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599A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599A
KR20220021599A KR1020200102326A KR20200102326A KR20220021599A KR 20220021599 A KR20220021599 A KR 20220021599A KR 1020200102326 A KR1020200102326 A KR 1020200102326A KR 20200102326 A KR20200102326 A KR 20200102326A KR 20220021599 A KR20220021599 A KR 20220021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service
user
service provid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무공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to KR102020010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599A/en
Publication of KR2022002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5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o provide a user terminal with content in which cultural materials a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content services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use of a content service from a user; an image processing unit providing an interface enabling the user terminal to view, participate, and evaluate the content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image-processing the content service in which the user participated to display the image-processed content service on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ggregating reaction results (voting results) of viewers to the content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designing an interface, template, and frame of the content service, transmitting/receiving the content service, image-processing of the content service, and collecting tracking aggreg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servi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services related to various competitions, relays, challenges and collaborations to multiple users through a network.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고정된 컴퓨터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뿐 아니 라 이동단말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의 이용율이 급증하고 있고 이에 힘입어 이동단말을 위한 통신 서비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잇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he use rate of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s as well as the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fixed computers is rapidly increasing. it's getting worse

이러한 컴퓨터 및/또는 이동단말을 위한 통신 서비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 서로의 평가나, 조회수, 좋아요 횟수 등을 기록하여 공유하는 참여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있다.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se communication services for computers and/or mobile terminals is a participatory 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콘텐츠 전문 제작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충분히 자체 제작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가 아닌 영상 콘텐츠의 공유서비스로 발전되고 있으며, 수와 그 종류는 방대해지고 있다.The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as a sharing service for video content rather than just text or images as an environment is created that allows general users, not content creators, to create their own content, and the number and types are increasing.

그러나,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 및 업로드하는 하나의 주체의 계정에서만 게시물 등록 및 관련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유사한 다른 영상 콘텐츠와의 상대적 비교 평가를 하는 것이 객관적이거나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current social networking services, etc., post registration and related evaluation are generally performed only in the account of one subject who creates and uploads video content, so it is not objective or intuitive to make a comparative evaluation with other similar video content. There is a problem.

또한,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등에 대하여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여 대중과 같은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에 관한 대결을 신청하거나 대결 신청을 받는 기능 등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이고 공정한 객관적 평가를 받거나 그 우위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re is no function for a specific user to apply for or receive a contest for evaluation of other users, such as the public, by using video content with respect to other users,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an advantage.

뿐만 아니라, 현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개개인의 영상 콘텐츠만을 제작 및 업로드할 수 있을 뿐, 특정 사용자의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릴레이 형식으로 콘텐츠를 이어가거나 콜라보 형식으로 팀업을 꾸려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영상 콘텐츠 비교서비스와 영상 콘텐츠 릴레이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 및 구현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urrent social networking service can only produce and upload individual video content, and other users can use the video content of a specific user to continue the content in a relay format or form a team-up in a collaboration format to create and upload video content.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produced, the need for a function and implementation technology to implement the image content comparison service and the image content relay service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를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가 제작되며, 이에 대한 반응이 평가되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rough a single post content register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content is produced so that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are possible, and the reaction is evalu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서 조회, 참여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참여한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들의 반응 결과(투표 결과)를 집계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부; 및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설계, 콘텐츠 서비스의 송수신, 콘텐츠 서비스의 영상처리, 콘텐츠 서비스의 트래킹 집계 정보 수집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영상처리부 및 트래킹 정보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processed with a cultural material to a user terminal provides a content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and user cont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ntent service from the user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service information;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view, participate, and evaluate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and process the contents service in which the user participated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ggregates reaction results (voting results) of viewers to the contents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enable the content service interface, template and frame design, content serv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mage processing of the content service, and tracking aggregate information collection of the content service .

본 발명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를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가 제작됨으로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is produced so that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are possible through a single post content on a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so that various people can conveniently access content in various fields without spatial or temporal limitations. You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you w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회자들이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 영상 등에 대한 반응(조회, 평가, 좋아요, 공유 등)을 입력하여 실시간 결과값을 도출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 및 참여자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영상 콘텐츠 및 참여자들에 대한 비교에 따른 상대적이고 공정한 객관적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하여 그 우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rs can derive real-time result values by inputting responses (inquiries, ratings, likes, sharing, etc.) to content images such as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and through this, video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of the participants, and to receive a relative and fair objec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video contents and participants, so that the superiority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콘텐츠 영상과 참여자들을 기획사에서 조회 후 기획사에 적합한 인재를 발굴 및 컨택하여 일반인들이 오프라인 오디션장을 찾아다니며 응시하지 않고도 데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quiring a large number of content videos and participants from the agency, it is possible to find and contact the right talent for the agency,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get an opportunity to debut without looking for an offline audition and taking the ex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erface displaying a content servic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and method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conceptual views of illustrative circuitry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etc. may be tangibly embodied on computer-readable media and b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a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should be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r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ly referring to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콘텐츠 및 콘텐츠 서비스 정보의 용어에 대하여 정의한다.Also, among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f content and content service information are defined.

