션(M0)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동일한 회전량만큼 회전되는 바, 일반모션(M0)의 1회 사이클에서 회전부(100)에 의한 상승수류와 하강수류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상쇄되는 관계에 있으므로, 일반모션(M0) 전체에서는 세탁물 및 물의 상승이나 하강을 유동하지 않으며 회전수류를 통한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상승모션(M1)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상기 상승모션(M1)에 의한 회전부(100)의 RPM 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하강모션(M2)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9를 참고할 때, 상기 제어부(70)는 의류의 세탁행정(P100)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모션은 1회 사이클에 따른 결과로서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70)가 타방향(C2)측으로 경사지며 연장됨에 따라, 회전부(100)가 일방향(C1)으로 회전하면 터브(20) 내부의 물에 상승수류가 형성되고, 회전부(100)가 타방향(C2)으로 회전하면 하강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부(100)의 다양한 회전모션이 수행될 수 있고, 회전부(100)의 회전모션은 제어부(70)가 구동부(50)를 제어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회전모션은 1회의 모션사이클에서 회전방향이 다른 복수의 회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회전모션은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70)는 설정된 회전모션에 기초하여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100)의 상기 일방향(C1)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C2)에 따른 회전이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각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모션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과 더불어 타방향(C2) 회전을 함께 포함하여 1회 사이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방향(C1) 회전의 회수, 타방향(C2) 회전의 회수 및 회전량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모션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간의 회전량 차이를 통해 종국적으로 승강모션에서 요구하는 수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모션 중 상승모션(M1)에서 제어부(70)에 의한 구동부(50) 제어를 통해, 회전부(100)는 일방향(C1)에 따른 회전량이 타방향(C2)에 따른 회전량보다 많게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C2)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하는데,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결국 일방향(C1)에 따른 회전량이 타방향(C2)에 따른 회전량보다 많게 회전되므로, 회전부(100)의 상승모션(M1)이 수행되면 종국적으로 상승수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승강모션 중 하강모션(M2)에서 제어부(70)에 의한 구동부(50) 제어를 통해, 회전부(100)는 타방향(C2)에 따른 회전량이 일방향(C1)에 따른 회전량보다 많게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00)는 하강모션(M2)에서 타방향(C2)에 따른 회전량이 일방향(C1)에 따른 회전량보다 많게 회전되므로,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이 수행되면 종국적으로 하강수류가 발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모션의 1회 사이클에서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이 함께 수행되므로, 세탁물이 기둥부(150)에 감기는 말림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모션에서 회전부(100)가 일방향(C1) 및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는 발생시킬 수 있으나 기둥부(150) 주변의 세탁물이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구동부(50)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세탁물의 유동이 저하되어 세탁 효율이 감소되며, 이후의 기둥부(150) 회전을 제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는 위한 승강모션에서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이 함께 수행됨에 따라 세탁물의 말림 현상은 최소화하면서, 상기 일방향(C1) 회전 및 상기 타방향(C2) 회전간의 회전량 편차를 통해 해당 모션에서 의욕한 수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승강모션에서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회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순서 또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각 회전량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100)의 회전량은 회전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모션에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1회전각도만큼 회전하고 타방향(C2)으로 제2회전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회전부(100)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부(100)를 회전시키며,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회전부(100)가 일방향(C1) 및 타방향(C2)을 따라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100)의 회전은 구동부(50)에 의해 이루어지고, 구동부(50)는 제어부(70)에 제어에 의해 운전하므로, 회전부(100)의 회전은 결국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부(50)에 제공되는 전류 또는 전압 등을 조절하여 구동부(50)의 구동축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70)가 구동부(50)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스텝 모터 등과 같이 회전각도 등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상기 타방향(C2) 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기둥부(150)의 하단부(152)에서 상단부(15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0)가 일방향(C1)으로 회전되면 블레이드(170)에 의해 상승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0)가 타방향(C2)으로 회전되면 하강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모션은 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상승모션(M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상승모션(M1)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제1회전량(R1)만큼 상기 일방향(C1)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량(R1)보다 적은 제2회전량(R2)만큼 상기 타방향(C2)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모션 중 승강모션은 상승모션(M1)과 하강모션(M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은 회전부(100)의 복합적인 회전을 통해 종국적으로 상승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제1회전량(R1)만큼 일방향(C1)으로 회전되고, 제2회전량(R2)만큼 타방향(C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량(R2)은 제1회전량(R1)보다 적은 회전량에 해당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1회전량(R1) 및 제2회전량(R2)이 화살표를 통해 개념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제1회전량(R1)이 제2회전량(R2)보다 많도록 회전되므로, 상승모션(M1)에 따른 종국적인 수류는 상승수류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50)는 회전부(100)를 위와 같이 회전시키도록 마련되고, 구동부(50)의 작동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승모션(M1)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1회전량(R1)만큼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제2회전량(R2)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100)의 회전량은 RPM과 시간의 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회전부(100)의 회전량은 RPM선과 가로축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정의되는 각각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각 최대 RPM이 서로 동일할 수 있고, 각 회전시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최대 RPM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시간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승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이후 연속하여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방향(C1) 회전 이후 RPM이 0에 해당되는 정지상태 이후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정지상태의 소요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상승모션(M1)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으로 회전된 이후 상기 타방향(C2)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에서는 제1회전량(R1)이 제2회전량(R2)보다 많고, 따라서 일방향(C1) 회전이 타방향(C2) 회전 후에 수행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제1회전량(R1)으로 회전부(100)가 회전된 상태로 상승모션(M1)의 1사이클이 종료되므로, 상기 제1회전량(R1)에 따른 회전에서 세탁물의 말림 현상이 발생된 상태로 상승모션(M1)이 종료될 수 있다.
