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658A -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658A
KR20220021658A KR1020200102499A KR20200102499A KR20220021658A KR 20220021658 A KR20220021658 A KR 20220021658A KR 1020200102499 A KR1020200102499 A KR 1020200102499A KR 20200102499 A KR20200102499 A KR 20200102499A KR 20220021658 A KR20220021658 A KR 2022002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user terminal
recipe information
communication
rec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푸드 filed Critical (주)디케이푸드
Priority to KR102020010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658A/ko
Publication of KR2022002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레시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 상기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레시피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RECIPE INFORMATION BASED 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의 발전과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더불어 사용자들은 다양한 컨텐츠를 생산하여 웹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레시피 컨텐츠 제작 환경 및 산업 기반은 비교적 취약한 실정이고, 일반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레시피 컨텐츠는 블로그와 같은 웹 기반으로 생산되는 구조화 및 표준화 되지 못한 단편적인 컨텐츠들이 대부분이다.
즉, 현재의 PC나 스마트폰에서 레시피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레시피 컨텐츠의 제작에 최적화된 지원 도구가 없어, 단순 웹 페이지 형태로의 컨텐츠 생산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레시피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삽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별 조리 단계의 조리 환경을 확인하여 기록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해당 레시피 컨텐츠를 참고하여 요리를 조리하는 사용자는 레시피 컨텐츠에 따른 조리 환경과 동일한 조리 환경을 수작업으로 조성해야만 하나 요리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는 이러한 레시피 컨텐츠와 동일한 조리 환경으로 일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레시피 컨텐츠에 대응되는 요리와 동일한 요리를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특별한 기능(무게측정, 교반기능, 온도측정, 염도측정 등)이 존재하여 레시피와 동일한 조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 조리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나, 전자 조리기기의 조작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는 이러한 조리기기의 이용시에도 동일한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블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수작업에 의해 제작된 레시피 컨텐츠는 이러한 전자 조리기기에서 이용하거나 해당 조리기기와 상호 작용할 수 없으므로, 조리기기의 활용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를 개선하여,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에 대한 조리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조리기기의 제어에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편리하게 조리하는 조리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나, 해당 조리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레시피 저작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레시피 제작 및 사용자간 레시피 공유를 지원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레시피 컨텐츠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리법을 적용하여 해당 레시피 컨텐츠에 대응되는 요리의 맛과 품질을 개선하는 경우 이에 대한 조리법을 레시피 컨텐츠와 별개로 다시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조리법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025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레시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 상기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레시피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 각각은 레시피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제1 레시피 정보 및/또는 제2 레시피 정보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나타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차세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어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스마트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전 자율 자동차나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어, 마치 인터넷이 공기와 같이 되는데 굳이 인터넷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만 있어서는 안 된다.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ICT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나타낼 수 있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ICT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가치사슬 상의 각 부문간 상호의존 심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N-T(터미널) 가치사슬이 방송플랫폼을 설명하는데 많이 활용되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실상 컴퓨터에 해당되는 기기를 감안하면 C-P-N-D라는 표현이 ICT를 설명하는데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콘텐츠(C) 부문을 살펴보면, 인터넷상에서는 더 이상 사진, 서적, 음악, 동영상 등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종류의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자에 제공되며 콘텐츠 보유자는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제공자와 제휴하거나 직접 플랫폼을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플랫폼 부문은 C-P-N-D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축적, 처리, 저장,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ICT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유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대표적인 플랫폼 제공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원천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은 플랫폼 제공자와 대등한 관계의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는 IP망, 즉 인터넷이다. 서킷방식 전화망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보유자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식별 등의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아카마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업들이 서버 클러스터를 통하여 효율적 트래픽 전송, 보안 등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을 경쟁 시장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기업도 일종의 플랫폼 제공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사실상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구분은 어렵다. 또한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이 직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디바이스 부문은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되고, iOS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갖춘 디바이스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플랫폼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완결한다. 애플은 플랫폼 제공자가 동시에 디바이스 제공자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안드로이드폰의 제조사간의 제휴관계를 감안하면 과거보다 플랫폼 부문과 디바이스 부문의 관계가 보다 밀접한, 상호의존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 부문과 플랫폼 부문의 제휴, 디바이스 부문의 플랫폼과의 연계, 플랫폼 부문과 네트워크 부문의 경계 모호 등은 모두 C-P-N-D 각 부문의 상호의존성 심화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단계를 수행하고(S210), 제2 단계를 수행하고(S220), 제3 단계를 수행하고(S230), 및/또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일 예로, 상기 제1 단계(S210)는 서버(110)가 제1 사용자 단말(120)에게 제1 레시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20)은 D2D 통신 뿐만 아니라, 단방향 또는 쌍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며, 단방향 무선 통신 장치로 예를 들어 비콘(beacon; 100)과 NFC와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단계(S220)는 제1 사용자 단말(120)이 인접 단말 탐색을 위한 복수의 비콘 신호를 복수의 제2 단말(130, 140)에게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단계(S230)는 복수의 제2 단말(130, 140)이 제1 사용자 단말(120)에게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 단계(S240)는 제1 사용자 단말(120)이 응답 신호 및/또는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여 복수의 제2 단말(130, 140)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 예에 따라 상기 S210 내지 S24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에 따라 상기 S210 내지 S24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 상기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레시피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버(110)는 비콘이 설치된 특정 매장 앞을 지나갈 때, 비콘이 감지한 정보를 고객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으면 해당 점포가 진행하는 각종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를 DB에서 고객 ID에 따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단말(120)에 전달하면, 상기 매장단말기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120)에 고객 ID에 대응하는 쇼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특정 매장 앞을 지나갈 때, 단말(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감지한 정보를 서버(110)에 전송하면 단말(120)은 해당 점포의 전용앱처럼 구동하며, 해당 점포 이외의 다른 점포도 복수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단말(120)의 고객 ID에 대응하는 선호 점포가 업로드 된다.