콘텐츠는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매체에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로서, 여기서 문화적 소재란 우리 일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 가공은 기획자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통해 제시되는 일련의 스토리텔링 방법을 뜻한다. 이러한 가공은 매체를 염두에 두어야 하며, 매체는 콘텐츠를 담아내는 방식이자 통로이다. 콘텐츠는 인쇄 출판 미디어, 전자 미디어, 시각에 소구하는 영상 미디어, 그리고 최근의 뉴미디어만이 아니라, 인간의 신체와 감각기관의 기능을 확장한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는 도구적, 방법적 차원에서 사람들의 소통을 위한 모든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예로서 출판, 만화, 영화, 방송, 광고, 애니메이션, 음악, 게임, 웹, 애플리케이션, 이러닝, 캐릭터, 공연, 전시 및 박물관, 테마파크, 축제, 이벤트, 투어리즘 등이 콘텐츠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Content is the intangible result of cultural material being concretely processed and embodied in the medium. Here, cultural material means everything that exists in our daily life. means This processing must be done with the medium in mind, and the medium is a way and a channel to contain content. Contents can include not only print and publication media, electronic media, visual media appealing to the eyes, and new media, but also anything that extends the functions of the human body and sensory organs. In other words, content can be said to be everything for people's communication in terms of tools and methods. ,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museums, theme parks, festivals, events, tourism, etc.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content.

또한,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정보라 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콜아웃(call-out) 콘텐츠 또는 팀업(team-up) 콘텐츠로 게시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및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하거나 지목하는 형식으로 장치 또는 서버 내에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고,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장치 또는 서버 내에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refers to one post content registered in a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and a post may be produced as call-out content or team-up content. At this time, the callout content is in the form of requesting or designating a one-to-one, one-to-many, and team/group versus team/group match in a single post. An interface can be built in , and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team-up content can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fter an interface is built in a device or server in a format that allows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to participate or cooperate in one post. .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의 주제별 정보를 포함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로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as content such as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including subject-specific information such as video, music, script, and motion, so that various people can conveniently access content in various fields from a remote location without spatial or temporal restrictions. You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you wa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네트워크(20), 데이터베이스(30)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 , a network 20 , a database 30 , and a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 데이터 베이스(30)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20)로 대체하여 표기한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 , the database 30 , and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of wired and wireless through a connection with a public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public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nd managed by the country or a telecommunication key business operator. In general, a connection service is provided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ordinary people, including a telephone network, a data network, a CATV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access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or the Internet.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blic network is represented by replacing the network 20 .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참여자 및 콘텐츠 콘텐츠 조회자 등으로서,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의 단말이며, 상기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is a content service provider, participant, and content content vie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terminal of a plurality of general users, and the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etc. may be inclu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capable of user input and information display by mount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web browsing. there is.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회원 계정 식별 정보 등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설계에 따라 적어도 일반 사용자, 기획사 소속자 및 콘텐츠아이템 제공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회원들에 따라 수집되는 식별 정보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요청하는 정보에 따라 각각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member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ccording to a user input. At this time, the member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general users, agency affiliates, and content item providers according to design. may be different.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또는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participate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 of which the user may participate in a callout content service or a team-up content service.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다루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alt with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o be described later.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Network 2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Bluetooth),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Wi-Fi), LTE (Long Term Evolution) ) can be implemented with all kind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또한,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Also, the network 2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2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If necessary, the network 20 may be a network in which wired and wireless are mixed.