제1회전량(R1)은 제2회전량(R2)보다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량(R1)은 회전부(100)의 회전각도로서 720도에 해당될 수 있고, 제2회전량(R2)은 회전부(100)의 회전각도로서 360도에 해당될 수 있다. 제1회전량(R1)은 제2회전량(R2)의 120% 이상이며 150% 이하이거나, 150% 이상이며 20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1회전량(R1) 및 제2회전량(R2)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제1회전량(R1) 및 제2회전량(R2)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승모션(M1)에서 회전량이 더 많은 일방향(C1) 회전이 타방향(C2) 회전에 선행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일방향(C1) 회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상기 타방향(C2) 회전을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강모션(M2) 또한 회전량이 더 많은 타방향(C2)이 회전이 일방향(C1) 회전에 선행하여 수행됨으로써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 의한 의류의 세탁행정(P100)을 개념적으로 작동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가로축은 시간(t)에 따른 축이다.
도 17에는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이 도시되어 있고, 각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급수과정(P40) 등이 도시되어 있으며, 복수의 회전모션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탁행정(P100)이 반드시 도 17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탁행정(P100)은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과정의 회수나 순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탁행정(P100)은 세제공급부(25)로부터 상기 터브(20)로 세제가 공급되고 의류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P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척과정(P10) 시작 이후 제1기준시간(t1) 내에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척과정(P10) 시작 이후 제1기준시간(t1) 내에 상승모션(M1)이 수행되는 구간이 점선 영역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승모션(M1)은 물의 상승수류를 형성할 수 있고, 세탁물 중 드럼(30) 하부에 위치되는 세탁물의 상방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상승모션(M1)의 수행으로 세탁물의 상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은 시작 이후 터브(20) 내부 또는 드럼(30) 내부로 물과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의 초기에는 세제가 물 및 세탁물과 혼합될 필요가 있다.
상승모션(M1)은 기둥부(150)의 원주방향에 다른 회전수류의 형성은 물론 드럼(3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상승수류가 동반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의 초기에는 세제의 빠른 용해가 요구되고 세탁물 전체의 함습과 세제 반응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척과정(P10) 시작 이후 제1기준시간(t1) 내에 상승모션(M1)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제의 빠른 용해를 유도하고 세탁물 전체의 함습량 및 세제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준시간(t1)은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고, 세척과정(P10)의 시작 이후 제어부(70)에 의해 세척과정(P10) 초기에 상승모션(M1)이 반속 수행되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도 있다. 도 10에는 상기 제1기준시간(t1)이 개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세척과정(P10) 이후 상기 급수부(60)로부터 상기 터브(20)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터브(20)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하는 헹굼과정(P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는 세척과정(P10) 이후 수행되는 헹굼과정(P20)이 개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만, 헹굼과정(P20)의 회수나 순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헹굼과정(P20) 시작 이후 제2기준시간(t2) 내에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는 헹굼과정(P20)에서 제2기준시간(t2) 내에 상승모션(M1)이 수행되는 구간이 표시되어 있다.