또한 단말(120)은 서버(110)와 연결되어 고객 ID에 대응하는 거리, 취향, 성별, 나이, 시간대에 따라 해당되는 n개의 서브 화면들을 분할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데, 각 서브 화면들은 각각 제1 매장, 제2 매장, 제3 매장 등 서로 브랜드의 매장들과 바인딩시키고, 바인딩된 관련 있는 매장끼리 다수개의 서브 화면들로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110)는 제어 모듈(310), 통신 모듈(320), 입력 모듈(330), 및/또는 출력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330)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3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본 발명의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330)은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340)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제어 모듈(3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은 저장 모듈(storag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본 발명의 서버(11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120)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310)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서버(110)는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2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110)는 머신러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머신러닝 모듈(미도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3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은 본 발명의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상기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머신러닝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머신러닝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 및 도 3의 방법 등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레시피 정보 및/또는 제2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a) 단말; 및 상기 단말과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출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을 제어하고,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에 기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b)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결정되며, 제1 레시피 정보 및/또는 제2 레시피 정보에 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버(110), 제1 사용자 단말(120), 제2 사용자 단말(130), 제3 사용자 단말(140) 및 외부 서버(150)(예;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120), 제2 사용자 단말(130) 및 제3 사용자 단말(140)은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 기술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120)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130, 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130, 14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 상기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제2 레시피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130, 140)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비콘 신호 각각은 레시피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단말 간 통신은 3GPP에서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D2D communication)을 정의한 링크(전송 통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LTE 단말 두 개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기존 LTE(계열) 표준을 변형시켜 만든 통신 방식이며 공공 안전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100),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00), 서버(110), 및/또는 단말(120)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111, 221))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제1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레시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 상기 제1 레시피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레시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레시피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 각각은 레시피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00102499A 2020-08-14 2020-08-14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21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99A KR20220021658A (ko) 2020-08-14 2020-08-14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99A KR20220021658A (ko) 2020-08-14 2020-08-14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58A true KR20220021658A (ko) 2022-02-22

Family

ID=8049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99A KR20220021658A (ko) 2020-08-14 2020-08-14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6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250A (ko) 2008-04-17 2009-10-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 디스크 장치 및 광 디스크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250A (ko) 2008-04-17 2009-10-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 디스크 장치 및 광 디스크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2700B1 (en)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ambient sound pattern dete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3207757B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onnecting to external devices
CN109041035B (zh) 用户画像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7637028B (zh) 电子设备和网关及用于其的控制方法
US103977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CN108614689A (zh) 场景服务的生成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20190043064A1 (en) Real-time qualitative analysis
bin Aftab Building bluetooth low energy systems
US113086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a user of electronic device
CN107690818B (zh) 基于位置的无线设备呈现和连接
US10908787B2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800896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ser experience for consumer products
US20160110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ocial search service
US2014010156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14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CN112306606A (zh) 一种用于呈现控件样式的方法与设备
KR20220021658A (ko) 단말 간 통신 기반의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006462A1 (en) Triggering associations based on detection events
KR20220022278A (ko) IoT 기반의 공유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08432273B (zh) 用于在无线网络中提供服务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102262661B1 (ko) 공유형 광고를 통하여 쇼핑몰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07265A (ko) 단말 간 통신을 이용하는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버
KR20210143396A (ko) 가구의 노후화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IoT 기반의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220017208A (ko) 경기장 카메라에 대한 최적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KR20220022275A (ko) 사용자의 자동차와 주차장 사이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