데이터 베이스(3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별 정보(예컨대, 로그인 정보, 신상 정보, 프로필 정보 등)와 주제별 정보(예컨대,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를 포함하는 대결 콘텐츠, 릴레이 콘텐츠, 챌린지 콘텐츠, 콜라보 콘텐츠 및 팀업 콘텐츠 등을 사용자가 조회, 제작 및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등이 저장되며, 각 콘텐츠별로의 투표 결과 집계치가 저장될 수도 있다.The database 30 includes information for each member (eg, logi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file information, etc.) and subject-specific information (eg, video, music, script, motion, etc.) using the ser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Interfaces, templates, and frames configured so that users can view, produce, and participate in confrontation content, relay content, challenge content, collaboration content, and team-up content are stored, and voting results for each content can also be stored. .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운영하는 운영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한 별도의 콘텐츠 서비스 기능 모듈을 포함하여 콘텐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may be an operating server operat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platform including a content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parate content service func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ocial network service It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content service function, includ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웹서버, 메신저서버,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콘텐츠아이템제공서버 및 기획사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접속하였을 시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웹서버를 통해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그래픽 환경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메신저서버는 사용자 단말(10)들끼리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웹애플리케이션서버는 웹서버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에서 등록한 콘텐츠나 기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단말을 통해 대결, 릴레이, 챌린지, 콜라보 및 팀업 등의 방법으로 참여하여 등록한 콘텐츠를 각 콘텐츠의 성질에 따라 템플릿 및 인터페이스를 수정하여 여러가지 모드의 콘텐츠가 제작되도록 데이터베이스(30)의 연동과 로직에 의한 연산 처리가 필요한 요청에 대해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을 수행하고 결과 정보를 반환 할 수 있다. 콘텐츠아이템제공서버는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콘텐츠에 색다른 효과를 입힐 수 있도록 여러 이모티콘, 모션, 시각, 필터,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아이템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아이템 조회, 아이템 효과 미리보기, 아이템 구매 및 아이템 효과 적용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기획사서버는 기획사 관련자, 소속자 등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및 참여자들을 조회한 뒤 콘텐츠 제작자 및 참여자들에게 메신저서버를 통해 컨택(contack), 온라인 오디션 제안 등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획사서버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온라인 공개 오디션을 개최 및 제안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오디션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참여자, 조회자, 콘텐츠 등을 직접 관리하여 수정, 제작, 제어할 수 있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의 관리하에 관리자 권한이 부여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b server, a messenger server, a web application server, a content item providing server, and an agency server. The web server provides a web page when each u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 to use a service. A web site is provided through a web server, and the web site inclu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is an icon or graphic environment that users can easily use. The messenger server enables the user terminals 10 to perform a messenger function. The web application server allows multiple users to participate in content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10 received through the web server or content registered in the existing server through the terminal in ways such as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collaboration, and team-up. In order to produce content in various modes by modifying the template and interface of the registered content according to the nature of each content, transa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ules for requests that require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interlocking of the database 30 and logic,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returned can do. The content item providing server may provide various emoticons, motions, visuals, filters, animation effects, etc. as items so that a different effect can be applied to generally produced content. The interface is configured so that viewing, item purchase, and item effect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agency server, after inquiring about the contents and participants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by those related to the agency, affiliates, etc., they can contact the contents producers and participants through the messenger server, and offer online auditions, etc. is designed to In addition, the agency server may have an interface configured to hold and propose an online public audition to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nd in this case, directly manage the audition-related interface, participants, viewers, content, etc. to modify and produce , an administrator's authority may be granted under the management of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o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 영상처리부(43), 트래킹 정보 처리부(45) 및 제어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2 ,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 an image processing unit 43 , a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 and a control unit 47 . there is. In this case,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may be a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템플릿 구성에 맞춰 제작된 결과물로서 저장될 수 있다.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provides content servi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and may receive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ntent service from the user. The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callout content service and a team-up content service, which may be stored as a result produced according to the interface and template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database 30 .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는 대결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대결 및 배틀을 신청할 수 있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allout content service is a content service with a confrontation structure, and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callout content service,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allows the user to sing, act, rap,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so that content can be created and produced in ways such a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public challenge, cupta, yo-yo, issue debate, and gaming. In addi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calls and designates a specific user by a user who has created and produced content using the callout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database 30 to compete with other users for the content. Conversely,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can build an interface to upload the content in the public battle mode so that other users can apply for a confrontation and battle for his or her content. can be provided to users.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협력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을 동일 구간 참여 모드 또는 릴레이 참여 모드로 참여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실시간 모드로 진행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도 있다.The team-up content service is a content service of a cooperative structure. When a user participates in the team-up content service,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allows the user to sing, act, rap, or play a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topic-specific information platform provided in the database 30 . , public interest challenge, cupta, yo-yo, issue debate, gaming, etc.,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to participate in 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or relay participation mode, provides a content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interface may be built so that the team-up content service can be performed in a real-time mode.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동일 구간 참여 모드는, 첫번째 방식으로 팀업 만들기, 즉,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 등을 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하고, 두번째 방식으로 팀업 신청하기, 즉,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콘텐츠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을 참여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is a first way to create a team-up, that is, a user creates team-up content directly and invites, designates, and publicly recruits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ir own content. In the second way, apply for a team-up, that is, apply for a team-up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participate in the previously uploaded team-up content, or only users allowed by the content creator to apply for a team-up so that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building an interface to do so.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릴레이 참여 모드는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30)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콘텐츠의 할당량이 모두 채워지면 각 사용자들이 참여한 구간별 콘텐츠를 영상처리부(43)에서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하여 뮤직비디오, 웹드라마 등의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participation mod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is a format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e in a continuous section of the content for each section, and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30 and provided or a specific content created by the user The interface can be built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so that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of the content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by successively inheriting the quota given for each section, and when the quota of content is all filled, the content for each section in which each user participated A content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so that the image can be edited into one imag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and produced in the form of a music video, web drama, or the like.