헹굼과정(P20) 초기에는 드럼(30)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P40)이 진행될 수 있고, 세탁물에는 세척과정(P10) 이후 이물이 세탁물에 잔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류의 입체적인 형성을 통해 세탁물을 유동시키고 수류가 세탁물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헹굼 효율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헹굼과정(P20) 시작 이후 제2기준시간(t2) 내에 회전부(100)가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제어부(70)가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준시간(t2)은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고, 헹굼과정(P20)의 시작 이후 제어부(70)에 의해 헹굼과정(P20) 초기에 상승모션(M1)이 반속 수행되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도 있다. 도 10에는 상기 제2기준시간(t2)이 개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급수부(60)를 통해 상기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P40)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급수과정(P40) 종료 이후 제3기준시간(t3) 내에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과정(P40)은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세척과정(P10) 및 헹굼과정(P20)에서 각각 급수과정(P40)이 수행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세척과정(P10) 및 헹굼과정(P20)에서 각각 1회의 급수과정(P40)이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수과정(P40)의 회수나 수행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급수과정(P40)에서 터브(20) 내부에는 급수부(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공될 수 있다. 세척과정(P10)은 물론 헹굼과정(P20) 또한 급수과정(P40)을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이 투입되면, 회전부(100)를 이용한 입체적인 수류 형성을 통해 터브(20)에 투입된 물과 세탁물간의 활발한 혼합 과정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70)가 급수과정(P40) 종료 이후 제3기준시간(t3) 내에 회전부(100)가 상승모션(M1)을 수행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의 수행 회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기준시간(t3)은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고, 급수과정(P40)의 시작 이후 제어부(70)에 의해 상승모션(M1)이 반속 수행되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도 있다. 제3기준시간(t3)은 제1기준시간(t1) 및 제2기준시간(t2)과 동일하거나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드럼(30) 내부의 의류에 대한 분포균일도를 판단하는 분포판단과정(P60)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이 일정 영역에 집중된 상태에서 드럼(30)이 회전되면 언밸런싱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의류의 분포균일도는 드럼(30) 내부에서 의류, 즉 세탁물이 균일하게 분포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100)는 기둥부(150)를 포함하고, 드럼(30)의 세탁물은 상기 기둥부(150)에 의해 분포균일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기둥부(150)를 포함하는 회전부(100)가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파악하여 이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의류의 분포균일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50)는 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70)는 구동부(50)에 제공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제어하여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70)에 의해 입력되는 구동부(50)의 목표 회전각도 또는 회전속도 또는 토크 등에 대해 실제 구동부(50)에 구현된 회전각도 또는 회전속도 또는 토크가 가지는 편차를 고려하여 분포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분포균일도가 낮은 상태에서 구동부(50)가 드럼(30) 및/또는 회전부(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70)가 구동부(50)를 목표RPM으로 제어한 결과 구동부(50)의 실제 RPM이 상기 목표RPM을 목표시간 내에 추종하지 못하거나 RPM의 변화, 즉 RPM의 진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RPM은 측정은 드럼(30) 또는 회전부(100)의 회전결과를 바탕으로 산출될 수도 있고, 구동부(50)의 RPM 측정을 위한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 제어부(70)가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50), 드럼(30) 또는 회전부(100)에는 진동을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고, 제어부(70)는 상기 센서로부터 진동값을 전달받아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분포판단과정(P60)에서 상기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이면, 상기 분포판단과정(P60) 이후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에는 분포균일도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준균일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세탁물의 양 등에 기초하여 현재상태에 따른 기준균일도가 산출되거나 데이터맵을 통해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의 분표균일도는 높을수록 상기 의류. 즉 세탁물이 균일하게 분포되었음을 나타내고, 낮을수록 상기 세탁물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된 상태일 수 있다.
기준균일도는 의류의 분포균일도가 지나치게 낮아 드럼(30) 및 회전부(100)의 회전 시 진동 및 소음 등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값으로서, 반복 실험 등을 거친 실제 결과와 제어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어부(70)는 분포판단과정(P60)에서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고,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인 경우 분포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100)가 상승모션(M1)을 수행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수류를 형성할 수 있고, 상승모션(M1)에 의해 물 또는 세탁물은 회전부(100)의 회전방향 및 드럼(30)의 상하방향에 대한 분표균일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세탁물이 드럼(30)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세탁물은 드럼(30) 상부측에 위치될 가능성이 있고, 위와 같은 무게 편차가 발생되면 분표균일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세척과정(P10) 등이 진행되면서 드럼(30)의 단면을 기준으로 드럼(3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세탁물의 무게중심이 편향될 수 있다.
회전부(100)의 상승모션(M1)은 회전부(100)의 회전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대한 세탁물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승모션(M1)은 회전부(100)가 일방향(C1)뿐만 아니라 타방향(C2)으로도 회전되므로 상기 드럼(30)의 단면상에서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승모션(M1)을 통해 드럼(30) 하부의 의류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고, 상호 작용으로 드럼(30) 상부의 의류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드럼(30) 하부의 무거운 세탁물과 드럼(30) 상부의 가벼운 세탁물이 서로 혼합되도록 이동될 수 있어 분포균일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포판단과정(P60)은 세척과정(P10), 헹굼과정(P20) 및 탈수과정(P30)에서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는 세척과정(P10)의 종반부에 분포판단과정(P60)이 진행되는 일례가 표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과정(P10) 종반부에 분포판단과정(P60)이 수행되면 배수과정(P50) 전에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터브(20) 내부에 물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분포균일도 향상 효율이 증가되며 헹굼과정(P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미리 저감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보다 낮으면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고, 도 17에는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에 해당되어 회전부(100)가 상승모션(M1)을 수행하는 분포개선과정(P70)과 배수과정(P50)이 함께 진행되는 작동 과정이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분포개선과정(P70)에 의해 회전부(100)가 상승모션(M1)을 수행하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분포개선과정(P70)은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인 경우 수행될 수 있고, 배수과정(P50)의 수행 전이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회전부(100)의 승강모션 중 하강모션(M2)이 표현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모션은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강모션(M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하강모션(M2)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타방향(C2)으로 제3회전량(R3)만큼 회전하고, 상기 일방향(C1)으로 상기 제3회전량(R3)보다 적은 제4회전량(R4)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하강모션(M2)은 타방향(C2) 회전량이 일방향(C1) 회전량보다 높게 설정되어 종국적으로 하강수류의 효과가 유도될 수 있다. 하강모션(M2)은 회전부(100)가 타방향(C2)으로 제3회전량(R3)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일방향(C1)으로 제4회전량(R4)만큼 회전될 수 있다.