영상처리부(43)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서 조회, 참여, 평가 등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43 may function to provide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terminal 10 can inquire, participate, evaluate, and the like,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41 , and perform image processing.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가 참여한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의 콘텐츠 영상을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등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processes the content image of the callout content service and the team-up content service in which the user participates in one, two divisions, multiple divisions, or splicing, and performs image processing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 can be done

이때, 영상처리부(43)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콘텐츠 영상을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동일 주제에 대한 콘텐츠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화면은 콘텐츠에 참여한 사용자 수에 따라 2분할 처리되거나 다분할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팀업 콘텐츠 서비스 실시간 모드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이 참여한 경우, 참여자들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자동 다분할 처리되거나 영상들이 순서에 따라 이어지도록 접합 영상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팀업 콘텐츠 서비스가 실시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영상처리부(43)에서 자동으로 맞춤, 추천 프레임을 지정하여 참여자들의 영상을 다분할 영상처리, 접합 영상처리하거나,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콘텐츠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may process the content imag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latform for each subject provided in the database 3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llout content service, content on the same subject is displayed on one screen.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they can be displayed together, but the screen may be divided into two or multi-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In addition, when participants participate in the content of the team-up content service real-time mode, the images of the participants are automatically multi-segmented in real time, or spliced imag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images are connected in order, and the team-up content service is not in real-time mode.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automatically designates customized and recommended frames to perform multi-segment image processing or splicing image processing for participants' images, or the user who first participated in the team-up content service prefers a plurality of segmented frames or spliced frames. By providing an interface so that users can select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content image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frame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좋아요" 또는 하트, 별, 엄지를 치켜세운 손가락 등 콘텐츠 조회자들의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즉,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configures an icon that can display the preference of content viewers, such as "Like" or a heart, star, thumb raised finger, etc., at the bottom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so that the viewer clicks You can provide an interface to (i.e., vote).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사용자)들의 반응 결과, 즉, 영상처리부(43)에서 구성한 아이콘을 조회자(사용자)가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조회자(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판단하여 이를 집계할 수도 있고,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또한 집계할 수 있다.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is a response result of the viewers (users) to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41, that is, the viewer (user) of the icon configu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You can count each vote result by clicking. In addition,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may determine the number of views based on the time when the viewers (users) viewed the content and count them, and als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is shared with other users.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인기 콘텐츠, 추천 콘텐츠 등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다 객관적으로 각 사용자들의 특기(콘텐츠)를 판단 및 평가 받을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may have an interfac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inquired as popular content, recommended content, etc. in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more objectively provides the user's special (content) ) can be judged and evaluated.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은 특정 사용자 정보 및 특정 콘텐츠 정보는 기획사서버에 송신되어 기획사는 발굴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기획사서버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오디션이 개최되었을 경우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통해 집계된 정보를 가지고 우승자를 가려내거나 상금을 분배하는 등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 서비스를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user information and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which have been highly evalu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ggregated by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are transmitted to the agency server, so that the agency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or content being discover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sign, when an audition is held 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hrough the agency server, the user selects the winner or distributes the prize money with the information aggregated through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It can provide motiv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제어부(47)는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설계, 콘텐츠 서비스의 송수신, 콘텐츠에 대한 트래킹 집계 정보 수집, 영상처리 등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 영상처리부(43) 및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7 includes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an image processing unit 43 and tracking information to enable content service interface, template and frame design, content service transmission/reception, content tracking aggregate information collection, image processing, etc. The processing unit 45 is control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회원 계정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회원들별로 수집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적어도 일반 사용자, 기획사 소속자 및 컨테츠아이템 제공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송신된 회원 계정 식별 정보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100). Referring to FIG. 3 ,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user inputs member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member acc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member, and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general users, agency affiliates, content item providers, etc. according to the design, and the member accoun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30 (S100).

이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콜아웃(call-out) 콘텐츠 또는 팀업(team-up) 콘텐츠로 게시물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또는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 또는 지목하는 형식으로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 있고,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등의 주제별 정보를 포함한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등의 콘텐츠로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편리하게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다(S200). Thereafter,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ransmits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s one post content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and a post may be produced as call-out content or team-up content. At this time, the callout content may have an interface built in the form of requesting or designating a one-to-one, one-to-many, or team/group versus team/group match in one post. In addition, the team-up content may be constructed in a format in which an unspecified number of multiple persons can participate or cooperate in one post.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as content such as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including subject-specific information such as video, music, script, and motion, so that various people can conveniently access content in various fields from a remote location without spatial or temporal restrictions. You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you want (S200).

사용자는 이처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수신받아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로 송신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및 템플릿 구성에 맞춰 제작된 결과물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S300). The user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service by receiving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o the user terminal 10 in this way, and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content service,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s generated to provide the content service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 , and it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30 . In addition, the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callout content service and a team-up content service, which are stored in the database 30 . It may be stored as a result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vided interface and template configuration (S300).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는 대결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S310). The callout content service is a content service with a confrontation structure, and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callout content service,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allows the user to sing, act, rap,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building an interface so that content can be created and produced in ways such a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public challenge, cupta, yo-yo, issue debate, and gaming (S310).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대결모드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11).In addi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may build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callout content service can select a confrontation mode according to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database 30 ( S311 ).

만약,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지정모드로 대결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12). If the user selects the confrontation mode as a specific user-specified mode, an interface may be built and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may call and designate a specific user to compete (S312).

또한, 사용자가 배틀 허용 공개 배틀 모드로 대결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에 대해 불특정 다수의 인원이 대결 및 배틀 등을 허용하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영상이 업로드 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할 수 있다(S313).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frontation mode as the battle-permitted public battle mode,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allows the video to be uploaded in the public battle mode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llow the confrontation and battle. An interface may be built and provided to the user (S313).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협력 구조의 콘텐츠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등의 방식으로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팀업 콘텐츠 서비스는 실시간 모드로 진행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가 구축될 수도 있다(S320). The team-up content service is a content service of a cooperative structure. When a user participates in the team-up content service,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allows the user to sing, act, rap, or play a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topic-specific information platform provided in the database 30 . , a public interest challenge. A cont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so that content can be created and produced in a manner such as cupta, yo-yo, issue debate, and gaming. In this case, an interface may be built so that the team-up content service can be performed in a real-time mode (S320).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협업모드를 선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21). In addi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may build an interface to select a collaboration mode for the user who uses the team-up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database 30 ( S321 ).

만약, 사용자가 협업모드 중 동일 구간 참여 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첫번째 방식으로 팀업 만들기, 즉,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 등을 하여 자신의 영상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하고, 두번째 방식으로 팀업 신청하기, 즉,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영상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을 참여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22). If the user selects 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among the collaboration modes,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41 creates a team-up in the first way, that is, the user creates team-up content directly and calls, designates, and publicly recruits participants. Invite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your own video, and apply for a team-up in the second way, that is, apply for a team-up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participate in the previously uploaded team-up content, or only users allowed by the video producer An interface can be built so that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by allowing them to apply (S322).

또한, 사용자가 협업모드 중 릴레이 참여모드를 선택했을 경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는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30)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콘텐츠의 할당량이 모두 채워지면 각 사용자들이 참여한 구간별 콘텐츠를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하여 뮤직비디오, 웹드라마 등의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23).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relay participation mode among the collaboration modes,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provides a specific form stored in the database 30 in advance in a format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e in a continuous section of the content for each section. An interface can be built so that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s of content or user-created content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by successively inheriting the quota given for each s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so that the image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music video, web drama, etc. by editing the image of the user terminal 10 (S323).

이는 후술되는 콘텐츠 서비스 영상처리(S400)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특정 사용자 지정모드(S312), 배틀 허용 공개모드(S313), 동일구간 참여모드(322) 및 릴레이 참여모드(S323)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러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및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영상처리부(43)에서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 하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43)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에서 조회, 참여, 평가 등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고, 사용자가 참여한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 및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등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부(43)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제공되는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영상을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콜아웃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동일 주제에 대한 콘텐츠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화면은 콘텐츠에 참여한 사용자 수에 따라 2분할 처리되거나 다분할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팀업 콘텐츠 서비스 실시간 모드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이 참여한 경우, 참여자들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자동 다분할 처리되거나 영상들이 순서에 따라 이어지도록 접합 영상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팀업 콘텐츠 서비스가 실시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영상처리부(43)에서 자동으로 맞춤, 추천 프레임을 지정하여 참여자들의 영상을 다분할 영상처리, 접합 영상처리하거나, 팀업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43)는 사용자 단말(10)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좋아요" 또는 하트, 별, 엄지를 치켜세운 손가락 등 조회자들의 콘텐츠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즉, 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40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ntent service image processing (S400)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users use the content service in a specific custom mode (S312), a battle allowed open mode (S313), 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322), and a relay participation mode (S323)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se user content service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30 . At this time,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performs a function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processes the content service.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creates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terminal 10 can inquire, participate, evaluate, and the like, the content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 and a callout content service and team-up content service in which the user participates. Imag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by processing it in one, two divisions, multiple divisions, or splicing.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may process imag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platform for each subject provided in the database 3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llout content service, content on the same subject is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but the screen may be divided into two or multi-segmen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In addition, when participants participate in the content of the team-up content service real-time mode, the images of the participants are automatically multi-segmented in real time, or spliced imag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images are connected in order, and the team-up content service is not in real-time mode.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automatically designates customized and recommended frames to perform multi-segment image processing or splicing image processing for participants' images, or the user who first participated in the team-up content service prefers a plurality of segmented frames or spliced frames. By providing an interface so that users can select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participants' images according to the fram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configures an icon that can display the content preference of viewers, such as "Like" or a heart, star, thumb raised finger, etc., at the bottom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so that the viewer clicks (ie, voting) may provide an interface (S400).