제3회전량(R3)은 제4회전량(R4)보다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회전량(R3)은 회전부(100)의 720도 회전각도에 해당될 수 있고, 제4회전량(R4)은 회전부(100)의 360도 회전각도에 해당될 수 있다. 제3회전량(R3)은 제4회전량(R4)은 120% 이상이며 150% 이하이거나, 150% 이상이며 20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3회전량(R3) 및 제4회전량(R4)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제3회전량(R3) 및 제4회전량(R4)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승모션(M1)에서의 제1회전량(R1) 및 제2회전량(R2)은 제3회전량(R3)과 제4회전량(R4)은 서로 무관하다. 예컨대, 제1회전량(R1)과 제3회전량(R3)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제2회전량(R2)과 제4회전량(R4)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수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회전부(100)의 회전각도 및 회전량간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강모션(M2)은 하강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이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일방향(C1) 회전보다 많은 회전량을 가짐으로써 종국적으로 하강수류가 형성된 효과를 가지며, 1회 사이클에 타방향(C2) 회전과 일방향(C1) 회전이 함께 수행되므로 의류의 분포균일도를 개선하고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에는 하강모션(M2)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하강모션(M1)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4회전량(R4)만큼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제3회전량(R3)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100)의 회전량은 RPM과 시간의 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회전부(100)의 회전량은 RPM선과 가로축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정의되는 각각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하강모션(M2)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각 최대 RPM이 서로 동일할 수 있고, 각 회전시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최대 RPM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시간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하강모션(M2)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이후 연속하여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방향(C1) 회전 이후 RPM이 0에 해당되는 정지상태 이후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정지상태의 소요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탁행정(P100) 중 상기 터브(20)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하강모션(M2)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는 터브(20) 내부에서 상기 기준급수량에 따른 수면이 예시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20) 내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기준급수량 이하이면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은 수행이 제한될 수 있다.
하강모션(M2)은 세탁물 및 물을 기둥부(150)를 중심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고, 터브(20) 내부의 수면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하강모션(M2)이 수행되면 세탁물과 바닥부(110) 또는 드럼(30) 하면(33)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 세탁물의 유동 효율이 지나치게 감소될 수 있고 바닥부(110)와 드럼(30) 하면(33)간의 세탁물 끼임 현상 등이 유도될 수 있다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강모션(M2)에 의한 세탁물 유동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세탁물의 끼임 현상 등이 충분히 억제될 수 있는 급수량의 기준을 기준급수량으로서 설정하고, 기준급수량 이상에서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급수량의 결정은 반복 실험의 결과 또는 이론적 산출 결과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세탁행정(P100)의 수행에 대한 전략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터브(20)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다양한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에는 급수부(60)의 급수수행시간에 따른 급수량이 데이터맵 형태로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70)는 상기 데이터맵에 기초하여 급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급수부(60)는 단위시간당 공급되는 급수량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제어부(70)는 급수시간과 더불어 상기 단위시간당 급수량을 조절하면서 터브(20) 내부의 급수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터브(20)에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70)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현재 공급된 급수량에 대한 수위를 통해 급수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강모션(M2)을 수행하기에 적절하고 효율적인 기준급수량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급수량 이상에서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을 수행함으로써 세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에는 회전부(100)의 회전모션이 수행되는 복수의 점선영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기준급수량 이상에서 하강모션(M2)이 수행될 수 있는 점선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하강모션(M2)은 세척과정(P10)이나 행굼과정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7에 도시된 점선영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세탁행정(P100)에서 다양한 구간에서 다양한 회수로 하강모션(M2)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파워모션(M3)이 표현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탁행정(P100)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승강모션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파워모션(M3)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워모션(M3)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 및 상기 타방향(C2) 각각으로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되는 강회전모션(M4) 및 상기 일방향(C1) 및 타방향(C2) 각각으로 상기 제5회전량(R5)보다 적은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되는 약회전모션(M5)을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모션은 승강모션 외에 파워모션(M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모션(M3)은 상기 승강모션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회전모션으로 이해될 수 있다.
파워모션(M3)은 승강모션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하여 세척과정(P10)에서 세탁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헹굼과정(P20)에서 세탁물에 잔존하는 이물이나 세제를 세탁물로부터 분리하거나 터브(20)로부터 배출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행정(P100)에서 파워모션(M3)을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모션(M3)이 수행되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표현되어 있다.