콘텐츠 서비스 영상처리 단계(S400)가 끝나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때,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1)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사용자)들의 반응 결과, 즉, 영상처리부(43)에서 구성한 아이콘을 조회자(사용자)가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는 조회자(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판단하여 이를 집계할 수도 있고,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또한 집계할 수 있다.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인기 콘텐츠, 추천 콘텐츠 등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다 객관적으로 각 사용자들의 특기(콘텐츠)를 판단 및 평가 받을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45)에서 집계된 정보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은 특정 사용자 정보 및 특정 콘텐츠 정보는 기획사서버에 송신되어 기획사는 발굴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기획사서버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오디션이 개최되었을 경우 트래킹 정보 처리부(45)를 통해 집계된 정보를 가지고 우승자를 가려내거나 상금을 분배하는 등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 서비스를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S500).When the content service image processing step (S400) is finished,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collects tracking information for the contents. At this time,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provides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41 The results of the viewers (users) 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that is, the results of voting by the viewers (users) by clicking the icon configu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43 may be aggregat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may determine the number of views based on the time when the viewers (users) viewed the content and count them, and als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is shared with other user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may have an interfac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inquired as popular content, recommended content, etc. in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more objectively provides the user's special (content) ) can be judged and evaluated. In addition, specific user information and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which have been highly evaluated through the information aggregated by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are transmitted to the agency server, so that the agency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or content being discover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sign, when an audition is held 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hrough the agency server, the user selects the winner or distributes the prize money with the information aggregated through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5 Motivation can be provi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S500).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erface displaying a content servic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장치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내부에 여러 콘텐츠가 추가 및 수정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형식과 형태 및 플랫폼 등이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4 to 13 are shown to explain the interface of the content servic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face provided by the apparatus is It is natural that various contents may be added and modified and provided, and the design form, form, platform, etc. of the interface may be modified and trans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in screen interfac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화면은 상단부(11)에 Main, Voice, Action 및 Text의 아이콘이 배치되고, 본문부(12)에는 각 분야별 콘텐츠의 인기 차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하단부(13)에는 홈(집 모양 아이콘), 검색(돋보기 아이콘), 콘텐츠 서비스 참여(+ 모양 아이콘), 알림 메시지(종 모양 아이콘) 및 마이페이지(사람 모양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본문부(12)는 사용자가 클릭하는 상단부(11) 및 하단부(13)의 아이콘에 따라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이 반영된 화면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4, in the main screen, icons of Main, Voice, Action, and Text are arranged in the upper part 11, the main part 12 may display popular charts of content for each field, and the lower part 13 is Home (house icon), search (magnifying glass icon), content service participation (+ icon), notification message (bell icon), and My Page (person icon)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2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on a screen in which customiz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icon are reflected according to the icons of the upper part 11 and the lower part 13 that the user clicks.