다만, 파워모션(M3)이 수행되는 구간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과정 및 구간에서 다양한 회수로 수행될 수 있다.회전부(100)는 파워모션(M3)의 1회 사이클에서 적어도 4회 이상의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회전간의 구분은 회전방향의 변화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강회전모션(M4)과 약회전모션(M5)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강회전모션(M4) 및 약회전모션(M5)의 수행회수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강회전모션(M4)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으로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되고 타방향(C2)으로 상기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2에는 파워모션(M3)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각각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되는 강회전모션(M4) 이후,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각각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되는 약회전모션(M5)이 수행될 수 있다. 강회전모션(M4) 및 약회전모션에서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각 최대 RPM이 서로 동일할 수 있고, 각 회전시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최대 RPM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시간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이후 연속하여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방향(C1) 회전 이후 RPM이 0에 해당되는 정지상태 이후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정지상태의 소요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제5회전량(R5)은 승강모션의 제1회전량(R1) 및 제3회전량(R3)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5회전량(R5)은 상기 제1회전량(R1) 및 제3회전량(R3)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강회전모션(M4)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제5회전량(R5)만큼 회전하면서 약회전모션(M5)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강회전모션(M4)은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동일한 회전량만큼 회전되므로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 중 어느 하나만을 형성하고자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C1) 및 타방향(C2)뿐만 아니라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가 모두 강하게 형성되어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강회전모션(M4)과 더불어 약회전모션(M5)을 수행할 수 있다. 약회전모션(M5)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을 각각 수행할 수 있고, 일방향(C1)으로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되고 타방향(C2)으로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될 수 있다. 약회전모션(M5)에서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5회전량(R5)은 제6회전량(R2)보다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5회전량(R5)은 회전부(100)의 회전각도로서 720도에 해당될 수 있고, 제6회전량(R2)은 회전부(100)의 회전각도로서 360도에 해당될 수 있다. 제5회전량(R5)은 제6회전량(R6)의 120% 이상이며 150% 이하이거나, 150% 이상이며 20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5회전량(R5) 및 제6회전량(R6)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제5회전량(R5) 및 제6회전량(R6)의 회전각도 및 비율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6회전량(R6)은 승강모션의 제2회전량(R2) 및 제4회전량(R4)에 대해 별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6회전량(R6)은 제2회전량(R2) 및 제4회전량(R4)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6회전량(R6)은 제2회전량(R2) 및 제4회전량(R4)과 같거나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파워모션(M3)에서 강회전모션(M4) 및 약회전모션(M5)의 수행 순서는 다양할 수 있고 수행 회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파워모션(M3)에서 회전부(100)는 강회전모션(M4) 수행 이후 약회전모션(M5)을 수행할 수 있다.
파워모션(M3)은 강회전모션(M4)에서 회전부(100)의 일방향(C1) 및 타방향(C2) 회전이 강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가시키고, 약회전모션(M5)에서 회전부(100)의 일방향(C1) 및 타방향(C2) 회전이 약하게 이루어져 세탁물의 분포균일도를 향상시키면서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개선하고 세탁물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5회전량(R5) 및 제6회전량(R6)은 회전각도에 대한 회전시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5회전량(R5)은 일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일정 회전각도를 의미할 수 있고, 제6회전량(R6)은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상기 일정 회전각도보다 적은 회전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5회전량(R5)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은 상기 6회전량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보다 높게 설정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세탁물의 세탁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다만, 회전에 대한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제5회전량(R5) 및 제6회전량(R6)의 회전시간 또한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회전량(R1) 내지 제4회전량(R4) 또한 위와 같이 RPM의 관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워모션(M3)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강회전모션(M4)을 수행한 이후 상기 약회전모션(M5)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100)는 파워모션(M3)에서 강회전모션(M4)을 수행하여 세탁효과가 증가된 회전모션을 수행한 이후, 약회전모션(M5)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말림 현상이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워모션(M3)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 및 상기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되고, 이후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되며, 이후 상기 어느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되고, 이후 상기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100)는 파워모션(M3)에서 일방향(C1)으로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제5회전량(R5)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이후 일방향(C1)으로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된 이후 타방향(C2)으로 제6회전량(R6)만큼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20)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부(25) 및 상기 터브(20)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세제공급부(25)로부터 상기 터브(20)로 세제가 투입되고 의류의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P10) 및 상기 급수부(60)로부터 상기 터브(20)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터브(20)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는 