본 발명은 상단부(11)에서 콘텐츠 서비스를 Voice, Action 및 Text만으로 설정하였으나, 설계에 따라서는 상술한 콘텐츠 서비스 외에도 다른 분야의 수많은 콘텐츠 서비스가 아이콘으로 추가, 수정 및 삭제될 수 있으며, 하단부(13)의 아이콘 또한 상단부(11)의 아이콘과 동일하게 추가, 수정 및 삭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rvice is set to only Voice, Action, and Text in the upper part 11.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numerous content services in other field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services may be added, modified, and deleted as icons, and the lower part 13 ) can also be added, modified, and dele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con of the upper part 11 .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를 통해 화면 상단부(11)에 표시된 Main, Voice, Action 및 Text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Main 아이콘 화면에서 Voice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경우, Voice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이 본문부(12)에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Voice 아이콘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은 예를 들어 더빙씬 아이콘(12a) 및 커버송 아이콘(12b)일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중 어느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만약 더빙씬 아이콘(12a)을 선택한다면, 다시 본문부(12)는 도 5b처럼 상기 더빙씬 아이콘(12a)에 해당하는 맞춤화된 내용으로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Main, Voice, Action, and Text icons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11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the Voice icon on the Main icon screen. When selected, the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oice icon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in the main body 12 . The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oice icon may be, for example, a dubbing scene icon 12a and a cover song icon 12b, and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m. If the user selects the dubbing scene icon 12a, the main body 12 may change the screen to be displayed with customiz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ubbing scene icon 12a as shown in FIG. 5B again.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문부(12)에 표시된 도전 아이콘(12a-1)을 클릭하여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전 아이콘(12a-1)을 클릭하였을 경우, 본문부(12)는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영상과 대사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영상을 보며 대사를 녹음할 경우, 음성 녹음이 가능하도록 녹음 아이콘(12a-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 녹음은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마이크 모듈을 통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A , the user may participate in the dubbing scene content service by clicking the challenge icon 12a-1 displayed on the main body 12 . If the user clicks on the challenge icon 12a-1, the main body 12 may display the video and lines corresponding to the dubbing scene content service, and when the user records the lines while watching the video, the voice A recording icon 12a-2 may be displayed to enable recording. In this case, the user's voice recording is possible through the microphone modul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문부(12)에 표시된 비디오 업로드 아이콘(12a-3)을 통해 직접 영상을 녹화할 수 있으며, 도 7b에 표시된 것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의 대사를 녹음할 수 있도록 구간 설정 아이콘(12a-4)으로 음소거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음소거 구간에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고 싶은 경우, 도 7c에 표시된 녹화 아이콘(12a-5)를 클릭하여 녹음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영상 녹화는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the user can directly record an image through the video upload icon 12a-3 displayed on the body 12, and as shown in FIG. 7B, the user can record only the desired part of the dialogue. A section to be muted can be selected with the section setting icon 12a - 4 so that Thereafter, if the user wants to record his/her own voice in the mute section, the user may click the record icon 12a-5 shown in FIG. 7C to proceed with the recording. The user's video recording may be possible through a camera modul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녹음 또는 녹화한 음성과 영상을 본문부(12)의 한 구간에 표시된 박스창(12a-6)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음성은 사용자 단말(10)에 기설치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청취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녹음 및 녹화한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녹화 아이콘(12a-7)을 클릭하여 이전의 도 7의 과정으로 돌아가 재녹음 및 재녹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박스창(12a-6)에 표시된 음성 및 영상이 마음에 들 경우 다음 아이콘(12a-8)을 클릭하여 도 8b처럼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본문부(12)는 사용자가 영상의 제목 및 설명을 기재할 수 있도록 TEXT 박스창(12a-9)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든 과정을 마친 후 더빙씬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하고 싶다면, 업로드 아이콘(12a-10)을 클릭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더빙씬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the user can check the voice and video recorded or recorded by the user in the box window 12a-6 displayed in one section of the main body 12 , wherein the user voic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 It is possible to listen through the pre-installed speaker module. If the user is not satisfied with the recorded and recorded content, he/she can click the re-record icon 12a-7 to return to the previous process of FIG. If you like the audio and video displayed in 6), you can click the next icon 12a-8 to upload the video as shown in FIG. 8b. At this time, the main body 12 may provide a text box window 12a-9 so that the user can write the title and description of the image, and if the user wants to participate in the dubbing scene content service after completing all the processes, The dubbing scene content created by the user can be uploaded by clicking the upload icon 12a-10.

도 9 내지 도 13은 상술된 도 4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또 다른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erface of another content servic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S. 4 to 8 described above.