헹굼과정(P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척과정(P10) 또는 상기 헹굼과정(P20)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파워모션(M3)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파워모션(M3)은 회전부(100)의 강회전을 통해 입체적이고 강한 수류를 형성하여 세척 또는 헹굼 효과를 증가시키고, 또한 회전부(100)의 약회전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말림 현상이나 손상 등을 억제하여 세탁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세척과정(P10) 또는 헹굼과정(P20)에서 파워모션(M3)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회전부(100) 또는 구동부(50)를 제어함으로써, 세탁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100)의 파워모션(M3)이 수행되는 구간이 점선 영역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0에 표시된 점선영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파워모션(M3)의 수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간에서 다양한 회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급수과정(P40) 종료 이후 제1기준시간(t1) 내에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상승모션(M1)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고, 상기 제1기준시간(t1) 이후 상기 파워모션(M3)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모션(M1)은 급수과정(P40) 이후 입체적인 수류 형성을 통해 세탁물과 물 또는 세제간의 혼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상승모션(M1)의 수행 이후, 제어부(70)는 회전부(100)가 파워모션(M3)을 수행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함으로써, 세탁물과 물 또는 세제간의 혼합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하고 입체적인 수류 형성을 통해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과정(P40) 이후 제1기준시간(t1)동안 상승모션(M1)이 수행되고, 상승모션(M1) 수행 이후 파워모션(M3)이 수행되는 세탁행정(P100)에서의 작동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급수부(60)로부터 상기 터브(20)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급수량이 상기 기준급수량 미만인 경우에 수행되는 상기 파워모션(M3)의 적어도 1회 이상을 상기 하강모션(M2)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강모션(M2)은 터브(20) 내부의 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준급수량 이하에서 파워모션(M3)이 수행되고, 기준급수량 이상에서는 상기 파워모션(M3) 중 적어도 1회 사이클 이상을 상기 하강모션(M2)이 대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기준급수량 이상이라도 반드시 모든 파워모션(M3)이 하강모션(M2)으로 대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워모션(M3) 및/또는 하강모션(M2)이 수행될 수 있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회전부(100)와 상기 드럼(30) 각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탁행정(P100)에서 상기 회전부(100) 및 상기 드럼(30)이 함께 상기 일방향(C1) 및 상기 타방향(C2) 각각으로 제7회전량(R7)만큼 회전되는 바스켓모션(M6)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모션(M6)이 표현되어 있다. 바스켓모션(M6)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는 클러치요소(46), 예컨대 제2클러치요소(48)를 제어하여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을 상호 동기시키고,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드럼(30) 및 회전부(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의 1회 사이클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함께 일방향(C1)으로 제7회전량(R7)만큼 회전되고 타방향(C2)으로 제7회전량(R7)만큼 회전될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은 드럼(30) 및 회전부(100)가 함께 회전되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증가시키거나 세탁물의 말림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은 세탁물에 대한 물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4에는 바스켓모션(M6)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바스켓모션(M6)에서 회전부(100) 및 드럼(30)은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각각 제7회전량(R7)만큼 회전될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에서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각 최대 RPM이 서로 동일할 수 있고, 각 회전시간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방향(C1) 회전 및 타방향(C2) 회전의 최대 RPM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시간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에서 회전부(100)는 일방향(C1) 회전 이후 연속하여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방향(C1) 회전 이후 RPM이 0에 해당되는 정지상태 이후 타방향(C2) 회전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정지상태의 소요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제7회전량(R7)은 회전부(100)의 회전각도로서 720도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7회전량(R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스켓모션(M6)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일방향(C1) 및 타방향(C2) 각각의 회전량이 제7회전량(R7)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일방향(C1) 및 타방향(C2) 각각의 회전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방향(C1) 회전과 타방향(C2) 회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스켓모션(M6)이 수행될 수 있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드럼(30)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P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탈수과정(P30)에서 상기 드럼(30) 및 상기 회전부(100)가 함께 상기 바스켓모션(M6)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모션(M6)은 드럼(30) 및 회전부(100)가 함께 회전되어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증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수과정(P30)에서 바스켓모션(M6)을 수행하여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바스켓모션(M6)은 일방향(C1) 및 타방향(C2) 회전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탈수과정(P30)의 초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스켓모션(M6)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간 및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수과정(P30)에서 상기 바스켓모션(M6)이 수행될 수 있는 구간이 점선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파모션(M7)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세탁행정(P100)에서 상기 회전부(100) 및 상기 드럼(30)이 함께 상기 일방향(C1) 및 상기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로 제8회전량(R8)만큼 회전되는 알파모션(M7)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알파모션(M7)은 바스켓모션(M6)과 달리 1회 사이클에서 일방향(C1) 및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따른 회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알파모션(M7)은 드럼(30) 및 회전부(100)가 함께 제8회전량(R8)만큼 회전될 수 있다.
제8회전량(R8)은 제1회전량(R1) 내지 제7회전량(R7)과 별개로 설정되며, 예컨대 제8회전량(R8)은 제1회전량(R1) 내지 제7회전량(R7)보다 큰 회전각도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6에는 알파모션(M7)에 따른 회전부(100)의 RPM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전부(100)의 RPM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상방향은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하방향은 회전부(100)의 타방향(C2) 회전을 의미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알파모션(M7)에서 회전부(100) 및 드럼(30)은 일방향(C1)으로 제8회전량(R8)만큼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이며, 알파모션(M7)에서 회전부(100) 및 드럼(30)은 타방향(C2)으로 제8회전량(R8)만큼 회전될 수도 있다. 알파모션(M7)에서 회전부(100)는 회전의 최대 RPM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회전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알파모션(M7)은 드럼(30) 및 회전부(100)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크게 증가될 수 있고, 큰 회전각도, 즉 드럼(30) 및 회전부(100)가 복수회로 연속하여 회전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세탁행정(P100)은 상기 드럼(30) 내부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P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탈수과정(P30)에서 상기 드럼(30) 및 상기 회전부(100)가 함께 상기 알파모션(M7)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탈수과정(P30)은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탁물에 강하고 지속적인 원심력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수과정(P30)에서 회전부(100)가 알파모션(M7)을 수행할 수 있다. 알파모션(M7)의 제8회전량(R8)이나 사이클의 반복회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8에 도시된 순서도에서 각 단계들의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로서 도시된 것일 뿐, 각 단계의 반복이나 순서 변경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30), 상기 드럼(30)의 하면(33)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00), 상기 회전부(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 및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하면(33)상이 위치되는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170)가 마련되는 기둥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C2)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세탁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단계(S1)는 세척단계(S100), 헹굼단계(S200) 및 탈수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단계(S100)는 상기 드럼(30)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헹굼단계(S200)는 상기 세척단계(S100) 이후 상기 터브(20)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탈수단계(S300)는 상기 헹굼단계(S200) 이후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S1)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전부(100)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C2)에 따른 회전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일방향(C1)의 회전량과 상기 타방향(C2)의 회전량이 상이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세척단계(S100)에서 제1상승모션 수행단계(S120),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 및/또는 분포조절단계(S140)에서 상승모션(M1) 또는 하강모션(M2)을 수행할 수 있고, 헹굼단계(S200)에서 제2상승모션 수행단계(S220) 및/또는 헹굼모션 수행단계(S230)에서 상승모션(M1) 또는 하강모션(M2)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지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탁단계(S1)는 세척단계(S100), 헹굼단계(S200) 및 탈수단계(S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세척단계(S100)는 세척급수단계(S110), 제1상승모션 수행단계(S120),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 분포조절단계(S140) 및 세척배수단계(S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급수단계(S110)에서는 급수부(6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세제급수부(6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세척급수단계(S110)에서는 급수과정(P40) 및 세제공급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상승모션 수행단계(S120)에서는 회전부(100)의 상승모션(M1)이 수행되어 세제, 물 및 세탁물간의 효율적인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에서는 세제 효과를 통해 세탁물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회전부(100)의 회전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에서는 파워모션(M3)이나 하강모션(M2) 등이 수행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상승모션(M1) 등 다양한 회전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서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의 구체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는 급수량 판단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량 판단단계(S132)에서는 제어부(70) 또는 급수부(60)가 급수시간 및 단위시간당 급수량 등을 통해 터브(20) 내부에 급수된 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위센서를 통해 제어부(70)가 급수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 19에서 급수량판단단계는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의 일부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척급수단계(S110) 또는 제1상승모션 수행단계(S120) 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급수량 판단단계(S132)에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미만이면 파워모션 수행단계(S134)가 진행되고, 기준급수량 이상이면 하강모션 수행단계(S136)가 진행될 수 있다.
파워모션 수행단계(S134)는 회전부(100)의 파워모션(M3)이 수행되고, 하강모션 수행단계(S136)는 회전부(100)의 하강모션(M2)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파워모션 수행단계(S134) 및 하강모션 수행단계(S136)는 반드시 파워모션(M3) 또는 하강모션(M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승모션(M1)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척모션 수행단계(S130) 이후 분포조절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포조절단계(S140)의 구체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분포조절단계(S140)에서 제어부(70)는 분포도 판단단계(S142)를 수행할 수 있다. 분포도 판단단계(S142)에서 제어부(70)는 드럼(30) 내부의 의류의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분포도 판단단계(S142)에서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이면 분포조절모션 수행단계(S144)가 진행될 수 있고, 기준균일도 초과이면 분포조절모션 수행단계(S144)를 생략하고 세척배수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분포조절모션 수행단계(S144)에서는 제어부(70)가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분포조절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분포조절모션은 상승모션(M1)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포조절모션 수행단계(S144) 이후 분포도 재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분포도 재판단단계에서 제어부(70)는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인지 아닌지 다시 판단하며, 기준균일도 하인 경우 상기 분포조절모션 수행단계(S144)를 다시 수행하고, 기준균일도 초과이면 세척배수단계(S150)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8을 참고하면, 세척단계(S100)는 분포조절단계(S140) 이후 세척배수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세척배수단계(S150)에서는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부(6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단계(S100)에서 세척급수단계(S110) 및 세척배수단계(S15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수와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헹굼단계(S200)는 헹굼급수단계(S210), 제2상승모션 수행단계(S220), 헹굼모션 수행단계(S230) 및 헹굼배수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헹굼급수단계(S210)에서는 급수부(60)에 의해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제2상승모션 수행단계(S220)에서는 회전부(100)의 상승모션(M1)이 수행될 수 있다. 헹굼모션 수행단계(S230)에서는 파워모션(M3)이나 하강모션(M2)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헹굼배수단계(S240)에서는 터브(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탈수단계(S300)는 탈수모션 수행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모션 수행단계(S310)에서는 바스켓모션(M6)이나 알파모션(M7) 등이 수행됨으로써 의류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2 : 의류개구 13 : 의류도어
20 : 터브 22 : 터브개구
25 : 세제공급부 30 : 드럼
39 : 밸런서 40 : 회전축
41 : 제1회전축 42 : 제2회전축
45 : 기어세트 46 : 클러치요소
47 : 제1클러치요소 48 : 제2클러치요소
50 : 구동부 60 : 급수부
65 : 배수부 70 : 제어부
100 : 회전부 110 : 바닥부
130 : 돌출부 132 : 메인돌출부
135 : 제1서브돌출부 137 : 제2서브돌출부
150 : 기둥부 165 : 캡부
170 : 블레이드 A : 블레이드 경사각
M1 : 상승모션 M2 : 하강모션
M3 : 파워모션 M4 : 강회전모션
M5 : 약회전모션 M6 : 바스켓모션
M7 : 알파모션 P100 : 세탁행정
P10 : 세척과정 P20 : 헹굼과정
P30 : 탈수과정 P40 : 급수과정
P50 : 배수과정 P60 : 분포판단과정
P70 : 분포개선과정 S1 : 세탁단계
S100 : 세척단계 S110 : 세척급수단계
S120 : 제1상승모션 수행단계 S130 : 세척모션 수행단계
S200 : 헹굼단계 S300 : 탈수단계