이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콘텐츠 서비스와 분야 및 인터페이스 구성만 다를 뿐, 내용은 동일하므로 도 9 내지 도 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service described in FIGS. 4 to 8 only in the field and interface configuration, and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of FIGS. 9 to 13 will be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서 조회, 참여 및 평가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참여한 콘텐츠 서비스를 영상처리하여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조회자들의 반응 결과(투표 결과)를 집계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부; 및
콘텐츠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템플릿 및 프레임 설계, 콘텐츠 서비스의 송수신, 콘텐츠 서비스의 영상처리, 콘텐츠 서비스의 트래킹 집계 정보 수집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영상처리부 및 트래킹 정보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I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processed by cultural material to a user terminal,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content service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user content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ntent service from the user;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view, participate, and evaluate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and process the contents service in which the user participated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ggregates reaction results (voting results) of viewers to the contents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nts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s service providing unit; and
A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enable content service interface, template and frame design, content service transmission/reception, image processing of content service, and tracking aggregate information collection of content service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적 소재가 가공된 콘텐츠는,
적어도 인쇄 출판 미디어, 전자 미디어, 시각에 소구하는 영상 미디어, 뉴미디어, 인간의 신체와 감각기관의 기능을 확장한 미디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ntents processed with the above cultura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print publication media, electronic media, visual media appealing to vision, new media, and media that extend the functions of the human body and sensory organs.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되는 하나의 게시물 콘텐츠로서, 대결 구조 형식의 콜아웃(call-out) 콘텐츠 및 협력 구조 형식의 팀업(team-up)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콜아웃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1인 대 1인, 1인 대 다수, 및 팀/그룹(team/group) 대 팀/그룹(team/group) 대결을 신청하거나 지목하는 형식으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고, 팀업 콘텐츠는 하나의 게시물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인원이 참여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s
As one post content register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it may include call-out content in the form of a confrontation structure and team-up content in the form of a cooperation structure, and the call-out content is one post. The interface is built in the form of requesting or designating a one-on-one, one-to-many, and team/group vs. team/group match, and team-up content is stored in one pos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ace is built in a form in which a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can participate or cooperate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적어도 영상, 음악, 스크립트, 모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주제별 정보의 대결, 릴레이, 챌린지 및 콜라보 형식의 콘텐츠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에 다양한 인원이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상호 원격지에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By providing content servi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confrontation, relay, challenge, and collaboration of information by subject,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video, music, script, and motion, to the user terminal, various people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out spatial and temporal restrictions on content in various fiel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to participate in desired content from a remote location through one's own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주제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적어도 노래, 연기, 랩, 악기 연주, 공익 챌린지, 컵타, 요요, 이슈 논쟁, 게이밍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topical information, the user can create and produce at least singing, acting, rap,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public challenge, cupta, yo-yo, issue debate, and gaming content.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콜아웃 콘텐츠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를 호출 및 지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대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거나,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대결 및 배틀을 신청할 수 있도록 공개 배틀 모드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When a user participates in callout content,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calls and designates a specific user to build an interface to confront the content with other users, or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can access their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building an interface for uploading content in public battle mode so that other users can apply for confrontation and battl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 서비스에 참여할 경우, 콘텐츠를 창작 및 제작한 사용자가 동일 구간 참여 모드 또는 릴레이 참여 모드로 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게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When a user participates in a team-up content service, an interface is built so that the user who created and produced the content can participate in the content in 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or relay participation mod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동일 구간 참여 모드를 사용자가 팀업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참여자들을 호출, 지정 및 공개적 모집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참여자들을 참여하도록 하게 하는 팀업 신청하기 및 사전에 업로드된 팀업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참석할 수 있도록 팀업을 신청하거나 콘텐츠 제작자가 허용하는 사용자들에 한하여 팀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팀업 신청하기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In the same section participation mode, users create team-up content themselves and invite, designate, and openly recruit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ir own content. To apply for team-up and allow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to participate in pre-uploaded team-up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face is construc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for a team-up, which allows only users who apply for a team-up or that the content creator allows to apply for a team-up,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는,
릴레이 참여 모드를 사용자가 콘텐츠의 연속 구간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간별로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되, 서버 내에 기저장되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정 콘텐츠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구간별로 주어진 할당량을 연속으로 이어받아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unit,
In the relay participation mode, an interface is constructed so that multiple users participate in a continuous section of content by section, but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re assigned to specific content pre-stored in the server or user-created specific content for each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to participate in content by successively inheriting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사용자들이 참여한 콘텐츠 영상을 실시간 및 자동으로 주제별 정보 플랫폼에 따라 하나, 2분할, 다분할 또는 접합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하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최초로 참여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분할 프레임 및 접합 프레임 중 선호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레임에 맞춰 참여자들의 콘텐츠 영상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content video in which users participated is processed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latform by subjec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creen by processing one, two, multi-segmentation, or joint processing, or the user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service for the first time can display multiple divided frame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an interface to select the preferred frame among the spliced frames, the content images of the participants a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frame selected by the user.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사용자들이 참여한 콘텐츠를 뮤직비디오 및 웹드라마 형식으로 영상이 제작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mage proces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face is built so that the content in which users participated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music videos and web dramas, and thi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하단에 조회자들의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조회자가 클릭(투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An icon capable of displaying the preference of viewers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creen, and an interface is constructed so that the viewer can click (vot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부는,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판단된 조회수, 조회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한 공유횟수 및 조회자들이 영상처리부에서 구축한 선호도를 표시할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투표한 결과를 각각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 and 12,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number of views judged based on when the viewers viewed the content,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was shared by the viewers with other users, and the vote results were counted by clicking the icon that the viewers clicked on the icon to display the preference built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characterized by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부는,
집계된 조회수, 공유횟수 및 선호도 투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인기 콘텐츠 및 추천 콘텐츠로 조회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객관적으로 판단 및 평가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rack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uilds an interface so that it can be viewed as popular content and recommended content o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ggregated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shares, and the preference voting results, and functions to objectively judge and evaluate users' content through this.
Content service providing device.
KR1020200102326A 2020-08-14 2020-08-14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215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26A KR20220021599A (en) 2020-08-14 2020-08-14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26A KR20220021599A (en) 2020-08-14 2020-08-14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599A true KR20220021599A (en) 2022-02-22

Family

ID=8049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26A KR20220021599A (en) 2020-08-14 2020-08-14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5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4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US88197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mposite broadcast with moderation mechanism for multiple media feeds
KR20040010694A (en) Multimedia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er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arter Digital Humanities
JP2015018563A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products
JP2004248145A (en)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Bouwman et al.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cenarios matter: research into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home environment in 2010
Lind The Role and Potential of Live Streaming in Market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KR20220021579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Zelenkauskaite Value of user-generated content: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social and mobile media in two Italian radio stations
KR20220021599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21574A (en) Recording Method
Elberzhager et al. Building a YouTube channel for science communication
KR20220021575A (en) Recording Method
KR20220021604A (en)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21603A (en) Program for operation of the providing content service device
KR20220021593A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33909A (e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interfaces
KR20220021595A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2160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33908A (e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interfaces
KR20220021577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21602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33901A (en)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interfaces
KR2022002160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