Claims (23)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일방향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의 상기 일방향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에 따른 회전이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각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타방향 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션은 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상승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승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제1회전량만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량보다 적은 제2회전량만큼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승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된 이후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세제가 공급되고 의류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과정 시작 이후 제1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척과정 이후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물이 공급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하는 헹굼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헹굼과정 시작 이후 제2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종료 이후 제3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에 대한 분포균일도를 판단하는 분포판단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포판단과정에서 상기 분포균일도가 기준균일도 이하이면, 상기 분포판단과정 이후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션은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강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강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타방향으로 제3회전량만큼 회전하고,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제3회전량보다 적은 제4회전량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 중 상기 터브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회전부가 상기 하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승강모션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각각으로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는 강회전모션 및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각각으로 상기 제5회전량보다 적은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는 약회전모션을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강회전모션을 수행한 이후 상기 약회전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션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고, 이후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5회전량만큼 회전되며, 이후 상기 어느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고, 이후 상기 나머지 하나로 상기 제6회전량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부; 및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세제공급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세제가 투입되고 의류의 이물이 제거되는 세척과정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는 헹굼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과정 또는 상기 헹굼과정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션은 상승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상승모션을 포함하며,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종료 이후 제1기준시간 내에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승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고, 상기 제1기준시간 이후 상기 파워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션은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강모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터브에 공급된 급수량이 기준급수량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부가 상기 급수량이 상기 기준급수량 미만인 경우에 수행되는 상기 파워모션의 적어도 1회 이상을 상기 하강모션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드럼 각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드럼이 함께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각각으로 제7회전량만큼 회전되는 바스켓모션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제1회전축;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1회전축을 상기 제2회전축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도록 마련되는 클러치요소를 포함하는 기어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드럼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과정에서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가 함께 상기 바스켓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드럼 각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에서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드럼이 함께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제8회전량만큼 회전되는 알파모션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과정에서 상기 드럼 및 상기 회전부가 함께 상기 알파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2.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회전량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의류처리장치.
  23.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하면상이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일방향 회전 시 상승수류를 형성하고 타방향 회전 시 하강수류를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 이후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이물을 배출하는 헹굼단계 및 상기 헹굼단계 이후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승강모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모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일방향에 따른 회전과 상기 타방향에 따른 회전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일방향의 회전량과 상기 타방향의 회전량이 상이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02587A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1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87A KR20220021700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10571 WO2022035181A1 (en) 2020-08-14 2021-08-1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401,776 US20220049397A1 (en) 2020-08-14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87A KR20220021700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00A true KR20220021700A (ko) 2022-02-22

Family

ID=8022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587A KR20220021700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49397A1 (ko)
KR (1) KR20220021700A (ko)
WO (1) WO2022035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1799B2 (en) * 2021-03-25 2023-12-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appliance to detect and mitigate out-of-balance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1568B1 (ko) * 1973-03-15 1976-04-23 Amiens Const Elect Mec
US4411664A (en) * 1982-04-30 1983-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with out-of-balance detection and correction capability
KR920000075Y1 (ko) * 1986-05-31 1992-01-15 주식회사 금성사 세탁기의 교반기
US5301523A (en) * 1992-08-27 1994-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washer control including automatic balance, spin and brake operations
KR100273402B1 (ko) * 1998-02-03 2000-12-15 구자홍 세탁기의 펄세이터 구조
CN1316093C (zh) * 2002-05-28 2007-05-16 海尔集团公司 一种搅拌式洗衣机
EP1589863A2 (en) * 2003-02-06 2005-1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144782B1 (ko) * 2004-07-09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US20070062224A1 (en) * 2005-09-16 2007-03-22 La Belle Kathleen M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toroidal and inverse toroidal washing motion
KR20120053579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9397A1 (en) 2022-02-17
WO2022035181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320B (zh) 洗衣机的控制方法
JP4306880B2 (ja) 洗濯機
US11180885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65526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tub ring
US2022004939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2170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6483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3686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88155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9187856B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1206577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211671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0564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04939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8075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2185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207789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04940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527560B2 (ja) 洗濯機
US2022004940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50732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2022002186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21714A (ko) 의류처리장치
JP2023035691A (ja) 洗濯機
KR2022002169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